KR20210143041A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43041A KR20210143041A KR1020200059951A KR20200059951A KR20210143041A KR 20210143041 A KR20210143041 A KR 20210143041A KR 1020200059951 A KR1020200059951 A KR 1020200059951A KR 20200059951 A KR20200059951 A KR 20200059951A KR 20210143041 A KR20210143041 A KR 202101430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ice
- drain
- tank
- outl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5—Ice bins therefor with freezing tr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얼음저장고에서 얼음 녹은 물이 배수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빙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빙기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저장고본체와, 얼음 녹은 물이 배출되는 해빙수 배수구와, 얼음이 외부로 추출되는 얼음추출구를 구비하는 얼음저장고; 상기 얼음저장고에서 배수된 물을 수용하는 배수탱크; 및 상기 배수탱크의 물을 드레인 라인으로 배수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탱크는, 상기 해빙수 배수구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해빙수 유입구와, 물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를 구비하는 탱크본체;와, 상기 해빙수 유입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해빙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이 통과하는 그물망을 구비하는 메쉬부재;와, 상기 메쉬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그물망을 통과하여 낙하한 물이 접촉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과, 상기 측벽 중에서 탱크본체의 내측 벽면에 대응하는 일측이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형성된 유출개구를 구비하는 낙하 유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해빙수 유입구로 유입된 물은 상기 그물망을 통과한 후 상기 바닥면과 상기 유출개구를 거쳐 상기 내측 벽면을 따라 흘러 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저장고본체와, 얼음 녹은 물이 배출되는 해빙수 배수구와, 얼음이 외부로 추출되는 얼음추출구를 구비하는 얼음저장고; 상기 얼음저장고에서 배수된 물을 수용하는 배수탱크; 및 상기 배수탱크의 물을 드레인 라인으로 배수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탱크는, 상기 해빙수 배수구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해빙수 유입구와, 물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를 구비하는 탱크본체;와, 상기 해빙수 유입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해빙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이 통과하는 그물망을 구비하는 메쉬부재;와, 상기 메쉬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그물망을 통과하여 낙하한 물이 접촉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과, 상기 측벽 중에서 탱크본체의 내측 벽면에 대응하는 일측이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형성된 유출개구를 구비하는 낙하 유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해빙수 유입구로 유입된 물은 상기 그물망을 통과한 후 상기 바닥면과 상기 유출개구를 거쳐 상기 내측 벽면을 따라 흘러 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얼음저장고에 수용된 물의 배수를 위하여 배수탱크를 구비하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는 냉각시스템을 통하여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제빙기는 얼음생성 기능만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지만, 최근에는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하는 기능을 갖춘 정수기에서 얼음생성 기능을 함께 갖춘 얼음정수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종래의 제빙기는 냉각시스템에 의해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와,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수용하는 얼음저장고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얼음저장고에 수용된 얼음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녹게 되며, 얼음 녹은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얼음저장고의 하부에는 얼음 녹은 물의 배수를 위한 배수구가 설치된다. 배수구는 드레인 라인에 연결되며, 얼음 녹은 물은 제빙기의 외부(예를 들어, 하수구)로 배출된다.
한편, 얼음저장고에는 다량의 얼음이 수용되므로 얼음 녹은 물도 지속적으로 상당량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얼음 녹은 물이 계속 생성되어 배수구를 거쳐 드레인 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졸졸 물 흐르는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소리는 그 크기가 작기는 하지만, 밤이나 심야 시간 등에는 굉장히 거슬리는 소음이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길이가 긴 드레인 라인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므로 드레인 라인 주변 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소음의 발생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외기 온도가 높은 경우 및/또는 얼음 저장량이 많은 경우 등 얼음 녹은 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배수량이 많아 사용자가 느끼는 소음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제빙기는 얼음저장고에서 배출되는 얼음 녹은 물 등 각종 드레인 수를 배수탱크에 저장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배수탱크는 배수탱크의 상측에 위치하는 얼음저장고 등에서 발생하는 드레인 수를 저장하고 배수탱크의 수위가 일정한 수준 이상이 되면 드레인 라인으로 한꺼번에 배수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배수탱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얼음 녹은 물이 긴 길이를 갖는 드레인 라인을 통해 지속적으로 배출될 때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한국 특허공개 제2019-0102808호 "얼음정수기"는 얼음저장고에서 배출된 물을 수용하는 배수탱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배수탱크는 배수관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하여 얼음저장고에서 배출되는 냉각수를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고온 냉매와 열교환시켜 냉각수의 온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공개 제2019-0102808호의 배수탱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저장고에서 배출된 물이 배수탱크에 수용된 물의 표면에 직접 낙하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낙하 소음이 크게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 특허공개 제2018-0138032호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의 배수 방법"은 얼음저장고에서 수용된 얼음이 녹아 생성된 물을 배수탱크에 모아서 배수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상기 특허공개 제2018-0138032호는 배수탱크에 수용된 물을 드레인 라인을 통하여 배수할 때 배수펌프 작동 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는 기술만을 개시하고 있다.
즉, 종래의 제빙기에 사용되는 배수탱크는 단순히 드레인 수를 모아서 배수할 뿐이어서 얼음저장고에서 배출되는 얼음 녹은 물이 배수탱크로 유입될 때 발생하는 소음을 개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얼음저장고에서 얼음 녹은 물이 배수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의 크기나 소음발생의 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얼음저장고에서 배출되는 드레인 수가 배수탱크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저장고본체와, 상기 저장고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얼음 녹은 물이 배출되는 해빙수 배수구와, 얼음이 외부로 추출되는 얼음추출구를 구비하는 얼음저장고; 상기 얼음저장고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얼음저장고에서 배수된 물을 수용하는 배수탱크; 및 상기 배수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배수탱크의 물을 드레인 라인으로 배수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탱크는, 내부에 물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해빙수 배수구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해빙수 유입구와, 상기 물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를 구비하는 탱크본체;와,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해빙수 유입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해빙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이 통과하는 그물망을 구비하는 메쉬부재;와, 상기 메쉬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그물망을 통과하여 낙하한 물이 접촉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과, 상기 측벽 중에서 상기 탱크본체의 내측 벽면에 대응하는 일측이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형성된 유출개구를 구비하는 낙하 유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해빙수 유입구로 유입된 물은 상기 그물망을 통과한 후 상기 바닥면과 상기 유출개구를 거쳐 상기 내측 벽면을 따라 흘러 내리도록 구성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바닥면은 상기 그물망을 통과한 물이 상기 유출개구 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유출개구가 형성된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본체는 상기 해빙수 유입구가 형성된 탱크커버와, 상기 출수구가 형성된 탱크몸체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저장고는 상기 얼음추출구 주변에서 형성된 물이 배수되는 추출구측 배수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탱크커버는 상기 추출구측 배수구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추출구측 유입구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추출구측 유입구로 유입된 물은 상기 그물망을 통과한 후 상기 유출개구를 거쳐 상기 내측 벽면을 따라 흘러 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본체는, 상기 물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만수위센서와, 상기 물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의 저수위를 감지하는 저수위센서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펌프는 상기 만수위센서에서 만수위가 감지될 때 작동되고, 상기 저수위센서에서 저수위가 감지될 때 작동이 정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얼음저장고에서 얼음 녹은 물이 배수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의 크기나 소음발생의 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얼음저장고에서 배출되는 얼음 녹은 물 등 각종 드레인 수가 배수탱크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수탱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수탱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종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 선에 따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수탱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수탱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종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 선에 따른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100)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수탱크(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수탱크(2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B-B' 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빙기(100)는 제빙부(130), 얼음저장고(140), 배수탱크(200) 및 펌프(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빙부(13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필터부(110) 및/또는 물탱크(탱크부)(1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부(130)는 공지의 냉각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급된 물을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빙부(130)는 일 예로서 증발기에 연결된 침지관을 제빙수가 담긴 제빙용 트레이에 침지되도록 하여 침지관 둘레에 얼음이 생성되는 침지식 제빙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100)에 구비되는 제빙부(130)의 얼음생성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사식 제빙 방식, 유수식 제빙 방식, 오거식 제빙 방식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얼음 생성을 위한 냉각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를 포함하는 전통적인 냉각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전모듈을 이용한 냉각방식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빙부(130)에는 필터부(110)를 통하여 여과된 물이 공급되어 제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110)는 통상의 정수기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필터부(110)는 세디먼트 필터, 프리카본 필터, 메인필터, 포스트카본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여과도가 가장 높은 메인필터로는 역삼투압(RO) 멤브레인 필터, 중공사막 필터, 나노트랩(나노필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110)의 구성은 정수에 필요한 여과성능이나 여과속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필터부(110)에서 여과된 정수는 제빙부(130)에 직접 공급될 수 있으나, 물탱크(120)에 저장된 후 제빙부(130)에 공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물탱크(120)는 통상의 정수기와 마찬가지로, 정수된 물을 상온으로 수용하는 정수탱크와, 냉각된 상태로 수용되는 냉수탱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빙부(130)에는 정수탱크에 수용된 상온의 정수가 공급될 수 있으나, 빠른 제빙을 위하여 냉수탱크에 수용된 냉수가 제빙부(130)에 공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물탱크(120)에 저장된 정수 및/또는 냉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하여 코크나 파우셋으로 이루어지는 추출부(미도시)가 물탱크(1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물탱크(120)는 필터부(110)에서 여과된 정수를 가열된 상태로 수용하는 온수탱크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온수탱크 대신에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유동하는 물을 급속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순간가열장치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빙부(130)에서 생성된 얼음은 탈빙과정을 통하여 얼음저장고(140)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탈빙을 위하여 증발기에 고온의 냉매인 핫 가스를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증발기를 히터를 통하여 가열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얼음저장고(140)는 제빙부(130)의 하부에 위치하여 탈빙된 얼음(I)을 수용하게 된다. 얼음저장고(140)는 제빙부(130)에서 생성된 얼음(I)을 저장하도록 소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저장고본체(141)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고본체(141)의 하부에는 저장고본체(141)에 수용된 얼음이 녹은 물{해빙수{解氷水)}가 배출되는 해빙수 배수구(145)를 구비할 수 있다. 해빙수 배수구(14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수탱크(200)에 연결되며 해빙수 배수구(145)를 통하여 배출되는 얼음 녹은 물(드레인 수)은 배수탱크(2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고본체(141)에는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얼음추출구(14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얼음추출구(142)가 얼음저장고(14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얼음추출구(142)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저장고본체(141)에는 얼음추출구(142)에 인접한 위치에 얼음추출구(142) 주변에서 형성된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기능하는 추출구측 배수구(14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추출구측 배수구(146)는 얼음추출구(142) 내외측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로 발생한 물이나 얼음추출구(142) 주변에 존재하는 얼음 조각 등이 녹은 물 등 얼음추출구(142) 주변에서 형성된 각종 드레인 수를 외부로 배수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추출구측 배수구(14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추출구(142)에 인접한 내부 공간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추출구측 배수구(14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수탱크(200)에 연결되며, 추출구측 배수구(146)에서 배수되는 드레인 수는 배수탱크(20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저장고본체(141)는 얼음추출구(142)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14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도어(143)는 얼음추출 시 얼음추출구(142)를 개방하고 얼음추출 종료 시 얼음추출구(142)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도어(143)는 하여 도어축(143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저장고(140)에는 저장고본체(141)에 수용된 얼음을 얼음추출구(142) 측으로 이동시키는 얼음이송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얼음이송부(150)는 회전축(151)에 연결된 나선 구조의 이송스크류(152)가 구동모터(153)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153)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저장고본체(141) 부분에는 회전축(151)을 지지하기 위한 축지지부(15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축지지부(154)는 회전축(151)을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베어링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얼음 추출 기능이 선택되면 구동모터(153)가 작동하여 회전축(151) 및 이에 연결된 이송스크류(152)가 회전하여 얼음이 얼음추출구(142) 측으로 이동하여 얼음추출구(1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저장고(140)의 하부에는 얼음저장고(140)에서 배수된 물을 수용하는 배수탱크(2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저장고(140)의 해빙수 배수구(145)는 제1 연결관(L1)을 통하여 배수탱크(200)의 해빙수 유입구(221)에 연결되고, 얼음저장고(140)의 추출구측 배수구(146)는 제2 연결관(L2)을 통하여 배수탱크(200)의 추출구측 유입구(22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관(L1)과 해빙수 유입구(221)의 연결 및 밀봉을 위하여 해빙수 유입구(221)에는 패킹부재(P)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배수탱크(200)에 수용된 물은 출수구(212)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펌프(160)는 출수연결관(L3)을 통하여 배수탱크(200)의 출수구(212)와 연결되며, 배수탱크(200)의 물을 드레인 라인(DL)으로 배수하기 위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배수탱크(200)에 수용된 물(드레인 수)는 펌프(160)의 작동에 의해 드레인 라인(DL)을 통하여 하수구 등으로 배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100)에 구비되는 배수탱크(200)의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탱크(200)는 내부에 물수용공간(211)이 형성되는 탱크본체(201)와, 얼음저장고(140)에서 배수된 물이 통과하는 메쉬부재(230)와, 상기 메쉬부재(230)를 거친 물을 물수용공간(211)으로 안내하는 낙하 유도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탱크본체(201)는 얼음저장고(140)의 하부에 배치되어 얼음저장고(140)에서 배수된 물(드레인 수)를 수용하기 위하여 내부에 소정크기의 물수용공간(211)이 형성된 탱크몸체(210)와, 상기 탱크몸체(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구성된 탱크커버(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내부에 물수용공간(211)이 형성될 수 있다면 탱크본체(201)의 구체적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탱크본체(201)는 얼음저장고(140)의 해빙수 배수구(145)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해빙수 유입구(221)와, 탱크본체(201)의 물수용공간(211)에 수용된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21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얼음저장고(140)에서 배수된 물은 수두차에 의하여 배수탱크(200)로 공급되므로 얼음저장고(140)로부터 배수탱크(200)로의 물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해빙수 유입구(221)는 탱크커버(2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해빙수 유입구(221)와 마찬가지로, 얼음저장고(140)의 추출구측 배수구(146)로부터 배수탱크(200)로 물(드레인 수)이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추출구측 유입구(222)도 탱크커버(2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출수구(212)는 탱크본체(201)의 외부로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탱크몸체(210)의 하측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탱크본체(201)는 물수용공간(211)에 수용된 물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만수위센서(HLS)와, 물수용공간(211)에 수용된 물의 저수위를 감지하는 저수위센서(LLS)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만수위센서(HLS)와 저수위센서(LLS)의 설치를 위하여 탱크본체(201)에는 만수위센서 장착부(215)와 저수위센서 장착부(216)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만수위센서(HLS)와 저수위센서(LLS)의 구조 및 설치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로트 등의 구조물을 탱크본체(201) 내부에 설치하고 탱크본체(201) 외부에서 플로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구조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만수위센서(HLS)와 저수위센서(LLS)는 펌프(160)의 작동을 위하여 구비되며, 만수위센서(HLS)에서 만수위가 감지될 때 제어부(미도시)는 펌프(160)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펌프(160)의 구동을 제어하고, 저수위센서(LLS)에서 저수위가 감지될 때 제어부(미도시)는 펌프(160)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펌프(16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배수탱크(200)는 얼음저장고(140)에서 배수된 물뿐만 아니라 제빙기(100)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부품에서 배출된 물을 수용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생성을 위하여 순간온수장치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순간온수장치의 초기 작동 시 배수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수탱크(200)는 다른 구성부품에서 배출된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해빙수 유입구(221) 및/또는 추출구측 유입구(222) 이외에 탱크본체(201)에 추가적인 입수구(213a, 213b)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쉬부재(230)는 탱크본체(201)의 내부에 수용되며, 해빙수 유입구(221)의 하부에 배치되어 해빙수 유입구(221)로부터 유입된 물이 통과하는 그물망(234)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추출구측 유입구(222)로부터 유입된 물도 메쉬부재(230)의 그물망(234)을 통과하도록 구성될수 있다. 그물망(234)은 작은 크기의 격자 구조를 가지므로 물이 통과할 때 물의 입자크기를 작게 하거나 격자 사이에 표면장력을 형성하여 물의 낙하속도를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낙하 소음을 부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메쉬부재(230)는 다수의 개구(233)가 형성된 바닥면(231)과, 바닥면(23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232)과, 개구(233) 부분에 설치된 그물망(234)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메쉬부재(230)의 바닥면(231)은 물이 고이지 않고 하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메쉬부재(230)는 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격벽(235)를 구비할 수 있으며, 격벽(235)은 일측 방향으로의 물 흐름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쉬부재(230)는 해빙수 유입구(221) 및/또는 추출구측 유입구(222)로부터 유입된 물의 낙하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탱크커버(220)의 하부에 탱크커버(220)와 인접한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다. 메쉬부재(230)와 탱크커버(220)의 체결을 위하여, 탱크커버(220)에는 볼트(B)가 관통하는 관통공(213)이 형성될 수 있고, 메쉬부재(230)에는 볼트(B)가 체결되는 체결구(236)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메쉬부재(230)와 탱크커버(220)의 결합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낙하 유도부재(240)는 메쉬부재(230)의 하부에 메쉬부재(23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그물망(234)을 통과하여 낙하한 물이 탱크본체(201)의 내측 벽면(214)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얼음저장고(140)의 물이 탱크본체(201)로 유입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낙하 유도부재(240)는 그물망(234)을 통과하여 낙하한 물이 접촉하는 바닥면(241)과, 상기 바닥면(24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242)과, 상기 측벽(242) 중에서 탱크본체(201)의 내측 벽면(214)에 대응하는 일측이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형성된 유출개구(24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낙하 유도부재(240)의 바닥면(241)은 그물망(234)을 통과한 물이 유출개구(243) 측으로 이동하도록 유출개구(243)가 형성된 방향, 즉 내측 벽면(214)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고본체(141)의 해빙수 배수구(145)로부터 해빙수 유입구(221)를 통해 탱크본체(201)로 유입된 물은 메쉬부재(230)의 그물망(234)을 통과한 후 낙하 유도부재(240)의 바닥면(241)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해빙수 배수구(145)와 메쉬부재(230) 사이의 높이, 그리고 메쉬부재(230)의 그물망(234)과 배수탱크(200)의 바닥면(241) 사이의 높이는 작게 형성되고, 해빙수 배수구(145)로 유입된 물이 일차적으로 메쉬망(234)을 통과한 후 바닥면(241)과 접촉하므로 해빙수 배수구(145)로 유입된 물이 바닥면(2241)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바닥면(241)에 닿은 물은 바닥면(241)의 경사를 따라 흘러 유출개구(243)를 통해 탱크본체(201)의 물수용공간(211)으로 배출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개구(243)가 탱크본체(201)의 내측 벽면(214)에 근접하여 배치되므로 유출개구(243)를 통해 배출된 물은 탱크본체(201)의 내측 벽면(214)을 따라 흘러 내리므로 해빙수 배수구(145)로부터 배수된 물이 배수탱크(200)에 저장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얼음저장고(140)의 추출구측 배수구(146)로부터 배수된 물은 추출구측 유입구(222)로 유입된 후 그물망(234)을 통과하여 바닥면(241)에 접촉하게 되고, 바닥면(241)의 경사를 따라 흘러 유출개구(243)를 거쳐 탱크본체(201)의 내측 벽면(214)을 따라 흘러 내리므로 추출구측 배수구(146)로부터 배수된 물이 배수탱크(200)에 저장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낙하 유도부재(240)는 메쉬부재(230)의 하부에서 메쉬부재(230)에 결합될 수 있다. 낙하 유도부재(240)와 메쉬부재(230)의 체결을 위하여, 낙하유도부재(240)에는 볼트(B)가 관통하는 관통구(244)가 형성될 수 있고, 메쉬부재(230)에는 볼트(B)가 체결되는 체결구(237)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낙하 유도부재(240)와 메쉬부재(230)의 결합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100)는 얼음저장고(140)에서 배수된 물을 배수탱크(200)에 임시로 저장한 후 배수탱크(200)의 수위가 일정수위(예를 들어, 만수위)에 해당하는 경우 펌프(160)를 통한 배수가 이루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100)는, 얼음저장고(140)에서 배수된 물을 드레인 라인(DL)으로 직접 배수하므로 지속적인 소음이 발생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소음발생의 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100)는 얼음저장고(140)에서 배수된 물이 배수탱크(200)에 저장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100)는 낙하 유도부재(240)가 소음 감소에 주된 역할을 담당하므로 메쉬부재(230)를 구비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낙하 유도부재(240)는 탱크커버(220)의 하부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제빙기
110... 필터부
120... 물탱크 130... 제빙부
140... 얼음저장고 141... 저장고본체
142... 얼음추출구 143... 개폐도어
143a... 도어축 145... 해빙수 배수구
146... 추출구측 배수구 150... 얼음이송부
151... 회전축 152... 이송스크류
153... 구동모터 154... 축지지부
160... 펌프 200... 배수탱크
201... 탱크본체 210... 탱크몸체
211... 물수용공간 212... 출수구
213a, 213b... 입수구 214... 내측 벽면
215... 만수위센서 장착부 216... 저수위센서 장착부
220... 탱크커버 221... 해빙수 유입구
222... 추출구측 유입구 223... 관통공
230... 메쉬부재 231... 바닥면
232... 측벽 233... 개구
234... 그물망 235... 격벽
236, 237... 체결구 240... 낙하 유도부재
241... 바닥면 242... 측벽
243... 유출개구 244... 관통구
B... 체결부재 I... 얼음
L1... 제1 연결관 L2... 제2 연결관
L3... 출수연결관 DL... 드레인 라인
HLS... 만수위센서 LLS... 저수위센서
P... 패킹부재
120... 물탱크 130... 제빙부
140... 얼음저장고 141... 저장고본체
142... 얼음추출구 143... 개폐도어
143a... 도어축 145... 해빙수 배수구
146... 추출구측 배수구 150... 얼음이송부
151... 회전축 152... 이송스크류
153... 구동모터 154... 축지지부
160... 펌프 200... 배수탱크
201... 탱크본체 210... 탱크몸체
211... 물수용공간 212... 출수구
213a, 213b... 입수구 214... 내측 벽면
215... 만수위센서 장착부 216... 저수위센서 장착부
220... 탱크커버 221... 해빙수 유입구
222... 추출구측 유입구 223... 관통공
230... 메쉬부재 231... 바닥면
232... 측벽 233... 개구
234... 그물망 235... 격벽
236, 237... 체결구 240... 낙하 유도부재
241... 바닥면 242... 측벽
243... 유출개구 244... 관통구
B... 체결부재 I... 얼음
L1... 제1 연결관 L2... 제2 연결관
L3... 출수연결관 DL... 드레인 라인
HLS... 만수위센서 LLS... 저수위센서
P... 패킹부재
Claims (5)
-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저장고본체와, 상기 저장고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얼음 녹은 물이 배출되는 해빙수 배수구와, 얼음이 외부로 추출되는 얼음추출구를 구비하는 얼음저장고;
상기 얼음저장고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얼음저장고에서 배수된 물을 수용하는 배수탱크; 및
상기 배수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배수탱크의 물을 드레인 라인으로 배수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펌프;
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탱크는,
내부에 물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해빙수 배수구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해빙수 유입구와, 상기 물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를 구비하는 탱크본체;와,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해빙수 유입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해빙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이 통과하는 그물망을 구비하는 메쉬부재;와,
상기 메쉬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그물망을 통과하여 낙하한 물이 접촉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과, 상기 측벽 중에서 상기 탱크본체의 내측 벽면에 대응하는 일측이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형성된 유출개구를 구비하는 낙하 유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해빙수 유입구로 유입된 물은 상기 그물망을 통과한 후 상기 바닥면과 상기 유출개구를 거쳐 상기 내측 벽면을 따라 흘러 내리도록 구성되는 제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그물망을 통과한 물이 상기 유출개구 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유출개구가 형성된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는 상기 해빙수 유입구가 형성된 탱크커버와, 상기 출수구가 형성된 탱크몸체를 구비하는 제빙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저장고는 상기 얼음추출구 주변에서 형성된 물이 배수되는 추출구측 배수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탱크커버는 상기 추출구측 배수구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추출구측 유입구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추출구측 유입구로 유입된 물은 상기 그물망을 통과한 후 상기 유출개구를 거쳐 상기 내측 벽면을 따라 흘러 내리도록 구성된 제빙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는, 상기 물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만수위센서와, 상기 물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의 저수위를 감지하는 저수위센서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펌프는 상기 만수위센서에서 만수위가 감지될 때 작동되고, 상기 저수위센서에서 저수위가 감지될 때 작동이 정지되도록 구성되는 제빙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9951A KR20210143041A (ko) | 2020-05-19 | 2020-05-19 | 제빙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9951A KR20210143041A (ko) | 2020-05-19 | 2020-05-19 | 제빙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3041A true KR20210143041A (ko) | 2021-11-26 |
Family
ID=7870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9951A KR20210143041A (ko) | 2020-05-19 | 2020-05-19 | 제빙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4304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76566A (ko) | 2022-11-22 | 2024-05-30 | 코웨이 주식회사 | 제빙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38032A (ko) | 2017-06-20 | 2018-12-28 | 코웨이 주식회사 |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의 배수 방법 |
KR20190102808A (ko) | 2018-02-27 | 2019-09-04 |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 얼음 정수기 |
-
2020
- 2020-05-19 KR KR1020200059951A patent/KR20210143041A/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38032A (ko) | 2017-06-20 | 2018-12-28 | 코웨이 주식회사 |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의 배수 방법 |
KR20190102808A (ko) | 2018-02-27 | 2019-09-04 |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 얼음 정수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76566A (ko) | 2022-11-22 | 2024-05-30 | 코웨이 주식회사 | 제빙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2700B1 (ko) | 두 개의 물받이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 |
KR100795293B1 (ko) | 알칼리 얼음 제조 기능을 구비한 냉온 얼음 정수기 | |
US10464802B2 (en) | Cold water generating apparatus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 |
KR100988467B1 (ko) | 보조탱크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 |
JP2007113902A (ja) | 単一のエバポレーターで製氷と同時に冷水が得られる冷温浄水システムおよび装置 | |
KR101275188B1 (ko) |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 |
KR100407867B1 (ko) | 제빙기를 가진 냉온정수기 | |
KR101001297B1 (ko) | 얼음 정수기 | |
KR101602236B1 (ko) |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 |
KR20210143041A (ko) | 제빙기 | |
KR100988695B1 (ko) | 와인 저장고를 구비한 얼음 정수기 | |
WO2020143628A1 (en) |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n ice making assembly | |
AU2021358230B2 (en) | Drainage-free ice maker having cleaning system | |
KR101507037B1 (ko) | 제빙기의 함체 | |
KR101213914B1 (ko) | 정수기 | |
KR101231043B1 (ko) |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 |
WO2023274018A1 (zh) | 用于回收制作透明冰的水的无排水管透明冰制冰机 | |
KR19990041499U (ko) | 정수기 | |
WO2022267952A1 (zh) | 具有可更换过滤器的制冰电器 | |
AU2021306388B2 (en) |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ice-making assembly, and cleaning method | |
KR200285212Y1 (ko) |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온수 공급기 | |
EP3511658B1 (en) | Icemaker | |
KR20080101750A (ko) | 냉장고 | |
KR20040085598A (ko) | 제빙기의 냉각시스템 및 그 작동제어방법 | |
KR20090119662A (ko) | 냉장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