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516B1 -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 및 얼음 제조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 및 얼음 제조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516B1
KR101279516B1 KR1020110082451A KR20110082451A KR101279516B1 KR 101279516 B1 KR101279516 B1 KR 101279516B1 KR 1020110082451 A KR1020110082451 A KR 1020110082451A KR 20110082451 A KR20110082451 A KR 20110082451A KR 101279516 B1 KR101279516 B1 KR 101279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ter
ice making
mak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0064A (ko
Inventor
박종진
장진호
김봉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516B1/ko
Publication of KR20130020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8Producing ice of a particula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e.g. by inject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14Temperature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은, 정수조에서 제빙조로 제빙수를 공급하고 제빙수단을 사용하여 얼음을 제조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조로부터 상기 제빙조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단계; 상기 제빙조에 구비되는 온도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제빙조에 수용된 제빙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단계; 상기 측정된 제빙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빙수단을 사용하여 제빙하고, 상기 측정된 제빙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제빙수의 온도를 설정온도 이상으로 가열 후 상기 제빙수단을 사용하여 제빙하는 제빙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 및 얼음 제조장치를 구비한 정수기{ICE MAKING METHOED AND WATER PURIFIER HAVING APPARATUS FOR ICE MAKING}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 간편하게 투명얼음을 제공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 및 얼음 제조장치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정수된 물과, 온수 또는 냉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얼음을 공급할 수 있는 정수기에는 제빙장치와, 제빙장치에서 제빙된 얼음을 보관하는 얼음보관함과 보관된 얼음을 외부로 토출되도록 얼음을 이송하는 얼음이송장치 등이 마련된다.
제빙장치는 냉매사이클을 사용하여 제빙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게 되며, 이러한 제빙된 얼음은 얼음보관함으로 낙하되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제빙과 보관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냉매사이클을 사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경우, 제빙수에 포함된 공기가 제빙 중에 빠져나가지 못해 불투명한 일반얼음으로 생성된다.
여기서 보다 향상된 생활편의를 요구하는 최근의 추세는 시각적인 미감을 만족시키기 위해 불투명한 일반얼음이 아니라 투명한 얼음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투명얼음을 생성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제빙조에 수용된 제빙수를 제빙 중에 교반 또는 진동시켜 천천히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여 공기가 빠져나갈 시간을 주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제빙수를 교반 또는 진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여, 비용이 많이 들고 공간적으로 협소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KR 1164158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얼음을 제공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구성을 해결 수단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는, 정수조에서 제빙조로 제빙수를 공급하고 제빙수단을 사용하여 얼음을 제조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조로부터 상기 제빙조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단계; 상기 제빙조에 구비되는 온도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제빙조에 수용된 제빙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단계; 상기 측정된 제빙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빙수단을 사용하여 제빙하고, 상기 측정된 제빙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제빙수의 온도를 설정온도 이상으로 가열 후 상기 제빙수단을 사용하여 제빙하는 제빙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원수공급단계는 제빙수를 제빙조로 공급하는 유로상에 구비된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제빙수를 제빙조로 공급한다.
상기 제빙단계는 제빙조에 구비된 가열수단에 의해 제빙수의 온도를 설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한다. 또는 상기 제빙단계는 제빙수단에 구비된 가열수단에 의해 제빙수의 온도를 설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한다.
상기 제빙단계에서 상기 설정온도는 적어도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빙조에서 생성된 얼음이 상기 제빙수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제빙조로부터 이탈시키는 분리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빙조에서 생성된 얼음을 취출구로 이송시켜 취출되도록 하는 이빙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얼음 제조장치를 구비한 정수기의 일 실시예는, 원수를 저장하는 정수조; 상기 정수조로부터 제빙수를 공급받는 제빙조; 상기 제빙조에 구비되어 얼음을 형성하는 제빙수단; 제어부; 상기 제빙조 내의 제빙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제빙조 내의 제빙수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제빙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도록 상기 가열수단으로 제빙수 온도를 조절 후, 상기 제빙수단으로 얼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빙수단은 냉매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압축사이클로 구성되고, 상기 증발기에 구비되어 냉매가 지나가는 복수개의 핑거가 상기 제빙조 내에 수용된 제빙수에 접촉하여 얼음을 생성한다.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압축기로부터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상기 증발기로 직접 공급되는 가열된 증기가 공급되는 핑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제빙조에 구비되어 제빙조에 저장된 제빙수를 가열하는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정수조로부터 제빙조로 공급되는 제빙수공급 유로상에 구비되는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얼음 제조장치를 구비한 정수기의 일 실시예는 생성된 얼음을 취출구로 이송하는 이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투명얼음을 제공하여 장치의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수기의 얼음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정수기의 얼음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개략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정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정제해 주는 필터와, 상기 필터로부터 여과된 물을 저장해 주는 정수조(10)와, 상기 정수조에서 나온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온수조와, 냉수를 생성하는 냉각시스템을 포함하는 냉수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온수조와 냉수조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냉수 및 온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취수콕 및 냉수취수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은 수로를 형성하는 호스 및 제어를 위한 배선 등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들은 정수기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에 해당하기 때문에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며 상세한 설명도 생략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정수기의 얼음 제조장치를 보여준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정수기의 얼음 제조장치는, 원수를 저장하는 정수조(10), 상기 정수조로부터 원수를 공급받는 제빙조(20), 상기 제빙조에 구비되어 얼음을 형성하는 제빙수단(30)등을 포함한다.
상기 정수조(10)는 필터 등을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는 필터의 정수 처리능력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정수량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수조(10)에 저장된 정수가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조(20)로 공급된다. 도 3에 도시되듯이 정수조에서 제빙조로의 제빙수를 공급하는 공급유로(12)와 유량조절 및 개폐를 하는 정수조밸브(13)가 구비된다.
상기 제빙조(20)는 상기 정수조로부터 제빙수를 공급받아 수용하는 구성이다. 그에 따라 일정량의 제빙수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제빙조의 제빙수 중 일부는 후술할 제빙수단에 의해 얼음이 되고, 나머지는 외부로 배수되거나 필터 등을 거쳐 냉수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제빙조(20)에서 생성된 얼음은 제빙수단(30)으로부터 분리되어 제빙조를 회전시켜주는 구동수단(60)에 의해 제빙조 하부에 구비되는 얼음저장조(50)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얼음저장조에는 생성되어 저장된 얼음을 취출구로 이송하는 이빙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빙수단으로는 구동모터에 연결된 스크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빙수단(30)은 상기 제빙조에 수용된 제빙수를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빙수단(30)은 냉매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증발기(31), 압축기(34), 응축기(35), 팽창기(37)로 이루어지는 냉매압축사이클로 구성된다. 도 3에는 상기 제빙수단을 구성하는 냉매압축사이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압축기(34)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며, 응축기(35)는 압축기에서 나온 고온고압의 냉매를 저온고압의 상태로 열교환 시키고, 팽창기(37)에서는 응축기에서 나온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저압의 상태로 만들어, 증발기(31)에서는 냉매와 제빙조(20)에 수용된 제빙수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매가 증발하게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냉매압축사이클이 형성되고, 상기 각 구성들 사이는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냉매의 유로(39a)를 형성한다. 기타, 증기와 함께 이동하는 액체 냉매를 분리하여 증기 상태의 냉매만을 압축기로 보내주는 완충장치(accumulator,33)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응축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응축팬(35a)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액체상태의 냉매만 팽창기로 보내지도록 하는 드라이어(3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31)에는 상기 제빙조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핑거(32)가 구비된다. 상기 핑거는 증발기의 배관이 상기 제빙조측으로 연장되도록 한 것으로, 냉매가 지나가며 핑거 주변으로 얼음이 생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정수기의 얼음 제조장치는, 제어부(40), 상기 제빙조 내의 원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41), 상기 제빙조 내의 원수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수단(32,70,75,76)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정수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컨트롤러로, 온도센서(41) 및 각종밸브(13,38)등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빙조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60) 및 얼음저장조 내부의 이송수단과 연결되어 생성된 얼음의 이동을 제어하기도 한다.
상기 온도센서(41)는 제빙조(20)에 구비되어 제빙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40)로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온도센서의 장착위치는 제빙조에 수용된 제빙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면 특정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열수단은 제빙조에 수용된 제빙수를 가열할 수 있는 구성을 말한다. 제빙수를 가열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다양한 변형예가 나올 수 있다.
이러한 가열수단의 일 예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압축기로부터 바이패스유로(39b)를 통해 상기 증발기로 직접 공급되는 가열된 증기가 공급되는 핑거(3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를 통과한 고온고압의 냉매를 분기밸브(38)를 통해 분기시켜 응축기(35)로 보내지 않고 바이패스유로(39b)를 통해 바로 증발기(32)로 보냄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핑거(32)를 통과하는 냉매는 고온고압이기 때문에 주변의 제빙수가 가열될 수 있다. 물론, 제빙이 이루어질 때에는 분기밸브(38)에서 절환되어 냉각유로(39a)로 보내어져 핑거에 저온의 냉매가 통과하게 된다.
상기 가열수단의 다른 예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증발기 주변에 구비되는 히터(70)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증발기에 히터가 구비되어 있고, 제어부(40)인 컨트롤러에 의해 히터가 작동되어 제빙수를 가열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경우 냉매압축사이클은 작동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경우, 전술한 바이패스유로(39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도 5는 상기 가열수단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정수조로부터 제빙조로 공급되는 제빙수공급 유로(12)상에 구비되는 히터(7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빙조에 공급되는 제빙수가 사전에 가열되어 제빙조로 공급된다. 여기서 제어부(40)인 컨트롤러에 의해 히터(75)가 작동되어 제빙수를 가열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경우 냉매압축사이클은 작동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경우, 전술한 바이패스유로(39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도 6은 상기 가열수단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제빙조(20)에 구비되어 제빙조에 저장된 원수를 가열하는 히터(76)가 될 수 있다. 제빙조(20)에 히터(76)가 구비되어 있고, 제어부(40)인 컨트롤러에 의해 히터가 작동되어 제빙수를 가열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경우 냉매압축사이클은 작동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경우, 전술한 바이패스유로(39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40)인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센서(41)로부터 측정된 제빙수의 온도(T1)가 설정온도(Tr) 이상이 되도록 상기 가열수단으로 제빙수 온도를 조절 후, 상기 제빙수단(30)으로 얼음을 생성한다. 보다 상세한 제빙방법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는, 정수조(10)에서 제빙조(20)로 제빙수를 공급하고 제빙수단을 사용하여 얼음을 제조하는 정수기에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제빙방법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정수조로부터 상기 제빙조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단계(S100), 상기 제빙조에 구비되는 온도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제빙조에 수용된 제빙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단계(S200), 상기 측정된 제빙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빙수단을 사용하여 제빙하고, 상기 측정된 제빙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제빙수의 온도를 설정온도 이상으로 가열 후 상기 제빙수단을 사용하여 제빙하는 제빙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원수공급단계(S100)는 정수조로부터 제빙조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과정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원수공급단계(S100)는 도 3과 같이 가열되지 않은 제빙수를 제빙조로 공급할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제빙수공급 유로(12)상에 구비된 가열수단(75)에 의해 가열된 제빙수를 제빙조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온도측정단계(S200)는 제빙조에 구비되는 온도센서를 사용하여 제빙조에 수용된 제빙수의 온도(T1)를 측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여기서 측정된 제빙수의 온도는 제어부에 신호로 보내진다.
상기 제빙단계(S300)는 제빙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말하며, 구체적으로 2가지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우선 도 1에 도시되듯이,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제빙수의 온도가 설정온도(Tr) 이상인 경우에는 바로 제빙수단을 사용하여 제빙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측정된 제빙수의 온도(T1)가 설정온도(Tr) 미만인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되듯이 제빙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도록 가열한 후 제빙수단을 사용하여 제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빙단계에서 상기 설정온도는 적어도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의 용해도는 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낮아진다. 따라서, 저온의 제빙수를 바로 냉각할 경우 별도의 장치가 없는 한 용존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해 불투명한 얼음이 생성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적어도 15℃이상의 제빙수를 냉각하는 경우 공기의 용해도도 낮고, 공기가 빠져나갈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어 별도의 장치가 없더라도 투명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의 실시예는 상기 제빙조에서 생성된 얼음이 상기 제빙수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제빙조로부터 이탈시키는 분리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단계(S400)는 상기 증발기에 구비되는 히터 또는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증발기로 공급되는 고온의 냉매에 의해 핑거와 투명얼음 사이를 부분적으로 녹여서 분리시킨다.
또한, 상기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의 실시예는 상기 제빙조에서 생성된 얼음을 취출구로 이송시키켜 취출되도록 하는 이빙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얼음저장조에 구비되는 이송수단에 의해 취출구로 얼음을 이송한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S100 : 원수공급단계 S200 : 온도측정단계
S300 : 제빙단계 S400 : 분리단계
S500 : 이빙단계
10 : 정수조 20 : 제빙조
30 : 제빙수단 40 : 제어부
50 : 얼음저장조 70,75,76 : 가열수단

Claims (13)

  1. 정수조에서 제빙조로 제빙수를 공급하고 제빙수단을 사용하여 얼음을 제조하는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수조로부터 상기 제빙조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빙조에 구비되는 온도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제빙조에 수용된 제빙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단계;
    상기 측정된 제빙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인 경우 제빙수를 설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존 공기량을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빙수단을 사용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제빙수를 제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수를 공급하는 단계는 제빙수를 제빙조로 공급하는 유로상에 구비된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제빙수를 제빙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단계는 제빙조에 구비된 가열수단에 의해 제빙수의 온도를 설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단계는 제빙수단에 구비된 가열수단에 의해 제빙수의 온도를 설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단계에서 상기 설정온도는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조에서 생성된 얼음이 상기 제빙수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제빙조로부터 이탈시키는 분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조에서 생성된 얼음을 취출구로 이송시키켜 취출되도록 하는 이빙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
  8. 정수조;
    상기 정수조로부터 제빙수를 공급받는 제빙조;
    상기 제빙조에 구비되어 얼음을 형성하는 제빙수단;
    제어부;
    상기 제빙조 내의 제빙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제빙조 내의 제빙수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제빙수 온도를 근거로 제빙수 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인 경우 제빙수를 설정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존 공기량이 감소하도록 상기 가열수단을 제어하고, 설정온도 이상의 제빙수를 근거로 얼음이 생성되도록 상기 제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수단은 냉매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압축사이클로 구성되고,
    상기 증발기에 구비되어 냉매가 지나가는 복수개의 핑거가 상기 제빙조 내에 수용된 제빙수에 접촉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압축기로부터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상기 증발기로 직접 공급되는 가열된 증기가 공급되는 핑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제빙조에 구비되어 제빙조에 저장된 제빙수를 가열하는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정수조로부터 제빙조로 공급되는 제빙수공급 유로상에 구비되는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생성된 얼음을 취출구로 이송하는 이빙수단을 더 포함하는,
    얼음 제조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KR1020110082451A 2011-08-18 2011-08-18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 및 얼음 제조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KR101279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451A KR101279516B1 (ko) 2011-08-18 2011-08-18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 및 얼음 제조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451A KR101279516B1 (ko) 2011-08-18 2011-08-18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 및 얼음 제조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064A KR20130020064A (ko) 2013-02-27
KR101279516B1 true KR101279516B1 (ko) 2013-06-28

Family

ID=47898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451A KR101279516B1 (ko) 2011-08-18 2011-08-18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 및 얼음 제조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5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897B1 (ko) * 2013-03-15 2015-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617A (ko) * 1997-07-10 1999-02-05 구자홍 냉장고의 제빙 장치 및 그 방법
KR101164158B1 (ko) * 2009-08-13 2012-07-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얼음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617A (ko) * 1997-07-10 1999-02-05 구자홍 냉장고의 제빙 장치 및 그 방법
KR101164158B1 (ko) * 2009-08-13 2012-07-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얼음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064A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0447B2 (en) Ice mak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100853445B1 (ko)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온수기
JP2004518929A5 (ko)
US10274237B2 (en) Ice maker for an appliance
US8769980B2 (en)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US99955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ice by direct cooling and for preventing ice from melting in refrigeration equipment
KR101324167B1 (ko) 복수개의 제빙모드를 가지는 정수기 및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
JP2013531773A5 (ko)
JP2010151386A (ja) 吸着式ヒートポンプ
US10047982B2 (en) Ice storage apparatus and ice mak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KR101275188B1 (ko)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KR101602236B1 (ko)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KR101279516B1 (ko) 정수기의 얼음 제조방법 및 얼음 제조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KR20120105662A (ko)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186818B1 (ko) 제빙기
KR20190065033A (ko) 분리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
KR102172642B1 (ko) 얼음 정수기
KR0154412B1 (ko) 냉, 온 제빙 정수기
KR101482097B1 (ko) 제빙장치
KR101231043B1 (ko)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KR20110061086A (ko)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제빙기
KR19990041499U (ko) 정수기
KR101551865B1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200038123A (ko) 펌프를 구비하는 냉수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3274018A1 (zh) 用于回收制作透明冰的水的无排水管透明冰制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