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687B1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687B1
KR101957687B1 KR1020170075891A KR20170075891A KR101957687B1 KR 101957687 B1 KR101957687 B1 KR 101957687B1 KR 1020170075891 A KR1020170075891 A KR 1020170075891A KR 20170075891 A KR20170075891 A KR 20170075891A KR 101957687 B1 KR101957687 B1 KR 101957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supply
flow
spac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8361A (ko
Inventor
박명진
박정철
심상구
이현우
김성진
최인두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331,347 priority Critical patent/US10955180B2/en
Priority to PCT/KR2017/009871 priority patent/WO2018048242A1/ko
Priority to EP17849126.2A priority patent/EP3511658B1/en
Priority to JP2019513305A priority patent/JP6792065B2/ja
Publication of KR20180028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 F25C1/145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inner walls of cooled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2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 F25C1/14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 F25C1/145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inner walls of cooled bodies
    • F25C1/147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on cooled surfaces, e.g. to form slabs to form thin sheets which are removed by scraping or wedging, e.g. in the form of flakes from the inner walls of cooled bodies by using au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0/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Abstract

제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유입통과부와 배출통과부가 형성된 장치본체; 상기 유입통과부와 배출통과부를 각각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에 연결되는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유동부; 상기 유동부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유동공간에 유입되어 유동하는 물이 냉각되어 얼음이나 냉수가 되도록 하는 냉각부; 상기 유동공간에 생성된 얼음을 상기 유동공간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분리이송부; 및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얼음이나 냉수를 공급받는 공급저장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빙기{ICE MAKER}
본 발명은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는 얼음을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제빙기로, 물받이에 담긴 물에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에 연결된 침지부재가 잠기도록 함으로써, 침지부재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침지식 제빙기가 있다. 또한,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가 구비되며 얼음생성부가 형성된 제빙판의 얼음생성부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얼음생성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분사식 제빙기도 있다. 그리고,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가 구비되며 얼음생성부가 형성된 제빙판의 얼음생성부에 물이 흐르도록 함으로써, 얼음생성부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유수식 제빙기도 있다.
이외에, 물이 유동하는 유동공간의 주위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유동공간의 내주면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고 스크류부재가 유동공간에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유동공간의 내주면으로부터 얼음을 분리하고 이송시켜서 외부로 배출하는 오거식 제빙기도 있다.
이러한 종래의 오거식 제빙기에서는 얼음만을 만들고 냉수는 생성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제빙기에서 얼음뿐만 아니라 냉수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제빙기의 냉각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빙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빙기는 유입통과부와 배출통과부가 형성된 장치본체; 상기 유입통과부와 배출통과부를 각각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에 연결되는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유동부; 상기 유동부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유동공간에 유입되어 유동하는 물이 냉각되어 얼음이나 냉수가 되도록 하는 냉각부; 상기 유동공간에 생성된 얼음을 상기 유동공간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분리이송부; 및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얼음이나 냉수를 공급받는 공급저장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리이송부는 상기 유동공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크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저장부는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부재를 구동하여 상기 배출구로부터 얼음이 배출되어 상기 공급저장부에 공급되도록 하거나,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배출구로부터 냉수가 배출되어 상기 공급저장부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저장부는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저장공간과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공간이 형성된 공급저장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저장부재에는 상기 물저장공간과 상기 펌프에 연결되는 공급연결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저장부는 일측이 상기 배출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얼음이 상기 얼음저장공간에 공급되어 저장되도록 하거나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냉수가 상기 물저장공간에 공급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공급저장관;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저장부재에는 칸막이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공급저장부재에 형성된 저장공간을 상기 얼음저장공간과 물저장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저장관의 타측은 상기 공급저장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물저장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저장관의 타측 단부에는 얼음 또는 냉수가 배출되는 공급구멍이 상기 얼음저장공간을 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공급구멍의 하단부는 상기 칸막이부재의 상단부보다 낮게 위치하고 상기 공급구멍의 상단부는 상기 칸막이부재의 상단부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저장관의 타측 단부에는 얼음 또는 냉수가 배출되는 공급구멍이 상기 얼음저장공간을 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공급저장부는 상기 공급저장관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구멍으로부터 배출되는 얼음 또는 냉수가 각각 상기 얼음저장공간이나 물저장공간으로 공급되도록 가이드하는 공급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가이드부재에는 상기 공급구멍과 연통하는 얼음가이드구멍이 상기 얼음저장공간을 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얼음가이드구멍의 하단부는 상기 공급구멍의 하단부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얼음가이드구멍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얼음저장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얼음가이드구멍으로부터 배출되는 얼음이 상기 얼음저장공간에 공급되도록 가이드하는 연장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부는 상기 유입구가 구비되는 유입부재; 상기 유입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유동부재; 및 상기 유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가 구비되는 배출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부는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배출연장부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통과부에는 상기 공급저장부에 포함되며 상기 배출연장부재에 연결되는 공급저장관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유동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동부와의 사이에서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공간을 형성하며 냉매유입구와 냉매유출구가 연결되는 냉매공간형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장치본체, 유동부, 냉각부 및, 분리이송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공급저장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5는 도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6 내지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냉각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것을 나타내며, 도7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제빙시를 나타내고, 도10 내지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냉수생성시를 나타낸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공급저장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공급저장부의 다른 실시예의 공급가이드부재를 공급저장관으로부터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15는 도13의 Ⅲ-Ⅲ'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도16은 도13의 Ⅳ-Ⅳ'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제빙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1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장치본체, 유동부, 냉각부 및, 분리이송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공급저장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4는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5는 도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6 내지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냉각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것을 나타내며, 도7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제빙시를 나타내고, 도10 내지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냉수생성시를 나타낸다.
또한,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공급저장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사시도이며,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공급저장부의 다른 실시예의 공급가이드부재를 공급저장관으로부터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15는 도13의 Ⅲ-Ⅲ'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며, 도16은 도13의 Ⅳ-Ⅳ'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의 일실시예는 장치본체(200), 유동부(300), 냉각부(400), 분리이송부(500) 및, 공급저장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본체(200)에는 유입통과부(211)와 배출통과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동부(300)에 구비되는 후술할 유입구(311)가 유입통과부(211)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유동부(300)에 구비되는 후술할 배출구(331)가 배출통과부(212)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예컨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300)의 유입구(311)가 유입통과부(211)를 직접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유동부(300)의 배출구(331)에는 후술하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연장부재(34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부(300)의 배출연장부재(340)가 배출통과부(212)를 통과하는 것으로, 유동부(300)의 배출구(331)가 배출통과부(212)를 간접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유동부(300)의 유입구(311)와 배출구(331)가 유입통과부(211)와 배출통과부(212)를 통과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유입통과부(211)와 배출통과부(212)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동부(300)의 유입구(311)와 배출구(331)가 통과할 수 있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어떠한 형상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장치본체(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유입통과부(211)의 일부분과 배출통과부(212)가 형성되는 상부본체(210)와, 상부본체(210)와 결합되며 유입통과부(211)의 나머지 부분이 형성되는 하부본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장치본체(20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유동부(300)에는 장치본체(200)의 전술한 유입통과부(211)와 배출통과부(212)를 각각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하는 유입구(311)와 배출구(33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동부(300)에는 유입구(311)와 배출구(331)에 연결되는 유동공간(SC)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동부(300)의 유입구(311)를 통해, 예컨대 공급저장부(600)에 형성되는 후술할 물저장공간(SW)에 저장된 물이 도8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공간(SC)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부(300)의 배출구(331)를 통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공간(SC)에 생성되어 분리이송부(500)에 의해서 분리되고 이송된 얼음(I)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유동부(300)의 배출구(331)를 통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공간(SC)에서 생성된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300)는 유입부재(310), 유동부재(320) 및, 배출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재(310)에는 전술한 유입구(311)가 구비될 수 있다.
유입부재(310)에는 도2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구(312)도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구(312)에는 개폐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구(312)의 개폐밸브가 열리면 유동공간(SC)에 수용된 물이 드레인구(312)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유입부재(310)에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이송부(5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스크류부재(510)의 일측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유입부재(310)에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유동부재(320)는 유입부재(3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유동공간(SC)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동부재(3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원통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유동부재(3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입부재(310)에 연결되고 유동공간(SC)이 형성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배출부재(330)는 유동부재(320)에 연결될 수 있다. 배출부재(330)에는 전술한 배출구(331)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부재(330)에는 분리이송부(500)의 후술할 스크류부재(510)의 타측이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배출부재(330)에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배출부재(330)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공간(SC)과 배출구(331)를 연결하는 나선형상의 연결부(332)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동부재(320)의 유동공간(SC)에는 분리이송부(500)의 스크류부재(51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스크류부재(510)에 형성되는 나선형상의 분리이송날(511)에 의해서 나선형상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공간(SC)의 나선형상의 유로는 전술한 배출부재(330)의 나선형상의 연결부(332)와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바와 같이 스크류부재(510)에 의해서 유동공간(SC)으로부터 분리된 얼음(I)이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부재(510)에 의해서 유동공간(SC)의 나선형상의 유로와 배출부재(330)의 연결부(332)를 통해 배출구(331)로 용이하게 이송되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유동공간(SC)에서 생성된 냉수가 도10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공간(SC)의 나선형상의 유로와 배출부재(330)의 연결부(332)를 통해 배출구(331)로 용이하게 유동하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유동부(300)는 배출연장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연장부재(340)는 배출구(33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저장부(600)에 포함되는 후술할 공급저장관(630)이 장치본체(200)의 전술한 배출통과부(212)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배출연장부재(340)가 공급저장관(6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331)로부터 배출된 얼음(I)이 배출연장부재(340)와 공급저장관(630)을 통하여 공급저장부(600), 예컨대 공급저장부(600)에 포함되는 후술할 공급저장부재(62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331)로부터 배출된 냉수가 배출연장부재(340)와 공급저장관(630)을 유동하여 공급저장부(600)의 공급저장부재(620)에 공급될 수 있다.
냉각부(400)는 유동부(300)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부(300)의 유입구(311)를 통해 유동공간(SC)에 유입되어 유동공간(SC)을 유동하는 물로부터 냉매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을 유동하는 물이 냉매에 의해서 냉각되어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되거나, 도9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가 될 수 있다.
냉각부(400)는 냉매공간형성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공간형성부재(410)는 유동부(300)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300)의 유동부재(320)의 양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냉매공간형성부재(410)와 유동부(300), 예컨대 유동부(300)의 유동부재(320) 사이에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공간(SR)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와 유동공간(SC)을 유동하는 물과의 열교환 경로가 최소화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냉매는 유동부(300)의 유동부재(320)를 통해서만 유동공간(SC)을 유동하는 물과 열교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을 유동하는 물의 냉매에 의한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냉각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냉매공간형성부재(410)에는 냉매유입구(411)와 냉매유출구(41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공간형성부재(410)에는 냉매유입구(411)가 연결되는 유입연결구멍(410a)과, 냉매유출구(412)가 연결되는 유출연결구멍(410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냉매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유입구(411)를 통해 냉매유동공간(SR)에 유입되어 냉매유동공간(SR)을 유동한 후 냉매유출구(412)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냉각부(400)는 냉매공간형성부재(410)와 유동부(300), 예컨대 유동부(300)의 유동부재(320) 사이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도록 덮어서 냉매공간형성부재(410)와 함께 냉매유동공간(SR)을 형성하는 밀폐덮개부재(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폐덮개부재(420)는,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밀폐덮개부재(42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냉매공간형성부재(410)와 유동부(300), 예컨대 유동부(300)의 유동부재(320) 사이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도록 덮어서 냉매공간형성부재(410)와 함께 냉매유동공간(SR)을 형성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분리이송부(500)는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에 생성된 얼음(I)을 유동공간(SC)으로부터 분리하여 유동부(300)의 배출구(331)로 이송시킬 수 있다.
분리이송부(500)는 스크류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부재(510)는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부재(510)의 일측은 유동부(300)의 유입부재(310)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스크류부재(510)의 타측은 유동부(300)의 배출부재(330)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동부(300)의 배출부재(330)를 관통한 스크류부재(510)의 타측은 분리이송모터(도시되지 않음)에 기어(도시되지 않음)와 체인(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이송모터에 의해서 스크류부재(510)가 구동, 즉 회전할 수 있다.
스크류부재(510)에는 나선형상의 분리이송날(511)이 형성될 수 있다. 나선형상의 분리이송날(511)에 의해서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에 나선형상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분리이송모터에 의해서 스크류부재(510)가 회전하면, 유동공간(SC)의 내주면에 생성된 얼음(I)이 스크류부재(510)의 분리이송날(511)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된 얼음(I)은 스크류부재(510)의 분리이송날(511)에 의해서 유동공간(SC)의 나선형상의 유로를 통해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300)의 배출구(331)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부(300)의 배출구(331)로 이송된 얼음(I)은 배출구(331)로부터 배출되어, 예컨대 배출연장부재(340)와 공급저장관(630)을 통해 공급저장부(600)에 공급될 수 있다.
공급저장부(600)는 유동부(300)의 유입구(311)와 배출구(33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저장부(600)는 도7과 도8 및 도10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300)의 유입구(311)에 물을 공급하고 유동부(300)의 배출구(331)로부터 얼음(I)이나 냉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공급저장부(600)는 유동부(300)의 유입구(311)에 연결되는 펌프(610)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610)는 복수개의 연결관(TC)에 의해서 유동부(300)의 유입구(31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펌프(6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공급저장부재(620)에 형성된 물저장공간(SW)에 연결되도록 공급저장부재(620)에 구비되는 공급연결구(622)에, 예컨대 연결관(TC)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펌프(610)가 구동되면, 도10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저장부재(620)의 물저장공간(SW)에 저장된 물이 유동부(300)의 유입구(311)에 유입되어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을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을 유동하는 물의 유속이 비교적 빠르기 때문에, 유동공간(SC)을 유동하는 물이 냉각부(400)에 의해서 냉각되더라도, 유동공간(SC)에 얼음(I)이 생성되지 않거나 비교적 적은 양의 얼음(I)만이 유동공간(SC)에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을 유동하면서 냉각부(400)에 의해서 냉각된 물은 냉수가 되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300)의 배출구(33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부(300)의 배출구(331)를 통해 배출된 냉수는, 예컨대 배출연장부재(340)와 공급저장관(630)을 통해 공급저장부(600)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펌프(610)가 구동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저장부(600)가 유동부(300) 위에 위치한다면, 공급저장부(600)의 공급저장부재(620)의 물저장공간(SW)에 저장된 물은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차에 의해서 펌프(610)에 형성된 유로(도시되지 않음)를 통과하여 유동부(300)의 유입구(311)에 유입되고 유동공간(SC)을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을 유동하는 물의 유속이 비교적 느리기 때문에, 유동공간(SC)에 유동하는 물이 냉각부(400)에 의해서 냉각되면서 유동공간(SC)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에 생성된 얼음(I)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이송모터에 의한 스크류부재(510)의 회전으로, 유동공간(SC)으로부터 분리되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300)의 배출구(331)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부(300)의 배출구(331)로 이송된 얼음(I)은 배출구(331)로부터 배출되어, 예컨대 배출연장부재(340)와 공급저장관(630)을 통해 공급저장부(600)에 공급될 수 있다.
공급저장부(600)는 공급저장부재(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저장부재(620)에는 얼음(I)이 저장되는 얼음저장공간(SI)과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공간(SW)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부재(621)가 공급저장부재(620)에 구비되어 공급저장부재(620)에 형성된 저장공간(SS)을 얼음저장공간(SI)과 물저장공간(SW)으로 나눌 수 있다.
공급저장부재(620)는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수도나, 물을 여과하도록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정수기 등의 수처리장치의 여과부 등과 같은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의 물이, 물공급원에 연결된 공급관(도시되지 않음)을 유동하여 공급저장부재(62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물저장공간(SW)에 유입되고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급저장부재(620)의 물저장공간(SW)에 물공급원의 물이 공급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공급저장부재(620)에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연결구(622)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급연결구(622)는 공급저장부재(620)의 물저장공간(SW)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공급연결구(622)는 연결관(TC)에 의해서 전술한 펌프(6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저장부재(620)의 물저장공간(SW)과 유동부(300)의 유입구(311)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저장부재(620)의 물저장공간(SW)에 저장된 물이 펌프(610)의 구동으로 공급연결구(622)와 연결관(TC)을 통해 유동부(300)의 유입구(311)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도10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저장부재(620)의 물저장공간(SW)에 저장된 물이 높이차에 의해서 펌프(610)의 유로를 통과하여 공급연결구(622)와 연결관(TC)을 통해 유동부(300)의 유입구(311)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동부(300)의 유입구(311)로 유동한 물은 유입구(311)를 통해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에 유입될 수 있다.
공급저장부재(620)의 얼음저장공간(SI)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FD)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재(FD)는 공급저장부재(620)에 구비되는 이송모터(MT)에 연결되어, 이송모터(MT)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모터(MT)의 회전에 의해서 이송부재(FD)가 회전하면, 공급저장부재(620)의 얼음저장공간(SI)에 저장된 얼음(I)이 공급저장부재(620)의 얼음배출구(EI)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공급저장부(600)는 공급저장관(6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저장관(630)은 일측이 유동부(300)의 배출구(331)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공급저장관(630)은 장치본체(200)의 배출통과부(212)에 연결되어 유동부(300)의 배출구(331)에 연결되는 배출연장부재(340)에 연결되는 것으로, 배출구(331)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급저장관(630)은 유동부(300)의 배출구(331)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공급저장관(630)은 배출구(331)로부터 배출된 얼음(I)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저장부재(620)의 얼음저장공간(SI)에 공급되어 저장되도록 하거나, 배출구(331)로부터 배출된 냉수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저장부재(620)의 물저장공간(SW)에 공급되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공급저장관(630)의 타측은 공급저장부재(620)를 관통하여 공급저장부재(620)의 물저장공간(SW)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공급저장부재(620)의 물저장공간(SW) 측에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623)가 형성되고, 공급저장관(630)의 타측은 공급저장부재(620)의 관통부(623)를 관통하여 공급저장부재(620)의 물저장공간(SW)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공급저장관(630)의 타측 단부에는 얼음(I) 또는 냉수가 배출되는 공급구멍(631)이 공급저장부재(620)의 얼음저장공간(SI)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구멍(631)의 하단부는 공급저장부재(620)의 칸막이부재(621)의 상단부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공급구멍(631)의 상단부는 칸막이부재(621)의 상단부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유동부(300)의 배출구(331)로부터 배출되어 배출연장부재(340)와 공급저장관(630)을 통해 공급구멍(631)으로 이송된 얼음(I)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저장부재(620)의 칸막이부재(621)를 넘어서 얼음저장공간(SI)에 공급되고 얼음저장공간(SI)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유동부(300)의 배출구(331)로부터 배출되어 배출연장부재(340)와 공급저장관(630)을 통해 공급구멍(631)으로 유동한 냉수는 공급저장부재(620)의 칸막이부재(621)를 넘지 못하기 때문에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저장부재(620)의 물저장공간(SW)에 공급되고 물저장공간(SW)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급저장부재(620)의 물저장공간(SW)에 저장된 냉수는 물저장공간(SW)에 연결되는 냉수배출관(도시되지 않음)과 냉수배출관에 연결되는 콕크나 파우셋(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공급저장부재(620)의 물저장공간(SW)에 저장된 냉수는 전술한 공급연결구(622)와 펌프(610) 및 유동부(300)의 유입구(311)를 통해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에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에 냉수가 공급되면, 얼음(I)이 보다 용이하고 빠르게 유동공간(SC)에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냉수가 공급저장부재(620)의 물저장공간(SW)과 유동부(300)의 유동공간(SC) 사이를 순환하기 때문에, 소정 온도의 냉수를 보다 용이하게 빠르게 만들 수 있고, 냉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 냉수를 순환시켜서 소정 온도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공급저장부(600)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가이드부재(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가이드부재(640)는 공급저장관(63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15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가이드부재(640)에 공급저장관(630)의 타측 단부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공급가이드부재(640)가 공급저장관(63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급가이드부재(640)가 공급저장관(63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공급가이드부재(640)는 공급저장관(63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공급구멍(631)으로부터 배출되는 얼음(I) 또는 냉수가 각각 공급저장부재(620)의 얼음저장공간(SI)이나 물저장공간(SW)으로 공급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공급가이드부재(640)에는 공급저장관(630)의 공급구멍(631)과 연통하는 얼음가이드구멍(641)이 공급저장부재(620)의 얼음저장공간(SI)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급가이드부재(640)의 얼음가이드구멍(641)의 하단부는 공급저장관(630)의 공급구멍(631)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가이드부재(640)에는 얼음가이드구멍(641)의 하단부로부터 공급저장부재(620)의 얼음저장공간(SI)으로 연장되는 연장가이드부(6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유동부(300)의 배출구(331)로부터 배출되어 배출연장부재(340)와 공급저장관(630)을 통해 공급구멍(631)으로 이송된 얼음(I)은 공급저장관(630)의 공급구멍(631)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급저장관(630)의 공급구멍(631)으로부터 배출된 얼음(I)은 공급가이드부재(640)의 얼음가이드구멍(641)을 통과하여 연장가이드부(642)에 의해서 가이드됨으로써 공급저장부재(620)의 얼음저장공간(SI)에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유동부(300)의 배출구(331)로부터 배출되어 배출연장부재(340)와 공급저장관(630)을 통해 공급구멍(631)으로 유동한 냉수는 공급가이드부재(640)의 얼음가이드구멍(641)을 넘지 못한다. 그러므로, 공급저장관(630)의 공급구멍(631)으로부터 배출된 냉수는 공급가이드부재(640)와 공급저장관(630)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급저장부재(620)의 물저장공간(SW)에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를 사용하면, 제빙기에 포함되는 유동부에 형성된 유동공간을 유동하는 물이 유동부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서 냉각되도록 하여 얼음이나 냉수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빙기에서 얼음뿐만 아니라 냉수도 생성할 수 있고, 제빙기의 냉각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제빙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제빙기 200 : 장치본체
210 : 상부본체 211 : 유입통과부
212 : 배출통과부 220 : 하부본체
300 : 유동부 310 : 유입부재
311 : 유입구 312 : 드레인구
320 : 유동부재 330 : 배출부재
331 : 배출구 332 : 연결부
340 : 배출연장부재 400 : 냉각부
410 : 냉매공간형성부재 410a : 유입연결구멍
410b : 유출연결구멍 411 : 냉매유입구
412 : 냉매유출구 420 : 밀폐덮개부재
500 : 분리이송부 510 : 스크류부재
511 : 분리이송날 600 : 공급저장부
610 : 펌프 620 : 공급저장부재
621 : 칸막이부재 622 : 공급연결구
623 : 관통부 630 : 공급저장관
631 : 공급구멍 640 : 공급가이드부재
641 : 얼음가이드구멍 642 : 연장가이드부
SC : 유동공간 I : 얼음
SR : 냉매유동공간 SS : 저장공간
SW : 물저장공간 SI : 얼음저장공간
MT : 이송모터 FD : 이송부재
EI : 얼음배출구 TC : 연결관

Claims (15)

  1. 유입통과부와 배출통과부가 형성된 장치본체;
    상기 유입통과부와 배출통과부를 각각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에 연결되는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유동부;
    상기 유동부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유동공간에 유입되어 유동하는 물이 냉각되어 얼음이나 냉수가 되도록 하는 냉각부;
    상기 유동공간에 생성된 얼음을 상기 유동공간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분리이송부; 및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얼음이나 냉수를 공급받는 공급저장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저장부는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저장공간과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공간이 형성된 공급저장부재와, 일측이 상기 배출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얼음이 상기 얼음저장공간에 공급되어 저장되도록 하거나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냉수가 상기 물저장공간에 공급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공급저장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저장부재에는 칸막이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공급저장부재에 형성된 저장공간을 상기 얼음저장공간과 물저장공간으로 나누며,
    상기 공급저장관의 타측은 상기 공급저장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물저장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공급저장관의 타측 단부에는 얼음 또는 냉수가 배출되는 공급구멍이 상기 얼음저장공간을 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공급구멍의 하단부는 상기 칸막이부재의 상단부보다 낮게 위치하고 상기 공급구멍의 상단부는 상기 칸막이부재의 상단부보다 높게 위치하는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이송부는 상기 유동공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크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저장부는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는 펌프를 포함하는 제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재를 구동하여 상기 배출구로부터 얼음이 배출되어 상기 공급저장부에 공급되도록 하거나,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배출구로부터 냉수가 배출되어 상기 공급저장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제빙기.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저장부재에는 상기 물저장공간과 상기 펌프에 연결되는 공급연결구가 구비되는 제빙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유입통과부와 배출통과부가 형성된 장치본체;
    상기 유입통과부와 배출통과부를 각각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과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에 연결되는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유동부;
    상기 유동부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유동공간에 유입되어 유동하는 물이 냉각되어 얼음이나 냉수가 되도록 하는 냉각부;
    상기 유동공간에 생성된 얼음을 상기 유동공간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분리이송부; 및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얼음이나 냉수를 공급받는 공급저장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저장부는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저장공간과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공간이 형성된 공급저장부재와, 일측이 상기 배출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얼음이 상기 얼음저장공간에 공급되어 저장되도록 하거나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냉수가 상기 물저장공간에 공급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공급저장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저장부재에는 칸막이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공급저장부재에 형성된 저장공간을 상기 얼음저장공간과 물저장공간으로 나누며,
    상기 공급저장관의 타측은 상기 공급저장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물저장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공급저장관의 타측 단부에는 얼음 또는 냉수가 배출되는 공급구멍이 상기 얼음저장공간을 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공급저장부는 상기 공급저장관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구멍으로부터 배출되는 얼음 또는 냉수가 각각 상기 얼음저장공간이나 물저장공간으로 공급되도록 가이드하는 공급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가이드부재에는 상기 공급구멍과 연통하는 얼음가이드구멍이 상기 얼음저장공간을 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얼음가이드구멍의 하단부는 상기 공급구멍의 하단부보다 높게 위치하는 제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얼음가이드구멍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얼음저장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얼음가이드구멍으로부터 배출되는 얼음이 상기 얼음저장공간에 공급되도록 가이드하는 연장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제빙기.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상기 유입구가 구비되는 유입부재;
    상기 유입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유동부재; 및
    상기 유동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가 구비되는 배출부재;
    를 포함하는 제빙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배출연장부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통과부에는 상기 공급저장부에 포함되며 상기 배출연장부재에 연결되는 공급저장관이 연결되는 제빙기.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유동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동부와의 사이에서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공간을 형성하며 냉매유입구와 냉매유출구가 연결되는 냉매공간형성부재를 포함하는 제빙기.
KR1020170075891A 2016-09-08 2017-06-15 제빙기 KR101957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31,347 US10955180B2 (en) 2016-09-08 2017-09-08 Icemaker
PCT/KR2017/009871 WO2018048242A1 (ko) 2016-09-08 2017-09-08 제빙기
EP17849126.2A EP3511658B1 (en) 2016-09-08 2017-09-08 Icemaker
JP2019513305A JP6792065B2 (ja) 2016-09-08 2017-09-08 製氷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15666 2016-09-08
KR1020160115666 2016-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361A KR20180028361A (ko) 2018-03-16
KR101957687B1 true KR101957687B1 (ko) 2019-03-19

Family

ID=61910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891A KR101957687B1 (ko) 2016-09-08 2017-06-15 제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55180B2 (ko)
EP (1) EP3511658B1 (ko)
JP (1) JP6792065B2 (ko)
KR (1) KR1019576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7750A (ja) 2010-12-01 2012-06-21 Hoshizaki Electric Co Ltd 氷放出路
JP2012127584A (ja) 2010-12-15 2012-07-05 Hoshizaki Electric Co Ltd 貯蔵庫
KR101239324B1 (ko) 2010-10-05 2013-03-05 정휘동 부력을 이용하여 개폐되는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6385A (en) 1951-11-19 1955-04-19 Frank W Topping Ice and water dispensers
US3196625A (en) * 1962-07-16 1965-07-27 Lion Mfg Corp Combination ice chip maker-dispenser and method
US3650121A (en) * 1969-12-22 1972-03-21 Borg Warner Icemaker protection system
JPS5633350A (en) 1979-08-18 1981-04-03 Shimadzu Corp Apparatus for making hank comprising long member
JPS63125762A (ja) 1987-10-29 1988-05-28 カネボウ化成株式会社 防水施工法
JPH06117740A (ja) * 1992-10-01 1994-04-28 Sanyo Electric Co Ltd 製氷装置
JP3397290B2 (ja) 1997-06-13 2003-04-14 藤沢薬品工業株式会社 水溶液の凍結濃縮装置並びに氷柱生成装置及び水溶液の凍結濃縮方法
JP2006308129A (ja) 2005-04-26 2006-11-09 Hoshizaki Electric Co Ltd オーガ式製氷機
US20060277937A1 (en) 2005-06-10 2006-12-14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Inc. Ice mak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ing machine
KR101281592B1 (ko) * 2011-08-12 2013-07-03 정휘동 제빙 유닛
KR101488913B1 (ko) * 2013-04-24 2015-02-02 정휘동 얼음 공급 장치
KR20150004736A (ko) * 2013-07-03 2015-01-13 (주) 케어스워터 제빙수단을 이용한 냉수 생성 방식의 먹는물 공급장치
KR101602236B1 (ko) 2013-08-12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수단을 갖는 정수기
JP6117740B2 (ja) 2014-06-18 2017-04-1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トルクリップルの低減構造を備える3相交流電動機
US9523526B2 (en) 2014-07-02 2016-12-20 Follett Corporation Ice making apparatus and process of reducing scale buildup and flushing the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324B1 (ko) 2010-10-05 2013-03-05 정휘동 부력을 이용하여 개폐되는 밸브
JP2012117750A (ja) 2010-12-01 2012-06-21 Hoshizaki Electric Co Ltd 氷放出路
JP2012127584A (ja) 2010-12-15 2012-07-05 Hoshizaki Electric Co Ltd 貯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1658B1 (en) 2021-04-21
JP2019532244A (ja) 2019-11-07
JP6792065B2 (ja) 2020-12-09
EP3511658A4 (en) 2019-08-07
US20190360735A1 (en) 2019-11-28
EP3511658A1 (en) 2019-07-17
US10955180B2 (en) 2021-03-23
KR20180028361A (ko) 2018-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101B1 (ko) 냉수탱크
KR101337080B1 (ko) 정수기 및 제빙용 증발기
KR102515589B1 (ko) 정수기
KR102482620B1 (ko) 제빙기
US20180128530A1 (en) Refrigerator appliance and ice-making assembly therefor
KR101957687B1 (ko) 제빙기
KR102544432B1 (ko) 제빙기
KR101813653B1 (ko)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일체형 냉매 유도관
KR101644836B1 (ko) 냉매공급 및 배출을 일체형 구조로 구현하는 제빙장치
JP7398705B2 (ja) 製氷機
KR101859952B1 (ko) 제빙실 내부에 탄산수 탱크를 구비한 얼음과 탄산수를 제공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기
US10370260B2 (en) Filters for appliances
KR102247219B1 (ko) 냉수제조장치
KR20140144575A (ko) 제빙기 및 제빙방법, 제빙기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KR20180060285A (ko) 냉수기
KR102396593B1 (ko) 제빙기
US20180304181A1 (en) Anti-drip filter assembly
KR20170071464A (ko)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KR20200020309A (ko) 제빙기
KR20170123136A (ko) 하나의 냉각 사이클로 냉수 및 탄산수를 제공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기
KR20180010941A (ko) 제빙기
WO2020259546A1 (zh) 用于制冰器的水过滤和回收利用系统
KR100657766B1 (ko) 세균번식방지 시스템을 갖는 냉온수기
KR20140062847A (ko) 정수기용 일체형 직타원 증발기유닛
KR20190101662A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