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575A - 제빙기 및 제빙방법, 제빙기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제빙기 및 제빙방법, 제빙기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575A
KR20140144575A KR1020130066709A KR20130066709A KR20140144575A KR 20140144575 A KR20140144575 A KR 20140144575A KR 1020130066709 A KR1020130066709 A KR 1020130066709A KR 20130066709 A KR20130066709 A KR 20130066709A KR 20140144575 A KR20140144575 A KR 20140144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ter tank
cold water
water
m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8457B1 (ko
Inventor
손정철
김진일
박상도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6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457B1/ko
Publication of KR20140144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탱크와 냉수탱크 및 제빙부를 모두 구비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제빙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별도의 냉각수단 없이도 냉수탱크의 물을 냉수로 만들 수 있어 구성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균일한 크기의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제빙기 및 제빙방법, 제빙기를 구비한 수처리장치를 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빙기는, 상온의 물을 저장하는 정수탱크;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냉수상태로 저장하는 냉수탱크; 상기 냉수탱크의 물을 노즐부의 노즐을 통해 제빙틀에 분사하여 제빙이 이루어지는 제빙부;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빙기 및 제빙방법, 제빙기를 구비한 수처리장치{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IC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제빙기 및 제빙방법, 제빙기를 구비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을 이용하여 제빙틀에 물을 분사하여 제빙하는 제빙기 및 제빙방법, 제빙기를 구비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는 얼음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로서,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관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로부터 냉기를 전달받아 얼음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정수기와 같은 수처리장치 중에는 냉온수 뿐만 아니라 얼음 공급이 가능하도록 제빙기능을 구비한 정수기가 개발되어 있는데, 그러한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30516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는, 저온의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으로부터 냉기를 전달받도록 결합된 제빙판, 상기 제빙판에 정수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제빙판에서 제빙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고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빙판에는 일정한 형상의 얼음이 형성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물이 상기 홈 내측면에 접촉되면 상기 증발기로부터 전달된 냉기에 의해 상기 홈에 얼음이 생성되며, 이와 같이 생성된 얼음은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제빙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제빙 유닛 바디가 구비되고, 상기 제빙 유닛 바디의 정수를 이용하여 제빙하도록 되어 있는데, 사용자에게 냉수를 공급하기 위해 냉수탱크를 구비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빙 유닛 바디 외에 별도의 냉수탱크를 구비해야 하고, 냉수탱크의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코일 등의 구성이 별도로 필요하므로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고 구성부품의 개수가 많아져 제조원가가 높아진다. 또한 상기 제빙유닛의 바디에 저장된 상온의 정수를 이용하여 제빙이 이루어지므로 제빙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정수탱크와 냉수탱크 및 제빙부를 모두 구비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제빙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별도의 냉각수단 없이도 냉수탱크의 물을 냉수로 만들 수 있어 구성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균일한 크기의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제빙기 및 제빙방법, 제빙기를 구비한 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빙기는, 상온의 물을 저장하는 정수탱크;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냉수상태로 저장하는 냉수탱크; 상기 냉수탱크의 물을 노즐부의 노즐을 통해 제빙틀에 분사하여 제빙이 이루어지는 제빙부;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수탱크에는 설정된 수위 이상이 되면 오버플로우되도록 하는 오버플로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오버플로우구멍을 통해 오버플로우된 물은 상기 냉수탱크로 유입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틀을 지지하는 제빙틀홀더에는 상기 오버플로우구멍을 통해 오버플로우된 물이 상기 냉수탱크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유로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부는 상기 제빙틀에서 생성된 얼음이 상기 얼음저장부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하되, 상기 제빙틀홀더의 하부에 설치되는 얼음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가이드에는 상기 제1가이드유로를 경유한 물이 상기 냉수탱크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유로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빙부는, 복수의 상기 노즐을 서로 연결시키는 노즐연결유로, 상기 제빙틀을 지지하는 제빙틀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노즐부는, 복수의 상기 노즐이 상향 돌출된 상부노즐판과, 상기 상부노즐판과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노즐을 서로 연결시키는 노즐연결유로가 형성된 하부노즐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노즐판에는 상기 노즐연결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양측에 하향 돌출된 상부유로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노즐판에는 상기 상부유로돌출부의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향 돌출된 하부유로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유로돌출부와 하부유로돌출부 사이에는 패킹이 개재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부는 복수의 상기 노즐을 서로 연결시키는 노즐연결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연결유로의 일측단은 상기 냉수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노즐연결유로의 타측단은 상기 냉수탱크의 냉수를 사용자에게 출수하기 위한 냉수취수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수탱크와 얼음저장부 및 냉수탱크는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 적층되고, 상기 제빙부는 상기 정수탱크의 측부인 상기 얼음저장부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탱크의 상부를 덮는 덮개가 더 구비되고, 상기 덮개는 덮개 내부 몸체와 덮개 외부 몸체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덮개 내부 몸체와 덮개 외부 몸체 사이에는 형성된 공간에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빙방법은, a) 정수탱크에 물이 유입되는 단계; b) 상기 정수탱크의 물이 냉수탱크에 유입되는 단계; c) 상기 냉수탱크에 유입된 물을 냉각시켜 냉수를 생성시키는 단계; d) 증발관에 저온의 냉매를 공급하고, 상기 냉수탱크의 냉수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여 상기 증발관이 결합된 제빙틀에서 제빙이 이루어지는 단계; e) 상기 제빙틀에 얼음이 형성되면 상기 얼음을 탈빙시켜 얼음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단계는, 상기 제빙틀에 결합된 증발관 내부에 저온의 냉매를 공급하는 한편, 상기 냉수탱크의 물이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제빙틀에 분사되어 냉각된 후 상기 냉수탱크에 유입되어 상기 냉수탱크의 물이 설정온도 이하가 될 때까지 냉수 생성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제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증발관에 고온의 냉매가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얼음의 탈빙 시점은 상기 증발관의 출구온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는, 제1항에 기재된 제빙기;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탱크; 상기 온수탱크의 온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온수취수라인; 상기 온수취수라인 상에 구비되어 온수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온수취수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정수탱크의 물을 상기 온수탱크로 공급하기 위해 작동하는 온수펌프와, 상기 온수탱크와 상기 정수탱크의 내부 공간이 연통하도록 연결된 에어벤트라인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탱크의 정수를 오버플로우시켜 냉수탱크로 공급하므로 정수탱크와 냉수탱크를 연결하기 위한 튜브 등의 구성이 불필요하게 되어 구조가 간단해지고, 정수탱크에서 오버플로우된 정수는 제1가이드유로와 제2가이드유로 및 상부노즐판에 순차 낙하된 후 냉수탱크로 유입되므로 정수의 낙하에 의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수탱크와 냉수탱크 및 얼음저장부를 구비하여 정수와 냉수 및 얼음의 공급이 가능하고, 정수탱크와 냉수탱크 및 얼음저장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 적층되되 제빙부는 정수탱크의 측부에 구비됨으로써 제빙기 구조가 컴팩트하게 된다.
또한 냉수탱크의 물은 얼음을 생성시키는 제빙부에서 냉각되므로 냉수탱크에는 별도의 냉각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구성부품의 개수를 줄임과 동시에 구조가 간단해진다.
또한 냉수탱크의 냉수를 사용자에게 출수하기 위한 유로와 제빙을 위해 노즐로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일체화시킴으로써 유로구조가 간단해진다.
또한 제빙과정 중 증발관에 고온의 냉매를 간헐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순환펌프 입구단에 살얼음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물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순환펌프의 정지와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복수의 제빙홈에서 균일한 크기의 얼음이 생성되어 사용자에게 균일한 크기의 얼음을 제공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빙기의 몸체와 덮개는 이중 몸체 구조로 되어 있고,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 사이에 단열재가 구비됨으로써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에는 정수탱크로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연결배관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배관 연결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온수탱크로 물을 공급하는 온수펌프를 구비하고, 에어벤트라인을 온수탱크와 정수탱크 사이에 연결함으로써, 온수탱크의 공기를 정수탱크 내부 공간으로 보냄으로써 온수의 출수를 원활히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제빙기를 보여주는 결합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빙기에서 덮개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b)에 도시된 제빙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빙기에서 얼음토출게이트가 열린상태와 닫힌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및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빙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와 다른 위치에서 절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냉수탱크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빙부를 절개한 사시도 및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냉수 출수 경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a), (b)는 본 발명의 상/하부노즐판 및 패킹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A-A 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덮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의 A-A 단면도,
도 12는 정수탱크로부터 냉수탱크에 정수가 유입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냉수탱크의 물이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노즐에서 분사된 물이 제빙틀에 부딪친 후 냉수탱크로 회수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제빙틀에서 탈빙된 얼음이 얼음저장부에 저장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제빙기를 보여주는 결합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빙기에서 덮개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b)에 도시된 제빙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빙기에서 얼음토출게이트가 열린상태와 닫힌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및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빙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와 다른 위치에서 절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냉수탱크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는, 원수공급부(910)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여과하기 위해 다수의 필터(921,922,923,924)로 이루어진 필터부(920), 상기 필터부(920)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1)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920)는, 전처리 침전 필터(921)와, 프리 카본 필터(922)와, 포스트 카본 필터(923)와, 중공사막 필터(924)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중공사막 필터(924) 대신에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가 구비될 수 있고, 필터의 개수와 종류 및 전후 배치 순서는 변경가능하다.
상기 각 필터들(921,922,923,924) 사이는 다수의 배관(931,932,93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정수된 물이 이동하는 정수이동라인을 형성하고, 전처리 침전 필터(921)와 프리 카본 필터(922)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931) 상에는 원수의 유입을 단속하기 위한 원수밸브(940)가 구비된다.
상기 제빙기(1)는, 정수공급라인(950)에 의해 필터부(920)와 연결되어 필터부(920)에서 여과된 물을 상온 상태로 저장하는 정수탱크(100), 상기 정수탱크(100)로부터 정수를 공급받아 냉수상태로 저장하는 냉수탱크(500), 상기 냉수탱크(500)의 물을 이용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200), 상기 제빙부(200)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부(400), 상기 얼음저장부(4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얼음저장부(400)와 냉수탱크(500)를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분리판(300), 상기 얼음과 냉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빙기 몸체(450), 상기 정수탱크(100)의 상부를 덮는 덮개(600)를 포함한다.
상기 정수탱크(100)의 일측에는 상기 정수공급라인(950)에 연결되는 정수유입구(101)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920)에서 여과된 물은 상기 정수유입구(101)를 통해 정수탱크(1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정수탱크(100)에는 내부의 정수를 취수구(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수하기 위한 정수취수라인(720)이 연결되고, 상기 정수취수라인(720) 상에는 상기 취수구 측으로 정수의 공급을 규제하는 정수취수밸브(710)가 구비된다.
상기 정수탱크(100)에는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정수탱크수위센서(110)가 구비되어, 저수위 감지시에는 상기 필터부를 통해 여과된 물이 정수탱크(10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고, 만수위 감지시에는 정수탱크(100) 내부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한다.
상기 정수탱크(100)에는 정수를 수용하는 정수수용부(105)와 상기 정수수용부(105)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플랜지부(103)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103)의 일측 모서리에는 하측으로 개구된 오버플로우구멍(1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수탱크(100)는 탱크연결유로(771)에 의해 냉수탱크(500)와 연결되고, 상기 정수탱크(100)의 물은 상기 탱크연결유로(771)를 통해 상기 냉수탱크(500)에 공급된다.
상기 탱크연결유로(771)는, 탱크들(100,500) 사이를 연결하도록 튜브(tube)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정수탱크(100)의 정수수용부(105)에 물이 차 수위가 상기 플랜지부(103) 이상이 되면 상기 오버플로우구멍(102)을 통해 오버플로우(overflow)된 물이 상기 냉수탱크(500)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튜브(tube)와 연결구 등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어 구조가 간단해진다.
상기 제빙부(200)는, 일정한 형상의 얼음이 형성되는 제빙틀(21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상기 제빙틀(210)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빙틀(210)에 결합된 증발관(200;220a,220b), 상기 제빙틀(2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빙틀홀더(230), 상기 제빙틀(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빙틀(210)에서 생성된 얼음이 얼음저장부(400)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하는 얼음가이드(240), 상기 냉수탱크(500)로부터 공급되어온 물을 상기 제빙틀(210)에 분사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251)을 구비하는 노즐부(2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빙틀(21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제빙틀몸체부(211), 상기 제빙틀몸체부(211)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얼음이 형성될 공간이 되는 제빙홈(212)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빙홈(212)은 상기 복수의 노즐(251)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빙홈(212)의 형상은 사각형, 사다리꼴, 원 또는 마름모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하여 별도의 금형을 제작할 필요없이 하나의 금형을 통해 다양한 형상의 얼음을 만들어 낼 수도 있다.
상기 증발관(220)은 냉동사이클(미도시)의 일부를 구성하되, 냉매가 유입되는 증발관입구(220a)와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매가 유출되는 증발관출구(220b)를 포함하며, 제빙시에는 저온의 냉매가 유동하여 노즐(251)에서 분사된 물이 제빙홈(212)에서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고, 제빙이 완료된 후에는 고온의 냉매가 유동하여 제빙홈(212)에 생성된 얼음 표면이 녹아 탈빙되도록 한다. 이 경우 제빙틀(210)에 히터를 구비하여 탈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탈빙시점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증발관출구(220b)의 온도를 측정하는 증발관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되거나, 외기온도를 측정하는 외기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틀몸체부(211)는 다이캐스팅(die casting)에 의해 증발관(220)과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증발관(22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로부터 상기 제빙틀몸체부(211)에 열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빙틀홀더(230)는 상기 제빙틀(2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빙홈(212)을 둘러싸는 제빙틀몸체부(211)가 삽입되는 삽입구멍(231)과, 상기 제빙틀몸체부(211)의 하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삽입구멍(231)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2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부에는 상기 정수탱크(100)의 오버플로우구멍(102)을 통해 오버플로우된 정수를 냉수탱크(500)로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유로(2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제빙틀(210)의 체결부(225: 도 8 참조)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빙틀(210)이 제빙틀홀더(230)의 삽입구멍(231)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므로 제빙기의 유지보수시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 제1가이드유로(233)는 상기 탱크연결유로(771)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전방부가 정수탱크(100)의 오버플로우구멍(102)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오버플로우구멍(102)에서 오버플로우된 정수가 상기 제1가이드유로(233)의 전방부에 낙하된다. 상기 제1가이드유로(233)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가이드유로(233)의 후방부에는 하방향으로 개구된 제1드레인구멍(233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가이드유로(233)의 전방부에 낙하된 정수는 상기 제1가이드유로(233)를 따라 후방부로 흐른 후 상기 제1드레인구멍(233a)을 통해 하측으로 낙하한다.
상기 얼음가이드(240)는, 제빙틀(210)에서 탈빙되어 낙하된 얼음을 얼음저장부(400)로 유도하기 위해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판(241)과, 상기 제1가이드유로(233)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유로(233)의 제1드레인구멍(233a)에서 낙하된 물을 전방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경사진 제2가이드유로(242)와, 상기 경사판(241)의 전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낙수홀(243; 도 8참조)과, 상기 제빙틀(210)에 분사된 물이 튀어 얼음저장부(400)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얼음커튼(24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판(241)에는 노즐(251)에서 제빙홈(212)을 향해 분사된 물이 통과하도록 통과구멍(241a)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경사방향과 동일한 길이방향을 갖는 골(241b)과 마루(241c)가 형성된다. 만약 낙하된 얼음의 일면과 접촉하는 경사판(241)의 상면이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얼음과 경사판(241)의 접촉면적이 넓어 얼음이 얼음저장부(400)로 원활하게 내려가지 않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얼음이 마루(241c) 부분에서만 접촉이 일어나므로 접촉면적이 작아 얼음이 얼음저장부(400)로 원활히 내려가게 된다.
상기 제2가이드유로(242)는, 상기 탱크연결유로(771)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후방부가 상기 제1가이드유로(233)의 하측에 위치하고, 후방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가이드유로(242)의 전방부에는 하방향으로 개구된 제2드레인구멍(24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유로(233)의 제1드레인구멍(233a)에서 낙하된 물이 제2가이드유로(242)의 후방부에 낙하된 후 제2가이드유로(242)를 따라 전방으로 흐른 후 상기 제2드레인구멍(242a)을 통해 하측으로 낙하된다.
상기 제빙틀(210)에 분사되어 낙하된 물은 상기 경사판(241)을 따라 흘러내린 후 상기 복수의 낙수홀(243)을 통해 노즐부(250)로 낙하된다.
상기 얼음커튼(244)은 상측의 힌지부(244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어 경사판(241)을 따라 내려가는 얼음은 얼음커튼(244)을 밀어낸 후 얼음저장부(400)로 낙하되고, 노즐(251)에서 분사되어 제빙틀(210)에서 비산된 물은 얼음커튼(244)에 의해 얼음저장부(40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노즐부(250)는, 복수의 노즐(251)과, 상기 복수의 노즐(251)이 상향 돌출된 상부노즐판(252)과, 상기 상부노즐판(252)과의 사이에 노즐연결유로(255)가 형성되도록 결합된 하부노즐판(253)과, 상기 상부노즐판(252)에 낙하된 물을 냉수탱크(500)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3드레인구멍(254)과, 상기 노즐연결유로(255)의 일측단에 구비되어 냉수탱크(500)의 물이 유입되는 노즐유입구(257)와, 상기 노즐연결유로(255)의 타측단에 구비되어 노즐연결유로(255)를 경유한 물이 배출되는 노즐유출구(258)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노즐(251)은, 복수개가 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 제1노즐열(251a)과 제2노즐열(251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노즐열(251a)과 제2노즐열(251b)은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노즐연결유로(255)는 복수의 노즐(251)을 상호 연결시켜 하나의 연결된 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노즐판(252)과 하부노즐판(253)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가이드유로(242)의 제2드레인구멍(242a)을 통해 배출된 물은 상기 탱크연결유로(771)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상부노즐판(252) 위에 낙하된 후 상기 제3드레인구멍(254)을 통해 하측으로 낙하되어 냉수탱크(500)로 유입된다.
상기 얼음저장부(400)는 얼음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얼음저장부 몸체부(451a)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저장부 몸체부(451a)에는 얼음을 토출하기 위한 얼음토출구(400b)가 형성되며, 상기 얼음저장부 몸체부(451a)는 냉수탱크(500)를 구성하는 냉수탱크 몸체부(451b)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얼음저장부(400)의 바닥을 형성하는 분리판(300)에 의해 나뉘어진 상하공간에 얼음과 냉수가 각각 저장된다.
상기 얼음저장부 몸체부(451a)와 냉수탱크 몸체부(451b)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단턱(460)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판(300)은 상기 단턱(460)에 안착된다.
상기 분리판(300)은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분리판(300)의 상부 공간인 얼음저장부(400)에 저장된 얼음이 얼음토출게이트(430)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된다.
상기 얼음저장부(400)에는, 얼음끼리 서로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축(410)을 중심으로 주기적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421,422)와, 상기 얼음저장부 몸체부(451a)의 상기 얼음토출구(400b)를 개폐하여 얼음을 사용자에게 토출하기 위한 얼음토출게이트(430)와, 얼음저장부(400) 내부에 얼음이 가득찼음을 감지하는 만빙센서(440)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410)은 냉수탱크(500)의 하측에 구비된 모터(56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블레이드(421,422)는 상하 이격된 제1블레이드(421)와 제2블레이드(422)로 이루어져, 얼음저장부(400)의 얼음이 원활하게 얼음토출게이트(430)로 배출된다.
상기 냉수탱크(500) 내부에는, 냉수탱크(5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냉수탱크수위센서(510)와, 상기 냉수탱크(500) 내부의 물을 노즐(251)로 공급하기 위한 순환펌프(530)와, 상기 순환펌프(530)와 상기 노즐부(250)의 노즐유입구(257) 사이를 연결하는 냉수탱크연결라인(520)과, 상기 냉수탱크(500) 내부의 물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냉수탱크온도센서(540; 도9 참조)가 구비된다.
상기 냉수탱크수위센서(510)는, 냉수탱크(500)의 저수위를 감지하는 저수위감지부(511)와, 냉수탱크(500)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만수위감지부(512)와, 얼음저장부(400)의 얼음이 녹아 냉수탱크(500)로 유입되어 냉수탱크(500)의 수위가 얼음토출게이트(430)까지 상승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만수위감지부(512)보다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된 드레인감지부(513)로 이루어져, 하나의 센서에서 3개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어 센서의 개수가 감소하고 설치 구조가 간단해진다.
상기 냉수탱크(500)의 수위가 낮아져 상기 순환펌프(530)의 물 유입구가 수면 위로 노출되면 순환펌프(530)에 공기가 유입되어 송출압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펌프(530)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저수위감지부(511)는 상기 순환펌프(530)의 물 유입구보다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순환펌프(530)와 냉수탱크연결라인(520)은 냉수탱크(500) 내부에 구비되어 냉수탱크(500) 내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냉수탱크(500)의 외부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탱크(500)에는 냉각코일과 같은 별도의 냉각수단이 구비되지 않고, 제빙부(200)에 의해 냉각된 물이 냉수탱크(500)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어, 구성부품의 개수가 줄어들고 구조가 간단해진다.
상기 제빙기몸체(450)는, 상기 얼음저장부 몸체부(451a)와 냉수탱크 몸체부(451b)로 이루어진 내부몸체(451)와, 상기 내부몸체(451)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부몸체(452)의 이중몸체 구조로 이루어져, 얼음저장부(400)와 냉수탱크(500)의 열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몸체(451)와 외부몸체(452)와의 사이 공간(550)에 단열재(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얼음저장부(400) 및 냉수탱크(500) 내부의 열손실을 더욱 감소시킴과 아울러 얼음저장부(400)와 냉수탱크(500) 내부의 찬 공기로 인해 상기 외부몸체(452)에 응축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수탱크(100)의 저면에 차단리브(104)가 하향 돌출되어 있어 얼음저장부(400)와 외부를 차단시킴으로써 얼음저장부(400) 내부의 온도를 저온상태로 유지하여 얼음이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리브(104)는 얼음저장부 몸체부(451a)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몸체부(451c)까지 연장되어 얼음저장부(400) 내부의 공간은 차단리브(104)와 상기 수평몸체부(451c)의 외측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상단몸체부(451d) 및 외부몸체(452)에 의해 3중으로 차단됨으로써 얼음저장부(400) 내부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냉수탱크(500)에는 내측면이 경사진 형상의 경사면(501)과, 냉수탱크(500)로 물이 낙하되는 공간과 물이 저장된 공간 사이를 분리하는 격벽(502)과, 상기 격벽(502)의 하측에 형성된 연통공(503)이 구비되어, 상기 노즐부(250)의 제3드레인구멍(254)을 통해 낙하된 물은 상기 경사면(501)에 떨어진 후 연통공(503)을 통과하여 냉수탱크(5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정수탱크(100)의 물이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탱크연결유로(771)를 구성하는 제1가이드유로(233)와 제1드레인구멍(233a), 제2가이드유로(242)와 제2드레인구멍(242a), 상부노즐판(252)과 제3드레인구멍(254)을 순차 경유하여 경사면(501)에 낙하된 후 냉수탱크(500)로 유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정수탱크(100) 물의 낙하로 인한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정수탱크(100)와 냉수탱크(500)를 연결하기 위한 튜브(tube)와 같은 별도의 구성이 필요없으므로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수탱크(100)에서 오버플로우된 물이 제1가이드유로(233)와 제2가이드유로(242) 및 상부노즐판(252)을 모두 경유한 후 냉수탱크(500)에 유입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들 구성 중 일부를 생략하고 형상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정수탱크(100)와 얼음저장부(400) 및 냉수탱크(500)는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 적층되고, 상기 제빙부(200)는 상기 정수탱크(100)의 측부인 상기 얼음저장부(400)의 상측에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수와 냉수 뿐만 아니라 얼음까지 공급할 수 있고, 제빙기 구조를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에는, 상기 제빙기(1)에 구비된 정수탱크(100)와 얼음저장부(400)와 냉수탱크(500) 및 제빙부(200)를 살균하기 위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모듈(790)이 구비된다.
상기 살균모듈(790)은 일례로 물을 전기분해하여 원수 속에 포함된 염소이온과 수소, 산소등이 반응하여 HOCl, ClO- 이온 등의 살균물질을 생성하는 것으로, 양전극(도면에 미도시)과 음전극(도면에 미도시)을 가지며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에는 전원공급부(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에는 백금 또는 이리듐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듈(790)은 냉수탱크(500)의 하부에 양단이 연결된 살균모듈연결라인(795) 상에 구비되어, 냉수탱크(500) 내부의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살균수가 냉수탱크(500) 내부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살균모듈(790)에 의해 생성되어 냉수탱크(500) 내부에 유입된 살균수를 정수탱크(100)에 공급하기 위해 냉수취수라인(740) 상에서 분기되어 정수탱크(100)에 연결되는 정수탱크살균수공급라인(760)과, 상기 정수탱크살균수공급라인(760)상에 구비되어 살균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정수탱크살균수공급밸브(750)가 구비된다.
상기 정수탱크살균수공급라인(760)은 냉수취수라인(740), 노즐연결유로(255), 냉수탱크연결라인(520) 및 순환펌프(530)를 통해 냉수탱크(5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순환펌프(530)를 작동시키면 냉수탱크(500) 내부의 살균수가 냉수탱크연결라인(520), 노즐연결유로(255), 냉수취수라인(740) 및 정수탱크살균수공급라인(760)을 순차 경유한 후 정수탱크(100)로 공급되고, 상기 정수탱크(100)에 공급된 살균수는 탱크연결유로(771)를 통해 다시 냉수탱크(500)로 유입됨으로써 살균수의 순환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순환유로를 순환하면서 살균수에 의한 살균이 이루어지므로, 정수탱크(100)와 냉수탱크(650) 뿐만 아니라 모든 배관 내부의 살균이 이루어진다.
또한 정수탱크살균수공급라인(760)이 냉수취수밸브(730)의 전단인 냉수취수라인(740) 상에서 분기됨으로써 냉수취수밸브(730)의 직전까지 살균할 수 있어 살균이 되지 않는 데드존(Dead zone)의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얼음저장부(400)의 상단에는 살균수위센서(545)가 구비되고 살균모드시 상기 살균수위센서(545)에서 만수위를 감지할 때까지 냉수탱크(500)와 얼음저장부(400)에 살균수가 채워진 후 살균순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냉수탱크(500)와 정수탱크(100)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해, 살균모듈연결라인(795) 상에서 분기된 냉수탱크배수라인(842)과, 정수취수라인(720) 상에서 분기되어 상기 냉수탱크배수라인(842)과 교차하는 정수탱크배수라인(841)이 구비된다. 상기 냉수탱크배수라인(842)과 정수탱크배수라인(841) 상에는 배수 여부를 제어하는 냉수배수밸브(810)와 정수배수밸브(820)가 각각 구비되고, 원활한 배수를 위해 배수펌프(83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정수탱크배수라인(841)이 정수취수밸브(710)의 전단인 정수취수라인(720) 상에서 분기됨으로써 살균순환시와 살균수의 배수시 정수취수밸브(360)의 직전까지 살균할 수 있어 살균이 되지 않는 데드존(Dead zone)의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냉수탱크배수라인(842)과 정수탱크배수라인(841)을 통한 물의 배수는 수두 차이를 이용한 자연 배수가 되도록 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배수펌프(830)를 설치하게 되면 보다 원활히 배수함으로써 배수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830)는 그 내부를 통과하는 물의 양의 변화 즉, 부하의 변화에 따라 전압/전류가 변동하게 되는데, 상기 전압/전류의 변동을 감지하는 부하변동감지부(도면에 미도시)를 구비하여 정수 또는 살균수의 배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살균모듈(790)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이용하여 냉수탱크(500)와 정수탱크(100) 뿐만 아니라 얼음저장부(400)와 제빙부(200) 및 후술하는 온수탱크(800)까지 살균할 수 있어 수처리장치를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수탱크살균수공급라인(760)상에 정수탱크살균수공급밸브(750)가 구비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정수탱크살균수공급라인(760)과 냉수취수라인(740)이 교차하는 지점에 유로전환밸브(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노즐연결유로(255)로부터 공급되어 온 물을 상기 냉수취수밸브(730)와 정수탱크살균수공급라인(760)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에는 온수를 저장하는 온수탱크(800), 상기 온수탱크(800)의 온수를 취수구(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수하기 위한 온수취수라인(780)과 온수취수밸브(770)가 구비된다.
상기 온수취수라인(780)은 정수탱크배수라인(841)에서 분기되어 상기 온수취수밸브(770)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온수 요구시 상기 온수취수밸브(770)를 온(On)시켜 상기 취수구를 통해 온수를 출수하게 된다.
상기 온수탱크(800)는 일정량 이상의 정수를 미리 가열하여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온수 요구시 전기를 인가하여 가열하는 순간온수기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온수탱크(800)가 순간온수기 방식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온수탱크(800) 내부에 공기가 있으면 사용자의 온수 요구시 취수구를 통한 온수의 출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정수탱크배수라인(841) 상에 설치된 온수펌프(850)와 상기 온수탱크(800)의 공기를 물과 함께 정수탱크(100)로 보내기 위한 에어벤트라인(870)이 구비된다.
상기 에어벤트라인(870)은 일측이 온수탱크(800)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정수탱크살균수공급밸브(750)와 정수탱크(100) 사이에 연결된다.
사용자의 온수 요구시 온수취수밸브(770)를 온(On)시킴과 동시에 온수펌프(850)를 작동시키면 정수탱크(100)의 물이 온수탱크(800)로 공급되어 가열된 후 온수취수밸브(770)를 거쳐 사용자에게 출수되고, 온수탱크(800)의 물 일부는 공기와 함께 에어벤트라인(870)을 경유하여 정수탱크(100)의 내부공간으로 보내진다.
상기 온수펌프(800)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온수탱크(800)에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온수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펌프(800)에 인가되는 전압은 설정값보다 높거나 낮을 수 있어 온수탱크(800)측으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유량조절기(860)를 정수탱크배수라인(841) 상에 설치하여 온수탱크(800)측으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살균수위센서(545)를 구비하여 얼음저장부(400)를 살균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상기 살균수위센서(545)를 구비하지 않고 얼음저장부(400)를 살균하지 않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살균모드시 상기 냉수탱크(500)의 냉수탱크수위센서(510)의 만수위감지부(512)까지 물을 채운 후 살균모듈(790)과 순환펌프(530)를 일정시간 동안 작동시키면 상기 살균모듈(790)에서 생성된 살균수가 냉수탱크(500)로 유입되고 상기 냉수탱크(500)의 살균수를 제빙부(200)로 공급함으로써 냉수탱크(500)와 제빙부(200)의 살균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순환펌프(530) 작동에 의해 냉수탱크(500)의 살균수는 냉수탱크연결라인(520), 노즐연결유로(255)를 거쳐 노즐(251)을 통해 분사되고, 상기 노즐(251)에서 분사된 살균수는 제빙부연결유로(772), 탱크연결유로(771)를 거친 후 냉수탱크(500)로 유입됨으로써 살균순환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냉수탱크(500)와 제빙부(200)의 살균순환이 이루어지면 살균모듈(790)의 작동을 멈추고, 정수탱크살균수공급밸브(750)를 온(On)시킨 상태에서 순환펌프(530)를 작동시켜 정수탱크(100)와 냉수탱크(500)의 살균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순환펌프(530)의 작동에 의해 냉수탱크(500)의 살균수는 냉수탱크연결라인(520), 노즐연결유로(255), 정수탱크살균수공급라인(760), 정수탱크살균수공급밸브(750)를 순차 거친 후 정수탱크(100)로 유입되고, 상기 정수탱크(100)의 살균수는 탱크연결유로(771)를 통해 냉수탱크(500)로 유입됨으로써 살균순환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에서는 냉수탱크(500)의 냉수탱크수위센서(510)의 만수위감지부(512)까지 물을 채운 후 살균모듈(790)과 순환펌프(53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만수위감지부(512)까지 물이 차기 전에 살균모듈(790)과 순환펌프(53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빙부를 절개한 사시도 및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냉수 출수 경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a), (b)는 본 발명의 상/하부노즐판 및 패킹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A-A 단면도로서,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냉수탱크(500)로부터 냉수가 출수되는 경로 및 노즐연결유로에 대해 설명한다.
냉수탱크(500)의 냉수를 사용자에게 출수하기 위해 취수구(미도시)에 연결된 냉수취수라인(740)과, 상기 냉수취수라인(74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취수구 측으로 냉수의 공급을 규제하는 냉수취수밸브(730)가 구비된다.
냉수탱크(500)의 냉수가 사용자에게 출수되는 경로는, 순환펌프(530)와, 냉수탱크연결라인(520)과, 노즐유입구(257)와, 노즐연결유로(255)와, 노즐유출구(258)와, 냉수취수라인(740) 및 냉수취수밸브(730)로 이루어져, 순환펌프(530)가 작동되면 냉수탱크(500)의 냉수는 상기 각 구성을 순차 경유한 후 취수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노즐연결유로(255)는 상기 복수의 노즐(251)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 상부노즐판(252)과 하부노즐판(253) 사이에 패킹(256)을 개재시켜 형성된 밀폐된 유로로서, 노즐유입구(257)에 연통하는 제1노즐연결유로부(255a)와, 상기 제1노즐열(251a)을 구성하는 각각의 노즐에 연통하는 제2노즐연결유로부(255b)와, 상기 제2노즐열(251b)을 구성하는 각각의 노즐에 연통하는 제3노즐연결유로부(255c)와, 상기 노즐유출구(258)에 연통하는 제4노즐연결유로부(255d)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노즐판(252)에는 노즐연결유로(255)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양측에 하향 돌출된 상부유로돌출부(252a, 252b)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노즐판(253)에는 상기 상부유로돌출부(252a, 252b)의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향 돌출된 하부유로돌출부(253a, 253b)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유로돌출부(252a, 252b)와 하부유로돌출부(253a, 253b) 사이에는 기밀의 유지를 위해 패킹(256)이 개재된다.
상기 하부유로돌출부(253a, 253b)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홈(253c, 253d)에 패킹(256)이 삽입되고, 상기 패킹(256)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패킹홈(256a, 256b)에 상기 상부유로돌출부(252a, 252b)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노즐연결유로(255)는 상기 상부유로돌출부(252a, 252b)와 하부유로돌출부(253a, 253b) 및 패킹(256)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냉수탱크(500), 순환펌프(530), 냉수탱크연결라인(520), 노즐연결유로(255), 냉수취수라인(740), 취수구가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냉수의 출수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냉수취수밸브(730)를 온(On)시켜 취수구를 통해 냉수를 공급하고, 냉수생성 및 제빙시에는 냉수취수밸브(730)를 오프(Off)시켜 냉수탱크(500)로부터 공급된 물이 노즐연결유로(255)를 거쳐 노즐(251)을 통해 분사되도록 한다. 따라서 냉수탱크(500)와 별도로 제빙용 물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냉수를 출수하기 위한 유로와 냉수생성 및 제빙을 위한 유로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부품 개수가 감소하고 유로구조가 간단해진다.
또한 상부노즐판(252)과 하부노즐판(253) 사이에 복수의 노즐(251)을 상호 연통시키는 노즐연결유로(255)를 형성함으로써 많은 개수의 노즐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 하나의 연결된 유로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프(Off)란 밸브가 닫힌 상태 또는 펌프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고, 온(On)이란 밸브가 개방된 상태 또는 펌프가 작동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하 동일하다.
냉수 출수시에는 냉수탱크(500)의 물이 노즐연결유로(255)를 경유하여 냉수취수라인(740)으로 공급되므로 노즐(251)을 통해서도 물이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연결유로(255)의 유로단면적보다 냉수취수라인(740)의 유로단면적을 더 크게 하여 노즐연결유로(255)를 통과한 물이 냉수취수라인(740)에서 압력이 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냉수탱크(500)의 물이 노즐(251)을 통해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냉수취수라인(740)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덮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의 A-A 단면도이다.
상기 덮개(600)는 정수탱크(100)와 제빙부(200)의 상측을 덮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덮개 외부 몸체(610), 상기 덮개 외부 몸체(610)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덮개 내부 몸체(620), 상기 정수탱크살균수공급밸브(750)와 정수탱크(100)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결배관(6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600)의 몸체는 덮개 외부 몸체(610)와 덮개 내부 몸체(620)의 이중 구조로 되어 있어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덮개 외부 몸체(610)와 덮개 내부 몸체(620) 사이의 공간(630)에는 단열재가 구비되어 단열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배관(640)은 상기 정수탱크살균수공급밸브(750)와 연결되는 입구부(641), 상기 입구부(64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중간부(642), 상기 중간부(642)의 단부에서 정수탱크(100)의 상부 공간으로 연통하도록 하방향으로 연장된 출구부(643)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 외부 몸체(610)와 덮개 내부 몸체(620)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연결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정수탱크살균수공급밸브(750)에는 상기 에어벤트라인(870)에 연결되는 제1연결구(751)와 상기 정수탱크살균수공급라인(760)에 연결되는 제2연결구(752)와 상기 연결배관(640)의 입구부(641)에 연결되는 제3연결구(7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구(751)와 제3연결구(753) 및 연결배관(640)은 항상 연통하도록 상기 정수탱크살균수공급밸브(750) 내부에서 연결되어, 사용자의 온수 요구에 의해 온수펌프(850)가 작동되면 상기 온수탱크(800) 및 에어벤트라인(870)을 경유한 물과 공기는 상기 제1연결구(751)로 유입되어 연결배관(640)을 통해 정수탱크(10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기수 분리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2연결구(752)와 제3연결구(753) 및 연결배관(640)은 상기 정수탱크살균수공급밸브(750)의 온(On)시에만 연통하도록 상기 정수탱크살균수공급밸브(750) 내부에서 연결되어, 살균모드시 정수탱크살균수공급라인(760) 및 정수탱크살균수공급밸브(750)을 경유한 살균수가 상기 제2연결구(752)로 유입되어 연결배관(640)을 통해 정수탱크(100) 내부로 유입된다.
도 12는 정수탱크로부터 냉수탱크에 정수가 유입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냉수탱크의 물이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노즐에서 분사된 물이 제빙틀에 부딪친 후 냉수탱크로 회수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제빙틀에서 탈빙된 얼음이 얼음저장부에 저장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이하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빙기에 의한 제빙방법을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원수밸브(940)를 온(On)시키면 필터부(920)를 거쳐 여과된 정수가 정수유입구(101)를 통해 정수탱크(100)에 유입되고, 정수탱크(100)의 플랜지부(103)이상으로 정수가 차게 되면 오버플로우구멍(102)을 통해 오버플로우(overflow)되어 제1가이드유로(233)를 거쳐 제1드레인구멍(233a)에서 제2가이드유로(242)로 낙하되고, 제2가이드유로(242)를 거쳐 제2드레인구멍(242a)에서 상부노즐판(252) 위에 낙하되며, 상기 상부노즐판(252)을 거쳐 제3드레인구멍(254)에서 냉수탱크(500)의 경사면(501)으로 낙하된 후 연통공(503)을 통해 냉수탱크(50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상기 냉수탱크(500)에 물이 채워져 냉수탱크수위센서(510)의 만수위감지부(512)에서 만수위임을 감지하게 되면 원수밸브(미도시)를 오프(Off)시켜 정수의 유입을 차단시킨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정수탱크(100)와 냉수탱크(500)에 정수가 차게 되면 냉수생성과정이 진행되는데,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순환펌프(530)의 작동에 의해 냉수탱크(500)의 물은 냉수탱크연결라인(520), 노즐유입구(257), 노즐연결유로(255)를 순차 경유하여 노즐(251)을 통해 분사된다. 이 경우 증발관(220) 내부에는 저온의 냉매가 공급되어 제빙틀몸체부(211)가 냉각되고, 상기 노즐(251)에서 제빙홈(212)으로 분사된 물은 상기 제빙홈(212) 내부의 제빙틀몸체부(211)에 부딪쳐 냉각된다. 상기 제빙틀몸체부(211)에 부딪쳐 냉각된 물은 상부노즐판(252)의 상면으로 낙하된 후 제3드레인구멍(254)을 통해 냉수탱크(500)의 경사면(501)으로 낙하됨으로써 냉수탱크(500)로 다시 유입된다. 이와 같은 냉수생성과정은 냉수탱크온도센서(540; 도 9 참조)에서 측정된 물의 온도가 제1설정온도가 될 때까지 계속 수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빙부(200)를 이용하여 냉수탱크(500)의 물을 냉각시키므로 냉수를 생성하기 위해 별도의 냉각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제빙기는 제빙모드와 냉수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제빙모드는 냉수생성 및 제빙과정이 이루어져 냉수와 얼음이 냉수탱크(500)와 얼음저장부(400)에 각각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냉수가 공급되거나 얼음이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모드이고, 냉수모드는 사용자가 제빙기능의 사용을 원하지 않아 얼음저장부(400)에 제빙된 얼음이 없고 냉수탱크(500)로부터 냉수의 공급만 이루어지도록 제어되는 모드이다.
사용자가 냉수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제빙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냉수탱크(500)의 물 온도가 상기 제1설정온도에 도달한 경우 순환펌프(530)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한편, 증발관(220)에 냉매의 공급도 중단시킴으로써 냉수생성과정이 종료된다.
그 후 냉수탱크(500)의 물 온도가 제1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인 제2설정온도가 되면 다시 상기한 냉수 생성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냉수탱크(500)의 냉수 온도는 설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만약 사용자가 제빙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냉수탱크(500)의 물 온도가 제1설정온도에 도달한 이후에도 제빙과정이 계속 진행되는데, 순환펌프(530)의 작동 및 증발관(220)에의 냉매 공급이 계속 이루어짐으로써 냉수탱크(500)의 물 온도는 상기 제1설정온도보다 더 하강하게 된다.
한편, 제빙을 위해 냉수탱크(500)의 냉각된 물이 노즐(251)을 통해 분사되면 제빙홈(212)의 제빙틀몸체부(211) 표면에 얼음 피막이 형성되기 시작하는데, 제빙틀몸체부(211) 표면에 얼음 피막이 형성된 이후에는 노즐(251)에서 분사된 물이 제빙틀몸체부(211) 표면에서 직접 열교환이 일어나지 않고 얼음 피막을 사이에 두고 열교환이 일어나므로 냉수탱크(500)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가 과도하게 냉각되지 않으나, 얼음 피막이 형성되기 전에는 제빙틀몸체부(211) 표면에서 직접 열교환이 일어나므로 냉수탱크(500)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가 과도하게 냉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과도하게 냉각된 물이 냉수탱크(500)로 유입되면 냉수탱크(500) 내부에 살얼음이 형성될 수 있고, 특히 냉수탱크(500) 내부에 구비된 순환펌프(530)의 입구단에 살얼음이 형성되면 물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제빙 과정 중 증발관(220)에 고온의 냉매가 간헐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수탱크(500)의 물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물 온도가 제3설정온도가 되면 증발관(220)에 고온의 냉매를 일정시간(t1)동안 공급하고, 다시 저온의 냉매를 일정시간(t2)동안 공급하여 냉수탱크(500)의 물 온도가 상기 제3설정온도보다 낮은 제4설정온도가 될 때까지 반복함으로써 냉수탱크(500)에 살얼음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3설정온도는 살얼음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물의 온도를, 제4설정온도는 제빙틀몸체부(211) 표면에 얼음 피막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온도를 각각 의미한다.
냉수탱크(500)의 물 온도가 제3설정온도에 도달한 이후 고온의 냉매와 저온의 냉매를 교대로 공급하게 되면 살얼음이 형성되지 않으면서 물의 온도가 제4설정온도까지 하강하게 되고, 제4설정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제빙틀몸체부(211) 표면에 얼음 피막이 형성되기 시작하므로 고온의 냉매를 공급하지 않더라도 살얼음은 생성되지 않는다.
냉수탱크(500)의 물 온도가 제4설정온도보다 낮아진 이후에도 노즐(251)을 통한 물의 분사는 계속 이루어져 얼음 피막의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는데, 이 경우 복수의 제빙홈(212)에서 형성되는 얼음의 크기가 서로 상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냉매가 유입되는 증발관입구(220a)에 가까운 제빙홈(212)에서는 얼음 생성 속도가 빨라 얼음의 크기가 크고, 열교환이 끝난 냉매가 유출되는 증발관출구(220b)에 가까운 제빙홈(212)에서는 얼음 생성 속도가 느려 얼음의 크기가 작아져,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얼음의 크기가 상이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냉수탱크(500)의 물 온도가 상기 제4설정온도보다 낮은 제5설정온도가 되면 순환펌프(530)의 일정시간(t3) 정지와 일정시간(t4)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제빙홈(212)의 제빙틀몸체부(211) 표면의 얼음 피막 두께가 비슷한 속도로 형성되도록 하여 균일한 크기의 얼음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순환펌프(530)가 일정시간(t3) 정지되어 있는 동안에도 증발관(220)에는 저온의 냉매가 계속 공급되는데, 이 경우에는 증발관입구(220a)에 유입된 냉매가 물과의 열교환 과정 없이 증발관출구(220b)를 통해 유출되므로 증발관입구(220a)와 증발관출구(220b)에서의 온도가 비슷하게 된다. 그 후 순환펌프(530)를 일정시간(t4) 작동시키면 증발관입구(220a)와 증발관출구(220b)에서 냉매의 온도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증발관입구(220a)에 가까운 제빙홈(212)과 증발관출구(220b)에 가까운 제빙홈(212)에서 얼음 피막이 비슷한 속도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순환펌프(530)의 일정시간(t3) 정지와 일정시간(t4) 작동을 반복하게 되면 일정시간(t3) 정지시 노즐(251)을 통한 물의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제빙틀몸체부(211)에서 냉각된 물이 냉수탱크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냉수탱크(500) 내부에 살얼음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순환펌프(530)에 의한 원활한 물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순환펌프(530)의 정지시간(t3)은 작동시간(t4)보다 더 길게 함으로써 얼음의 크기를 더욱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순환펌프(530)의 정지와 작동이 반복되는 과정이 계속 이루어지고, 증발관온도센서(미도시)에서 감지된 증발관출구(220b)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순환펌프(530)의 정지와 작동이 반복되는 과정이 종료되고, 순환펌프(530)의 작동이 지속됨으로써 제빙과정이 완료된다.
제빙이 완료되면 탈빙과정이 진행되는데, 도 15를 참조하면, 순환펌프(530)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증발관(220)에 고온의 냉매를 공급하거나 제빙틀(210)에 구비된 히터를 작동시키면 제빙홈(212)으로부터 얼음이 탈빙되어 경사판(241)위에 낙하된 후 미끄러져 얼음저장부(400)에 저장된다.
이 경우 얼음의 탈빙시점은, 제빙이 이루어지는 경과시간으로부터 결정하는 방법, 증발관온도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된 증발관출구(220b)의 온도로부터 결정하는 방법, 외기온도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된 외기온도로부터 결정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둘 이상을 조합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증발관출구(220b)의 온도는 제빙이 진행될수록 점점 낮아지게 되므로 증발관출구(220b)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제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탈빙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외기온도가 높을수록 제빙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측정된 외기온도에 따라 제빙시간을 설정함으로써 탈빙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한 제빙과 탈빙이 반복해서 이루어지면 얼음저장부(400)에 얼음이 쌓이게 되고, 만빙센서(440)에서 얼음을 감지하지 않으면 얼음저장부(400)에 얼음이 가득차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만빙이 될 때까지 제빙과 탈빙과정을 반복 수행하며, 만빙센서(440)에서 얼음을 감지하면 얼음저장부(400)에 만빙이 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빙과정이 종료된다.
한편, 사용자가 정수를 출수할 경우에는 정수취수밸브(710)가 온(On)되어 정수탱크(100)의 정수가 정수취수라인(720)을 거쳐 정수취수밸브(710)를 통해 출수되고, 정수탱크수위센서(110)에서 감지된 수위에 의해 물 보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원수밸브(미도시)를 온(On)시켜 필터부(미도시)에서 여과된 정수가 정수탱크(100)에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냉수를 출수할 경우에는 냉수취수밸브(730)와 순환펌프(530)가 온(On)되어 냉수탱크(500)의 냉수가 냉수탱크연결라인(520), 노즐연결유로(255), 냉수취수라인(740)을 순차거친 후 냉수취수밸브(730)를 통해 출수되고, 냉수 출수 후 냉수탱크(500)의 수위가 낮아지면 냉수탱크수위센서(510)에서 이를 감지하여 정수탱크(100)의 물이 냉수탱크(500)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 경우 냉수탱크(500)의 물 온도를 측정하여 설정온도 도달여부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냉수생성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사용자가 얼음을 토출하기 위해 얼음토출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얼음토출게이트(430)가 개방되고, 모터(560)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410) 및 블레이드(421,422)가 회전하면서 얼음저장부(400)의 얼음을 밀어 얼음토출구(400b)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얼음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정수탱크의 정수를 오버플로우시켜 냉수탱크로 공급하므로 구조가 간단해지고, 정수탱크에서 오버플로우된 정수는 제1가이드유로와 제2가이드유로 및 상부노즐판에 순차 낙하된 후 냉수탱크로 유입되므로 정수의 낙하에 의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수/냉수탱크와 얼음저장부 및 제빙부를 컴팩트한 구조로 배치하고, 냉수탱크의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별도의 냉각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구조가 간단해지며, 냉수탱크의 냉수를 사용자에게 출수하기 위한 경로와 제빙을 위해 노즐로 공급하기 위한 경로를 일체화시킴으로써 유로구조가 간단해진다. 또한 제빙과정 중 증발관에 고온의 냉매를 간헐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살얼음의 형성을 방지하여 물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순환펌프의 정지와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균일한 크기의 얼음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정수탱크 101 : 정수유입구
102 : 오버플로우구멍 103 : 플랜지부
110 : 정수탱크수위센서 200 : 제빙부
210 : 제빙틀 211 : 제빙틀몸체부
212 : 제빙홈 220 : 증발관
230 : 제빙틀홀더 231 : 삽입구멍
232 : 걸림부 233 : 제1가이드유로
233a : 제1드레인구멍 240 : 얼음가이드
241 : 경사판 241a : 통과구멍
241b : 골 241c : 마루
242 : 제2가이드유로 243 : 낙수홀
244 : 얼음커튼 250 : 노즐부
251 : 노즐 252 : 상부노즐판
253 : 하부노즐판 254 : 제3드레인구멍
255 : 노즐연결유로 256 : 패킹
257 : 노즐유입구 258 : 노즐유출구
300 : 분리판 400 : 얼음저장부
410 : 회전축 421,422 : 블레이드
430 : 얼음토출게이트 440 : 만빙센서
500 : 냉수탱크 510 : 냉수탱크수위센서
520 : 냉수탱크연결라인 530 : 순환펌프
540 : 냉수탱크온도센서 560 : 모터
600 : 덮개 610 : 덮개 외부 몸체
620 : 덮개 내부 몸체 630 : 공간
640 : 연결배관 710 : 정수취수밸브
720 : 정수취수라인 730 : 냉수취수밸브
740 : 냉수취수라인 750 : 정수탱크살균수공급밸브
760 : 정수탱크살균수공급라인 770 : 온수취수밸브
780 : 온수취수라인 790 : 살균모듈
795 : 살균모듈연결라인 800 : 온수탱크
830 : 배수펌프 841 : 정수탱크배수라인
850 : 온수펌프 870 : 에어벤트라인
910 : 원수공급부 920 : 필터부

Claims (42)

  1. 상온의 물을 저장하는 정수탱크;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냉수상태로 저장하는 냉수탱크;
    상기 냉수탱크의 물을 노즐부의 노즐을 통해 제빙틀에 분사하여 제빙이 이루어지는 제빙부;
    상기 제빙부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저장부;
    를 포함하는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탱크에는 설정된 수위 이상이 되면 오버플로우되도록 하는 오버플로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오버플로우구멍을 통해 오버플로우된 물은 상기 냉수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틀을 지지하는 제빙틀홀더에는 상기 오버플로우구멍을 통해 오버플로우된 물이 상기 냉수탱크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부는 상기 제빙틀에서 생성된 얼음이 상기 얼음저장부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하되, 상기 제빙틀홀더의 하부에 설치되는 얼음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가이드에는 상기 제1가이드유로를 경유한 물이 상기 냉수탱크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의 내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정수탱크에서 오버플로우된 물이 상기 경사면에 낙하된 후 상기 냉수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탱크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차단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와 얼음저장부를 둘러싸는 제빙기몸체는 얼음저장부 몸체부와 냉수탱크 몸체부로 이루어진 내부몸체와, 상기 내부몸체의 외측에 구비된 외부몸체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단리브는, 상기 얼음저장부 몸체부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몸체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얼음저장부 내부의 공간은 차단리브와 상기 수평몸체부의 외측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상단몸체부 및 외부몸체에 의해 3중으로 차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부는, 복수의 상기 노즐을 서로 연결시키는 노즐연결유로, 상기 제빙틀을 지지하는 제빙틀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틀은 상기 제빙틀홀더에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복수의 상기 노즐이 상향 돌출된 상부노즐판과, 상기 상부노즐판과의 사이에 상기 복수의 노즐을 서로 연결시키는 노즐연결유로가 형성된 하부노즐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노즐판에는 상기 노즐연결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양측에 하향 돌출된 상부유로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노즐판에는 상기 상부유로돌출부의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향 돌출된 하부유로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유로돌출부와 하부유로돌출부 사이에는 패킹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로돌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출부홈에 상기 패킹이 삽입되고, 상기 패킹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패킹홈에 상기 상부유로돌출부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부는 복수의 상기 노즐을 서로 연결시키는 노즐연결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연결유로의 일측단은 상기 냉수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노즐연결유로의 타측단은 상기 냉수탱크의 냉수를 사용자에게 출수하기 위한 냉수취수라인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연결유로의 유로단면적보다 상기 냉수취수라인의 유로단면적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 내부에는 상기 냉수탱크의 물을 상기 노즐연결유로로 이송하기 위한 순환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순환펌프와 노즐연결유로 사이는 냉수탱크연결라인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부는 상기 제빙틀에서 생성된 얼음이 상기 얼음저장부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하는 경사판을 갖는 얼음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판의 상면에는 경사방향과 동일한 길이방향을 갖는 골과 마루가 반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부는 상기 제빙틀에서 생성된 얼음이 상기 얼음저장부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하는 경사판을 갖는 얼음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판에는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물이 통과하도록 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의 하측 단부에는 상기 제빙틀에 부딪쳐 낙하된 물이 통과하도록 낙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저장부와 냉수탱크는 하나의 몸체가 분리판에 의해 나뉘어진 상하공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형성된 단턱에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탱크와 얼음저장부 및 냉수탱크는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 적층되고, 상기 제빙부는 상기 정수탱크의 측부인 상기 얼음저장부의 상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탱크의 상부를 덮는 덮개가 더 구비되고, 상기 덮개는 덮개 내부 몸체와 덮개 외부 몸체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내부 몸체와 덮개 외부 몸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단열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탱크의 상부를 덮는 덮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정수탱크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연결배관이 상기 덮개의 몸체를 관통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저장부와 냉수탱크의 외측을 둘러싸는 제빙기 몸체는 내부몸체와 외부몸체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몸체와 외부몸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단열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26. a) 정수탱크에 물이 유입되는 단계;
    b) 상기 정수탱크의 물이 냉수탱크에 유입되는 단계;
    c) 상기 냉수탱크에 유입된 물을 냉각시켜 냉수를 생성시키는 단계;
    d) 증발관에 저온의 냉매를 공급하고, 상기 냉수탱크의 냉수를 노즐을 통해 분사하여 상기 증발관이 결합된 제빙틀에서 제빙이 이루어지는 단계;
    e) 상기 제빙틀에 얼음이 형성되면 상기 얼음을 탈빙시켜 얼음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빙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정수탱크의 물이 오버플로우됨으로써 상기 냉수탱크에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냉수탱크에 구비된 냉수탱크수위센서에서 냉수탱크의 수위가 만수위임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정수탱크로의 물 공급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제빙틀에 결합된 증발관 내부에 저온의 냉매를 공급하는 한편, 상기 냉수탱크의 물이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제빙틀에 분사되어 냉각된 후 상기 냉수탱크에 유입되어 상기 냉수탱크의 물이 설정온도 이하가 될 때까지 냉수 생성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제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증발관에 고온의 냉매가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방법.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얼음의 탈빙 시점은 상기 증발관의 출구온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방법.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얼음의 탈빙 시점은 외기 온도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방법.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틀에는 상기 노즐과 대향되는 위치에 얼음이 형성되는 복수의 제빙홈이 형성되고, 상기 냉수탱크의 냉수를 상기 노즐로 공급하기 위한 순환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순환펌프는 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와 작동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의 정지시간은 작동시간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의 냉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순환펌프의 정지와 작동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방법.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관의 출구측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순환펌프의 정지와 작동의 반복과정이 종료되고, 상기 순환펌프의 작동이 지속되어 제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방법.
  37. 제1항에 기재된 제빙기;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탱크;
    상기 온수탱크의 온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온수취수라인;
    상기 온수취수라인 상에 구비되어 온수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온수취수밸브;
    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탱크의 물을 상기 온수탱크로 공급하기 위해 작동하는 온수펌프와, 상기 온수탱크와 상기 정수탱크의 내부 공간이 연통하도록 연결된 에어벤트라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탱크의 상부를 덮는 덮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온수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에어벤트라인을 경유한 물은 상기 덮개를 관통하는 연결배관을 통해 상기 정수탱크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탱크에 살균수를 공급하기 위한 살균모듈;
    상기 살균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정수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정수탱크살균수공급라인;
    상기 정수탱크살균수공급라인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정수탱크에 살균수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되, 상기 에어벤트라인에 연결되는 제1연결구와 상기 정수탱크살균수공급라인에 연결되는 제2연결구 및 상기 정수탱크에 연결되는 제3연결구가 형성된 정수탱크살균수공급밸브;
    상기 제3연결구와 정수탱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배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구와 제3연결구 및 연결배관은 항상 연통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구와 제3연결구 및 연결배관은 상기 정수탱크살균수공급밸브의 온(On)시에만 연통하도록 상기 정수탱크살균수공급밸브 내부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일정하게 하기 위한 유량조절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펌프의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온수탱크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KR1020130066709A 2013-06-11 2013-06-11 제빙기 및 제빙방법, 제빙기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KR102148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709A KR102148457B1 (ko) 2013-06-11 2013-06-11 제빙기 및 제빙방법, 제빙기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709A KR102148457B1 (ko) 2013-06-11 2013-06-11 제빙기 및 제빙방법, 제빙기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575A true KR20140144575A (ko) 2014-12-19
KR102148457B1 KR102148457B1 (ko) 2020-08-26

Family

ID=52674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709A KR102148457B1 (ko) 2013-06-11 2013-06-11 제빙기 및 제빙방법, 제빙기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4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984A (ko) * 2017-08-16 2019-02-26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생성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
KR20200049163A (ko) * 2018-10-31 2020-05-08 (주) 케어스워터 보온재를 가진 저장통과 이를 포함하는 먹는물 공급장치
KR102110218B1 (ko) * 2019-09-03 2020-05-14 주식회사 와이컴퍼니 냉수매트용 냉수생성장치
KR20220037822A (ko) * 2020-09-18 2022-03-25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2608A (ja) * 2001-07-30 2003-02-13 Matsushita Refrig Co Ltd 製氷装置
KR20100082190A (ko) * 2009-01-08 2010-07-16 네오트 주식회사 물낭비가 없는 냉·온수 이동형 생수 제빙기
KR20120107676A (ko) * 2011-03-22 2012-10-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KR101213914B1 (ko) * 2010-07-06 2012-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20138852A (ko) * 2011-06-16 2012-12-27 (주)교원엘앤씨 얼음 공급장치
KR20130008179A (ko) * 2011-07-12 2013-01-22 정휘동 정비가 용이한 얼음 정수기
KR20130017803A (ko) * 2011-08-12 2013-02-20 정휘동 제빙 유닛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2608A (ja) * 2001-07-30 2003-02-13 Matsushita Refrig Co Ltd 製氷装置
KR20100082190A (ko) * 2009-01-08 2010-07-16 네오트 주식회사 물낭비가 없는 냉·온수 이동형 생수 제빙기
KR101213914B1 (ko) * 2010-07-06 2012-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20107676A (ko) * 2011-03-22 2012-10-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KR20120138852A (ko) * 2011-06-16 2012-12-27 (주)교원엘앤씨 얼음 공급장치
KR20130008179A (ko) * 2011-07-12 2013-01-22 정휘동 정비가 용이한 얼음 정수기
KR20130017803A (ko) * 2011-08-12 2013-02-20 정휘동 제빙 유닛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984A (ko) * 2017-08-16 2019-02-26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생성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
KR20200049163A (ko) * 2018-10-31 2020-05-08 (주) 케어스워터 보온재를 가진 저장통과 이를 포함하는 먹는물 공급장치
KR102110218B1 (ko) * 2019-09-03 2020-05-14 주식회사 와이컴퍼니 냉수매트용 냉수생성장치
KR20220037822A (ko) * 2020-09-18 2022-03-25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의 얼음 제빙기, 이를 구비하는 음용수 공급장치 및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457B1 (ko)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0366B2 (en) Water distribution for an ice maker
RU2488752C1 (ru) Холодильник, имеющи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льда (варианты)
US8756951B2 (en) Vertical ice maker producing clear ice pieces
EP2407737B1 (en) Refrigerator
KR100795293B1 (ko) 알칼리 얼음 제조 기능을 구비한 냉온 얼음 정수기
KR102051672B1 (ko) 제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919145B2 (en) Vertical ice maker with microchannel evaporator
KR20140144575A (ko) 제빙기 및 제빙방법, 제빙기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US20150300716A1 (en) Ice maker
KR101488913B1 (ko) 얼음 공급 장치
JP2011038706A (ja) 流下式製氷機の製氷ユニット
KR102170139B1 (ko) 제빙기 및 제빙방법
KR101507037B1 (ko) 제빙기의 함체
KR102136802B1 (ko) 제빙기
KR101519877B1 (ko) 제빙기 및 이를 갖춘 냉장고
EP3908793B1 (en)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n ice making assembly
KR20140146373A (ko) 정수필터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467123Y1 (ko) 얼음이 출빙되는 냉온수기
KR101690126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10113299A (ko) 얼음정수기용 취수장치
EP4365518A1 (en) Drain pipe-free clear ice making machine for recycling water for use in making clear ice
WO2023083219A1 (zh) 包括用于冰模具外部的副供水系统的自动制冰机
WO2023184750A1 (zh) 冰箱
KR102154029B1 (ko) 제빙기
KR101507036B1 (ko) 제빙기의 트레이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