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27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278A
KR20130092278A KR1020120013915A KR20120013915A KR20130092278A KR 20130092278 A KR20130092278 A KR 20130092278A KR 1020120013915 A KR1020120013915 A KR 1020120013915A KR 20120013915 A KR20120013915 A KR 20120013915A KR 20130092278 A KR20130092278 A KR 20130092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door member
dispens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인선
김선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3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2278A/ko
Priority to EP13000612.5A priority patent/EP2626658B1/en
Priority to TR2019/08134T priority patent/TR201908134T4/tr
Priority to EP19162737.1A priority patent/EP3517868A1/en
Priority to US13/761,482 priority patent/US9068772B2/en
Priority to CN201310049107.0A priority patent/CN103245160B/zh
Publication of KR20130092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서장치를 갖는 냉장고의 도어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는 디스펜서장치가 구비되는 냉장고에서 상부도어부재와 하부도어부재를 별개로 조립하고, 그 사이에 디스펜서하우징을 별도의 결합부재들에 의해 조립함으로써 제작공정을 단순화하고, 간단한 조립과정에 의해 깔끔한 외관과 일체화된 입면을 형성하는 냉장고의 도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된 물이나 얼음을 도어의 개방없이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스장치를 가지는 냉장고 도어에 있어서; 냉장고 도어의 상측을 형성하는 상부도어부재; 냉장고 도어의 하측을 형성하는 하부도어부재; 상기 상부도어부재와 하부도어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물 또는 얼음의 배출덕트가 구비된 디스펜서가 장착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디스펜서하우징; 및 상기 디스펜서하우징이 상부도어부재 및 하부도어부재 사이에 체결되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도어구조 {A DOOR STRUCTURE OF A REFIGERATOR}
본 발명은 디스펜서장치를 갖는 냉장고의 도어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는 디스펜서장치가 구비되는 냉장고에서 상부도어부재와 하부도어부재를 별개로 조립하고, 그 사이에 디스펜서하우징을 별도의 결합부재들에 의해 조립함으로써 제작공정을 단순화하고, 간단한 조립과정에 의해 깔끔한 외관과 일체화된 입면을 형성하는 냉장고의 도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내부에 설치된 냉동사이클의 구동에 의하여 냉기를 생성시키고, 이러한 냉기를 냉장실 및 냉동실의 내부로 공급하는 것에 의하여, 장기간 저온 상태로 식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설비이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대형 냉장고는 냉장고의 도어를 열지 않고 내부의 얼음 또는 물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스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디스펜스부는 냉장고의 도어를 열지않고도 물 또는 얼음을 취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냉장고의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냉동기에는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문을 열지 않고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얼음 취출 장치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얼음 취출 장치는 통상 많은 양의 얼음 조각들이 저장실인 아이스 버킷에 보관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얼음 취출을 선택하게 되면 일정량 만큼의 얼음이 취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상기와 같은 디스펜스부가 설치된 냉장고의 일 예가 전방에서 본 사시도와 디스펜서하우징의 장착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본체(1)의 내부에는 냉장실과 냉동실(도시생략)이 설치된다.
상기 냉장실은 상기 증발기 주위에서 생성된 냉기에 의해 저온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이 수납되는 세로방향의 수직공간이며, 내부에는 선반이 상기 냉장실의 벽면 사이에서 가로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장실의 좌측에는 내부를 0℃이하로 유지하는 냉동실이 수직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베리어(도시 생략)에 의해 좌우로 분할된다.
즉, 상기 냉장고본체(1)의 우측에는 냉장실이 설치되며, 좌측에는 냉동실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 전면에는 도어(10, 20)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10, 20)는 외장을 형성하는 스틸제의 아웃도어케이스(13)와 상기 아웃도어케이스(13)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합성수지의 이너케이스(도면부호 생략)를 포함한 구성을 가진다.
한편, 상기 아웃도어케이스(13)의 표면에는 페인트 등의 도료를 도장하여 상기 아웃도어케이스(13)의 스틸면이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강화유리를 부착하게 되는데, 상기 아웃도어케이스(13)와 강화유리 사이에는 완충역할을 하는 스폰지(도시되지 않음) 등이 더 삽입된다.
상기 아웃도어케이스(13)와 이너케이스 사이의 공간 내부에는 상기 냉장실이 외부와 단열되도록 단열재(도시 생략)가 충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도어케이스(13)의 표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도어(10, 20)를 실질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어(10, 20)는 상기 냉장고본체(1)의 상하 좌우측 단부에 설치된 힌지(도시 생략)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냉동실도어(10)의 전면에는 디스펜서하우징(30)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디스펜서하우징(30)은 일체로 형성된 냉동실도어(10)의 아웃도어케이싱(13)의 중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인 디스펜서삽입구(15)에 내입되어 설치된다. 이에 디스펜서하우징(30)에 의해 설치된 디스펜서부는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열지 않고도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디스펜서하우징(30)은 상기 냉동실도어(10)의 아웃도어케이스(13)가 관통된 디스펜서삽입구(15)에 끼워지도록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도록 삽입된다. 이러한 디스펜서하우징(30)는 상기 디스펜서삽입구(15)에 삽입된 후 테두리를 따라서 접착제 또는 발포제(C)에 의해 상기 냉동실도어(10)의 아웃도어케이스(13)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도어(10)의 아웃도어케이스(13) 전면에는 페인트 또는 강화유리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디스펜서하우징(30)을 가지는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아웃도어케이스(13)는 통상적으로 철판으로 형성되고, 디스펜서삽입구(15)가 펀칭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디스펜서하우징(30)이 접착제 내지 발포제(C)에 의해 결합된 후 아웃도어케이스(13)와 디스펜서하우징(30)의 결합부위가 굴곡이 생기거나 단일한 입면으로 형성되지 아니하여 외관상 좋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도어케이스(13)의 디스펜서삽입구(15)가 펀칭에 의해 제작되고 사출물로 커버가 되므로 단면의 성형이 깔끔하게 마무리되기 어렵고, 제작과정에서 정밀작업이 요구되어 작업의 어려움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얼음 또는 물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의 도어에 있어서 분리된 상부 및 하부도어부재와 디스펜서하우징을 별도로 제작하거나 한 번의 작업으로 제작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의 도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도어부재 및 하부도어부재와 디스펜서하우징을 스테인레스 재질 등의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고, 입면상 동일한 표면을 갖도록 제1결합부재 및 제2결합부재를 통해 결합함으로써 일체화된 질감을 구현하고, 심미감을 향상시키며, 긁힘 및 파손의 우려를 일소시킴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냉장고의 도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양태로써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된 물이나 얼음을 도어의 개방없이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스장치를 가지는 냉장고 도어에 있어서; 냉장고 도어의 상측을 형성하는 상부도어부재; 냉장고 도어의 하측을 형성하는 하부도어부재; 상기 상부도어부재와 하부도어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물 또는 얼음의 배출덕트가 구비된 디스펜서가 장착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디스펜서하우징; 및 상기 디스펜서하우징이 상부도어부재 및 하부도어부재 사이에 체결되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상기 결합부재는, 상부도어부재와 디스펜서하우징 사이에 체결되는 제1결합부재; 및 하부도어부재와 디스펜서하우징 사이에 체결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재는, 전면부에서 물 또는 얼음의 취출상태 및 취출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가 물 또는 얼음의 디스펜서 기능을 조작하는 버튼부; 및 하부에 상기 디스펜서하우징이 체결되는 하우징결속부;를 포함하도록 하며, 상기 하우징결속부의 하면에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는 배출덕트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디스펜서하우징에 체결되는 하우징결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하우징결속부는,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디스펜서의 잔수를 보관하는 잔수받이함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도어부재는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결합용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하우징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결합용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의 상단 테두리 및 하우징결속부가 상기 결합용단차의 절곡된 부위에 내입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도어부재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결합용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하우징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결합용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부재의 하단 테두리 및 하우징결속부가 상기 결합용단체의 절곡된 부위에 내입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도어부재와 제1결합부재의 표면 및 하부도어부재와 제2결합부재의 표면이 동일한 입면상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하우징은, 사용자가 누르거나 터치하여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는 취출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저장된 물이나 얼음을 도어의 개방없이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스장치를 가지는 냉장고 도어에 있어서; 상단에 위치하여 평탄한 전방 입면을 갖는 제1도어부재; 중단에 위치하여 내측으로 함몰 절곡된 입면을 갖고,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는 디스펜서가 내장되어 디스펜서하우징의 기능을 하는 제2도어부재; 및 최하단에 위치하여 평탄한 전방 입면을 갖는 제3도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부재, 제2도어부재 및 제3도어부재는 하나의 단일한 부재를 단일금형 상에서 프레스 가공하여 각각 한번의 작업으로 아웃도어를 제작하는 냉장고의 도어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상기 제1도어부재, 제2도어부재 및 제3도어부재는 동일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하여 일체화된 질감 구현 및 긁힘, 파손의 염려를 일소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냉장실 및 냉동실을 구비한 냉장고본체;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 및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도어는, 상측을 형성하는 상부도어부재; 하측을 형성하는 하부도어부재; 상기 상부도어부재와 하부도어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물 또는 얼음의 배출덕트가 구비된 디스펜서가 장착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디스펜서하우징; 상부도어부재와 디스펜서하우징 사이에 체결되는 제1결합부재; 및 하부도어부재와 디스펜서하우징 사이에 체결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및 후술할 구성과 결합, 작동관계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얼음 또는 물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의 도어구조에 있어서 분리된 상부 및 하부도어부재와 디스펜서하우징을 별도로 제작하거나 한 번의 작업으로 제작하여 조립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간단한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부도어부재 및 하부도어부재와 디스펜서하우징을 스테인레스 재질 등의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고, 입면상 동일한 표면을 갖도록 제1결합부재 및 제2결합부재를 통해 결합함으로써 일체화된 질감을 구현하고, 심미감을 향상시키며, 긁힘 및 파손의 우려를 일소시킴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 도어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및 결합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도어구조를 장착한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도어구조에서 제1결합부재 및 제2결합부재의 장착을 도시한 결합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도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종래의 냉장고 도어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냉동실도어(10)는 제조시에 먼저 아웃도어케이스(13)와 이너케이스 사이에 발포액을 충진한 후, 아웃도어케이스(13)의 전면에 강화유리를 부착한다. 그리고, 이러한 강화유리는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해당 색상을 선택하여 부착하게 된다.
상기 냉동실도어(10)의 아웃도어케이스(13) 중간부에는 디스펜서삽입구(15)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하우징(30)은 함몰 내입되어 일체로 형성되므로 상기 스틸류의 아웃도어케이스(13) 색상과 동일한 색상을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펜서하우징(30)은 디스펜서삽입구(15)에 내입되어 발포제 또는 접착제(C)에 의해 아웃도어케이스(13)에 매립된다.
결국, 종래와 같이 냉동실 도어(10)의 아웃도어케이스(13)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고 디스펜스부를 가지는 냉장고에서는 아웃도어케이스(13)를 별도로 펀칭작업을 해야 하며, 삽입되는 디스펜서하우징(30)의 크기와 정확히 일치하도록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의 정밀성이 요구된다.
상기 디스펜서하우징(30)이 디스펜서삽입구(15)에 내입되어 발포제 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므로 마무리 공정이 깔끔하지 않고, 냉장고 도어(10)가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될 수도 있다.
더욱이 오랜 사용기간이 흐른 후에는 상기 발포제 또는 접착제의 기능이 저하되어 디스펜서하우징(30)이 아웃도어케이스(13)로부터 이탈되는 하자가 발생되는 경우가 우려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아웃도어케이스(13)의 디스펜서삽입구(15)를 제거하고, 별도의 상부도어부재 및 하부도어부재와 디스펜서하우징의 3단 조립체를 조립하여 냉동실 도어의 조립구조를 개선하고 외관상 미려한 냉장고 도어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도어구조를 장착한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도어구조에서 제1결합부재 및 제2결합부재의 장착을 도시한 결합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도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구조는, 내부에 저장된 물이나 얼음을 도어의 개방없이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스장치를 가지는 냉장고 도어(100)에 있어서; 냉장고 도어의 상측을 형성하는 상부도어부재(110); 냉장고 도어의 하측을 형성하는 하부도어부재(120); 상기 상부도어부재(110)와 하부도어부재(120) 사이에 위치하고 물 또는 얼음의 배출덕트(700)가 구비된 디스펜서가 장착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디스펜서하우징(200); 및 상기 디스펜서하우징(200)이 상부도어부재(110) 및 하부도어부재(120) 사이에 체결되도록 하는 결합부재(300, 400);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상기 결합부재는, 상부도어부재(110)와 디스펜서하우징(200) 사이에 체결되는 제1결합부재(300); 및 하부도어부재(120)와 디스펜서하우징(200) 사이에 체결되는 제2결합부재(4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하우징(200)은, 사용자가 누르거나 터치하여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는 취출패드(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 또는 얼음 취출을 위한 디스펜스부는 상기 디스펜서하우징(200)에 장착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얼음 및 급수스위치인 물/얼음 취출패드(230)가 설치된다. 사용자가 상기 취출패드를 작동시키면 냉장고 내에 설치되는 제빙기 또는 저수탱크가 개방되어 상기 제빙기 및 저수탱크와 연결된 취출구로부터 얼음 또는 정수된 물이 배출덕트(700)를 통해 외부로 취출되게 된다.
통상 배출덕트(700)는 디스펜스부가 설치된 디스펜서하우징(200) 함몰부의 천정에 형성되고, 상기 취출패드(230)는 제빙기 또는 저수탱크와 연결된 취출구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취출구와 가까운 함몰부 내측면에 형성된다. 이에 사용자가 컵으로 상기 취출패드(700)를 내측으로 밀거나 누르면 상기 배출덕트(700)에서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취출패드(230)가 함몰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하방으로 형성된 경우, 사용자가 물을 마시고자 할 때 컵으로 물 또는 얼음 취출패드(230)를 밀거나 터치하면 저수탱크에 저장된 물이나 아이스뱅크에 저장된 얼음이 연결관을 따라 상기 취출패드(230) 상측 앞에 형성된 배출덕트(700)에서 취출되어 컵에 담겨지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도어부재(110)와 하부도어부재(120)는 동일한 아웃도어케이스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동일한 금형에서 프레스 가공을 통해 한번에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하우징(200) 역시 상기 상부 및 하부도어부재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면서 하나의 금형에서 상부 및 하부도어부재와 함께 동시에 프레스 가공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도어부재(110, 120)는 평탄한 평면의 입면을 갖고, 상기 디스펜서하우징(200)은 절곡된 입면을 가진다. 특히 디스펜서하우징(200)은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후방으로 원통형으로 함몰된 입면을 가지도록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냉장고 아웃도어는 하나의 철판(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을 상부 및 하부는 평면 형상이고, 중간부는 원통형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하나의 금형 상에서 프레스로 가공하여 3개의 조각을 한번에 작업함으로써 제작이 가능할 수도 있다. 물론, 상부 및 하부도어부재와 디스펜서하우징 부재를 각각 별도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상부 및 하부도어부재(110, 120)와 디스펜서하우징(200)은 동일한 재질인 스테인레스 재질로 프레스 가공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일체화된 스테일레스 질감을 구현 가능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키며, 기존 플라스틱 재질에 비해 긁힘, 파손을 염려를 없애고,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앞서 제작된 상부 및 하부도어부재와 디스펜서하우징 부재를 결합하여 냉장고의 아웃도어를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부도어부재(110)와 디스펜서하우징(200) 부재 사이에 제1결합부재(300)를 체결하고, 디스펜서하우징(200) 부재와 하부도어부재(120) 사이에 제2결합부재(400)를 체결하여 완성된 우웃도어를 제작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결합부재(300)는 상측에 상부도어부재(110)의 하단에 대응하도록 전면부(301)와 측벽부(303)가 형성되어 상부도어부재(110)에 체결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하측은 하우징결속부(360)가 형성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디스펜서하우징(200)의 상단이 체결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재(300)는, 전면부(301)에서 물 또는 얼음의 취출상태 및 취출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10); 사용자가 물 또는 얼음의 디스펜서 기능을 조작하는 버튼부(330); 및 하부에 상기 디스펜서하우징(200)이 체결되는 하우징결속부(360);를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10)는, 디스펜서 장치의 기능 및 상태를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또는 얼음의 취출 여부, 물의 온도 내지 취출량 설정값, 얼음의 취출개수 설정값, 내장되어 있는 물 또는 얼음의 현존량, 현재 온도 등 다양한 수치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33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310)에 표시된 값을 확인하고, 디스펜서 장치의 작동기능을 설정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물 또는 얼음 선택기능, 온도 설정기능, 취출량 설정기능 등을 사용자가 조절하여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결속부(36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 만곡된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도 5에서처럼 하측에서 체결되는 디스펜서하우징(200)의 함몰된 입면과 대응되어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결속부(360)의 하면에는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는 배출덕트(7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결속부(360)는 디스펜서 장치의 상측 천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냉장고 내부에 위치한 제빙기 또는 물 저장탱크로부터 얼음 또는 물을 하측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배출덕트(700)가 구비된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결합부재(400)는 하측에 하부도어부재(120)의 상단에 대응하도록 전면부(401)와 측벽부(403)가 형성되어 하부도어부재(120)에 체결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측은 하우징결속부(460)가 형성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디스펜서하우징(200)의 하단이 체결 조립되도록 한다.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결합부재(400)는 상기 디스펜서하우징(200)에 체결되는 하우징결속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결속부(460)는, 앞서 살펴본 제1결합부재의 하우징결속부(360)와 마찬가지로 후방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결합부재(120)의 하우징결속부(460)가 상측에 위치하는 디스펜서하우징(200)의 함몰된 하단에 체결 조립된다.
상기 하우징결속부(460)는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디스펜서의 잔수를 보관하는 잔수받이함몰부(463);를 포함한다. 상기 잔수받이함몰부(463)는 상기 디스펜스부(20)의 하부에 오목하게 패인 형상의 집수부로 형성된다.
상기 잔수받이함몰부(463)는 상기 디스펜스를 이용하고나서 컵을 제거했을 때 배출덕트(700)가 완전히 폐쇄되기 전 짧은 시간동안 개방되는 틈새로부터 흘러내린 잔수를 모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잔수가 냉장고가 설치된 지역의 바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상부 및 하부도어부재(110, 120)와 디스펜서하우징(200)을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구조를 장착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냉장고(1)는 냉장실 및 냉동실을 구비한 냉장고본체(1);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20); 및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100);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도어(100)는, 상측을 형성하는 상부도어부재(110); 하측을 형성하는 하부도어부재(120); 상기 상부도어부재와 하부도어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물 또는 얼음의 배출덕트가 구비된 디스펜서가 장착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디스펜서하우징(200); 상부도어부재와 디스펜서하우징 사이에 체결되는 제1결합부재(300); 및 하부도어부재와 디스펜서하우징 사이에 체결되는 제2결합부재(400);를 포함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구조의 조립 및 입면상 특징을 살펴본다. 먼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100) 단면을 살펴보면, 냉장고 도어는 일정두께를 가지고 아웃도어케이스를 형성하는 상부 및 하부도어부재(110, 120)와 디스펜서하우징(200) 내부에 단열재(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접하는 도어 내측은 도어라이너(160)에 의해 결합되어 완성된 냉장고 도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구조에서 아웃도어케이스의 제작은 상부 및 하부도어부재와 디스펜서하우징에 의해 제1결합부재(300) 및 제2결합부재(400)에 의해 조립된다.
이에 제1결합부재(300)에 의해 조립되는 부위를 살펴보면, 상기 상부도어부재(110)는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결합용단차(113)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하우징(200)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결합용단차(213)가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300)의 상단 테두리 및 하우징결속부(360)가 상기 결합용단차(113, 213)의 절곡된 부위에 내입 체결된다.
그리고, 제2결합부재(400)에 의해 조립되는 부위를 살펴보면, 상기 하부도어부재(120)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결합용단차(123)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하우징(200)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결합용단차(223)가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부재(400)의 하단 테두리 및 하우징결속부(460)가 상기 결합용단차(123, 223)의 절곡된 부위에 내입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도어부재(110)와 제1결합부재(300)의 표면 및 하부도어부재(120)와 제2결합부재(400)의 표면이 동일한 입면상에 형성될 수 있고, 수려한 외관을 형성하며 이물질에 의한 오염 등을 방지하여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냉장고 도어구조는 내부에 저장된 물이나 얼음을 도어의 개방없이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스장치를 가지는 냉장고 도어(100)에 있어서; 상단에 위치하여 평탄한 전방 입면을 갖는 제1도어부재(101); 중단에 위치하여 내측으로 함몰 절곡된 입면을 갖고,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는 디스펜서가 내장되어 디스펜서하우징의 기능을 하는 제2도어부재(102); 및 최하단에 위치하여 평탄한 전방 입면을 갖는 제3도어부재(103);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부재, 제2도어부재 및 제3도어부재는 하나의 단일한 부재를 단일금형 상에서 프레스 가공하여 각각 한번의 작업으로 아웃도어를 제작하는 냉장고의 도어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상기 제1도어부재(101), 제2도어부재(102) 및 제3도어부재(103)는 동일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하여 일체화된 질감 구현 및 긁힘, 파손의 염려를 일소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구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 : 냉장고 본체 10 : 냉동실 도어
13 : 아웃도어케이스 15 : 디스펜서삽입구
20 : 냉장실 도어 30 : 디스펜서하우징
C : 접착제 또는 발포제
100 : 냉동실 도어 101 : 제1도어부재
102 : 제2도어부재 103 : 제3도어부재
110 : 상부도어부재 113 : 결합용단차
120 : 하부도어부재 123 : 결합용단차
150 : 단열재 160 : 도어라이너
200 : 디스펜서하우징 213,223 : 결합용단차
230 : 물/얼음 취출패드 300 : 제1결합부재
301 : 전면부 303 : 측벽부
310 : 디스플레이부 330 : 버튼부
360 : 하우징결속부 400 : 제2결합부재
401 : 전면부 403 : 절곡측부
460 : 하우징결속부 463 : 잔수받이 함몰부
700 : 물/얼음 배출덕트

Claims (11)

  1. 내부에 저장된 물이나 얼음을 도어의 개방없이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스장치를 가지는 냉장고 도어에 있어서;
    냉장고 도어의 상측을 형성하는 상부도어부재;
    냉장고 도어의 하측을 형성하는 하부도어부재;
    상기 상부도어부재와 하부도어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물 또는 얼음의 배출덕트가 구비된 디스펜서가 장착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디스펜서하우징; 및
    상기 디스펜서하우징이 상부도어부재 및 하부도어부재 사이에 체결되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부도어부재와 디스펜서하우징 사이에 체결되는 제1결합부재; 및
    하부도어부재와 디스펜서하우징 사이에 체결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는,
    전면부에서 물 또는 얼음의 취출상태 및 취출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가 물 또는 얼음의 디스펜서 기능을 조작하는 버튼부; 및
    하부에 상기 디스펜서하우징이 체결되는 하우징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결속부의 하면에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는 배출덕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디스펜서하우징에 체결되는 하우징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결속부는,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디스펜서의 잔수를 보관하는 잔수받이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구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부재는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결합용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하우징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결합용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재의 상단 테두리 및 하우징결속부가 상기 결합용단차의 절곡된 부위에 내입 체결되고,
    상기 하부도어부재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결합용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하우징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결합용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부재의 하단 테두리 및 하우징결속부가 상기 결합용단체의 절곡된 부위에 내입 체결되어,
    상부도어부재와 제1결합부재의 표면 및 하부도어부재와 제2결합부재의 표면이 동일한 입면상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의 도어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하우징은,
    사용자가 누르거나 터치하여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는 취출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구조.
  9. 내부에 저장된 물이나 얼음을 도어의 개방없이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스장치를 가지는 냉장고 도어에 있어서;
    상단에 위치하여 평탄한 전방 입면을 갖는 제1도어부재;
    중단에 위치하여 내측으로 함몰 절곡된 입면을 갖고,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는 디스펜서가 내장되어 디스펜서하우징의 기능을 하는 제2도어부재; 및
    최하단에 위치하여 평탄한 전방 입면을 갖는 제3도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부재, 제2도어부재 및 제3도어부재는 하나의 단일한 부재를 단일금형 상에서 프레스 가공하여 각각 한번의 작업으로 아웃도어를 제작하는 냉장고의 도어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부재, 제2도어부재 및 제3도어부재는 동일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구조.
  11. 냉장실 및 냉동실을 구비한 냉장고본체;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 및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도어는,
    상측을 형성하는 상부도어부재;
    하측을 형성하는 하부도어부재;
    상기 상부도어부재와 하부도어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물 또는 얼음의 배출덕트가 구비된 디스펜서가 장착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디스펜서하우징;
    상부도어부재와 디스펜서하우징 사이에 체결되는 제1결합부재; 및
    하부도어부재와 디스펜서하우징 사이에 체결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20013915A 2012-02-10 2012-02-10 냉장고 KR20130092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915A KR20130092278A (ko) 2012-02-10 2012-02-10 냉장고
EP13000612.5A EP2626658B1 (en) 2012-02-10 2013-02-06 Doo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TR2019/08134T TR201908134T4 (tr) 2012-02-10 2013-02-06 Buzdolabina uygun bi̇r kapi ve böyle bi̇r kapiya sahi̇p olan bi̇r buzdolabi
EP19162737.1A EP3517868A1 (en) 2012-02-10 2013-02-06 Doo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3/761,482 US9068772B2 (en) 2012-02-10 2013-02-07 Doo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201310049107.0A CN103245160B (zh) 2012-02-10 2013-02-07 用于冰箱的门及具有该门的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915A KR20130092278A (ko) 2012-02-10 2012-02-10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569A Division KR20140022932A (ko) 2014-01-10 2014-01-10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278A true KR20130092278A (ko) 2013-08-20

Family

ID=4772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915A KR20130092278A (ko) 2012-02-10 2012-02-10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68772B2 (ko)
EP (2) EP2626658B1 (ko)
KR (1) KR20130092278A (ko)
CN (1) CN103245160B (ko)
TR (1) TR201908134T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481B1 (ko) * 2015-06-16 2016-11-0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 기기의 디스펜서 구조물과 그 작동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8830A1 (de) * 2015-05-12 2016-11-17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Türsteuerung
KR102615047B1 (ko) * 2016-09-26 2023-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080649A (ko) 2017-01-04 2018-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심온 냉동칸을 구비하는 냉장고
KR102360680B1 (ko) * 2017-05-18 2022-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DE102017209854A1 (de) * 2017-06-12 2018-12-13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m Eis-Wasser-Spender
US11525615B2 (en) 2017-12-08 2022-12-13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US10837690B2 (en) 2017-12-08 2020-11-17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US10852046B2 (en) 2018-12-10 2020-12-01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door-mounted fluid dispenser
US11293680B2 (en) 2019-06-14 2022-04-05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multiple ice movers
CN115493353B (zh) * 2021-06-18 2024-02-20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冰箱门体、冰箱以及冰箱门体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1939A (en) * 1973-11-05 1974-12-03 Gen Motors Corp Cabinet sliding panel and tracking arrangement
JP2000088444A (ja) 1998-09-17 2000-03-31 Toshiba Corp 断熱扉
KR100518412B1 (ko) * 2003-03-19 2005-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디스펜서의 잔수 받이 구조
KR100488074B1 (ko) * 2003-03-22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구조
US7201005B2 (en) 2004-06-04 2007-04-10 Whirlpool Corporation Measured fill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
US7455085B2 (en) * 2004-06-04 2008-11-25 Whirlpool Corporation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s
KR20060133763A (ko) 2005-06-21 2006-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어기의 설치구조
KR100756467B1 (ko) 2006-06-05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766062B1 (ko) * 2006-07-12 200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1131292B (zh) * 2006-08-22 2012-03-14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电冰箱门
KR101275568B1 (ko) * 2006-10-24 2013-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홈바
US8104853B2 (en) * 2006-12-19 2012-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oor thereof
KR100880198B1 (ko) 2007-05-29 2009-01-28 최문희 개폐가 용이한 정수기 커버구조
KR100877989B1 (ko) * 2007-11-15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KR101443913B1 (ko) * 2007-12-12 2014-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디스펜서프레임
KR100949288B1 (ko) * 2008-04-02 2010-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KR20090107367A (ko) * 2008-04-08 2009-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디스펜서
JP5260203B2 (ja) * 2008-05-30 2013-08-1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DE102008028585A1 (de) * 2008-06-16 2009-12-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is-/Flüssigkeitsspendernische
KR101307862B1 (ko) * 2008-08-05 2013-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및 냉장고 도어의 제조 방법
KR20110042786A (ko) * 2009-10-20 2011-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 방법
US20120272670A1 (en) * 2009-12-31 2012-11-01 Bongjun Choi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13914B1 (ko) 2010-07-06 2012-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668703B1 (ko) * 2010-07-20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120140392A (ko) * 2011-06-21 2012-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481B1 (ko) * 2015-06-16 2016-11-0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 기기의 디스펜서 구조물과 그 작동 제어 장치 및 방법
US9982939B2 (en) 2015-06-16 2018-05-29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Dispenser structure for refrigeration equip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26658A2 (en) 2013-08-14
EP3517868A1 (en) 2019-07-31
EP2626658B1 (en) 2019-05-22
US20130207530A1 (en) 2013-08-15
CN103245160A (zh) 2013-08-14
CN103245160B (zh) 2016-01-06
US9068772B2 (en) 2015-06-30
TR201908134T4 (tr) 2019-06-21
EP2626658A3 (en)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2278A (ko) 냉장고
US11320187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274869B2 (en) Refrigerator
US11624540B2 (en) Refrigerator
US11137187B2 (en) Refrigerator
US20150059399A1 (en) Refrigerator
US20120017629A1 (en) Dispens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20060144074A1 (en) Refrigerator with forward projecting dispenser
KR20140022932A (ko) 냉장고
KR20130119278A (ko) 워터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