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293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293B1
KR101611293B1 KR1020130154068A KR20130154068A KR101611293B1 KR 101611293 B1 KR101611293 B1 KR 101611293B1 KR 1020130154068 A KR1020130154068 A KR 1020130154068A KR 20130154068 A KR20130154068 A KR 20130154068A KR 101611293 B1 KR101611293 B1 KR 101611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connector
purified water
midd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172A (ko
Inventor
김유채
방석진
정철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4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293B1/ko
Publication of KR20150068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된 미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미들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미들프레임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고, 복수의 밸브가 장착되어 유로를 통제하는 유로전환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중지지와 유로조절이 가능한 유로전환모듈을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화된 음용수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 가정을 비롯한 다양한 공간에서 정수기의 사용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의 자연수(이하, 정수되기 전 상태의 물을 '원수'라 함)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여러개의 필터를 통해 원수를 여과하여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음용수를 제공한다.
정수기는 냉수 또는 온수를 제공하는 기능 외에, 복수의 필터를 구비하여 다양한 성분을 여과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스트레스, 환경오염 등으로 과다하게 발생한 체내 활성산소가 고혈압 당뇨 심장병과 같은 현대 성인병의 중요한 요인이 되고 또한 노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지적됨에 따라 수소가 풍부한 환원수를 음용하는 것이 체내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건강을 지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이론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필터장치를 거친 정수를 환원수로 전환하여 이용자에게 공급하도록 마련된 정수기가 등장하고 있다. 이와같이 다앙한 종류의 정수를 제공하기 위하여는 다양한 유로를 통제할 수 있는 복수의 밸브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복수의 밸브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없어 케이싱 내부의 배치가 복잡해져 공간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유로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내부 구조를 간단히하여 조립 및 수리가 용이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유로제어 기능과 하중지지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유로전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공간사용의 효율화를 도모하여 외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된 미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미들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미들프레임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고, 복수의 밸브가 장착되어 유로를 통제하는 유로전환모듈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복수의 밸브가 모여있어 유로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밸브 배치를 최적화하여 구성이 간결해지므로 조립 및 수리가 용이해지는 장점도 있다.
셋째, 하중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별도의 프론트 프레임이 필요없게 되는 장점도 있다.
넷째, 부품수가 감소하여 공간활용도가 증가하므로 체적이 감소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내부구성을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로전환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밸브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로전환모듈의 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지지부에 배치된 밸브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로전환모듈의 기능을 표현한 수배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정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내부구성을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 베이스(1)의 상측에 배치된 미들프레임(3); 및 베이스(1)와 미들프레임(3) 사이에 배치되어 미들프레임(3)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고, 복수의 밸브(110)가 장착되어 유로를 통제하는 유로전환모듈(100)을 포함한다. 베이스(1)는 정수기의 하측에 배치된다. 베이스(1)는 바닥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베이스(1)는 리어프레임(5)을 지지한다. 베이스(1)는 유로전환모듈(100)을 지지한다. 리어프레임(5)은 베이스(1)에 수직하게 세워진다. 리어프레임(5)은 미들프레임(3)을 지지한다. 미들프레임(3)은 리어프레임(5)과 수직하게 연결된다. 미들프레임(3)은 후술할 여과부 및 저수조(7)등을 지지한다.
유로전환모듈(100)은 복수의 밸브(110)를 포함한다. 복수의 밸브(110)는 유로를 통제한다. 유로전환모듈(100)은 미들프레임(3)을 하중을 지지한다. 유로전환모듈(100)은 미들프레임(3)의 하중을 베이스(1)에 전달한다. 미들프레임(3)과 베이스(1)는 대략 평형하게 배치되고, 유로전환모듈(100)은 미들프레임(3)과 베이스(1)에 대략 수직하게 배치된다. 유로전환모듈(100)은 베이스(1) 및 미들프레임(3)으로부터 압축하중을 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6); 및 필터(6)로부터 배출된 정수와 열 에너지를 교환하는 저수조(7)를 포함하고, 미들프레임(3)은, 필터(6)를 지지하는 필터삽입부(8) 및 저수조(7)를 지지하는 저수조안착부(9)를 포함한다. 정수기는 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는 복수의 필터(6)를 포함한다. 여과부는, 세디먼트 필터(6)(sediment filter), 프리카본 필터(6)(pre-carbon filter),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6)(reverse omosis membrane filter), 포스트카본 필터(6)(post-carbon filter) 및 나노필터(6)(nano-filter)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6)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터(6)의 종류, 개수 및 순서는 정수장치의 여과방식 또는 정수장치에 요구되는 여과성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디먼트 필터(6)와 프리 카본필터(6)가 일체화된 전처리 복합필터(6)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역삼투막 필터(6)대신에 중공사막 필터(6)(ultra filtration filter)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필터(6)를 대신하거나 추가하여마이크로 필터(6)(micro filter)나 다른 기능성 필터(6)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세디먼트 필터(6)는 부직포가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과 부유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프리카본 필터(6)는 계면 활성탄이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 등을 여과할 수 있다. 역삼투 멤브레인 필터(6)는 0. 001um정도의 미세한 입자를 여과할 수 있다. 포스트카본 필터(6)는 프리카본 필터(6)의 계면 활성탄보다 흡착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색소와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중공사막 필터(6)는 가운데가 비어 있는 실 모양의 막이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세균을 여과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로전환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밸브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로전환모듈(100)은, 밸브(110)가 장착되고 미들프레임(3)과 베이스(1) 사이에 세워진 하중지지부(130)를 포함한다. 유로전환모듈(100)은 유로를 단속하는 밸브(110)와 밸브(110)가 장착된 하중지지부(130)를 포함한다. 하중지지부(130)는 미들프레임(3)과 베이스(1) 사이에 배치된다. 하중지지부(130)는 미들프레임(3)과 베이스(1)로부터 압축하중을 받는다. 하중지지부(130)의 종방향 길이는 하중지지부(130)의 횡단면의 치수에 비해 클 수 있다.
하중지지부(130)는, 밸브(110)가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장착판(131); 및 장착판(131)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이스(1)와 미들프레임(3)에 고정되는 플렌지(132)를 포함한다. 장착판(131)은 밸브(110)가 복수로 배치된다. 밸브(110)는 정수기가 배출하는 물의 수질 또는 수온에 따라 개수가 각각 달라진다. 예를 들어, 정수기가 미네랄수 및 이온수 등을 제공하거나, 온수, 냉수 및 정수 중 제공하는 물의 종류 등에 따라 밸브(110)의 개수는 증감한다.
장착판(131)은 복수의 밸브(110)가 장착된다. 장착판(131)은 플렌지(132)와 연결된다. 플렌지(132)는 하측에 형성되어 베이스(1)와 연결되거나, 상측에 형성되어 베이스(1)와 연결될 수 도 있고,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플렌지(132)는 유로전환모듈(100)을 베이스(1)와 미들프레임(3)에 고정한다. 플렌지(132)는 장착판(131)을 베이스(1)와 미들프레임(3) 사이에 고정시킨다. 장착판(131)은 베이스(1)와 미들프레임(3)으로부터 압축하중을 받는다. 장착판(131)은 종방향길이가 횡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베이스(1) 또는 미들프레임(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통형홈(133)이 형성되고, 플렌지(132)는, 원통형홈(133)에 삽입되는 원통형돌기(134)를 포함한다. 플렌지(132)는 원통형홈(133)이 형성되고, 베이스(1) 또는 미들프레임(3)은 원통형홈(133)에 의해 고정되는 원통형돌기(134)가 형성될 수 있다. 원통형돌기(134)는 내부가 빈 원통형 일 수 있다. 원통형홈(133)과 원통형돌기(134)는 서로 형합한다.
베이스(1) 및 미들프레임(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노치(미도시)가 형성되고, 플렌지(132)는, 노치(미도시)에 삽입되는 끼움부(136)를 포함한다. 노치(미도시)는 플렌지(13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1) 및/또는 미들프레임(3)은 노치(미도시)에 삽입되는 끼움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노치(미도시)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136)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노치(미도시)와 끼움부(136)는 서로 형합하며, 서로 탈거가능하게 결합한다.
플렌지(132)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베이스(1) 또는 미들프레임(3)을 지지하는 직립유지부(137)를 포함한다. 직립유지부(137)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직립유지부(137)는 정수기의 전방을 향하여 길게 돌출될 수 있다. 직립유지부(137)는 장착부와 직각되게 연결될 수 있다. 직립유지부(137)는 베이스(1) 또는 미들프레임(3)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직립유지부(137)에 형성된 리브로 인해 직립유지와 평판부는 경사지게 연결될 수도 있다.
하중지지부(130)는, 장착판(131)의 가장자리를 감싸 장착판(131)의 좌굴하중을 증가시키는 좌굴방지리브(138)를 포함한다. 베이스(1) 또는 미들프레임(3)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가 어느 일정치를 넘으면 변형 형상이 그 전까지의 형상과 다른 형태로 변화해, 하중을 견디는 능력이 감소할 수 있다. 좌굴 하중은 단면의 두께와 길이의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 좌굴은 장착부의 길이가 길고, 장착부의 단면적이 작을수록 좌굴하중(buckling load)이 작다. 좌굴하중을 증가시키기 위해 장착판(131)의 테두리는 좌굴방지 리브가 배치된다. 좌굴방지리브(138) 장착판(131)의 테두리를 감싼다. 좌굴방지리브(138)는 장착판(131)의 좌굴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하중지지부(130)는, 좌굴방지리브(138)로부터 돌출되어 밸브(110)와 연결되는 전선이 걸림되는 후크(139)를 더 포함한다. 장착판(131)은 일부가 절개될 수 있다. 장착판(131)은 후크(139) 형상으로 절개될 수 있다. 후크(139)는 좌굴방지리브(138)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좌굴방지리브(138)의 일부는 후크(139)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밸브(110)는 복수로 배치되고, 유로전환모듈(100)은, 복수의 밸브(110)들 사이를 연결하고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유로를 형성하는 커넥터(150)를 더 포함한다. 밸브(110)는 정수기의 기능에 따라 증감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전면부(170)에 총 6개의 밸브(110)가 배치되고 후면부(180)에 1개의 밸브(110)가 배치되나, 이는 냉수, 정수 외에 이온수가 미네랄수가 추가되면 밸브(110)는 추가로 배치된다. 커넥터(150)는 복수의 밸브(110)와 연결된다. 커넥터(150)는 횡방향으로 분배된 복수의 유로를 형성한다. 커넥터(150)는 종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포함한다.
유로전환모듈(100)은, 밸브(110)가 고정 장착되는 밸브고정부(160)가 복수로 형성되고, 커넥터(150)는 밸브고정부(160)들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복수의 밸브(110)와 연결된다. 밸브고정부(160)는 장착판(131)에 형성된다. 밸브고정부(160)는 복수로 형성된다. 밸브고정부(160)는 전면부(170) 및/또는 후면부(180)에 형성된다. 밸브고정부(160)는 효율적 배치를 위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열을 지어 형성될 수 있다. 밸브고정부(160)가 형성하는 횡렬 또는 종렬들 사이로 커넥터(150)가 배치된다. 커넥터(150)는 복수의 밸브(110)와 연결된다.
밸브(110)는, 커넥터(150)와 연결되는 전환포트(111); 전환포트(111)로부터 유입된 물 또는 전환포트(111)로 향하는 물이 유동하는 연결포트(113); 전환포트(111) 방향에 배치되어 밸브고정부(160)에 고정되는 전환브라켓(115); 및 연결포트(113) 방향에 배치되어 밸브고정부(160)에 고정되는 연결브라켓(116)을 포함하고, 밸브고정부(160)는, 전환브라켓(115)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포켓부(161)를 포함한다. 밸브(110)는 커넥터(150)와 연결된다. 밸브(110)는 커넥터(150)로 향하거나 커넥터(150)에서 배출된 물이 유동하는 전환포트(111)를 포함한다. 밸브(110)는 양단에 전환포트(111)와 연결포트(113)가 배치된다. 전환포트(111)의 반대편에는 연결포트(113)가 형성된다.
전환포트(111)는 커넥터(150)를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연결포트(113)는 커넥터(150)의 반대편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밸브(110)는 좌우 양방향으로 돌출된 브라켓을 포함한다. 전환브라켓(115)은 커넥터(150)를 향해 돌출형성된다. 연결브라켓(116)은 커넥터(150)의 반대방향을 향해 돌출형성된다. 밸브고정부(160)는 연결브라켓(116)과 전환브라켓(115)과 각각 연결된다. 포켓부(161)는 커넥터(150) 방향에 형성된다.
포켓부(161)는, 전환포트(111)가 커넥터(150)와 연결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전환브라켓(115)이 삽입되는 개구부(163)가 형성된다. 포켓부(161)는 개구부(163)가 형성된다. 개구부(163)는 커넥터(150)의 반대방향을 바라보게 형성된다. 전환포트(111)를 커넥터(150)와 연결하기 위해 수평이동하면 전환브라켓(115)은 포켓부(161)에 삽입된다. 전환브라켓(115)이 이동하면 전환브라켓(115)은 개구부(163)를 관통하여 포켓부(161)에 안착된다. 포켓부(161)는 전환브라켓(115)을 수용한다.
밸브고정부(160)는, 연결브라켓(116)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격벽(165)을 포함한다. 지지격벽(165)은 포켓부(161)의 일면이 제거된 형상일 수 있다. 지지격벽(165)은, 정수기의 전면을 향해 개구된다. 지지격벽(165)은 연결브라켓(116)의 하단을 지지한다. 연결브라켓(116)은 지지격벽(165)에 의해 고정되고, 볼트에 의해 장착판(131)과 고정된다. 지지격벽(165)은 장착판(131)과 연결브라켓(116)을 연결하는 볼트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다.
밸브(110)는, 연결포트(113)와 전환포트(111)가 연결된 본체(117); 및 본체(117)의 상측에 배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119)를 포함하고, 밸브고정부(160)는, 구동부(119)와 본체(117)의 단차만큼 돌출되어 구동부(119)를 고정하는 고정부(167)를 더 포함한다. 구동부(119)는 인가된 전류에 의해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을 포함한다. 밸브(110)는 본체(117)의 내측 상부에 삽입되는 코어, 코어의 외부에 설치되는 코일,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된 전자기장에 따라 승강 동작하는 플런저, 플런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 플런저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전환포트(111)와 연결포트(113)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는 유로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110)는 평상시 코일에 전원이 미인가되면, 플런저가 리턴 스프링에 의해 하강 동작함에 따라 유로차단부가 배출공을 개방하여 유체가 외부로 배출된다.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플런저가 전자기장에 의해 상승 동작함에 따라 유로차단부가 배출공을 폐쇄하여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고정부(167)는 장착판(131)에 형성된다. 고정부(167)는 돌출된다. 구동부(119)는 원형일 수 있다. 고정부(167)는 구동부(119)와 본체(117)의 단차 차이로 인해 밸브(11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로전환모듈의 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지지부에 배치된 밸브의 평면도이다.
도 5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밸브고정부(160)는, 경사지게 돌출되어 밸브(110)를 지지하는 경사지지부(169)를 더 포함하고, 유로전환모듈(100)은, 커넥터(150)가 배치되는 전면부(170); 경사지지부(169)가 배치된 후면부(180); 및 커넥터(150)와 연결된 배관이 관통하여 후면부(180)로 향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관통부(190)를 포함한다. 경사지지부(169)는 장착부의 후면부(180)에 형성된다. 경사지지부(169)는 정수기의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전면부(170)는 커넥터(150)와 복수의 밸브(110)를 배치된다. 전면부(170)는 정수기의 전면을 향해 배치된다. 후면부(180)는 전면부(170)의 반대면이다. 후면부(180)는 정수기의 후면을 향해 배치된다. 장착부는 관통부(190)를 형성한다. 커넥터(150)와 연결된 유로는 관통부(190)를 통해 후면으로 연장된다. 전면부(170)와 후면부(180)는 관통부(190)가 형성된다.
경사지지부(169)의 각도(θ)는, 전환포트(111)와 장착판(131)이 이루는 각도(Φ)와 동일할 수 있다. 전환포트(111)는 장착판(131)과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경사지지부(169)는 밸브(110)와 장착판(131)이 서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밸브고정부(160)는, 연결브라켓(116)이 종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림턱(195)을 포함한다. 걸림턱(195)은 정수기의 상측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밸브(11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면 연결브라켓(116)은 걸림턱(195)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전환브라켓(115)은 커넥터(150)를 향해 배치된다. 전환브라켓(115)은 관통부(190)를 향해 배치된다. 경사지지부(169)는 포켓부(161)가 형성될 수 있다. 밸브(110)를 관통부(190) 방향으로 수평이동하면 전환브라켓(115)은 포켓부(161)에 삽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로전환모듈의 기능을 표현한 수배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6); 필터(6)를 통과한 후 유동하는 정수로부터 열 에너지를 흡수하는 냉각배관(92); 및 냉각배관(92)이 잠기고 냉각배관(92)으로부터 열 에너지를 흡수하는 냉수가 저장된 냉수조(93)를 포함하고, 밸브(110)는, 필터(6)로부터 배출된 정수를 커넥터(150)로 공급하는 정수입수밸브(121); 및 커넥터(150)를 통해 유입된 정수를 냉수조(93)로 공급하는 냉수조공급밸브(123)를 포함한다.
정수기는 열 교환부를 포함한다. 열 교환부는 케이싱 내부에 배치된다. 열교환부는 냉각부 및/또는 가열부를 포함한다. 냉각부는 기상냉매에 기계적 에너지를 가하여 기상냉매를 압축하고 고온고압의 기상냉매를 토출하는 압축기와 기상냉매가 응축되고, 액화열를 방출하며 고온고압의 액상냉매를 토출하는 응축기와 교축작용을 통하여 고온고압의 액상냉매를 증발이 가능한 압력까지 감압하는 팽창밸브(110)와 저온저압의 액상냉매가 기화열을 흡수하여 저온저압의 기상냉매로 변하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증발기를 유동하는 냉매는 냉수조(93)에 수용된 정수로부터 기화열을 공급받는다. 냉수조(93)에 수용된 정수는 냉각된다. 냉수조(93)는 냉수를 배출한다. 냉수조(93)의 내부에는 냉각배관(92)이 형성될 수 있다. 직수형 정수기의 경우 사용자가 취수하는 냉수는 냉각배관(92)을 유동한다. 냉각배관(92)은 냉수조공급밸브(123)와 연결된다. 냉수조공급밸브(123)를 통과한 냉수는 커넥터(150)로 유동한다. 커넥터(150)를 통과한 냉수는 메인출수밸브(125)를 통해 메인출수부(81)로 배출된다. 필터(6)에서 배출된 상온의 정수는 정수입수밸브(121)를 통해 커넥터(150)로 유입된다. 냉수조공급밸브(123)가 개방되면 커넥터(150)로 유입된 정수는 냉수조(93)로 유동한다. 냉수조(93)로 공급된 정수는 증발기와 열교환하여 냉수가된다. 냉수조(93)에 저장된 냉수는 냉각배관(92)을 유동하는 정수와 열교환한다. 냉수조배출밸브(141)가 개방되면 냉수조(93)에 저장된 냉수는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싱;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6); 정수가 배출되고 케이싱의 외부에 배치된 메인출수부(81); 정수가 배출되고 메인출수부(81)와 별도로 배치된 서브출수부(83); 및 필터(6)에서 배출된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배관(70)을 포함하고, 밸브(110)는, 일측은 정수배관(70)과 연결되고 타측은 커넥터(150)와 연결된 정수입수밸브(121); 일측은 커넥터(150)와 연결되고 타측은 메인출수부(81)로 향하는 정수를 배출하는 메인출수밸브(125); 및 일측은 정수배관(70)과 연결되고 타측은 서브출수부(83)로 향하는 정수를 배출하는 서브출수밸브(126)를 포함한다.
메인출수부(81)는 냉수, 정수 및 온수 등을 배출할 수 있다. 서브출수부(83)는 메인출수부(81)와 별도로 형성된다. 서브출수부(83)는 직경이 넓은 냄비나 조리기구등에 직접 정수를 공급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출수부(83)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거나, 회전반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서브출수부(83)는 메인출수부(81)보다 케이싱으로부터 이격되어 정수를 배출할 수 있다.
서브출수부(83)는 정수, 온수 또는 냉수를 배출할 수도 있으나, 실시예로 정수만 배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브출수밸브(126)는 메인출수밸브(125)와 별도로 형성된다. 또한, 서브출수밸브(126)는 커넥터(150)와 연결되지 않는다. 서브출수밸브(126)와 커넥터(150)가 연결되면 서브출수부(83)로 정수를 배출하기 위해 최소 두개의 밸브(110)가 구동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브출수밸브(126)는 필터(6)로부터 배출된 정수를 직접 공급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6); 필터(6)에서 배출된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배관(70); 및 정수배관(70)에서 배출된 정수가 열 에너지를 흡수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온수조(91)를 포함하고, 밸브(110)는, 일측은 정수배관(70)과 연결되고, 타측은 온수조(91)로 향하는 정수를 배출하는 온수조공급밸브(124); 및 일측은 온수조(91)에서 배출된 온수가 입수하고, 타측은 커넥터(150)와 연결된 온수입수밸브(122)를 포함한다. 가열부는 전류가 인가되고 줄열을 발생하는 저항선과 저항선으로부터 줄열을 흡수하는 온수조(91)를 포함한다.
온수조(91)에 수용된 정수는 온수조(91)로부터 열 에너지를 흡수하여 가열된다. 온수조(91)는 온수를 배출한다. 온수조(91)는 상온의 정수를 수용한다. 정수는 온수조(91)에서 열 에너지를 흡수한다. 온수조(91)는 온수를 배출한다. 온수조공급밸브(124)는 필터(6)를 통과한 정수를 공급받는다. 온수조공급밸브(124)가 유로를 개방하면 정수는 온수조(91)로 유동한다. 스팀밸브(143)를 개방하면 온수조(91)에 형성된 스팀이 냉수배관으로 유동한다. 냉수배관으로 유동하는 스팀은 냉수배관을 살균 및 세척한다. 온수입수밸브(122)를 개방하면 온수조(91)에 수용된 온수는 커넥터(150)로 유동한다. 메인출수밸브(125)가 유로를 개방하면 메인출수부(81)로 온수가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커넥터(150)는,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밸브(110)와 연결되는 밸브연결부(153); 및 종방향으로 돌출되어 배관과 연결되는 배관연결부(151, 155)를 포함하고, 배관연결부(151, 155)는, 상측에 형성되고, 냉수가 입수하는 냉수입수부(151); 및 하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된 물이 자중에 의하여 유동하는 잔수유동부(155)가 형성된다. 커넥터(150)는 종방향으로 길게 장착판(131)에 배치된다. 커넥터(150)는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유로를 형성한다. 밸브연결부(153)는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밸브(110)와 연결된다. 밸브연결부(153)는 전환포트(111)와 연결된다.
배관연결부(151, 155)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배관연결부(151, 155)는 상측에 냉수입수부(151)가 형성된다. 배관연결부(151, 155)는 하측에 잔수유동부(155)가 형성된다. 냉수입수부(151)는 냉수배관과 연결된다. 잔수유동부(155)는 배출밸브(127)와 연결된다. 잔수유동부(155)와 배출밸브(127)를 연결하는 유로는 관통부(190)를 통과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잔수유동부(155)를 통해 공급된 정수를 배출하는 배출밸브(127)를 더 포함하고, 유로전환모듈(100)은, 커넥터(150)가 배치되는 전면부(170); 및 배출밸브(127)가 장착된 후면부(180)를 포함하고, 잔수유동부(155)와 배출밸브(127)를 연결하는 배관은 전면부(170)와 후면부(180)를 관통한다. 장착판(131)은 전면부(170)와 후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잔수유동부(155)와 배출밸브(127)를 연결하는 배관은 장착판(131)을 관통한다. 커넥터(150) 내부에 수용된 물은 자중에 의하여 하측에 고인다. 잔수유동부(155)는 커넥터(150)의 하측에 형성된다. 배출밸브(127)가 개방되면 잔수유동부(155)를 통해 물이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싱; 및 정수를 공급하고 케이싱의 외부에 배치된 메인출수부(81)를 더 포함하고, 밸브(110)는, 커넥터(150)로부터 공급된 정수를 메인출수부(81)를 향해 배출하는 메인출수밸브(125)를 포함하고, 메인출수밸브(125)는, 배출밸브(127)가 개방되면 유로를 개방한다. 커넥터(150)에 저장된 잔수는 배출밸브(127)가 개방되어도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150)의 내부의 기압이 대기압보다 낮아 잔수가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배출밸브(127)가 개방되면 메인출수밸브(125)는 개방될 수 있다.
메인출수밸브(125)가 개방되면 커넥터(150) 내부의 기압은 대기압과 동일해지므로 잔수는 배출밸브(127)로 유동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들프레임(3)은 복수의 필터(6)와 저수조(7)등이 배치되고, 복수의 필터(6)와 저수조(7)는 정수각 채워진다. 또한, 미들프레임(3)은 하측의 공간형성을 위해 베이스(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미들프레임(3)과 베이스(1)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은 하중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된다. 하중지지부(130)는 플렌지(132)가 형성되어 직립을 유지한다. 플렌지(132)는 하중지지부(130)를 베이스(1)와 미들프레임(3)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따라서, 진동이 감소하므로 지지구조에 악영향을 미치는 진동스트레스가 감소한다.
또한, 좌굴방지리브(138)는 장착판(131)의 테두리에 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므로 좌굴하중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별도의 플론트 프레임이 필요없어 정수기의 체적이 감소하고, 케이싱의 내부공간이 넓어진다. 또한, 후크(139)가 일체로 형성되어 전선 또는 유로를 고정할 수 있어 조립시 내부구조를 간결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밸브(110)들 사이에는 커넥터(150)가 배치된다. 커넥터(150)는 중심에 배치되고, 밸브(110)는 커넥터(150)를 향해 횡방향으로 삽입된다. 포켓부(161)는 개구부(163)를 형성하고, 개구부(163)는 전환브라켓(115) 방향으로 향해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시 밸브(110)를 커넥터(150)에 삽입하는 동작과 전환브라켓(115)을 포켓부(161)에 삽입하는 동작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어 공정이 단순해진다. 또한, 유로전환모듈(100)은 복수의 밸브(110)를 장착할 수 있는 밸브(110)장착부가 복수로 형성되므로,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정수기에 공용화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기능의 증가에 따라 밸브(110)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3)

  1.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가 삽입되는 필터삽입부가 상면의 전단부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미들프레임;
    상기 베이스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미들프레임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리어프레임;
    상기 베이스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미들프레임의 전단부를 지지하되,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미들프레임의 저면과 결합되며, 상기 리어프레임을 향하는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반대쪽 면에 해당하는 전면부를 갖는 하중지지부;
    상기 하중지지부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에 의해 여과된 정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커넥터; 및
    상기 하중지지부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며, 상기 유로를 단속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부는,
    상기 밸브가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장착판; 및
    상기 장착판의 하단부 및 상기 장착판의 상단부로부터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미들프레임에 고정되는 플렌지를 포함하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미들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통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는,
    상기 원통형 홈에 삽입되는 원통형 돌기를 포함하는 정수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미들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는,
    상기 노치에 삽입되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미들프레임을 지지하는 직립유지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부는,
    상기 장착판의 가장자리를 감싸 상기 장착판의 좌굴하중을 증가시키는 좌굴방지리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부는,
    상기 좌굴방지리브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밸브와 연결되는 전선이 걸림되는 후크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복수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의 유로는,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배관연결부와, 상기 배관연결부로부터 다수가 횡방향으로 분배되어 각각에 상기 밸브가 연결되는 밸브연결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부의 전면부에는, 각각에 상기 밸브가 고정 장착되는 밸브 고정부가 복수로 형성되는 정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전환포트;
    상기 전환포트로부터 유입된 물 또는 상기 전환포트로 향하는 물이 유동하는 연결포트;
    상기 전환포트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고정부에 고정되는 전환브라켓; 및
    상기 연결포트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고정부에 고정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고정부는,
    상기 전환브라켓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포캣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캣부는,
    상기 전환포트가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전환브라켓이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정수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고정부는,
    상기 연결브라켓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격벽을 포함하는 정수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연결포트와 상기 전환포트가 연결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고정부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본체의 단차만큼 돌출되어 상기 구동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고정부는,
    상기 하중지지부의 후면부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밸브를 지지하는 경사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중지지부는,
    상기 커넥터와 연결된 배관이 관통하여 상기 후면부로 향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관통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지부의 각도는,
    상기 전환포트와 상기 후면부가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정수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고정부는,
    상기 연결브라켓이 종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정수기.
  18. 제 9 항에 있어서,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후 유동하는 정수로부터 열 에너지를 흡수하는 냉각배관; 및
    상기 냉각배관이 잠기고 상기 냉각배관으로부터 열 에너지를 흡수하는 냉수가 저장된 냉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필터로부터 배출된 정수를 상기 커넥터로 공급하는 정수입수밸브; 및
    상기 커넥터를 통해 유입된 정수를 상기 냉수조로 공급하는 냉수조 공급밸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19. 제 9 항에 있어서,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싱;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
    정수가 배출되고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배치된 메인출수부;
    정수가 배출되고 상기 메인출수부와 별도로 배치된
    서브출수부; 및
    상기 필터에서 배출된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일측은 상기 정수배관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커넥터와 연결된 정수입수밸브;
    일측은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메인출수부로 향하는 정수를 배출하는 메인출수밸브; 및
    일측은 상기 정수배관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서브출수부로 향하는 정수를 배출하는 서브출수밸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20. 제 9 항에 있어서,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
    상기 필터에서 배출된 정수가 유동하는 정수배관; 및
    상기 정수배관에서 배출된 정수가 열 에너지를 흡수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온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일측은 상기 정수배관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온수조로 향하는 정수를 배출하는 온수조 공급밸브; 및
    일측은 상기 온수조에서 배출된 온수가 입수하고, 타측은 상기 커넥터와 연결된 온수입수밸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2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밸브와 연결되는 밸브연결부; 및
    종방향으로 돌출되어 배관과 연결되는 배관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연결부는,
    상측에 형성되고, 냉수가 입수하는 냉수입수부; 및
    하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된 물이 자중에 의하여 유동하는 잔수유동부가 형성된 정수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유동부를 통해 공급된 정수를 배출하는 배출밸브를 더 포함하고,
    유로전환모듈은,
    상기 커넥터가 배치되는 전면부; 및
    상기 배출밸브가 장착된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수유동부와 상기 배출밸브를 연결하는 배관은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관통하는 정수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싱; 및
    정수를 공급하고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배치된 메인출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커넥터로부터 공급된 정수를 상기 메인 출수부를 향해 배출하는 메인출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출수밸브는,
    상기 배출밸브가 개방되면 유로를 개방하는 정수기.
KR1020130154068A 2013-12-11 2013-12-11 정수기 KR101611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068A KR101611293B1 (ko) 2013-12-11 2013-12-11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068A KR101611293B1 (ko) 2013-12-11 2013-12-11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172A KR20150068172A (ko) 2015-06-19
KR101611293B1 true KR101611293B1 (ko) 2016-04-26

Family

ID=53515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068A KR101611293B1 (ko) 2013-12-11 2013-12-11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2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481B1 (ko) * 2015-11-30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42570B1 (ko) * 2018-04-03 2019-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방법
KR20220007918A (ko) * 2020-07-13 2022-01-20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172A (ko) 201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5504A (en) Portable/potable water recovery and dispensing apparatus
US5827428A (en) Filtered water drain for a spillage collector on a purified water dispenser
KR20070047366A (ko) 물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611293B1 (ko) 정수기
JP2007225252A (ja) 浄水器付き電気温水器
EP1985589B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KR101070406B1 (ko) 탱크형 냉온 정수기
WO2005039735A1 (en) Water purifier which supplies normal, cool (and hot) water in sink
KR200475977Y1 (ko) 정수기
KR20150068173A (ko) 정수기
CN109549479A (zh) 水处理装置
KR101765666B1 (ko) 상하 분리형 탱크구조
KR100922629B1 (ko) 가열식 살균 정수기
CN208481097U (zh) 水处理装置
CN108298712B (zh) 嵌入式净饮机
CN203341554U (zh) 一种饮水设备的供水装置
KR0146834B1 (ko) 정수기의 필터고정장치
KR102238914B1 (ko) 정수기
KR101585470B1 (ko) 냉온정수기
KR20110039076A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07068B1 (ko) 냉수통의 가열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수기
KR101063982B1 (ko) 절전형 음수기
KR101908118B1 (ko) 온수 매트 보일러용 필터 장치
KR100986823B1 (ko) 냉온수조 분리형 정수기
CN110720837A (zh) 一种节能环保净水器式饮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