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481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481B1
KR101770481B1 KR1020150169406A KR20150169406A KR101770481B1 KR 101770481 B1 KR101770481 B1 KR 101770481B1 KR 1020150169406 A KR1020150169406 A KR 1020150169406A KR 20150169406 A KR20150169406 A KR 20150169406A KR 101770481 B1 KR101770481 B1 KR 101770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water
tray
rotat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3253A (ko
Inventor
김경보
배세환
노형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9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481B1/ko
Priority to CN201611071449.2A priority patent/CN106963241B/zh
Priority to US15/362,971 priority patent/US10408533B2/en
Publication of KR20170063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481B1/ko
Priority to US16/519,293 priority patent/US1096228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28Evaporating with vapour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01D35/185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comprising a vaporiz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5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 B01D5/006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with evaporation or dist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5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 B01D5/0072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with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15Details of supporting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56Wireless systems for monitoring the fil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 C02F2209/445Filter lif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1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filter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25D31/003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with immersed cooling el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기가 작고 컴팩트한 내부 구성을 가지며, 물이 취출되는 출수부를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수기 { WATER PURIFIER }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가정용 정수기의 경우 수도와 연결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유해성분등을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정수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가정용 정수기는 정수는 물론 온수와 냉수의 취출이 가능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크기가 작고 다양한 설치환경에 설치될 수 있는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381803호에는 본체 유닛의 상단부에 물이 취출되는 출수부가 구비되고, 상기 출수부는 상기 본체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후 설정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다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정수기는 본체의 위치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출수부를 분리 및 재결합하여 출수부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띠라서, 정수기의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 출수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기 출수부를 상기 본체 유닛으로부터 분리하여 위치를 변경시킨 후 재결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부의 반복적인 분리 결합 과정 중에 결합부위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 출수부에는 출수관이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출수부의 분리 결합과정에서 출수관의 손상이 발생할 경우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출수부의 반복적인 회전 조작시 상기 출수관 또는 출수관이 접속되는 피팅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상기 출수부의 위치는 상기 본체 유닛에 형성되는 결합홀의 요홈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출수부는 요홈이 형성된 설정된 위치로만 위치될 수 있으며, 임의의 지점에 위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가 작고 컴팩트하게 구성되어 설치 공간에 제약을 적게 받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정수와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의 배치를 효율적으로 하여 상기 정수기의 전체적인 크기와 형상을 컴팩트하게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피시비가 기능별로 모듈화되고 컨트롤 베이스 상의 지정 위치에 장착되도록 하여 부품과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다양한 옵션을 가지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버터 타입의 압축기를 사용하여 냉수 냉각시 소비전력이 개선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는 정수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압축기와 응축기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 취출되는 출수부가 사용자의 간단한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되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설치환경에 맞추어 출수부의 위치를 회전 조작하여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부의 반복적인 회전에도 배관이 꼬이거나 피팅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출수 노즐에 의해 취출되는 물의 상태 또는 물을 받기 위한 용기의 상태를 가시화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취출 버튼을 통한 색상 가시화로 정수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누름 조작되는 취출 버튼과 접촉되는 스위치와 간섭되지 않도록 엘이디를 배치하여 누름 조작을 통한 물취출 동작의 입력과 정수기의 상태 표시가 하나의 취출 버튼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빠르고 즉각적인 온수의 가열이 가능하며,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 가열시 발생되는 증기를 배출하여 온수 탱크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 탱크 내부를 통과하는 물이 고르게 퍼지고 유속이 느려지도록 하여 효과적인 가열이 가능하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는 정수기의 내부에서 온수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 가열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쿨링 탱크의 내부 구조를 컴팩트하게 하고 내부의 냉각수의 순환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쿨링 탱크 내부의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얼음이 유동되지 않도록하여 소음을 줄이고 쿨링 탱크 내부 구성의 파손을 방지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쿨링 탱크 내부에 채워지는 냉각수의 배수와 재 급수가 용이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취출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 조작되어 상기 취출부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취출부의 하방에서 잔수의 집수 및 용이한 잔수의 처리가 가능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이에 집수된 잔수의 수위를 용이하게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양단에 연결되며,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 상기 사이드 패널 사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양측의 상기 사이드 패널의 전단까지 연장된 개구가 형성되는 프론트 커버;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개구와 대응하는 높이까지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 상기 필터 브라켓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에 장착된 상태로 회전되어 상기 개구를 차폐하는 로테이터; 상기 로테이터에서 상기 개구를 통과하도록 외측으로 연장되며, 물이 취출되는 출수 노즐이 장착되는 출수부; 상기 로테이터 상방의 탑 플레이트에 형성된 커버 홀에 장착되며, 출수 조작을 위한 취출 버튼이 구비되는 조작부; 상기 커버 홀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조작부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안착되도록 상기 조작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지지부; 상기 조작부 하면에서 상기 로테이터와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 홀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출수부 및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시 상기 조작부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개구의 하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필터 브라켓을 차폐하는 로어 커버와, 상기 로어 커버와 이격되어 상기 개구의 상단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까지 연장되며, 상기 로테이터의 상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필터 브라켓은, 상기 로테이터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며, 상기 로테이터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로테이터 장착부와,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의 하방에 이격되며,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저면부와,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와 저면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필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로테이터에는 회전축에 피니언이 장착된 오일 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 브라켓에는 곡률을 따라 연장되는 내접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시 상기 피니언은 상기 내접 기어를 따라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로테이터는, 상기 출수부가 결합되며, 상기 개구를 차폐하는 원통 형상의 로테이터 하우징과,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의 개구된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부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의 개구된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조작부와 함께 회전되는 상부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 가이드 브라켓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의 회전 중심에는 한쌍의 중심링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링의 사이에는 상기 출수 노즐과 연결되는 출수관과 연결된 커넥터에 회전 가능하게 피팅되는 회전관이 배치되며, 상기 중심링을 기준으로 양측방의 상기 하부 가이드 브라켓과 상부 가이드 브라켓에는 한쌍의 상기 회전 연결부가 각각 관통되어 연결되는 결합링들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중심링을 관통하며, 상기 커넥터와 냉수관 및 정수관이 피팅되는 회전관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관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의 콜렛이 삽입되는 피팅홈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 지지부는 상기 커버홀의 둘레에서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출수 노즐에는, 냉수와 정수가 공급되는 출수관과 연결되는 냉정수 연결부와,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관과 연결되는 온수 연결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출수부는, 상면이 개구되며 상기 로테이터에서 연장되며, 상기 출수 노즐이 장착되는 출수부 하우징과; 상기 출수부 하우징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하는 출수부 커버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출수부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라이팅 홀이 형성되며, 상기 출수부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라이팅 홀을 통해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라이팅 유닛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링; 및 상기 회전링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 외측으로 연장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트레이는, 상면이 개구되며 상기 출수 노즐에서 낙하된 물이 수용되는 트레이 바디와; 상기 트레이 바디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적어도 일부가 그릴 형상으로 형성되어 물이 통과될 수 있는 트레이 커버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트레이 내측에는 플로터가 수용되며, 상기 트레이 바디에는 플로터의 하부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 커버에는 상기 플로터의 상단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된 인디게이팅 홀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플로터는,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며, 물에 뜨는 소재로 형성되는 플로팅부; 상기 플로팅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디게이팅 홀의 내측에 위치되는 캡; 상기 캡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캡 및 트레이 커버와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는 인디게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가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플로팅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인디게이터가 상기 인디게티이팅 홀의 상방으로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정수기가 설치되는 지면과 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출수 노즐의 수직 하방과 대응하는 상기 트레이 커버에는 집수홀이 개구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트레이에는 돌출 형성되는 트레이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링에는 상기 트레이 결합부가 삽입되는 트레이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 장착부는 상기 베이스의 전단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프론트 커버는 라운드진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의 전단 및 상기 베이스의 전단과 접하는 상기 트레이의 후단은 상기 프론트 커버와 대응하는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트레이의 회전시 상기 베이스의 측면과 접하여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토퍼의 양측에는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의 회전시 상기 트레이의 하단부 양측이 삽입되는 유동 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회전링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회전링의 내측면 접하여 상기 회전링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정수기의 내부에 냉수를 만들기 위한 압축기와 증발기 응축기 등은 물론, 쿨링 탱크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응축기의 상방에 쿨링 탱크가 배치되고,압축기와 쿨링 탱크 사이 공간에 컨트롤 어셈블리를 배치하여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정수기의 형상을 컴팩트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정수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피시비가 모듈별로 구성되고, 컨트롤 베이스의 지정 위치에 장착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하나의 컨트롤 베이스에 장착되는 피시비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옵션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며 정수기 내부의 구조 변경 없이 다양한 모델을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컨트롤 베이스는 필터 브라켓과 쿨링 탱크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도록 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온수를 만들기 위한 온수 가열 유닛과 모듈 형태로 결합 장착되도록 할 수 있어 생산성과 공간 효율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인버터 압축기와 증발기 및 응축기를 포함하여 냉동 사이클을 구현하며, 이를 통해 냉수를 만들게 된다. 상기 인버터 압축기와 응축기의 효과적인 냉각을 위해서 응축기를 흡입구 상에 배치하고 응축기를 응축기 브라켓 내측에 수용하며, 쿨링 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응축기 전체를 지나면서 고르게 냉각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흡입구를 베이스에 형성하고 베이스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흡입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하면서 동시에 외기의 흡입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출수 노즐이 구비되는 출수부가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로테이터의 회전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로의 변경이 자유롭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출수부의 회전에 의해 다양한 설치 환경에 제약을 받지 않고 적절한 위치로 상기 출수부를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부의 회전시 상기 조작부가 함께 회전 되도록 구성되어 출수 되는 위치에서의 용이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고, 상태의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부에는 라이트가 구비되어 상기 출수 노즐에 의한 물 취출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 중심에 회전링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링에는 출수관과 연결되는 커넥터에 회전 가능하게 피팅되는 회전관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관은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출수부의 반복적인 회전 조작에도 배관이 꼬이거나 피팅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숙기는 취출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출수가 가능함은 물론, 취출 버튼을 통해 다양한 색상의 빛을 투과되어 정수기의 상태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디스플레이 없이도 필터의 교환 상태나 취출되는 물이 온수, 냉수 또는 정수 인지와 같은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취출 버튼에서 스위치의 누름 조작과 엘이디의 빛 투과가 동시에 이루어지면서도 스위치와 엘이디가 서로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설계됨으로써 하나의 구성을 통해 조작과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판상의 온수 탱크를 통과하는 물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온수의 가열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온수 탱크를 통과하는 동안 온수 가열이 가능하게 되므로 즉각적인 온수의 취출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유도 가열 방식의 특성상 워킹 코일의 출력 조절을 통해서 가열 성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설정하는 다양한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온수 탱크의 출력관의 분지된 일측에 세이프티 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온수 가열 중 증기의 발생으로 인한 압력 상승시 상기 세이프티 밸브를 통해 증기가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증기로 인한 과도한 압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온수 가열 성능의 향상은 물론 상기 온수 탱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는, 상기 온수 탱크의 내부에 다수의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의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유동 경로가 분지되어 상기 온수 탱크 전체에 고르게 물이 유동될 수 있으며,돌출부와의 충돌에 의해 유속이 느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 탱크의 전체에 분포되는 물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으며, 유속의 감소로 상기 온수 탱크 내부 잔류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온수의 가열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쿨링 탱크의 내부에 냉각을 위한 정수가 유동되는 쿨링 코일을 권취하여 배치하고, 상기 쿨링 코일의 상방에 증발기를 권취하여 배치하며 내부에 냉각수를 채워 상기 쿨링 코일을 통과하는 물을 냉각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쿨링 탱크의 내부를 컴팩트하게 구성하면서 효과적인 정수의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쿨링 코일과 증발기의 권취된 내측 영역에 교반기가 배치되도록 하여 냉각수의 순환을 보다 활성화시키게 되며 따라서 상기 쿨링 코일을 통과하는 정수의 냉각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쿨링 탱크의 내부에 증발기와 쿨링 코일 그리고 교반기가 배치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메쉬 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메쉬 부재에 의해 냉각수는 유동되지만 상기 증발기에서 결빙된 얼음은 교반기나 쿨링탱크 측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얼음의 충돌에 의한 소음 또는 내부 구성의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쿨링 탱크에 구비되는 배수 밸브에 의해 냉각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쿨링 탱크의 내부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쿨링 탱크 내부에 냉각수를 재급수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밸브를 배수 밸브와 취출 노즐에 연결하고 기 설정된 양만큼의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각수의 배수와 재급수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회전 조작되는 취출부의 회전에 맞추어 회전 조작될 수 있는 트레이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취출부를 특정 각도로 회전하게 되더라도 그 수직 하방에는 트레이를 배치시킬 수 있게 되어 용기를 안착시킬 수 있고 잔수를 받을 수도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 커버가 그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집수홀이 형성되어 집수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는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되어 잔수의 처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 내측에는 플로터가 형성되며, 상기 플로터는 수위에 따라 상승하여 상기 트레이 커버로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트레이의 수위를 알리게 된다. 특히, 상기 플로터의 인디게이터가 노출되는 경우 설정수위 이상으로 트레이의 잔수를 비워야됨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제어 방법은, 쿨링 탱크가 조립된 상태에서 배수 밸브를 통해 냉각수를 배수하고, 배수 밸브와 출수 노즐을 서비스 배관으로 연결한 후 냉각 수 교체 모드로 설정을 변경한 후 출수 조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작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쿨링 탱크를 채울 수 있는 설정된 유량의 물이 공급되도록 하며, 설정 유량의 공급 완료후 정상 운전 모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쿨링 탱크의 내부에 냉각수를 교체할 수 있게 되며, 쿨링 탱크 내부를 청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정수기의 탑 커버와 필터 브라켓 및 베이스의 조립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의 탑 커버 및 조작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조작부와 탑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6-6'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정수기의 취출 버튼을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취출 버튼을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정수기의 스위치 엘이디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취출 버튼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정수기의 로테이터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로테이터를 하방에서 본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정수기의 로테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로테이터와 출수부 내부의 유로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5는 상기 정수기의 필터 브라켓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로테이터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필터 브라켓에 장착된 밸브의 배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 정수기의 출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출수부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정수기의 히팅 및 컨트롤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정수기의 유도 가열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3은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온수탱크의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25-25' 단면도이다.
도 26은 상기 정수기의 컨트롤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상기 정수기의 쿨링 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상기 쿨링 탱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30-30'단면도이다.
도 31은 상기 메쉬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28의 32-32' 단면도이다.
도 33은 상기 정수기의 배수 밸브의 장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4는 상기 배수 밸브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는 상기 배수 밸브의 결합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6은 상기 정수기의 베이스에 압축기 브라켓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37는 상기 베이스와 트레이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8은 상기 정수기의 트레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9는 상기 트레이의 만수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은 상기 정수기의 응축기 브라켓과 송풍팬 그리고 응축기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1은 상기 정수기의 냉각 공기 유동을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도 42는 상기 정수기의 물의 유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3은 상기 정수기의 제어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44는 상기 정수기의 냉각수 교체 작업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5는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6은 상기 정수기의 조립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1)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좌우 방향의 폭이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1)는 전체적으로 외관이 슬림하고 컴팩트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정수기(1)의 외형은 케이스(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1)와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12),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3),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4) 그리고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5)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11)와 쿨링 팬 커버(12), 베이스(13)와 탑 커버(14) 그리고 한쌍의 사이드 패널(15)은 서로 조립되어 상기 정수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의 전면에는 출수부(20)가 배치된다. 상기 출수부(20)는 상기 프론트 커버(11)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방으로 돌출되는 출수 노즐(25)을 통해 정수된 물이 취출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11)는 어퍼 커버(111)와 로어 커버(11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커버(111)와 로어 커버(112)의 사이에는 로테이터(21)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출수부(20)는 상기 로테이터(2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정수기(1)의 설치 상태 또는 설치 환경에 따라 원하는 각도로 상기 출수부(2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탑 커버(14)에 구비된 조작부(40) 또한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베이스(13)에는 트레이(90)는 상기 프론트 커버(11)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출수부(20)의 수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9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3)와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트레이(90)는 상기 출수부(20)에서 낙하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상면이 그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정수를 위한 필터(34)와 다수의 밸브(366,367,369)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30)이 구비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상단에 상기 로테이터(2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1)의 상방에 상기 조작부(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40)는 상기 로테이터(21)와 연결되어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 조작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3)에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링(91)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링(91)에는 상기 트레이(90)가 탈착 가능하게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90)는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 조작이 가능하며, 상기 출수부(20)와 대응하는 하방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트레이(90)는 상기 회전링(91)으로부터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3) 상면에는 압축기(51)와 응축기(52)가 구비된다. 드리고, 상기 압축기(51)와 응축기(52)의 사이에는 쿨링 팬(53)이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51)와 응축기(52)의 냉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51)는 주파수를 가변하여 냉각 능력의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된 물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52)는 상기 베이스(13)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리어 커버(12)에 형성되는 토출구(121)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52)는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플랫 튜브 타입의 냉매관이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응축기 브라켓(54)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응축기 브라켓(54)에는 상기 응축기(52)가 고정되는 응축기 장착부(541)와, 냉수를 만들기 위한 쿨링 탱크(60)가 장착될 수 있는 탱크 장착부(542)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는 상기 응축기(5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52)의 전체 형상과 대응하는 육면체의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는 상기 쿨링 팬(53)과 토출구(121)와 마주보는 부분이 각각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52)의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탱크 장착부(542)는 상기 응축기 브라켓(54)의 상부 즉,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의 상방에 형성된다. 상기 탱크 장착부(542)는 상기 쿨링 탱크(6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쿨링 탱크(60)를 고정한다.
상기 쿨링 탱크(60)는 정구를 냉각하여 냉수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유입되는 정수와 열교환되는 냉각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쿨링 탱크(60)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63)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가 상기 쿨링 탱크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하여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일측에는 상기 쿨링 탱크(60)측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플레이트(3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는 상기 압축기(5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30)에서 상기 응축기 브라켓(54)까지 연장되어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는 온수를 만들기 위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와 상기 정수기(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어셈블리(8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와 컨트롤 어셈블리(80)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는 정수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는 온수 취출 조작시 즉각적이고 빠른 속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자기장의 출력을 제어하여 원하는 온도로 정수를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는 상기 정수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압축기(51)와, 쿨링 팬(53) 그리고 각종 밸브와 센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는 기능별로 다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진 피시비들의 조합에 의해 모듈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정수기(1)가 냉수와 정수만을 취출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를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시비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정수기의 각 구성들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정수기의 탑 커버와 필터 브라켓 및 베이스의 조립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13)의 전반부에는 회전링(91)이 장착되며, 상기 회전링(91)에는 트레이(9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트레이(90)는 상기 회전링(9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3)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괸다.
상기 필터 브라켓(30)은 상기 베이스(13)와 결합되는 저면부(31)와, 상기 필터(34)가 수용되는 필터 수용부(32)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1)가 장착되는 로테이터 장착부(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면부(31)는 상기 베이스(13)의 전단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3)에 결합된다. 상기 저면부(31)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장착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수용부(32)의 바닥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30)은 상기 베이스(13)에 후크 방식으로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3)의 하면에서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저면부(31)는 상기 회전링(91)의 내측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13)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링(91)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상기 트레이(90)의 회전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필터 수용부(3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방에서 볼 때(도 3에서 좌측) 상기 필터(34)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필터 수용부(32)에는 복수의 필터(3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34)는 공급되는 원수(수돗물)의 정화를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가 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32)에는 상기 필터(34)가 장착되는 필터 소켓(341)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소켓(341)에는 정수된 물이 유동되기 위한 배관이 제공되며, 상기 배관은 다수의 밸브(366,367,369)들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는 상기 필터(34)를 차례로 통과한 후 급수를 위한 밸브(366,367,369)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필터 수용부(32)의 배면(필터가 장착되는 면의 반대쪽 면)에는 다수의 밸브(366,367,369)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366,367,369)들은 상기 필터(34)는 물론, 상기 쿨링 탱크(60)와 유도 가열 어셈블리(70) 그리고, 상기 출수부로 정수와 냉수 및 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상기 필터 수용부(32)의 상단에는 로테이터 장착부(33)가 형성된다.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33)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반원 형상을 가지며, 상단에 상기 로테이터(21)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33)는 상기 로테이터(21)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테이터(21)는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33)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33)의 상단에는 내접 기어(3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접 기어(331)는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33)와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게 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피니언 기어(271)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테이터(21)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터(21)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출수부(2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출수부(20)는 상기 로테이터(21)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터(21)의 상방에는 어퍼 커버(1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커버(111)는 상기 필터 브라켓(30)을 전방에서 차폐하는 로어 커버(112)와 함께 정수기(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 커버(111)는 상기 로테이터(21)와 탑 커버(14)의 사이에서 상기 정수기의 전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며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어퍼 커버(111)의 상단에는 탑 커버(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14)는 상기 정수기(1)의 상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14)에는 상기 조작부(40)가 장착된다. 상기 조작부(4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터(21)와 결합되어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40)에는 취출 버튼(41)이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의 탑 커버 및 조작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조작부와 탑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의 6-6'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탑 커버(14)는 상기 정수기(1)의 상면을 형성한다. 상기 탑 커버(14)의 전단과 후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11) 및 리어 커버(12)와 결합되며, 각각 상기 프론트 커버(11)와 리어 커버(12)의 상단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14)에는 커버 홀(141)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 홀(141)은 상기 조작부(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부(40)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개구된다.
상기 커버 홀(141)의 내측에는 상기 조작부(40)의 하부를 형성하는 조작부 베이스(42)를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 장착부(142)와 베이스 지지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장착부(142)는 상기 커버 홀(141)에서 상기 커버 홀(141)의 중앙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등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장착부(142)는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 베이스(42)의 둘레면을 가압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지지부(143)는 상기 커버 홀(141)의 후반부에서 내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지지부(143)는 상기 커버 홀(141)의 중앙을 향하여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 베이스(42)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 베이스(42)의 둘레면에는 상기 베이스 지지부(143)와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돌출되는 돌기(425)가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지지부(143)와 상기 돌기(425)는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40)의 회전시에도 안정적인 지지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홀(141)의 둘레에는 단차부(144)가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40)의 둘레가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40)를 추가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조작부(40)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작부(40)는 상기 조작부 베이스(42)와 조작부 피시비(43) 그리고 조작부 커버(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 베이스(42)는 상기 조작부(4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 홀(141)에 장착되어 상기 조작부(40)가 상기 탑 커버(14)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조작부 베이스(42)는 상기 커버 홀(14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 베이스(42)의 둘레는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 커버(44)와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 베이스(42)의 하면 양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회전 연결부(4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연결부(421)는 상기 로테이터(21)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로테이터(21)와 조작부(4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 베이스(42) 내측에는 상기 조작부 피시비(43)를 스크류 체결하여 고정 장착을 위한 장착용 보스(422,4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 베이스(42)의 저면에는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와 연결되는 전선이 출입되는 전선 홀(42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 피시비(43)를 지지하는 장착용 보스(422,423)는 후방에 위치된 장착용 보스(422)가 전방에 위치된 장착용 보스(423)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 피시비(43)는 상기 후단이 전단보다 더 높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의 경사는 상기 조작부 상면(441)의 경사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 피시비(43)는 상기 정수기(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부재가 장착된다. 상기 조작부재는 스위치 또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신호 입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에는 다수의 터치 센서(4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431)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저항막 방식,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터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터치 센서(431)는, 정수와 냉수 또는 온수의 선택 기능, 온수의 온도 조절 기능, 취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선택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조작부 피시비(43)의 일측에는 스위치(4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432)는 누름 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일반적인 스위치로 상기 취출 버튼(41)의 조작에 의해 눌려지게 된다. 상기 스위치(432)의 온, 오프에 의해 상기 출수를 위한 밸브(366,367,369)가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정수와 냉수 또는 온수 중 선택된 물이 취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에는 다수의 엘이디(433,4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엘이디(433,434)는 정보의 표시를 위한 것으로 상기 다수의 터치 센서와 스위치의 위치 또는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세히, 다수의 엘이디(433,434)는 상기 터치 센서(431)의 위치 또는 상기 정수기(1)의 동작 상태의 표시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터치 센서(431)의 인접 위치에 배치되는 센서 엘이디(433)와, 상기 스위치(43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정수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스위치 엘이디(43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에는 별도의 표시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표시장치에 의해 상기 정수기(1)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에는 부저(43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저(435)는 상기 정수기(1)의 동작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수기(1)의 이상 동작 상황시 이를 소리로 출력하여 알릴 수 있으며, 이때 출력되는 소리가 특정 패턴을 가지는 음 또는 비프음으로 음성이 출력되어 사용자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물론, 이상 동작 상황이 아닌 일반적인 동작 상황에서도 상기 부저(435)를 통한 동작 상태의 전달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조작부 베이스(42)는 조작부 커버(44)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조작부 커버(44)는 상기 조작부(40)의 상부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조작부(40)가 상기 탑 커버(14)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조작부(40)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 커버(44)의 하면은 상기 조작부 베이스(42)의 상면과 대응하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 커버(44)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부 커버(44)는 전단이 낮고 후단이 높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441)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 커버(44) 상면(441)의 기울기는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의 기울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터치 센서(431) 및 스위치(432)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과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 커버(44)의 상면에는 다수의 센서 홀(442)이 형성된다. 상기 센서 홀(442)은 상기 터치 센서(431)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센서 홀(442)과 대응하는 지점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터치 센서(431)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 커버(44)에는 버튼 홀(443)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 홀(443)은 상기 취출 버튼(41)의 일부가 출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며, 상기 스위치(432)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 홀(443)의 외측에는 상기 취출 버튼(41)이 고정 장착되는 버튼 후크부(444)가 더 형성된다. 상기 버튼 후크부(444)는 상기 취출 버튼(41)의 후크 홀(414)에 삽입될 수 있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 후크부(444)는 상기 후크 홀(414)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그 단부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취출 버튼(41)은 상기 조작부 커버(44)상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고, 장착 위치가 고정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취출 버튼(41)은 상기 버튼 홀(443)의 하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취출 버튼(41)의 상면에는 상기 취출 버튼(41)의 개구를 차폐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플레이트(4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튼 플레이트(411)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버튼 홀(443)과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조작부 피시비(43) 상에 구비되는 상기 스위치 엘이디(434)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버튼 플레이트(411)의 둘레에는 버튼 링(412)이 구비된다. 상기 버튼 링(412)은 버튼 플레이트(411)와 상기 버튼 홀(443)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조작부 커버(44)의 상면에는 접착 시트(45)가 구비되며, 상기 접착 시트(45)의 상면에는 조작부 플레이트(46)가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40)의 상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 플레이트(46)는 외관을 형성하므로 유리 또는 고광택 소재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 플레이트(46)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431)와 인접한 위치의 센서 엘이디(433)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조작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조작부 플레이트(46)에는 상기 터치 센서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 위치를 표면 가공 또는 인쇄에 의해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 플레이트(46)에는 버튼 플레이트(411)와 대응하는 홀(46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버튼 플레이트(411)는 상기 홀(461)에 위치되어 독립적인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 플레이트(46)와 상기 버튼 플레이트(411)는 동일 소재로 형성되어 외관의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정수기의 취출 버튼을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취출 버튼을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정수기의 스위치 엘이디의 점등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취출 버튼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취출 버튼(41)은 상기 조작부 커버(44)의 하면에서 장착되며, 네 곳의 모서리에는 후크 홀(4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 홀(414)은 테두리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버튼 후크부(444)가 삽입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취출 버튼(41)의 중앙에는 사용자가 누름 조작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유동되는 누름부(4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413)는 상기 버튼 홀(443)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버튼 홀(443)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413)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버튼 홀(443)의 내부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누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름부(413)의 중앙에는 광 투과부(4131)가 형성되며, 상기 광 투과부(4131)는 상기 버튼 플레이트(41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광 투과부(4131)의 외측에는 상기 버튼 플레이트(411)가 압입될 수 있도록 하는 플레이트 리브(413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 플레이트(411)의 둘레에는 상기 플레이트 리브(411)에 안착되는 단차부(41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튼 플레이트(411)에는 삽입부(411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4112)는 상기 광 투과부(413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광 투과부(413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413)의 하면에는 상기 광 투과부(4131)의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라이트 가이드(413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가이드(4133)는 상기 광 투과부(4131)에서 상기 조작부 피시비(43)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트 가이드(4133)는 상기 누름부(413)의 유동시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와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4133)의 내측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에는 상기 스위치 엘이디(434)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 엘이디(434)는 다수개가 장착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스위치 엘이디(434)가 다양한 색상의 빛을 조사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엘이디(434)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4133)를 따라서 이동되어 상기 광 투과부(4131)를 지나 상기 버튼 플레이트(411)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취출 버튼(41)을 투과하여 조사되는 빛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취출 버튼(41)을 통해 나타나는 빛의 색상을 통해 상기 필터(34)의 수명 또는 온수, 냉수, 정수의 선택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컨데, 상기 필터(34)의 수명이 남은 상태에서는 상기 취출 버튼(41)이 푸른색의 빛을 띠게 되고, 상기 필터(34)의 수명이 다되어 교체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주황색의 빛을 띠도록 하여 사용자에 즉각적인 상기 필터(34)의 상태를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34)의 교체 주기를 알릴 수 있다.
상기 누름부(413)의 둘레에는 상기 누름부(413)의 둘레를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 탄성부(41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4134)는 다수의 절개부(4135)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부(413)의 누름 조작시 상기 취출 버튼(4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이동될 수 있으며, 손을 떼게 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누름부(413)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누름부(413)의 전단(도 10에서 좌측)에는 회전 지지부(413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413)의 후단에는 접촉부(4137)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 지지부(4136)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취출 버튼(41)의 장착시 상기 조작부 베이스(42)의 베이스 지지부(426)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부(413)의 어느 위치를 누르게 되더라도 상기 누름부(413)는 상기 회전 지지부(4136)를 축으로 시계방향(도 9에서 볼 때)으로 회전하게 된다. 특히, 상기 누름부(413)의 회전시 상기 회전 지지부(4136)와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접촉부(4137)의 회전거리는 상기 스위치(432)를 누를 수 있을 정도로 크게 된다.
상기 접촉부(4137)는 상기 스위치(432)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누름부(413)의 누름 조작 전에는 상기 스위치(432)와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413)를 누름 조작하게 되면 상기 누름부(413)가 상기 회전 지지부(4136)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접촉부(4137)가 상기 스위치를 누르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사용자는 상기 누름부(413)의 어느 위치를 누르게 되더라도 상기 접촉부(4137)가 상기 스위치(432)를 정확하게 누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432)가 상기 광 투과부(4131)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취출 버튼(41)의 개구 위치에 상기 스위치 엘이디(434)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취출 버튼(41)을 통해 상기 스위치 엘이디(434)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상기 정수기의 로테이터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로테이터를 하방에서 본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정수기의 로테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로테이터와 출수부 내부의 유로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로테이터(21)는 로테이터 하우징(22)을 구비한다.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22)은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고 직경에 비해 높이가 짧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테이터(21)는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22)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 서로 이격 배치되는 상부 가이드 브라켓(23)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22)의 내측면에 체결부(221)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 가이드 브라켓(23)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체결홀(231,241)이 형성된다. 볼트 등이 상기 체결홀(231,241)을 통해 체결부(22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이 로테이터 하우징(22) 내측면에 서로 이격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가이드 브라켓(23)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에는 체결 후크(237,247)가 둘레를 따라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22)의 내측면에는 체결 돌기(2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후크(237,247)와 체결 돌기(222)는 서로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부 가이드 브라켓(23)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의 결합시 가고정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로테이터(21)는 상부 가이드 브라켓(23) 또는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에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레일 수용홈(232,242)을 더 포함한다. 상기 레일 수용홈(232,242)은 상기 어퍼 커버(111)에 형성되는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332)을 수용하는 하부 레일 수용홈(242)과,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331)에 형성되는 제 2 회전 가이드 레일(1111)을 수용하는 상부 레일 수용홈(2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레일 수용홈(232) 또는 하부 레일 수용홈(242)의 일 측면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부 레일 수용홈(232) 및 하부 레일 수용홈(242)의 일 측면에서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가 형성된다.
상기 로테이터(21)는 상부 가이드 브라켓(23)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의 중심부에 각각 배치되는 원형의 상부 중심링(234)과 하부 중심링(244)을 포함한다. 상부 가이드 브라켓(23) 및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의 내측면에서 상부 중심링(234)과 하부 중심링(244)으로 각각 상부 연결부(235)와 하부 연결부(245)가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부 중심링(234)과 하부 중심링(244)은 상부 연결부(235) 및 하부 연결부(245)에 의해 상부 가이드 브라켓(23)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에 연결되며 지지된다. 상부 및 하부 연결부(245)는 각각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복수의 관통홀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 중심링(234) 및 하부 중심링(244)은 취출되는 물이 유동되는 출수관의 설치 위치를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상부 중심링(234) 및 하부 중심링(244)은 상기 로테이터(21)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시 회전 중심이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중심링(234) 및 하부 중심링(244)에는 T커넥터(2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T커넥터(264)의 일측은 상기 출수부(21) 측으로 연장되어 출수 노즐(25)과 연결되는 출수관(261)이 연결되고, 다른 양측은 각각 상부에 냉수관(262)이 접속되고 하부에 정수관(263)이 접속된다. 이때, 상기 정수관(263)과 냉수관(262)은 회전관(264)에 의해 상기 T커넥터(26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수관(262)과 정수관(263)은 각각 상기 상부 중심링(234)과 하부 중심링(244)을 관통하게 되고, 상기 T커넥터(264)는 상기 상부 중심링(234)과 하부 중심링(244)의 사이 공간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T커넥터(264)는 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관(264)은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관(264)의 상부와 하부의 둘레를 따라서 피팅홈(26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팅홈(2641)은 상기 회전관(264)의 상단과 하단이 T커넥터(26)와 결합될 때 금속재의 콜렛(collet)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시 상기 회전관(264)을 축으로 T커넥터(26)가 회전될 수 있으며, 출수를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배관의 꼬임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관(264)은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에 의한 반복적인 회전과 금속소재의 콜렛의 결합에도 파손 및 변형되지 않아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온수 탱크(71)와 연결되어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관(262)은 상기 출수부(2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상기 출수 노즐(25)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온수 취출시 상기 온수 탱크(71)의 물이 즉각적으로 취출될 수 있게 되며, 온수의 품질이 향상된다. 즉, 냉수 또는 정수와 공통된 유로를 사용하게 될 경우 온수 취출시 유로상에 잔류되는 냉수 또는 정수에 의해 처음 취출되는 온수는 온도를 만족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별도의 상기 온수관(262)이 취출 노즐과 연결되는 경우 온수 탱크(71)의 온수가 온도 손실 없이 그대로 출수 노즐(25)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링(236,246)은 내부에 원형의 결합홀이 형성되며,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상기 결합링(236,246)은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축을 직경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링(236,246)은 상부 가이드 브라켓(23)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에 모두 형성되거나 상부 가이드 브라켓(23)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링(236,246)은 상기 조작부(40)의 저면의 상기 회전 연결부(421)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한쌍의 상기 회전 연결부(421)는 상기 결합링(236,246)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시 상기 조작부(40)는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작부(40)와 로테이터(21)의 결합에 의해 상기 조작부(40)와 로테이터(21)가 함께 회전할 때 취출 버튼(41) 및 출수부(20)도 함께 회전한다. 이에 의해, 취출 버튼(41)과 출수 노즐(25)이 동일 선상으로 위치하며 회전됨에 따라 취출 버튼(41)과 출수 노즐(25)의 위치를 별도로 맞추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테이터(21)의 저면 즉, 상기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에는 오일 댐퍼(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일 댐퍼(27)는 상기 출수부(20)의 회전 시 상기 로테이터(21)가 걸리는 느낌 없이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일정한 크기의 힘을 가하기만 하면 상기 로테이터(21)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오일 댐퍼(27)는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오일 댐퍼(27)의 회전 축에는 피니언 기어(271)가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271)는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내접 기어(33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271)는 내접 기어(331)의 곡률반경에 비해 훨씬 작은 곡률반경의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치의 갯수도 작다. 상기 로테이터(21)가 필터 브라켓(30)의 상단부에 장착되면 피니언 기어(271)는 내접 기어(331)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내접 기어(331)와 맞물리게 결합된다.
도 15는 상기 정수기의 필터 브라켓의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상기 로테이터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상단에는 내접 기어(331)가 형성된다. 상기 내접 기어(331)는 로테이터 장착부(33)의 상단부에 일정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접 기어(331)는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332)과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내접 기어(331)는 필터 브라켓(30)의 상단부 외측 가장자리부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332)과 동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테이터(21)의 장착시 상기 내접 기어(331)는 상기 피니언 기어(271)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필터 브라켓(30)의 배면은 후방으로 개방되고, 사이드 패널(15)의 전단부에 필터 브라켓(30)의 후단부가 결합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상단에는 로테이터(21)가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가능 하게 장착되도록 상기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332)이 구비된다.
상기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332)은 로테이터(21)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해 반원형의 곡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332)은 필터 브라켓(30)의 상단부 내측에 고정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커버(111)의 내부면에서 돌출되는 제 2 회전 가이드 레일(11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 가이드 레일(1111)은 상기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332)과 마주보는 상방에 위치하고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332)과 제 2 회전 가이드 레일(1111)은 상기 로테이터(21)를 사이에 두고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로테이터(21)의 장착에 의해 상기 로테이터(21)의 상하단은 상기 제 1 회전 가이드 레일(332) 및 제 2 회전 가이드 레일(1111)과 결합되어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로테이터(21)는 출수부(2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수평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로테이터(21)는 중심부에 회전축을 갖지 않고, 중심부에서 일정한 곡률로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를 구비하고,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를 이용하여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는 로테이터(21)에 구비되고,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은 상기 필터 브라켓(30)과 상기 어퍼 커버(111)에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지만,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 및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은 동일한 곡률로 이루어지며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어, 로테이터(21)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상세히, 예를 들면, 상기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는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의 하부 레일 수용홈(242)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 회전 가이드 돌기(243)와, 상부 가이드 브라켓(23)의 상부 레일 수용홈(232)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 회전 가이드 돌기(233)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의 단부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와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의 결합시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의 단부의 내부면은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의 일부와 서로 마주보며 두께방향으로 중첩되어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는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에 회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와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이 결합되면,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의 안쪽으로 형성되는 레일 수용홈(232,242)에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이 수용되어 레일 수용홈(232,242)과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의 일면이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고,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의 단부가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과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에 의하면, 출수부(2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출수부(20)를 분리하지 않고도 출수 노즐(25)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로테이터(21)의 중심에 회전축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출수부(20)가 로테이터(21)의 일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에서 출수부(20)를 잡고 로테이터(21)를 회전시키더라도 출수부(20)의 편심하중에 의해 출수부(20)가 위로 들리거나 아래로 내려가서 출수부(20) 및 로테이터(21)의 회전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의 후크 형상에 의해, 로테이터(21)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테이터(21)의 회전 시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와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 사이의 접촉 면적이 넓기 때문에, 출수부(20)를 잡고 회전시키는 경우 편심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마찰에 의한 마모 및 스크래치 등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 브라켓(23) 및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에 각각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는 상기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과 이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는 내피로성, 강인성, 내마모성 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POM)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가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을 따라 회전할 때 회전 가이드 돌기(233,243)와 회전 가이드 레일(332,1111)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도 17은 상기 필터 브라켓에 장착된 밸브의 배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배면에는 온도센서 브라켓(74)(361)와 유량 센서(363), 정수 출수밸브(367), 냉수 출수밸브(366), 유량 조절 밸브(36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들 밸브들은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배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 상방의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정수기(1)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우선, 상기 급수 밸브(361)는 상기 필터(34)의 출구측과 연결된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필터(34)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유동을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밸브(361)의 출구측에는 유량 센서(363)가 구비되어 상기 급수 밸브(361)를 지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유량 센서(363) 출구와 연결된 배관에는 분지관(364)과 연결된다. 상기 분지관(364)의 출구는 각각 냉정수측(3641)과 온수측(3642)으로 분지된다. 상기 분지관(364)의 냉정수측(3641)과 연결된 배관은 다시 T커넥터(365)에 의해 분지되어 냉수측(3651)과 정수측(3652)으로 분지된다. 상기 냉수측(3651)과 정수측(3652)은 각각 냉수 출수밸브(366) 및 정수 출수밸브(367)와 연결되며, 따라서 정수와 냉수의 공급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수 출수밸브(367)는 정수관(263)과 연결되며, 상기 정수관(263)은 연장되어 회전관(264)에 의해 T커넥터(26)의 일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냉수 출수밸브(366)는 쿨링 탱크와 연결되어 정수를 상기 쿨링 탱크(60)로 공급하여 냉각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쿨링 탱크(60)의 출구에는 냉수관(262)이 연결되며, 상기 냉수관(262)은 연장되어 상기 회전관(264)에 의해 상기 T커넥터(26)의 다른 일측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분지관(364)의 온수측(3642)과 연결된 배관은 유량 조절 밸브(368)와 연결된다. 상기 유량 조절 밸브(368)는 상기 온수 탱크(71)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유량의 조절을 통해 상기 온수 탱크(71)를 지나는 물의 온도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온수 탱크(71)를 통과하는 물의 양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상기 온수 탱크(71)를 빠른 속도로 지나는 물을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없게 되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온수의 온도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고온의 온수를 취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온수 탱크(71)로 급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물을 가열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도 유입되는 물의 양을 줄여 상기 온수 탱크(71)에서의 가열 성능을 향상시킬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량 조절 밸브(368) 또는 상기 유량 조절 밸브(368)의 입구, 출구 중 어느 일측에는 입수 온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입수 온도센서에 의해 상기 유량 조절 밸브(368)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량 조절 밸브(368)의 출구와 연결된 배관은 상기 온수 탱크(71)의 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온수 탱크(71)의 출구는 온수 출수밸브(369)와 연결되며, 상기 온수 출수밸브(369)의 개폐에 의해 온수 취출이 결정된다. 상기 온수 출수밸브(369)는 온수관(262)과 연결되며, 상기 온수관(262)은 상기 출수부(20)의 출수 노즐(25)과 연결되어 외부로 취출될 수 있게 된다.
도 18은 상기 정수기의 출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출수부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출수부(20)는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22)의 내측과 연통되어 출수관(261)과 온수관(262)이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출수부(20)는 출수부 하우징(201)과 출수부 커버(2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부 하우징(201)은 상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출수관(261)과 온수관(262)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부 커버(202)는 상기 출수부 하우징(201)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출수부 하우징(201)의 바닥면에는 출수 홀(2011)이 형성되며, 상기 출수 홀(2011)에는 상기 출수 노즐(25)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 노즐(25)과 연결되는 상기 출수관(261)과 온수관(262)은 상기 출수부 하우징(201)의 내측을 통해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22)의 내측으로 안내된다.
상기 출수 노즐(25)은 상기 출수관(261)과 온수관(262)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냉정수 연결부(251)와 온수 연결부(252)를 포함한다. 상기 냉정수 연결부(251)는 상기 출수 노즐(25)의 측면 일측을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출수관(261)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 연결부(252)는 상기 출수 노즐(25)의 측면의 다른 일측을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온수관(262)과 연결된다. 따라서, 하나의 상기 출수 노즐(25)을 통해서 냉수와 정수 및 온수를 독립적으로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출수 노즐(25)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출수 노즐(25)을 상기 출수부 하우징(201)에 스크류에 의해 고정 장착할 수 있는 노즐 고정부(253)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 노즐(25)은 성형이 용이하도록 상하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출수 노즐(25)의 개구된 상면에는 노즐 캡(254)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부 하우징(201)의 바닥면에는 라이팅 홀(20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홀(2012)은 상기 출수부 하우징(201)의 내측에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28)에서 조사되는 빛이 하방을 향하여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라이팅 홀(2012)과 인접하는 상기 출수부 하우징(201)의 바닥에는 상기 라이팅 유닛(28)이 고정 장착되는 고정 돌기(20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유닛(28)은 상기 취출 버튼(41)을 조작할 때 물 취출 상태를 보이거나 물 컵에 채워진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출수부(20)의 하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 라이트 하우징(281)과 라이트 피시비(28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은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라이트 피시비(282)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의 후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결합부(2811)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결합부(2811)는 상기 고정 돌기(2013)와 걸림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에는 상기 라이팅 홀(2012)과 대응하는 위치에 빛의 투과가 가능한 투과부(2812)가 형성된다. 상기 투과부(2812)는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의 일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위치에 투명한 부재가 장착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 자체가 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투과부(2812)는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라이팅 홀(20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투과부(2812)는 상기 하우징 결합부(2811)와 함께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이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투과부(2812)의 둘레를 따라서 라이트 가이드(2814)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2814)는 상기 라이트 피시비(282) 상에 실장된 엘이디(2821)의 빛이 상기 라이팅 홀(2012)을 통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의 중앙에는 상기 라이트 피시비(282)를 지지하기 위한 피시비 지지부(2813)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피시비(282)는 상기 피시비 지지부(2813)에 안착되며, 스크류가 상기 라이트 피시비(282)를 관통하여 상기 피시비 지지부(2813)에 체결되어 상기 라이트 피시비(282)를 고정한다.
상기 라이트 피시비(282)는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피시비 지지부(2813)에 장착된다. 상기 라이트 피시비(282)에는 상기 엘이디(2821)가 장착되며, 상기 라이트 피시비(282)의 장착시 상기 엘이디(2821)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2814)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출수부 커버(202)는 상기 출수부 하우징(201)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출수부(20)의 상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출수부 커버(202)의 양측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커버 결합부(20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부(2021)는 상기 라이트 하우징(281)의 내측 벽면에서 돌출되는 결합 돌기(2014)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출수부 커버(202)가 상기 출수부 하우징(20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0은 상기 정수기의 히팅 및 컨트롤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은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와 컨트롤 어셈블리(80)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와 컨트롤 어셈블리(80)는 하나의 모듈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은 상기 필터 브라켓(30)과 상기 쿨링 탱크(6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탑 커버(14)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의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는 정수된 물을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방식에 의해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와 결합되는 온수 케이스(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며, 상기 온수 케이스(10)의 내측에 온수 탱크(71)와 워킹 코일(72)을 비롯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의 각 구성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는 상기 정수기(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기(51)와 각종 밸브들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피시비(82)와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의 제어를 위한 유도 가열 피시비(84) 그리고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 피시비(86) 그리고 상기 엔에프시(NFC:Near Field Communication) 피시비(88)가 각각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는 컨트롤 베이스(81)와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전면을 차폐하는 제 1 컨트롤 커버(83)와, 후면을 차폐하는 제 2 컨트롤 커버(85) 그리고 측면을 차폐하는 제 3 컨트롤 커버(87)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1은 상기 정수기의 유도 가열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2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3은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는 상기 필터(34)를 통과한 정수를 공급받아 온수로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는 정수된 물이 통과되는 온수 탱크(71)와, 상기 온수 탱크(71)를 지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워킹 코일(72) 그리고 상기 워킹 코일(72)과 온수 탱크(71)가 장착되는 가열 브라켓(7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 브라켓(73)은 상기 온수 탱크(71)와 상기 워킹 코일(72) 및 페라이트 코어(74)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 브라켓(73)은 고온에도 변형 또는 손상되지 않는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 브라켓(73)의 모서리에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와의 결합을 위한 브라켓 결합부(731)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 결합부(731)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 결합부(731)의 연장된 단부는 그 형상이 다르게 형성될 되며, 방향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와 각각 형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는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 브라켓(73)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소정의 폭을 가지는 테두리(732)가 형성되어 상기 가열 브라켓(73)의 양면에 상기 온수 탱크(71)와 상기 워킹 코일(72)이 각각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 탱크(71)가 장착되는 상기 가열 브라켓(73)의 일면 중앙에는 온도센서 브라켓(74)이 장착되기 위한 브라켓 함몰부(73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함몰부(733)는 상기 온도센서 브라켓(74)이 압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함몰부(733)의 중앙에는 탱크 온도센서(741)와 퓨즈(742)에 연결된 전선이 출입되는 개구(7331)가 형성된다.
상기 온도센서 브라켓(74)에는 상기 온수 탱크(71)의 온도를 측정하는 탱크 온도센서(74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탱크 온도센서(741)는 온수 탱크(71) 중앙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온수 온도를 직접 측정하지 않고도 온수의 온도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탱크 온도센서(741)에 의해서 취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적정 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탱크 온도센서(741)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의해 추가 가열 또는 가열 정지 여부를 결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센서 브라켓(74)에는 퓨즈(74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퓨즈(742)는 온수 탱크(71) 내의 물이 지나치게 많이 과열되었을 때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의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온수 탱크(71)와 접하는 상기 온도센서 브라켓(74)의 후면(도 23에서 우측면)에는 상기 탱크 온도센서(741)가 장착되는 센서 장착홈(74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탱크 온도센서(741)는 상기 온수 탱크(71)와 접하여 상기 온수 탱크(71)의 표면 온도를 효과적으로 측정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 브라켓(74)의 전면에는 상기 퓨즈(742)가 장착되는 퓨즈 장착홈(744)이 형성된다. 상기 퓨즈 장착홈(744)에 대응하는 상기 브라켓 함몰부(733)에는 퓨즈 장착돌기(7332)가 형성되어 상기 온도센서 브라켓(74)의 장착에 의해 상기 퓨즈(742)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열 브라켓(73)의 전면에는 워킹 코일(72)이 구비된다. 상기 워킹 코일(72)는 온수 탱크(71)의 발열을 유발하는 자기력선을 형성한다. 상기 워킹 코일(72)에 전류가 공급되면, 워킹 코일(72)에서 자기력선이 형성되며, 이 자기력선은 상기 온수 탱크(71)에 영향을 주게 되고, 상기 온수 탱크(71)는 자기력선에 영향을 받아 발열된다.
상기 워킹 코일(72)은 상기 가열 브라켓(73)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온수 탱크(71)의 양면 중 평면 형상으로 된 일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워킹 코일(72)은 여러 가닥의 구리 또는 기타 도체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가닥들은 절연되어 있다. 워킹 코일(72)은 상기 워킹 코일(72)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자기장 또는 자기력선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워킹 코일(72)과 마주보고 있는 상기 온수 탱크(71)의 전면은 워킹 코일(72)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선에 영향을 받아 열을 발생시킨다. 도 23에는 워킹 코일(72)의 가닥들을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고, 각 가닥들이 상기 브라켓 함몰부(733)의 외측으로 권선되어 형성된 워킹 코일(72)의 전체적인 윤곽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워킹 코일(72)의 전면과 후면에 마이카 시트(75)가 구비된다. 상기 마이카 시트(75)는 상기 워킹 코일(72)의 전면과 후면 형상과 대응하며, 상기 워킹 코일(72) 전면과 후면 전체를 차폐하게 된다.
상기 마이카 시트(75)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 탱크(71) 및 페라이트 코어(74)는 워킹 코일(72)은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되어 상기 온수 탱크(71)가 상기 워킹 코일(72)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선에 의해 효과적으로 발열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마이카 시트(75)는 필요에 따라 상기 워킹 코일(72)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일측면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카 시트(75)의 전면에는 페라이트 코어(74)가 구비된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74)는 전류의 손실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자기력선의 차폐막 역할을 한다. 상기 워킹 코일(72)는 복수의 페라이트 코어(7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페라이트 코어(74)는 상기 워킹 코일(72)의 중심부분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74)의 고정을 위해 상기 가열 브라켓(73)에는 코어 고정부(734,735)가 형성된다. 상기 코어 고정부(734,735)는 내측 고정부(734)와 외측 고정부(735)로 구성되며, 상기 페라이트 코어(74)가 배치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내측 고정부(734)는 상기 페라이트 코어(74)의 둘레면 중 상기 워킹 코일(72)의 회전 중심과 가까운 면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외측 고정부(735)는 상기 내측 고정부(734)와 마주보는 면에 위치되어 상기 페라이트 코어(74)의 둘레면 일측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코어 고정부(734,735)는 상기 페라이트 코어(74)의 배치와 같이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수 탱크(71)는 상기 가열 브라켓의 후면에 장착된다. 상기 온수 탱크(71)는 워킹 코일(72)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선에 영향을 받아 열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수는 온수 탱크(71)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는 동안 가열되어 온수가 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 탱크(71)의 전체적인 형상은 납작하고 컴팩트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 탱크(71)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의 전체적인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가 상기 정수기(1) 내의 필터 브라켓(30)과 쿨링 탱크(60) 사이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온수 탱크(71)는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가열 면적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며 순간적인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온수 탱크(71)는 평면 형상의 제 1 커버(711)와, 요철 형상을 가지는 제 2 커버(712)의 둘레가 서로 접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 탱크(71)의 상단에는 가열된 물이 배출되는 출력관(713)이 형성되고, 상기 온수 탱크(71)의 하단에는 가열을 위한 물이 공급되는 입력관(714)이 형성된다. 상기 출력관(713)은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측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입력관(714)은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측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 탱크(71)와 연결되는 배관의 연결 공간을 확보하고 물의 흐름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출력관(713)에는 T커넥터(715)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관(713)과 마주보는 상기 T커넥터(715)의 일측에는 상기 온수 출수밸브(369)와 연결되는 온수관(262)이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T커넥터(715)의 다른 일측 즉, 상기 출력관(713)과 교차하는 방향 즉, 상기 정수기(1)의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에는 세이프티 밸브(716)가 구비된다.
상기 세이프티 밸브(716)는 상기 온수 탱크(71) 내에서 온수의 가열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온수 탱크(71)의 내부가 증기에 의해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세이프티 밸브(716)는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증기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세이프티 밸브(716)의 출구는 상기 정수기(1)의 바닥면을 향하게 되며, 상기 세이프티 밸브(716)의 출구에는 실리콘 호스 및 추가의 증기 배관(7161)이 연결된다. 상기 세이프티 밸브(716)와 연결된 증기 배관(7161)은 상기 베이스(13)를 따라 상기 정수기(1)의 외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1)의 설치시 상기 증기 배관(7161)은 싱크나 배수 가능한 별도의 통으로 빼내어서 증기 또는 증기에 의해 발생되는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입력관(714)에도 T커넥터(717)가 연결되며, 상기 T커넥터(717)의 일측에는 엔드캡(7171)이 구비되어 상기 T커넥터(717) 일측의 개구를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T커넥터(717)의 하방으로 개구된 일측에는 체크 밸브(7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718)는 정수를 상기 입력관(714)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공급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크 밸브(718)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엔드캡(7171)을 제거하게 될 경우 상기 입력관(714)을 통해서 상기 온수 탱크 내부의 물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정수기(1)는 출하 전 상기 온수 탱크(71)에 물을 채우고 가열 성능을 테스트하게 된다. 이러한 테스트의 완료 후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물을 완전히 배수한 상태에서 출하를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엔드캡(7171)은 상기 온수 탱크(71)의 테스트 후 출하시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물을 완전히 비우기 위해 개방된다. 이때, 상기 체크 밸브(718)는 닫힌 상태이며, 상기 엔드캡(7171)은 상기 온수 탱크(71)의 하단의 입력관(714)에 연결된 T커넥터(717)의 개구를 차폐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성상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물은 상기 엔드캡(7171)의 개방시 자중에 의해 모두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엔드캡(7171)은 단순한 마개의 구조가 아닌 개폐 조작이 가능한 밸브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밸브의 조작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물을 비우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4는 온수탱크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5는 도 24의 25-25'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온수 탱크(71)는 제 1 커버(711)와 제 2 커버(712)의 테두리끼리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제 1 커버(711)의 테두리와 제 2 커버(712)의 테두리는 기밀을 유지하도록 서로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711)는 워킹 코일(72)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선에 영향을 받아 열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도록 평판의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 1 커버(711)는 발열을 위한 적절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커버(711)는 스테인리스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계열의 스테인리스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커버(711)가 STS(STainless Steel, 한국공업규격) 439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커버(712)는 제 1 커버(711)를 기준으로 워킹 코일(72)의 반대쪽에 배치되고 자기력선의 영향이 적기 때문에, 제 1 커버(711)에 비해 발열과의 관련성이 적다. 따라서 제 2 커버(712)는 발열 특성보다 내식성 특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커버(712)의 상단과 하단의 중앙에는 출력관(713)과 입력관(714)이 구비된다. 상기 출력관(713)과 입력관(714)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버(712)는 베이스 면(7121), 돌출부(712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면(7121), 돌출부(7122)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면(7121)을 갖는 제 2 커버(712)를 부분적으로 프레스 가공하면, 제 2 커버(712)에 돌출부(7122)가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면(7121)은 제 1 커버(71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 1 커버(711)를 마주보며, 상기 온수 탱크(71)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 1 커버(711)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7122)는 베이스 면(7121)으로부터 제 1 커버(711)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 1 커버(711)와 제 2 커버(712)의 접합시 상기 돌출부(7122)는 제 1 커버(711)에 접촉되거나 인접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7122)의 둘레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7122)는 상기 입력관(714)과 출력관(713)의 사이에 위치되며,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입력관(714)으로 유입되어 상기 출력관(713)으로 배출되는 물의 유동을 분산시켜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체류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7122)는 가로 돌출부(7124)와 세로 돌출부(712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로 돌출부(7123)는 상기 온수 탱크(71)의 상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로 돌출부(7124)는 상기 세로 돌출부(7123)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된다.
상기 돌출부(7122)는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하나가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동일한 개수만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3개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그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입력관(714)으로 유입되는 물은 하방의 상기 가로 돌출부(7124)와 부딪혀 분산되고, 상기 세로 돌출부(7123)를 따라서 유동된 후 다시 상방의 상기 가로 돌출부(7124)와 부딪혀 분산된 후 상기 출력관(713)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작용은 다수의 돌출부(7122)에서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온수 탱크(71)의 내부를 유동하는 물은 분산되어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에서의 체류시간이 길어 지게 되어 더 가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전체에 고르게 퍼지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물의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복수의 돌출부(7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돌출부(7122)에는 용접부(7125)가 형성된다. 상기 용접부(7125)는 상기 돌출부(7122)와 같이 상기 제 1 커버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상기 용접부(7125)의 위치는 상기 온수 탱크(7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접부(7125)와 상기 제 1 커버(711)는 용접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용접부(7125)를 제외한 다른 돌출부(7122)들은 상기 제 1 커버(711)와 용접에 의해 결합되지 않고 단순히 상기 제 1 커버(711)와 접촉하거나 인접한 상태인 반면, 상기 용접부(7125)는 상기 제 1 커버(711)와 결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온수 탱크(71)는 온수 가열시 발생되는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압력 상승에도 변형 및 파손되지 않고 상기 제 1 커버(711)와 제 2 커버(712)가 형태를 유지하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6은 상기 정수기의 컨트롤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7은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는 컨트롤 베이스(81)와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전면을 차폐하는 제 1 컨트롤 커버(83)와, 후면을 차폐하는 제 2 컨트롤 커버(85) 그리고 측면을 차폐하는 제 3 컨트롤 커버(87)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베이스(81)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를 구성하는 상기 메인 피시비(82)와, 유도 가열 피시비(84), 전원 공급 피시비(86) 및 엔에프시 피시비(88)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후면(도 27에서 우측면)에는 상기 메인 피시비(82)가 장착되는 제 1 장착면이 형성된다. 메인 피시비(82)는 상기 정수기(1)와 같은 물 공급 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예컨데, 상기 메인 피시비(82)는 상기 압축기(51)와 쿨링 팬(53)을 비롯한 다수의 밸브 등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82)가 장착된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제 1 장착면(811)에는 제 1 컨트롤 커버(83)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피시비(82)는 상기 제 1 장착면(811)과 상기 제 1 컨트롤 커버(83)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전면(도 27에서 좌측면)에는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가 장착되는 제 2 장착면(812)이 형성된다.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는 워킹 코일(72)의 유도 가열 작동을 제어한다. 예컨데,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는 워킹 코일(72)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며, 상기 워킹 코일(72)에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온수 탱크(71)가 발열되어 온수를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가 장착된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제 2 장착면(812)에는 제 2 컨트롤 커버(85)가 구비된다.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는 상기 제 2 장착면(812)과 상기 제 2 컨트롤 커버(85)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는 전력 소모가 크며 이에 따라 고온의 발열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의 냉각을 위해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에는 방열부재(84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컨트롤 커버(85)에는 상기 방열부재(84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방열구(85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컨트롤 커버(85)에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의 브라켓 결합부(731)와 결합되는 결합 보스(85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보스(852)는 상기 브라켓 결합부(731)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 결합부(731)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 보스(852)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와 상기 제 2 컨트롤 커버(85)가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고온의 상기 온수 탱크(71) 또는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에 의해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가 오작동 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 2 장착면(812)은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전면 전체 중 일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전면 중 상기 제 2 장착면(812)의 상방에는 케이블 고정부(8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고정부(813)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고리 형상d의 한쌍의 돌기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돌기 사이를 다수의 피시비들에 연결되는 전선들이 통과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장착면(812)의 측방에는 제 3 장착면(8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장착면(814)은 상기 전원 공급 피시비(86)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전면과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피시비(86)는 유도 가열 피시비(8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유도 가열을 위한 출력 전압은 매우 높기 때문에 충분한 전원이 공급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여 유도 가열을 위한 출력 전압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전원 공급 피시비(8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피시비(86)은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 피시비(82)에도 전원을 제공하게 되며, 다른 구성에도 보조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 피시비(86)가 장착된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제 3 장착면에는 제 3 컨트롤 커버(87)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 공급 피시비(86)는 상기 제 3 장착면(814)과 상기 제 3 컨트롤 커버(87)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의 상단에는 제 4 장착면(8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장착면(815)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엔에프시 피시비(88)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엔에프시 피시비(88)는 휴대전화와 같은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엔에프시 피시비(88)를 통해서 사용자의 단말기로 상기 정수기(1)의 사용 정보나 동작 또는 상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1)의 설정을 조작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엔에프시 피시비(88)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로 정수와 냉수 온수의 사용량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일간, 주간 또는 월간 사용량을 전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34)의 교체 주기 또는 냉수와 온수의 온도 등의 전보를 전달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단말기를 통해 냉수의 온수의 온도를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며, 1회 취출되는 물의 양을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타 정수기(1)의 설정들을 묶어서 상기 단말기를 엔에프시 피시비(88)와 인접하는 상기 탑 커버(14)의 특정 위치에 가져가는 조작만으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탑 커버(14)에는 상기 엔에프시 피시비(88)와의 통신 연결이 가능한 위치가 표시될 수 있으며,사용자는 해당 위치에 상기 단말기를 얹어서 상기 엔에프시 피시비(88)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는 상기 정수기(1)의 모델에 따라 다양한 옵션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 베이스(81)와 메인 피시비(82)는 그대로 사용을 하게 되지만, 정수와 냉수 기능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와 상기 전원 공급 피시비(86)를 생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엔에프시 기능이 생략된 모델에서는 상기 엔에프시 피시비(88)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정수기는 하나의 상기 컨트롤 베이스(81) 상에 기능 모듈별로 피시비를 배치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1)의 옵션에 따라서 해당하는 기능을 가지는 피시비를 상기 컨트롤 베이스(81) 상의 지정 위치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1) 내부의 공간 구조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 구성의 설계의 변경 없이 다양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28은 상기 정수기의 쿨링 탱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9는 상기 쿨링 탱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0은 도 29의 30-30'단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쿨링 탱크(60)는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응축기 브라켓(54)에 하단이 삽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쿨링 탱크(60)는 전체적으로 탱크 바디(61)와 상기 탱크 바디(61)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는 탱크 커버(62)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 바디(61)는 내부에 냉각수가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611)와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외부에 형성되는 단열재 바디(612)로 구성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611)는 수지재로 사출 형성되며, 상기 단열재 바디(612)는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외측에 발포액이 발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 커버(62)는 상기 탱크 바디(61)의 개구를 상방에서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사출물로 형성된 이너 커버(621)와 상기 이너 커버(621)의 외측을 감싸는 단열재 커버(6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 커버(62)의 외관은 상기 탱크 바디(61)의 외관과 같이 단열재(612,62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 커버(62)를 관통하여 상기 증발기(63)가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탱크 커버 외측으로 연결되는 증발기(63)의 배관은 피이(PE : Polyethylene)폼(631)과 같은 단열소재로 감싸 단열시키게 된다. 이때 팽창장치로 이용되는 모세관(55) 일부는 상기 증발기(63)의 배관과 함께 감싸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쿨링 탱크(60)에는 냉수 온도센서(60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수 온도센서(601)에 의해 측정되는 냉각수의 온도는 냉동사이클의 작동을 결정하는 근거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냉수 온도센서(601)에 의해 측정된 냉각수의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보다 더 높게 되면 상기 정수기(1)의 냉동사이클이 작동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낮춘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63)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상기 이너 케이스(611) 내부에 저장된 냉각수가 냉각된다.
그리고, 냉수 온도센서(601)에 의해 측정된 냉각수의 온도가 제 2 기준 온도 이하이면, 정수기(1)의 냉동사이클은 작동을 멈추게 된다. 제 2 기준 온도는 제 1 기준 온도보다 낮다. 제 1 기준 온도와 제 2 기준 온도는 각각 냉동사이클의 작동과 정지를 위한 기준이 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611)에 저장된 냉각수는 냉수 온도센서(601)에 의한 온도 측정과 냉동사이클의 작동에 의해 제 1 기준 온도와 제 2 기준 온도의 사이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 공간에는 쿨링 코일(64)이 수용된다. 상기 쿨링 코일(64)은 정수가 통과하는 유로이다. 상기 쿨링 코일(64)은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에 설치되며 냉각수에 잠겨진 상태가 된다. 상기 쿨링 코일(64)을 통과하는 정수는 냉각수와 열교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쿨링 코일(64) 내부의 정수가 가지는 열은 냉각수로 전달되며, 정수는 냉각수와의 열교환에 의해 짧은 시간 내에 냉수가 된다. 상기 쿨링 코일(64)은 열교환을 촉진시키기 위해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쿨링 코일(64)의 입구부(641)와 출구부(642)는 상기 탱크 커버(62)를 관통하여 상기 쿨링 탱크(60)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바닥면에는 상기 쿨링 코일(64)을 지지하는 코일 지지부(6111)가 구비된다. 코일 지지부(6111)는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쿨링 코일(64)을 향해 돌출된다. 코일 지지부(6111)는 쿨링 코일(64)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크기의 홈(6112)을 갖는다. 쿨링 코일(64)은 코일 지지부(6111)의 홈(6112)에 거치되며, 상기 코일 지지부(6111)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쿨링 코일(64)은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바닥면과는 이격될 수 있으며, 냉각수가 상기 쿨링 코일(64)의 하단과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바닥 사이 공간을 통해 유동할 수 있게 되어 냉각수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쿨링 코일(64) 내부의 정수의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에는 메쉬 부재(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쉬 부재(65)는 상기 증발기(63)와 상기 쿨링 코일(64)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63)는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코일과 같은 형상으로 권취될 수 있으며, 상기 쿨링 코일(64)보다 더 상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메쉬 부재(65)는 상기 증발기(63)와 쿨링 코일(64)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증발기(63)를 지지하고 상기 쿨링 코일(64)의 상단에 안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상단에는 상기 탱크 바디(61)와 상기 탱크 커버(62)의 사이를 기밀시키기 위한 가스켓(66)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탱크 커버(62)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기 이너 커버(621)에는 플러그(623)가 장착되는 플러그 장착부(6211)와 교반기(68)(agitator)의 동작을 위한 모터(67)가 장착되는 모터 장착부(6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623)는 상기 증발기(63)의 배관과 전선이 출입되는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증발기(63)의 배관과 이너 커버(621)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고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러그(623)는 벤딩되는 증발기(63) 배관 또는 전선이 상기 탱크 커버(62)로 출입하는 과정에서 손상되지 않도록 고무나 실리콘 등의 무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67)는 이너 커버(621)의 중앙에 개구되는 모터 장착부(6212)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67)는 회전축이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모터(67)의 하방에 상기 교반기(68)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교반기(68)는 상기 모터(67)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연장되어 냉각수의 내측에 잠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교반기(68)는 하단이 상기 쿨링 코일(64)의 상단보다 더 하방에 위치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기(68)에 의한 물의 강제 유동시 상기 냉각수와 상기 쿨링 코일(64) 내부의 정수가 활발하게 열교환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교반기(68)에는 다수의 블레이드(681)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681)는 하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더 넓어지도록 형성되며, 특히 상기 블레이드(681)의 하단에서 측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681)의 하부는 일 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지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기(68)의 회전시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물이 하방으로 강제 유동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에서 순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681)는 상기 메쉬 부재(65)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681)의 구동시 냉각수가 상기 메쉬 부재(65)를 통과하면서 순환될 수 있다.
도 31은 상기 메쉬 부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2는 도 28의 32-32'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쉬 부재(65)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구획부(651)와 상기 구획부(651) 중앙의 교반기 홀(6511)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5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651)와 연장부(652)는 모두 메쉬 부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구멍으로 냉각수가 원활하게 출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획부(651)의 형상은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쉬 부재(65)의 장착시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를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651)의 둘레에는 다수의 구획부 돌기(6512)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측면에는 단턱(6113)과 돌기(6114)가 형성된다. 상기 메쉬 부재(65)의 장착시 상기 구획부(651) 또는 상기 구획부 돌기(6512)가 상기 단턱(6113)과 돌기(6114)의 사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메쉬 부재(65)는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측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획부(651)의 하면에는 하부 지지부(65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부(6513)는 상기 쿨링 코일(64)의 상단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쿨링 코일(64)이 삽입될 수 있는 홈(65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부(6513)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 또는 교차되는 방향에 위치되어 상기 메쉬 부재(65)의 장착시 상기 메쉬 부재(65)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쿨링 코일(64) 상부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651)의 상면에는 상부 지지부(65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부(6521)는 코일 형상으로 권취된 증발기(63)의 하단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63)가 삽입될 수 있는 홈(65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부(6521)는 상기 연장부(652)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지지부(6513)와 동일한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부(6521)에 의해서 상기 증발기(63)는 정위치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측에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구획부(651)의 둘레 일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쿨링 코일(64)의 입구부(6516)와 출구부(6517)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코일 안내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 안내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안내 돌기(651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 돌기(6515)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쿨링 코일(64)의 입구부(6516)가 위치되고, 다른 일측에는 쿨링 코일(64)의 출구부(6517)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 안내부의 일측에는 안내홈(6518)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6518)은 상기 쿨링 코일(64)의 입구부(6516)와 연결된 쿨링 코일(64)의 절곡된 부분이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획부(651)의 상면 일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고정 후크(651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후크(6519)는 상기 증발기(63)를 구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 후크(6519)는 상기 증발기(63)의 권취된 부분의 외측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 후크(6519)의 상단은 상기 증발기(63)의 권취된 부분의 가장 상단을 눌러 구속한다.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에서 상기 증발기(63)는 고정될 수 있으며 유동에 의한 소음 또는 파손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상기 연장부(652)는 상기 구획부(651) 중앙의 교반기 홀(6511)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652)의 내부 공간을 상기 교반기(68)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652)는 상기 구획부(651)에서 상기 모터(67)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652)는 상하로 연장되는 다수의 리브(6523)가 연속적으로 이격 배치되어 냉각수의 통과가 가능하지만 이물은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652)에 의해서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 공간은 상기 증발기(63)가 위치되는 영역과 상기 증발기(63)의 하부 영역 즉, 상기 쿨링 코일(64)이 위치되는 영역이 구획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권취된 상태의 상기 증발기(63)는 상기 연장부(652)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블레이드(681)는 상기 연장부(652)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해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63)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상기 증발기(63) 주변에 결빙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교반기(68)의 회전에 의한 냉각수의 순환 과정에서 증발기(63)에 결빙된 얼음 중 일부가 떨어져 나올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 메쉬 부재(65)에 의해 상기 증발기(63) 주변의 얼음은 상기 메쉬 부재(65)를 통과하지 못하고 차단된다. 결국 상기 증발기(63) 주변의 얼음이 상기 교반기(68)와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교반기(68)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얼음이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쉬 부재(65)에 의해 얼음이 유동하여 상기 쿨링 코일(64)과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냉각수와 함께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를 순환하며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쿨링 탱크(60)의 하단에는 냉각수를 배수하는 배수 밸브(69)가 구비된다. 상기 배수 밸브(69)는 상기 이너 케이스(611)에 저장된 냉각수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저면은 적어도 일부가 경사지거나 함몰 형성되는 배수부(61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부(6115)는 배수 밸브(69)와 연통되어 상기 쿨링 탱크(60) 내부의 냉각수가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수 밸브(69)는 이너 케이스(611)에 연결된다. 배수 밸브(69)는 이너 케이스(611)의 내부에 채워진 냉각수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도록 이너 케이스(611)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611)의 하부에는 돌출 형성되는 배수 유로부(6116)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 유로부(6116)는 상기 배수 밸브(69)와 연결된다. 배수 밸브(69)는 정수기(1)의 외부로 냉각수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므로, 냉각수 배수 유로부(6116)가 배수 밸브(69)에 삽입되면 이너 케이스(611)에 저장된 냉각수를 배수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 밸브는 밸브 고정부(6117)에 의해 고정된다. 배수 밸브(69) 및 밸브 고정부(6117)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배수 밸브(69)는 상기 단열재 바디(612)에 의해 매립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 밸브(69)의 단부가 상기 단열재 바디(61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외부에서 접속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 밸브(69)는 단열 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 밸브(69)의 외주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한다.
도 33은 상기 정수기의 배수 밸브의 장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4는 상기 배수 밸브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5는 상기 배수 밸브의 결합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너 케이스(611)는 상기 배수 밸브(69)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밸브 고정부(6117)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고정부(6117)는 배수 밸브(69)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다. 상기 밸브 고정부(6117)는 배수 밸브(69)의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밸브 고정부(6117)의 내측에는 실링부재(691)가 구비된다. 상기 실링부재(691)는 이너 케이스(611)와 배수 밸브(69)의 연결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재(691)는 이너 케이스(611)와 배수 밸브(69)를 연결시키고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재(691)는 이너 케이스(611)와 배수 밸브(69)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냉각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배수 밸브(69)는 밸브 하우징(692), 밸브시트(694), 탄성부재(695), 제 1 오링(693), 제 2 오링(696)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하우징(692)은 배수 밸브(69)의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 하우징(692)은 중공부를 구비한다. 중공부는 냉각수를 배수하는 배수 유로에 해당하며 상기 밸브시트(694), 탄성부재(695) 등을 수용하는 공간에 해당한다.
상기 밸브 하우징(692)은 제 1 하우징(6921)과 제 2 하우징(692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시트(694)는 밸브 하우징(692)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밸브시트(694)는 사용자로부터 누름 조작을 인가받는다. 사용자의 누름 조작은 배수 밸브(69)의 배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배수 유로의 개방은 상기 냉각수의 배수를 위해 개방될 수도 있지만, 상기 냉각수가 완전히 배수된 상태에서 상기 냉각수를 채워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개방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오링(693)은 밸브시트(694)와 제 1 하우징(6921) 사이를 실링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오링(693)은 밸브시트(694)에 결합되며, 탄성부재(695)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에 밀착된다. 상기 탄성부재(695)는 밸브시트(694)를 제 1 하우징(6921)으로 밀착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695)는 상기 제 2 하우징(692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 2 오링(696)은 상기 제 1 하우징(6921)과 제 2 하우징(6922)의 연결 부위를 실링한다. 제 2 오링(696)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도 36은 상기 정수기의 베이스에 압축기 브라켓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7는 상기 베이스와 트레이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13)는 상기 정수기(1)의 바닥면을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3)는 둘레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사이드 패널(15)과 프론트 커버(11)와 리어 커버(12)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3)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레그(1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그(131)는 상기 베이스(13)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3)의 하면 전체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3)의 하면을 통한 외기의 흡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13)의 전반부에 회전링(91)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트레이(90)는 회전링(91)의 전방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링(91)과 연결되어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3)의 전반부는 베이스(13)의 후반부보다 더 낮게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3)의 전반부와 로어 커버(112)의 하단부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를 통해 트레이(90)의 측면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회전링(91)과 결합된 상태로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3)의 전반부와 후반부 사이에 단차진 부분은 트레이(90)의 회전시 스토퍼(1301)가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90)의 회전시 상기 트레이(90)의 양쪽 측면은 상기 스토퍼(1301)에 접하게 되고, 상기 트레이(9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3)의 스토퍼(1301)에는 상기 트레이(90)가 상하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유동 방지부(1302)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유동 방지부(1302)는 상기 트레이(90)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90)의 후단부 양측을 구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3)의 내부에는 회전 안내부(132)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 안내부(132)는 베이스(13)에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제 1 회전 안내부(1321)와 제 2 회전 안내부(1322)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회전 안내부(1321)가 제 2 회전 안내부(1322)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 1 회전 안내부(1321)와 제 2 회전 안내부(1322)는 베이스(13)의 저면에서 일정한 곡률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전링(91)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안내부(132)는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링(91)은 회전 안내부(132)에 의해 안내되어 베이스(13)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트레이(9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링(91)은 외측링부(911), 내측링부(912) 및 링 이음부(9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링부(911)는 회전링(91)의 외부 골격 및 형태를 이룬다. 외측링부(911)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측링부(911)의 일부가 제 1 회전 안내부(1321)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제 1 회전 안내부(1321)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링부(912)는 상기 외측링부(911)의 내부에 동심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내측링부(912)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제 2 회전 안내부(1322)의 일부 및 다른 일부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정수기 및 베이스(13)의 전후방향으로 움직임이 제한되고 제 2 회전 안내부(1322)에 의해 안내됨에 따라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외측링부(911)에는 트레이(90)와의 결합을 위해 일측에 트레이 장착부(914)가 구비된다. 트레이 장착부(914)는 상기 트레이(90)의 트레이 결합부(96)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수용홀(9141)을 구비한다. 상기 수용홀(9141)은 트레이 결합부(96)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트레이 결합부(96)가 상기 수용홀(9141)을 통해 상기 트레이 장착부(914)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트레이 결합부(96)가 상기 트레이 장착부(914)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면, 상기 트레이 장착부(914)는 상기 트레이 결합부(96)를 감싸서 상기 트레이 결합부(96)의 외측면과 접촉되며 트레이 결합부(96)가 상하/좌우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트레이 결합부(96)를 지지한다. 다만, 상기 트레이 결합부(96)는 트레이 장착부(914)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 장착부(914)의 내측에는 돌기(914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결합부(96)에는 체결홈(961)이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 결합부(96)가 상기 트레이 장착부(914)의 내측에 삽입될 때 상기 돌기(9142)가 상기 체결홈(961)과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90)가 상기 회전링(91)에 장착되는 상태를 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90)의 장착시 상기 돌기(9142)와 체결홈(961)이 결합되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레이 결합부(96)가 트레이 장착부(914)에 삽입 결합됨에 따라, 트레이(90)가 상기 회전링(91)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13)에 대해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 2 회전 안내부(1322)에는 이탈방지돌기(1323)가 형성되어, 회전링(91)이 제 2 회전 안내부(132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돌기(1323)의 상단부는 내측링부(912)의 상면에 걸리도록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90)가 회전될 때 회전링(91)이 상방향으로 들림에 따라 회전링(91)이 제 2 회전 안내부(132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트레이(9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3)의 전반부 중앙에는 감압 밸브(1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압 밸브(133)는 수도에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하여 정수작업을 원할하게 하고 취출시의 수압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압 밸브(133)는 상기 회전링(91)의 장착시 상기 내측링부(912)의 내측 영역에 위치되어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13)의 중앙부에는 상기 압축기(51)가 장착되는 마운팅부(134)가 형성된다. 상기 마운팅부(134)는 상기 압축기(5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부(134)는 4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51)의 저면 네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부(134)에는 너트가 인서트 사출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기(51)의 안착 후 하방에서 스크류를 체결하여 상기 압축기(51)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3)의 중앙부에는 흡입 그릴(135)이 더 형성된다. 상기 흡입 그릴(135)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마운팅부(134)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51)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1)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압축기(51)를 경유하면서 상기 압축기(51)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입 그릴(135)은 상기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흡입구를 형성하여 외부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흡입 그릴(135)의 후방에는 상기 응축기(52)가 수용되는 응축기 브라켓(54)이 배치된다. 상기 응축기 브라켓(54)은 상기 베이스(13)의 후반부에 위치된다. 상기 응축기 브라켓(54)은 상기 베이스(13)에 고정되는 응축기 장착부(541)와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의 상방에 위치되는 탱크 장착부(5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의 전면에는 쿨링 팬(53)이 구비된다. 상기 쿨링 팬(53)에 의해 상기 흡입 그릴(135)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압축기(51) 및 응축기(52)를 냉각시키고 상기 토출구(121)로 토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의 후면은 상기 토출구(121)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 내측에 수용되는 상기 응축기(52)는 상기 정수기(1)의 토출구(121)와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13)의 후단에는 전원 코드(136)가 고정되는 코드 장착부(130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드 장착부(1303)에서 상기 베이스(13)의 중간 부분까지 코드 안내부(1304)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원 코드(136)는 상기 코드 안내부(1304)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3)의 후단에는 입수관(360)이 유입되는 입수관 출입구(1305)가 형성되며, 상기 입수관 출입구(1305)를 통해서 상기 수도와 연결된 입수관(360)이 유입된다. 상기 입수관(360)의 단부는 상기 감압 밸브(133)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수관(360)의 절곡되는 일부 구간에는 상기 입수관(360)의 접힘을 방지하기 위한 튜브 가이드(360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튜브 가이드(3601)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입수관(360)이 과도하게 꺽이거나 접히지 않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은 튜브 가이드(3601)는 정수와 냉수 및 온수가 유동되는 배관상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8은 상기 정수기의 트레이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9는 상기 트레이의 만수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트레이(90)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트레이 바디(92)와, 트레이 바디(92)의 상부를 덮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레이 커버(9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바디(92)의 내부에 저장공간이 하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내부에 잔수를 저장한다. 상기 트레이 바디(92)의 가장자리부는 트레이 커버(93)의 테두리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바디(92)의 내부에 트레이 커버(93)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부(9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바디(92)의 저면에는 함몰부(922)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922)는 상기 트레이 바디(92)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정수기(1)가 설치되는 지면과 접하여 상기 트레이(90)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90)가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시 정수기(1)의 설치되는 지면에서 처짐 발생 없이 일정한 높이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함몰부(922)는 플로터(94)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플로터(94)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922)의 내측에 상기 플로터(94)가 수위에 따라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로터(94)는 플로팅부(941)와 인디게이터(942) 그리고 캡(9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로팅부(941)는 상기 함몰부(922)의 내측에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부력에 의해 물에 뜰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팅부(941)의 상단에는 인디게이터(94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캡(943)에 의해 상기 플로팅부(941)에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디게이터(94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로팅부(941)와 캡(943) 그리고 상기 트레이 커버(93)과 다른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943)은 상기 플로터(94)의 상단을 형성하며, 상기 트레이 커버(93)로 노출되는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캡(943)은 상기 트레이 커버(93)로 노출되는 노출부(9431)와 상기 노출부(943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관통부(943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출부(9431)는 상기 인디게이터(942)의 직경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9432)는 상기 인디게이터(942)를 관통하여 상기 플로터(94)의 상단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90)에 일정량 이상의 물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캡(943)의 상면은 상기 트레이 커버(93)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거나 더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90)에 일정량 이상의 물이 채워지거나 만수위가 되면 상기 플로팅부(941)는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상기 캡(943) 또한 상기 트레이 커버(93)의 상면보다 더 돌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31과 같이 상기 플로팅부(941)가 완전히 상승하게 되면, 상기 인디게이터(942)가 상기 트레이 커버(93)의 상면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인디게이터(942)의 색상이 식별되면 만수위를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트레이(90)를 분리하여 저장된 물을 비울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레이 바디(92)의 후방면과 트레이 커버(93)의 후단에는 오목부(923)가 원호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923)가 회전링(91)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의 후단이 상기 회전링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트레이 바디(92)의 후단 양측에는 돌출부(95)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95)의 외측면은 트레이 바디(92)의 일 측면에서 동일 평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트레이(90)와 회전링(91)의 연결 부위를 가려주게 된다.
특히, 상기 트레이(90)의 회전시에도 라운드지게 형성된 상기 정수기의 전면 외관으로부터 이어지는 형상으로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트레이(90)의 회전 여부에 관계없이 외관이 미려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90)와 회전링(91)의 결합을 위해 트레이 바디(92)의 오목부에의 중앙에는 상기 트레이 결합부(96)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 결합부(96)는 상기 트레이(90)의 장착시 상기 트레이 장착부(914)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 커버(93)에는 복수의 슬릿(931)이 형성되어, 잔수가 슬릿(931)을 통해 트레이 바디(92)의 저장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고, 잔수가 트레이 바디(92)의 내부에서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커버(93)에는 인디게이팅 홀(932)이 더 형성된다. 상기 인디게이팅 홀(932)은 상기 플로터(94)의 캡(943)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캡(943)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로터(94)의 승강시 상기 캡(943)은 상기 인디게이팅 홀(932)을 통해 상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90)가 만수될 때 상기 인디게이터(942)는 상기 인디게이팅 홀(93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만수상황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레이 커버(93)에는 집수홀(93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홀(933)은 상기 출수 노즐(25)의 수직 하방에 개구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90)에 컵과 같은 용기가 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물이 취출될 때 낙하되는 물은 상기 집수홀(933)을 통과하여 상기 트레이(90)에 직접 집수된다.
도 40은 상기 정수기의 응축기 브라켓과 송풍팬 그리고 응축기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1은 상기 정수기의 냉각 공기 유동을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응축기 브라켓(54)은 하부에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가 형성되고, 상부에 탱크 장착부(5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의 하단에는 브라켓 장착부(1307)가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 장착부는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며, 스크류가 체결되어 상기 응축기 브라켓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는 전면과 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응축기(5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응축기 지지부(921)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52)는 상기 응축기 지지부(921)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응축기 장착부의 바닥과 이격되며 냉각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여 열교환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응축기(52)는 판상의 튜브(521)가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판상의 튜브의 사이에는 연속적으로 절곡 형성된 열교환판(522)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521)의 양단에는 다수의 튜브(521)와 연통되는 헤더(523)가 구비된다. 상기 헤더(523)에는 상기 압축기(51) 및 증발기(63)측과 연결되는 냉매 배관이 접속될 수 있으며, 냉매가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52)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컴팩트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의 전면에는 상기 쿨링 팬(53)의 장착을 위한 고정부재(543)가 삽입되는 고정 홀(54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홀(5411)은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 전면의 네 모서리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543)는 상기 쿨링 팬(53)의 네 모서리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부재(543)는 상기 쿨링 팬(53)의 구동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43)는 상기 고정 홀(54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543)의 둘레를 따라서 한쌍의 걸림부(543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5431)의 형상은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543)의 삽입 장착이 용이하고 상기 쿨링 팬(53)이 쉽게 탈거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543)의 전단은 상기 쿨링 팬(53)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삽입구(531)에 삽입되어 상기 쿨링 팬(53)이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 전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탱크 장착부(542)는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쿨링 탱크(60)의 하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쿨링 탱크(60)의 단면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 장착부(542)는 상기 둘레를 따라 테두리(5421)가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테두리(5421)의 내측은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쿨링 탱크(60)의 하부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5421)에는 상기 배수 밸브(69)가 통과되는 배수 홀(54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5422)은 상기 리어 커버(12)의 제거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 밸브(69)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냉각수의 배수 또는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의 전면 즉, 상기 쿨링 팬(53)의 상방에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의 일단을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542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는 상기 필터 브라켓(30)과 상기 응축기 브라켓(54)에 양단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의 장착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의 물 취출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2는 상기 정수기의 물의 유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그리고, 도 43은 상기 정수기의 제어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정수기(1)의 입수관(360)은 수도와 연결되어 원수를 입력받게 된다. 상기 입수관(360)은 상기 감압 밸브(133)와 연결되며, 상기 감압 밸브(133)를 통과하는 원수는 상기 정수기(1)의 동작을 위해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된다.
그리고, 감압된 원수는 상기 감압 밸브(133)와 상기 필터(34)를 연결하는 배관을 따라서 상기 필터(34)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필터(34)를 통과하는 원수는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수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밸브(361)의 개방에 의해 정수는 배관을 따라서 상기 급수 밸브(361)를 지나 유량 센서(363)를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급수 밸브(361)와 유량 센서(363)는 상기 메인 피시비(8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피시비(82)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 밸브(361)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량 센서(363)에서 감지된 유량이 상기 메인 피시비(82)로 전달되어 상기 정수기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유량 센서(363)를 통과한 정수는 분지관(364)을 통해서 냉정수측(3641)과 온수측(3642)으로 분지될 수 있다. 냉정수측(3641)의 배관으로 유동되는 정수는 T커넥터(365)에 의해 재차 냉수측(3651)과 정수측(3652)으로 분지되어 각각 냉수 출수밸브(366)와 정수 출수밸브(367)에 연결된다. 상기 정수 출수밸브(367)와 냉수 출수밸브(366)는 상기 메인 피시비(82)와 연결되어 개폐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상기 정수 출수밸브(367)와 냉수 출수밸브(366)가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취출 버튼(41)의 조작을 통해 선택된 밸브가 개방되어 물이 취출 될 수 있다다.
한편, 상기 냉수 출수밸브(366)를 통과한 물은 상기 쿨링 탱크(60) 내부의 쿨링 코일(64)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쿨링 코일(64)을 따라 유동되는 물은 상기 쿨링 탱크(60) 내부의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냉각 되며, 이를 위해 상기 냉각수는 설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된다.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해 상기 메인 피시비(82)와 연결된 상기 압축기(51)가 구동된다. 상기 압축기(51)의 구동은 상기 쿨링 탱크(60)의 내부에 구비된 냉수 온도센서(60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는 항상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압축기(51)의 구동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51)는 인버터 압축기로 필요한 부하에 대응하여 주파수가 조절되며, 냉각 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51)는 인버터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수를 최적의 효율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51)는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40)를 조작하여 동작을 강제 오프(OFF)상태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냉수의 소비가 적은 동계나 절전이 필요한 시기, 또는 냉수의 사용을 원하지 않을 때에는 강제로 상기 압축기(51)가 오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피시비(82)는 상기 압축기(51)의 구동은 물론 상기 쿨링 팬(53)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82)는 상기 모터(67)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모터(67)는 냉각수와 상기 쿨링 코일(64)을 통과하는 냉수의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구동되며, 상기 메인 피시비(82)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모터(67)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교반기(68)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냉각수는 상기 쿨링 탱크(60)의 내부에서 강제 대류될 수 있으며, 상기 쿨링 코일(64) 내부의 정수를 효과적으로 냉각하게 된다.
상기 쿨링 탱크(60)를 지난 냉수는 상기 T커넥터(26)를 통해 상기 출수관(261)으로 유입되며, 상기 출수관(261)을 통과하는 냉수는 상기 출수 노즐(25)을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수 출수밸브(367)가 개방된 경우에는 상기 정수 출수밸브(367)를 통과한 정수가 상기 T커넥터(26)를 통해 상기 출수관(261)으로 유입되며, 상기 출수관(261)을 지나 상기 출수 노즐(25)을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온수의 취출을 선택한 경우 정수는 상기 분지관(364)의 온수측(3642)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피시비(8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량 조절 밸브(368)가 개방되며, 상기 유량 조절 밸브(368)를 통해서 유동되는 물은 온수의 가열에 적절한 유량으로 조절된다. 즉,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물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온수 탱크(71) 측으로 공급되는 정수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유량 조절 밸브(368)를 지난 정수는 상기 온수 탱크(71)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 탱크(71)를 지나는 과정에서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온수 탱크(71)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의 제어에 의해 상기 워킹 코일(72)의 자기력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의 구동을 위해서는 메인 피시비(82)에 비해 고전압이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고전압의 공급을 위해 전원선과 연결된 전원 공급 피시비(8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전원 공급 피시비(86)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의 구동 여부에 따라 적합한 전력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메인 피시비(82)에도 적합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물은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온수 출수 밸브(369)에는 온수 온도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수 온도센서는 상기 온수 탱크(71)를 지나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메인 피시비(82)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82)에서는 입력되는 온수 온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워킹 코일(72)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온수 탱크(71)의 외측에 구비되는 탱크 온도센서(741)에 의해 온수 탱크(71) 자체의 온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탱크 온도센서(741)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되어 화재가 발생될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메인 피시비(82)로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퓨즈(742)를 단락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피시비에는 오엘피(OLP:Over Load Protection)(511)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오엘피(511)는 상기 압축기(51)의 과부하 발생시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압축기(51)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의 이상 동작에 의해 상기 퓨즈(742)가 단락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 공급 피시비(86)로부터 상기 유도 가열 피시비(84)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가 과열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온수 출수밸브(369)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71)를 통과하여 가열된 상기 온수는 상기 온수관(262)을 통해 상기 출수 노즐(25)로 유동되어 외부로 취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취출 버튼(41)의 조작에 의해 물이 취출될 때에는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의 제어에 의해 상기 출수부(20)의 엘이디(2821)가 점등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의 점등에 의해 상기 출수부(20) 하방이 밝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 피시비(43)는 상기 취출 버튼(41)의 조작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취출 버튼(41)을 투과하여 조사되는 상기 스위치 엘이디(434)의 점등 색상을 통해서 상기 필터(34)의 상태 또는 교환주기를 인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의 동작 상태 또는 동작 정도는 엔에프시 피시비(88)를 통해서 사용자의 휴대전화와 같은 단말기로 전송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엔에프시 피시비(88)로 정보 및 조작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1)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예컨데, 사용자는 휴대전화에 설치된 앱을 통해서 상기 필터(34) 수명 그리고 상기 정수기(1)의 사용 패턴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앱을 통해서 상기 정수기(1)의 냉수 모드를 끄는 절전 모드를 설정하는 등 기타 정수기(1)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정수기(1)의 사용 중 상기 쿨링 탱크(60) 내부의 냉각수를 배수하고 새로운 냉각수를 채워 넣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각수의 교체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4는 상기 정수기의 냉각수 교체 작업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5는 상기 정수기의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쿨링 탱크(60) 내부의 청결 상태 유지를 위해서는 상기 쿨링 탱크(60) 내부의 냉각수를 일정 주기마다 교환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는 우선 상기 배수 밸브(69)를 노출시킨 후 상기 배수 밸브(69)를 개방하여 상기 쿨링 탱크(60) 내부의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사용자는 별도 제공되는 서비스 배관(2)을 이용하여 상기 배수 밸브(69)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배관(2)의 단부는 상기 배수 밸브(69)와 커플링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에 의해 상기 배수 밸브(69)를 개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일반적인 커플링 배관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쿨링 탱크(60) 내부의 냉각수가 완전히 배수된 후에는 상기 서비스 배관(2)의 다른 일단을 상기 출수 노즐(25)에 연결하게 된다. 상기 서비스 배관(2)의 연결에 의해 상기 배수 밸브(69)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출수 노즐(25)은 상기 쿨링 탱크(6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40)를 조작하여 상기 정수기(1)의 모드를 냉각수 교체 모드로 설정하게 된다. 상기 냉각수 교체 모드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부(메인 피시비)는 취출 버튼(41)을 조작하게 될 때 냉각수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정수를 취출하도록 하며, 기 설정된 양의 물이 한번의 조작에 의해 급수 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S110]
이와 같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취출 버튼(41)의 조작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S120]
사용자가 상기 냉각수 교체 모드로의 진입을 선택한 후 설정시간 동안 상기 취출 버튼(41)을 조작하지 않게 되면, 냉각수 교체를 위한 작업을 실시하지 않게 되며, 상기 메인 피시비(82)는 정상 운전모드로 복귀하게 된다. [S130]
사용자가 상기 취출 버튼(41)을 누르게 되면, 상기 출수 노즐(25)에서 취출되는 정수가 상기 서비스 배관(2)을 통해서 상기 쿨링 탱크(6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냉각수를 다시 채워 넣는 작업을 개시하게 된다. [S140]
상기 냉각수 교체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유량 센서(363)에 의해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을 센싱하게 되며, 상기 메인 피시비(82)에서는 설정 용량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 출수밸브(367)가 제어된다. [S150]
상기 메인 피시비(82)는 상기 유량 센서(363)에서 전달되는 감지값을 판단하여 감지되는 유량이 설정된 유량이 될 때까지 상기 정수 출수밸브(367)의 개방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메인 피시비(82)에 설정된 용량은 상기 쿨링 탱크(60)에 채울 수 있는 적정 용량으로 기설정되어 있다. 예컨데, 상기 메인 피시비(82)에서는 상기 냉각수 교체 모드에서 상기 취출 버튼(41)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정수 출수밸브(367)가 개방되며 상기 쿨링 코일(64)과 증발기(63)가 잠길 수 있도록 2.4L 만큼의 정수가 상기 쿨링 탱크(6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S160]
상기 유량 센서(363)에서 감지된 유량이 설정된 유량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메인 피시비(82)에서는 냉각수의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정수 출수밸브(367)를 닫게 된다. [S170]
그리고, 설정된 유량의 물이 모두 공급 완료된 후에는 상기 조작부(40)를 통해서 냉각수 교체 완료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냉각수의 교체 완료는 상기 취출 버튼(41)을 투과하는 빛의 색상을 통해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물론, 냉각수 교체 완료는 부저(435)에 의해 출력될 수도 있고, 별도의 표시 수단을 이용한 냉각수 교체 완료의 표시 또한 가능할 것이다. [S180]
상기 냉각수의 교체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서비스 배관(2)을 상기 배수 밸브(69)와 출수 노즐(25)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자동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냉각수 교체 모드를 해제하고 일반적인 정상 운전 모드로 전환된다. 상기 정상 운전 모드는, 상기 취출 버튼(41)의 조작을 통해 온수 정수 냉수를 원하는 양만큼 출수할 수 있도록 하는 상태이다. [S190]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의 조립 과정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6은 상기 정수기의 조립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정수기(1)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베이스(13)에 전원 코드(136)와 입수관(360)을 배치한다.
그리고, 성형된 상기 응축기 브라켓(54)의 응축기 장착부(541)에 상기 응축기(52)를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쿨링 팬(53)을 상기 응축기 장착부(541)의 전면에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의 응축기 브라켓(54)을 성형된 상기 베이스(13)에 장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3)에 상기 회전링(91)과 상기 감압 밸브(133)를 장착한다. [STEP 1]
다음으로, 상기 응축기(52)를 상기 베이스(13) 상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압축기(51)는 상기 베이스(13)에 형성된 상기 흡입 그릴(135)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51) 및 응축기(52)의 배관 및 드라이어 배관을 용접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STEP 2]
다음으로, 상기 응축기(52)의 장착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응축기 브라켓(54)의 탱크 장착부(542)에 상기 쿨링 탱크(60)를 장착한다. 상기 쿨링 탱크(60)는 내부에 쿨링 코일(64)과 증발기(63), 모터(67)와 교반기(68), 메쉬 부재(65) 등의 배치가 완료된 상태이며, 단열재 바디(612)와 단열재 커버(622)의 발포까지 완전히 완료된 상태로 장착된다.
상기 쿨링 탱크(60)의 장착 후 상기 드라이어와 모세관(55) 등 배관을 용접하고 전선을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냉동 사이클의 구동을 위해 배관 및 압축기(51)와 응축기(52) 내부를 진공시킨 후 냉매를 주입시킨 후 밀봉시키게 된다. [STEP 3]
다음으로, 상기 필터 브라켓(30)을 상기 베이스(13)에 장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 브라켓(30)에는 다수의 밸브들이 장착 완료된 상태로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장착과 함께 물이 공급되는 유로 배관들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브라켓(30)과 상기 응축기 브라켓(54)의 사이에는 서포트 플레이트(35)가 장착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에 의해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의 장착 공간이 확보된다. [STEP 4]
다음으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에는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이 장착된다.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은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와 컨트롤 어셈블리(80)가 하나의 모듈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브라켓(30)과 상기 쿨링 탱크(60)의 사이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의 상단은 상기 탑 커버(14)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서로 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은 상기 정수기(1) 내에 제공되는 공간에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50)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70)와 컨트롤 어셈블리(80)의 커넥터를 연결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정수기(1)가 온수를 취출하는 모델이 아니라 정수와 냉수만을 취출하는 모델이라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5)에는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옵션 기능에 따라 해당되는 피시비가 조립된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가 장착될 수 있다. [STEP 5]
다음으로,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상단에 상기 로테이터(21)가 장착된다. 상기 로테이터(21)에는 상기 출수부(20)가 조립된 상태이며,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22)에 상부 가이드 브라켓(23)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24)이 조립되고 내부에는 출수관(261)이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로테이터(21)는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로테이터 장착부(33)에 안착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1)에 구비되는 상기 피니언 기어(271)은 상기 필터 브라켓(30) 상단의 내접 기어(331)와 기어결합되어 상기 로테이터(20)의 회전시 상기 피니언 기어(271)이 상기 내접 기어(331)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로테이터(21)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1)를 장착한 후에는 상기 출수관(261)과 냉수와 정수 배관이 연결된 T커넥터(26)를 피팅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관(261)의 단부를 출수 노즐(25)에 연결한다. 또한, 상기 온수관(262) 또한 상기 출수 노즐(25)에 연결하여 배관의 연결을 완료한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1)의 상단에는 상기 어퍼 커버(111)를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테이터(21)는 상하 결합이 완료되어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STEP 6]
다음으로, 상기 탑 커버(14)를 조립하게 된다. 상기 탑 커버(14)에는 상기 조작부(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상기 어퍼 커버(111)와 상기 쿨링 탱크(6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14)의 장착시 상기 조작부(40) 전면에서 연장되는 회전 연결부(421)가 상기 로테이터(21)의 결합링(236,246)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조작부(40)와 상기 로테이터(21)가 서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 피시비(43)와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80)에 구비되는 메인 피시비(82)를 커넥터로 연결하게 되며, 전원 및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 브라켓(30)의 필터 소켓에 테스트를 위한 필터를 장착할 수 있으며, 필터 연결 후 테스트를 실시하게 된다. 테스트 완료 후 검사용 필터를 제거하고 유로의 잔수를 제거한 후 상기 필터(34)를 상기 필터 소켓에 조립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 탱크(71)에 물을 주입하고 유도 가열 어셈블리(70)를 동작시켜 온수 가열을 테스트한다. 테스트 완료 후 상기 엔드캡(7171)을 제거하고 상기 온수 탱크(71) 내부의 잔수를 완전히 배수시킨 후 다시 상기 엔드캡(7171)을 장착한다. [STEP 7]
다음으로 상기 리어 커버(12)를 상기 베이스(13)에 스크류 체결하여 고정하고, 이어서 베이스(13)의 양측에 사이드 패널(15)을 스크류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 패널(15)은 상기 탑 커버(14)와 스크류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STEP 8]
그리고, 상기 로어 커버(112)를 상기 사이드 패널(15)과 로테이터(21)에 결합시켜 상기 정수기(1)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로어 별도 조립된 상기 트레이(90)는 함께 포장되어 출하될 수 있으며, 설치 및 사용시 사용자가 상기 트레이(90)를 회전링(91)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STEP 9]

Claims (8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양단에 연결되며,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
    상기 사이드 패널 사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양측의 상기 사이드 패널의 전단까지 연장된 개구가 형성되는 프론트 커버;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개구와 대응하는 높이까지 상방으로 연장되며,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
    상기 필터 브라켓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에 장착된 상태로 회전되어 상기 개구를 차폐하는 로테이터;
    상기 로테이터에서 상기 개구를 통과하도록 외측으로 연장되며, 물이 취출되는 출수 노즐이 장착되는 출수부;
    상기 로테이터 상방의 탑 플레이트에 형성된 커버 홀에 장착되며, 출수 조작을 위한 취출 버튼이 구비되는 조작부;
    상기 커버 홀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조작부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안착되도록 상기 조작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베이스 지지부;
    상기 조작부 하면에서 상기 로테이터와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 홀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출수부 및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시 상기 조작부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연결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개구의 하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필터 브라켓을 차폐하는 로어 커버와,
    상기 로어 커버와 이격되어 상기 개구의 상단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까지 연장되며, 상기 로테이터의 상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브라켓은,
    상기 로테이터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며, 상기 로테이터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로테이터 장착부와,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의 하방에 이격되며,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저면부와,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와 저면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필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에는 회전축에 피니언이 장착된 오일 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 브라켓에는 곡률을 따라 연장되는 내접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시 상기 피니언은 상기 내접 기어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는,
    상기 출수부가 결합되며, 상기 개구를 차폐하는 원통 형상의 로테이터 하우징과,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의 개구된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부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로테이터 하우징의 개구된 상면에 장착되며, 상기 조작부와 함께 회전되는 상부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브라켓과 하부 가이드 브라켓의 회전 중심에는 한쌍의 중심링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링의 사이에는 상기 출수 노즐과 연결되는 출수관과 연결된 커넥터에 회전 가능하게 피팅되는 회전관이 배치되며,
    상기 중심링을 기준으로 양측방의 상기 하부 가이드 브라켓과 상부 가이드 브라켓에는 한쌍의 상기 회전 연결부가 각각 관통되어 연결되는 결합링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중심링을 관통하며, 상기 커넥터와 냉수관 및 정수관이 피팅되는 회전관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관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의 콜렛이 삽입되는 피팅홈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지지부는 상기 커버홀의 둘레에서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노즐에는,
    냉수와 정수가 공급되는 출수관과 연결되는 냉정수 연결부와,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관과 연결되는 온수 연결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상면이 개구되며 상기 로테이터에서 연장되며, 상기 출수 노즐이 장착되는 출수부 하우징과;
    상기 출수부 하우징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하는 출수부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라이팅 홀이 형성되며,
    상기 출수부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라이팅 홀을 통해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라이팅 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링; 및
    상기 회전링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 외측으로 연장되는 트레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71.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면이 개구되며 상기 출수 노즐에서 낙하된 물이 수용되는 트레이 바디와;
    상기 트레이 바디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적어도 일부가 그릴 형상으로 형성되어 물이 통과될 수 있는 트레이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2.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내측에는 플로터가 수용되며,
    상기 트레이 바디에는 플로터의 하부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 커버에는 상기 플로터의 상단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된 인디게이팅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3. 제 7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는,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며, 물에 뜨는 소재로 형성되는 플로팅부;
    상기 플로팅부에 결합되며, 상기 인디게이팅 홀의 내측에 위치되는 캡;
    상기 캡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캡 및 트레이 커버와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는 인디게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가 설정수위 이상인 경우 상기 플로팅부의 상승에 의해 상기 인디게이터가 상기 인디게이팅 홀의 상방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4. 제 72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정수기가 설치되는 지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5.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노즐의 수직 하방과 대응하는 상기 트레이 커버에는 집수홀이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6.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는 돌출 형성되는 트레이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링에는 상기 트레이 결합부가 삽입되는 트레이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 장착부는 상기 베이스의 전단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7.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는 라운드진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의 전단 및 상기 베이스의 전단과 접하는 상기 트레이의 후단은 상기 프론트 커버와 대응하는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8.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트레이의 회전시 상기 베이스의 측면과 접하여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9.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양측에는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의 회전시 상기 트레이의 하단부 양측이 삽입되는 유동 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0.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회전링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회전링의 내측면 접하여 상기 회전링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KR1020150169406A 2015-11-30 2015-11-30 정수기 KR101770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406A KR101770481B1 (ko) 2015-11-30 2015-11-30 정수기
CN201611071449.2A CN106963241B (zh) 2015-11-30 2016-11-28 净水器
US15/362,971 US10408533B2 (en) 2015-11-30 2016-11-29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519,293 US10962282B2 (en) 2015-11-30 2019-07-23 Liquid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406A KR101770481B1 (ko) 2015-11-30 2015-11-30 정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606A Division KR20170063448A (ko) 2017-02-17 2017-02-17 정수기
KR1020170021608A Division KR20170063450A (ko) 2017-02-17 2017-02-17 정수기
KR1020170021610A Division KR101827673B1 (ko) 2017-02-17 2017-02-17 정수기
KR1020170021612A Division KR20170063454A (ko) 2017-02-17 2017-02-17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KR1020170021607A Division KR101884560B1 (ko) 2017-02-17 2017-02-17 정수기
KR1020170021609A Division KR102042575B1 (ko) 2017-02-17 2017-02-17 정수기
KR1020170021611A Division KR101828207B1 (ko) 2017-02-17 2017-02-17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253A KR20170063253A (ko) 2017-06-08
KR101770481B1 true KR101770481B1 (ko) 2017-09-05

Family

ID=5877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406A KR101770481B1 (ko) 2015-11-30 2015-11-30 정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408533B2 (ko)
KR (1) KR101770481B1 (ko)
CN (1) CN1069632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478B1 (ko) 2015-08-21 2017-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770481B1 (ko) * 2015-11-30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637684B1 (ko) * 2016-05-04 2024-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1878555B1 (ko) * 2016-08-23 2018-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각수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1925330B1 (ko) * 2017-03-17 2018-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N106984093A (zh) * 2017-06-02 2017-07-28 江苏元升厨卫电器有限公司 自清洗超声波净水器
KR101948726B1 (ko) * 2017-07-13 2019-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N110352174B (zh) * 2017-07-20 2021-10-29 Lg电子株式会社 净水器
KR101971284B1 (ko) * 2017-08-24 201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48730B1 (ko) 2017-08-28 2019-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20052B1 (ko) 2017-08-30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26095B1 (ko) * 2017-08-30 2018-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05569B1 (ko) 2017-08-30 2019-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86220B1 (ko) * 2017-09-22 2019-06-05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출몰하는 취수부를 가지는 음용수 공급 장치
CN109662589A (zh) * 2017-10-16 2019-04-23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饮水机
KR102014392B1 (ko) 2018-01-11 2019-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63223B1 (ko) * 2018-01-31 2020-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548275B1 (ko) * 2018-02-23 202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548269B1 (ko) 2018-02-23 2023-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87693B1 (ko) * 2018-04-03 202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방법
KR20190116835A (ko) 2018-04-05 2019-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방법
KR102266573B1 (ko) * 2018-07-17 2021-06-1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USD914834S1 (en) * 2018-08-31 2021-03-30 Lg Electronics Inc. Main body of water purifier
CN109665582A (zh) * 2018-12-10 2019-04-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净水机显示组件及净水机
KR20200124132A (ko) *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20200124135A (ko) *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20200124136A (ko)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20200124130A (ko) *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20200124134A (ko) *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KR20200124131A (ko) * 2019-04-23 2020-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수장치
US20200361785A1 (en) * 2019-05-14 2020-11-19 Lg Electronics Inc. Hydrogen water generator
KR102240227B1 (ko) * 2019-05-14 2021-04-13 김태헌 히터부의 청소가 용이한 정수기
US11796249B2 (en) * 2021-05-07 2023-10-2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ingle button capacitive user interface
USD977889S1 (en) 2021-08-27 2023-02-14 Keurig Green Mountain, Inc. Beverage dispenser
USD977890S1 (en) 2021-08-27 2023-02-14 Keurig Green Mountain, Inc. Beverage dispenser
KR20230167848A (ko) 2022-06-03 2023-12-1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EP4325148A1 (de) * 2022-08-16 2024-02-21 Aquis Systems AG Trinkwasserkühlsystem zum kühlen, speichern und filtern von trinkwass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803B1 (ko) * 2013-11-11 2014-04-07 명성희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9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88696A (en) * 1921-10-31 1924-04-01 George W Marshall Feed-water heater and purifier
US1930225A (en) * 1928-12-22 1933-10-10 Staten Island Shipbuilding Co Refrigerating system
US2504372A (en) * 1946-06-17 1950-04-18 Richard C Anderson Liquid cooler
US3217518A (en) * 1964-02-13 1965-11-16 Gen Electric Dry cleaning apparatus
US3757814A (en) * 1971-10-14 1973-09-11 H Hill Liquid control and dispensing
US4844796A (en) * 1987-10-15 1989-07-04 The Coca-Cola Company Full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use in soft drink dispensing system
JPH06331255A (ja) 1993-05-24 1994-11-29 Toshiba Corp 冷水機
JPH0741369A (ja) 1993-07-30 1995-02-10 Kyocera Corp セラミックス管の焼成方法
US5484510A (en) * 1993-10-26 1996-01-16 Dew Enterprises, Inc. Water distilling apparatus
US5587055A (en) * 1993-10-26 1996-12-24 Michael O. Hartman Water distilling apparatus and method
JP3287171B2 (ja) * 1994-06-15 2002-05-27 株式会社デンソー 一体型冷房機
US5858248A (en) * 1995-03-31 1999-01-12 The Coca-Cola Company On premise water treatment method for use in a post-mix beverage dispenser
US5776333A (en) * 1995-03-31 1998-07-07 The Coca-Cola Company On premise water treatment apparatus
US5766453A (en) * 1995-11-13 1998-06-16 Whirlpool Corporation Filtered water dispensing cabinet
KR970043407U (ko) * 1995-12-30 1997-07-31 정수기의 선택적 연속취수장치
KR0175907B1 (ko) * 1996-05-25 1999-03-20 김광호 냉온정수기
JPH1079294A (ja) 1996-09-03 1998-03-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温水供給装置
JP3746605B2 (ja) * 1997-12-26 2006-02-15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US6044903A (en) * 1998-02-20 2000-04-04 Frigid Units, Inc. Water conditioning assembly
US6264830B1 (en) * 1999-08-13 2001-07-24 The Coca-Cola Company On premis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GB9921659D0 (en) * 1999-09-14 1999-11-17 Imi Cornelius Uk Ltd Water treatment
US6495049B1 (en) * 1999-10-21 2002-12-17 The Coca-Cola Company On premise water treatment system with temperature control water release and method
CN1486210A (zh) * 2001-01-18 2004-03-31 ���˹���Ѷ��� 滤水器
KR100436858B1 (ko) * 2001-07-18 2004-06-25 제인공업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
US6572206B2 (en) * 2001-09-24 2003-06-03 American Trim, Llc Multiple position control panel
JP2003192097A (ja) 2001-12-27 2003-07-09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飲料供給装置
US6739681B1 (en) * 2002-01-22 2004-05-25 Equator Corporation Ergonomically adjustable control panel and method
JP2003312793A (ja) 2002-04-22 2003-11-06 Unimat Offisco Corp 飲料供給装置
US6640052B1 (en) * 2002-05-24 2003-10-28 Kun Song Technical Company Dual temperature water dispensing device
CN2579302Y (zh) * 2002-11-06 2003-10-15 巫宗权 节能型多用途饮水机
KR20050074212A (ko) 2004-01-13 2005-07-18 동양매직 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의 조명 장치 및 그 방법
CN2675002Y (zh) * 2004-02-14 2005-02-02 李星南 一种家用空气取水饮水机
IL209880A (en) * 2004-04-02 2013-08-29 Strauss Water Ltd Water splash and portable filter and use in water splash
KR200394155Y1 (ko) 2005-04-08 2005-08-30 삼에스전자주식회사 순간 온수 장치
KR100756363B1 (ko) 2005-12-30 2007-09-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온수통
US7861550B2 (en) * 2007-03-26 2011-01-04 Natural Choice Corporation Water dispenser
KR100982701B1 (ko) 2007-04-24 2010-09-1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KR20090013356A (ko) 2007-08-01 2009-02-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복합필터장치
CN201119766Y (zh) * 2007-10-12 2008-09-24 苏州司迈特制冷设备有限公司 多功能饮水机
KR100921376B1 (ko) 2007-10-24 2009-10-1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응축기 마운팅 어셈블리
KR101084005B1 (ko) 2008-02-05 2011-11-1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온수 온도 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1094800B1 (ko) 2008-03-03 2011-12-1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드레인 밸브
JP2010071548A (ja) 2008-09-18 2010-04-02 Panasonic Corp 電気瞬間湯沸器
US8302412B2 (en) * 2008-11-17 2012-11-06 EcoloBlue, Inc. Versatile environmentally conscious apparatus
KR20100062205A (ko) 2008-12-01 2010-06-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필터교환시기 표시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 및 그 필터교환시기 표시방법
KR101146626B1 (ko) 2008-12-18 2012-05-16 이성주 조명 콕과 이를 이용한 정수기 콕
FR2942301A1 (fr) 2009-02-18 2010-08-20 Elka S A Installation de preparation instantanee d'eau chaude
KR20100009381U (ko) 2009-03-16 2010-09-29 주식회사 하이필 냉/온 정수기의 온수탱크의 드레인 구조
KR101592575B1 (ko) * 2009-03-20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105061A (ko) 2009-03-20 2010-09-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물의 추출이 가능한 정수기
CN201617671U (zh) * 2009-03-25 2010-11-03 苏志祥 饮水机
KR20110026133A (ko) 2009-09-07 2011-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N102640458B (zh) * 2009-11-26 2015-09-30 Lg电子株式会社 用于组件的网络系统
KR101224651B1 (ko) 2010-01-11 2013-01-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
KR100956582B1 (ko) * 2010-02-11 2010-05-07 테크원 주식회사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및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
KR101137656B1 (ko) 2010-02-23 2012-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급수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WO2011134426A1 (zh) * 2010-04-30 2011-11-03 Hsu Henry 一种空气造水机
US9309103B2 (en) * 2010-05-03 2016-04-12 Cgp Water Systems, Llc Water dispenser system
MX352420B (es) * 2010-05-18 2017-11-23 Water Tech International Inc Star Aparato y método para recuperar y expender agua potable.
US8450666B2 (en) * 2010-09-10 2013-05-28 Shun-Chi Yang High-efficiency water boiling device
CN201840318U (zh) * 2010-09-16 2011-05-25 无锡物华电子科技有限公司 自动饮水装置
CN101972112A (zh) * 2010-09-16 2011-02-16 无锡物华电子科技有限公司 自动饮水装置
KR20120051450A (ko) 2010-11-12 2012-05-22 주식회사 위닉스 냉장고용 응축기 및 그 제조방법
EP2458060B1 (en) * 2010-11-29 2016-02-17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ontrol-panel assembly for household appliances and household appliance provided with such control-panel assembly
WO2012118354A2 (en) * 2011-03-03 2012-09-07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KR101259621B1 (ko) 2011-06-21 2013-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US20160183716A1 (en) * 2011-06-23 2016-06-30 Sunbeam Products, Inc. Mixed Beverage Maker
KR101296434B1 (ko) 2011-07-08 2013-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의 배수구조
KR101291981B1 (ko) * 2011-07-08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인 정수기
KR101344464B1 (ko) 2011-10-26 2013-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KR101936736B1 (ko) 2012-04-16 2019-01-11 코웨이 주식회사 전자식 추출부를 구비하는 물 추출장치
US9523514B2 (en) * 2012-09-21 2016-12-20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Selective water temperature component for use with water treatment systems
KR101637210B1 (ko) 2012-11-02 2016-07-07 주식회사 은성산업 히타를 사용한 슬림구조를 갖는 정수기의 온수공급을 위한 순간 가온기
EP3056842B1 (en) * 2013-02-20 2017-10-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495550B1 (ko) 2013-03-14 2015-02-25 윤상기 순간 온수기
KR101637365B1 (ko) 2013-04-09 201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장치 또는 정수기
KR101507861B1 (ko) 2013-05-06 201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92732B1 (ko) 2013-07-03 201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US20150048731A1 (en) * 2013-08-13 2015-02-19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Movable control panel to allow service access to built-in domestic appliance without removing appliance from built-in position
KR101876367B1 (ko) * 2013-09-05 2018-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50068173A (ko) 2013-12-11 2015-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611293B1 (ko) * 2013-12-11 201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751100B1 (ko) * 2014-04-10 201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05423452B (zh) * 2014-09-12 2019-01-22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的室外机
KR101773478B1 (ko) * 2015-08-21 2017-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30131499A (ko) * 2015-08-31 2023-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70481B1 (ko) * 2015-11-30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N105615657A (zh) * 2016-03-18 2016-06-01 河南香雪海家电科技有限公司 一种带压缩机制冷和水净化功能的液体加热器
KR101788965B1 (ko) * 2016-03-22 2017-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1760210B1 (ko) * 2016-03-29 2017-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539477B1 (ko) * 2016-05-04 202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818390B1 (ko) * 2017-01-11 2018-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884560B1 (ko) 2017-02-17 2018-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48726B1 (ko) * 2017-07-13 2019-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20050B1 (ko) * 2018-01-1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803B1 (ko) * 2013-11-11 2014-04-07 명성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53056A1 (en) 2017-06-01
US20190346201A1 (en) 2019-11-14
US10408533B2 (en) 2019-09-10
CN106963241B (zh) 2019-08-23
KR20170063253A (ko) 2017-06-08
CN106963241A (zh) 2017-07-21
US10962282B2 (en)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481B1 (ko) 정수기
KR20170063454A (ko)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KR101827673B1 (ko) 정수기
KR101884560B1 (ko) 정수기
KR20170063451A (ko) 정수기
KR101828207B1 (ko) 정수기
KR102005569B1 (ko) 정수기
KR20160119133A (ko) 스탠드
JP5583292B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101907823B1 (ko) 정수기
KR20190040949A (ko) 정수기
KR20170063448A (ko) 정수기
KR101969822B1 (ko) 정수기
KR101948685B1 (ko) 정수기
KR101869217B1 (ko) 정수기
KR20180020188A (ko)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KR20170063450A (ko) 정수기
KR102223921B1 (ko) 정수기
KR102223807B1 (ko)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KR102167560B1 (ko) 정수기
KR20190095236A (ko) 정수기
KR20190131002A (ko) 정수기
KR20230156290A (ko) 정수기
KR102123683B1 (ko) 출수모듈
CN115590361A (zh) 烹饪器具的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