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582B1 -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및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및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582B1
KR100956582B1 KR1020100012877A KR20100012877A KR100956582B1 KR 100956582 B1 KR100956582 B1 KR 100956582B1 KR 1020100012877 A KR1020100012877 A KR 1020100012877A KR 20100012877 A KR20100012877 A KR 20100012877A KR 100956582 B1 KR100956582 B1 KR 100956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ot water
heat
pla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섭
이건국
정길도
Original Assignee
테크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크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2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5Water-storage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및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판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되되, 그 중심점에 물 유입공이 천공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방열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물 유입공을 중심으로 주연부를 향해 수개의 물 분배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저면의 외주연에는 제 1 오링 삽입홈이 형성된 상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과; 원판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되되, 그 중심점에 물 배출공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방열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물 배출공을 중심으로 주연부를 향해 수개의 물 분배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의 외주연에는 제 3 오링 삽입홈이 형성된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과;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방사형 물 분배홈 단부 위치에 수개의 물 통과공이 각각 천공된 형태를 갖고 제 1 및 제 3 오링에 의해 상호 밀폐된 형태에서 분해 조립 가능하게 조립된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방열판 삽입홈에 설치되어 워킹코일에서 생성된 자계에 의해 유도 가열되어 그의 상,하면을 통과하며 흐르는 물을 가열시켜 주는 원판형 가열판과; 상기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저면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에서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자체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계를 형성시켜 상기 가열판을 유도 가열시켜 주는 워킹코일과; 상기 워킹코일의 저면에 절연형 접착제를 통해 방사형으로 부착 설치되어 워킹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의 밀도를 높여줌은 물론 그 자계들이 상부의 가열판 측으로 전달되고 저부로는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수개의 영구자석과; 상기 워킹코일과 영구자석의 저부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가열판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가 제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열 차단판과; 상기 열 차단판의 하방부에 설치되어 워킹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한 각 구성품이 일체로 내장 설치되는 함체형 본체와; 상기 함체형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아주는 뚜껑;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적은 사용 전력량으로 온수 또는 난방수를 빠른 시간 내에 원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 자체의 크기가 매우 작으므로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설치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간단히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배출가스의 발생이 전혀 없으므로 그로 인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및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Disk plat type induction heat exchanger for hot water or heating and hot water/heating combined}
본 발명은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및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류를 흘려주면 자계가 발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워킹코킹의 상면부에 원판 또는 장방형 원판 형상을 갖는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내부에 하나 또는 2개의 원판형 가열판이 내장된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및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를 설치하되, 각 열교환기의 입수구를 통하여 물이 입수되고 각 가열판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으로 흐르면서 2번의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을 통해 적은 전력량으로 온수 또는 난방수 사용되는 물의 가열시간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물의 온도는 최대한 빠르게 원하는 온도로 높일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라 함은 온도가 높은 유체로부터 전열벽(傳熱壁)을 통해서 온도가 낮은 유체에 열을 전달하는 장치로써 가열기, 냉각기, 증발기 및 응축기 등에 사용되고, 목적으로 하는 유체에 열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전열매체를 열매(熱媒)라고 하며, 이와는 반대로 열을 뺏는 데 사용되는 것을 냉매(冷媒)라고 한다.
열교환기의 형식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금속관을 전열벽으로 하는 것으로, 이 형식에는 주수식(注水式), 이중관식, 핀붙이 다관식, 투관형식(透管型式) 등이 있다.
이중관식 열교환기는 내관(內管)과 외관으로 되어 있으며, 내관 내부의 유체와 관과 관 사이에 있는 고리 모양 부분의 유체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데, 이 형식은 구조는 간단하지만 처리하는 양이 적다.
대용량인 것에는 커다란 외관(外管)에 여러 개의 작은 관을 넣은 투관형식을 사용하고, 열이 높은 유체와 낮은 유체의 흐름에서 같은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병류형(竝流型),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역류형, 직각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직교류형(直交流型)이라고 한다.
보통 공업에서 사용되는 전열매체에는 물, 수증기, 공기, 연도(煙道)가스, 석유, 수은, 나트륨, 칼륨 및 비페닐에테르와 비페닐의 혼합물인 다우섬(dowtherm) 등이 있다.
한편, 가정이나 영업장 등에서 온수나 난방 전용 또는 온수/난방 겸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일러 등에 설치되어 있는 열교환기는 통상 열원을 발생시키기 위한 연료로 가스 또는 석유를 사용하고 있어 버너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자체의 크기가 매우 크고 연소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해 주기 위한 연도를 필요로 하여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설치 작업 자체가 매우 어렵고, 제품의 생산원가 자체가 매우 높아 소비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많이 주게 되며, 특히 배출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을 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부에서는 히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전기식 열교환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경우 소비전력이 매우 높은 반면 열효율은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 자체를 워킹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생성되는 자계가 가열판을 유도 가열시켜 주는 형태를 갖는 원판형 인덕션 열교환기로 성형 즉, 전류를 흘려주면 자계가 발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워킹코킹의 상면부에 원판 또는 장방형 원판 형상을 갖는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내부에 1개 또는 2개의 원판형 가열판이 내장된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및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를 설치하되, 각 열교환기의 입수구를 통하여 물이 입수되고 각 가열판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으로 흐르면서 2번의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적은 사용 전력량으로 온수 또는 난방수를 빠른 시간 내에 원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 자체의 크기가 매우 작으므로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설치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간단히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배출가스의 발생이 전혀 없으므로 그로 인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및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는, 원판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되되, 그 중심점에 물 유입공이 천공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방열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물 유입공을 중심으로 주연부를 향해 수개의 물 분배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저면의 외주연에는 제 1 오링 삽입홈이 형성된 상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과; 원판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되되, 그 중심점에 물 배출공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방열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물 배출공을 중심으로 주연부를 향해 수개의 물 분배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의 외주연에는 제 3 오링 삽입홈이 형성된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과;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방사형 물 분배홈 단부 위치에 수개의 물 통과공이 각각 천공된 형태를 갖고 제 1 및 제 3 오링에 의해 상호 밀폐된 형태에서 분해 조립 가능하게 조립된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방열판 삽입홈에 설치되어 워킹코일에서 생성된 자계에 의해 유도 가열되어 그의 상,하면을 통과하며 흐르는 물을 가열시켜 주는 원판형 가열판과; 상기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저면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에서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자체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계를 형성시켜 상기 가열판을 유도 가열시켜 주는 워킹코일과; 상기 워킹코일의 저면에 절연형 접착제를 통해 방사형으로 부착 설치되어 워킹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의 밀도를 높여줌은 물론 그 자계들이 상부의 가열판 측으로 전달되고 저부로는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수개의 영구자석과; 상기 워킹코일과 영구자석의 저부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가열판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가 제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열 차단판과; 상기 열 차단판의 하방부에 설치되어 워킹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한 각 구성품이 일체로 내장 설치되는 함체형 본체와; 상기 함체형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아주는 뚜껑;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저면에는 워킹코일 설치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에 각각 형성된 물 분배홈은 중심점에서 주연부로 갈수록 그 깊이가 점차 얇아지는 경사홈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 차단판에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열 차단판으로 전달된 열을 방열시켜 줌과 동시에 제어부에 설치된 부품을 냉각시켜 주는 수개의 송풍팬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판형 인덕션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되되, 양측 중심점에는 각각 온수 및 난방용 물 유입공이 천공되고, 저면 양측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방열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각의 온수 및 난방용 물 유입공을 중심으로 주연부를 향해서는 수개의 온수 및 난방수 물 분배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온수 및 난방수 물 배출홈의 자유단부 외측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오링 삽입홈이 형성된 상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과; 장방형의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되되, 양측 중심점에는 각각 온수 및 난방용 물 배출공이 천공되고, 상면 양측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방열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각의 온수 및 난방용 물 배출공을 중심으로 주연부를 향해서는 수개의 온수 및 난방수 물 분배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온수 및 난방수 물 배출홈의 자유단부 외측에는 각각 제 3 및 제 4 오링 삽입홈이 형성된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과;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온수 및 난방수 물 분배홈 단부 위치에 각각 수개의 물 통과공이 천공된 형태를 갖고 제 1 내지 제 4 오링에 의해 상호 밀폐된 형태에서 분해 조립 가능하게 조립된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제 1 및 제 2 방열판 삽입홈에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워킹코일에서 각각 생성된 자계에 의해 유도 가열되어 그의 상,하면을 통과하며 흐르는 온수 및 난방수를 가열시켜 주는 제 1 및 제 2 원판형 가열판과; 상기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저면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에서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자체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계를 형성시켜 상기 제 1 및 제 2 원판형 가열판을 각각 유도 가열시켜 주는 제 1 및 제 2 워킹코일과; 상기 제 1 및 제 2 워킹코일의 저면에 각각 절연형 접착제를 통해 방사형으로 부착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워킹코일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자계의 밀도를 높여줌은 물론 그 자계들이 상부의 제 1 및 제 2 원판형 가열판 측으로 전달되고 저부로는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수개의 영구자석과; 상기 제 1 및 제 2 워킹코일과 영구자석들의 저부로부터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원판형 가열판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가 제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장방형의 열 차단판과; 상기 열 차단판의 하방부에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워킹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한 각 구성품이 일체로 내장 설치되는 함체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아주는 뚜껑;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저면 양측에 각각 제 1 및 제 2 워킹코일 설치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에 각각 형성된 물 분배홈은 중심점에서 주연부로 갈수록 그 깊이가 점차 얇아지는 경사홈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 차단판에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열 차단판으로 전달된 열을 방열시켜 줌과 동시에 제어부에 설치된 부품을 냉각시켜 주는 수개의 송풍팬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 자체를 워킹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생성되는 자계가 가열판을 유도 가열시켜 주는 형태를 갖는 원판형 인덕션 열교환기로 성형하는 형태 즉, 전류를 흘려주면 자계가 발생되는 1개 또는 2개의 워킹코킹의 상면부에 원판 또는 장방형 원판 형상을 갖는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내부에 1개 또는 2개의 원판형 가열판을 설치한 구성을 갖는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및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를 설치하되, 각 열교환기의 입수구를 통하여 물이 입수되고 각 가열판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으로 흐르면서 2번의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적은 사용 전력량으로 온수 또는 난방수를 빠른 시간 내에 원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 자체의 크기가 매우 작으므로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설치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간단히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배출가스의 발생이 전혀 없으므로 그로 인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중 일부 구성품에 대한 분해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의 정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 중 일부 구성품에 대한 분해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의 정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중 일부 구성품에 대한 분해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의 정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 중 일부 구성품에 대한 분해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의 정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는,
원판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되되, 그 중심점에 물 유입공(11a)이 천공되고 저면에는 방열판 삽입홈(12a)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물 유입공(11a)을 중심으로 주연부를 향해 수개의 물 분배홈(13a)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저면의 외주연에는 제 1 오링 삽입홈(14a)이 형성된 상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과;
원판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되되, 그 중심점에 물 배출공(21a)이 천공되고 상면에는 방열판 삽입홈(22a)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물 배출공(21a)을 중심으로 주연부를 향해 수개의 물 분배홈(23a)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면의 외주연에는 제 3 오링 삽입홈(24a)이 형성된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과;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2)의 방사형 물 분배홈(13a)(23a) 단부 위치에 수개의 물 통과공(3a-1)이 각각 천공된 형태를 갖고 제 1 및 제 3 오링(4a)(4c)에 의해 상호 밀폐된 형태에서 분해 조립 가능하게 조립된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2)의 방열판 삽입홈(12a)(22a)에 설치되어 워킹코일(5a)에서 생성된 자계에 의해 유도 가열되어 그의 상,하면을 통과하며 흐르는 물을 가열시켜 주는 원판형 가열판(3a)과;
상기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의 저면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8)에서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자체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계를 형성시켜 상기 가열판(3a)을 유도 가열시켜 주는 워킹코일(5a)과;
상기 워킹코일(5a)의 저면에 절연형 접착제(61)를 통해 방사형으로 부착 설치되어 워킹코일(5a)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의 밀도를 높여줌은 물론 그 자계들이 상부의 가열판(3a) 측으로 전달되고 저부로는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수개의 영구자석(6)과;
상기 워킹코일(5a)과 영구자석(6)의 저부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가열판(3a)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가 제어부(8)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열 차단판(7)과;
상기 열 차단판(7)의 하방부에 설치되어 워킹코일(5a)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8)와;
상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한 각 구성품이 일체로 내장 설치되는 함체형 본체(9)와;
상기 함체형 본체(9)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아주는 뚜껑(1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의 저면에는 워킹코일 설치홈(25a)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2)에 각각 형성된 물 분배홈(13a)(23a)은 중심점에서 주연부로 갈수록 그 깊이가 점차 얇아지는 경사홈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 차단판(7)에는 제어부(8)에 의해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열 차단판(7)으로 전달된 열을 방열시켜 줌과 동시에 제어부(8)에 설치된 부품을 냉각시켜 주는 수개의 송풍팬(71)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원판형 인덕션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는,
장방형의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되되, 양측 중심점에는 각각 온수 및 난방용 물 유입공(11b)(11c)이 천공되고, 저면 양측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방열판 삽입홈(12b)(12c)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각의 온수 및 난방용 물 유입공(11b)(11c)을 중심으로 주연부를 향해서는 수개의 온수 및 난방수 물 분배홈(13b)(13c)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온수 및 난방수 물 분배홈(13b)(13c)의 자유단부 외측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오링 삽입홈(14a)(14b)이 형성된 상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과;
장방형의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되되, 양측 중심점에는 각각 온수 및 난방용 물 배출공(21b)(21c)이 천공되고, 상면 양측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방열판 삽입홈(22b)(22c)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각의 온수 및 난방용 물 배출공(21b)(21c)을 중심으로 주연부를 향해서는 수개의 온수 및 난방수 물 분배홈(23b)(23c)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온수 및 난방수 물 분배홈(23b)(23c)의 자유단부 외측에는 각각 제 3 및 제 4 오링 삽입홈(24a)(24b)이 형성된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과;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2)의 온수 및 난방수 물 분배홈(13b)(13c)(23b)(23c) 단부 위치에 각각 수개의 물 통과공(3b-1)(3c-1)이 천공된 형태를 갖고 제 1 내지 제 4 오링(4a)-(4d)에 의해 상호 밀폐된 형태에서 분해 조립 가능하게 조립된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2)의 제 1 및 제 2 방열판 삽입홈(12b)(12c)(22b)(22c)에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워킹코일(5b)(5c)에서 각각 생성된 자계에 의해 유도 가열되어 그의 상,하면을 통과하며 흐르는 온수 및 난방수를 가열시켜 주는 제 1 및 제 2 원판형 가열판(3b)(3c)과;
상기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의 저면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8)에서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자체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계를 형성시켜 상기 제 1 및 제 2 원판형 가열판(3b)(3c)을 각각 유도 가열시켜 주는 제 1 및 제 2 워킹코일(5b)(5c)과;
상기 제 1 및 제 2 워킹코일(5b)(5c)의 저면에 각각 절연형 접착제(61)를 통해 방사형으로 부착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워킹코일(5b)(5c)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자계의 밀도를 높여줌은 물론 그 자계들이 상부의 제 1 및 제 2 원판형 가열판(3b)(3c) 측으로 전달되고 저부로는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수개의 영구자석(6)과;
상기 제 1 및 제 2 워킹코일(5b)(5c)과 영구자석(6)들의 저부로부터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원판형 가열판(3b)(3c)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가 제어부(8)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장방형의 열 차단판(7)과;
상기 열 차단판(7)의 하방부에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워킹코일(5b)(5c)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8)와;
상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한 각 구성품이 일체로 내장 설치되는 함체형 본체(9)와;
상기 본체(9)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아주는 뚜껑(1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의 저면 양측에 각각 제 1 및 제 2 워킹코일 설치홈(25b)(25c)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2)에 각각 형성된 물 분배홈(13b)(13c)(23b)(23c)은 중심점에서 주연부로 갈수록 그 깊이가 점차 얇아지는 경사홈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 차단판(7)에는 제어부(8)에 의해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열 차단판(7)으로 전달된 열을 방열시켜 줌과 동시에 제어부(8)에 설치된 부품을 냉각시켜 주는 수개의 송풍팬(71)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명의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및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2), 제 1 및 제 3 오링(4a)(4c), 원판형 가열판(3a), 워킹코일(5a), 수개의 영구자석(6), 열 차단판(7), 제어부(8), 함체형 본체(9) 및 뚜껑(10)으로 이루어진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은 보온성과 단열성 및 절연성이 매우 좋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원판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한 것으로, 그 중심점에는 온수 또는 난방수로 사용하기 위한 직수 또는 난방환수가 유입되는 물 유입공(11a)이 천공되어 있고, 저면에는 방열판 삽입홈(12a)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방열판 삽입홈(12a)의 상방부로는 물 유입공(11a)을 중심으로 주연부를 향해 수개의 물 분배홈(13a)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의 외주연에는 원판형 가열판(3a)의 상면 주연부와의 사이에서 기밀을 유지해 주는 제 1 오링(4a)을 설치하기 위한 제 1 오링 삽입홈(14a)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은 상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과 마찬가지로 보온성과 단열성 및 절연성이 매우 좋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원판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한 것으로, 그 중심점에 물 배출공(21a)이 천공되고 상기 상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과 반대로 상면에는 방열판 삽입홈(22a)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물 배출공(21a)을 중심으로 주연부를 향해 수개의 물 분배홈(23a)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의 외주연에는 원판형 가열판(3a)의 저면 주연부와의 사이에서 기밀을 유지해 주는 제 3 오링(4c)을 설치하기 위한 제 3 오링 삽입홈(24a)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원판형 가열판(3a)은 자계의 투과율과 열전도율이 매우 좋고 녹이 잘 슬지 않으며 중량도 가벼운 알루미늄이나 동판 등으로 프레스 성형한 것으로, 상기 원판형 가열판(3a)의 주연부에서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2)의 방사형 물 분배홈(13a)(23a) 단부가 위치되는 곳에는 각각 수개의 물 통과공(3a-1)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한 형태를 갖고 상,하면이 각각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2)의 방열판 삽입홈(12a)(22a)에 끼워져 접촉되도록 설치된 후 수개의 볼트 등에 의해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2)이 상호 조립되면 제 1 및 제 3 오링(4a)(4c)에 의해 상,하 주연부가 각각 상호 밀폐된 형태에서 분해 조립 가능하게 조립된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2)의 방열판 삽입홈(12a)(22a)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원판형 가열판(3a)은 후술하는 워킹코일(5a)에서 생성된 자계에 의해 유도 가열되어 그의 상,하면을 통과하며 흐르는 온수 또는 난방수를 직접 가열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 원판형 가열판(3a)을 사이에 두고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2)을 수개의 볼트 등을 이용하여 상호 조립하게 되면 원판형 가열판(3a)의 상,하부로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2)에 각각 형성시킨 방사형의 물 분배홈(13a)(23a)이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물 분배홈(13a)(23a)을 각각 일정깊이로 성형할 경우, 물 유입공(11a)을 통해 유입되는 온수 또는 난방수가 상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에 형성된 물 분배홈(13a)을 통해 고르게 분배되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과 원판형 가열판(3a)의 상면 사이에서 흐르는 물의 유속이 약할 우려가 있고, 또한 수개의 물 통과공(3a-1)을 통해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과 원판형 가열판(3a)의 저면 사이로 이동된 물 역시 물 분배홈(23a)을 통해 빠르게 고르게 합쳐진 후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에 천공된 물 배출공(21a) 측으로 이동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2)에 물 분배홈(13a)(23a)을 각각 형성시킬 때 중심점에서 주연부로 갈수록 그 깊이가 점차 얇아지는 경사홈으로 성형하여 줌으로써 열교환기 내로 유입된 물의 분배가 경사진 물 분배홈(13a)(23a)들을 통해 고르게 분배됨은 물론 빠른 유속을 갖고 통과하게 되어 원판형 가열판(3a)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온수 또는 난방수 전체에 고르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워킹코일(5a)은 인벌루트 형태로 권취된 상태에서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제어부(8)에서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자체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계를 상기 원판형 가열판(3a)을 유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워킹코일(5a)을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의 저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워킹코일(5a) 자체가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의 저면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게 되므로 자계의 일부가 누설될 수 있음은 물론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고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는 습기 등에 직접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누전 등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의 저면에는 워킹코일 설치홈(25a)을 더 형성하여 상기 워킹코일(5a) 자체를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의 저면에 형성시킨 워킹코일 설치홈(25a) 내에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은 모두 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2)은 상호 설치 위치가 서로 달라 서로 조립할 때 90도의 위상 차만 가질 뿐 그 형상은 동일하므로 제조원가를 줄이기 위해 하나의 사출금형을 이용하여 동일하게 형성시켜도 무방하므로 비록 워킹코일(5a)은 설치하지 않으나 상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의 상면에도 워킹코일 설치홈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한 수개의 영구자석(6)들은 워킹코일(5a)의 저면에 실리콘 등과 같은 절연형 접착제(61)를 이용하여 정해진 각도를 두고 방사형으로 부착 설치된 형태를 갖고 자체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을 통해 워킹코일(5a)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의 밀도를 더욱 높여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됨은 물론 워킹코일(5a)에서 발생되는 자계들이 상부의 원판형 가열판(3a) 측으로 전달되고 저부로는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열 차단판(7)은 스패이서 등을 이용하여 워킹코일(5a)과 영구자석(6)의 저부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위치에 고정 설치(즉, 워킹코일(5a)과 영구자석(6)으로부터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치)되어 워킹코일(5a)의 유도 가열에 의해 가열작동하는 원판형 가열판(3a)으로부터 배출되는 열기 일부가 제어부(8)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 차단판(7)을 단순히 열 전도율이 좋은 금속판을 원판 형태로 절단하여 설치하여도 열 차단 기능을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방열 기능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일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 차단판(7)의 저부에 제어부(8)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는 수개의 송풍팬(71)을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송풍팬(71)들이 제어부(8)에 의해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열 차단판(7)으로 전달되는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열시켜 줌과 동시에 제어부(8)에 설치된 부품 측으로 바람을 강제로 송풍시켜 주는 방식을 통해 각각의 부품들을 냉각시켜 줄 수 있어 제어부(8)의 구성 부품에 대한 수명도 대폭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는 워킹코일(5a) 및 송풍팬(71) 등을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각종 전기 전자 구성품들을 인쇄회로기판에 설치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기 열 차단판(7)의 하방부에 설치되어 워킹코일(5a) 및 송풍팬(71) 등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함체형 본체(9)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사출 성형한 것으로 상기한 각 구성품이 일체로 내장 설치되고, 상기 뚜껑(10) 역시 판 형상을 갖도록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상기 함체형 본체(9)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아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8)의 입력부 및 함체형 본체(9)에는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본 발명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의 작동을 사용자가 임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는 온도설정용 키 등을 구비한 키 입력부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물 배출공 측에 온도센서 등을 더 부가 설치하여 사용자의 설정온도에 부응하여 워킹코일(5a)에 흐르는 전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적용한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를 온수용 열교환기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에 형성시킨 물 유입공(11a)에 일정압력을 갖는 직수가 배출되는 수도관 등을 연결시켜 주면 되므로 별도의 순환펌프가 필요 없이도 온수용 열교환기 내부로 유입된 물이 직수의 유입 압력에 의해 원활히 순환된 후 온수용 수도꼭지 측으로 송수되나, 난방용 열교환기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난방수 자체가 유속 및 순환 압력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의 중심점에 형성시킨 물 배출공(21a)과 도시 생략한 난방배관 사이에 일반 보일러 등과 같이 도시 생략한 순환펌프를 더 설치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순환펌프는 함체형 본체(9) 내부에 내장시킬 수도 있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그 외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온수 또는 난방을 실시하고자 도시 생략된 전원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제어부(8)에서 상기 워킹코일(5a)에 소정의 직류전압(예를 들어 DC 220V 5-100Khz)을 인가시켜 주게 되면 상기 워킹코일(5a)에 전류가 흐르며 자계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이 자계가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을 통해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원판형 가열판(3a)을 유도 가열시켜 주게 되는데, 상기 상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에 형성된 물 유입공(11a)을 통해 직수 또는 난방환수를 공급시켜 주게 되면 직수 또는 난방환수가 상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에 형성된 방사형 물 분배홈(13a)들과 원판형 가열판(3a)의 상면 사이를 고르게 분산 통과하며 1차 가열된 후 수개의 물 통과공(3a-1)을 통해 원판형 가열판(3a)의 저면부로 이동된 다음 상기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에 형성된 방사형 물 분배홈(23a)과 원판형 가열판(3a)의 저면을 사이를 통과하며 2차 가열된 후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에 천공된 물 배출공(21a)을 통해 온수용 수도꼭지나 난방배관 측으로 이송되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온수 또는 난방수로 공급된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된 원판형 인덕션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2), 제 1 내지 제 4 오링(4a)-(4d), 제 1 및 제 2 원판형 가열판(3b)(3c), 제 1 및 제 2 워킹코일(5b)(5c), 수개의 영구자석(6), 열 차단판(7), 제어부(8), 본체(9) 및 뚜껑(10)으로 이루어진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은 온수와 난방수를 각각 별개로 가열시켜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원판형 가열판(3b)(3c)과 제 1 및 제 2 워킹코일(5b)(5c)을 동시에 설치하기 위해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와 같이 원판형으로 형성시키지 않고 장방형의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하되, 양측 중심점에는 각각 온수 및 난방용 물 유입공(11b)(11c)을 천공하고, 저면 양측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방열판 삽입홈(12b)(12c)을 형성함과 동시에 각각의 온수 및 난방용 물 유입공(11b)(11c)을 중심으로 주연부를 향해서는 수개의 온수 및 난방수 물 분배홈(13b)(13c)을 방사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온수 및 난방수 물 분배홈(13b)(13c)의 자유단부 외측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오링 삽입홈(14a)(14b)을 형성시켜 준 구성을 갖는다.
또한,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 역시 장방형의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하되, 양측 중심점에는 각각 온수 및 난방용 물 배출공(21b)(21c)을 천공하고, 상면 양측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방열판 삽입홈(22b)(22c)을 형성함과 동시에 각각의 온수 및 난방용 물 배출공(21b)(21c)을 중심으로 주연부를 향해서는 수개의 온수 및 난방수 물 분배홈(23b)(23c)을 방사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온수 및 난방수 물 분배홈(23b)(2c)의 자유단부 외측에는 각각 제 3 및 제 4 오링 삽입홈(24a)(24b)을 형성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2)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물 분배홈(13b)(13c)(23b)(23c)은 각각 중심점에서 주연부로 갈수록 그 깊이가 점차 얇아지는 경사홈으로 성형하여 줌으로써 각각의 열교환기 내로 유입된 온수 및 난방수가 경사진 물 분배홈(13b)(13c)(23b)(23c)들을 통해 고르게 분배됨은 물론 빠른 유속을 갖고 통과하게 되어 제 1 및 제 2 원판형 가열판(3b)(3c)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온수 및 난방수 전체에 고르게 전달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원판형 가열판(3b)(3c)은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2)의 온수 및 난방수 물 분배홈(13b)(13c)(23b)(23c) 단부 위치에 각각 수개의 물 통과공(3b-1)(3c-1)을 천공하여 제 1 내지 제 4 오링(4a)-(4d)에 의해 상호 밀폐된 형태에서 분해 조립 가능하게 조립된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2)의 제 1 및 제 2 방열판 삽입홈(12b)(12c)(22b)(22c)에 설치하여 줌으로써 후술하는 제 1 및 제 2 워킹코일(5b)(5c)에서 각각 생성된 자계에 의해 유도 가열되어 그의 상,하면을 각각 통과하며 흐르는 온수 및 난방수를 각각 별도로 가열시켜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워킹코일(5b)(5c)은 인벌루트 형태로 권취된 구성을 갖고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의 저면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제어부(8)에서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자체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발생되는 자계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원판형 가열판(3b)(3c)을 유도 가열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의 저면 양측에는 제 1 및 제 2 워킹코일 설치홈(25b)(25c)을 더 형성하여 줌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워킹코일(5b)(5c) 자체를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2)의 저면에 형성시킨 제 1 및 제 2 워킹코일 설치홈(25b)(25c) 내에 안치시킬 수 있어 자계의 일부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외관을 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는 습기 등에 직접 접촉되지 않게 되어 전기적으로 누전 등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2)은 상호 설치 위치가 서로 달라 서로 조립할 때 90도의 위상 차만 가질 뿐 그 형상은 동일하므로 제조원가를 줄이기 위해 하나의 사출금형을 이용하여 동일하게 형성시켜도 무방하므로 비록 제 1 및 제 2 워킹코일(5a)은 설치하지 않으나 상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1)의 상면 양측에도 워킹코일 설치홈이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한 수개의 영구자석(6)은 제 1 및 제 2 워킹코일(5b)(5c)의 저면에 각각 실리콘 등과 같은 절연형 접착제(61)를 통해 방사형으로 부착 설치된 구성을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워킹코일(5b)(5c)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자계의 밀도를 높여주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그 자계들이 상부의 제 1 및 제 2 원판형 가열판(3b)(3c) 측으로 전달되고 저부로는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병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열 차단판(7)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스패이서 등을 통해 제 1 및 제 2 워킹코일(5b)(5c)과 영구자석(6)들의 저부로부터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형태로 설치된 구성을 갖고 제 1 및 제 2 원판형 가열판(3b)(3c)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가 제어부(8)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 차단판(7)에는 제어부(8)에 의해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열 차단판(7)으로 전달된 열을 방열시켜 줌과 동시에 제어부(8)에 설치된 부품을 냉각시켜 주는 수개의 송풍팬(71)을 더 설치하여 열 방출 및 냉각 효율을 더 증가시켜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8)는 상기 열 차단판(7)의 하방부에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워킹코일(5b)(5c)을 포함하여 송풍팬(71) 및 순환펌프 등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본체(9)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사출 성형한 것으로 상기한 각 구성품이 일체로 내장 설치되고, 상기 뚜껑(10) 역시 판 형상을 갖도록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상기 본체(9)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아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8)의 입력부 및 함체형 본체(9)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본 발명의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의 작동을 사용자가 임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는 온도설정용 키 등을 구비한 키 입력부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물 배출공 측에 온도센서 등을 더 부가 설치하여 사용자의 설정온도에 부응하여 제 1 및 제 2 워킹코일(5b)(5c)에 흐르는 전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적용한 원판형 인덕션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 중 일측의 온수용 열교환기에는 직수를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면 되고, 타측의 난방용 열교환기의 물 배출공과 도시 생략한 난방배관 사이에는 일반 보일러 등과 같이 순환펌프를 더 설치해 주면 되는데, 이때 상기 순환펌프는 본체 내부에 내장시킬 수도 있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그 외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원판형 인덕션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온수 및 난방수를 공급시키고자 할 때에는 각각 별도로 작동시켜 원하는 온도의 온수 또는 난방수를 공급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및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는 그 크기 자체가 가스나 석유를 사용하는 열교환기에 비해 매우 작아 설치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간단히 설치할 수 있으며, 적은 사용 전력량으로 온수 또는 난방수를 빠른 시간 내에 원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 자체의 생산원가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고, 특히 배출가스의 발생이 전혀 없으므로 그로 인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상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 11a,11b,11c : 물 유입공
12a : 방열판 삽입홈 12b,12c : 제 1 및 제 2 방열판 삽입홈
13a,13b,13c : 물 분배홈 14a,14b : 제 1 및 제 2 오링 삽입홈
2 :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 21a,21b,21c : 물 배출공
22a : 방열판 삽입홈 22b,22c : 제 1 및 제 2 방열판 삽입홈
23a,23b,23c : 물 분배홈 24a,24b : 제 3 및 제 4 오링 삽입홈
25a : 워킹코일 설치홈 25b,25c : 제 1 및 제 2 워킹코일 설치홈
3a : 원판형 가열판 3b,3c : 제 1 및 제 3 원판형 가열판
3a-1,3b-1,3c-1 : 물 통과공
4a-4d : 제 1 내지 제 4 오링
5a : 워킹 코일 5b,5c : 제 1 및 제 2 워킹코일
6 : 영구자석 61 : 절연형 접착제
7 : 열 차단판 71 : 송풍팬
8 : 제어부 9 : 본체
10 : 뚜껑

Claims (8)

  1. 원판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되되, 그 중심점에 물 유입공이 천공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방열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물 유입공을 중심으로 주연부를 향해 수개의 물 분배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저면의 외주연에는 제 1 오링 삽입홈이 형성된 상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과;
    원판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되되, 그 중심점에 물 배출공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방열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물 배출공을 중심으로 주연부를 향해 수개의 물 분배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의 외주연에는 제 3 오링 삽입홈이 형성된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과;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방사형 물 분배홈 단부 위치에 수개의 물 통과공이 각각 천공된 형태를 갖고 제 1 및 제 3 오링에 의해 상호 밀폐된 형태에서 분해 조립 가능하게 조립된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방열판 삽입홈에 설치되어 워킹코일에서 생성된 자계에 의해 유도 가열되어 그의 상,하면을 통과하며 흐르는 물을 가열시켜 주는 원판형 가열판과;
    상기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저면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에서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자체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계를 형성시켜 상기 가열판을 유도 가열시켜 주는 워킹코일과;
    상기 워킹코일의 저면에 절연형 접착제를 통해 방사형으로 부착 설치되어 워킹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의 밀도를 높여줌은 물론 그 자계들이 상부의 가열판 측으로 전달되고 저부로는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수개의 영구자석과;
    상기 워킹코일과 영구자석의 저부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가열판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가 제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열 차단판과;
    상기 열 차단판의 하방부에 설치되어 워킹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한 각 구성품이 일체로 내장 설치되는 함체형 본체와;
    상기 함체형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아주는 뚜껑;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저면에는 워킹코일 설치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에 각각 형성된 물 분배홈은 중심점에서 주연부로 갈수록 그 깊이가 점차 얇아지는 경사홈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 차단판에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열 차단판으로 전달된 열을 방열시켜 줌과 동시에 제어부에 설치된 부품을 냉각시켜 주는 수개의 송풍팬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5. 장방형의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되되, 양측 중심점에는 각각 온수 및 난방용 물 유입공이 천공되고, 저면 양측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방열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각의 온수 및 난방용 물 유입공을 중심으로 주연부를 향해서는 수개의 온수 및 난방수 물 분배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온수 및 난방수 물 분배홈의 자유단부 외측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오링 삽입홈이 형성된 상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과;
    장방형의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되되, 양측 중심점에는 각각 온수 및 난방용 물 배출공이 천공되고, 상면 양측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방열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각의 온수 및 난방용 물 배출공을 중심으로 주연부를 향해서는 수개의 온수 및 난방수 물 분배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온수 및 난방수 물 분배홈의 자유단부 외측에는 각각 제 3 및 제 4 오링 삽입홈이 형성된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과;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온수 및 난방수 물 분배홈 단부 위치에 각각 수개의 물 통과공이 천공된 형태를 갖고 제 1 내지 제 4 오링에 의해 상호 밀폐된 형태에서 분해 조립 가능하게 조립된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제 1 및 제 2 방열판 삽입홈에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워킹코일에서 각각 생성된 자계에 의해 유도 가열되어 그의 상,하면을 통과하며 흐르는 온수 및 난방수를 가열시켜 주는 제 1 및 제 2 원판형 가열판과;
    상기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저면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에서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자체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계를 형성시켜 상기 제 1 및 제 2 원판형 가열판을 각각 유도 가열시켜 주는 제 1 및 제 2 워킹코일과;
    상기 제 1 및 제 2 워킹코일의 저면에 각각 절연형 접착제를 통해 방사형으로 부착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워킹코일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자계의 밀도를 높여줌은 물론 그 자계들이 상부의 제 1 및 제 2 원판형 가열판 측으로 전달되고 저부로는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수개의 영구자석과;
    상기 제 1 및 제 2 워킹코일과 영구자석들의 저부로부터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원판형 가열판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가 제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장방형의 열 차단판과;
    상기 열 차단판의 하방부에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워킹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한 각 구성품이 일체로 내장 설치되는 함체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아주는 뚜껑;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형 인덕션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의 저면 양측에 각각 제 1 및 제 2 워킹코일 설치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형 인덕션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보온단열 겸 절연판에 각각 형성된 물 분배홈은 중심점에서 주연부로 갈수록 그 깊이가 점차 얇아지는 경사홈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형 인덕션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열 차단판에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열 차단판으로 전달된 열을 방열시켜 줌과 동시에 제어부에 설치된 부품을 냉각시켜 주는 수개의 송풍팬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형 인덕션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

KR1020100012877A 2010-02-11 2010-02-11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및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 KR100956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877A KR100956582B1 (ko) 2010-02-11 2010-02-11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및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877A KR100956582B1 (ko) 2010-02-11 2010-02-11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및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6582B1 true KR100956582B1 (ko) 2010-05-07

Family

ID=4228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877A KR100956582B1 (ko) 2010-02-11 2010-02-11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및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58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6404A3 (de) * 2012-04-20 2013-12-12 Beh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elektrischen aufheizen
KR20170063451A (ko) * 2017-02-17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744780B1 (ko) 2016-04-22 2017-06-09 이준 다기능 인덕션 가열장치
CN106963241A (zh) * 2015-11-30 2017-07-21 Lg电子株式会社 净水器
KR101827252B1 (ko) 2017-11-09 2018-02-09 정한비 확장성을 갖는 히팅 모듈이 일체로 형성된 소형 자기유도가열 보일러
US10327283B2 (en) 2014-06-26 2019-06-18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KR20200017233A (ko) * 2018-08-08 2020-02-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유체 가열장치
US20210270210A1 (en) * 2018-09-06 2021-09-02 Oqab Dietrich Induction Inc. Engine for producing thrust
EP3927112A4 (en) * 2019-04-08 2022-04-20 GD Midea Heating & Ventilating Equipment Co., Ltd. RAPID HEATING MODULE AND AIR CONDITION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8943A (ja) 1986-04-11 1987-10-19 Toshiba Corp 誘導加熱湯沸器
JPH03105338A (ja) * 1989-09-19 1991-05-02 Konica Corp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H06147636A (ja) * 1992-11-11 1994-05-27 Fuji Electric Co Ltd 電気瞬間湯沸装置
KR100762950B1 (ko) 2006-07-10 2007-10-04 (주)케이티엘 인덕션 보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8943A (ja) 1986-04-11 1987-10-19 Toshiba Corp 誘導加熱湯沸器
JPH03105338A (ja) * 1989-09-19 1991-05-02 Konica Corp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H06147636A (ja) * 1992-11-11 1994-05-27 Fuji Electric Co Ltd 電気瞬間湯沸装置
KR100762950B1 (ko) 2006-07-10 2007-10-04 (주)케이티엘 인덕션 보일러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6404A3 (de) * 2012-04-20 2013-12-12 Beh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elektrischen aufheizen
CN104471320A (zh) * 2012-04-20 2015-03-25 贝洱两合公司 用于电加热的装置
US9924565B2 (en) 2012-04-20 2018-03-20 Mahle International Gmbh Modular induction fluid heater
US10327283B2 (en) 2014-06-26 2019-06-18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CN106963241A (zh) * 2015-11-30 2017-07-21 Lg电子株式会社 净水器
CN106963241B (zh) * 2015-11-30 2019-08-23 Lg电子株式会社 净水器
US10962282B2 (en) 2015-11-30 2021-03-30 Lg Electronics Inc. Liquid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408533B2 (en) 2015-11-30 2019-09-10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44780B1 (ko) 2016-04-22 2017-06-09 이준 다기능 인덕션 가열장치
KR102042575B1 (ko) * 2017-02-17 2019-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70063451A (ko) * 2017-02-17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827252B1 (ko) 2017-11-09 2018-02-09 정한비 확장성을 갖는 히팅 모듈이 일체로 형성된 소형 자기유도가열 보일러
WO2019093586A1 (ko) * 2017-11-09 2019-05-16 정한비 확장성을 갖는 히팅 모듈이 일체로 형성된 소형 자기유도가열 보일러
KR20200017233A (ko) * 2018-08-08 2020-02-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유체 가열장치
KR102496428B1 (ko) * 2018-08-08 2023-02-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유체 가열장치
US20210270210A1 (en) * 2018-09-06 2021-09-02 Oqab Dietrich Induction Inc. Engine for producing thrust
US11821367B2 (en) * 2018-09-06 2023-11-21 Oqab Dietrich Induction Inc. Engine producing thrust using an induction heating assembly to energize the fuel
EP3927112A4 (en) * 2019-04-08 2022-04-20 GD Midea Heating & Ventilating Equipment Co., Ltd. RAPID HEATING MODULE AND AIR CONDITIO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582B1 (ko)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및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
US10136552B2 (en) Water block for water-cooling CPU radiator
WO2017036282A1 (zh) 一种用于循环冷却系统的风冷半导体制冷装置
TWI404904B (zh) 可拆式液態冷卻散熱模組
US7219714B1 (en) Multiple component field-replaceable active integrated liquid pump heat sink module for thermal management of electronic components
TW201809452A (zh) 以半導體爲致冷核心之冷暖循環機
KR101827252B1 (ko) 확장성을 갖는 히팅 모듈이 일체로 형성된 소형 자기유도가열 보일러
CN102645824B (zh) 壁挂式投影机散热系统
CN104197612B (zh) 一种半导体冰箱的高效散热组件
CN110337221A (zh) 一种机电设备用散热装置
CN112234485A (zh) 一种基于循环散热的半导体制冷降温系统
KR100967948B1 (ko)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
KR101800374B1 (ko) 열전소자가 결합된 일체형 워터블록을 이용한 냉방장치
CN206489506U (zh) 一种计算机水冷散热装置
CN116771644A (zh) 散热装置和具有其的制氧机
US7637312B1 (en) Unitary field-replaceable active integrated liquid pump heat sink module for thermal management of electronic components
JP2020068361A (ja) 電装部品冷却装置、それを有するチリング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111336843B (zh) 一种圆形结构的水冷板式换热器
KR100870985B1 (ko) 히트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 시스템
TWM624572U (zh) 模組化熱交換裝置
US20120160454A1 (en) Heat exchanger
KR101842619B1 (ko) 진공챔버를 이용한 식음료 냉온공급장치
US20060236717A1 (en) Heat disspiating system and device
JP2012064599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8512732A (ja) 電子筐体を温度管理する冷却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