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948B1 -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948B1
KR100967948B1 KR1020100012910A KR20100012910A KR100967948B1 KR 100967948 B1 KR100967948 B1 KR 100967948B1 KR 1020100012910 A KR1020100012910 A KR 1020100012910A KR 20100012910 A KR20100012910 A KR 20100012910A KR 100967948 B1 KR100967948 B1 KR 100967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heating
water
heat exchanger
he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섭
이건국
이창구
Original Assignee
테크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크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225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electrical central heating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8In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면에 각각 오링 삽입홈을 구비하고 양자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부를 구비하도록 2중 파이프 형태로 결합되는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과;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 사이의 공간부 내에 설치되어 워킹코일에서 생성된 자계에 의해 유도 가열되어 그의 내,외면을 타고 흐르는 물을 가열시켜 주는 가열판과; 중심선 상에 수개의 물 유입공과 물 배출공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된 형태를 갖고 공간부에 상기 가열판이 내장된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의 상,하 개구부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 형상의 상,하부 캡과; 수도관 또는 난방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직수 또는 난방수를 상부 캡에 천공된 물 유입공들을 통해 균일하게 분배시켜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로 유입시켜 주는 유입수 분배기와;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통과하며 가열판의 열에 의해 가열된 후 하부 캡에 천공된 물 배출공들을 통해 배출되는 온수 또는 난방수를 포집하여 온수용 수도꼭지 또는 난방배관 측으로 공급시켜 주는 배출수 포집기와;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 내에 설치되는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와; 상기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의 외주면에 권취된 형태로 설치되어 제어부에서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자체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계를 형성시켜 상기 가열판을 유도 가열시켜 주는 1개 이상의 워킹코일과; 상기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의 내면에서 정해진 각도를 두고 고정 설치되어 워킹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의 밀도를 높여줌은 물론 그 자계들이 가열판 측으로 전달되고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의 내측으로는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수개의 영구자석과; 상기 워킹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부가 개구되는 1개의 설치홈을 구비한 원통체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아주는 뚜껑;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적은 사용 전력량으로 온수 또는 난방수를 빠른 시간 내에 원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 자체의 크기가 매우 작으므로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설치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간단히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배출가스의 발생이 전혀 없으므로 그로 인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Dual pipe type induction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부를 갖도록 설치한 2중 파이프 형태로 설치되는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 사이의 공간부에 원통형 자체 또는 2개의 반원통형 가열판을 설치하고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의 내측에는 전류를 흘려주면 자계가 발생되는 워킹코킹을 설치하여 상기 워킹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계가 가열판을 유도 가열시키는 방식을 통해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의 공간부를 흐르는 물을 가열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적은 사용 전력량으로 온수 또는 난방수를 빠른 시간 내에 원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열교환기 자체의 크기가 매우 작아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간단히 설치할 수 있고, 특히 배출가스의 발생이 전혀 없으므로 그로 인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온수 또는 난방수용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라 함은 온도가 높은 유체로부터 전열벽(傳熱壁)을 통해서 온도가 낮은 유체에 열을 전달하는 장치로써 가열기, 냉각기, 증발기 및 응축기 등에 사용되고, 목적으로 하는 유체에 열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전열매체를 열매(熱媒)라고 하며, 이와는 반대로 열을 뺏는 데 사용되는 것을 냉매(冷媒)라고 한다.
열교환기의 형식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금속관을 전열벽으로 하는 것으로, 이 형식에는 주수식(注水式), 이중관식, 핀붙이 다관식, 투관형식(透管型式) 등이 있다.
이중관식 열교환기는 내관(內管)과 외관으로 되어 있으며, 내관 내부의 유체와 관과 관 사이에 있는 고리 모양 부분의 유체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데, 이 형식은 구조는 간단하지만 처리하는 양이 적다.
대용량인 것에는 커다란 외관(外管)에 여러 개의 작은 관을 넣은 투관형식을 사용하고, 열이 높은 유체와 낮은 유체의 흐름에서 같은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병류형(竝流型),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역류형, 직각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직교류형(直交流型)이라고 한다.
보통 공업에서 사용되는 전열매체에는 물, 수증기, 공기, 연도(煙道)가스, 석유, 수은, 나트륨, 칼륨 및 비페닐에테르와 비페닐의 혼합물인 다우섬(dowtherm) 등이 있다.
한편, 가정이나 영업장 등에서 온수나 난방 전용 또는 온수/난방 겸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일러 등에 설치되어 있는 열교환기는 통상 열원을 발생시키기 위한 연료로 가스 또는 석유를 사용하고 있어 버너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자체의 크기가 매우 크고 연소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해 주기 위한 연도를 필요로 하여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설치 작업 자체가 매우 어렵고, 제품의 생산원가 자체가 매우 높아 소비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많이 주게 되며, 특히 배출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을 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부에서는 히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전기식 열교환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경우 소비전력이 매우 높은 반면 열효율은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 자체를 워킹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생성되는 자계가 가열판을 유도 가열시켜 주는 형태를 갖는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로 성형 즉, 서로 일정 공간부를 갖도록 설치한 2중 파이프형태로 설치되는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 사이의 공간부에 원통형 자체 또는 2개의 반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가열판을 설치하고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의 내측에는 전류를 흘려주면 자계가 발생되는 워킹코킹을 설치하여 가열판이 내설된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의 공간부 사이로 물을 흘려주며 상기 워킹코일에 전원전압을 공급하면 워킹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계가 가열판을 유도 가열시키는 방식을 통해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의 공간부를 흐르는 물이 가열되어 온수 또는 난방수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은 사용 전력량으로 온수 또는 난방수를 빠른 시간 내에 원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 자체의 크기가 매우 작으므로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설치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간단히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배출가스의 발생이 전혀 없으므로 그로 인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는, 상,하면에 각각 오링 삽입홈을 구비하고 양자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부를 구비하도록 2중 파이프 형태로 결합되는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과;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 사이의 공간부 내에 설치되어 워킹코일에서 생성된 자계에 의해 유도 가열되어 그의 내,외면을 타고 흐르는 물을 가열시켜 주는 가열판과; 중심선 상에 수개의 물 유입공과 물 배출공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된 형태를 갖고 공간부에 상기 가열판이 내장된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의 상,하 개구부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 형상의 상,하부 캡과; 수도관 또는 난방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직수 또는 난방수를 상부 캡에 천공된 물 유입공들을 통해 균일하게 분배시켜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로 유입시켜 주는 유입수 분배기와;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통과하며 가열판의 열에 의해 가열된 후 하부 캡에 천공된 물 배출공들을 통해 배출되는 온수 또는 난방수를 포집하여 온수용 수도꼭지 또는 난방배관 측으로 공급시켜 주는 배출수 포집기와;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 내에 설치되는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와; 상기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의 외주면에 권취된 형태로 설치되어 제어부에서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자체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계를 형성시켜 상기 가열판을 유도 가열시켜 주는 1개 이상의 워킹코일과; 상기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의 내면에서 정해진 각도를 두고 고정 설치되어 워킹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의 밀도를 높여줌은 물론 그 자계들이 가열판 측으로 전달되고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의 내측으로는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수개의 영구자석과; 상기 워킹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부가 개구되는 1개의 설치홈을 구비한 원통체로 형성되어 상기한 각 구성품이 설치홈 내에 일체로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아주는 뚜껑;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열판과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 사이의 틈새 거리 대비 가열판과 보온단열 겸 절연용 외통 사이의 틈새 거리는 각각 2/3와 1/3의 비율을 갖도록 상기 가열판을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하여 상기 가열판과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 사이의 공간부 및 가열판과 보온단열 겸 절연용 외통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흐르는 물의 비율이 각각 2/3와 1/3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열판은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의 외경보다는 크고 보온단열 겸 절연용 외통의 내경보다는 작은 원통형으로 성형하거나 또는 2개의 반원통형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가열판을 2개의 반원통형으로 성형한 경우 2개의 반원통형 가열판이 상호 접속되는 면에 종단면이 "工"자 형상을 갖는 공진음 발생 방지용 갭을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캡의 저면과 하부 캡의 상면 주연부에는 가열판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설치 위치를 결정하는 유동방지 겸 설정위치 결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열판의 상,하면에는 상기 유동방지 겸 설정위치 결정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수개의 유동방지 겸 설정위치 돌기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의 외주연에는 1개 이상의 워킹코일 설치홈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 상에는 수개의 영구자석이 각각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를 관통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수개의 영구자석 고정공을 더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의 함체 형상으로 성형하되, 상기 본체 상에는 두 개의 설치홈을 성형시키고, 상기 두 설치홈 내에는 상기한 각 구성품 세트들을 각각 별도로 설치하여 일측의 설치홈에 내장된 구성품들은 온수용 열교환기로 작동시키고 타측의 설치홈에 내장된 구성품들은 난방용 열교환기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도 장방형 함체 형상을 갖는 본체의 평단면에 대응하여 장방형 판체 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의 타측 설치홈에 내장된 구성품들 중 배출수 포집기와 난방배관 사이에는 난방수를 강제로 순환시켜 주는 순환펌프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 자체를 워킹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생성되는 자계가 가열판을 유도 가열시켜 주는 형태를 갖는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로 성형 즉, 서로 일정 공간부를 갖도록 설치한 2중 파이프형태로 설치되는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 사이의 공간부에 원통형 자체 또는 2개의 반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가열판을 설치하고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의 내측에는 전류를 흘려주면 자계가 발생되는 워킹코킹을 설치하여 가열판이 내설된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의 공간부 사이로 물을 흘려주며 상기 워킹코일에 전원전압을 공급하면 워킹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계가 가열판을 유도 가열시키는 방식을 통해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의 공간부를 흐르는 물이 가열되어 온수 또는 난방수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은 사용 전력량으로 온수 또는 난방수를 빠른 시간 내에 원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 자체의 크기가 매우 작으므로 제품의 생산원가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설치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간단히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배출가스의 발생이 전혀 없으므로 그로 인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가열판을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시킨 본 발명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의 결합 상태 정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의 결합 상태 평 단면도.
도 4는 가열판을 2개의 반원통체 형상으로 형성시킨 본 발명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의 결합 상태 평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를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에 적용시켰을 때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온수/난방 겸용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의 결합 상태 정 단면도.
도 8은 온수/난방 겸용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의 결합 상태 평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가열판을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시킨 본 발명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의 결합 상태 정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의 결합 상태 평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4는 가열판을 2개의 반원통체 형상으로 형성시킨 본 발명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의 결합 상태 평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를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에 적용시켰을 때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온수/난방 겸용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의 결합 상태 정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온수/난방 겸용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의 결합 상태 평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는,
상,하면에 각각 오링 삽입홈(1a)(2a)을 구비하고 양자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부(S)를 구비하도록 2중 파이프 형태로 결합되는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과;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 사이의 공간부(S) 내에 설치되어 워킹코일(9)에서 생성된 자계에 의해 유도 가열되어 그의 내,외면을 타고 흐르는 물을 가열시켜 주는 가열판(3)과;
중심선 상에 수개의 물 유입공(4a)과 물 배출공(5a)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된 형태를 갖고 공간부(S)에 가열판(3)이 내장된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의 상,하 개구부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 형상의 상,하부 캡(4)(5)과;
수도관 또는 난방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직수 또는 난방수를 상부 캡(4)에 천공된 물 유입공(4a)들을 통해 균일하게 분배시켜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S)로 유입시켜 주는 유입수 분배기(6)와;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S)를 통과하며 가열판(3)의 열에 의해 가열된 후 하부 캡(5)에 천공된 물 배출공(5a)들을 통해 배출되는 온수 또는 난방수를 포집하여 온수용 수도꼭지 또는 난방배관 측으로 공급시켜 주는 배출수 포집기(7)와;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1)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1) 내에 설치되는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8)와;
상기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8)의 외주면에 권취된 형태로 설치되어 제어부(11)에서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자체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계를 형성시켜 상기 가열판(3)을 유도 가열시켜 주는 1개 이상의 워킹코일(9)과;
상기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8)의 내면에서 정해진 각도를 두고 고정 설치되어 워킹코일(9)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의 밀도를 높여줌은 물론 그 자계들이 가열판(3) 측으로 전달되고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8)의 내측으로는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수개의 영구자석(10)과;
상기 워킹코일(9)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11)와;
상부가 개구되는 1개의 설치홈(12a)을 구비한 원통체로 형성되어 상기한 각 구성품이 설치홈(12a) 내에 일체로 설치되는 본체(12)와;
상기 본체(12)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아주는 뚜껑(13);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열판(3)과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1) 사이의 틈새 거리(ℓ1) 대비 가열판(3)과 보온단열 겸 절연용 외통(2) 사이의 틈새 거리(ℓ2)는 각각 2/3와 1/3의 비율을 갖도록 상기 가열판(3)을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 사이의 공간부(S)에 설치하여 상기 가열판(3)과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1) 사이의 공간부 및 가열판(3)과 보온단열 겸 절연용 외통(2)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흐르는 물의 비율이 각각 2/3와 1/3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열판(3)은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1)의 외경보다는 크고 보온단열 겸 절연용 외통(2)의 내경보다는 작은 원통형으로 성형하거나 또는 2개의 반원통형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가열판(3)을 2개의 반원통형으로 성형한 경우 2개의 반원통형 가열판(3)이 상호 접속되는 면에 종단면이 "工"자 형상을 갖는 공진음 발생 방지용 갭(14)을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캡(4)(5)의 저면과 하부 캡(5)의 상면 주연부에는 가열판(3)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설치 위치를 결정하는 유동방지 겸 설정위치 결정홈(4b)(5b)을 형성하고, 상기 가열판(3)의 상,하면에는 상기 유동방지 겸 설정위치 결정홈(4b)(5b)에 끼워져 고정되는 수개의 유동방지 겸 설정위치 돌기(3a)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8)의 외주연에는 1개 이상의 워킹코일 설치홈(8a)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8) 상에는 수개의 영구자석(10)이 각각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8)를 관통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수개의 영구자석 고정공(8b)을 더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2)는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의 함체 형상으로 성형하되, 상기 본체(12) 상에는 두 개의 설치홈(12a)(12b)을 성형시키고, 상기 두 설치홈(12a)(12b) 내에는 상기한 각 구성품 세트들을 각각 별도로 설치하여 일측의 설치홈에 내장된 구성품들은 온수용 열교환기로 작동시키고 타측의 설치홈에 내장된 구성품들은 난방용 열교환기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13)도 장방형 함체 형상을 갖는 본체(12)의 평단면에 대응하여 장방형 판체 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12)의 타측 설치홈(12b)에 내장된 구성품들 중 배출수 포집기(7)와 난방배관 사이에는 난방수를 강제로 순환시켜 주는 순환펌프(15)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명의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는 도 1 내 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과 가열판(3), 링 형상의 상,하부 캡(4)(5), 유입수 분배기(6),배출수 포집기(7),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8), 1개 이상의 워킹코일(9), 수개의 영구자석(10), 제어부(11), 본체(12) 및 뚜껑(13)으로 이루어진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은 보온성과 단열성 및 절연성이 매우 좋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파이프 형태로 사출 성형한 것으로, 상,하면에는 각각 상,하부 캡(4)(5)과의 밀폐를 위한 오링(16)들이 삽입 설치되는 오링 삽입홈(1a)(2a)을 구비하고,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부(S)를 구비하도록 2중 파이프 형태로 결합된다.
또, 상기 가열판(3)은 자계의 투과율과 열전도율이 매우 좋고 녹이 잘 슬지 않으며 중량도 가벼운 알루미늄이나 동판 또는 스테인레스 판재를 원재료로 사용하여 프레스 금형을 통해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1)의 외경보다는 크고 보온단열 겸 절연용 외통(2)의 내경보다는 작은 원통형으로 성형(도 1 내지 도 3 참조)하거나 또는 2개의 반원통형으로 성형(도 4 및 도 5 참조)한 것으로, 이와 같은 가열판(3)은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 사이의 공간부(S) 내에 설치하여 워킹코일(9)에서 생성된 자계에 의해 유도 가열되어 그의 내,외면을 타고 흐르는 물을 가열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열판(3) 자체를 원통형으로 성형할 경우 워킹코일(9)에서 생성된 자계에 의해 유도 가열될 때 공진음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원통형으로 성형한 것보다 2개의 반원통형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나누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3) 자체를 2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의 반원통형으로 성형할 경우 도 4 및 도 5와 같이 반원통형 가열판(3)이 상호 접속되는 면에 종단면이 "工"자 형상을 갖는 공진음 발생 방지용 갭(14)을 부가 설치하여 가열판(3) 자체에서 공진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가열판(3)을 단순히 원통형 또는 2개 이상의 반원통형으로 성형하여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S) 내에 설치할 경우 상기 가열판(3)이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 사이의 공간부(S) 내에서 유동되어 가열판(3)과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1) 사이 및 가열판(3)과 보온단열 겸 절연용 외통(2) 사이의 간격이 전체적으로 동일하지 못하고 일측으로 치우쳐 이들 사이를 통과하는 물을 균일하게 가열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열판(3)의 상,하면에 후술하는 상기 상,하부 캡(4)(5)에 형성된 유동방지 겸 설정위치 결정홈(4b)(5b)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수개의 유동방지 겸 설정위치 돌기(3a)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돌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가열판(3)이 워킹코일(9)에서 발생되는 자계에 의해 유도 가열될 때 워킹코일(9)과 가까운 곳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따른 온도가 먼 곳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따른 온도보다 높다는 것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열판(3)과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1) 사이의 틈새 거리(ℓ1) 대비 가열판(3)과 보온단열 겸 절연용 외통(2) 사이의 틈새 거리(ℓ2)는 각각 2/3와 1/3의 비율을 갖도록 상기 가열판(3)을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 사이의 공간부(S)에 설치하여 상기 가열판(3)과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1) 사이의 공간부 및 가열판(3)과 보온단열 겸 절연용 외통(2)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흐르는 물의 비율이 각각 2/3와 1/3을 갖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이 적용된 열교환기를 통과하며 가열되는 온수 또는 난방수의 전체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하부 캡(4)(5)은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과 마찬가지로 보온성과 단열성 및 절연성이 매우 좋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링 형상으로 사출 성형한 것으로, 그의 중심선 상에 수개의 물 유입공(4a)과 물 배출공(5a)이 각각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된 형태를 갖고 공간부(S)에 가열판(3)이 내장 설치된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의 상,하 개구부에 수개의 볼트를 이용하여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상부 캡(4)(5)의 저면과 하부 캡(5)의 상면 주연부에는 가열판(3)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설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각각 유동방지 겸 설정위치 결정홈(4b)(5b)을 형성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 캡(4)(5)의 저면과 하부 캡(5)의 상면 주연부에 각각 유동방지 겸 설정위치 결정홈(4b)(5b)을 형성하여 상기 가열판(3)의 상,하면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수개의 유동방지 겸 설정위치 돌기(3a)이 상기 상,하부 캡(5)에 각각 형성된 유동방지 겸 설정위치 결정홈(4b)(5b)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열판(3)이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 사이의 공간부(S)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열판(3)과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1) 사이 및 가열판(3)과 보온단열 겸 절연용 외통(2) 사이의 간격이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듀지시킬 수 있어 이들 사이를 통과하는 물을 균일하게 가열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입수 분배기(6)는 수도관 또는 난방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직수 또는 난방수를 상부 캡(4)에 천공된 물 유입공(4a)들을 통해 균일하게 분배시켜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S)로 유입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배출수 포집기(7)는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S)를 통과하며 가열판(3)의 열에 의해 가열된 후 하부 캡(5)에 천공된 물 배출공(5a)들을 통해 배출되는 온수 또는 난방수를 포집하여 온수용 수도꼭지 또는 난방배관 측으로 공급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입수 분배기(6) 및 배출수 포집기(7)는 도면상 호스를 통해 상부 캡(4)에 천공된 물 유입공(4a) 및 하부 캡(5)에 천공된 물 배출공(5a)들에 연결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입수 분배기(6) 및 배출수 포집기(7) 자체에 물 분기 및 포집관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하부 캡(4)(5)에 각각 천공된 물 유입공(4a) 및 물 배출공(5a)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8)는 상기한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 및 상,하부 캡(4)(5)과 마찬가지로 보온성과 단열성 및 절연성이 매우 좋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1)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사출 성형하여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1) 내에 설치한 것이다.
이때, 상기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8)를 단순한 파이프 형태로 사출 성형할 경우, 후술하는 워킹코일(9) 자체가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8)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형태를 갖게 될 뿐만 아니라, 수개의 영구자석(10)들은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8)의 내면에 부착되는 형태를 갖게 되어 자계의 일부가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8)와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1) 사이를 통해 외부로 누설될 수 있음은 물론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고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는 습기 등에 직접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누전 등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또한 영구자석(10)에서 발생되어 워킹코일(9) 측으로 가해지는 자력의 힘이 미흡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8)의 외주연에는 1개 이상의 워킹코일 설치홈(8a)을 더 설치하고, 상기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8) 상에는 수개의 영구자석(10)이 각각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8)를 관통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수개의 영구자석 고정공(8b)을 더 천공하여 줌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은 모두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킹코일(9)은 상기한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8)의 외주면 자체 또는 그의 외주면에 형성된 워킹코일 설치홈(8a)에 각각 권취된 형태로 설치되어 제어부(11)에서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자체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계를 형성시켜 상기 가열판(3)을 유도 가열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워킹코일(9)의 설치 개수는 본 발명이 적용된 열교환기의 열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원하는 열량에 따라서 적어도 1개 이상 수개를 설치할 수 있는데, 도면상에는 2개를 설치한 것을 예시하였다.
또, 상기한 수개의 영구자석(10)들은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8)의 내면에서 정해진 각도를 두고 실리콘 등과 같은 절연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할 수도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8) 상에 천공된 수개의 영구자석 고정공(8b)에 각각 끼워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영구자석(10)들은 자체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을 통해 워킹코일(9)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의 밀도를 더욱 높여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됨은 물론 워킹코일(9)에서 발생되는 자계들이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 사이의 공간부(S) 내에 설치되어 있는 가열판(3) 측으로 전달되고 내측으로는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워킹코일(9)을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전원전압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으로 후술하는 본체(12)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2)는 상부가 개구되는 1개의 설치홈(12a)을 구비한 원통체로 형성되어 상기한 각 구성품들이 설치홈(12a) 내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뚜껑(13)은 본체(12)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아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각 구성품들이라 함은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과 가열판(3), 링 형상의 상,하부 캡(4)(5), 유입수 분배기(6),배출수 포집기(7),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8), 1개 이상의 워킹코일(9), 수개의 영구자석(10) 및 제어부(11)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의 입력입력단 및 본체(12)에는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본 발명이 적용된 열교환기는 온수용 또는 난방용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임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하는 온도설정용 키 등을 구비한 키 입력부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물 배출부에 온도센서 등을 더 부가 설치하여 사용자의 설정온도에 부응하여 워킹코일(9)에 흐르는 전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적용한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를 온수용 열교환기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유입수 분배기(6)에 일정압력을 갖는 직수가 배출되는 수도관 등을 연결시켜 주면 되므로 별도의 순환펌프가 필요 없이도 온수용 열교환기 내부로 유입된 물이 직수의 유입 압력에 의해 원활히 순환된 후 온수용 수도꼭지 측으로 송수되나, 난방용 열교환기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난방수 자체가 유속 및 순환 압력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배출수 포집기(7)와 도시 생략한 난방배관 사이에 일반 보일러 등과 같이 도 2와 같이 순환펌프(15)를 더 설치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순환펌프(15)는 본체(12)의 내부에 내장시킬 수도 있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그 외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온수 또는 난방을 실시하고자 도시 생략된 전원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제어부(11)에서 상기 워킹코일(9)에 소정의 직류전압(예를 들어 DC 220V 5-100Khz)을 인가시켜 주게 되면 상기 워킹코일(9)에 전류가 흐르며 자계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이 자계가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 사이의 공간부(S) 내에 설치되어 있는 가열판(3)을 유도 가열시켜 주게 되는데, 상기 유입수 분배기(6)에 직수 또는 난방환수를 공급시켜 주게 되면 직수 또는 난방환수가 상부 캡(4)에 형성된 물 유입공(4a)들을 통해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 사이의 공간부(S) 내로 유입된 후 가열판(3)의 내,외면을 따라 하강하면서 가열판(3)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가열된 다음 하부 캡(5)에 형성된 물 배출공(5a)들을 통해 배출수 포집기(7)로 유입되어 포집된 후 온수용 수도꼭지나 난방배관 측으로 이송되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온수 또는 난방수로 공급된다.
한편, 지금까지의 설명은 온수전용 또는 난방전용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에 대해 한정하여 설명하였는데, 이에 한정할 수 없으며 온수/난방 겸용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2)를 성형함에 있어서 1개의 설치홈(12a)만 구비된 원통형으로 성형하지 않고,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의 함체 형상으로 성형하되, 상기 본체(12) 상에는 두 개의 설치홈(12a)(12b)을 성형시키고, 상기 두 설치홈(12a)(12b) 내에는 상기한 각 구성품 세트들(즉,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1)(2)과 가열판(3), 링 형상의 상,하부 캡(4)(5), 유입수 분배기(6),배출수 포집기(7),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8), 1개 이상의 워킹코일(9), 수개의 영구자석(10) 및 제어부(11))을 각각 별도로 설치한 다음 일측의 설치홈에 내장된 구성품들은 온수용 열교환기로 작동시키고 타측의 설치홈에 내장된 구성품들은 난방용 열교환기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물론, 상기 장방형의 함체 형상을 갖는 상기 본체(12)의 상면 개구부를 막아주는 뚜껑(13)도 장방형 함체 형상을 갖는 본체(12)의 평단면에 대응하여 장방형 판체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본체(12)의 타측 설치홈(12b)에 내장된 구성품들 중 배출수 포집기(7)와 난방배관 사이에는 난방수를 강제로 순환시켜 주는 순환펌프(15)를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일측의 설치홈(12a)에 내장된 구성품들은 온수전용 열교환기로 작동시킬 수 있고, 타측의 설치홈(12b)에 내장된 구성품들은 난방전용 열교환기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온수 및 난방수를 공급시키고자 할 때에는 각각 별도로 작동시켜 원하는 온도의 온수 또는 난방수를 공급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는 그 크기 자체가 가스나 석유를 사용하는 열교환기에 비해 매우 작아 설치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간단히 설치할 수 있으며, 적은 사용 전력량으로 온수 또는 난방수를 빠른 시간 내에 원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 자체의 생산원가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고, 특히 배출가스의 발생이 전혀 없으므로 그로 인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2 :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 1a,2a : 오링 삽입홈
3 : 가열판 3a : 유동방지 겸 설정위치 돌기
4,5 : 상,하부 캡 4a : 물 유입공
5a : 물 배출공 4b,5b : 유동방지 겸 설정위치 결정홈
6 : 유입수 분배기 7 : 배출수 포집기
8 :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
8a : 워킹코일 설치홈 8b : 영구자석 고정공
9 : 워킹코일 10 : 영구자석
11 : 제어부
12 : 본체 12a,12b : 설치홈
13 : 뚜껑 14 : 공진음 발생 방지용 갭
15 : 순환펌프 16 : 오링
S : 공간부

Claims (9)

  1. 상,하면에 각각 오링 삽입홈을 구비하고 양자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부를 구비하도록 2중 파이프 형태로 결합되는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과;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 사이의 공간부 내에 설치되어 워킹코일에서 생성된 자계에 의해 유도 가열되어 그의 내,외면을 타고 흐르는 물을 가열시켜 주는 가열판과;
    중심선 상에 수개의 물 유입공과 물 배출공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된 형태를 갖고 공간부에 상기 가열판이 내장된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의 상,하 개구부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 형상의 상,하부 캡과;
    수도관 또는 난방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직수 또는 난방수를 상부 캡에 천공된 물 유입공들을 통해 균일하게 분배시켜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로 유입시켜 주는 유입수 분배기와;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통과하며 가열판의 열에 의해 가열된 후 하부 캡에 천공된 물 배출공들을 통해 배출되는 온수 또는 난방수를 포집하여 온수용 수도꼭지 또는 난방배관 측으로 공급시켜 주는 배출수 포집기와;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상기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 내에 설치되는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와;
    상기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의 외주면에 권취된 형태로 설치되어 제어부에서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자체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계를 형성시켜 상기 가열판을 유도 가열시켜 주는 1개 이상의 워킹코일과;
    상기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의 내면에서 정해진 각도를 두고 고정 설치되어 워킹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의 밀도를 높여줌은 물론 그 자계들이 가열판 측으로 전달되고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의 내측으로는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수개의 영구자석과;
    상기 워킹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부가 개구되는 1개의 설치홈을 구비하는 원통체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아주는 뚜껑;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과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 사이의 틈새 거리 대비 가열판과 보온단열 겸 절연용 외통 사이의 틈새 거리는 각각 2/3와 1/3의 비율을 갖도록 상기 가열판을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하여 상기 가열판과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 사이의 공간부 및 가열판과 보온단열 겸 절연용 외통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흐르는 물의 비율이 각각 2/3와 1/3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은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통의 외경보다는 크고 보온단열 겸 절연용 외통의 내경보다는 작은 원통형으로 성형하거나 또는 2개의 반원통형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2개의 반원통형 가열판이 상호 접속되는 면에는 종단면이 "工"자 형상을 갖는 공진음 발생 방지용 갭을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의 저면과 하부 캡의 상면 주연부에는 가열판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설치 위치를 결정하는 유동방지 겸 설정위치 결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열판의 상,하면에는 상기 유동방지 겸 설정위치 결정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수개의 유동방지 겸 설정위치 돌기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의 외주연에는 1개 이상의 워킹코일 설치홈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 상에는 수개의 영구자석이 각각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를 관통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수개의 영구자석 고정공을 더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의 함체 형상으로 성형하되, 상기 본체 상에는 두 개의 설치홈을 성형시키고, 상기 두 설치홈 내에는 보온단열 겸 절연용 내,외통과, 가열판, 링 형상의 상,하부 캡, 유입수 분배기, 배출수 포집기, 워킹코일 및 영구자석 설치용 관체, 1개 이상의 워킹코일, 수개의 영구자석 및 제어부을 각각 별도로 설치하여 일측은 온수용 열교환기로 작동시키고, 타측은 난방용 열교환기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뚜껑도 장방형 함체 형상을 갖는 본체의 평단면에 대응하여 장방형 판체 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타측 설치홈에 내장된 배출수 포집기와 난방배관 사이에는 난방수를 강제로 순환시켜 주는 순환펌프를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
KR1020100012910A 2010-02-11 2010-02-11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 KR100967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910A KR100967948B1 (ko) 2010-02-11 2010-02-11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910A KR100967948B1 (ko) 2010-02-11 2010-02-11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948B1 true KR100967948B1 (ko) 2010-07-06

Family

ID=4264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910A KR100967948B1 (ko) 2010-02-11 2010-02-11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9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976B1 (ko) * 2012-05-03 2012-10-23 곽영진 전자기 유도 진공 가열 장치
CN102927678A (zh) * 2011-08-09 2013-02-13 田有舟 即热式快速发热装置
CN106016693A (zh) * 2016-06-24 2016-10-12 沈阳永磁电机制造有限公司 一体化永磁涡流加热器
CN108801009A (zh) * 2018-03-21 2018-11-13 合肥美菱有色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导热铜管及其制备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6562A (ja) * 1992-04-20 1993-11-09 Hitachi Home Tec Ltd 給湯器
JPH0688642A (ja) * 1992-09-08 1994-03-29 Hitachi Home Tec Ltd 給湯器
KR200164727Y1 (ko) 1999-07-19 2000-02-15 황석근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열풍장치
KR20010064727A (ko) * 1999-12-18 2001-07-11 이계철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료 대체 광고방송서비스 방법
JP2005098553A (ja) 2003-09-22 2005-04-14 Noritake Co Ltd 熱交換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6562A (ja) * 1992-04-20 1993-11-09 Hitachi Home Tec Ltd 給湯器
JPH0688642A (ja) * 1992-09-08 1994-03-29 Hitachi Home Tec Ltd 給湯器
KR200164727Y1 (ko) 1999-07-19 2000-02-15 황석근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열풍장치
KR20010064727A (ko) * 1999-12-18 2001-07-11 이계철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료 대체 광고방송서비스 방법
JP2005098553A (ja) 2003-09-22 2005-04-14 Noritake Co Ltd 熱交換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7678A (zh) * 2011-08-09 2013-02-13 田有舟 即热式快速发热装置
KR101192976B1 (ko) * 2012-05-03 2012-10-23 곽영진 전자기 유도 진공 가열 장치
CN106016693A (zh) * 2016-06-24 2016-10-12 沈阳永磁电机制造有限公司 一体化永磁涡流加热器
CN106016693B (zh) * 2016-06-24 2021-07-02 沈阳永磁电机制造有限公司 一体化永磁涡流加热器
CN108801009A (zh) * 2018-03-21 2018-11-13 合肥美菱有色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导热铜管及其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582B1 (ko) 원판형 인덕션 온수 또는 난방용 열교환기 및 온수/난방 겸용 열교환기
KR100967948B1 (ko)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
EP1831609B1 (en) Heat exchanger for a combined boiler, and combined boiler using said heat exchanger
KR101827252B1 (ko) 확장성을 갖는 히팅 모듈이 일체로 형성된 소형 자기유도가열 보일러
KR100762951B1 (ko) 인덕션 보일러
KR101602105B1 (ko) 난방 온수 겸용 인덕션 보일러
CN105202951A (zh) 一种浮头式换热器装置
US10605449B2 (en) Hot water supply apparatus using rotary magnetic body
CN214371878U (zh) 全预混冷凝换热器及燃气热水装置
RU178987U1 (ru) Система утилизации тепла сточных вод
KR100690278B1 (ko) 이중관 구조를 갖는 온수 및 난방 겸용 보일러
CN206055943U (zh) 快速调温式电热水器
CN102072556A (zh) 电磁热水器
CN205156698U (zh) 一种浮头式换热器装置
ATE391271T1 (de) Elektrischer durchlauferhitzer
WO2008133371A1 (en) Induction boiler apparatus
KR101708147B1 (ko) 난방 온수 겸용 열매체유 보일러
KR200153585Y1 (ko) 직수 병렬형 순간식 가스보일러용 온수열교환기
KR100581583B1 (ko) 콘덴싱 가스보일러의 조립방법 및 그에 의해 조립된콘덴싱 가스보일러
CN111121279B (zh) 一种燃气热水器用热交换器
CN109899881B (zh) 一种高效的燃烧炉
CN212274257U (zh) 一种箱式盘管加热供水设备
WO2023155671A1 (zh) 水加热装置
RU10247U1 (ru) Радиатор теплообменный
KR200364831Y1 (ko) 유도가열을 이용한 전기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