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651B1 -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651B1
KR101224651B1 KR1020100002406A KR20100002406A KR101224651B1 KR 101224651 B1 KR101224651 B1 KR 101224651B1 KR 1020100002406 A KR1020100002406 A KR 1020100002406A KR 20100002406 A KR20100002406 A KR 20100002406A KR 101224651 B1 KR101224651 B1 KR 101224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water
cold
valv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2436A (ko
Inventor
이미진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2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6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2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651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냉이온정수기에서 냉수스위치를 오프시켜 냉수를 사용하지 않다가 사용하기 위해 냉수스위치를 온시킬 경우 냉수조에 냉각수를 급수하면서 교반기를 작동시켜 냉수조를 부셔낸 후 재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냉수조를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COOLING WATER SUPPLY OF COLD WATER IONIZER}
본 발명은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이온정수기에서 냉수스위치가 온 될 경우 냉수조에 냉각수를 급수하면서 교반기를 작동시켜 냉수조를 부셔낸 후 재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가 급속하게 진전됨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은 편리하여지고 윤택해진 반면에, 환경오염은 날로 심각해지고 있으며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인하여 세계 각국에서는 여러 가지 형태의 기상이변이 발생되어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를 주고 있다.
특히, 생명의 근원인 물은 각종 쓰레기와 폐수의 무단 방류로 인하여 날로 오염정도가 심해지고 있으며, 오염된 물을 정수하기 위하여 더욱 더 많은 화학약품을 투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물을 끓여 먹고 있다.
또한, 가정에서도 정수기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일반적인 정수기는 활성탄, 이온막 등을 구비하는 필터를 이용하여 물에 함유된 산화물, 중금속, 먼지 및 찌꺼기 등을 필터링하여 정화시키는 것으로서, 다양한 방식의 정수장치 등이 이용되어진다.
초창기의 정수기는 정수통에 활성탄을 적층시키고 이 정수통에 물을 부어서 자연정화가 되어지도록 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정수통의 내부를 자주 청소하지 않으면, 이물질이 활성탄 혹은 정수통의 내부에 적층되어서 정수된 물이 부패되어지는 문제점을 지닌다.
이를 개선하여 수돗물이 다수개의 전처리 여과필터, 전처리 활성탄필터, 역삼투막 필터 및 후처리 활성탄필터 등의 다수개의 필터부재를 통하여 이동하면서 정수되도록 하는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를 최근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수기에서 필터한 물을 재차 전해조를 사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를 음용수로 사용하고, 산성수를 미용수로 사용하도록 하는 이온정수기가 제안되어지고 있다.
위에서 설명한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냉이온정수기에서 냉수나 냉이온수는 정수된 음용수가 냉수관을 따라 냉수조를 통과하면서 순간 냉각되어 공급된다.
이때 냉수조에서의 냉각과정은 냉각수가 채워진 냉수조 내부에 냉각기의 증발기가 설치되어 냉각수를 냉각시키면 정수된 음용수가 냉수관을 따라 냉수조 내부를 순환하면서 냉각되어 냉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사용자가 냉수나 냉이온수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 냉수스위치를 오프시킬 경우 냉각기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냉수조에 냉각수가 고여 있게 됨에 따라 냉각수가 오염되어 세균의 번식이나 썩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냉각수를 배수시킨 후 냉수스위치가 온 될 경우 냉각수를 급수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은 냉이온정수기에서 냉수스위치가 온 될 경우 냉수조에 냉각수를 급수하면서 교반기를 작동시켜 냉수조를 부셔낸 후 재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은 냉수스위치의 작동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냉수스위치가 온 된 경우 냉수조밸브를 설정시간 동안 작동시키면서 교반기를 함께 작동시켜 냉각수를 1차 급수하는 단계; 1차 급수를 진행한 후 냉수조 배수밸브를 설정시간 동안 작동시켜 배수시키는 단계; 및 냉각수를 배수시킨 후 냉수조밸브를 작동시켜 냉각수를 2차 급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냉수스위치는 압축기의 온오프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서 설정시간은 3~4분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냉수스위치가 오프될 경우 냉수조 배수밸브를 작동시켜 냉각수를 배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수시키는 단계에서 교반기를 함께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이온정수기에서 냉수스위치를 오프시켜 냉수를 사용하지 않다가 사용하기 위해 냉수스위치를 온시킬 경우 냉수조에 냉각수를 급수하면서 교반기를 작동시켜 냉수조를 부셔낸 후 재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냉수조를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이온정수기의 물흐름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이온정수기의 물흐름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이온정수기는 정수를 음용하기 위해 정수 출수콕(20)을 작동시키면 급수밸브(10)를 작동시켜 원수를 필터부(12)에 의해 정제한 후 냉수조밸브(14), 냉수밸브(16)를 정수밸브(18)에서 정수 출수콕(20)으로 출수된다.
또한 냉정수를 음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냉수밸브(16)에서 냉수조(28)를 통과한 후 정수밸브(18)를 통해 정수 출수콕(20)으로 출수된다.
한편 이온수를 음용하기 위해 이온수 출수콕(26)을 작동시키면 급수밸브(10)를 작동시켜 원수를 필터부(12)에 의해 정제한 후 냉수조밸브(14), 냉수밸브(16), 정수밸브(18)를 지나 전해조(22)에서 전기분해된 후 이온수밸브(24)를 통해 이온수 출수콕(26)으로 출수된다.
또한, 냉이온수를 음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냉수밸브(16)에서 냉수조(28)를 통과한 후 정수밸브(18)를 거쳐 전해조(22)에서 전기분해된 후 이온수밸브(24)를 통해 이온수 출수콕(26)으로 출수된다.
이때 냉수조(28)에 냉각수를 보충하기 위해서는 급수밸브(10)를 통해 원수가 급수되면 필터부(12)에서 정제된 후 냉수조밸브(14)에서 냉수조(28)로 보충된다.
따라서 냉각기(32)가 동작하게 되면 냉각수에 잠긴 증발기(33)에 의해 냉각수를 냉각시키게 되고 냉수조(28)를 순환하는 냉수관(17)으로 정수된 물이 통과하면서 냉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수조(28)에는 냉각수의 수온을 균일하도록 하기 위해 팬(35)을 회전시켜 냉각수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34)가 설치된다.
한편, 냉수조(28)에 고여있는 냉각수를 배수시키기 위해서는 냉수조 배수밸브(30)를 작동시켜 냉각수를 냉수조 배수관(31)을 통해 배수시킬 수 있으며 냉수조(28)에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경우에도 냉수조 배수관(31)을 통해 배수된다.
또한 전해조(22)에서 전기분해된 산성 이온수는 배수관(23)을 통해 배수되고 출수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수시킬 경우 이온수밸브(24)를 통해 배수관(23)으로 배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장치는 냉수스위치(40), 수위센서(60), 제어부(50), 냉각기(32) 냉수조밸브(14), 냉수조 배수밸브(30) 및 교반기(34)를 포함한다.
냉수스위치(40)는 냉각기(32)를 작동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로써 온오프시킬 때 압축기(미도시)가 온오프된다. 이때 냉수스위치(40)는 압축기 스위치일 수도 있다.
냉각기(32)는 압축기에 의해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사이클에 의한 열교환에 의해 냉수조(28) 내의 증발기(33)를 통해 냉각수를 냉각시키게 된다.
수위센서(60)는 냉수조의 수위를 측정하여 제어부(50)로 출력한다.
냉수조밸브(14)는 냉수조(28)로 냉각수를 급수한다.
냉수조 배수밸브(30)는 냉수조(28)에 고여있는 냉각수를 냉수조 배수관(31)으로 배수시킨다.
교반기(34)는 냉수조(28) 내의 냉각수를 교반하여 냉수조(28) 내에 가라앉은 앙금이나 부착된 오염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
제어부(50)는 냉수스위치(40)의 작동상태 및 수위센서(60)에 따라 냉수조밸브(14) 및 냉수조 배수밸브(30)를 제어하여 냉각수를 급수하거나 배수시킬 뿐만 아니라 냉각기(32) 및 교반기(34)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냉이온정수기의 급수장치를 통한 급수 제어방법을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냉이온정수기의 냉수스위치(40)의 작동상태를 판단한다(S10).
이때 냉수스위치(40)가 온 된 경우 냉수조밸브(14)를 설정시간 동안 작동시켜 냉각수의 1차 급수를 진행한다(S12)(S16).
1차 급수를 위해 냉수조밸브(14)를 3~4분의 설정시간 동안 작동시킬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수위센서(60)를 통해 설정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냉수조밸브(14)를 작동시켜 급수할 수 있다.
1차 급수를 진행하면서 냉수조(28)에 가라앉은 앙금이나 부착된 오염물질이 제거되도록 교반기(34)를 함께 작동시키면서 급수를 진행할 수 있다(S14).
이와 같이 1차급수를 진행하면 냉수조밸브(14)를 정지시키고 냉수조 배수밸브(30)를 작동시켜 배수시킨다(S18)(S20).
이때에서 계속해서 교반기(34)를 작동시켜 오염물질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냉수조 배수밸브(30)를 3~4분의 설정시간 동안 작동시켜 배수시킨 후 냉수조 배수밸브(3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22)(S24). 이때 교반기(34)가 작동중일 경우 교반기(34)의 작동도 정지시킨다(S26).
이후 2차 급수를 위해 냉수조밸브(14)를 작동시켜 수위센서(60)를 통해 만수위가 측정될 때까지 급수를 진행한 후 냉수조밸브(14)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28)(S30)(S32).
한편, 냉수스위치(40)가 오프된 경우에는 냉수조 배수밸브(30)를 작동시켜 냉각수를 배수시킨다(S34). 이때에서 교반기(34)를 함께 작동시켜 오염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냉수스위치의 작동상태를 판단하여 냉수스위치(40)가 오프된 경우 냉수조 배수밸브(30)를 작동시켜 배수시키고, 냉수스위치(40)가 온된 경우 냉수조밸브(14)를 작동시켜 냉각수를 급수할 수 있도록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급수밸브 12 : 필터부
14 : 냉수조밸브 16 : 냉수밸브
17 : 냉수관 18 : 정수밸브
20 : 정수출수콕 22 : 전해조
23 : 배수관 24 : 이온수밸브
26 : 이온수출수콕 28 : 냉수조
30 : 냉수조 배수밸브 31 : 냉수조 배수관
32 : 냉각기 33 : 증발기
34 : 교반기 35 : 팬
40 : 냉수스위치 50 : 제어부
60 : 수위센서

Claims (8)

  1. 냉수스위치의 작동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냉수스위치가 온 된 경우 냉수조밸브를 설정시간 동안 작동시키면서 교반기를 함께 작동시켜 냉각수를 1차 급수하는 단계;
    상기 1차 급수를 진행한 후 냉수조 배수밸브를 설정시간 동안 작동시켜 배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냉각수를 배수시킨 후 상기 냉수조밸브를 작동시켜 냉각수를 2차 급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스위치는 압축기의 온오프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은 3~4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스위치가 오프될 경우 상기 냉수조 배수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냉각수를 배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시키는 단계에서 교반기를 함께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00002406A 2010-01-11 2010-01-11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 KR101224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406A KR101224651B1 (ko) 2010-01-11 2010-01-11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406A KR101224651B1 (ko) 2010-01-11 2010-01-11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436A KR20110082436A (ko) 2011-07-19
KR101224651B1 true KR101224651B1 (ko) 2013-01-21

Family

ID=4492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406A KR101224651B1 (ko) 2010-01-11 2010-01-11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6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259A (ko) * 2018-02-22 2019-08-30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20220152051A (ko) 2021-05-07 2022-11-1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제빙수를 활용한 응축기 냉각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481B1 (ko) 2015-11-30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223807B1 (ko) * 2020-05-06 202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325B1 (ko) * 1996-05-29 1999-01-15 배순훈 정전발생시의 정수기 배수제어방법
KR100630834B1 (ko) * 2005-05-19 2006-10-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매수조형 정수기의 냉매수조 자동 세척방법
KR20060119389A (ko) * 2005-05-20 2006-11-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
KR100843154B1 (ko) 2007-09-11 2008-07-03 유인수 중앙정수시스템 및 그 청소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325B1 (ko) * 1996-05-29 1999-01-15 배순훈 정전발생시의 정수기 배수제어방법
KR100630834B1 (ko) * 2005-05-19 2006-10-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매수조형 정수기의 냉매수조 자동 세척방법
KR20060119389A (ko) * 2005-05-20 2006-11-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
KR100843154B1 (ko) 2007-09-11 2008-07-03 유인수 중앙정수시스템 및 그 청소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259A (ko) * 2018-02-22 2019-08-30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102454099B1 (ko) * 2018-02-22 2022-10-14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20220152051A (ko) 2021-05-07 2022-11-1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제빙수를 활용한 응축기 냉각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436A (ko) 201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89940B (zh) 水净化方法及其装置
JP2008086989A (ja) 水供給装置
KR101224651B1 (ko)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
JP2010149030A (ja) Ro浄水器
JP2011025114A (ja) 切替型ro浄水器
KR100536614B1 (ko) 이온수 겸용 냉온정수기
JP4833632B2 (ja) 逆浸透膜式浄水装置
JP2008264780A (ja) 水処理装置。
JP3891120B2 (ja) 電解水生成装置
JP3891118B2 (ja) 電解水生成装置
KR20090126858A (ko) 플러싱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방법
KR101153424B1 (ko) 냉이온정수기의 압축기 작동방법
JP2011140857A (ja) 雨水利用システム
KR101093765B1 (ko) 냉이온정수기의 제어방법
KR100630834B1 (ko) 냉매수조형 정수기의 냉매수조 자동 세척방법
KR20110066537A (ko) 냉이온정수기의 필터 플럭싱 방법
JP2010149031A (ja) 紫外線浄水器
KR101153832B1 (ko) 냉이온정수기의 이온수 모드 선택방법
KR20110066539A (ko) 냉이온정수기의 제어방법
KR102299619B1 (ko) 직수형 정수기
KR20110066538A (ko) 냉이온정수기의 냉수조 청소방법
KR20160094732A (ko) 정수기의 구동장치
KR101262109B1 (ko) 정수기
CN204058110U (zh) 饮用水处理设备
KR20150026237A (ko) 냉이온정수기의 필터 세척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