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732A - 정수기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732A
KR20160094732A KR1020150016125A KR20150016125A KR20160094732A KR 20160094732 A KR20160094732 A KR 20160094732A KR 1020150016125 A KR1020150016125 A KR 1020150016125A KR 20150016125 A KR20150016125 A KR 20150016125A KR 20160094732 A KR20160094732 A KR 20160094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water tank
solenoid valv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50016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4732A/ko
Publication of KR20160094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의 구동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정수기의 구동장치는, 정수기의 구동 및 출수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출수선택부; 정수기의 세척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키입력부; 세척주기의 초기 설정값 및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설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제어신호에 따라 원수를 유입시키고, 필터부를 통과한 정수를 출수시키거나 정수가 냉수탱크, 온수탱크 및 전해조를 경유하도록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폐시켜 유로를 전환하여 정수, 냉수, 온수 및 이온수가 출수되도록 하는 밸브구동부; 및 출수선택부에서 선택된 정수기의 구동 및 출수종류에 따라 제어신호를 밸브구동부에 출력하여 냉수탱크, 온수탱크 및 전해조의 구동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세척주기에 따라 제어신호를 밸브구동부에 출력하여 배관과,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를 세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의 구동장치{APPARATUS FOR OPERATING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에서 세척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배관세척과 탱크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용자가 세척주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가 급속하게 진전됨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은 편리하여지고 윤택해진 반면에, 환경오염은 날로 심각해지고 있으며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인하여 세계 각국에서는 여러 가지 형태의 기상이변이 발생되어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를 주고 있다.
특히, 생명의 근원인 물은 각종 쓰레기와 폐수의 무단 방류로 인하여 날로 오염정도가 심해지고 있으며, 오염된 물을 정수하기 위하여 더욱 더 많은 화학약품을 투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물을 끓여 먹고 있다.
또한, 가정에서도 정수기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일반적인 정수기는 활성탄, 이온막 등을 구비하는 필터를 이용하여 물에 함유된 산화물, 중금속, 먼지 및 찌꺼기 등을 필터링하여 정화시키는 것으로서, 다양한 방식의 정수장치 등이 이용되고 있다.
초창기의 정수기는 정수통에 활성탄을 적층시키고 이 정수통에 물을 부어서 자연정화가 되도록 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정수통의 내부를 자주 청소하지 않으면, 이물질이 활성탄 혹은 정수통의 내부에 적층되어서 정수된 물이 부패되어지는 문제점을 지닌다.
이를 개선하여 수돗물이 다수개의 전처리 여과필터, 전처리 활성탄필터, 역삼투막 필터 및 후처리 활성탄필터 등의 다수개의 필터부재를 통하여 이동하면서 정수되도록 하는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를 최근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9910호(2007. 03. 28. 공고, 발명의 명칭 : 냉이온수기)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수기를 사용하는 중 일정시간 동안 정수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배관에 잔류한 잔류수가 오염되어 오염된 물을 취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수된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시키기 위한 온수탱크나 냉수탱크에도 가열수나 냉각수가 장시간 고여 있을 경우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정수기에 수동 세척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수동 세척버튼을 작동시켜 배관이나 온수탱크 및 냉수탱크를 세척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에만 세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염을 방지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한편, 정수기에 자동 세척주기가 설정된 경우 세척주기가 도래할 경우 자동으로 배관이나 온수탱크 및 냉수탱크를 세척하여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자동 세척주기가 설정된 경우 제조사가 일괄적으로 세척주기를 설정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물의 낭비를 막기 위해 자동 세척주기가 길기를 원하는 사용자도 있는 반면에, 배관이나 온수탱크 및 냉수탱크의 청결을 강조하여 자동 세척주기가 짧기를 원하는 사용자도 있으나 자동 세척주기를 사용자가 변경하거나 설정할 수 없어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기에서 세척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배관세척과 탱크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용자가 세척주기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의 구동장치는, 정수기의 구동 및 출수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출수선택부; 정수기의 세척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키입력부; 세척주기의 초기 설정값 및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설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제어신호에 따라 원수를 유입시키고, 필터부를 통과한 정수를 출수시키거나 정수가 냉수탱크, 온수탱크 및 전해조를 경유하도록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폐시켜 유로를 전환하여 정수, 냉수, 온수 및 이온수가 출수되도록 하는 밸브구동부; 및 출수선택부에서 선택된 정수기의 구동 및 출수종류에 따라 제어신호를 밸브구동부에 출력하여 냉수탱크, 온수탱크 및 전해조의 구동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세척주기에 따라 제어신호를 밸브구동부에 출력하여 배관과,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를 세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의 작동상태 및 세척주기의 초기 설정값과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설정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세척주기는 배관세척을 위한 배관 세척주기와,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를 세척하기 위한 탱크 세척주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출수선택부로부터 출수가 선택되어 출수가 이루어지면 대기시간을 카운트한 후 배관 세척주기에 도달할 경우 배관세척을 위한 제어신호를 밸브구동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대기시간을 카운트할 때 출수선택부로부터 출수가 선택될 경우 대기시간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배관을 세척한 후 대기시간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정수기가 구동되면 구동시간을 카운트한 후 탱크 세척주기에 도달할 경우 냉수탱크와 온수탱크를 세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밸브구동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냉수탱크와 온수탱크의 세척이 완료되면 구동시간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키입력부를 통해 세척주기 설정이 선택될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초기 설정값을 출력한 후, 변경되는 설정값을 입력받아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밸브구동부는, 원수를 유입시켜 필터부에 공급하는 제 1솔레노이드 밸브; 필터부에서 정제된 정수를 퇴수시키거나 제 3솔레노이드 밸브로 배출하는 제 2솔레노이드 밸브; 제 2솔레노이드 밸브에서 배출된 정수를 냉수탱크로 배출시키거나 전환시키는 제 3솔레노이드 밸브; 냉수탱크에서 출수된 냉수와 제 3솔레노이드밸브에서 전환된 정수를 출수시키거나 전환시키는 제 5솔레노이드 밸브; 제 5솔레노이드 밸브에서 전환된 정수를 온수탱크로 배출시키거나 전해조로 배출시키는 제 4솔레노이드 밸브; 온수탱크에서 출수된 온수를 출수시키거나 퇴수시키는 제 6솔레노이드 밸브; 전해조에서 출수되는 이온수를 출수시키거나 퇴수시키는 제 7솔레노이드 밸브; 및 냉수탱크와 온수탱크를 드레인시키는 제 8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구동장치는 정수기에서 세척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배관세척과 탱크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용자가 세척주기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 배관이나 온수탱크 및 냉수탱크의 청결을 유지하여 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 계통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구동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 계통도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동장치는 필터부(80), 출수선택부(10), 냉수탱크(35), 온수탱크(45), 전해조(55), 밸브구동부(60), 키입력부(100), 저장부(110) 및 제어부(20)를 포함한다.
필터부(80)는 원수를 공급받아 ACF(Activated Carbon Fiber)필터와 UF(Ultra Filtration)필터와 ACF(Activated Carbon Fiber)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면서 정제하여 정수를 출수한다.
이때 필터의 구성 및 배치 순서는 임의로 제시한 예시일 뿐 다양한 필터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출수선택부(10)는 정수기의 구동 및 출수종류를 선택한다.
즉, 정수기의 구동종류로는 사용자가 임의로 냉수탱크(35)와 온수탱크(45)를 드레인시키고, 필터부(80)의 필터를 교체한 후 필터를 세척하거나 배관세척을 위한 배관세척과, 냉수탱크(35) 및 온수탱크(45)를 세척하기 위한 탱크세척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출수종류로는 정수, 냉수, 온수 및 이온수를 선택할 수 있다.
냉수탱크(35)는 정수를 입력받아 냉각시켜 냉수를 출수하거나 퇴수구(86)를 통해 드레인 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냉수탱크(35)는, 밀폐형 탱크로써 제어부(20)의 구동신호에 따라 탱크 주변에 포설된 증발기(33)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32) 및 응축기(31)를 포함하는 냉각구동부(30)가 구비되어 냉수가 출수될 수 있도록 냉각상태를 유지시킨다.
온수탱크(45)는 정수를 입력받아 가열시켜 온수를 출수하거나 퇴수구(86)를 통해 드레인 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온수탱크(45)는, 밀폐형 탱크로써 제어부(20)의 구동신호에 따라 탱크 내부에 구비된 히터(42)에 전원을 공급하는 히터구동부(40)가 구비되어 온수가 출수될 수 있도록 가열상태를 유지시킨다.
전해조(55)는 냉수나 정수를 입력받아 전기분해하여 산성수는 퇴수구(86)를 통해 퇴수되고 알카리수는 출수된다. 이때 전해조(55)의 내부에는 격막(미도시)과 다수의 전극(미도시)이 구비되어 제어부(20)의 구동신호에 따라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여 산성수와 알카리수로 전기분해하는 전해구동부(50)를 포함한다.
밸브구동부(60)는 제어신호에 따라 원수를 유입시키고, 필터부(80)를 통과한 정수를 출수시키거나 정수가 냉수탱크(35), 온수탱크(45) 및 전해조(55)를 경유하도록 유로를 전환시켜 냉수, 온수 및 이온수가 출수되도록 하는 제 1내지 제 8솔레노이드 밸브(61~68)를 포함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밸브구동부(60)는 제 1내지 제 8솔레노이드 밸브(61~68)를 포함한다.
제 1솔레노이드 밸브(61)는 원수를 유입시켜 필터부(80)에 공급한다.
제 2솔레노이드 밸브(62)는 필터부(80)에서 정제된 정수를 퇴수구(86)로 퇴수시키거나 제 3솔레노이드 밸브(63)로 배출한다.
제 3솔레노이드 밸브(63)는 제 2솔레노이드 밸브(62)에서 배출된 정수를 냉수탱크(35)로 배출시키거나 제 5솔레노이드 밸브(65)로 유로를 전환시킨다.
제 5솔레노이드 밸브(65)는 냉수탱크(35)에서 출수된 냉수와 제 3솔레노이드밸브(63)에서 전환된 정수를 정수 출수구(84)를 통해 출수시키거나 제 4솔레노이드 밸브(64)로 유로를 전환시킨다.
제 4솔레노이드 밸브(64)는 제 5솔레노이드 밸브(65)에서 전환된 정수를 온수탱크(45)로 배출시키거나 전해조(55)로 배출시킨다.
제 6솔레노이드 밸브(66)는 온수탱크(45)에서 출수된 온수를 정수 출수구(84)를 통해 출수시키거나 퇴수구(86)를 통해 퇴수시킨다.
제 7솔레노이드 밸브(67)는 전해조(55)에서 출수되는 이온수를 이온수 출수구(82)를 통해 출수시키거나 퇴수구(86)를 통해 퇴수시킨다.
제 8솔레노이드 밸브(68)는 냉수탱크(35)와 온수탱크(45)에 고인 냉수와 온수를 퇴수구(86)로 드레인시킨다.
또한, 감압밸브(90)는 필터부(80)의 전단에 설치되어 원수의 압력을 조절한다.
그리고, 유량계(70)는 필터부(80)에서 정제된 유량을 측정하여 제어부(20)에 제공한다.
키입력부(100)는 정수기의 자동 세척주기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입력버튼을 제공한다.
저장부(110)는 세척주기의 초기 설정값 및 키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된 설정값을 저장하여 제어부(20)에서 자동으로 배관이나 냉수탱크(35) 및 온수탱크(45)를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주기를 제공한다.
이때 세척주기는 배관세척을 위한 배관 세척주기와, 냉수탱크(35) 및 온수탱크(45)를 세척하기 위한 탱크 세척주기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출수선택부(10)에서 선택된 정수기의 구동 및 출수종류에 따라 제어신호를 밸브구동부(60)에 출력하여 제 1내지 제 8솔레노이드 밸브(61~68)의 개폐를 제어하고, 냉수탱크(35), 온수탱크(45) 및 전해조(55)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세척주기에 따라 제어신호를 밸브구동부(60)에 출력하여 배관과, 냉수탱크(35) 및 온수탱크(45)를 세척한다.
한편, 표시부(120)는 제어부(20)의 작동상태 및 세척주기의 초기 설정값과 키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설정값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제어부(20)의 작동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세척주기를 설정할 때 초기 설정값을 확인하면서 새로운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정수기의 구동장치에 대한 구체적으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20)는 냉각구동부(30)와 히터구동부(40)를 작동시켜 냉수탱크(35)와 온수탱크(45)의 물을 설정온도로 냉각시키고 가열시킨다.
이후, 출수선택부(10)에서 정수가 선택되면, 제어부(20)는 제 1솔레노이드 밸브(61)를 작동시켜 원수를 공급시킨다. 그러면 공급되는 원수는 감압밸브(90)에서 감압된 후 필터부(80)의 ACF필터, UF필터와 ACF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제된 정수는 제 2솔레노이드 밸브(62), 제 3솔레노이드 밸브(63) 및 제 5솔레노이드 밸브(65)를 경유하여 출수된다.
또한, 출수선택부(10)에서 냉수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 1솔레노이드 밸브(61)가 작동되면서 공급된 원수는 필터부(80)에서 정제된 후 제 2솔레노이드 밸브(62) 및 제 3솔레노이드 밸브(63)를 경유하여 냉수탱크(35)에 공급되고, 냉수탱크(35)에서 냉각된 냉수는 제 5솔레노이드 밸브(65)를 경유하여 정수 출수구(84)를 통해 출수된다.
또한, 출수선택부(10)에서 온수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 1솔레노이드 밸브(61)가 작동되면서 공급된 원수는 필터부(80)에서 정제된 후 제 2솔레노이드 밸브(62), 제 3솔레노이드 밸브(63), 제 5솔레노이드 밸브(65) 및 제 4솔레노이드 밸브(64)를 경유하여 온수탱크(45)에 공급되고, 온수탱크(45)에서 가열된 온수는 제 6솔레노이드 밸브(66)를 경유하여 정수 출수구(84)를 통해 출수된다.
또한, 출수선택부(10)에서 상이온수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 1솔레노이드 밸브(61)가 작동되면서 공급된 원수는 필터부(80)에서 정제된 후 제 2솔레노이드 밸브(62), 3솔레노이드 밸브(63), 제 5솔레노이드 밸브(65) 및 제 4솔레노이드 밸브(64)를 경유하여 전해조(55)에 공급되고, 전해조(55)에서 전기분해된 후 산성수는 퇴수구(86)를 통해 퇴수되고 알카리수는 제 7솔레노이드 밸브(67)를 경유하여 이온수 출수구(82)를 통해 출수된다.
또한, 출수선택부(10)에서 냉이온수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 1솔레노이드 밸브(61)가 작동되면서 공급된 원수는 필터부(80)에서 정제된 후 제 2솔레노이드 밸브(62), 제 3솔레노이드 밸브(63)를 경유하여 냉수탱크(35)에 공급되어 냉각된 후 제 5솔레노이드 밸브(65), 제 4솔레노이드 밸브(64)를 경유하여 전해조(55)에 공급되고, 전해조(55)에서 전기분해된 후 산성수는 퇴수구(86)를 통해 퇴수되고 냉각된 알카리수는 제 7솔레노이드 밸브(67)를 경유하여 이온 출수구(82)를 통해 출수된다.
그리고, 출수선택부(10)에서 배관세척이 선택된 경우에는, 제 1솔레노이드 밸브(61)가 작동되면서 공급된 원수는 필터부(80)에서 정제된 후 제 2솔레노이드 밸브(62)를 경유하여 퇴수구(86)를 통해 퇴수됨으로써 필터를 새로 교체한 후 필터를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관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출수선택부(10)에서 냉수탱크(35)나 온수탱크(45)의 세척이 선택된 경우에는, 제 1솔레노이드 밸브(61)가 작동되면서 공급된 원수는 필터부(80)에서 정제된 후 제 2솔레노이드 밸브(62), 제 3솔레노이드 밸브(63), 냉수탱크(35) 및 제 8솔레노이드 밸브(68)를 경유하여 퇴수구(86)를 통해 드레인 될 뿐만 아니라 냉수탱크(35)에서 제 5솔레노이드 밸브(65), 제 4솔레노이드 밸브(64), 온수탱크(45) 및 제 8솔레노이드 밸브(68)를 경유해서도 퇴수구(86)를 통해 드레인 되어 냉수탱크(35)와 온수탱크(45)를 세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출수선택부(10)를 통해 배관세척이나 냉수탱크(35) 및 온수탱크(45)의 세척을 선택하여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가 세척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대기시간과 구동시간을 카운트하여 필터부(80) 및 배관을 세척하거나, 냉수탱크(35) 및 온수탱크(45)를 세척할 수 있다.
제어부(20)가 출수선택부(10)로부터 정수, 냉수, 온수, 상이온수 및 냉이온수의 출수가 선택되어 출수가 이루어지면 대기시간을 카운트하여 설정된 세척주기에 따라 배관 세척주기에 도달하면 배관세척을 위한 제어신호를 밸브구동부(60)에 출력하여 배관세척을 수행한다.
즉, 제 1솔레노이드 밸브(61)를 작동시켜 공급된 원수를 필터부(80)에서 정제시킨 후 제 2솔레노이드 밸브(62)를 경유하여 퇴수구(86)를 통해 퇴수시킴으로써 필터부(80)를 세척할 뿐만 아니라 배관을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는 대기시간을 카운트할 때 출수선택부(10)로부터 출수가 선택될 경우 대기시간을 초기화하여 다시 카운트할 수 있고, 배관을 세척한 후에도 대기시간을 초기화하여 새롭게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정수기가 구동될 경우 구동시간을 카운트한 후 설정된 세척주기에 따라 탱크 세척주기에 도달하면 냉수탱크(35)와 온수탱크(45)를 세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밸브구동부(60)에 출력하여 냉수탱크(35)와 온수탱크(45)를 세척한다.
즉, 제 1솔레노이드 밸브(61)를 작동시켜 공급된 원수를 필터부(80)에서 정제시킨 후 제 2솔레노이드 밸브(62), 제 3솔레노이드 밸브(63), 냉수탱크(35) 및 제 8솔레노이드 밸브(68)를 경유하여 퇴수구(86)를 통해 드레인 시킬 뿐만 아니라 냉수탱크(35)에서 제 5솔레노이드 밸브(65), 제 4솔레노이드 밸브(64), 온수탱크(45) 및 제 8솔레노이드 밸브(68)를 경유해서도 퇴수구(86)를 통해 드레인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냉수탱크(35)와 온수탱크(45)를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는 냉수탱크(35)와 온수탱크(45)의 세척이 완료되면 구동시간을 초기화하여 새롭게 카운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는 세척주기를 설정할 때 키입력부(100)를 통해 세척주기 설정이 선택될 경우 저장부(110)에 저장된 초기 설정값을 표시부(120)에 출력한 후 변경되는 설정값을 입력받아 입력된 설정값으로 세척주기인 배관 세척주기와 탱크 세척주기를 설정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키입력부(100)를 통해 세척주기 설정이 선택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2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초기 설정값을 기반으로 배관 세척주기와 탱크 세척주기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초기 설정값으로 배관 세척주기는 8시간이 설정되고, 탱크 세척주기는 3개월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키입력부(100)를 통해 배관 세척주기는 1~24시간의 범위에서 증감하여 설정할 수 있고, 탱크 세척주기는 1~6개월의 범위에서 증감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동방법에서는 먼저, 제어부(20)가 키입력부(100)로부터 정수기의 자동 세척을 위한 세척주기 설정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10).
S10 단계에서 키입력부(100)로부터 세척주기 설정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초기 설정값을 기반으로 세척주기인 배관 세척주기와 탱크 세척주기를 설정한다(S18).
예를 들어, 저장부(110)에 저장된 초기 설정값으로 배관 세척주기가 8시간이고, 탱크 세척주기가 3개월인 경우, 이를 기반으로 배관 세척주기를 8시간으로 설정하고, 탱크 세척주기를 3개월로 설정한다.
그러나, S10 단계에서 키입력부(100)로부터 세척주기 설정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초기 설정값을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한다(S12).
이후 제어부(20)는 키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설정값을 입력받는다(S14).
그런 다음 입력된 설정값을 기반으로 제어부(20)는 배관 세척주기와 탱크 세척주기를 설정한다(S16).
이와 같이 자동으로 정수기의 배관과 냉수탱크(35) 및 온수탱크(45)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주기가 설정되면, 제어부(20)는 대기시간과 구동시간을 카운트한다(S20). 이때 대기시간과 구동시간은 전원이 입력된 후 카운트를 시작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0)는 출수선택부(10)로부터 출수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S22).
이때 출수가 선택될 경우, 제어부(20)는 출수선택부(10)로부터 선택된 출수종류에 따라 제어신호를 밸브구동부(60)에 출력하여 제 1내지 제 8솔레노이드 밸브(61~68)의 개폐를 제어하고, 냉수탱크(35), 온수탱크(45) 및 전해조(55)의 구동을 제어한다(S24).
이와 같이 출수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0)는 대기시간의 카운트를 초기화한다(S30). 그런 다음 S20 단계로 회귀하여 새롭게 대기시간을 카운트한다.
반면, S22 단계에서 출수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0)는 카운트한 대기시간과 배관 세척주기를 비교하여 배관 세척주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한다(S26).
S26 단계에서 배관 세척주기가 도래한 경우, 제어부(20)는 배관 세척을 위해 제어신호를 밸브구동부(60)에 출력하여 제 1솔레노이드 밸브(61)를 작동시켜 공급된 원수를 필터부(80)에서 정제시킨 후 제 2솔레노이드 밸브(62)를 경유하여 퇴수구(86)를 통해 퇴수시킴으로써 필터부(80)를 세척할 뿐만 아니라 배관을 세척한다(S28).
이후 제어부(20)는 대시기간을 초기화한 후 S20 단계로 회귀하여 새롭게 대기시간을 카운트한다(S30).
S26 단계에서 배관 세척주기가 도래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20)는 카운트한 구동시간과 탱크 세척주기를 비교하여 탱크 세척주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한다(S32).
S32 단계에서 탱크 세척주기가 도래한 경우, 제어부(20)는 탱크 세척을 위해 제어신호를 밸브구동부(60)에 출력하여 제 1솔레노이드 밸브(61)를 작동시켜 공급된 원수를 필터부(80)에서 정제시킨 후 제 2솔레노이드 밸브(62), 제 3솔레노이드 밸브(63), 냉수탱크(35) 및 제 8솔레노이드 밸브(68)를 경유하여 퇴수구(86)를 통해 드레인 시킬 뿐만 아니라 냉수탱크(35)에서 제 5솔레노이드 밸브(65), 제 4솔레노이드 밸브(64), 온수탱크(45) 및 제 8솔레노이드 밸브(68)를 경유해서도 퇴수구(86)를 통해 드레인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냉수탱크(35)와 온수탱크(45)를 세척한다.
이후 제어부(20)는 구동기간을 초기화한 후 S20 단계로 회귀하여 새롭게 대기시간을 카운트한다(S3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구동장치에 따르면, 정수기에서 세척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배관세척과 탱크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용자가 세척주기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 배관이나 온수탱크 및 냉수탱크의 청결을 유지하여 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출수선택부 20 : 제어부
30 : 냉각구동부 31 : 응축기
32 : 압축기 33 : 증발기
35 : 냉수탱크 40 : 히터구동부
42 : 히터 45 : 온수탱크
50 : 전해구동부 55 : 전해조
60 : 밸브구동부 61~68 : 제 1내지 제 8솔레노이드 밸브
70 : 유량계 80 : 필터부
82 : 이온수 출수구 84 : 정수 출수구
86 : 퇴수구 90 : 감압밸브
100 : 키입력부 110 : 저장부
120 : 표시부

Claims (10)

  1. 정수기의 구동 및 출수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출수선택부;
    상기 정수기의 세척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키입력부;
    상기 세척주기의 초기 설정값 및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설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제어신호에 따라 원수를 유입시키고, 필터부를 통과한 정수를 출수시키거나 상기 정수가 냉수탱크, 온수탱크 및 전해조를 경유하도록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폐시켜 유로를 전환하여 정수, 냉수, 온수 및 이온수가 출수되도록 하는 밸브구동부; 및
    상기 출수선택부에서 선택된 상기 정수기의 구동 및 출수종류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밸브구동부에 출력하여 상기 냉수탱크, 상기 온수탱크 및 상기 전해조의 구동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세척주기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밸브구동부에 출력하여 배관과, 상기 냉수탱크 및 상기 온수탱크를 세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작동상태 및 상기 세척주기의 초기 설정값과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설정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구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주기는 배관세척을 위한 배관 세척주기와, 상기 냉수탱크 및 상기 온수탱크를 세척하기 위한 탱크 세척주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구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선택부로부터 출수가 선택되어 출수가 이루어지면 대기시간을 카운트한 후 배관 세척주기에 도달할 경우 배관세척을 위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밸브구동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구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기시간을 카운트할 때 상기 출수선택부로부터 출수가 선택될 경우 상기 대기시간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구동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관을 세척한 후 상기 대기시간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구동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기가 구동되면 구동시간을 카운트한 후 상기 탱크 세척주기에 도달할 경우 상기 냉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를 세척하기 위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밸브구동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구동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의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구동시간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구동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세척주기 설정이 선택될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초기 설정값을 출력한 후, 변경되는 설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구동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원수를 유입시켜 상기 필터부에 공급하는 제 1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필터부에서 정제된 상기 정수를 퇴수시키거나 제 3솔레노이드 밸브로 배출하는 제 2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 2솔레노이드 밸브에서 배출된 상기 정수를 상기 냉수탱크로 배출시키거나 전환시키는 제 3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냉수탱크에서 출수된 상기 냉수와 상기 제 3솔레노이드밸브에서 전환된 상기 정수를 출수시키거나 전환시키는 제 5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 5솔레노이드 밸브에서 전환된 상기 정수를 상기 온수탱크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전해조로 배출시키는 제 4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온수탱크에서 출수된 상기 온수를 출수시키거나 퇴수시키는 제 6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전해조에서 출수되는 상기 이온수를 출수시키거나 퇴수시키는 제 7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냉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를 드레인시키는 제 8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구동장치.
KR1020150016125A 2015-02-02 2015-02-02 정수기의 구동장치 KR20160094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125A KR20160094732A (ko) 2015-02-02 2015-02-02 정수기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125A KR20160094732A (ko) 2015-02-02 2015-02-02 정수기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732A true KR20160094732A (ko) 2016-08-10

Family

ID=56713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125A KR20160094732A (ko) 2015-02-02 2015-02-02 정수기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47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369B1 (ko) * 2019-06-27 2020-03-02 주식회사 탑플랜트 사용수 재처리 시스템
KR20210103760A (ko) * 2020-02-14 2021-08-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정수기 및 그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369B1 (ko) * 2019-06-27 2020-03-02 주식회사 탑플랜트 사용수 재처리 시스템
KR20210103760A (ko) * 2020-02-14 2021-08-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정수기 및 그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08892A1 (en) Drinking-wat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5127752B2 (ja) 配管洗浄機能を備えた電解水生成装置
KR20160094732A (ko) 정수기의 구동장치
JP2012529337A (ja) 浄水器のスチーム殺菌システム
KR20130104089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224651B1 (ko)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
KR101293233B1 (ko) 정수기
JP2019048279A (ja) 浄水器システム
CN204307527U (zh) 滤芯和具有其的净水设备
JP2002155555A (ja) 給水装置
CN203781936U (zh) 饮用水处理设备
KR101446127B1 (ko) 수처리장치
KR20120113164A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20160046158A (ko) 직수형 정수기
KR10207917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153832B1 (ko) 냉이온정수기의 이온수 모드 선택방법
CN210163221U (zh) 生态环保无废水净水机
KR20160099180A (ko) 직수형 정수기의 구동방법
KR101459001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EP4122874A1 (en) Water purifier,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20113166A (ko)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KR20210128885A (ko) 정수기,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66537A (ko) 냉이온정수기의 필터 플럭싱 방법
KR20110074172A (ko)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방법
JP7256804B2 (ja) 水精製および分注システム、およびかかるシステムの稼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