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233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233B1
KR101293233B1 KR1020110070353A KR20110070353A KR101293233B1 KR 101293233 B1 KR101293233 B1 KR 101293233B1 KR 1020110070353 A KR1020110070353 A KR 1020110070353A KR 20110070353 A KR20110070353 A KR 20110070353A KR 101293233 B1 KR101293233 B1 KR 101293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assage
valve
cold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9329A (ko
Inventor
김영진
신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0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233B1/ko
Publication of KR20130009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수기는 물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수되는 복수개의 필터를 갖는 정수부와; 정수부와 연결되고 정수 출수유로가 연결된 저수조와; 저수조와 연결되고 냉수 출수유로가 연결된 냉수조와; 저수조와 연결되고 온수 출수유로가 연결된 온수조와; 물이 복수개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바이패스하여 전기 분해된 후 정수 출수유로와 냉수 출수유로와 온수 출수유로 중 적어도 하나로 급수되게 안내하는 전해살균기구와; 정수 출수유로와 냉수 출수유로와 온수 출수유로가 연결되는 공통 출수유로와; 공통 출수유로에 설치되어 공통 출수유로를 개폐하는 살균 및 출수 조절 밸브를 포함하여, 온수조 내에 온수 온도가 낮더라도 정수 출수유로와 냉수 출수유로와 온수 출수유로 중 적어도 하나를 살균시킬 수 있고, 냉수조와 온수조를 저수조와 함께 효율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출수유로와 수조를 전해 살균기로 함께 순환 살균시킬 수 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상수를 물리적,화학적 방법으로 걸러 불순물을 제거한 후 공급하는 장치이다.
정수기는 정수원리나 방식에 따라 분류되면,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정수기는 형태에 따라 분류되면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를 저수조에 저장하였다가 가열 또는 냉각하여 출수하는 저장형 정수기와, 저수조 없이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출수하는 직수형 정수기가 있다.
최근의 정수기는 저수조의 물이 외부로 출수되는 정수 출수관이나 저수조을 살균시키는 추세이다.
KR 10-0613359(2006.08.09)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 출수관을 고온의 온수로 살균할 수 있을 뿐, 저수조와 정수조와 온수조를 살균 성분으로 살균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물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수되는 복수개의 필터를 갖는 정수부와; 상기 정수부와 연결되고 정수 출수유로가 연결된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와 연결되고 냉수 출수유로가 연결된 냉수조와; 상기 저수조와 연결되고 온수 출수유로가 연결된 온수조와; 물이 상기 복수개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바이패스하여 전기 분해된 후 상기 정수 출수유로와 냉수 출수유로와 온수 출수유로 중 적어도 하나로 급수되게 안내하는 전해살균기구와; 상기 정수 출수유로와 냉수 출수유로와 온수 출수유로가 연결되는 공통 출수유로와; 상기 공통 출수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공통 출수유로를 개폐하는 살균 및 출수 조절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 및 출수 조절밸브는 출수모드시 개방되고, 살균모드시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전해살균기구의 일예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 성분을 생성하는 전해살균기와; 물이 상기 복수개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전해살균기로 입수되는 바이패스 입수유로와; 상기 정수 출수유로와 냉수 출수유로와 온수 출수유로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전해살균기를 연결하는 전해살균기 출수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살균기 출수유로는 상기 전해살균기에 연결되는 전해살균기 연결유로와, 상기 전해살균기 연결유로와 상기 정수 출수유로에 연결되는 정수 출수유로 연결유로와, 상기 전해살균기 연결유로와 상기 냉수 출수유로에 연결되는 냉수 출수유로 연결유로와, 상기 전해살균기 연결유로와 상기 온수 출수유로에 연결되는 온수 출수유로 연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는 상기 정수 출수유로에 설치된 정수밸브와; 상기 냉수 출수유로에 설치된 냉수밸브와; 상기 온수 출수유로에 설치된 온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밸브는 상기 정수 출수유로 중 상기 정수 출수유로 연결유로가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저수조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냉수밸브는 상기 냉수 출수유로 중 상기 냉수 출수유로 연결유로가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냉수조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온수밸브는 상기 온수 출수유로 중 상기 온수 출수유로 연결유로가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온수조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해살균기구의 다른 예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 성분을 생성하는 전해살균기와; 물이 상기 복수개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전해살균기로 입수되는 바이패스 입수유로와; 상기 공통 출수유로와 상기 전해살균기를 연결하는 전해살균기 출수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살균기 출수유로는 상기 공통 출수유로의 물 출수 방향으로 살균 및 출수 조절 밸브의 이전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수기는 물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수되는 복수개의 필터를 갖는 정수부와; 상기 정수부와 연결되고 정수 출수유로가 연결된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와 연결되고 냉수 출수유로가 연결된 냉수조와; 상기 저수조와 연결되고 온수 출수유로가 연결된 온수조와; 상기 정수 출수유로에 설치된 정수밸브와; 상기 냉수 출수유로에 설치된 냉수밸브와; 상기 온수 출수유로에 설치된 온수밸브와; 물이 상기 복수개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바이패스하여 전기 분해된 후 상기 정수 출수유로 중 저수조와 정수밸브 사이와 상기 냉수 출수유로 중 냉수조와 냉수밸브 사이와 상기 온수 출수유로 중 온수조와 온수밸브 사이 중 적어도 하나로 급수되게 안내하는 전해살균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전해살균기구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 성분을 생성하는 전해살균기와; 물이 상기 복수개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전해살균기로 입수되는 바이패스 입수유로와; 상기 저수조와 정수밸브 사이와 상기 냉수조와 냉수밸브 사이와 상기 온수조와 온수밸브 사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전해살균기를 연결하는 전해살균기 출수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살균기 출수유로는 상기 전해살균기에 연결되는 전해살균기 연결유로와, 상기 전해살균기 연결유로를 상기 저수조와 정수밸브 사이와 연결하는 정수 출수유로 연결유로와, 상기 전해살균기 연결유로를 상기 냉수조와 냉수밸브 사이와 연결하는 냉수 출수유로 연결유로와, 상기 전해살균기 연결유로를 상기 온수조와 온수밸브 사이와 연결하는 온수 출수유로 연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입수유로의 일예는 상기 복수개의 필터 중 일부를 통과한 물이 복수개의 필터 중 나머지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전해살균기로 안내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입수유로의 다른 예는 상기 정수부로 물을 안내하는 원수 급수 유로의 물이 상기 복수개의 필터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전해살균기로 안내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입수유로에 설치된 바이패스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살균모드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는 상기 냉수조에 연결된 배수유로와, 상기 배수유로에 설치된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온수조 내에 온수 온도가 낮더라도 정수 출수유로와 냉수 출수유로와 온수 출수유로 중 적어도 하나를 살균시킬 수 있고, 냉수조와 온수조를 저수조와 함께 효율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정수 출수유로와 냉수 출수유로와 온수 출수유로를 동시에 함께 살균할 수 있고, 저수조와 냉수조와 온수조도 함께 살균할 수 있어, 살균의 신뢰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정수밸브와 냉수밸브와 온수밸브의 개폐 조절에 의해 정수 출수유로와 냉수 출수유로와 온수 출수유로 중 어느 하나를 신속하게 집중 살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정수밸브와 냉수밸브와 온수밸브를 살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저수조를 고온 살균 효과와 전해 살균 효과의 이중 살균 효과로 살균할 수 있어, 저수조의 살균능력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필터 중 정수 성능을 높이기 위한 어느 필터가 살균 성분을 생성시키는 특정 성분을 거르더라도 정수 출수유로와 냉수 출수유로와 온수 출수유로 등의 출수유로와 저수조와 냉수조와 온수조 등의 수조를 효율적으로 살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1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1 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1 실시예의 정수 출수유로 및 저수조와 냉수조가 살균될 때의 물 흐름이 도시된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1 실시예의 냉수 출수유로 및 냉수조가 살균될 때의 물 흐름이 도시된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1 실시예의 온수 출수유로와 온수조와 저수조와 냉수조가 살균될 때의 물 흐름이 도시된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1 실시예의 정수 출수유로와 냉수 출수유로와 온수 출수유로와 저수조와 냉수조와 온수조가 함께 살균될 때의 물 흐름이 도시된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2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3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4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1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정수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정수하는 정수부(1)와, 정수부(1)와 연결되는 저수조(12)와, 저수조(12)와 연결되는 냉수조(20)와, 저수조(12)와 연결되는 온수조(30)를 포함한다.
정수부(1)는 물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수되는 복수개의 필터(2)(3)(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필터(2)(3)(4)는 적어도 2개의 필터가 물을 단계적으로 정수하게 연결될 수 있고, 이하 3개의 필터인 것으로 설명한다. 복수개의 필터(2)(3)(4)는 물이 통과하는 제 1 필터(2)와, 제 1 필터(2)에서 정수된 물이 통과하는 제 2 필터(3)와, 제 2 필터(3)에서 정수된 물이 통과하는 제 3 필터(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필터(2)(3)(4)는 제 1 필터(2)가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로 구성될 수 있고, 제 2 필터(3)가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Reverse Osmosis membrame filter) 또는 중공사막 멤브레인 필터(Ultra Filtration membrame filter)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3 필터(4)가 카본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세디먼트 필터는 기계적인 여과작용을 하는 필터로서, 물 속에 포함된 큰 이물질을 거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세디먼트 필터는 5㎛ 이하의 고밀도 polypropylene으로 제작된 필터이고, 세디먼트 필터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 또는 중공사막 멤브레인 필터와 카본 필터가 작은 입자와 미세한 성분을 걸러내는데 돕는다.
정수부(1)에는 정수부(1)로 물을 안내하는 원수 급수유로(5)가 연결될 수 있다.
원수 급수유로(5)는 수돗물과 같이 외부에서 급수되는 물이 정수부(1)에서 정수되게 안내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필터(2)(3)(4)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고, 제 1 필터(2)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필터(2)에는 제 1 필터(2)를 통과한 물을 안내하는 제 1 필터 출수유로(6)가 연결될 수 있다.
제 1 필터 출수유로(6)에는 제 1 필터(2)를 통과한 물을 단속하는 급수밸브(7)가 연결될 수 있다.
급수밸브(7)에는 급수밸브(7)를 통과한 물을 제 2 필터(3)로 안내하는 제 2 필터 입수유로(8)가 연결될 수 있다.
제 2 필터(3)에는 제 2 필터(3)를 통과한 물을 제 3 필터(4)로 안내하는 제 3 필터 입수유로(9)가 연결될 수 있다.
정수부(1)에는 정수부(1)를 통과한 물을 저수조(12)로 안내하는 저수조 입수유로(10)가 연결될 수 있다.
저수조 입수 유로(10)는 정수부(1)와 저수조(12) 사이에 배치되어 정수부(1)에서 정수된 물이 저수조(12)에 담겨지게 안내할 수 있다. 저수조 입수 유로(10)는 일단이 제 3 필터(4)에 연결되고 타단이 저수조(12)에 연결될 수 있다.
저수조(12)는 정수부(1)에서 정수된 물이 담겨지는 저수 탱크이다. 저수조(12)에는 정수부(1)에서 정수된 후 저수조(12)에 담겨진 물을 출수할 수 있는 정수 출수유로(13)(14)가 연결될 수 있다.
정수 출수유로(13)(14)에는 저수조(10)에서 정수 출수유로(13)(14)로 출수된 물을 단속하는 정수밸브(16)가 설치될 수 있다. 정수밸브(16)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수 출수유로(13)(14)는 물이 출수되는 방향으로 정수밸브(16) 이전의 정수밸브 입수유로(13)와, 정수밸브(16) 이후의 정수밸브 출수유로(14)를 포함할 수 있다.
냉수조(20)는 저수조(12)에서 유동된 물이 냉각되는 냉각 탱크이다. 냉수조(20)는 저수조(12)의 하측에 저수조(12)와 직접 연결되어 저수조(12)에서 낙하된 물을 담는 것이 가능하고, 저수조(12)와 냉수조 입수유로(21)로 연결되어 저수조(12)의 물을 냉수조 입수유로(21)를 통해 받는 것이 가능하다.
냉수조(20)에는 냉수조(20)의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22)가 연결될 수 있다.
냉각장치(22)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기구와,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장치는 증발기가 냉수조(20)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냉수조(20)의 외벽에 배치될 수 있고, 냉매는 증발기를 통과할 때 증발되면서 냉수조(20)의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냉수조(20)에는 냉수조(20)에 담겨진 물을 출수할 수 있는 냉수 출수유로(23)(24)가 연결될 수 있다.
냉수 출수유로(23)(24)에는 냉수조(20)에서 냉수 출수유로(23)(24)로 출수된 물을 단속하는 냉수밸브(26)가 설치될 수 있다. 냉수밸브(26)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냉수 출수유로(23)(24)는 물이 출수되는 방향으로 냉수밸브(26) 이전의 냉수밸브 입수유로(23)와, 냉수밸브(26) 이후의 냉수밸브 출수유로(24)를 포함할 수 있다.
온수조(30)는 저수조(12)에서 유동된 물이 가열되는 가열 탱크이다. 온수조(30)는 저수조(12)의 하측에 저수조(12)와 직접 연결되어 저수조(12)에서 낙하된 물을 담는 것이 가능하고, 저수조(12)와 온수조 입수유로(31)로 연결되어 저수조(12)의 물을 온수조 입수유로(31)를 통해 받는 것이 가능하다.
온수조(30)에는 온수조(30)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32)가 설치될 수 있다.
온수조(30)에는 온수조(30)에 담겨진 물을 출수할 수 있는 온수 출수유로(33)(34)가 연결될 수 있다.
온수 출수유로(33)(34)에는 온수조(30)에서 온수 출수유로(33)(34)로 출수된 물을 단속하는 온수밸브(36)가 설치될 수 있다. 온수밸브(36)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온수 출수유로(33)(34)는 물이 출수되는 방향으로 온수밸브(36) 이전의 온수밸브 입수유로(33)와, 온수밸브(36) 이후의 온수밸브 출수유로(34)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는 정수 출수유로(13)(14)와 냉수 출수유로(23)(24)와 온수 출수유로(33)(34)가 연결되는 공통 출수유로(40)(42)를 포함한다.
공통 출수유로(40)(42)는 하나의 유로가 정수 출수유로(13)(14)를 통과한 정수된 물과, 냉수 출수유로(23)(24)를 통과한 정수 및 냉각된 물과, 온수 출수유로(33)(34)를 통과한 정수 및 가열된 물을 외부로 출수할 수 있다.
정수기는 물이 복수개의 필터(2)(3)(4)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3)(4)를 바이패스하여 전기 분해된 후 정수 출수유로(13)(14)와 냉수 출수유로(23)(24)와 온수 출수유로(33)(34) 중 적어도 하나로 급수되게 안내하는 전해살균기구(50)와, 공통 출수유로(40)(42)에 설치되어 공통 출수유로(40)(42)를 개폐하는 살균 및 출수 조절 밸브(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해살균기구(50)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 성분을 생성하는 전해살균기(51)와; 물이 복수개의 필터(2)(3)(4)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3)(4)를 바이패스하여 전해살균기(51)로 입수되는 바이패스 입수유로(52)(53)와; 정수 출수유로(13)(14)와 냉수 출수유로(23)(24)와 온수 출수유로(33)(34) 중 적어도 하나와 전해살균기(51)를 연결하는 전해살균기 출수유로(54)(55)(56)(57)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해살균기구(50)는 바이패스 입수유로(52)(53)에 설치된 바이패스 밸브(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해살균기(51)는 저수조(12)와 냉수조(20)와 온수조(30)와 정수 출수유로(13)(14)와 냉수 출수유로(23)(24)와 온수 출수유로(33)(34) 모두를 살균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물을 전기 분해하여 물 속의 염소 이온을 살균 성분인 차아 염소산 이온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전해살균기(51)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이격되게 배치된 애노드 및 캐소드를 포함하고, 하우징에는 물이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물 입수부와,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를 통과한 물이 출수되는 물 출수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이패스 입수유로(52)(53)는 정수 출수유로(13)(14)와 냉수 출수유로(23)(24)와 온수 출수유로(33)(34)와 별도로 형성되어 물을 전해살균기(51)로 안내한다.
정수기는 정수 능력을 높이기 위해 복수개의 필터(2)(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3)가 물에 함유된 염소 이온의 농도를 과도하게 낮출 수 있는데, 이 경우 저수조(12)와 냉수조(20)와 온수조(30)의 내부에는 염소 이온의 농도가 낮은 물이 담겨질 수 있고, 전해살균기(51)로 염소 이온의 농도가 낮은 물이 입수되면, 살균 성분인 차아 염소산의 농도가 목표 농도에 도달되지 못할 수 있고, 살균 성분인 차아 염소산이 목표 농도에 도달되더라도 목표 농도에 도달되는데 장시간 소요될 수 있다.
한편, 물에 함유된 염소 이온의 농도를 과도하게 낮추는 필터를 아직 통과하지 않는 물이 바이패스 입수유로(52)(53)에 의해 전해살균기(51)로 입수되면, 바이패스 입수유로(52)(53)로 유입된 물에 함유된 염소 이온이 전해살균기(51)에 의해 전기 분해되고 전해살균기 출수유로(54)(55)(56)(57)에는 살균에 적정한 농도의 차아 염소산이 생성되게 된다.
즉, 바이패스 입수유로(52)(53)는 살균모드시 살균 성분 생성에 필요한 물을 급수할 수 있고, 이때, 바이패스밸브(58)는 살균모드시 염소 이온의 농도를 과도하게 낮추는 필터를 통과하지 않은 물이 전해살균기(51)로 유입되게 개방될 수 있다.
바이패스 입수유로(52)(53)는 원수 급수유로(5)로 유입된 물이 복수개의 필터(2)(3)(4) 중 일부(2)를 통과하고 나머지(3)(4)를 바이패스하게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이패스 입수유로(52)(53)는 물이 유입되는 일단이 복수개의 필터(2)(3)(4) 중 일부(2)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며, 물이 유입되는 일단이 복수개의 필터(2)(3)(4) 중 일부(2)와 나머지(3)(4)의 사이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이패스 입수유로(52)(53)는 물이 출수되는 타단이 전해살균기(51)에 연결되어 전해살균기(51)로 물을 급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이패스 입수유로(52)(53)는 원수 급수유로(5)로 유입된 물 중의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질이 복수개 필터(2)(3)(4) 중 일부(2)에서 걸러진 후 급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이패스 입수유로(52)(53)는 제 1 필터(2)가 세디먼트 필터이고, 제 2 필터(3)가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이며, 제 3 필터(4)가 카본 필터로 이루어질 경우, 세디면트 필터를 통과한 물이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와, 카본 필터를 바이패스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 입수유로(52)(53)는 물이 유입되는 일단이 제 1 필터(2) 또는 제 1 필터 출수유로(6)에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 입수유로(52)(53)는 제 1 필터(2)와 제 1 필터 출수유로(6) 중 어느 하나와 바이패스 밸브(58)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밸브 입수유로(52)와, 바이패스 밸브(58)에 연결되어 물을 급수시키는 바이패스 밸브 출수유로(53)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해살균기 출수유로(54)(55)(56)(57)는 온수 출수유로(33)(34)가 온수조(30)에서 출수된 고온의 물에 의해 살균될 수 있으므로 정수 출수유로(13)(14)와 냉수 출수유로(23)(24)에만 연결되어 정수 출수유로(13)(14)와 냉수 출수유로(23)(24)를 전기 분해된 물 속의 살균 성분으로 살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전해살균기 출수유로(54)(55)(56)(57)는 온수 출수유로(33)(34)도 전기 분해된 물 속의 살균 성분으로 살균시킬 수 있도록 정수 출수유로(13)(14)와 냉수 출수유로(23)(24)와 온수 출수유로(33)(34)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해살균기 출수유로(54)(55)(56)(57)는 전해살균기(51)에 연결되는 전해살균기 연결유로(54)와, 전해살균기 연결유로(51)와 정수 출수유로(13)(14)에 연결되는 정수 출수유로 연결유로(55)와, 전해살균기 연결유로(54)와 냉수 출수유로(23)(24)에 연결되는 냉수 출수유로 연결유로(56)와, 전해살균기 연결유로(54)와 온수 출수유로(33)(34)에 연결되는 온수 출수유로 연결유로(57)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는 정수밸브(16)가 정수 출수유로(13)(14) 중 정수 출수유로 연결유로(55)가 연결되는 부분과 저수조(1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정수 출수유로 연결유로(55)는 정수 출수유로(13)(14) 중 정수밸브 출수유로(14)에 연결될 수 있다.
정수밸브(16)는 사용자가 정수 출수를 희망할 때 개방되어 저수조(12)의 물이 정수 출수유로(13)(14)를 통과하게 할 수 있고, 살균모드시 항상 또는 살균모드의 도중에 개방되어 전해살균기(51)를 통과한 물이 정수밸브 입수유로(13)를 통해 저수조(12)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정수기는 냉수밸브(26)가 냉수 출수유로(23)(24) 중 냉수 출수유로 연결유로(56)가 연결되는 부분과 냉수조(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냉수 출수유로 연결유로(56)는 냉수 출수유로(23)(24) 중 냉수밸브 출수유로(24)에 연결될 수 있다.
냉수밸브(26)는 사용자가 냉수 출수를 희망할 때 개방되어 냉수조(20)의 물이 냉수 출수유로(23)(24)를 통과하게 할 수 있고, 살균모드시 항상 또는 살균모드의 도중에 개방되어 전해살균기(51)를 통과한 물이 냉수밸브 입수유로(23)를 통해 냉수조(20)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정수기는 온수밸브(36)가 온수 출수유로(33)(34) 중 온수 출수유로 연결유로(57)가 연결되는 부분과 온수조(3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온수 출수유로 연결유로(57)는 온수 출수유로(33)(34) 중 온수밸브 출수유로(34)에 연결될 수 있다.
온수밸브(36)는 사용자가 온수 출수를 희망할 때 개방되어 온수조(30)의 물이 온수 출수유로(33)(34)를 통과하게 할 수 있고, 살균모드시 항상 또는 살균모드의 도중에 개방되어 전해살균기(51)를 통과한 물이 온수밸브 입수유로(33)를 통해 온수조(30)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살균 및 출수 조절 밸브(60)는 전해살균기구(50)와 함께 정수기 내부에 물의 살균 유로를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물의 살균 유로는 전해살균기(51)를 통과한 물이 정수 출수유로(13)(14)와 정수밸브(16)와 저수조(12)와 냉수조(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수 출수유로(13)(14)와 정수밸브(16)와 저수조(12)와 냉수조(20)를 살균시키는 제 1 살균 유로를 갖을 수 있다.
그리고, 물의 살균 유로는 전해살균기(51)를 통과한 물이 냉수 출수유로(23)(24)와 냉수밸브(16)와 냉수조(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냉수 출수유로(23)(24)와 냉수밸브(16)와 냉수조(20)를 살균시키는 제 2 살균 유로를 갖을 수 있다.
그리고, 물의 살균 유로는 전해살균기(51)를 통과한 물이 온수 출수유로(33)(34)와 온수밸브(36)와 온수조(30)와 저수조(12)와 냉수조(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온수 출수유로(33)(34)와 온수밸브(36)와 온수조(30)와 저수조(12)와 냉수조(20)를 살균시키는 제 3 살균 유로를 갖을 수 있다.
살균 및 출수 조절 밸브(60)는 살균모드시 전해살균기(51)에서 정수 출수유로(13)(14)와 냉수 출수유로(23)(24)와 온수 출수유로(33)(34) 중 적어도 하나로 급수된 물이, 공통 출수유로(40)(42)를 통해 외부로 출수되지 않게 폐쇄되고, 이때, 정수 출수유로(13)(14)와 냉수 출수유로(23)(24)와 온수 출수유로(33)(34) 중 적어도 하나로 급수된 물은 저수조(12)와 냉수조(20)와 온수조(30)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해 유동된다.
살균 및 출수 조절 밸브(60)는 정수 출수나 냉수 출수나 온수 출수의 출수모드시 개방되어, 물이 공통 출수유로(40)(42)의 출구를 통해 외부로 출수되게 돕는다.
살균 및 출수 조절 밸브(60)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출수 레버가 구비된 출수 코크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살균 및 출수 조절 밸브(60)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질 경우, 정수기 미사용시와 살균모드시 폐쇄되고, 사용자가 정수와 냉수와 온수 중 하나의 출수를 희망할 때만 개방될 수 있다.
살균 및 출수 조절 밸브(60)는 출수 코크로 이루어질 경우, 정수기 미사용시와 살균모드시 폐쇄되고, 사용자가 출수 레버를 조작할 경우에만 개방될 수 있다.
정수기는 냉수조(20)에 연결된 배수유로(71)(72)(73)와, 배수유로(71)(72)(73)에 설치된 펌프(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74)는 배수모드시 구동될 수 있고, 살균모드시 구동될 수 있다.
정수기는 배수유로(71)(72)(73) 중 펌프(74)의 후류에 설치된 배수밸브(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는 전해살균기(51)의 구동과 바이패스밸브(58)의 개방과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의 폐쇄시, 살균모드가 개시될 수 있고, 펌프(74)와 배수밸브(75)는 살균모드의 개시 이전에 저수조(12)와 냉수조(20)와 온수조(30)에 이미 담겨져 있던 물을 먼저 배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펌프(74)와 배수밸브(75)는 살균모드의 도중에 저수조(12)와 냉수조(20)와 온수조(30)로 유입되는 살균 성분이 포함된 물을 배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펌프(74)와 배수밸브(75)는 살균모드의 도중에 살균 성분이 포함된 물이 저수조(12)와 냉수조(20)와 온수조(30)에 모두 채워지게 하고, 살균 성분이 포함된 물이 저수조(12)와 냉수조(20)와 온수조(30)에 모두 채워지거나 모두 채워진 후 설정시간 경과되면 저수조(12)와 냉수조(20)와 온수조(30)의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펌프(74)는 전해살균기(51)의 구동과 바이패스밸브(58)의 개방과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의 폐쇄시 함께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고, 전해살균기(51)의 구동과 바이패스밸브(58)의 개방과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의 폐쇄시 정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정수기는 살균 행정이 살균모드와 배수모드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살균 행정은 저수조(12)와 냉수조(20)와 온수조(30)와 정수 출수유로(13)(14)와 냉수 출수유로(23)(24)와 온수 출수유로(33)(34)의 물이 모두 배수되는 제 1 배수모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 행정은 제 1 배수모드 단계 후 전해 살균기(51)로 물이 급수되면서 저수조(12)와 냉수조(20)와 온수조(30)와 정수 출수유로(13)(14)와 냉수 출수유로(23)(24)와 온수 출수유로(33)(34)의 살균이 행해지고 저수조(12)와 저수조(12)와 냉수조(20)와 온수조(30)와 정수 출수유로(13)(14)와 냉수 출수유로(23)(24)와 온수 출수유로(33)(34)로 물이 채워지는 살균모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 행정은 살균모드 단계 후 정수 출수유로(13)(14)와 냉수 출수유로(23)(24)와 온수 출수유로(33)(34)에 채워진 물이 배수되는 제 2 배수모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 행정은 제 2 배수모드 단계 후 저수조(12)와 냉수조(20)와 온수조(30)와 정수 출수유로(13)(14)와 냉수 출수유로(23)(24)와 온수 출수유로(33)(34)로 헹굼을 위한 물이 급수되는 헹굼모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 행정은 헹굼모드 단계 후 정수 출수유로(13)(14)와 냉수 출수유로(23)(24)와 온수 출수유로(33)(34)에 채워진 물이 배수되는 제 3 배수모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는 살균 조건이 발생되면, 제 1 배수모드 단계와 살균모드 단계와 제 2 배수모드 단계와 헹굼모드 단계와 제 3 배수모드 단계가 자동으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1 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1 실시예의 정수 출수유로 및 저수조와 냉수조가 살균될 때의 물 흐름이 도시된 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1 실시예의 냉수 출수유로 및 냉수조가 살균될 때의 물 흐름이 도시된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1 실시예의 온수 출수유로와 온수조와 저수조와 냉수조가 살균될 때의 물 흐름이 도시된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1 실시예의 정수 출수유로와 냉수 출수유로와 온수 출수유로와 저수조와 냉수조와 온수조가 함께 살균될 때의 물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정수기는 정수기를 제어하는 제어부(76)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78)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76)는 입력부(78)의 입력 또는 살균 조건의 만족 등에 따라 정수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6)는 급수밸브(7)와 정수밸브(16)와 냉각장치(22)와 냉수밸브(26)와 히터(32)와 온수 밸브(36)와 전해살균기(51)와 바이패스 밸브(58)와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70)와 펌프(74)와 배수밸브(75)를 제어할 수 있다.
정수기는 정수 출수모드와 냉수 출수모드와 온수 출수모드의 출수모드와, 정수기 내부를 살균시키는 살균모드와,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모드를 갖을 수 있다.
제어부(76)는 각 모드에 따라 급수밸브(7)와 정수밸브(16)와 냉각장치(22)와 냉수밸브(26)와 히터(32)와 온수 밸브(36)와 전해살균기(51)와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와 펌프(74)와 배수밸브(75)를 제어한다.
이하, 출수모드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제어부(76)는 정수 출수모드시 급수밸브(7)를 개방시킬 수 있고, 정수밸브(16)와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어부(76)는 정수 출수모드시 냉각장치(22)를 구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으며, 냉수밸브(26)를 폐쇄시킬 수 있다. 제어부(76)는 정수 출수모드시 히터(32)를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고, 온수밸브(36)를 폐쇄시킬 수 있다. 제어부(76)는 정수 출수모드시 전해살균기(51)와 펌프(74)를 정지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58)와 배수밸브(75)를 폐쇄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78)를 입력하여 정수 출수를 입력하면, 저수조(12)의 내부의 물은 정수 출수유로(13)(14)와 정수밸브(16)를 통과하고 공통 출수유로(40)(42)와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를 통과하여 외부로 출수된다. 이때 원수 급수유로(5)의 물은 제 1 필터(2)와 급수밸브(7)와 제 2 필터(3)와 제 3 필터(4)를 통과하면서 정수된 후 저수조 입수유로(10)를 통과하여 저수조(12)로 채워진다.
제어부(76)는 냉수 출수 모드시 급수밸브(7)를 개방시킬 수 있고, 냉각장치(32)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냉수밸브(26)와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어부(76)는 냉수 출수 모드시 정수밸브(16)를 폐쇄시킬 수 있다. 제어부(76)는 냉수 출수모드시 히터(32)를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고, 온수밸브(36)를 폐쇄시킬 수 있다. 제어부(76)는 냉수 출수모드시 전해살균기(51)와 펌프(74)를 정지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58)와 배수밸브(75)를 폐쇄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78)를 입력하여 냉수 출수를 입력하면, 냉수조(20)의 내부의 물은 냉수 출수유로(23)(24)와 냉수밸브(26)를 통과하고 공통 출수유로(40)(42)와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를 통과하여 외부로 출수된다. 이때,
저수조(12)의 물은 냉수조(20)에서 물이 출수된 만큼 냉수조(20)로 이동되며, 원수 급수유로(5)의 물은 제 1 필터(2)와 급수밸브(7)와 제 2 필터(3)와 제 3 필터(4)를 통과하면서 정수된 후 저수조 입수유로(10)를 통과하여 저수조(12)로 채워진다.
제어부(76)는 온수 출수 모드시 급수밸브(7)를 개방시킬 수 있고, 히터(32)를 온시킬 수 있고, 온수밸브(36)와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어부(76)는 온수 출수 모드시 냉각장치(32)를 구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으며, 냉수밸브(26)를 폐쇄시킬 수 있다. 제어부(76)는 온수 출수 모드시 정수밸브(16)를 폐쇄시킬 수 있다. 제어부(76)는 온수 출수모드시 전해살균기(51)와 펌프(74)를 정지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58)와 배수밸브(75)를 폐쇄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78)를 입력하여 온수 출수를 입력하면, 온수조(30)의 내부의 물은 온수 출수유로(33)(34)와 온수밸브(36)를 통과하고 공통 출수유로(40)(42)와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를 통과하여 외부로 출수된다. 이때,
저수조(12)의 물은 온수조(30)에서 물이 출수된 만큼 온수조(30)로 이동되며, 원수 급수유로(5)의 물은 제 1 필터(2)와 급수밸브(7)와 제 2 필터(3)와 제 3 필터(4)를 통과하면서 정수된 후 저수조 입수유로(10)를 통과하여 저수조(12)로 채워진다.
이하, 살균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정수기는 기설정된 살균 조건이 만족되면, 살균모드가 자동으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살균 조건은 정수기의 운전시간이 운전 설정시간에 도달되거나, 정수와 냉수와 온수 중 어느 하나가 출수되지 않는 시간이 미출수 설정시간에 도달되는 등의 다양한 조건이 될 수 있다.
정수기는 사용자 등이 입력부(78)를 통해 살균 명령을 입력하면, 살균모드가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살균모드는 전해살균기(51)가 구동될 때, 바이패스 밸브(58)가 개방되고,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가 폐쇄되고, 이때 정수밸브(16)와 냉수밸브(26)와 온수밸브(36)의 개폐 여부에 따라 다양한 조합의 살균모드가 될 수 있다.
살균모드는 살균 조건 등에 따라 정수밸브(16)와 냉수밸브(26)와 온수밸브(36) 중 하나만 개방된 후 폐쇄되는 단독 살균모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냉수와 온수는 미출수설정시간 이내에 출수되는데, 정수만 미출수설정시간 동안 출수되지 않으면, 냉수 출수유로(23)(24)와 온수 출수유로(33)(34)는 살균할 필요가 없으므로, 정수기는 전해살균기(51)가 구동되고 바이패스밸브(58)가 개방되며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가 폐쇄되며 정수 밸브(16)만을 개방하였다가 폐쇄하는 정수 단독 살균모드를 갖을 수 있다.
그리고, 정수와 온수는 미출수설정시간 이내에 출수되는데, 냉수만 미출수설정시간 동안 출수되지 않으면, 정수 출수유로(13)(14)와 온수 출수유로(33)(34)는 살균할 필요가 없으므로, 정수기는 전해살균기(51)가 구동되고 바이패스밸브(58)가 개방되며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가 폐쇄되며 냉수 밸브(26)만을 개방하였다가 폐쇄하는 냉수 단독 살균모드를 갖을 수 있다.
그리고, 정수와 냉수는 미출수설정시간 이내에 출수되는데, 온수만 미출수설정시간 동안 출수되지 않으면, 정수 출수유로(13)(14)와 냉수 출수유로(23)(24)는 살균할 필요가 없으므로, 정수기는 전해살균기(51)가 구동되고 바이패스밸브(58)가 개방되며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가 폐쇄되며 온수 밸브(36)만을 개방하였다가 폐쇄하는 온수 단독 살균모드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살균모드는 정수밸브(16)와 냉수밸브(26)와 온수밸브(36)가 순차적으로 하나씩 개방된 후 폐쇄되고, 정수밸브(16)와 냉수밸브(26)와 온수밸브(36)의 모두가 적어도 1회 이상 개방된 후 폐쇄되는 순차적 살균모드를 갖을 수 있다.
살균모드는 정수밸브(16)와 냉수밸브(26)와 온수밸브(36)가 함께 개방된 후 폐쇄되는 동시 살균모드를 갖을 수 있다.
살균모드는 단독 살균모드만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순차적 살균모드만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동시 살균모드만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단독 살균모드와 순차적 살균모드와 동시 살균모드 중 어느 한 살균모드가 먼저 실시된 후 다른 살균모드가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정수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독 살균모드 또는 순차적 살균모드를 실시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 살균모드를 실시할 수 있다.
제어부(76)는 정수 살균모드시, 급수밸브(7)를 폐쇄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58)와 정수밸브(16)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냉수밸브(26)와 온수밸브(36)와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를 폐쇄시킬 수 있다. 제어부(76)는 정수 살균모드시, 전해살균기(5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76)는 정수 살균모드시, 냉각장치(22)와 히터(32)를 구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정수 살균모드시 원수 급수유로(5)의 물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필터(2)(3)(4) 중 일부(2)를 통과한 후 바이패스 입수유로(52)(53) 및 바이패스 밸브(58)를 통과하고, 전해살균기(51)로 유입된다. 전해살균기(51)로 유입된 물은 전해살균기(51) 내부에서 전기 분해되어 차아염소산 등의 살균 성분을 생성시키고, 이후 차아염소산 등의 살균 성분을 포함한 물은 정수 출수유로(13)(14)로 유동된다. 정수 출수유로(13)(14)로 유동된 물은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와 냉수밸브(26)와 온수밸브(36)가 막혀 있어, 정수밸브(16)를 통과하고 정수 출수유로(13)(14)를 물의 출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통과하여 저수조(12)로 유입되고, 이후 다시 냉수조(20)로 유동된다.
즉, 전해살균기(51)에 의해 생성된 차아염소산 등의 살균 성분은 가장 먼저 정수 출수유로(13)(14)와 정수밸브(16)를 살균시키고, 저수조(12)를 살균시키며, 이후 냉수조(20)를 살균시키고, 정수기는 정수 살균모드의 실시에 의해 정수 출수유로(13)(14)와 정수밸브(16)와 저수조(12)와 냉수조(20)가 모두 살균된다.
제어부(76)는 냉수 살균모드시 급수밸브(7)를 폐쇄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58)와 냉수밸브(26)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정수밸브(16)와 온수밸브(36)와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를 폐쇄시킬 수 있다. 제어부(76)는 냉수 살균모드시, 전해살균기(5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76)는 냉수 살균모드시, 냉각장치(22)와 히터(32)를 구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냉수 살균모드시 원수 급수유로(5)의 물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필터(2)(3)(4) 중 일부(2)를 통과한 후 바이패스 입수유로(52)(53) 및 바이패스 밸브(58)를 통과하고, 전해살균기(51)로 유입된다. 전해살균기(51)로 유입된 물은 전해살균기(51) 내부에서 전기 분해되어 차아염소산 등의 살균 성분을 생성시키고, 이후 차아염소산 등의 살균 성분을 포함한 물은 냉수 출수유로(23)(24)로 유동된다. 냉수 출수유로(23)(24)로 유동된 물은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와 정수밸브(16)와 온수밸브(36)가 막혀 있어, 냉수밸브(26)를 통과하고 냉수 출수유로(23)(24)를 물의 출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통과하여 냉수조(20)로 유입된다.
즉, 전해살균기(51)에 의해 생성된 차아염소산 등의 살균 성분은 가장 먼저 냉수 출수유로(23)(24)와 냉수밸브(26)를 살균시키고, 냉수조(20)를 살균시키고, 정수기는 냉수 살균모드의 실시에 의해 냉수 출수유로(23)(24)와 냉수밸브(26)와 냉수조(20)가 모두 살균된다.
제어부(76)는 온수 살균모드시 급수밸브(7)를 폐쇄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58)와 온수밸브(36)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정수밸브(16)와 냉수밸브(26)와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를 폐쇄시킬 수 있다. 제어부(76)는 온수 살균모드시, 전해살균기(5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76)는 온수 살균모드시, 냉각장치(22)와 히터(32)를 구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온수 살균모드시 원수 급수유로(5)의 물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필터(2)(3)(4) 중 일부(2)를 통과한 후 바이패스 입수유로(52)(53) 및 바이패스 밸브(58)를 통과하고, 전해살균기(51)로 유입된다. 전해살균기(51)로 유입된 물은 전해살균기(51) 내부에서 전기 분해되어 차아염소산 등의 살균 성분을 생성시키고, 이후 차아염소산 등의 살균 성분을 포함한 물은 온수 출수유로(33)(34)로 유동된다. 온수 출수유로(33)(34)로 유동된 물은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와 정수밸브(16)와 냉수밸브(26)가 막혀 있어, 온수밸브(36)를 통과하고 온수 출수유로(33)(34)를 물의 출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통과하여 온수조(30)로 유입된다.
즉, 전해살균기(51)에 의해 생성된 차아염소산 등의 살균 성분은 가장 먼저 온수 출수유로(33)(34)와 온수밸브(36)를 살균시키고, 온수조(30)를 살균시키며, 이후 저수조(12)와 냉수조(20)를 순차적으로 살균시킨다. 정수기는 온수 살균모드시, 온수 출수유로(33)(34)와 온수밸브(36)와 온수조(30)가 차아염소산 등의 살균 성분에 의해 전해 살균되고, 저수조(12)와 냉수조(20)가 고온의 온수에 의해 고온 살균되면서 차아염소산 등의 살균 성분에 의해 전해 살균 살균된다. 정수기는 온수 살균모드의 실시에 의해 온수 출수유로(33)(34)와 온수밸브(36)와 온수조(30)와 저수조(12)와 냉수조(20)가 모두 살균된다.
제어부(76)는 동시 살균모드시 급수밸브(7)를 폐쇄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58)와 정수밸브(16)와 냉수밸브(26)와 온수밸브(36)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를 폐쇄시킬 수 있다. 제어부(76)는 동시 살균모드시, 전해살균기(5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76)는 동시 살균모드시, 냉각장치(22)와 히터(32)를 구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동시 살균모드시 원수 급수유로(5)의 물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필터(2)(3)(4) 중 일부(2)를 통과한 후 바이패스 입수유로(52)(53) 및 바이패스 밸브(58)를 통과하고, 전해살균기(51)로 유입된다. 전해살균기(51)로 유입된 물은 전해살균기(51) 내부에서 전기 분해되어 차아염소산 등의 살균 성분을 생성시키고, 이후 차아염소산 등의 살균 성분을 포함한 물은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60)가 막혀 있어 정수 출수유로(13)(23)와 냉수 출수유로(23)(24)와 온수 출수유로(33)(34)로 분산된다.
정수 출수유로(13)(14)로 유동된 물은 정수 출수유로(13)(14)와 정수밸브(16)와 저수조(12)와 냉수조(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수 출수유로(13)(14)와 정수밸브(16)와 저수조(12)와 냉수조(20)를 살균시킨다.
이때, 냉수 출수유로(23)(24)로 유동된 물은 냉수 출수유로(23)(24)와 냉수밸브(26)와 냉수조(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냉수 출수유로(23)(24)와 냉수밸브(26)와 냉수조(20)를 살균시킨다.
그리고, 온수 출수유로(33)(34)로 유동된 물은 온수 출수유로(33)(34)와 온수밸브(36)와 온수조(30)와 저수조(12)와 냉수조(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온수 출수유로(33)(34)와 온수밸브(36)와 온수조(30)와 저수조(12)와 냉수조(20)를 살균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2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본 실시예의 정수기는 바이패스 입수유로(52')(53')가 정수부(1)로 물을 안내하는 원수 급수 유로(5)와 전해살균기(51)에 연결될 수 있고, 바이패스 입수유로(52')(53')는 원수 급수 유로(5)의 물이 정수부(1)를 바이패스하여 전해살균기(51)로 안내할 수 있으며,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이패스 입수유로(52')(53')는 바이패스 입수유로(52')가 원수 급수 유로(5)에 연결될 수 있고, 바이패스 출수유로(53')가 전해살균기(5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3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본 실시예의 정수기는 전해살균기 출수유로(59)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출수유로(40)(42)와 전해살균기(51)를 연결하고,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해살균기 출수유로(59)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의 전해살균기 출수유로(54)(55)(56)(57)와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고, 전해살균기 출수유로(59)를 통해 공통 출수유로(40)(42)로 유동된 물은 살균 및 출수 조절 밸브(60)의 폐쇄시 살균 및 출수 조절 밸브(60)에 막혀 외부로 출수되지 못한다. 공통 출수유로(40)(42)로 유동된 물은 물의 출수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유동되어, 정수 출수유로(13)(14)를 통해 저수조(12)로 유동되거나, 냉수 출수유로(23)(24)를 통해 냉수조(20)로 유동되거나 온수 출수유로(33)(34)를 통해 온수조(30)로 유동된다.
전해살균기 출수유로(59)는 일단이 전해살균기(51)에 연결되고, 타단이 공통 출수유로(40)(42)의 물 출수 방향으로 살균 및 출수 조절 밸브(60)의 이전에 연결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제 4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본 실시예의 정수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살균기구(50')가 물이 복수개의 필터(2)(3)(4)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3)(4)를 바이패스하거나 정수부(1)를 바이패스하여 전기 분해된 후 정수 출수유로(13)(14) 중 저수조(12)와 정수밸브(16') 사이와 냉수 출수유로(23)(24) 중 냉수조(20)와 냉수밸브(26') 사이와 온수 출수유로(33)(34) 중 온수조(30)와 온수밸브(36') 사이 중 적어도 하나로 급수되게 안내하고,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해살균기구(50')가 본 발명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같이, 전해살균기(51)와, 전해살균기 입수유로(52)(53)와, 바이패스밸브(58)을 포함하고, 전해살균기 출수유로(54')(55')(56')(57')가 본 발명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해살균기 출수유로(54')(55')(56')(57')는 전해살균기(51)에 연결되는 전해살균기 연결유로(54')와, 전해살균기 연결유로(54')를 저수조(12)와 정수밸브(16') 사이와 연결하는 정수 출수유로 연결유로(55')와, 전해살균기 연결유로(54')를 냉수조(20)와 냉수밸브(26') 사이와 연결하는 냉수 출수유로 연결유로(56')와, 전해살균기 연결유로(54')를 온수조(30)와 온수밸브(36') 사이와 연결하는 온수 출수유로 연결유로(57')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밸브(16')와 냉수밸브(26')와 온수밸브(36')는 출수모드시 본 발명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같이, 개방될 수 있고, 살균모드시 본 발명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같이, 폐쇄될 수 있다.
정수밸브(16')와 냉수밸브(26')와 온수밸브(36')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의 살균 및 출수 조절 밸브(60)의 기능을 겸할 수 있고, 정수기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같이 공통 출수 유로(40)를 통해 물을 출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정수기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달리 공통 출수 유로(40) 없이, 정수 출수유로(12)(13)의 출구와 냉수 출수유로(23)(24)의 출구와 온수 출수유로(33)(34)의 출구를 통해 정수와 냉수와 온수를 독립적으로 출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의 정수기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 보다 부품수를 최소화하면서 출수,살균시킬 수 있다.
살균모드시 급수밸브(7)는 폐쇄 될 수 있고, 정수밸브(16')와 냉수밸브(26')와 온수밸브(36')는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전해살균기(51)는 구동될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58)는 개방될 수 있다. 살균모드시 냉각장치(22)와 히터(32)는 구동 또는 정지될 수 있다.
살균모드시 원수 급수유로(5)의 물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필터(2)(3)(4) 중 일부(2)를 통과하거나 정수부(1)를 바이패스 한 후 바이패스 입수유로(52)(53) 및 바이패스 밸브(58)를 통과하고, 전해살균기(51)로 유입된다. 전해살균기(51)로 유입된 물은 전해살균기(51) 내부에서 전기 분해되어 차아염소산 등의 살균 성분을 생성시키고, 이후 차아염소산 등의 살균 성분을 포함한 물은 정수 출수유로(13)(23)와 냉수 출수유로(23)(24)와 온수 출수유로(33)(34)로 분산된다.
정수 출수유로(13)(14)로 유동된 물은 정수밸브(16')에 막혀 냉수 출수유로(23)(24)와 온수 출수유로(33)(34)로 유동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출수되지 못하고, 정수 출수유로(13)(14) 중 정수밸브 입수유로(13)와 저수조(12)와 냉수조(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수밸브 입수유로(13)와 저수조(12)와 냉수조(20)를 살균시킨다.
이때, 냉수 출수유로(23)(24)로 유동된 물은 냉수밸브(26')에 막혀 정수 출수유로(13)(14)와 온수 출수유로(33)(34)로 유동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출수되지 못하고, 냉수 출수유로(23)(24)의 냉수밸브 입수유로(23)와 냉수조(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냉수밸브 입수유로(23)와 냉수조(20)를 살균시킨다.
그리고, 온수 출수유로(33)(34)로 유동된 물은 온수밸브(36')에 막혀 정수 출수유로(13)(14)와 냉수 출수유로(23)(24)로 유동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출수되지 못하고, 온수 출수유로(33)(34)의 온수밸브 입수유로(33)와 온수조(30)와 저수조(12)와 냉수조(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온수밸브 입수유로(33)와 온수조(30)와 저수조(12)와 냉수조(20)를 살균시킨다.
1: 정수부 2: 제 1 필터
3: 제 2 필터 4: 제 3 필터
10: 저수조 입수 유로 12: 저수조
13,14: 정수 출수유로 16: 정수밸브
20: 냉수조 23,24: 냉수 출수유로
26: 냉수밸브 30: 온수조
33,34: 온수 출수유로 36: 온수밸브
50,50': 전해살균기구 51: 전해살균기
52,53: 바이패스 입수유로
54,55,56,57: 전해살균기 출수유로
54',55',56',57': 전해살균기 출수유로
58: 바이패스 밸브 59: 전해살균기 출수유로
60: 살균 및 출수 조절밸브 71,72,73: 배수유로
74: 펌프 75: 배수밸브

Claims (19)

  1. 물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수되는 복수개의 필터를 갖는 정수부와;
    상기 정수부와 연결되고 정수 출수유로가 연결된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와 연결되고 냉수 출수유로가 연결된 냉수조와;
    상기 저수조와 연결되고 온수 출수유로가 연결된 온수조와;
    물이 상기 복수개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바이패스하여 전기 분해된 후 상기 정수 출수유로와 냉수 출수유로와 온수 출수유로 중 적어도 하나로 급수되게 안내하는 전해살균기구와;
    상기 정수 출수유로와 냉수 출수유로와 온수 출수유로가 연결되는 공통 출수유로와;
    상기 공통 출수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공통 출수유로를 개폐하는 살균 및 출수 조절 밸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및 출수 조절밸브는 출수모드시 개방되고, 살균모드시 폐쇄되는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살균기구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 성분을 생성하는 전해살균기와;
    물이 상기 복수개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전해살균기로 입수되는 바이패스 입수유로와;
    상기 정수 출수유로와 냉수 출수유로와 온수 출수유로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전해살균기를 연결하는 전해살균기 출수유로를 포함하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살균기 출수유로는 상기 전해살균기에 연결되는 전해살균기 연결유로와,
    상기 전해살균기 연결유로와 상기 정수 출수유로에 연결되는 정수 출수유로 연결유로와,
    상기 전해살균기 연결유로와 상기 냉수 출수유로에 연결되는 냉수 출수유로 연결유로와,
    상기 전해살균기 연결유로와 상기 온수 출수유로에 연결되는 온수 출수유로 연결유로를 포함하는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출수유로에 설치된 정수밸브와;
    상기 냉수 출수유로에 설치된 냉수밸브와;
    상기 온수 출수유로에 설치된 온수밸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밸브는 상기 정수 출수유로 중 상기 정수 출수유로 연결유로가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저수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냉수밸브는 상기 냉수 출수유로 중 상기 냉수 출수유로 연결유로가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냉수조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온수밸브는 상기 온수 출수유로 중 상기 온수 출수유로 연결유로가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온수조 사이에 설치되는 정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살균기구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 성분을 생성하는 전해살균기와;
    물이 상기 복수개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전해살균기로 입수되는 바이패스 입수유로와;
    상기 공통 출수유로와 상기 전해살균기를 연결하는 전해살균기 출수유로를 포함하는 정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살균기 출수유로는 상기 공통 출수유로의 물 출수 방향으로 살균 및 출수 조절 밸브의 이전에 연결되는 정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출수유로에 설치된 정수밸브와;
    상기 냉수 출수유로에 설치된 냉수밸브와;
    상기 온수 출수유로에 설치된 온수밸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10. 제 3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입수유로는 상기 복수개의 필터 중 일부를 통과한 물이 복수개의 필터 중 나머지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전해살균기로 안내되게 연결되는 정수기.
  11. 제 3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입수유로는 상기 정수부로 물을 안내하는 원수 급수 유로의 물이 상기 정수부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전해살균기로 안내되게 연결되는 정수기.
  12. 물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수되는 복수개의 필터를 갖는 정수부와;
    상기 정수부와 연결되고 정수 출수유로가 연결된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와 연결되고 냉수 출수유로가 연결된 냉수조와;
    상기 저수조와 연결되고 온수 출수유로가 연결된 온수조와;
    상기 정수 출수유로에 설치된 정수밸브와;
    상기 냉수 출수유로에 설치된 냉수밸브와;
    상기 온수 출수유로에 설치된 온수밸브와;
    물이 상기 복수개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바이패스하여 전기 분해된 후 상기 정수 출수유로 중 저수조와 정수밸브 사이와 상기 냉수 출수유로 중 냉수조와 냉수밸브 사이와 상기 온수 출수유로 중 온수조와 온수밸브 사이 중 적어도 하나로 급수되게 안내하는 전해살균기구를 포함하는 정수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살균기구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 성분을 생성하는 전해살균기와;
    물이 상기 복수개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전해살균기로 입수되는 바이패스 입수유로와;
    상기 저수조와 정수밸브 사이와 상기 냉수조와 냉수밸브 사이와 상기 온수조와 온수밸브 사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전해살균기를 연결하는 전해살균기 출수유로를 포함하는 정수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입수유로는 상기 복수개의 필터 중 일부를 통과한 물이 복수개의 필터 중 나머지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전해살균기로 안내되게 연결되는 정수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입수유로는 상기 정수부로 물을 안내하는 원수 급수 유로의 물이 상기 복수개의 필터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전해살균기로 안내되게 연결되는 정수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살균기 출수유로는 상기 전해살균기에 연결되는 전해살균기 연결유로와,
    상기 전해살균기 연결유로를 상기 저수조와 정수밸브 사이와 연결하는 정수 출수유로 연결유로와,
    상기 전해살균기 연결유로를 상기 냉수조와 냉수밸브 사이와 연결하는 냉수 출수유로 연결유로와,
    상기 전해살균기 연결유로를 상기 온수조와 온수밸브 사이와 연결하는 온수 출수유로 연결유로를 포함하는 정수기.
  17. 제 3 항과 제 7 항과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입수유로에 설치된 바이패스 밸브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살균모드시 개방되는 정수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조에 연결된 배수유로와,
    상기 배수유로에 설치된 펌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110070353A 2011-07-15 2011-07-15 정수기 KR101293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353A KR101293233B1 (ko) 2011-07-15 2011-07-15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353A KR101293233B1 (ko) 2011-07-15 2011-07-15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329A KR20130009329A (ko) 2013-01-23
KR101293233B1 true KR101293233B1 (ko) 2013-08-05

Family

ID=4783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353A KR101293233B1 (ko) 2011-07-15 2011-07-15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2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861B1 (ko) * 2013-05-06 201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67932B1 (ko) * 2016-05-25 2023-08-17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KR20220141688A (ko) * 2021-04-13 2022-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30034795A (ko) * 2021-09-03 2023-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 처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256B1 (ko) 2004-04-02 2006-05-0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이온 정수기의 세균제거장치
KR100590834B1 (ko) 2005-01-14 2006-06-1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역삼투압 정수기의 생활용수를 활용한 이온수 시스템
KR100858971B1 (ko) 2007-10-24 2008-09-17 유인수 살균장치를 구비한 중앙정수시스템, 그 중앙정수시스템의살균방법 및 청소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256B1 (ko) 2004-04-02 2006-05-0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이온 정수기의 세균제거장치
KR100590834B1 (ko) 2005-01-14 2006-06-1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역삼투압 정수기의 생활용수를 활용한 이온수 시스템
KR100858971B1 (ko) 2007-10-24 2008-09-17 유인수 살균장치를 구비한 중앙정수시스템, 그 중앙정수시스템의살균방법 및 청소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329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109B1 (ko) 물공급장치 살균 방법
KR20170067579A (ko) 수처리 장치
KR101344464B1 (ko)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KR101293233B1 (ko) 정수기
KR102634086B1 (ko) 수처리장치
KR10149287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305329B1 (ko) 정수기
KR101305330B1 (ko) 정수기
KR101305331B1 (ko) 정수기
KR10196779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305328B1 (ko) 정수기
KR101446127B1 (ko) 수처리장치
KR20170074641A (ko) 수처리장치
KR101982804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207917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59001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30131964A (ko) 수처리 장치의 물 살균 유로구조
KR101987801B1 (ko) 수처리장치
US10898837B2 (en) Sterilization water discharge device and water treatment device including same
KR20170079100A (ko) 수처리장치
KR20130025801A (ko) 정수기
KR100870366B1 (ko) 냉이온수기 및 그 작동방법
KR20140022938A (ko) 수처리방법
KR20240050791A (ko) 정수기
KR20240050789A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