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932B1 -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 Google Patents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932B1
KR102567932B1 KR1020160064385A KR20160064385A KR102567932B1 KR 102567932 B1 KR102567932 B1 KR 102567932B1 KR 1020160064385 A KR1020160064385 A KR 1020160064385A KR 20160064385 A KR20160064385 A KR 20160064385A KR 102567932 B1 KR102567932 B1 KR 102567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rilization
sterilizing
purifie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3198A (ko
Inventor
배수호
나영민
방경욱
홍두나
황광득
Original Assignee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4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932B1/ko
Publication of KR20170133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 장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수부에 대한 살균 처리를 수행하는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는 원수를 정수 처리하여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 공급부와, 상기 정수 공급부에 연결되는 제 1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경로에 장착되어 상기 정수 공급부로부터의 정수를 또는 상기 정수 공급부로부터의 정수를 전기 분해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살균 모듈과, 상기 제 1 경로와 연결되어 상기 정수 또는 살균수의 공급 및 공급 차단을 수행하는 살균수 밸브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수부로 상기 정수 또는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연결부와, 상기 정수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를 공급 받아 정수 또는 온수 또는 냉수를 출수구로 출수시키며, 상기 연결부로부터의 상기 정수 및 살균수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출수부 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정수 및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공급 받아 상기 출수구로 출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수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WATER PURIFYING APPARATUS WITH STERILIZ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수 장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수부에 대한 살균 처리를 수행하는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음용이 가능한 정수를 제공하는 것 외에 조리수를 제공하는 정수기도 개발되고 있다. 정수기에서 제공되는 조리수는 소정의 필터를 통과한 정수이며,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식기, 과일 등의 세척용이나 음식의 요리 등에 주로 사용된다. 한편, 일반적인 조리수는 정수된 물에 불과하므로, 조리수를 이용하여 식기, 과일 등을 세척하는 경우, 별도의 세척제 또는 살균제를 사용하거나,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살균기 등을 추가로 사용해야 세척 또는 살균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종래 기술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6005호의 살균 정수기는 조리수 배관과 별도의 배관을 통하여 살균수를 제공하는 것으로, 살균수 배관이 별도로 구성되므로 유로가 복잡해지고 제품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정수기의 정수 출수부를 포함하는 출수부와 내부의 관로를 살균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살균 정수기는 입수되는 원수(또는 정수)의 유량이 가변되는 경우, 살균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였다. 예를 들면, 원수의 유량이 기준 유량 이하인 경우, 종래의 살균 정수기는 원하는 살균 농도의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었으나, 원수의 유량이 기준 유량을 초과하는 경우 원하는 살균 온도보다 낮은 살균 농도를 지닌 살균수를 공급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원수의 총용존고형물(TDS, total dissolved solids) 농도가 일정 농도 이상인 경우, 종래의 살균 정수기는 원하는 살균 농도를 지닌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었으나, 원수의 총용존고형물 농도가 일정 농도 미만으로 낮은 경우, 종래의 살균 정수기는 원하는 살균 농도를 지닌 살균수를 생성하여 공급할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살균 정수기는 입수되는 원수(또는 정수)가 차단되었을 경우(예를 들면, 단수 등)에도 내장된 살균 모듈이 계속 동작하게 되어, 살균 모듈의 소손(열이 발생하여 살균 모듈이 터지거나 부풀어 오르는 증상)이 야기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정수 장치 내부에서 살균수를 생성하여 정수 장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수부(정수 출수부, 온수 출수부, 냉수 출수부,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를 전체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살균하도록 살균수의 공급 유로를 가변 조정하며, 살균수의 살균 농도가 일정하도록 할 수 있는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는 원수를 정수 처리하여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 공급부와, 상기 정수 공급부에 연결되는 제 1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경로에 장착되어 상기 정수 공급부로부터의 정수를 또는 상기 정수 공급부로부터의 정수를 전기 분해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살균 모듈과, 상기 제 1 경로와 연결되어 상기 정수 또는 살균수의 공급 및 공급 차단을 수행하는 살균수 밸브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수부로 상기 정수 또는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연결부와, 상기 정수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를 공급 받아 정수 또는 온수 또는 냉수를 출수구로 출수시키며, 상기 연결부로부터의 상기 정수 및 살균수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출수부 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정수 및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공급 받아 상기 출수구로 출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수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출수부는 상기 제 1 경로에 연결되며, 상기 정수 및 살균수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살균수 배수 밸브를 구비하여 정수 및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공급 받아 배수관으로 출수시키는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수 장치는 상기 살균 모듈과, 살균수 밸브, 살균수 배수 밸브 및 출수부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살균수의 생성, 상기 정수 및 살균수의 연결부 및 출수부로의 공급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수 장치는 출수부 선택 입력 및 살균 모드 선택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수부 또는 전체 출수부에 대한 출수부 선택 입력과, 살균 모드 선택 입력을 획득하는 경우 상기 살균 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출수부 선택 입력에 의해 선택된 출수부 또는 전체 출수부로 상기 살균 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공급하는 살균 모드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출수부에 구비된 상기 출수부 밸브와 상기 살균수 밸브 또는 상기 살균수 배수 밸브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는 살균 모드를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 출수부에 구비된 상기 출수부 밸브, 상기 살균수 밸브 및 상기 살균수 배수 밸브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는 살균 모드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모드의 수행 중에 상기 입력부로부터 살균 모드 중단 선택 입력을 획득하거나, 상기 살균 모드를 수행한 시간이 제 1 기준 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살균 모듈을 동작 중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모듈의 동작 중단 이후에 제 2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정수가 상기 출부수에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기준 시간 이후에 상기 출수부 밸브, 살균수 밸브 및 상기 살균수 배수 밸브를 폐쇄 상태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모드의 수행 중에 상기 정수의 유입이 중단된 경우, 상기 살균 모듈의 동작 중단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모드 수행 중에 상기 살균 모듈에 흐르는 전류값을 획득하여, 획득된 전류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살균수의 살균 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살균수를 정수 장치 내부에서 생성하여 정수 장치의 출수부(정수 출수부, 온수 출수부, 냉수 출수부,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를 각각 살균하거나 전체적으로 동시에 살균하도록 살균수의 공급 유로를 가변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수되는 원수(또는 정수)의 유량이 가변되거나, 원수의 총용존고형물 농도가 가변되더라도, 살균 농도가 일정한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수되는 원수(또는 정수)가 차단되었을 경우에 내장된 살균 모듈의 동작을 중단시켜 살균 모듈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살균수 출수 이후의 살균수 출수 종료 시에, 정수(또는 원수)를 이용하여 출수부에 잔존하는 살균수를 배수하고, 관로 내부가 세척되도록 하여, 각 출수부를 통한 출수 시에 살균수가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수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수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계(S7)의 살균 모드의 수행 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들과 도면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의 정수 장치는 원수를 공급받아 정리 처리하여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 공급부와, 정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센서(7)와, 정수를 출수하는 정수 출수부와,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출수하는 냉수 출수부와,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출수하는 온수 출수부와, 정수를 조리수로 출수하거나 정수를 전기 분해하여 살균수를 출수하는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와, 냉각수를 냉수부(15)에 입수시키고 냉각수를 냉수부(15)로부터 배수하는 냉각수 입수 및 배수부와, 온수를 배수하는 온수 배수부와, 살균수를 배수하는 살균수 배수부와,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로부터의 살균수를 정수 출수부, 냉수 출수부 및 온수 출수부로 공급하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먼저, 정수 공급부는 원수의 유압을 조절하는 제 1 감압 밸브(39a)와, 제 1 감압 밸브(39a)에 의해 감압된 원수를 정수 처리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정수 필터부(41)와, 정수 필터부(41)로부터의 정수를 연결구(75a)를 통하여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 및 정수 밸브(9)로 공급하는 배관(7a)과, 공급되는 정수의 공급 및 차단(개방 및 폐쇄) 동작을 통하여 배관(9a), 연결구(75b), 배관(9b) 및 연결구(75c)를 통하여 정수 출수부 및 냉수 출수부로의 공급 및 차단과, 배관(9a), 연결구(75b), 배관(9c) 및 연결구(75f)를 통하여 온수 출수부로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정수 밸브(9)를 구비한다. 제 1 감압 밸브(39a), 정수 필터부(41) 및 정수 밸브(9)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유량 센서(7)는 정수 필터부(41)로부터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을 감지하도록, 연결구(75a) 이전의 배관(7a)(또는 정수가 정수 밸브(9) 또는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에 공급되기 전의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정수 출수부는 정수 공급부로부터 정수를 공급 받는 배관(21a)과, 출수구(70)에 연결된 배관(21b)과, 배관(21a)과 배관(21b) 사이에 설치되어, 정수의 공급 및 차단 동작(개방 및 폐쇄 동작)을 수행하는 정수 출수 밸브(21)로 구성된다. 배관(21a) 및 (21b)은 정수 배관으로 통칭된다.
또한, 냉수 출수부는 정수 공급부로부터 정수를 공급 받는 배관(15a)과, 배관(15a) 내의 정수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는 냉수부(15)와, 출수구(70)에 연결된 배관(15b)과, 배관(15a)과 배관(15b) 사이에 장착되어, 냉수의 공급 및 차단 동작(개방 및 폐쇄 동작)을 수행하는 냉수 출수 밸브(23)로 구성된다. 냉수부(15)는 배관(15a) 내의 정수를 냉각하는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 탱크와, 냉각수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 등을 구비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설명이 생략된다. 배관(15a) 및 (15b)은 냉수 배관으로 통칭된다. 또한, 냉수 출수부는 상술된 냉각부(15) 이외에도 배관(15a)을 통하여 정수를 공급받고 냉수 출수 밸브(23)에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탱크와, 냉수 탱크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온수 출수부는 연결구(75b)를 통하여 정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감압하는 제2 감압 밸브(39b)와, 배관(17a), 연결구(75g), 오리피스(43b) 및 연결구(75h)를 통하여 감압된 정수를 온수부(17)로 상시 공급하는 제 1 공급 경로와, 온수부(17) 이전의 제 1 공급 경로(연결구(75g)와 연결구(75h) 사이의 경로)에 연결되며 온수부(17)로의 정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배관(17b)에 형성된 오리피스(43c)와, 정수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제 1 유량 조절 밸브(11)로 구성된 제 2 공급 경로와, 공급되는 정수를 가열하는 온수부(17)와, 온수부(17)로부터의 온수를 공급 받는 배관(17c)과, 출수구(70)에 연결된 배관(17d)과, 배관(17c)과 배관(17d) 사이에 장착되어, 온수의 공급 및 차단 동작(개방 및 폐쇄 동작)을 수행하는 온수 출수 밸브(25)로 구성된다. 온수부(17)는 정수를 가열하는 히터부 등을 구비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설명이 생략된다. 배관(17a), (17b), (17c) 및 (17d)은 온수 배관으로 통칭된다. 제 1 및 제 2 공급 경로는 제 1 유량 조절 밸브(11)의 개폐 동작에 의해 정수 공급부로부터의 정수 유량을 조절하여 온수부(17)에 공급하는 정수 유량 조절부로 통칭된다.
출수구(70)는 정수, 냉수 및 온수 출수구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하거나(즉, 3개의 출수구),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2개 또는 하나의 출수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는 유량 센서(7)를 통과한 정수를 연결구(75a)를 통하여 공급받는 배관(90a)과, 배관(90a)에 장착되어 정수를 전기 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과, 연결구(75i), 배관(90b), 연결구(75j), 배관(90c), 배관(90c)에 장착된 오리피스(43d), 연결구(75k), 배관(90e) 및 연결구(75ℓ)를 통하여 조리수 및 살균수 공급을 위한 공급관(90)에 살균수 또는 정수인 조리수를 상시 공급하는 제 1 조리수 및 살균수 공급 경로와, 연결구(75j), 배관(90d), 제 2 유량 조절 밸브(13) 및 연결구(75k)를 통하여 배관(90e)에 연결되어 제 2 유량 조절 밸브(13)의 개폐 동작에 의해 살균수 또는 정수인 조리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제 2 조리수 및 살균수 공급 경로와, 배관(90e)에 연결되어 조리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받는 공급관(90)과, 공급관(90)에 장착되어 외력에 의한 개폐 동작이 수행되어 정수 공급부로부터의 정수가 유입되거나 유입 차단되도록 하여 조리수 또는 살균수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공급관 레버(92)로 구성된다.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는 정수 출수부, 온수 출수부 및 냉수 출수부가 정수 공급부로부터 정수를 공급 받는 유로에 대해서 독립된(또는 분리된) 유로(연결구(75a) 및 배관(90a))를 통하여 정수 공급부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다. 제 1 및 제 2 조리수 및 살균수 공급 경로는 정수 공급부와 공급관(90) 사이에서 또는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 사이에서 정수 공급부로부터의 정수 또는 제 1 및 제2 살균 모듈(36a), (36b)로부터의 살균수의 유량을 조절하여 공급관(90)에 공급하는 조리수 및 살균수 유량 조절부로 통칭된다. 또한, 제 1 조리수 및 살균수 공급 경로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배관(90a), (90b), (90c) 및 (90e)에 의한 경로와 배관(90a), (90b), (90d) 및 (90e)에 의한 경로는 배관(90a)(경로 시작 위치)과 배관(90e)(경로 종점 위치)이 공통되므로, 하나의 경로(예를 들면, 조리수 및 살균수 공급 경로)로 통칭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은 2개 이상의 독립된 살균 모듈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살균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은 조리수 및 살균수 유량 조절부 이전의 배관(90a)에 장착되어 동작되되,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이 동작 상태이면 정수를 전기 분해하여 살균수로 변환시키나 동작 중단 상태이면 정수를 그대로 조리수 및 살균수 유량 조절부에 공급한다.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은 복수의 전력 단계들(예를 들면, 최대(강)/중간/최소(약))로 조절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냉각수 입수 및 배수부는 연결구(75d)와 연결구(75e)를 연결하는 배관(29a)과, 연결구(75e)와 냉각수 밸브(29)를 연결하는 배관(29b)과, 냉각수 밸브(29)와 냉수부(15)를 연결하는 배관(29c)과, 연결구(75e)와 냉각수 펌프(27)를 연결하는 배관(27a)과, 냉수부(15) 내의 냉각수를 강제적으로 배수하기 위한 냉각수 펌프(27)와, 냉각수 펌프(27)와 냉각수 배수 밸브(31)를 연결하는 배관(27b)과, 배관(27b)에 연결되어 냉각수의 배수 및 배수 차단을 수행하는 냉각수 배수 밸브(31)와, 냉각수 배수 밸브(31)에 연결되어 배수관으로 연결구(75n)를 통하여 연결되는 배관(80a)을 구비한다. 냉각수 입수 및 배수부에서의 냉각수 입수 동작을 위해, 제어부(50)는 정수 밸브(9)와 냉각수 밸브(29)만을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동작시켜 냉수부(15)에 냉각수를 일정 시간 또는 일정량 공급하고, 냉수부(15)의 냉각 장치를 제어하여 공급된 정수를 냉각수로 냉각한다. 또한, 냉각수 입수 및 배수부에서의 냉각수 배수 동작을 위해, 제어부(50)는 냉각수 밸브(29)와 냉각수 배수 밸브(31)만을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동작시키고, 냉각수 펌프(27)를 동작시켜, 냉수부(15) 내의 냉각수를 배수시킨다.
또한, 온수 배수부는 온수부(17) 내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온수부(17)와 온수 배수 밸브(33)를 연결하는 배관(33a)과, 온수부(17) 내의 온수를 배수하기 위해 온수부(17)와 온수 배수 밸브(33)를 연결하는 배관(33b)과, 온수 및 공기를 배수 및 배출하기 위해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온수 배수 밸브(33)와, 온수 배수 밸브(33)와 연결되고 연결구(75m),(75n)를 통하여 배수관에 연결되는 배관(80b)을 구비한다. 온수 및 공기의 배수 및 배출 동작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살균수 배수부는 조리수 및 살균수 유량 조절부(또는 배관(90e))와 공급관(90) 사이의 연결구(75ℓ)를 통하여 연결되어 개폐 동작에 의해 살균수를 배수 또는 배수 중지를 수행하는 살균수 배수 밸브(37)와, 살균수 배수 밸브(37)에 연결되고 연결구(75m), 75n)를 통하여 배수관에 연결되는 배관(80c)을 구비한다.
또한, 연결부는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을 통과한 정수 또는 살균수를 살균수 밸브(45)에 공급하기 위해 연결구(75i)와 살균수 밸브(45)를 연결하는 배관(45a)과, 정수 또는 살균수의 정수, 온수 및 냉수 출수부로의 공급 및 공급 차단을 수행하는 살균수 밸브(45)와, 살균수 밸브(45)와 연결구(75f)를 오리피스(43a)를 통하여 연결하는 배관(45b)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의 정수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정수 장치는 외부 상용 전원을 인가 받아 필요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1)와,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정수/온수/냉수 선택, 살균수/조리수 선택, 살균수 출수 중, 조리수 출수 중, 살균수 배수 중, 정수/온수/냉수 출수부의 살균 중, 살균 종료 중(정수로 출수부에 대한 세척 수행) 등)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하는 표시부(3)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정수(정수 출수부)/온수(온수 출수부)/냉수(냉수 출수부) 선택, 살균 모드의 선택, 전체 살균 모드의 선택, 살균 모드의 중단 선택, 살균수/조리수 선택, 살균수 중단 선택 등)을 획득하는 입력부(5)와, 유량 센서(7)와, 정수 밸브(9)와, 제 1 및 제 2 유량 조절 밸브(11, 13)와, 냉수부(15)와, 온수부(17), 냉수부(15)의 냉각수 또는 온수부(17)의 온수 또는 정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19)와, 정수 출수 밸브(21)와, 냉수 출수 밸브(23)와, 온수 출수 밸브(25)와, 냉각수 펌프(27)와, 냉각수 밸브(29)와, 냉각수 배수 밸브(31)와, 온수 배수 밸브(33)와,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을 제어하는 살균 구동부 제어부(35)와,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과, 살균수 배수 밸브(37)와, 살균수 밸브(45)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정수/온수/냉수의 출수 동작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리수 또는 살균수를 제공하는 제어부(50)로 구성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온수/냉수의 생성 동작과, 정수/온수/냉수의 출수 동작과, 냉각수의 입수 및 배수 과정, 온수의 배수 과정 등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의 동작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설명이 생략된다.
우선, 냉수 출수부에 대한 살균 모드 수행 과정이 설명된다. 제어부(50)는 전원부(1)로부터의 전원 공급으로 대기 상태(정수 밸브(9), 정수 출수 밸브(21), 냉수 출수 밸브(23), 온수 출수 밸브(25), 냉각수 밸브(29), 냉각수 배수 밸브(31), 온수 배수 밸브(33), 살균수 배수 밸브(37) 및 살균수 밸브(45)의 폐쇄 동작, 표시부(3)를 통한 현재 상태 표시 등)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입력부(5)를 통하여 냉수 선택(냉수 출수부의 선택)과 살균 모드 선택을 입력하면, 제어부(50)는 입력부(5)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 중의 하나 이상을 동작시켜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하며, 살균수 배수 밸브(37)가 폐쇄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살균수 밸브(45)와 냉수 출수 밸브(23)를 개방 상태로 제어한다.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는 연결부와, 배관(9d), 연결구(75b), 배관(9b), 연결구(75c), 배관(15a), 연결구(75d) 및 냉수 출수 밸브(23), 배관(15b) 및 출수구(70)를 통과하면서 냉수 출수부(또는 냉수 출수부의 유로)에 공급되어 냉수 출수부를 살균한다. 제어부(50)는 제 1 기준 시간 동안 살균수를 냉수 출수부를 통하여 흐르도록 공급한 이후에,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여 동작 중인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의 동작 중지를 수행하고, 제 2 기준 시간 동안 살균수 밸브(45)와 냉수 출수 밸브(23)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여 정수를 냉수 출수부로 공급하여 냉수 출수부 내의 살균수 세척을 수행한 이후에 살균수 밸브(45) 및 냉수 출수 밸브(23)를 폐쇄 상태로 동작시켜 살균 모드를 종료한다.
다음은, 온수 출수부에 대한 살균 모드 수행 과정이 설명된다. 제어부(50)는 전원부(1)로부터의 전원 공급으로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입력부(5)를 통하여 온수 선택(온수 출수부의 선택)과 살균 모드 선택을 입력하면, 제어부(50)는 입력부(5)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 중의 하나 이상을 동작시켜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하며, 살균수 배수 밸브(37)가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살균수 밸브(45)와 온수 출수 밸브(25)를 개방 상태로 제어한다.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는 연결부와, 배관(17a) 내지 (17c), 온수 출수 밸브(25) 및 출수구(70)를 통과하면서 온수 출수부(또는 온수 출수부의 유로)에 공급되어 온수 출수부를 살균한다. 제어부(50)는 제 1 기준 시간 동안 살균수를 온수 출수부를 통하여 흐르도록 한 이후에,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여 동작 중인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의 동작 중지를 수행하고, 제 2 기준 시간 동안 살균수 밸브(45)와 온수 출수 밸브(25)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여 정수를 온수 출수부로 공급하여 온수 출수부 내의 살균수 세척을 수행한 이후에, 살균수 밸브(45)와 온수 출수 밸브(25)를 폐쇄 상태로 동작시켜 살균 모드를 종료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온수 출수부 내의 살균수 세척 시에 살균수 밸브(45)와 온수 출수 밸브(25) 또는 온수 배수 밸브(33)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여 온수 출수부 또는 온수 배수부 내의 살균수를 배수하여 세척한다.
또한, 온수 배수부에 대한 살균 모드 수행도 가능하다. 제어부(50)는 온수 출수부(25)를 개방하는 대신에 온수 배수 밸브(33)를 개방하여 온수 출수부에 대한 살균 모드와 동일하게 온수 배수부에 대한 살균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온수 배수부와 온수 출수부에 대한 살균 모드를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은, 정수 출수부에 대한 살균 모드 수행 과정이 설명된다. 제어부(50)는 전원부(1)로부터의 전원 공급으로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입력부(5)를 통하여 정수 선택(정수 출수부의 선택)과 살균 모드 선택을 입력하면, 제어부(50)는 입력부(5)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 중의 하나 이상을 동작시켜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하며, 살균수 배수 밸브(37)가 폐쇄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살균수 밸브(45)와 정수 출수 밸브(21)를 개방 상태로 제어한다.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는 연결부, 배관(9d), 연결구(75b), 배관(9b), 연결구(75c), 배관(21a), 정수 출수 밸브(21), 배관(21b) 및 출수구(70)를 통과하면서 정수 출수부(또는 정수 출수부의 유로)로 공급되어 정수 출수부를 살균한다. 제어부(50)는 제 1 기준 시간 동안 살균수를 정수 출수부를 통하여 흐르도록 한 이후에,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여 동작 중인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의 동작 중지를 수행하고, 제 2 기준 시간 동안 살균수 밸브(45)와 정수 출수 밸브(21)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여 정수를 정수 출수부로 공급하여 정수 출수부 내의 살균수 세척을 수행한 이후에, 살균수 밸브(45)와 정수 출수 밸브(21)를 폐쇄 상태로 동작시켜 살균 모드를 종료한다.
다음은, 조리수 및 살균수 출구부에 대한 살균 모드 수행 과정이 설명된다. 제어부(50)는 전원부(1)로부터의 전원 공급으로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입력부(5)를 통하여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 선택과 살균 모드 선택을 입력하면, 제어부(50)는 입력부(5)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 중의 하나 이상을 동작시켜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하며, 살균수 밸브(45)가 폐쇄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살균수 배수 밸브(37)를 개방 상태로 제어한다.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는 연결구(75i), 배관(90b), 연결구(75j), 배관(90c), 배관(90d)(제 2 유량 조절 밸브(13)의 개방 상태 시), 연결구(75k), 배관(90e), 연결구(75j), 살균수 배수 밸브(37), 배관(80c), 연결구(75m), (75n)을 통과하면서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에 공급되어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에 대한 살균을 수행하고 배수관을 통하여 배출된다. 제어부(50)는 제 1 기준 시간 동안 살균수를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를 통하여 흐르도록 한 이후에,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여 동작 중인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의 동작 중지를 수행하고, 제 2 기준 시간 동안 살균수 배수 밸브(37)와 제 2 유량 조절 밸브(13)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여 정수를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로 공급하여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 내의 살균수 세척을 수행한 이후에, 살균수 배수 밸브(37)를 폐쇄 상태로 동작시켜 살균 모드를 종료한다.
상술된 살균 모드는 제어부(50)가 냉수 출수부, 온수 출수부(및 온수 배수부), 정수 출수부 및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를 개별적으로 살균하는 과정이며, 제어부(50)는 냉수 출수부, 온수 출수부(및 온수 배수부), 정수 출수부 및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 중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출수부들이나 전체 출수부들에 대한 살균 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체 출수부들에 대한 살균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부(5)를 통하여 전체 살균 모드의 선택을 입력하면, 제어부(50)는 입력부(5)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 중의 하나 이상을 동작시켜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하며, 살균수 밸브(45)와, 정수 출수 밸브(21), 냉수 출수 밸브(23), 온수 출수 밸브(25), 제 1 및 제 2 유량 조절 밸브(11), (13), 살균수 배수 밸브(37)를 개방 상태로 제어한다. 제어부(50)는 제 1 기준 시간 동안 살균수를 냉수 출수부, 온수 출수부, 정수 출수부 및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를 통하여 흐르도록 한 이후에,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여 동작 중인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의 동작 중지를 수행하고, 제 2 기준 시간 동안 살균수 밸브(45)와, 정수 출수 밸브(21), 냉수 출수 밸브(23), 온수 출수 밸브(25), 제 1 및 제 2 유량 조절 밸브(11), (13), 살균수 배수 밸브(37)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여 정수를 냉수 출수부, 온수 출수부, 정수 출수부 및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에 공급하여 냉수 출수부, 온수 출수부, 정수 출수부 및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 내의 살균수 세척을 수행한 이후에, 살균수 밸브(45)와, 정수 출수 밸브(21), 냉수 출수 밸브(23), 온수 출수 밸브(25), 제 1 및 제 2 유량 조절 밸브(11), (13), 살균수 배수 밸브(37)를 폐쇄 상태로 동작시켜 살균 모드를 종료한다.
하기에서, 보다 상세한 정수 장치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3은 도 1의 정수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본 제어 순서도에서, 정수/냉수/온수의 출수 모드와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 모드에 대한 사항은 생략된다.
단계(S1)에서, 제어부(50)는 대기 상태 제어를 시작한다. 이 대기 상태에서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의 기능과 관련해서는 제 2 유량 조절 밸브(13)와 살균수 배수 밸브(37)가 폐쇄 상태이고,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의 동작 중지 상태이며, 정수/냉수/온수 출수부의 기능과 관련해서는 정수 밸브(9), 정수 출수 밸브(21), 냉수 출수 밸브(23), 온수 출수 밸브(25), 냉각수 밸브(29), 제 1 및 제 2 유량 조절 밸브(11), (13), 냉각수 배수 밸브(31), 온수 배수 밸브(33) 및 살균수 밸브(45)가 폐쇄 상태이다.
단계(S3)에서, 제어부(5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서, 입력부(5)를 통하여 출수부 선택 입력이 획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출수부 선택 입력을 획득하였으면 단계(S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로 진행한다. 선택 가능한 출수부는 상술된 정수 출수부, 냉수 출수부, 온수 출수부,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전체 출수부에 대한 선택도 가능하다.
단계(S5)에서, 제어부(50)는 입력부(5)를 통하여 살균 모드 선택(단계(S3)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수부에 대한 살균 모드 선택 또는 전체 살균 모드 선택) 입력이 획득되었는지 확인한다. 만약 살균 모드의 선택 입력이 획득되었으면 단계(S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로 진행한다.
단계(S7)에서, 제어부(50)는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 중의 하나 이상을 동작시켜 배관(90a) 내의 정수를 살균수로 변환시키고, 살균수 밸브(45)를 개방 상태로 동작시키고, 선택된 출수부의 살균을 위해 선택된 출수부에 포함된 밸브(정수 출수 밸브(21), 냉수 출수 밸브(23), 온수 출수 밸브(25), 살균수 배수 밸브(37)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밸브 또는 이들 전체 밸브)를 개방 상태로 동작시켜 선택된 출수부로 살균수가 공급되도록 하여 살균 모드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선택된 출수부에 대한 살균 모드의 수행 중임을 표시부(3)를 통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린다.
보다 상세한 살균 모드의 수행 과정은 도 4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단계(S9)에서, 제어부(50)는 단계(S7)에 따른 살균 모드를 수행하면서, 유량 센서(7)로부터의 유량 감지값으로부터 정수 공급부에서 정수가 유입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정수 공급부에서 정수의 유입이 있으면, 단계(S13)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고 정수의 유입이 없으면(즉, 정수의 유입이 차단되거나 중단 되었으면), 제어부(50)는 단계(S11)로 진행한다.
단계(S11)에서, 정수 공급부에서 정수의 유입이 중단되면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로의 정수 공급이 없는 것이므로, 제어부(50)는 살균 동작 제어부(35)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의 동작을 중단시켜,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이 과열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살균 모듈의 동작 중단을 표시부(3)를 통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린다.
단계(S13)에서, 제어부(50)는 입력부(5)로부터 살균 모드의 중단 선택 입력을 획득하거나 단계(S7)의 살균 모드를 수행한 시간이 제 1 기준 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살균 모드의 중단 선택 입력을 획득하였거나 제 1 기준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제어부(50)는 단계(S1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고 살균 모드의 중단 선택 입력을 획득하지 않았고 제 1 기준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단계(S7)로 진행하여 살균 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 1 기준 시간은 선택된 출수부 및 출수구에 대한 살균이 충분히 수행될 수 있는 시간에 해당된다.
단계(S15)에서, 제어부(50)는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의 동작 중단 이후에, 유량 센서(7)로부터의 유량 감지값으로부터 정수 공급부에서 정수가 유입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정수 공급부에서 정수의 유입이 일정 시간 이내에 재개되었으면 단계(S13)로 진행한다.
단계(S17)에서, 제어부(50)는 살균 동작 제어부(35)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의 동작을 중단시켜, 정수를 살균수로 변화하는 공정이 수행되지 않고, 정수 자체가 선택된 출수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살균된 출수부 내의 살균수가 출수되거나 배수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살균 모듈의 동작 중단 또는 살균수의 세척 중임을 표시부(3)를 통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린다.
단계(S19)에서, 제어부(50)는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의 동작을 중단시킨 이후의 시간이 제 2 기준 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제 2 기준 시간은 정수의 공급을 통하여 살균된 출수부 및 출수구 내의 살균수가 출수되거나 배수되어 출수부에 대한 세척이 수행되기에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된다. 만약 제 2 기준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단계(S2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7)로 진행하여 정수가 계속 공급되도록 한다.
단계(S21)에서, 제어부(50)는 선택된 출수부의 밸브(단계(S7)에서 개방 상태로 동작된 밸브)를 폐쇄 상태로 제어한 후, 살균 모드를 종료하거나 단계(S1)의 대기 상태로 진행한다.
상술된 단계(S3) 및 (S5)는 그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또한, 단계(S15)에서 정수의 유입이 재개되지 않고 단계(S21)로 진행된 경우, 제어부(50)는 살균수가 선택된 출수부 내에 잔존할 수 있음을 표시부(3)를 통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단계(S7)의 살균 모드의 수행 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단계(S71)에서, 제어부(50)는 선택된 출수부의 밸브 및/또는 살균수 밸브(45)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여 정수 공급부의 정수가 배관(90a)를 통하여 공급되며, 정수(또는 살균수)가 정수 출수부, 냉수 출수부, 온수 출수부 및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수부 또는 전체 출수부들에 공급되도록 한다. 개방 상태로 제어되는 밸브는 정수 출수부 살균의 경우, 살균수 밸브(45)와 정수 출수 밸브(21), 냉수 출수부 살균의 경우, 살균수 밸브(45)와 냉수 출수 밸브(23), 온수 출부수 살균의 경우, 살균수 밸브(45)와 온수 출수 밸브(25),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 살균의 경우 살균수 배수 밸브(37)이며, 전체 출수구들에 대한 살균의 경우에 살균수 밸브(45), 정수 출수 밸브(21), 냉수 출수 밸브(23), 온수 출수 밸브(25), 살균수 배수 밸브(37)가 개방된다.
단계(S73)에서, 제어부(50)는 제 1 살균 모듈(36a)의 중간 전력으로의 살균수 생성 동작과, 제 2 살균 모듈(36b)의 동작 중단으로 제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여 선택된 출수부에 공급하여 선택된 출수부 및 출수구에 대한 살균이 수행되도록 한다.
단계(S75)에서, 제어부(50)는 살균 구동 제어부(35)로부터 제 1 살균 모듈(36a)에서 흐르는 전류값(또는 전류값 또는 전압값을 포함하는 전기적 특성값)을 획득하고, 전류값과 기준값(예를 들면, 0.5A)을 비교한다. 기준값은 생성된 살균수의 농도가 원하는 농도에 도달된 것을 판단하기 위한 전류값이다. 제어부(50)는 획득된 전류값을 기준으로 살균수의 농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만약 획득된 전류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단계(S7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79)로 진행한다.
단계(S77)에서, 제어부(50)는 현재의 살균수의 농도가 원하는 농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 1 살균 모듈(36a)을 최소 전력으로 동작하도록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는 전력 감소 제어 모드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단계(S9)로 진행한다.
단계(S79)에서, 제어부(50)는 현재의 살균수의 농도가 원하는 농도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 1 살균 모듈(36a)을 최대전력으로 동작하도록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는 전력 증가 제어 모드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단계(S81)로 진행한다.
단계(S81)에서, 제어부(50)는 살균 구동 제어부(35)로부터 제 1 살균 모듈(36a)에서 흐르는 전류값을 획득하고, 전류값과 기준값을 비교한다. 만약 획득된 전류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현재의 살균수의 농도가 원하는 농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S9)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S83)로 진행한다.
단계(S83)에서, 제어부(50)는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여 살균 모듈 증가 제어 모드를 수행한다. 살균 모듈 증가 제어 모드는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의 중간 전력으로의 동시 살균수 생성 동작을 포함한다.
단계(S85)에서, 제어부(50)는 살균 구동 제어부(35)로부터 제 1 살균 모듈(36a) 또는 제 2 살균 모듈(36b)에서 흐르는 전류값을 획득하고, 전류값과 기준값을 비교한다. 만약 획득된 전류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현재의 살균수의 농도가 원하는 농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S9)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S87)로 진행한다.
단계(S87)에서, 제어부(50)는 현재의 살균수의 농도가 원하는 농도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을 최대전력으로 동작하도록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는 전력 증가 제어 모드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단계(S9)로 진행한다.
상술된 도 4에서, 제어부(50)는 제 1 또는 제 2 살균 모듈(36a), (36b)에 흐르는 전류값을 기준으로 하여, 살균수 생성 동작을 수행하는 살균 모듈의 개수 및 살균 모듈의 동작 전력의 크기(최대/중간/최소)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변하여, 원하는 농도의 살균수를 생성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제어부(50)는 입수되는 원수(또는 정수)의 유량이 가변되거나, 원수의 총용존고형물 농도가 가변되더라고, 살균 농도가 일정한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술된 도 1 내지 4에서는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을 이용하여 살균 모드를 구현하는 경우이나, 하나의 살균 모듈(즉, 제 1 살균 모듈(36a))만을 구비하거나 이용하여 살균 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제어부(50)는 단계(S71)부터 단계(S79)까지 수행하고, 단계(S79)에서 단계(S9)를 수행함으로써, 하나의 살균 모듈을 이용하여 살균 모듈의 전력을 조절함으로써 살균수의 살균 농도를 가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전원부 3: 표시부
5: 입력부 7: 유량 센서
9: 정수 밸브 11, 13: 제 1 및 제 2 유량 조절 밸브
15: 냉수부 17: 온수부
19: 온도 센서 21: 정수 출수 밸브
23: 냉수 출수 밸브 25; 온수 출수 밸브
27: 냉각수 펌프 29: 냉각수 밸브
31: 냉각수 배수 밸브 33: 온수 배수 밸브
35: 살균 구동 제어부 36a, 36b: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
37: 살균수 배수 밸브 43: 살균수 밸브
50; 제어부

Claims (15)

  1. 원수를 정수 처리하여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 공급부와;
    상기 정수 공급부에 연결되는 제 1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경로에 장착되어 상기 정수 공급부로부터의 정수를 또는 상기 정수 공급부로부터의 정수를 전기 분해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살균 모듈과;
    상기 제 1 경로와 연결되어 상기 정수 또는 살균수의 공급 및 공급 차단을 수행하는 살균수 밸브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수부로 상기 정수 또는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연결부와;
    상기 정수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를 공급 받아 정수 또는 온수 또는 냉수를 출수구로 출수시키며, 상기 연결부로부터의 상기 정수 및 살균수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출수부 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정수 및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공급 받아 상기 출수구로 출수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출수부는 상기 제 1 경로에 연결되어, 상기 정수 공급부로부터의 상기 정수인 조리수 또는 상기 살균 모듈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조리수 또는 살균수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공급관 레버가 장착된 공급관으로 공급하는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는 상기 공급관으로 상기 조리수나 살균수를 상시 공급하는 제 1 조리수 및 살균수 공급 경로와, 유량 조절 밸브의 개폐 동작에 의해 상기 조리수나 살균수의 공급 및 차단하는 제 2 조리수 및 살균수 공급 경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출수부는 상기 조리수 및 살균수 출부수에 연결되어 살균수 배수 밸브의 개폐 동작에 의해 상기 살균수를 배수관으로 배수 또는 배수 중지를 수행하는 살균수 배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장치는 상기 살균 모듈과, 살균수 밸브, 살균수 배수 밸브 및 출수부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살균수의 생성, 상기 정수 및 살균수의 연결부 및 출수부로의 공급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장치는 출수부 선택 입력 및 살균 모드 선택 입력 또는 전체 살균 모드 선택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수부 또는 전체 출수부에 대한 출수부 선택 입력과, 살균 모드 선택 입력을 획득하는 경우 상기 살균 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출수부 선택 입력에 의해 선택된 출수부 또는 전체 출수부로 상기 살균 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공급하는 살균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출수부에 구비된 상기 출수부 밸브와 상기 살균수 밸브 또는 상기 살균수 배수 밸브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는 살균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 출수부에 구비된 상기 출수부 밸브, 상기 살균수 밸브 및 상기 살균수 배수 밸브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는 살균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모드의 수행 중에 상기 입력부로부터 살균 모드 중단 선택 입력을 획득하거나, 상기 살균 모드를 수행한 시간이 제 1 기준 시간을 경과한 경우, 상기 살균 모듈을 동작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모듈의 동작 중단 이후에 제 2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정수가 상기 출부수에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기준 시간 이후에 상기 출수부 밸브, 살균수 밸브 및 상기 살균수 배수 밸브를 폐쇄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장치는 상기 정수 공급부로부터의 정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 센서로부터의 유량 감지값에 따라 상기 정수 공급부로부터 상기 정수가 유입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모드의 수행 중에 상기 정수의 유입이 중단된 경우, 상기 살균 모듈의 동작 중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의 유입이 재개되는 경우, 상기 살균 모드를 다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모드 수행 중에 상기 살균 모듈에 흐르는 전류값을 획득하여, 획득된 전류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살균수의 살균 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모듈의 동작 전력을 조절하여 상기 살균수의 살균 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모듈은 복수 개의 살균 모듈들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동작하는 살균 모듈의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살균수의 살균 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KR1020160064385A 2016-05-25 2016-05-25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KR102567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385A KR102567932B1 (ko) 2016-05-25 2016-05-25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385A KR102567932B1 (ko) 2016-05-25 2016-05-25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198A KR20170133198A (ko) 2017-12-05
KR102567932B1 true KR102567932B1 (ko) 2023-08-17

Family

ID=60920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385A KR102567932B1 (ko) 2016-05-25 2016-05-25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9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971B1 (ko) * 2018-02-09 2023-04-28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KR102454099B1 (ko) * 2018-02-22 2022-10-14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CN115925036A (zh) * 2022-12-14 2023-04-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净水机的杀菌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净水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339B1 (ko) * 2009-06-29 2018-10-11 코웨이 주식회사 전해살균장치를 구비한 수처리 장치
KR20110109744A (ko) * 2010-03-31 2011-10-0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살균수 생성장치
KR101338469B1 (ko) * 2011-05-18 2013-12-10 주식회사 교원 살균 기능 및 살균수 제공 기능을 갖는 정수기
KR101293233B1 (ko) * 2011-07-15 2013-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856982B1 (ko) * 2011-12-19 2018-05-16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198A (ko)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7730B1 (ko) 냉온수기의 살균장치
KR102491063B1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KR102567932B1 (ko)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KR102601995B1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CN111102734A (zh) 一种热水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30047783A (ko)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KR101945831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35515B1 (ko) 세균번식방지 시스템을 갖는 냉온수기
CN114477583B (zh) 净水器
KR20200047102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149287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861710B1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KR20180103580A (ko)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702735B1 (ko) 정수기
JP2006275371A (ja) 熱水供給装置
KR101296549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20120113164A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20140081431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JPH06221668A (ja) 濾過器を備えた全自動追焚付給湯器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20180017295A (ko) 자동 스팀 살균 청소가 가능한 직수식 정수기
KR20190014029A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05327B1 (ko)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KR20130011447A (ko) 정수기
JP4531590B2 (ja) 熱水供給装置
KR20120113166A (ko)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