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710B1 -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 Google Patents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710B1
KR101861710B1 KR1020160064386A KR20160064386A KR101861710B1 KR 101861710 B1 KR101861710 B1 KR 101861710B1 KR 1020160064386 A KR1020160064386 A KR 1020160064386A KR 20160064386 A KR20160064386 A KR 20160064386A KR 101861710 B1 KR101861710 B1 KR 101861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rilizing
supply
sterilization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3199A (ko
Inventor
배수호
나영민
방경욱
홍두나
황광득
Original Assignee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4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710B1/ko
Publication of KR20170133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9/00Separation of different isotopes of the same chemical element
    • B01D59/38Separation by electrochemical methods
    • B01D59/40Separation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6Fur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 B01D2311/2692Steriliz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수 레버의 개방에 의한 정수의 공급이 유량 감지를 통하여 확인되며, 살균수 선택 입력에 따라 살균수 또는 조리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는 원수를 정수 처리하여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 생성부와,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의 정수를 또는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의 정수를 전기 분해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와, 상기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로부터의 정수를 출수구로 출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수부와, 살균수 또는 정수인 조리수를 출수하는 공급관과, 상기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로부터의 살균수 또는 정수를 또는 유량 감지 유로부로부터의 정수를 제 1 경로를 통하여 상기 공급관으로 출수하는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와, 상기 제 1 경로에 연결되며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의 정수를 상기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에 공급하는 유량 감지 유로부와, 상기 공급관에 장착되며,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의 정수가 상기 유량 감지 유로부로 유입 및 유입 차단되도록 하여 상기 정수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공급관 레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WATER PURIFYING APPARATUS FOR SUPPLYING STERILIZED WATER}
본 발명은 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리수 레버의 개방에 의한 정수의 공급이 유량 감지를 통하여 확인되며, 살균수 선택 입력에 따라 살균수 또는 조리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음용이 가능한 정수를 제공하는 것 외에 조리수를 제공하는 정수기도 개발되고 있다. 정수기에서 제공되는 조리수는 소정의 필터를 통과한 정수이며,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식기, 과일 등의 세척용이나 음식의 요리 등에 주로 사용된다. 한편, 일반적인 조리수는 정수된 물에 불과하므로, 조리수를 이용하여 식기, 과일 등을 세척하는 경우, 별도의 세척제 또는 살균제를 사용하거나,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살균기 등을 추가로 사용해야 세척 또는 살균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종래 기술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6005호의 살균 정수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장착된 정수 배관과, 조리수 배관, 살균수 배관을 구비하여 유로가 복잡해지고 제품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살균 정수기는 입수되는 원수(또는 정수)의 유량이 가변되는 경우, 살균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였다. 예를 들면, 원수의 유량이 기준 유량 이하인 경우, 종래의 살균 정수기는 원하는 살균 농도의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었으나, 원수의 유량이 기준 유량을 초과하는 경우 원하는 살균 온도보다 낮은 살균 농도를 지닌 살균수를 공급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원수의 총용존고형물(TDS, total dissolved solids) 농도가 일정 농도 이상인 경우, 종래의 살균 정수기는 원하는 살균 농도를 지닌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었으나, 원수의 총용존고형물 농도가 일정 농도 미만으로 낮은 경우, 종래의 살균 정수기는 원하는 살균 농도를 지닌 살균수를 생성하여 공급할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살균 정수기는 입수되는 원수(또는 정수)가 차단되었을 경우(예를 들면, 단수 등)에도 내장된 살균 모듈이 계속 동작하게 되어, 살균 모듈의 소손(열이 발생하여 살균 모듈이 터지거나 부풀어 오르는 증상)이 야기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조리수 레버의 개방에 의한 정수의 공급이 유량 감지를 통하여 확인되고, 살균수 선택 입력에 따라 살균수 또는 조리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며, 살균 농도가 일정한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는 원수를 정수 처리하여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 생성부와,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의 정수를 또는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의 정수를 전기 분해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와, 상기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로부터의 정수를 출수구로 출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수부와, 살균수 또는 정수인 조리수를 출수하는 공급관과, 상기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로부터의 살균수 또는 정수를 또는 유량 감지 유로부로부터의 정수를 제 1 경로를 통하여 상기 공급관으로 출수하는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와, 상기 제 1 경로에 연결되며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의 정수를 상기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에 공급하는 유량 감지 유로부와, 상기 공급관에 장착되며,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의 정수가 상기 유량 감지 유로부로 유입 및 유입 차단되도록 하여 상기 정수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공급관 레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수 장치는 상기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경로 내의 정수 또는 살균수를 배수관으로 배수하는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부는 상기 정수 또는 살균수의 배수 또는 배수 중지를 수행하는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는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의 정수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공급 밸브와, 상기 공급 밸브로부터의 정수를 전기 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균 모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는 상기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로부터의 살균수의 유량 또는 정수인 조리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리수 및 살균수 유량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리수 및 살균수 유량 조절부는 상기 정수인 조리수 또는 살균수를 상시 공급하는 제 1 공급 경로와, 유량 조절 밸브의 개폐에 의해 상기 조리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제 2 공급 경로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수 장치는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 상기 유량 감지 유로부로의 정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수 장치는 상기 유량 센서로부터의 유량 감지값에 따라 상기 공급 밸브, 살균 모듈,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 및 유량 조절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관 레버가 개방되어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 상기 유량 감지 유로부로 상기 정수가 유입되는 것을 상기 유량 센서로부터의 유량 감지값에 따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은 조리수 레버의 개방에 의한 정수의 공급이 유량 감지를 통하여 확인되며, 살균수 선택 입력에 따라 살균수 또는 조리수를 선택적으로 하나의 배관(또는 관로)를 통하여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수되는 원수(또는 정수)의 유량이 가변되거나, 원수의 총용존고형물 농도가 가변되더라도, 살균 농도가 일정한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수되는 원수(또는 정수)가 차단되었을 경우에 내장된 살균 모듈의 동작을 중단시켜 살균 모듈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살균수 출수 이후의 살균수 출수 종료 시에, 정수(또는 원수)를 이용하여 관로에 잔존하는 살균수를 배수하고, 관로 내부가 세척되도록 하여, 조리수 출수 시에 살균수가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수/온수/냉수 또는 조리수 나 살균수 출수 이후에 관로에 남아있는 압력을 제거하여, 살균 모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수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수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계(S7)의 살균수 출수 모드의 수행 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들과 도면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의 정수 장치는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 처리하여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 생성부와, 정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센서(7)와, 정수를 출수하는 정수 출수부와,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출수하는 냉수 출수부와,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출수하는 온수 출수부와, 정수를 공급하거나 정수를 전기 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와, 살균수나 정수인 조리수를 출수하는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와, 조리수 레버(92)의 개방 및 폐쇄에 의한 정수의 흐름을 유량 센서(7)가 감지하도록 하는 유량 감지 유로부와, 냉각수를 냉수부(15)에 입수시키고 냉각수를 냉수부(15)로부터 배수하는 냉각수 입수 및 배수부와, 온수를 배수하는 온수 배수부와, 살균수 또는 조리수를 배수하는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부와,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로부터의 정수 또는 살균수를 정수 출수부, 냉수 출수부 및 온수 출수부로 공급하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먼저, 정수 생성부는 원수의 유압을 조절하는 제 1 감압 밸브(39a)와, 제 1 감압 밸브(39a)에 의해 감압된 원수를 정수 처리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정수 필터부(41)와, 정수 필터부(41)로부터의 정수를 연결구(75a)를 통하여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와 유량 감지 유로부로 공급하는 배관(7a)과, 배관(7a)으로부터의 정수를 배관(9a)과 배관(90e)에 공급하기 위한 연결구(75a)를 포함한다. 제 1 감압 밸브(39a) 및 정수 필터부(41)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유량 센서(7)는 정수 필터부(41)로부터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을 감지하도록,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와 유량 감지 유로부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연결구(75a)와 정수 필터부(41) 사이에 장착된다. 또한, 유량 센서(7)는 유량 감지 유로부 상에 장착되거나, 원수의 유량을 감지하기 위해 원수가 공급되는 부분부터 정수 필터부(41) 사이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는 연결구(75a)와 연결구(75b)를 연결하는 배관(9a)과, 배관(9a)으로 공급되는 정수의 공급 및 차단(개방 및 폐쇄) 동작을 수행하는 제 1 공급 밸브(9)와, 배관(9a)에 장착되어 정수를 전기 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과, 배관(9a)에 장착되어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의 살균수 생성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스케일(석회질)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 스트레이너(FS)와, 제1 및 제2 살균 모듈(36a), (36b)과 연결구(75b) 사이의 배관(9a)에 장착되어 정수의 역류를 방지하거나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CV)와, 정수 또는 살균수를 연결부와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에 공급하기 위한 연결구(75b)를 포함한다. 필터 스트레이너(FS) 및 체크 밸브(CV)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설명이 생략된다.
제 1 공급 밸브(9)는 대기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유지되어 원수나 정수의 압력이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에 미치는 않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 1 공급 밸브(9)가 없을 경우 원수나 정수의 높은 압력이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에 직접적으로 가해져서 파손이나 누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은 2개 이상의 독립된 살균 모듈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살균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은 제1 공급 밸브(9)와 체크 밸브(CV) 사이의 배관(9a)에 장착되어 동작되되,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이 동작 상태이면 정수를 전기 분해하여 살균수로 변환시키나 동작 중단 상태이면 정수를 그대로 공급한다.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은 복수의 전력 단계들(예를 들면, 최대(강)/중간/최소(약))로 조절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연결부는 연결구(75b)에 연결되어 정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받는 배관(45a)과, 배관(45a)과 배관(45b) 사이에 연결되어 정수 또는 살균수의 공급 및 공급 차단(개방 및 폐쇄)을 수행하는 제 2 공급 밸브(45)와, 제 2 공급 밸브(45)와 연결구(75c)를 연결하는 배관(45b)과, 정수나 살균수를 온수 출수부와 정수 출수부 및 냉수 출수부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구(75c)와, 연결구(75c)와 연결구(75d)를 연결하는 배관(45c)와, 배관(45c)으로부터의 정수나 살균수를 정수 출수부와 냉수 출수부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구(75d)를 포함한다. 제 2 공급 밸브(45)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정수 출수부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로부터 정수를 공급 받는 배관(21a)과, 출수구(70)에 연결된 배관(21b)과, 배관(21a)과 배관(21b) 사이에 설치되어, 정수의 공급 및 차단 동작(개방 및 폐쇄 동작)을 수행하는 정수 출수 밸브(21)로 구성된다. 배관(21a) 및 (21b)은 정수 배관으로 통칭된다.
또한, 냉수 출수부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로부터 정수를 공급 받는 배관(15a)과, 배관(15a) 내의 정수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는 냉수부(15)와, 출수구(70)에 연결된 배관(15b)과, 배관(15a)과 배관(15b) 사이에 장착되어, 냉수의 공급 및 차단 동작(개방 및 폐쇄 동작)을 수행하는 냉수 출수 밸브(23)로 구성된다. 냉수부(15)는 배관(15a) 내의 정수를 냉각하는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 탱크와, 냉각수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 등을 구비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설명이 생략된다. 배관(15a) 및 (15b)은 냉수 배관으로 통칭된다. 또한, 냉수 출수부는 상술된 냉각부(15) 이외에도 배관(15a)을 통하여 정수를 공급받고 냉수 출수 밸브(23)에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탱크와, 냉수 탱크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온수 출수부는 연결구(75c)를 통하여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감압하는 제2 감압 밸브(39b)와, 배관(17a), 연결구(75i), 오리피스(43a) 및 연결구(75j)를 통하여 감압된 정수를 온수부(17)로 상시 공급하는 제 1 공급 경로와, 온수부(17) 이전의 제 1 공급 경로(연결구(75i)와 연결구(75j) 사이의 경로)에 연결되며 온수부(17)로의 정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배관(17b)에 형성된 오리피스(43b)와, 정수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제 1 유량 조절 밸브(11)로 구성된 제 2 공급 경로와, 공급되는 정수를 가열하는 온수부(17)와, 온수부(17)로부터의 온수를 공급 받는 배관(17c)과, 출수구(70)에 연결된 배관(17d)과, 배관(17c)과 배관(17d) 사이에 장착되어, 온수의 공급 및 차단 동작(개방 및 폐쇄 동작)을 수행하는 온수 출수 밸브(25)로 구성된다. 온수부(17)는 정수를 가열하는 히터부 등을 구비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설명이 생략된다. 배관(17a), (17b), (17c) 및 (17d)은 온수 배관으로 통칭된다. 제 1 및 제 2 공급 경로는 제 1 유량 조절 밸브(11)의 개폐 동작에 의해 정수 생성부로부터의 정수 유량을 조절하여 온수부(17)에 공급하는 정수 유량 조절부로 통칭된다.
출수구(70)는 정수, 냉수 및 온수 출수구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하거나(즉, 3개의 출수구),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2개 또는 하나의 출수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는 정수를 연결구(75b)를 통하여 공급받는 배관(90a)과, 연결구(75k), 배관(90b), 연결구(75ℓ), 배관(90b), 배관(90b)에 장착된 오리피스(43c), 연결구(75ℓ), 배관(90d), 연결구(75m)과 배관(90f)를 통하여 조리수 및 살균수 공급을 위한 공급관(90)에 살균수 또는 정수인 조리수를 상시 공급하는 제 1 조리수 및 살균수 공급 경로와, 연결구(75k), 배관(90c), 제 2 유량 조절 밸브(13) 및 연결구(75ℓ)를 통하여 배관(90f)에 연결되어 제 2 유량 조절 밸브(13)의 개폐 동작에 의해 살균수 또는 정수인 조리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제 2 조리수 및 살균수 공급 경로와, 배관(90f)에 연결되어 조리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받는 공급관(90)과, 공급관(90)에 장착되어 외력에 의한 개폐 동작이 수행되어 정수 생성부로부터의 살균수 또는 정수인 조리수가 유입되거나 유입 차단되도록 하여 조리수 또는 살균수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공급관 레버(92)로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조리수 및 살균수 공급 경로는 정수 생성부와 공급관(90) 사이에서 정수 또는 살균수의 유량을 조절하여 공급관(90)에 공급하는 조리수 및 살균수 유량 조절부로 통칭된다. 또한, 제 1 조리수 및 살균수 공급 경로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배관(90a), (90b), (90d) 및 (90f)에 의한 경로와 배관(90a), (90c), (90d) 및 (90f)에 의한 경로는 배관(90a)(경로 시작 위치)과 배관(90f)(경로 종점 위치)이 공통되므로, 하나의 경로(예를 들면, 조리수 및 살균수 공급 경로)로 통칭될 수 있다.
또한, 유량 감지 유로부는 연결구(75a)에 연결되어 정수를 공급받는 배관(90e)과, 배관(90e)에 장착된 오리피스(43d)를 포함한다. 배관(90e)은 정수 생성부의 연결구(75a)와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의 연결구(75m)을 연결할 수도 있고, 체크 밸브(CV)와 연결구(75b) 사이나 연결구(75b)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기 상태에서는 제 1 공급 밸브(9)가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조리수 레버(92)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동작시키더라도 정수 생성부로부터의 정수가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에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 유량 감지 유로부의 입수부가 정수 생성부와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 사이에 연결되고 유량 감지 유로부의 출수부가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에 연결되도록 하여, 조리수 레버(92)의 개방 동작 시에 유량 감지 유로부로 정수가 공급되며, 유량 센서(7)가 이러한 정수의 공급을 감지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유량 감지 유로부는 제 1 공급 밸브(9)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조리수 레버(92)의 개방 동작을 유량 센서(7)의 유량 감지값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유량 감지 유로부는 조리수 레버(92)의 개방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기능이 중심적이므로, 유로 감지 유로부의 배관(90e)과 오리피스(43d)의 직경에 의해 결정되는 정수의 유량은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와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의 직경에 의해 결정되는 정수 또는 살균수의 유량보다 작도록 된다. 예를 들면, 유량 감지 유로부로 공급되는 정수의 최대 유량과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로 공급되는 정수의 최대 유량은 2:8의 비율이다. 특히, 정수 및 설균수 공급부가 유량 감지 유로부보다 더 많은 정수를 공급 받도록 하여, 살균수 출수 과정에서의 충분한 유량의 살균수(원하는 살균 농도를 지닌 살균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냉각수 입수 및 배수부는 연결구(75e)와 연결구(75f)를 연결하는 배관(29a)과, 연결구(75f)와 냉각수 밸브(29)를 연결하는 배관(29b)과, 냉각수 밸브(29)와 냉수부(15)를 연결하는 배관(29c)과, 연결구(75f)와 냉각수 펌프(27)를 연결하는 배관(31a)과, 배관(31a)와 배관(31b) 사이에 장착되어 냉각수의 배수 및 배수 차단을 수행하는 냉각수 배수 밸브(31)와, 배관(31b))와 배관(27a) 사이에 장착되어 냉수부(15) 내의 냉각수를 강제적으로 배수하기 위한 냉각수 펌프(27)와, 냉각수 펌프(27)에 연결되어 배수관으로 연결구(75g), (75h)를 통하여 연결되는 배관(29a)을 구비한다. 냉각수 입수 및 배수부에서의 냉각수 입수 동작을 위해, 제어부(50)는 제 1 및 제 2 공급 밸브(9), (45)와 냉각수 밸브(29)만을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동작시켜 냉수부(15)에 정수를 일정 시간 또는 일정량 공급하고, 냉수부(15)의 냉각 장치를 제어하여 공급된 정수를 냉각수로 냉각한다. 또한, 냉각수 입수 및 배수부에서의 냉각수 배수 동작을 위해, 제어부(50)는 냉각수 밸브(29)와 냉각수 배수 밸브(31)만을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동작시키고, 냉각수 펌프(27)를 동작시켜, 냉수부(15) 내의 냉각수를 배수시킨다.
또한, 온수 배수부는 온수부(17) 내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온수부(17)와 온수 배수 밸브(33)를 연결하는 배관(33a)과, 온수부(17) 내의 온수를 배수하기 위해 온수부(17)와 온수 배수 밸브(33)를 연결하는 배관(33b)과, 온수 및 공기를 배수 및 배출하기 위해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온수 배수 밸브(33)와, 온수 배수 밸브(33)와 연결되고 연결구(75g)를 통하여 배수관에 연결된 배관(27a)에 연결되는 배관(33c)을 구비한다. 온수 및 공기의 배수 및 배출 동작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부는 조리수 및 살균수 유량 조절부(또는 배관(90f))와 공급관(90) 사이의 연결구(75n)에 연결된 배관(37a)과, 배관(37a)과 배관(37b) 사이에 장착되어 개폐 동작에 의해 살균수 및 조리수의 배수 또는 배수 중지를 수행하는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37)와,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37)에 연결되고 연결구(75h)를 통하여 배수관에 연결된 배관(27a)에 연결되는 배관(37b)을 구비한다.
도 2는 도 1의 정수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정수 장치는 외부 상용 전원을 인가 받아 필요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1)와,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정수/온수/냉수 선택, 살균수/조리수 선택, 살균수 출수 중, 조리수 출수 중,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중 등)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하는 표시부(3)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정수/온수/냉수 선택, 정수/온수/냉수의 출수 종료, 살균수/조리수 선택, 살균수 중단 선택 등)을 획득하는 입력부(5)와, 유량 센서(7)와, 제 1 공급 밸브(9)와, 제 1 및 제 2 유량 조절 밸브(11, 13)와, 냉수부(15)와, 온수부(17), 냉수부(15)의 냉각수 또는 온수부(17)의 온수 또는 정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19)와, 정수 출수 밸브(21)와, 냉수 출수 밸브(23)와, 온수 출수 밸브(25)와, 냉각수 펌프(27)와, 냉각수 밸브(29)와, 냉각수 배수 밸브(31)와, 온수 배수 밸브(33)와,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을 제어하는 살균 구동부 제어부(35)와,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과,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37)와, 제 2 공급 밸브(45)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정수/온수/냉수의 출수 동작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리수 또는 살균수를 제공하는 제어부(50)로 구성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온수/냉수의 생성 동작과, 온수의 배수 과정 등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의 동작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설명이 생략된다.
우선, 정수의 출수 과정이 설명된다. 제어부(50)는 입력부(5)로부터의 정수 선택 입력을 획득하고, 제 1 공급 밸브(9)와, 제 2 공급 밸브(45) 및 정수 출수 밸브(21)만을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동작시켜 정수 생성부로부터의 정수가 출수구(70)를 통하여 출수되도록 한다. 이후에, 제어부(50)는 입력부(5)로부터의 정수 출수 종료 입력을 획득하고, 제 1 공급 밸브(9)와 제 2 공급 밸브(45)를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동작시켜 정수의 공급을 차단하고 일정한 대기 시간(예를 들면, 0.5초) 이후에 정수 출수 밸브(21)를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동작시켜 정수 출수부 내에 압력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제 1 공급 밸브(9)와 제 2 공급 밸브(45)의 폐쇄 동작 시간과 정수 출수 밸브(21)의 폐쇄 동작 시간의 차이가 크면 출수구(70)에 잔수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일정한 대기 시간은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와 정수 출수부 내에 압력의 생성을 방지하면서 출수구(70)의 잔수 발생을 방지하는 시간으로 결정된다. 또한,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 내의 압력이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에 가해질 수 있으므로, 제어부(50)는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37)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동작시켜 일정 시간(예를 들면, 1초)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 내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압력 제거 모드를 수행한다. 제어부(50)는 압력 제어 모드를 수행한 이후에,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37)를 폐쇄 상태로 동작시킨다.
다음으로, 냉수 및 온수의 출수 과정의 경우, 정수의 출수 과정과 유사하며, 제어부(50)는 정수 출수 밸브(21) 대신에 냉수 출수 밸브(23)와 온수 출수 밸브(25)를 동작시켜 냉수 및 온수의 출수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온수의 출수 과정에서 제 1 유량 조절 밸브(11)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공급 경로를 통하여 정수가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정수의 출수 과정과 동일하게 냉수 및 온수의 출수 이후에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37)를 제어하여 압력 제거 모드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조리수의 출수 과정이 설명된다. 제어부(50)는 전원부(1)로부터의 전원 공급으로 대기 상태(제 1 공급 밸브(9) 및 제 2 공급 밸브(45)의 폐쇄 동작, 제 2 유량 조절 밸브(13)의 폐쇄 동작,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37)의 폐쇄 동작, 표시부(3)를 통한 현재 상태 표시 등)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공급관 레버(92)를 개방으로 작동하면, 정수 생성부로부터의 정수가 배관(7a), 연결구(75a), 배관(90e)으로 조리수로 공급되며, 연결구(75m), 배관(90f), 연결구(75n) 및 공급관(90)을 통하여 출수된다. 제어부(50)는 조리수 레버(92)의 개방에 의해 정수가 유량 감지 유로부로 공급되는 것을 유량 센서(7)로부터의 유량 감지값을 이용하여 확인한 후, 제 1 공급 밸브(9)와 제2 유량 조절 밸브(13)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하여 충분한 조리수가 공급관(90)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후에, 사용자가 조리수 레버(92)를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동작시키면, 정수 생성부로부터의 정수가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 및 유량 감지 유로부로 더 이상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 제어부(50)는 조리수 레버(92)의 폐쇄에 의해 정수가 유량 감지 유로부로 공급되지 않는 것을 유량 센서(7)의 유량 감지값을 이용하여 확인한 후, 제 1 공급 밸브(9)와 제2 유량 조절 밸브(13)를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 내의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로의 압력을 제거하기 위해,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37)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동작시켜, 일정 시간(예를 들면, 1초) 동안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와,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와 유량 감지 유로부 내의 정수를 배수시키고,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37)를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동작시켜 조리수 출수 과정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살균수의 출수 과정이 설명된다. 제어부(50)가 조리수 출수 과정에 동일하게 대기 상태 중에 공급관 레버(92)의 개방 동작으로 유량 센서(7)로부터 정수가 유량 감지 유로부로 유입된다는 유량 감지값을 획득하고, 입력부(5)로부터의 살균수 선택 입력을 획득하면, 제어부(50)는 제 1 공급 밸브(9)와 제2 유량 조절 밸브(13)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하며,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 중의 하나 이상을 동작시켜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하여, 이 생성된 살균수는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로 공급되어 공급관(90)을 통하여 출수된다. 제어부(50)는 상술된 살균수의 출수 중에, 공급관 레버(92)의 폐쇄에 의한 정수의 유입 중단을 유량 센서(7)로부터의 유량 감지값을 통해 확인하거나 입력부(5)로부터 살균수 중단 선택을 입력 받은 경우, 제어부(50)는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여 동작 중인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을 동작 중단시키고, 제 1 공급 밸브(9)를 폐쇄 동작시켜 살균수 출수 과정을 종료시킨다.
다음으로, 살균수의 배수 과정이 설명된다. 제어부(50)는 살균수 출수 과정을 종료시킨 후, 일정 시간(예를 들면, 15초) 동안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37)와 제 1 공급 밸브(9)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작동시키면, 정수가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와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 및 유량 감지 유로부로 공급되어 남아 있는 살균수를 배수관을 통하여 배수시키며,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와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와 유량 감지 유로부 및 공급관(90)에 잔존하는 살균수를 세척하여, 이후의 조리수 공급 시에 살균수가 조리수로 공급되거나 조리수에 포함되지 않도록 한다. 제어부(50)는 살균수 배수 과정의 종료를 위해, 제 1 공급 밸브(9)와 제 2 유량 조절 밸브(13)를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 내의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로의 압력을 제거하기 위해, 제 1 공급 밸브(9)와 제 2 유량 조절 밸브(13)의 폐쇄 동작 이후에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37)를 일정 시간(예를 들면, 1초) 동안 개방 상태로 제어하여,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와,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와 유량 감지 유로부 내의 정수를 배수시켜 압력을 제거하고,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37)를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동작시켜 살균수 배수 과정을 종료한다.
또한, 살균수 출수 과정과 살균수 배수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50)는 상술된 살균수의 출수 중에, 공급관 레버(92)의 폐쇄에 의한 정수의 유입 중단을 유량 센서(7)로부터의 유량 감지값을 통해 확인하거나 입력부(5)로부터 살균수 중단 선택을 입력 받은 경우, 제어부(50)는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여 동작 중인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을 동작 중단시켜 살균수가 생성되지 않도록 하며, 제 1 공급 밸브(9)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면서,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37)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제어하여 살균수를 배수시키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하기에서, 보다 상세한 정수 장치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3은 도 1의 정수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단계(S1)에서, 제어부(50)는 대기 상태 제어를 시작한다. 이 대기 상태에서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 기능과 관련해서는 제 1 공급 밸브(9)와 제 2 유량 조절 밸브(13)와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37)가 폐쇄 상태이고,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의 동작 중지 상태이며, 정수/냉수/온수 출수부의 기능과 관련해서는 제 2 공급 밸브(45)가 폐쇄 상태이다.
단계(S3)에서, 제어부(5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서, 입력부(5)를 통하여 살균수 선택 입력이 획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살균수 선택 입력을 획득하였으면 단계(S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9)로 진행한다.
단계(S5)에서, 제어부(50)는 유량 센서(7)로부터의 유량 감지값을 통해 정수 생성부에서 유량 감지 유로부로 정수가 유입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S5)에서 단계(S1)의 대기 상태(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구성요소들은 폐쇄 상태를 유지함)가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공급관 레버(92)의 개방 동작만이 유량 감지 유로부로의 정수의 유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제어부(50)는 정수의 유입이 있는 경우에는 공급관 레버(92)가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변환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공급관 레버(92)가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유량 센서(7)의 유량 감지값이 0인 경우에는 정수나 원수의 유입이 중단된 상태(공급관 레버(92)가 폐쇄된 상태)이고, 유량 감지값이 0이 아닌 경우에는 정수나 원수의 유입이 있는 상태(공급관 레버(92)가 개방된 상태)이다. 만약 정수 생성부에서 정수의 유입이 있으면, 단계(S7)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고 정수의 유입이 없으면(즉, 정수의 유입이 차단되었으면), 제어부(50)는 일정 시간 동안 단계(S5)를 수행하다가 단계(S1)로 진행하여 단계(S3)에서의 살균수 선택 입력을 취소시킨다.
단계(S7)에서, 제어부(50)는 제 1 공급 밸브(9)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동작시키고,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 중의 하나 이상을 동작시켜 배관(9a) 내의 정수를 살균수로 변환시켜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로 살균수를 공급하여 공급관(90)으로 출수시키는 살균수 출수 모드를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50)는 살균수 배수 밸브(37)를 폐쇄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살균수 출수를 표시부(3)를 통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린다.
보다 상세한 살균수 출수 모드의 수행 과정은 도 4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단계(S9)에서, 제어부(50)는 유량 센서(7)로부터의 유량 감지값을 통해 정수 생성부에서 유량 감지 유로부로 정수가 유입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정수 생성부에서 정수의 유입이 있으면 단계(S1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로 진행한다.
단계(S11)에서, 제어부(50)는 단계(S3)에서 살균수 선택 입력이 아닌 경우이므로, 제 1 공급 밸브(9)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동작시키고,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를 동작 중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조리수 출수 모드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조리수 출수를 표시부(3)를 통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린다.
단계(S13)에서, 제어부(50)는 단계(S11)의 조리수 출수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입력부(5)를 통하여 살균수 선택 입력이 획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살균수 선택 입력이 없으면 단계(S1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고 살균수 선택 입력이 있으면, 조리수 출수 모드 중에도 단계(S7)로 진행한다.
단계(S15)에서, 제어부(50)는 조리수의 공급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 2 유량 조절 밸브(13)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변환시켜 유량을 증가 조절시킨다. 단계(S15)에서 단계(S16)로 진행한다.
단계(S16)에서, 제어부(50)는 유량 센서(7)로부터의 유량 감지값을 통해 정수 생성부에서 유량 감지 유로부 또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로 정수가 유입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정수 생성부에서 정수의 유입이 있으면 단계(S1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7)로 진행한다.
단계(S17)에서, 제어부(50)는 공급관 레버(92)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변환된 경우이므로, 제 1 공급 밸브(9) 및 제 2 유량 조절 밸브(13)를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제어하여 조리수 출수 모드를 종료시킨다. 또한, 제어부(50)는 조리수 출수 모드의 종료를 표시부(3)를 통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린다.
단계(S18)에서, 제어부(50)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 내의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로의 압력을 제거하기 위해,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37)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동작시켜, 일정 시간(예를 들면, 1초) 동안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와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 및 유량 감지 유로부 내의 정수를 배수시키고,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37)를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동작시켜 압력 제거 모드를 수행한다. 그리고, 압력 제거 모드의 수행 후에, 단계(S1)로 진행한다.
단계(S19)에서, 제어부(50)는 단계(S7)의 살균수 출수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유량 센서(7)로부터의 유량 감지값을 통해 정수 생성부에서 유량 감지 유로부나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로 정수가 유입되고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판단한다. 만약 정수 생성부에서 정수의 유입이 있으면 단계(S2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21)로 진행한다.
단계(S21)에서, 제어부(50)는 정수 생성부에서 정수의 유입이 없어,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 및 유량 감지 유로부로의 정수 공급이 없는 것이므로, 제어부(50)는 살균 동작 제어부(35)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의 동작을 중단시켜,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이 과열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1 공급 밸브(9)와 제 2 유량 조절 밸브(13)를 폐쇄 상태로 동작시켜 살균수 출수 모드를 종료시킨다. 또한, 제어부(50)는 살균수 출수 모드의 종료를 표시부(3)를 통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린다.
단계(S23)에서, 제어부(50)는 제 1 공급 밸브(9)와 살균수 배수 밸브(37)를 개방 상태로 작동시켜 정수가 정수 생성부로부터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와,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와, 유량 감지 유로부로 유입되어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와,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와, 유량 감지 유로부와, 공급관(90)에 남아 있는 살균수를 배수관을 통하여 배수 및 세척되도록 하는 살균수 배수 모드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50)는 일정 시간(예를 들면, 15초) 동안 정수를 공급하여 살균수가 완전히 배수되도록 하여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와,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와, 유량 감지 유로부와, 공급관(90)을 세척한다. 이러한 살균수 배수 및 세척을 통하여, 사용자가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와,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와, 유량 감지 유로부와, 공급관(90)에 남아 있는 살균수를 조리수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살균수 배수 모드에서, 제어부(50)는 제 2 유량 조절 밸브(13)을 개방 상태로 유지하거나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하여 제 2 조리수 및 살균수 공급 경로 내의 살균수도 배수 및 세척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살균수 배수를 표시부(3)를 통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후에, 제어부(50)는 제 1 공급 밸브(9)와 제 2 유량 조절 밸브(13)를 폐쇄 상태로 동작시킨 후,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 내의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로의 압력을 제거하기 위해 일정 시간(예를 들면, 1초) 후에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37)를 폐쇄시켜 압력 제거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압력 제거를 수행한 후에 제어 과정을 종료하거나, 단계(S1)로 진행한다.
단계(S25)에서, 제어부(50)는 입력부(5)로부터 살균수 중단 선택 입력을 획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살균수 중단 선택 입력을 획득하였으면, 제어부(50)는 단계(S2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7)로 진행하여 살균수 출수 모드를 수행한다.
단계(S27)에서, 제어부(50)는 유량 센서(7)로부터의 유량 감지값을 통해 정수 생성부에서 유량 감지 유로부나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로 정수가 유입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정수 생성부에서 정수의 유입이 있으면 단계(S1) 또는 (S3)로 진행한다.
도 4는 도 3의 단계(S7)의 살균수 출수 모드의 수행 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단계(S51)에서, 제어부(50)는 제 1 공급 밸브(9)와, 살균 구동 제어부(35)와, 제 2 유량 조절 밸브(13)를 제어하여 기준 제어 모드를 수행한다. 기준 제어 모드는 제 1 공급 밸브(9)의 개방 동작과, 제 1 살균 모듈(36a)의 중간 전력으로의 살균수 생성 동작과, 제 2 살균 모듈(36b)의 동작 중단과, 제 2 유량 조절 밸브(13)의 개방 동작(즉, 조리수 및 살균수 유량 조절부에서 제 1 및 제 2 조리수 및 살균수 공급 경로를 통한 살균수의 최대 유량 공급 동작)를 포함한다.
단계(S53)에서, 제어부(50)는 살균 구동 제어부(35)로부터 제 1 살균 모듈(36a)에서 흐르는 전류값(또는 전압값을 포함하는 전기적 특성값)을 획득하고, 전류값과 기준값(예를 들면, 0.5A)을 비교한다. 기준값은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에서 생성되는 살균수의 농도가 원하는 농도에 도달된 것을 판단하기 위한 전류값이다. 제어부(50)는 획득된 전류값을 기준으로 살균수의 농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만약 획득된 전류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단계(S5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57)로 진행한다.
단계(S55)에서, 제어부(50)는 현재의 살균수의 농도가 원하는 농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 1 살균 모듈(36a)을 최소전력으로 동작하도록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는 전력 감소 제어 모드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단계(S19)로 진행한다.
단계(S57)에서, 제어부(50)는 현재의 살균수의 농도가 원하는 농도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 2 유량 조절 밸브(13)를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변환하여 유량을 감소시키는 유량 감소 제어 모드(즉, 조리수 및 살균수 유량 조절부의 상시 유량 공급-제 1 조리수 및 살균수 공급 경로만을 통한 유량 공급)를 수행한다.
단계(S59)에서, 제어부(50)는 살균 구동 제어부(35)로부터 제 1 살균 모듈(36a)에서 흐르는 전류값을 획득하고, 전류값과 기준값을 비교한다. 만약 획득된 전류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현재의 살균수의 농도가 원하는 농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S19)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S61)로 진행한다.
단계(S61)에서, 제어부(50)는 현재의 살균수의 농도가 원하는 농도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 1 살균 모듈(36a)을 최대전력으로 동작하도록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는 전력 증가 제어 모드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단계(S63)로 진행한다.
단계(S63)에서, 제어부(50)는 살균 구동 제어부(35)로부터 제 1 살균 모듈(36a)에서 흐르는 전류값을 획득하고, 전류값과 기준값을 비교한다. 만약 획득된 전류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현재의 살균수의 농도가 원하는 농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S19)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S65)로 진행한다.
단계(S65)에서, 제어부(50)는 살균 구동 제어부(35)와, 제 2 유량 조절 밸브(13)를 제어하여 살균 모듈 증가 제어 모드를 수행한다. 살균 모듈 증가 제어 모드는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의 중간 전력으로의 동시 살균수 생성 동작과, 제 2 유량 조절 밸브(13)의 개방 동작을 포함한다.
단계(S67)에서, 제어부(50)는 살균 구동 제어부(35)로부터 제 1 살균 모듈(36a) 또는 제 2 살균 모듈(36b)에서 흐르는 전류값을 획득하고, 전류값과 기준값을 비교한다. 만약 획득된 전류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현재의 살균수의 농도가 원하는 농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S19)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S69)로 진행한다.
단계(S69)에서, 제어부(50)는 현재의 살균수의 농도가 원하는 농도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 2 유량 조절 밸브(13)를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변환하여 유량을 감소시키는 유량 감소 제어 모드(즉, 조리수 및 살균수 유량 조절부의 상시 유량 공급-제 1 조리수 및 살균수 공급 경로만을 통한 유량 공급)를 수행한다.
단계(S71)에서, 제어부(50)는 살균 구동 제어부(35)로부터 제 1 살균 모듈(36a) 또는 제 2 살균 모듈(36b)에서 흐르는 전류값을 획득하고, 전류값과 기준값을 비교한다. 만약 획득된 전류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현재의 살균수의 농도가 원하는 농도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S19)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S73)로 진행한다.
단계(S73)에서, 제어부(50)는 현재의 살균수의 농도가 원하는 농도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을 최대전력으로 동작하도록 살균 구동 제어부(35)를 제어하는 전력 증가 제어 모드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단계(S19)로 진행하여, 단계(S19)에서 정수가 유입되고 단계(S25)에서 살균수 중단 선택 입력이 없으면 지속적으로 살균수의 농도를 조절하면서 살균수를 공급한다.
상술된 도 4에서, 제어부(50)는 제 1 또는 제 2 살균 모듈(36a), (36b)에 흐르는 전류값을 기준으로 하여, 살균수 생성 동작을 수행하는 살균 모듈의 개수와, 살균 모듈의 동작 전력의 크기(최대/중간/최소) 및 살균 모듈을 통과하는 유량(최대 유량 공급 또는 상시 유량 공급)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변하여, 원하는 농도의 살균수를 생성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제어부(50)는 입수되는 원수(또는 정수)의 유량이 가변되거나, 원수의 총용존고형물 농도가 가변되더라고, 살균 농도가 일정한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술된 도 1 내지 4에서는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36a), (36b)를 이용하여 살균수 출수 모드를 구현하는 경우이나, 하나의 살균 모듈(즉, 제 1 살균 모듈(36a))만을 구비하거나 이용하여 살균수 출수 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제어부(50)는 단계(S51)부터 단계(S61)까지 수행하고, 단계(S61)에서 단계(S19)를 수행함으로써, 하나의 살균 모듈을 이용하여 유량과 살균 모듈의 전력을 조절함으로써 살균 농도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살균수 출수 모드를 정수의 유입이 지속되고 살균수 중단 선택 입력이 획득되지 전까지 단계(S51) 내지 단계(S73)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전원부 3:표시부
5: 입력부 7: 유량 센서
9: 제1 공급 밸브 11, 13: 제 1 및 제 2 유량 조절 밸브
15: 냉수부 17: 온수부
19: 온도 센서 21: 정수 출수 밸브
23: 냉수 출수 밸브 25: 온수 출수 밸브
27: 냉각수 펌프 29: 냉각수 밸브
31: 냉각수 배수 밸브 33: 온수 배수 밸브
35: 살균 구동 제어부 36a, 36b: 제 1 및 제 2 살균 모듈
37: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 45: 제 2 공급 밸브
50: 제어부

Claims (29)

  1. 원수를 정수 처리하여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 생성부와;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의 정수를 또는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의 정수를 전기 분해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와;
    상기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로부터의 정수를 출수구로 출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수부와;
    살균수 또는 정수인 조리수를 출수하는 공급관과;
    상기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로부터의 살균수 또는 정수를 또는 유량 감지 유로부로부터의 정수를 제 1 경로를 통하여 상기 공급관으로 출수하는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와;
    상기 제 1 경로에 연결되며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의 정수를 상기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에 공급하는 유량 감지 유로부와;
    상기 공급관에 장착되며,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의 정수가 상기 유량 감지 유로부로 유입 및 유입 차단되도록 하여 상기 정수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공급관 레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는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의 정수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공급 밸브와, 상기 공급 밸브로부터의 정수를 전기 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균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장치는 상기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경로 내의 정수 또는 살균수를 배수관으로 배수하는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부는 상기 정수 또는 살균수의 배수 또는 배수 중지를 수행하는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수 및 살균수 출수부는 상기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로부터의 살균수의 유량 또는 정수인 조리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리수 및 살균수 유량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수 및 살균수 유량 조절부는 상기 정수인 조리수 또는 살균수를 상시 공급하는 제 1 공급 경로와, 유량 조절 밸브의 개폐에 의해 상기 조리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제 2 공급 경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장치는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 상기 유량 감지 유로부로의 정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장치는 상기 유량 센서로부터의 유량 감지값에 따라 상기 공급 밸브, 살균 모듈,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 및 유량 조절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관 레버가 개방되어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 상기 유량 감지 유로부로 상기 정수가 유입되는 것을 상기 유량 센서로부터의 유량 감지값에 따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의 유입 판단 시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 밸브의 개방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의 정수를 상기 정수 및 살균수 공급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의 유입 판단 이후의 상기 정수의 유입 차단 판단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 밸브의 폐쇄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를 일정 시간 동안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장치는 살균수 선택 입력 또는 살균수 중단 선택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살균수 선택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정수의 유입 판단 시에, 상기 공급 밸브를 개방 제어하고 상기 살균 모듈을 동작시켜 상기 살균수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수의 생성 이후에 상기 입력부로부터 살균수 중단 선택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정수의 유입 차단 판단 시에, 상기 살균 모듈을 동작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모듈의 동작 중단 이후 상기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를 개방 제어하고 일정 시간 후에 상기 공급 밸브를 폐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 밸브의 폐쇄 이후 일정 시간 후에 상기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를 폐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수의 생성 이후에 상기 입력부로부터 살균수 중단 선택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정수의 유입 차단 판단 시에, 상기 공급 밸브를 폐쇄 제어하고 상기 살균 모듈을 동작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모듈의 동작 중단 이후에 상기 공급 밸브와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를 일정 시간 동안 개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 밸브와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의 일정 시간 동안의 개방 이후에 상기 공급 밸브를 폐쇄 제어하고 일정 시간 후에 상기 조리수 및 살균수 배수 밸브를 폐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모듈에 흐르는 전류값을 획득하여, 획득된 전류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살균수의 살균 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모듈의 동작 전력 또는 상기 조리수 및 살균수 유량 조절부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살균수의 살균 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모듈은 복수 개의 살균 모듈들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모듈의 동작 전력 또는 상기 조리수 및 살균수 유량 조절부의 유량 또는 동작하는 살균 모듈의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살균수의 살균 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160064386A 2016-05-25 2016-05-25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KR101861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386A KR101861710B1 (ko) 2016-05-25 2016-05-25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386A KR101861710B1 (ko) 2016-05-25 2016-05-25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199A KR20170133199A (ko) 2017-12-05
KR101861710B1 true KR101861710B1 (ko) 2018-05-29

Family

ID=6092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386A KR101861710B1 (ko) 2016-05-25 2016-05-25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829A1 (en) * 2019-05-17 2020-11-26 Lg Electronics Inc.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659B1 (ko) * 2022-06-09 2023-04-27 주식회사 더블에이치컴퍼레이션 정수기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5829A1 (en) * 2019-05-17 2020-11-26 Lg Electronics Inc.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199A (ko)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7730B1 (ko) 냉온수기의 살균장치
KR102601995B1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KR101344464B1 (ko)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KR101507860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11102734A (zh) 一种热水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861710B1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KR102491063B1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KR102567932B1 (ko)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KR20200047102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149287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40131616A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02735B1 (ko) 정수기
KR20180103580A (ko)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96779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200132601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13164A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JP2002039616A (ja) 給湯装置
KR10207917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2526971B1 (ko)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KR20140055279A (ko) 수처리 기기
KR101198652B1 (ko) 자가 살균 시스템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살균 방법
KR20130006234A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20120113166A (ko)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KR20200111366A (ko) 정수 장치
US20220332605A1 (en) Wate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