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464B1 -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464B1
KR101344464B1 KR1020110110019A KR20110110019A KR101344464B1 KR 101344464 B1 KR101344464 B1 KR 101344464B1 KR 1020110110019 A KR1020110110019 A KR 1020110110019A KR 20110110019 A KR20110110019 A KR 20110110019A KR 101344464 B1 KR101344464 B1 KR 101344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passage
cold
pur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783A (ko
Inventor
김영진
우경철
황선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0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464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5Water-storage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Abstract

본 발명의 정수기는 정수유닛의 물이 출수되는 정수출수유로와; 온수조의 물이 출수되는 온수출수유로와; 냉각코일의 물이 출수되는 냉수출수유로와; 출수모드시 정수와 냉수와 온수를 선택적으로 출수시키고, 살균모드시 상기 온수조에서 온수출수유로로 유동된 물 또는 스팀을 정수출수유로와 냉수출수유로로 유동시키는 유로 가변 수단을 포함하여 온수조에서 발생된 온수 또는 스팀에 의해 냉수출수유로와 냉각코일과 정수출수유로 모두를 살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Water purifier and Control process of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수조에서 생성된 온수 또는 스팀에 의해 정수출수유로와 냉수출수유로와 냉각코일이 살균될 수 있는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상수를 물리적,화학적 방법으로 걸러 불순물을 제거한 후 공급하는 장치이다.
정수기는 정수원리나 방식에 따라 분류되면,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나눌수 있다.
정수기는 정수유닛에서 정수된 물이 가열되는 온수조와, 정수유닛에서 정수된 물이 냉각되는 냉수조를 포함할 수 있고, 정수유닛에서 정수된 물과 온수조에서 가열된 물과 냉수조에서 냉각된 물은 선택적으로 출수될 수 있다.
KR 10-0613359(2006.08.09)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기는 온수가 정수 출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므로, 냉각코일을 효율적으로 살균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유닛의 물이 출수되는 정수출수유로와; 온수조의 물이 출수되는 온수출수유로와; 냉각코일의 물이 출수되는 냉수출수유로와; 출수모드시 정수와 냉수와 온수를 선택적으로 출수시키고, 살균모드시 상기 온수조에서 온수출수유로로 유동된 물 또는 스팀을 정수출수유로와 냉수출수유로로 유동시키는 유로 가변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유로 가변수단은 상기 정수출수유로에 설치된 정수출수밸브와; 상기 온수출수유로에 설치된 온수출수밸브와; 상기 냉수출수유로에 설치된 냉수출수밸브와; 상기 정수출수유로와 온수출수유로와 냉수출수유로가 연결된 공용출수유로와; 상기 공용출수유로에 설치된 공용출수밸브를 포함하고, 출수모드시 상기 온수출수밸브와 정수출수밸브와 냉수출수밸브 중 하나와 상기 공용출수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고, 살균모드시 상기 온수출수밸브와 상기 정수출수밸브와 냉수출수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 공용출수밸브를 밀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출수유로가 연결되는 정수유닛과; 상기 정수출수유로에 설치된 정수출수밸브와; 상기 정수출수유로와 온수용 정수유로로 연결되고 온수출수유로가 연결되는 온수조와; 상기 온수출수유로에 설치된 온수출수밸브와; 상기 정수출수유로와 냉각수용 정수유로로 연결되는 냉수조와; 상기 냉수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정수출수유로와 냉수용 정수유로로 연결되며 냉수출수유로가 연결되는 냉각코일과; 상기 정수출수유로와 온수출수유로와 냉수출수유로가 연결된 공용출수유로와; 상기 공용출수유로에 설치된 공용출수밸브를 포함하고, 살균모드시 상기 온수출수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공용출수밸브가 밀폐되며 상기 정수출수밸브와 냉수출수밸브가 개방된다.
상기 정수 출수유로 중 상기 냉각수용 정수유로 연결부와 상기 온수용 정수유로 연결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살균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살균 밸브는 살균모드시 폐쇄되며 비살균모드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용 정수유로에 설치된 냉각수용 정수유로 조절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냉각수용 정수유로 조절밸브는 살균모드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냉수조에 연결된 냉수조 배수유로와, 상기 냉수조 배수유로에 설치된 냉수조 배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냉수조 배수밸브는 살균모드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공용출수유로와 상기 냉수조 배수유로를 연결하는 공용배수유로와, 공용배수유로에 설치된 공용배수유로 조절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공용배수유로 조절밸브는 살균모드시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정수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냉수조 배수유로와 연결된 정수유닛 배수유로와, 정수부 배수유로에 설치된 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유닛으로 입수되는 물을 조절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급수밸브는 살균모드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온수조에는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유로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스팀배출유로는 스팀배출밸브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팀배출밸브는 살균모드시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정수유닛으로 입수되는 물을 조절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급수밸브는 살균모드시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온수조에는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히터는 살균모드시 물을 스팀 발생온도로 가열시킬 수 있다.
상기 살균모드는 상기 온수출수유로의 온수 또는 스팀이 상기 정수출수밸브를 통과한 후 상기 냉수조로 유동되는 정수출수유로 살균모드와, 상기 온수출수유로의 온수 또는 스팀이 상기 냉수출수밸브와 냉각코일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냉수조로 유동되는 냉수출수유로 및 냉각코일 살균모드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정수기는 상기 정수출수유로 살균모드가 먼저 실시된 후 상기 냉수출수유로 및 냉각 코일 살균모드가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정수출수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냉수용 정수유로가 연결된 삼방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삼방밸브는 정수출수유로 살균모드시 상기 정수출수밸브를 통과한 온수 또는 스팀이 상기 냉수조를 향해 유동되게 동작될 수 있으며, 냉수출수유로 및 냉각코일 살균모드시 상기 냉각코일을 통과한 온수 또는 스팀이 상기 냉수조를 향해 유동되게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공용출수유로의 물을 외부로 출수하는 출수코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출수코크에는 출수되는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정수출수밸브와 냉수출수밸브는 살균 모드시 함께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운전 방법은 온수조에서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이 정수 출수유로를 통과한 후 냉수조로 유동되는 선 살균단계와; 상기 선 살균단계 후 상기 온수조에서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이 냉수 출수유로와 냉각 코일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냉수조로 유동되는 후 살균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온수조에서 발생된 온수 또는 스팀에 의해 냉수출수유로와 냉각코일과 정수출수유로 모두를 살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냉각코일이 정수출수유로의 살균시 냉수조로 유입된 온수 또는 스팀에 의해 미리 가열된 후 살균될 수 있어, 냉각코일이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살균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일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일실시예의 정수 출수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일실시예의 온수 출수시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일실시예의 냉수 출수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일실시예의 정수출수유로 살균시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일실시예의 냉수출수유로 및 냉각코일 살균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운전 방법 일실시예의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다른 일실시예의 정수출수유로와 냉수출수유로 및 냉각코일 살균시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또 다른 일실시예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일실시예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일실시예의 정수 출수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일실시예의 온수 출수시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일실시예의 냉수 출수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일실시예의 정수출수유로 살균시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일실시예의 냉수출수유로 및 냉각코일 살균시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정수기는 정수유닛(2)과 연결되는 정수출수유로(20)와; 온수조(28)와 연결되는 온수출수유로(34)와; 냉각코일(44)과 연결되는 냉수출수유로(50)와; 출수모드시 정수와 냉수와 온수를 선택적으로 출수시키고, 살균모드시 온수조(28)에서 온수출수유로(34)로 유동된 물 또는 스팀을 정수출수유로(20)와 냉수출수유로(50)로 유동시키는 유로 가변 수단(66)을 포함한다.
정수유닛(2)은 수도꼭지 등의 원수 공급원(8)과 원수 급수유로(10)로 연결되어, 원수 공급원(8)에서 급수된 물을 정수한다.
원수 급수유로(10)에는 정수유닛(2)으로 입수되는 물을 조절하는 급수밸브(11)가 설치될 수 있다.
정수유닛(2)은 물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복수개의 필터(12)(14)(1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필터(12)(14)(16)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와 선 카본 필터와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Reverse Osmosis membrame filter)와 중공사막 멤브레인 필터(Ultra Filtration membrame filter)와 후 카본 필터가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필터(12)(14)(16)는 어느 하나의 필터(12)가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또는 선카본 필터(Pre carbon filter)로 구성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필터(12)에서 정수된 물이 통과하는 다른 하나의 필터(14)가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Reverse Osmosis membrame filter) 또는 중공사막 멤브레인 필터(Ultra Filtration membrame filter)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필터(14)에서 정수된 물이 통과하는 또 다른 하나의 필터(16)가 후카본 필터(Post carbon filter)로 구성될 수 있다.
정수출수유로(20)는 정수유닛(2)을 통과하면서 정수된 물이 출수되게 연결될 수 있다.
정수출수유로(20)에는 정수유닛(2)에서 유출된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22)가 설치될 수 있다.
온수조(28)는 정수출수유로(20)와 온수용 정수유로(26)로 연결되어 정수출수유로(20)에서 온수용 정수유로(26)를 통해 유동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온수조(28)에는 온수조(28) 내의 물을 가열할 수 있는 히터(30)가 설치될 수 있다.
온수조(28)에는 온수용 정수유로(26)를 통해 유입된 물이 담겨지고, 히터(30)는 온수조(28) 내의 물을 가열한다.
온수조(28)에는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유로(31)가 연결될 수 있고, 온수조(28)의 물을 가열할 때 발생된 스팀은 스팀배출유로(3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스팀배출유로(31)에는 스팀배출밸브(32)가 설치될 수 있고, 스팀배출밸브(32)는 스팀배출유로(31)의 스팀을 통과시키거나 막을 수 있다.
스팀배출밸브(32)는 LEV나 EEV와 같이 개도가 조절될 수 있는 개도조절밸브나 솔레노이드 밸브와 개폐될 수 있는 개폐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온수조(28)에는 온수조(28)의 물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33)가 설치될 수 있다.
히터(30)는 온도센서(33)에서 감지된 물의 온도가 하한 설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온되어 온수조(28)의 물을 가열할 수 있고, 온도센서(33)에서 감지된 물의 온도가 상한 설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오프되어 온수조(28)의 물을 가열하지 않을 수 있다.
온수출수유로(34)는 온수조(28)에서 가열된 물이 출수되게 연결될 수 있다.
냉수조(40)는 정수출수유로(20)와 냉각수용 정수유로(38)로 연결될 수 있다.
냉각코일(44)은 냉수조(40) 내부에 배치되어 냉수조(40) 내의 냉각된 물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냉각코일(44)은 정수출수유로(20)와 냉수용 정수유로(42)로 연결될 수 있다.
냉각수용 정수유로(38)와 냉수용 정수유로(42)는 그 각각이 정수출수유로(20)에 연결되어 정수출수유로(20)를 통과하는 물이 냉각수용 정수유로(38)와 냉수용 정수유로(42)로 각각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냉각수용 정수유로(38)와 냉수용 정수유로(42)는 둘 중 냉각수용 정수유로(38)가 정수출수유로(20)에 직접 연결되고, 냉수용 정수유로(42)가 냉각수용 정수유로(38)에 연결되어 냉수용 정수유로(42)가 냉각수용 정수유로(38)를 통해 정수출수유로(20)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냉수용 정수유로(42)가 정수출수유로(20)에 직접 연결되고, 냉각수용 정수유로(38)가 냉수용 정수유로(42)에 연결되어 냉각수용 정수유로(38)가 냉수용 정수유로(42)를 통해 정수출수유로(20)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냉수조(40)에는 냉수조 배수유로(45)가 연결될 수 있고, 냉수조 배수유로(45)에는 냉수조 배수밸브(46)가 설치될 수 있다.
냉수조(40)의 물은 냉수조 배수유로(45)를 통해 배수될 수 있고, 냉수조 배수밸브(46)는 냉수조(40)에서 유출된 물을 통과시키거나 막는다.
냉수조 배수밸브(46)는 후술하는 살균모드시 개방될 수 있다.
냉수조(40)는 그 내부의 물이 냉각장치(48)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냉각장치(48)는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기구와,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를 갖는 냉동사이클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증발기는 냉수조(40)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수조(40) 내의 물 냉각시키거나 냉수조(40)의 외벽에 설치되어 냉수조(40)를 통해 냉수조(40)내의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냉수출수유로(50)는 냉각코일(44)에서 냉각된 물이 출수되게 연결될 수 있다.
정수기는 냉각수용 정수유로(38)를 통해 냉수조(40)로 유동된 물이 냉각코일(44)과 열교환되기 위해 냉수조(40)에 담겨질 수 있고, 냉수조(40) 내의 물은 냉수조 배수밸브(46)의 개방시 냉수조 배수유로(45)를 통해 배수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기는 냉수용 정수유로(42)를 통해 냉각코일(44)로 유입된 물이 냉각코일(44)을 통과하면서 냉수조(40)에 담겨진 물에 의해 냉각될 수 있고, 냉각코일(44)에서 냉각된 물은 냉수출수유로(50)를 통해 출수될 수 있다.
유로 가변수단(66)은 정수출수유로(20)에 설치된 정수출수밸브(24)와; 온수출수유로(34)에 설치된 온수출수밸브(36)와; 냉수출수유로(50)에 설치된 냉수출수밸브(52)와; 정수출수유로(20)와 온수출수유로(34)와 냉수출수유로(50)가 연결된 공용출수유로(56)와; 공용출수유로(56)에 설치된 공용출수밸브(58)를 포함한다.
유로 가변수단(66)은 출수모드시 온수출수밸브(36)와 정수출수밸브(24)와 냉수출수밸브(52) 중 하나와 공용출수밸브(58)를 개방시키고, 살균모드시 온수출수밸브(36)와 정수출수밸브(24)와 냉수출수밸브(52)를 개방시키고 공용출수밸브(58)를 밀폐시킨다.
정수출수밸브(24)는 정수유닛(2)에서 유출된 물을 통과시키거나 막는을 수 있고, 정수유닛(2)에서 정수된 물(즉, 정수)의 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정수출수밸브(24)는 정수 출수버튼나 정수 출수레버 등의 정수출수입력부(25)를 통해 정수출수명령이 입력되면 물을 통과시킬 수 있고 정수출수입력부(25)를 통해 정수출수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물을 막을 수 있다.
정수출수밸브(24)는 LEV나 EEV와 같이 개도가 조절될 수 있는 개도조절밸브나 솔레노이드 밸브와 개폐될 수 있는 개폐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온수출수밸브(36)는 온수조(28)에서 유출된 물을 통과시키거나 막을 수 있고, 온수조(28)에서 가열된 물(즉, 온수)의 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온수 출수밸브(36)는 온수 출수버튼이나 온수 출수레버 등의 온수출수입력부(37)를 통해 온수출수 명령이 입력되면 물을 통과시킬 수 있고 온수출수입력부(37)를 통해 온수출수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물는 막을 수 있다.
온수 출수밸브(36)는 LEV나 EEV와 같이 개도가 조절될 수 있는 개도조절밸브나 솔레노이드 밸브와 개폐될 수 있는 개폐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냉수출수밸브(52)는 냉각코일(44)에서 유출된 물을 통과시키거나 막을 수 있고, 냉각코일(44)에서 냉각된 물의 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냉수출수밸브(52)는 냉수 출수버튼이나 냉수 출수레버 등의 냉수 출수 입력부(54)를 통해 냉수출수 명령이 입력되면 물을 통과시킬 수 있고 냉수 출수 입력부(54)를 통해 냉수출수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물의 출수를 막을 수 있다.
냉수출수밸브(52)는 LEV나 EEV와 같이 개도가 조절될 수 있는 개도조절밸브나 솔레노이드 밸브와 개폐될 수 있는 개폐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공용출수밸브(58)는 공용출수유로(56)의 물을 통과시키거나 막을 수 있고, 정수유닛(2)에서 정수된 물과 온수조(28)에서 가열된 물과 냉각코일(44)에서 냉각된 물의 출수를 조절할 수 있다.
공용출수밸브(58)는 LEV나 EEV와 같이 개도가 조절될 수 있는 개도조절밸브나 솔레노이드 밸브와 개폐될 수 있는 개폐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정수기는 공용출수유로(56)의 물을 정수기 외부로 출수하는 출수코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수코크(60)는 공용출수유로(56) 중 공용출수밸브(58)의 후류에 설치될 수 있고, 물은 공용출수밸브(58)를 통과한 후 출수코크(60)를 통과하여 정수기 외부로 출수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용출수밸브(58)는 출수코크(6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물은 출수코크(60)로 유입되어 공용출수밸브(58)를 통과한 후 정수기의 외부로 출수되는 것이 가능하다.
출수코크(60)에는 출수되는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기구(62)가 설치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기구는 출수코크(60)의 유로에 설치된 자외선 램프 또는 자외선 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고, 출수코크(60)를 통한 물의 출수시 온되어 출수코크를 통해 출수되는 물을 자외선 살균시킬 수 있다.
한편, 정수기는 온수조(28)에서 가열된 물이 정수출수유로(20)로 유입되어 정수출수유로(20)를 살균시키는 고온수 살균이 가능하고, 온수조(28)에서 생성된 스팀이 정수출수유로(20)로 유입되어 정수출수유로(20)를 살균시키는 스팀 살균이 가능하다.
정수기는 온수조(28)에서 가열된 물이 냉수출수유로(50)와 냉수코일(42)로 유입되어 냉수출수유로(50)와 냉수코일(42)을 살균시키는 고온수 살균이 가능하고, 온수조(28)에서 생성된 스팀이 냉수출수유로(50)와 냉수코일(42)로 유입되어 냉수출수유로(50)와 냉수코일(42)을 살균시키는 스팀 살균이 가능하다.
즉, 정수기는 온수조(28)에서 고온의 물이 유출될 경우, 정수출수유로(20)와 냉수출수유로(50)와 냉수코일(42)이 고온의 물에 의해 살균될 수 있고, 온수조(28)에서 스팀이 유출될 경우 정수출수유로(20)와 냉수출수유로(50)와 냉수코일(42)이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
정수기는 살균모드시 급수밸브(11)가 폐쇄되고, 스팀배출밸브(32)가 폐쇄되며, 히터(30)가 온수조(28)의 물을 가열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온수조(28)의 물은 고온으로 승온되어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스팀은 온수출수유로(34)로 유출될 수 있으며, 온수출수유로(34)로 유출된 스팀은 정수출수유로(20)와 냉수출수유로(50)와 냉수코일(42)을 스팀 살균할 수 있다. 이때, 히터(30)는 살균모드시 온수조(28)의 물을 비살균모드시 보다 높은 스팀 발생온도로 가열시킬 수 있다.
반면에, 정수기는 살균모드시 급수밸브(11)가 개방되고, 스팀배출밸브(32)가 개방되며, 히터(30)가 온수조(38)의 물을 가열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온수조(28)의 물은 고온으로 승온되어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스팀은 스팀배출유로(31)를 통해 배출되며, 고온으로 승온된 물은 정수출수유로(20)와 냉수출수유로(50)와 냉수코일(42)을 고온수 살균할 수 있다. 이때, 히터(30)는 살균모드시 온수조(28)의 물을 스팀 발생온도 미만으로 가열시킬 수 있다.
출수모드는 정수유닛(2)에서 정수된 물이 정수출수밸브(24)와 공용출수밸브(58)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출수되는 정수출수모드를 갖을 수 있다.
출수모드는 온수조(28)에서 가열된 물이 온수출수밸브(36)와 공용출수밸브(58)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출수되는 온수출수모드를 갖을 수 있다.
출수모드는 냉각코일(44)에서 냉각된 물이 냉수출수밸브(52)와 공용출수밸브(58)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출수되는 냉수출수모드를 갖을 수 있다.
살균모드는 정수출수유로(20)가 살균되는 정수출수유로 살균모드를 갖을 수 있다.
정수출수유로 살균모드는 온수출수유로(34)의 온수 또는 스팀이 정수출수밸브(24)를 통과한 후 냉수조(40)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온수 또는 스팀은 정수출수유로(20)와 정수출수밸브(24)를 먼저 살균시킬 수 있고, 이후 냉수조(40)를 살균시킬 수 있다.
살균모드는 냉수출수유로(50)와 냉각 코일(42)이 살균되는 냉수출수유로 및 냉각 코일 살균모드를 갖을 수 있다.
냉수출수유로 및 냉각코일 살균모드는 온수출수유로(34)의 온수 또는 스팀이 냉수출수밸브(52)와 냉각코일(44)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냉수조(40)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온수 또는 스팀은 냉수출수유로(50)와 냉수출수밸브(52)를 먼저 살균시킬 수 있고, 이후 냉각 코일(42)을 살균시킬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냉수조(40)를 살균시킬 수 있다.
정수기는 정수출수유로 살균모드와 냉수출수유로 및 냉각 코일 살균모드가 살균모드가 될 수 있고, 정수출수모드와 온수출수모드와 냉수출수모드가 비살균모드가 될 수 있다.
정수기는 살균모드시 온수출수밸브(36)가 개방되고, 공용출수밸브(58)가 밀폐되며, 정수출수밸브(24)와 냉수출수밸브(52)가 개방될 수 있다.
정수기는 살균모드시 정수출수밸브(24)와 냉수출수밸브(52)가 함께 개방되었다가 함께 밀폐될 수 있고, 둘 중 어느 하나(24)가 먼저 개방되는 동안 다른 하나(52)가 폐쇄되고 이후 개방되었던 어느 하나(24)가 폐쇄되는 동안 다른 하나(52)가 개방될 수 있다.
정수기는 정수출수유로 살균모드시 온수출수밸브(36)가 개방되고, 공용출수밸브(58)와 냉수출수밸브(52)가 밀폐되며, 정수출수밸브(24)가 개방될 수 있다.
정수기는 냉수출수유로 및 냉각 코일 살균모드시 온수출수밸브(36)가 개방되고, 공용출수밸브(58)와 정수출수밸브(24)가 밀폐되며, 냉수출수밸브(52)가 개방될 수 있다.
정수기는 살균모드시 정수출수유로 살균모드가 먼저 실시된 후 냉수출수유로 및 냉각코일 살균모드가 실시될 수 있다.
정수기는 정수출수유로 살균모드와 냉수출수유로 및 냉각코일 살균모드 중 정수출수유로 살균모드가 먼저 실시되면, 정수출수유로 살균모드시 냉수조(40)로 유입된 물 또는 스팀이 냉수조(40) 내부를 가열하여 냉각코일(44)의 온도를 높일 수 있고, 냉각코일(44)의 온도가 승온된 상태에서, 냉각코일 살균모드 중 정수출수유로 살균모드가 실시되면, 냉각코일(44)로 유입된 물 또는 스팀은 냉각코일(44)을 보다 신속하게 살균시킬 수 있다.
정수기는 정수출수유로(20) 중 온수용 정수유로(26)가 연결되는 온수용 정수유로 연결부(20')와, 냉각수용 정수유로(38)가 연결되는 냉각수용 정수유로 연결부(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살균 밸브(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살균 밸브(70)는 살균모드시 폐쇄될 수 있고, 비살균모드시 개방될 수 있다.
살균 밸브(70)는 비살균모드시 개방되어 정수유닛(2)을 통과한 물이 냉수조(40)와 냉각코일(44)과 정수출수밸브(24)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살균 밸브(70)는 살균모드시 폐쇄되어 정수출수밸브(24)에서 유동된 온수 또는 스팀이 온수용 정수유로 연결부(20')로 유동되지 않고 냉각수용 정수유로(38)를 통해 냉수조(40)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정수기는 냉각수용 정수유로(38)에 설치된 냉각수용 정수유로 조절밸브(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수용 정수유로 조절밸브(72)는 정수기를 초기 운전할 때 또는 냉수조(40) 내 물의 배수할 때 개방되어, 정수유닛(2)에서 정수된 물이 냉각수용 정수유로(38)를 통해 냉수조(40)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
냉각수용 정수유로 조절밸브(72)는 살균모드시 개방되어, 온수출수밸브(36)와 정수출수밸브(24)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물 또는 스팀이 냉각수용 정수유로(38)를 통해 냉수조(40)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정수기는 정수출수유로(20)에 설치되고 냉수용 정수유로(42)가 연결된 삼방밸브(74)를 포함할 수 있다.
삼방밸브(74)는 정수출수유로(20)와 냉수용 정수유로(42)를 연통시키는 냉수용 정수유로 개방모드와, 정수출수유로(20)와 냉수용 정수유로(42)를 차단시키는 냉수용 정수유로 밀폐모드를 갖을 수 있다.
삼방밸브(74)는 정수출수모드시 냉수용 정수유로 밀폐모드로 동작되어 정수유닛(2)에서 정수된 물이 정수출수밸브(24)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삼방밸브(74)는 냉수출수모드시 냉수용 정수유로 개방모드로 동작되어, 정수유닛(2)에서 정수된 물이 냉수용 정수유로(42)를 통해 냉각코일(44)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삼방밸브(74)는 정수출수유로 살균모드시 정수출수밸브(24)를 통과한 온수 또는 스팀이 냉수조(40)를 향해 유동되게 동작될 수 있다. 즉, 삼방밸브(74)는 냉수용 정수유로 밀폐모드로 동작될 수 있고, 온수출수밸브(36)와 정수출수밸브(24)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물 또는 스팀은 냉수용 정수유로(42)로 유동되지 않고 냉각수용 정수유로(38)를 통해 냉수조(40)로 유동될 수 있다.
삼방밸브(74)는 냉수출수유로 및 냉각코일 살균모드시 냉각코일(44)을 통과한 온수 또는 스팀이 냉수조(40)를 향해 유동되게 동작된다. 즉, 삼방밸브(74)는 냉수용 정수유로 개방모드로 동작될 수 있고, 온수출수밸브(36)와 냉수출수밸브(52)와 냉각코일(44)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물 또는 스팀은 냉수용 정수유로(42)와 냉각수용 정수유로(38)를 통해 냉수조(40)로 유동될 수 있다.
정수기는 공용출수유로(56)와 냉수조 배수유로(45)를 연결하는 공용배수유로(80)와, 공용배수유로(80)에 설치된 공용배수유로 조절밸브(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용배수유로 조절밸브(82)는 정수출수모드와 온수출수모드와 냉수출수보드시 폐쇄될 수 있고, 살균모드시 폐쇄될 수 있다.
정수기는 공용출수밸브(58)를 밀폐한 상태에서 정수출수밸브(24)와 공용배수유로 조절밸브(82)를 개방하면, 정수출수유로(20)의 물이 공용배수유로(80)를 통해 배수될 수 있고, 공용출수밸브(58)를 밀폐한 상태에서 온수출수밸브(36)와 공용배수유로 조절밸브(82)를 개방하면, 온수출수유로(34)의 물이 공용배수유로(80)를 통해 배수될 수 있으며, 공용출수밸브(58)를 밀폐한 상태에서 냉수출수밸브(52)와 공용배수유로 조절밸브(82)를 개방하면, 냉수출수유로(50)의 물이 공용배수유로(80)를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정수기는 공용출수밸브(58)를 개방한 상태에서 공용배수유로 조절밸브(82)를 개방하면, 공용출수밸브(58)와 출수코크(60)의 물이 공용배수유로(80)를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정수기는 정수유닛(2)에 연결되고 냉수조 배수유로(45)와 연결된 정수유닛 배수유로(84)와, 정수부 배수유로(84)에 설치된 체크밸브(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수유닛 배수유로(84)는 복수개의 필터(12)(14)(16) 중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에 연결될 수 있고, 역삼투입 멤브레인 필터에서 배수되는 물은 체크밸브(86)를 통과해 배수될 수 있으며, 공용배수유로(80)의 물과 냉수조 배수유로(45)의 물은 체크밸브(86)에 막혀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로 역류되지 못한다.
정수기는 냉수조(40)의 상부에 상부 드레인 유로(88)가 형성될 수 있고, 정수기 상부 드레인 유로(88)는 공용배수유로(80)에 연결될 수 있다.
정수기는 냉수조 배수유로(45)와 공용배수유로(80)와 정수유닛 배수유로(84)는 외부 드레인유로(90)에 연결될 수 있다.
정수기는 살균 모드를 입력할 수 있는 살균 입력부(92)와, 정수기를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유량센서(22) 및 온도 센서(33)의 감지와 정수 출수 입력부(25)와 온수 출수 입력부(37)와 냉수 출수 입력부(54)와 살균 입력부(92)의 입력에 따라 급수 밸브(11)와 정수출수밸브(24)와 히터(30)와 스팀배출밸브(32)와 냉수조 배수밸브(46)와 냉각장치(48)와 냉수출수밸브(52)와 공용출수밸브(58)와 자외선조사기구(62)와 살균밸브(70)와 냉각수용 정수유로조절밸브(72)와 삼방밸브(74)와 공용배수유로 조절밸브(82)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살균 입력부(92)의 입력시 살균모드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기설정된 살균 조건이 만족되면 살균 입력부(92)의 살균과 무관하게 살균모드를 자동으로 실시한 후 종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살균 조건은 정수기의 운전시간이 운전 설정시간에 도달되는 조건이거나, 정수기가 정수나 냉수를 출수하지 않는 시간이 미출수 설정시간에 도달되는 조건 등의 다양한 조건이 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수출수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정수 출수 입력부(25)를 통해 정수 출수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00)는 공용출수밸브(58)와 정수출수밸브(24)를 개방할 수 있고, 삼방밸브(74)를 냉수용 정수유로 밀폐모드로 조절할 수 있으며, 살균밸브(70)를 개방할 수 있고, 급수밸브(11)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공용배수유로 조절밸브(82)를 밀폐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 공급원(8)의 물은 급수밸브(11)를 통과 한 후 정수유닛(2)에서 정수될 수 있다. 정수유닛(2)에서 정수된 물은 살균 밸브(70)와 삼방밸브(74)와 정수출수밸브(24)와 공용출수밸브(58)를 차례로 통과한 후 출수코크(60)를 통해 출수된다.
이하, 온수출수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온수 출수 입력부(37)를 통해 온수 출수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00)는 공용출수밸브(58)와 온수출수밸브(36)와 급수밸브(11)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공용배수유로 조절밸브(82)를 밀폐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 공급원(8)의 물은 급수밸브(11)를 통과 한 후 정수유닛(2)에서 정수되고, 이후 정수출수유로(20)에서 온수용 정수유로(26)를 통해 온수조(28)로 유입된 후 온수조(28)에서 가열될 수 있다.
온수조(28)의 물은 온수출수밸브(36)와 공용출수밸브(58)를 차례로 통과한 후 출수코크(60)를 통해 출수된다.
이하, 냉수출수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냉수 출수 입력부(54)를 통해 냉수 출수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00)는 공용출수밸브(58)와 냉수출수밸브(52)를 개방할 수 있고, 삼방밸브(74)를 냉수용 정수유로 개방모드로 조절할 수 있으며, 살균밸브(70)를 개방할 수 있고, 급수밸브(11)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공용배수유로 조절밸브(82)를 밀폐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 공급원(8)의 물은 급수밸브(11)를 통과 한 후 정수유닛(2)에서 정수된다. 정수유닛(2)에서 정수된 물은 살균 밸브(70)를 통과한 후 삼방밸브(74)에서 냉수용 정수유로(42)를 통해 냉각코일(44)로 유입된 후 냉각코일(44)에서 냉각될 수 있다.
냉각코일(44)의 물은 냉수출수밸브(52)와 공용출수밸브(58)를 차례로 통과한 후 출수코크(60)를 통해 출수된다.
이하, 살균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살균 입력부(92)를 입력하거나 정수기가 기설정된 살균 조건이 되면 살균모드를 실시될 수 있고, 살균모드는 사용자가 살균 입력부(92)를 통해 살균모드를 정지시키거나 살균모드가 실시되기 시작한 후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완료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살균모드시 온수출수밸브(36)를 개방할 수 있고, 공용출수밸브(58)를 밀폐할 수 있으며, 정수출수밸브(24)와 냉수출수밸브(52)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온수출수밸브(36)의 개방시 정수출수밸브(24)를 개방시키고, 냉수출수밸브(52)가 밀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00)는 온수출수밸브(36)의 개방시 정수출수밸브(24)를 밀폐되고, 냉수출수밸브(52)를 개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00)는 살균모드시 히터(30)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이용하는 우, 급수밸브(11)와 스팀배출밸브(32)를 개방할 수 있고, 살균모드시 히터(30)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스팀을 이용하는 경우 급수밸브(11)와 스팀배출밸브(32)를 밀폐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살균모드시 냉각수용 정수유로 조절밸브(72)를 개방할 수 있고, 냉수조 배수밸브(46)를 개방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살균모드시 삼방밸브(74)를 냉수용 정수유로 개방모드와, 냉수용 정수유로 밀폐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 먼저 조절한 후 이후 다른 모드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살균모드기 정수출수유로(20)를 먼저 살균시키고, 이후 냉수출수유로(50)와 냉각코일(44)을 살균시킬 경우, 냉수용 정수유로 밀폐모드로 먼저 조절된 후 냉수용 정수유로 개방모드로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살균모드시 공용배수유로 조절밸브(82)를 밀폐할 수 있다.
이하, 제어부(100)는 정수출수유로 살균모드를 먼저 실시한 후 냉수출수유로 및 냉각코일 살균모드를 실시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운전 방법 일실시예의 순서도이다.
정수기의 운전 방법은 온수조(28)에서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이 정수 출수유로(20)를 통과한 후 냉수조(40)로 유동되는 선 살균단계(S1)(S2)와; 선 살균단계(S1)(S2) 후 온수조(28)에서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이 냉수 출수유로(50)와 냉각 코일(44)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냉수조(40)로 유동되는 후 살균단계(S3)(S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편의를 위해, 정수기가 스팀을 이용하여 살균모드를 실시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선 살균단계(S1)(S2)는 살균 입력부(92)를 통해 살균 명령 입력되거나 정수기가 기설정된 살균 조건이 되면 개시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히터(30)가 온수조(28)의 물을 스팀 발생온도로 가열시키게 히터(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공용출수밸브(58)와 살균밸브(70)를 밀폐할 수 있고, 온수출수밸브(36)와 정수출수밸브(24)를 개방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삼방밸브(74)를 냉수용 정수유로 밀폐모드로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냉각수용 정수유로 조절밸브(72)를 개방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냉수조 배수밸브(46)를 개방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공용배수유로 조절밸브(82)를 밀폐할 수 있다.
선 살균단계(S1)(S2)시, 온수조(28)의 물은 히터(30)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될 수 있고, 발생된 스팀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출수유로(34)를 통과하여 온수출수밸브(36)로 유동되고, 이후 공용출수유로(56)에서 정수출수유로(20)로 유입되며, 정수출수밸브(24)를 통과한다. 스팀은 정수출수밸브(24)를 통과하면서 정수출수밸브(24)를 살균시키고, 이후 삼방밸브(74)로 유동된다. 스팀은 삼방밸브(74)를 통과하면서 삼방밸브(74)를 살균시키고, 이후 살균밸브(70)에 막히고 정수출수유로(20)에서 냉각수용 정수유로(38)로 유입되며, 냉각수용 정수유로 조절밸브(72)를 통과하면서 냉각수용 정수유로 조절밸브(72)를 살균시킨다. 냉각수용 정수유로 조절밸브(72)를 살균시킨 스팀은 냉수조(40)의 내부로 유입되어 냉수조(40)의 내부를 살균시킨다. 냉수조(40)의 내부는 살균모드 이전에 기형성되어 있던 결빙이 녹으면서 승온되고, 냉각 코일(44)도 냉수조(40)의 온도 상승에 의해 함께 승온된다. 한편, 냉수조(40)의 물은 냉수조 배수유로(45)와 냉수조 배수밸브(46)를 통해 정수기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정수기는 선 살균단계(S1)(S2)가 실시되고 살균모드의 전환조건이 되면, 선 살균단계(S1)(S2)가 완료되고 후 살균단계(S3)(S4)(S5)가 실시될 수 잇다.
여기서, 살균모드의 전환조건은 선 살균단계(S1)(S2)가 실시 개시된 이후 전환 설정시간이 되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이외에 정수출수유로(20)가 충분히 살균되는 조건이 되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후 살균단계(S3)(S4)(S5)는 선 살균단계(S1)(S2)의 완료와 동시에 개시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히터(30)가 온수조(28)의 물을 스팀 발생온도로 가열시키게 히터(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공용출수밸브(58)와 살균밸브(70)를 밀폐할 수 있고, 온수출수밸브(36)와 냉수출수밸브(52)를 개방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삼방밸브(74)를 냉수용 정수유로 개방모드로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냉각수용 정수유로 조절밸브(72)를 개방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냉수조 배수밸브(46)를 개방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공용배수유로 조절밸브(82)를 밀폐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선 살균단계(S1)(S2)에서 후 살균단계(S3)(S4)(S5)로 전환될 때, 히터(30)가 선 살균단계(S1)(S2)와 같이 온수조(28)의 물을 가열하게 할 수 있고, 선 살균단계(S1)(S2)에서 개방이었던 정수출수밸브(24)를 밀폐로 전환함과 아울러 선 살균단계(S1)(S2)에서 밀폐였던 냉수출수밸브(52)를 개방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선 살균단계(S1)(S2)에서 냉수용 정수유로 밀폐모드였던 삼방밸브(74)를 냉수용 정수유로 밀폐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후 살균단계(S3)(S4)(S5)시, 온수조(28)의 스팀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출수유로(34)를 통과하여 온수출수밸브(36)로 유동되고, 이후 공용출수유로(56)에서 냉수출수유로(50)로 유입되며, 냉수출수밸브(52)를 통과한다. 스팀은 냉수출수밸브(52)를 통과하면서 냉수출수밸브(52)를 살균시키고, 이후 냉각코일(44)로 유동된다. 스팀은 냉각코일(44)을 통과하면서 냉각코일(44)을 살균시킨다. 냉각코일(44)은 선 살균단계에서 승온된 상태이므로, 스팀의 살균에 의한 살균이 신속하게 행해질 수 있다. 냉각코일(44)에서 냉각코일(44)을 살균시킨 스팀은 냉수용 정수유로(42)를 통과하면서 냉수용 정수유로(42)를 살균시키고, 이후 삼방밸브(74)를 통과하면서 삼방밸브(74)를 추가 살균시킨다. 삼방밸브(74)로 유입된 스팀은 정수출수유로(20) 중 정수출수밸브(24)의 반대 방향으로 유동되며, 살균밸브(70)에 막힌 후 정수출수유로(20)에서 냉각수용 정수유로(38)로 유입된다. 냉각수용 정수유로(38)로 유입된 스팀은 냉각수용 정수유로 조절밸브(72)를 통과하면서 냉각수용 정수유로 조절밸브(72)를 살균시킨다. 그리고, 냉각수용 정수유로 조절밸브(72)를 살균시킨 스팀은 냉수조(40)의 내부로 유입되어 냉수조(40)의 내부를 살균시킨다. 냉수조(40)는 스팀이 계속 유입되는 것에 의해 지속적으로 살균되고, 냉수조(40)의 물은 냉수조 배수유로(45)와 냉수조 배수밸브(46)를 통해 정수기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정수기는 후 살균단계(S3)(S4)(S5)가 실시되고 살균 완료 조건이 되면, 후 살균단계(S3)(S4)(S5)가 완료되고, 살균모드가 완료될 수 있다.
여기서, 살균 완료 조건은 선 살균단계(S1)(S2)가 개시되고 살균 완료 설정시간이 되거나, 후 살균단계(S3)(S4)(S5)가 개시되고 살균 완료 설정시간이 되거나 냉수출수유로(50)와 냉각코일(44)이 충분히 살균되는 조건이 되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정수기는 후 살균단계(S3)(S4)(S5)의 도중에 살균 입력부(92)를 통해 살균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완료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다른 일실시예의 정수출수유로와 냉수출수유로 및 냉각코일 살균시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정수기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달리 정수출수유로(20)와 냉수출수유로(50) 및 냉각코일(44)이 함께 살균될 수 있고, 정수출수유로(20)와 냉수출수유로(50) 및 냉각코일(44)이 함께 살균되는 것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정수기는 살균모드시 공용출수밸브(58)가 밀폐될 수 있고, 온수출수밸브(36)와 정수출수밸브(24)와 냉수출수밸브(52)가 모두 함께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수기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삼방밸브(74) 대신에, 복수개의 조절밸브(74')(7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조절밸브(74')(74")는 LEV나 EEV와 같이 개도가 조절될 수 있는 개도조절밸브나 솔레노이드 밸브와 개폐될 수 있는 개폐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냉수용 정수유로(42)는 정수출수유로(20)와 냉수용 정수유로 연결부(21)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조절밸브(74')(74")는 정수출수유로(20) 중 냉수용 정수유로 연결부(21)와 정수출수밸브(24)의 사이에 설치된 제 1 조절밸브(74')와, 냉수용 정수유로(42)에 설치된 제 2 조절밸브(74")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출수모드시 제 1 조절밸브(74')는 개방될 수 있고, 제 2 조절밸브(74")는 밀폐될 수 있다.
정수출수모드시 정수유닛(2)에서 정수된 물은 정수출수유로(20)를 통과할 때 제 2 조절밸브(74")에 막혀 냉각코일(44)로 유동되지 않고, 정수출수밸브(24)와 공용출수밸브(58)를 통과하여 출수코크(60)로 출수될 수 있다.
냉수출수모드시 제 2 조절밸브(74")는 개방될 수 있고, 제 1 조절밸브(74')는 밀폐될 수 있다.
냉수출수모드시 정수유닛(2)에서 정수된 물은 정수출수유로(20)를 통과할 때 제 1 조절밸브(74')에 막혀 냉수출수밸브(24)로 유동되지 않고 정수출수유로(20)에서 냉수용 정수유로(42)로 유동되어 제 2 조절밸브(74")를 통과하고, 이후 냉각코일(44)로 유입되어 냉각될 수 있다.
살균모드시 제 1 조절밸브(74')와 제 2 조절밸브(74")는 온수출수밸브(36)와 정수출수밸브(24)와 냉수출수밸브(52)와 함께 개방될 수 있고, 온수출수유로(20)의 스팀은 일부가 정수출수유로(20)로 유입되어 정수출수밸브(24)를 통과하고, 나머지가 냉수출수유로(50)로 유입되어 냉수출수밸브(52)를 통과한다.
정수출수밸브(24)를 통과한 스팀은 제 1 조절밸브(74')를 통과하면서 제 1 조절밸브(74')를 살균시키고, 이후 본 발명 일실시예의 정수출수유로 살균모드와 같이, 냉각수용 정수유로(38)와 냉각수용 정수유로 조절밸브(72)를 통과하여 냉수조(40)로 유입된다.
그리고, 냉수출수밸브(24)를 통과한 스팀은 이후 본 발명 일실시예의 냉수출수유로 및 냉각 코일 살균모드와 같이, 냉수출수유로(50)와 냉각코일(4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냉수출수유로(50)와 냉각코일(44)을 살균시키고, 이후 냉각수용 정수유로(42)와 제 2 조절밸브(74")를 통과하면서 냉각수용 정수유로(42)와 제 2 조절밸브(74")를 살균시킨다. 냉각수용 정수유로(42)를 통과한 스팀은 냉수용 정수유로 연결부(21)에서 정수출수밸브(24)에서 유동된 스팀과 혼합되고, 이후 냉각수용 정수유로(38)와 냉각수용 정수유로 조절밸브(72)를 통과하여 냉수조(40)로 유입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또 다른 일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정수기는 정수유닛(2)을 통과한 물을 저수하는 저수조(110)를 더 포함하고, 저수조(11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일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저수조(110)는 정수유닛(2)과 저수조 입수유로(112)로 연결되어 정수유닛(2)에서 정수된 물이 저수조(110)에 담겨질 수 있다.
저수조(110)에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정수출수유로(20)가 연결될 수 있고, 저수조(110)의 물은 정수출수유로(20)로 유동될 수 있다.
저수조(110)는 저수조(110)의 물이 수압에 의해 온수조(28)와 냉수조 (40) 및 냉각코일(44)과 정수출수밸브(24)로 유동될 수 있도록 온수조(29)과 냉수조 (40) 및 냉각코일(44)과 정수출수밸브(24)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2: 정수유닛 20: 정수출수유로
24: 정수출수밸브 28: 온수조
30: 히터 34: 온수출수유로
36: 온수출수밸브 38: 냉각수용 정수유로
40: 냉수조 42: 냉수용 정수유로
44: 냉각코일 45: 정수조 배수유로
46; 정수조 배수밸브 50: 냉수출수유로
52: 냉수출수밸브 56: 공용출수유로
58: 공용출수밸브 60: 출수코크
66: 유로 가변 수단 70: 살균밸브
72: 냉각수용 정수유로 조절밸브 74: 삼방밸브

Claims (18)

  1. 정수유닛의 물이 출수되는 정수출수유로;
    온수조의 물이 출수되는 온수출수유로;
    냉각코일의 물이 출수되는 냉수출수유로;
    상기 정수출수유로와 상기 온수출수유로와 상기 냉수출수유로가 연결된 공용출수유로;
    상기 냉각코일이 수용되고, 상기 냉각코일을 냉각할 수 있도록 냉각된 물이 채워지는 냉수조; 및
    상기 온수출수유로의 온수 또는 스팀이 상기 공용출수유로를 통해 상기 정수출수유로를 거쳐 상기 냉수조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냉수조와 상기 정수출수유로를 연결하는 냉각수용 정수유로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출수유로에 설치된 정수출수밸브;
    상기 온수출수유로에 설치된 온수출수밸브;
    상기 정수출수유로와 냉각수용 정수유로로 연결되는 냉수조;
    상기 냉각코일과 상기 정수출수유로를 연결하는 냉수용 정수유로; 및
    상기 공용출수유로에 설치된 공용출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살균모드시 상기 온수출수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공용출수밸브가 밀폐되며 상기 정수출수밸브와 냉수출수밸브가 개방되는 정수기.
  3. 정수출수유로가 연결되는 정수유닛과;
    상기 정수출수유로에 설치된 정수출수밸브와;
    상기 정수출수유로와 온수용 정수유로로 연결되고 온수출수유로가 연결되는 온수조와;
    상기 온수출수유로에 설치된 온수출수밸브와;
    상기 정수출수유로와 냉각수용 정수유로로 연결되는 냉수조와;
    상기 냉수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정수출수유로와 냉수용 정수유로로 연결되며 냉수출수유로가 연결되는 냉각코일과;
    상기 냉수출수유로에 설치된 냉수출수밸브와;
    상기 정수출수유로와 온수출수유로와 냉수출수유로가 연결된 공용출수유로와;
    상기 공용출수유로에 설치된 공용출수밸브를 포함하고,
    살균모드시 상기 온수출수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공용출수밸브가 밀폐되며 상기 정수출수밸브와 상기 냉수출수밸브가 개방되며,
    상기 살균모드는,
    상기 온수출수유로의 온수 또는 스팀이 상기 정수출수밸브를 통과한 후 상기 냉수조로 유동되는 정수출수유로 살균모드와,
    상기 온수출수유로의 온수 또는 스팀이 상기 냉수출수밸브와 냉각코일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냉수조로 유동되는 냉수출수유로 및 냉각코일 살균모드를 갖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출수유로 중 상기 냉각수용 정수유로와 연결되는 냉각수용 정수유로 연결부와 상기 온수용 정수유로와 연결되는 온수용 정수유로 연결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살균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 밸브는 살균모드시 폐쇄되며 비살균모드시 개방되는 정수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용 정수유로에 설치된 냉각수용 정수유로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용 정수유로 조절밸브는 살균모드시 개방되는 정수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조에 연결된 냉수조 배수유로와,
    상기 냉수조 배수유로에 설치된 냉수조 배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냉수조 배수밸브는 살균모드시 개방되는 정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출수유로와 상기 냉수조 배수유로를 연결하는 공용배수유로와, 공용배수유로에 설치된 공용배수유로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용배수유로 조절밸브는 살균모드시 폐쇄되는 정수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냉수조 배수유로와 연결된 정수유닛 배수유로와, 정수부 배수유로에 설치된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유닛으로 입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밸브는 살균모드시 개방되는 정수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조에는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스팀배출유로는 스팀배출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스팀배출밸브는 살균모드시 폐쇄되는 정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유닛으로 입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밸브는 살균모드시 폐쇄되는 정수기.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조에는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가 설치되고,
    상기 히터는 살균모드시 물을 스팀 발생온도로 가열시키는 정수기.
  13. 삭제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정수출수유로 살균모드가 먼저 실시된 후 상기 냉수출수유로 및 냉각 코일 살균모드가 실시되는 정수기.
  1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출수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냉수용 정수유로가 연결된 삼방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삼방밸브는 정수출수유로 살균모드시 상기 정수출수밸브를 통과한 온수 또는 스팀이 상기 냉수조를 향해 유동되게 동작되며,
    냉수출수유로 및 냉각코일 살균모드시 상기 냉각코일을 통과한 온수 또는 스팀이 상기 냉수조를 향해 유동되게 동작되는 정수기.
  1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출수유로의 물을 외부로 출수하는 출수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수코크에는 출수되는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기구가 설치된 정수기.
  1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출수밸브와 냉수출수밸브는 살균 모드시 함께 개방되는 정수기.
  18. 온수조에서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이 정수 출수유로를 통과한 후 냉수조로 유동되는 선 살균단계와;
    상기 선 살균단계 후 상기 온수조에서 가열된 물 또는 스팀이 냉수 출수유로와 냉각 코일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냉수조로 유동되는 후 살균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운전 방법.
KR1020110110019A 2011-10-26 2011-10-26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KR101344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019A KR101344464B1 (ko) 2011-10-26 2011-10-26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019A KR101344464B1 (ko) 2011-10-26 2011-10-26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783A KR20130047783A (ko) 2013-05-09
KR101344464B1 true KR101344464B1 (ko) 2013-12-23

Family

ID=4865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019A KR101344464B1 (ko) 2011-10-26 2011-10-26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4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176B1 (ko) * 2014-03-05 201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326B1 (ko) * 2014-03-05 2016-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01614A (ko) 2014-06-26 2016-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KR102299619B1 (ko) * 2014-10-20 2021-09-09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직수형 정수기
KR101725621B1 (ko) 2015-03-19 2017-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 배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770481B1 (ko) 2015-11-30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42575B1 (ko) * 2017-02-17 2019-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40035024A (ko) * 2022-09-08 2024-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40039328A (ko) * 2022-09-19 2024-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40039327A (ko) * 2022-09-19 2024-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40041107A (ko) * 2022-09-22 2024-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359B1 (ko) * 2004-10-06 2006-08-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359B1 (ko) * 2004-10-06 2006-08-2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176B1 (ko) * 2014-03-05 201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783A (ko) 201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464B1 (ko)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KR0175908B1 (ko) 냉온정수기의 램프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20070102357A1 (en) Heat sanitization for reverse osmosis systems
JP6725143B2 (ja) 水処理装置
KR0146826B1 (ko) 냉온정수기의 배수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164722B1 (ko) 정수기와 정수기의 살균 및 청소 방법
KR20200047102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1293233B1 (ko) 정수기
KR102491063B1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KR102567932B1 (ko) 살균 기능을 지닌 정수 장치
KR101305327B1 (ko)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KR101305329B1 (ko) 정수기
KR101861710B1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KR20140055279A (ko) 수처리 기기
KR101313833B1 (ko) 정수기
KR101305331B1 (ko) 정수기
CN109069958B (zh) 杀菌水排出装置和包括该装置的水处理装置
KR20170068926A (ko) 탄산수를 이용한 살균 정수기
KR100613359B1 (ko) 정수기
KR101305330B1 (ko) 정수기
JP2021003539A (ja) 透析システム及び予熱装置
US20230234828A1 (en) Water purifier with ice-maker
KR19980056373A (ko) 정수기의 제어장치
KR102495572B1 (ko) 순간 냉온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JP2002243274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