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359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359B1
KR100613359B1 KR1020040079456A KR20040079456A KR100613359B1 KR 100613359 B1 KR100613359 B1 KR 100613359B1 KR 1020040079456 A KR1020040079456 A KR 1020040079456A KR 20040079456 A KR20040079456 A KR 20040079456A KR 100613359 B1 KR100613359 B1 KR 100613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purified water
sterilization
c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0614A (ko
Inventor
이근택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9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359B1/ko
Publication of KR20060030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배관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여 깨끗한 정수를 제공할 수 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 살균, 온수조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도 1은 종래의 정수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전처리필터부 13 : 전해조
15 : 온수조 16 : 냉각수단
20 : 중공사막필터 30 : 펌프
40 : 저압차단스위치 60 : 삼방솔레노이드밸브
61 : 냉수수솔레노이드밸브 62 : 상온수솔레노이드밸브
61a : 냉수체크밸브 62a : 상온수체크밸브
63 : 온수솔레노이드밸브 66 : 살균솔레노이드밸브
70 : 출수부 91 : 살균처리배수관
92 : 온수관 93 : 냉수관
94 : 상온수관 95 : 정수출수관
64 : 체크밸브 600 : 배수솔레노이드밸브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배관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여 깨끗한 정수를 제공할 수 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수기로써, 한국 등록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327037호의 공보에 제시되어 있다.
기존 정수기의 정수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 이온수와 산성수도 제공하는 정수기도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정수기를 이온정수기라고 한다. 종래 정수기로써 이온정수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종래 냉온 이온정수기(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필터를 구비하며 수도물을 여과ㆍ정제하기 위한 전처리필터부(110), 전처리필터부(110)로부터 정제된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수조(120), 저수조(120)로부터 유입된 정수를 전기적으로 분해하여 산성수 및 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전해조(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전해조(130)로부터 생성된 산성수를 저장하기 위한 산성수조(140), 전해조(130)로부터 생성된 알칼리 이온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153)과 가열된 알칼리 이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온수 탱크(155)로 이루어진 온수조(150)와, 상기 전해조(130)로부터 생성된 알칼리 이온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단(163)과 냉각된 알칼리 이온수를 저장하기 위한 냉수 탱크(165)로 이루어진 냉수조(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자동 배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저수조(120), 산성수조(140), 온수조(150), 냉수조(160) 및 상온수관(170)(180)에 연결되어 있는 드레인 매니폴드(190)를 포함해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이온정수기는 냉수조(160) 및 온수조(150)와 출수코크 사이에는 정수출수관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수출수관에는 출수코크가 열리면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세균이 번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최종 배출되는 정수는 정수출수관에 번식하는 세균에 의해 오염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수출수관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여 깨끗한 정수를 제공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수기는 원수를 여과, 정제하는 전처리필터부와, 코크와, 상기 코크와 상기 전처리필터부 사이에 설치되는 정수출수관과, 상기 정수출수관을 살균하는 살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정수기는 정수출수관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살균수단은, 상기 정수출수관에서 분기되어 합류되는 온수관과, 상기 온수관에 설치된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상기 정수출수 관으로 유동되어 고온살균하도록 상기 온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단순한 구조로 상기 정수출수관을 살균할 수 있다.
살균처리배수관이 상기 정수출수관에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살균처리배수관이 분기되는 지점에 삼방솔레노이드밸브가 더 설치되어, 살균후의 상기 온수가 코크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수솔레노이드밸브는 삼방솔레노이드밸브이며, 상기 삼방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살균처리배수관이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전처리필터부를 통과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알칼리 이온수 및 산성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및 상기 알칼리 이온수를 냉각하는 냉각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알칼리 이온수 및 상기 정수를 필터링하는 중공사막필터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정수기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정수기는 크게 원수를 여과, 정제하는 전처리필터부(11)와, 코크(70)와, 상기 코크(70)와 상기 전처리필터부(11) 사이에 설치되는 정수출수관(95)과, 상기 정수출수관(95)을 살균하는 살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수단은, 상기 정수출수관(95)에서 분기되어 합류되는 온수관(92) 과, 상기 온수관(92)에 설치된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상기 정수출수관(95)으로 유동되어 고온살균하도록 상기 온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처리필터부(11)는 원수를 여과, 정제하기 위한 다수개의 필터로 이루어져 있다.
정수기는 알칼리 이온수 및 산성수를 추가로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전처리필터부(11)로부터 유입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산성수 및 알칼리 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조(13)가 구비될 수 있다.
전해조(13)에 연결된 유로는 온수관(92), 상온수관(94), 냉수관(93)으로 분기되며, 각 유로에는 각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온수솔레노이드밸브(63), 상온수솔레노이드밸브(62), 냉수솔레노이드밸브(6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해조(13)에 연결된 유로에는 정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펌프(30)가 구비될 수 있다.
온수관(92)에는 온수솔레노이드밸브(63)에 이어, 알칼리 이온수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가열된 알칼리 이온수를 보관하는 온수탱크로 이루어진 온수조(15)가 구비된다.
온수조(15)에 이어 상기 알칼리 온수의 흐름을 제어하기위해 온수관(92)에 살균솔레노이드밸브(66)가 설치된다.
냉수관(93)에는 냉수솔레노이드밸브(61)에 이어 냉각수단(16)이 설치되어, 전해조(13)로부터 생성된 알칼리 이온수를 냉각하여 출수한다.
정수된 물일지라도 정수에는 물때나 세균등의 오염물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정수가 알칼리 이온수일 경우에는 그 속에 반응성이 큰 미네랄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탄산칼슘과 같은 침전물이 더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는 출수시 침전물이나 오염물이 섞여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공사막필터(20)를 구비하여, 냉각된 알칼리 이온수가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사막필터(20)는 냉각수단(16)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냉각수단(16)의 냉매 온도와 중공사막필터(20)의 온도를 같게 함으로써, 알칼리 냉수가 중공사막필터(20)를 통과하면서 열손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수가 알칼리화 된후 중공사막필터(20)에 의해 여과될 때에는, 중공사막필터(20)는 세균과 바이러스와 미세불순물 등은 거르고 미네랄 성분은 살아 있는 알칼리 이온수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온수관(94)을 통해 이송된 알칼리 상온수 및 정수도 중공사막필터(20)를 통과하여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중공사막필터(20)를 통과한 알칼리 냉수, 알칼리 상온수, 정수가 이송될 수 있는 정수출수관(95)이 코크(70)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정수를 출수하기 위해 코크(70)를 열게 되면, 코크(7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정수출수관(95)내로 유입되게 되며, 상기 유입된 공기로 인해, 정수출수관(95) 내에서는 세균이 번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세균을 없애기 위해 살균과정이 필요하므로, 온수조(15) 이후 의 온수관(92)이 정수출수관(95)에 합류되도록 하여, 온수조(15)의 알칼리 온수가 정수출수관(95)으로 유동되어 고온살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냉수관(93) 및 상온수관(94)에 각각 냉수체크밸브(61a), 상온수체크밸브(62a)를 설치하여, 살균과정을 마친 온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수출수관(95)에는 알칼리 온수가 살균과정을 거친후 별도의 관을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살균처리배수관(91)이 분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균처리배수관(91)에 배수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여, 배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솔레노이드밸브는 삼방솔레노이드밸브(60)로하여, 배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동시에 냉수체크밸브(61a) 내지 상온수체크밸브(62a)가 고장을 일으켰을 경우에는, 역류 방지 기능까지 할 수 있다.
여기서, 온수관(92)은 정수출수관(95) 하류에 배치되고, 살균처리배수관(91)은 정수출수관(95) 상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온수관(92)을 정수출수관(95) 상류에 배치하여 온수관(92)을 통해 유입된 온수가 정수출수관(95)을 살균한 후 정수출수관(95) 하류에 배치된 살균처리배수관(91)을 통해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온수는 살균처리배수관(91)을 통하여 출수될 수 있으나, 상기 온수관(92)이 정수출수관(95)에 상류에 합류하도록 하여, 코크(70)를 통해 직접 출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코크(70)에 펌프 등을 설치하여,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여, 배수시키거나, 정수기에서 살균시기를 알려주면 사용자가 직접 코크(70)를 열어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유로의 압력을 감지하여 스위칭하는 저압차단스위치(LPS)(4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온수가 상기 온수관(92)을 통해 상기 정수출수관(95)으로 유동되어 살균하도록 상기 온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전술한 모든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제어한다.
한편, 알칼리 상온수, 알칼리 냉수, 알칼리 온수, 상온정수와 같은 각각의 정수는 하나의 코크(70)를 통해 출수된다.
이로써, 상기 정수출수관(95)은 상기와 같은 살균수단에 의해 확실히 살균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코크(7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살균명령을 내리면, 제어부에서 각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제어한다.
따라서, 냉수솔레노이드밸브(61), 상온수솔레노이드밸브(62)는 닫히고, 살균솔레노이드밸브(66)와 삼방솔레노이드밸브(60)는 열리면서, 알칼리 온수는 온수관(92)을 통해 이송된 후, 정수출수관(95)으로 유동되면서 고온살균을 하게 된다.
고온살균을 마친 알칼리 온수는 정수출수관(95)에서 분기된 살균처리배수관(91)을 통해 배수된다.
여기서, 90도씨 이상으로 가열된 알칼리 온수는 충분한 살균능력을 가지므로, 정수출수관(95) 내부에 번식하는 세균은 확실히 없어지게 되어, 상기 정수기는 깨끗한 정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에 타이머가 장착되어, 이와 같은 살균과정을 사용자의 명령없이도, 주기적으로 자동실행하여, 항상 정수출수관(95)이 깨끗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살균주기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인체감지센서를 장착하여, 정수기가 자동실행되어 살균과정 중이더라도, 사람이 근접하게 되면 자동실행을 멈추고 정수를 출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정수기는 크게 원수를 여과, 정제하는 전처리필터부(11)와, 코크(70)와, 상기 코크(70)와 상기 전처리필터부(11) 사이에 설치되는 정수출수관(95)과, 상기 정수출수관(95)을 살균하는 살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수단은, 상기 정수출수관(95)에서 분기되어 합류되는 온수관(92)과, 상기 온수관(92)에 설치된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상기 정수출수관(95)으로 유동되어 고온살균하도록 상기 온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정수출수관(95)에 설치된 체크밸브(64)와 배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배수솔레노이드밸브(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중복되는 부분은 전 실시예를 참고하기로 하고,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정수를 출수하기 위해 코크(70)를 열게 되면, 코크(7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정수출수관(95)내로 유입되게 되며, 상기 유입된 공기로 인해, 정수출수관(95) 내에서는 세균이 번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세균을 없애기 위해 살균과정이 필요하므로, 온수조(15) 이후의 온수관(92)이 정수출수관(95)에 합류되도록 하여, 온수조(15)의 알칼리 온수가 정수출수관(95)으로 유동되어 고온살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냉수관(93) 및 상온수관(94)에 각각 냉수체크밸브(61a), 상온수체크밸브(62a)를 설치하여, 살균과정을 마친 온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수출수관(95)에는 알칼리 온수가 살균과정을 거친후 코크(70)를 통해 배수될 수 있으나, 별도의 관을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살균처리배수관(91)이 분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살균처리배수관(91)에 배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별도의 배수솔레노이드밸브(60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온수관(92)은 정수출수관(95) 하류에 배치되고, 살균처리배수관(91)은 정수출수관(95) 상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온수관(92)을 정수출수관(95) 상류에 배치하여 온수관(92)을 통해 유입된 온수가 정수출수관(95)을 살균한 후 정수출수관(95) 하류에 배치된 살균처리배수관(91)을 통해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냉수체크밸브(61a), 상온수체크밸브(62a)가 고장이 날 경우를 대비하여, 정수출수관(95)에 중공사막필터(20) 전단에 체크밸브(64)를 설치하여 확실하게 역류를 방지 할 수 있다.
한편, 냉수체크밸브(61a), 상온수체크밸브(62a)을 제외하고, 체크밸브(64)만을 구비하여 온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도 있다.
전술한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온수가 상기 온수관(92)을 통해 상기 정수출수관(95)으로 유동되어 살균하도록 상기 온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모든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를 제어한다.
한편, 알칼리 상온수, 알칼리 냉수, 알칼리 온수, 상온정수와 같은 각각의 정수는 하나의 코크(70)를 통해 출수된다.
이로써, 상기 정수출수관(95)은 상기와 같은 살균수단에 의해 확실히 살균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이온정수기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수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정수출수관을 살균하는 살균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정수기는 더욱 깨끗한 정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살균수단은, 상기 정수출수관에서 분기되어 합류되는 온수관과, 상기 온수관에 설치된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상기 정수출수관으로 유동되어 고온살균하도록 상기 온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정수기는 온수 및 상온 정수를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고온의 온수에 의해서 정수출수관이 살균되어 깨끗한 정수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살균처리배수관이 상기 정수출수관에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살균처리배수관에 배수솔레노이드밸브가 더 설치되어, 상기 온수는 별도의 출구로 배출되므로, 출수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살균처리배수관이 상기 정수출수관에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살균처리배수관이 분기되는 지점에 삼방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온수가 필터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배수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전처리필터부를 통과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알칼리 이온수 및 산성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및 상기 알칼리 이온수를 냉각하는 냉각수단이 더 구비되어, 알칼리 이온수 및 알칼리 냉수를 제공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알칼리 이온수 및 상기 정수를 필터링하는 중공사막필터가 구비되어, 상기 정수기는 더욱 깨끗한 정수를 제공하는 동시에, 미네랄성분을 통과시키므로 상기 알칼리 이온수의 알칼리성을 유지하면서 필터링 할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원수를 여과, 정제하는 전처리필터부와;
    코크와;
    상기 코크와 상기 전처리필터부 사이에 설치되는 정수출수관과;
    상기 정수출수관을 살균하는 살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살균수단은,
    상기 정수출수관에서 분기되어 합류되는 온수관과;
    상기 온수관에 설치된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상기 정수출수관으로 유동되어 고온살균하도록 상기 온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원수를 여과, 정제하는 전처리필터부와;
    코크와;
    상기 코크와 상기 전처리필터부 사이에 설치되는 정수출수관과;
    상기 정수출수관을 살균하는 살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살균처리배수관이 상기 정수출수관에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살균처리배수관에 배수솔레노이드밸브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원수를 여과, 정제하는 전처리필터부와;
    코크와;
    상기 코크와 상기 전처리필터부 사이에 설치되는 정수출수관과;
    상기 정수출수관을 살균하는 살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살균처리배수관이 상기 정수출수관에 분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살균처리배수관이 분기되는 지점에 삼방솔레노이드밸브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필터부를 통과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알칼리 이온수 및 산성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및 상기 알칼리 이온수를 냉각하는 냉각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이온수 및 상기 정수를 필터링하는 중공사막필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040079456A 2004-10-06 2004-10-06 정수기 KR100613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456A KR100613359B1 (ko) 2004-10-06 2004-10-06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456A KR100613359B1 (ko) 2004-10-06 2004-10-06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614A KR20060030614A (ko) 2006-04-11
KR100613359B1 true KR100613359B1 (ko) 2006-08-21

Family

ID=3714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456A KR100613359B1 (ko) 2004-10-06 2004-10-06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3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885B1 (ko) 2010-01-06 2012-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344464B1 (ko) * 2011-10-26 2013-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578A (ko) 2016-12-09 201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66579A (ko) 2016-12-09 201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885B1 (ko) 2010-01-06 2012-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344464B1 (ko) * 2011-10-26 2013-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운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614A (ko) 200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23844A1 (zh) 带有uv功能的水系统及其控制方法
CN111102734A (zh) 一种热水设备及其控制方法
CN112624474A (zh) 一种净水系统及控制方法
KR100613359B1 (ko) 정수기
JP2012529337A (ja) 浄水器のスチーム殺菌システム
CN109052768B (zh) 一种别墅型集成分质中央净水系统
CN104843904A (zh) 净水设备、过滤系统及其水过滤方法
KR101521937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101446127B1 (ko) 수처리장치
KR101296549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CN213327120U (zh) 一种反渗透浓水无菌再利用循环装置
KR100666555B1 (ko)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순환작동방법
KR101198652B1 (ko) 자가 살균 시스템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살균 방법
KR101612815B1 (ko)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KR101982804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JPH07136427A (ja) 浄水器管理システムとその装置
KR20170068926A (ko) 탄산수를 이용한 살균 정수기
KR100688388B1 (ko) 정수기 및 은공급수단작동방법
CN215559647U (zh) 一种供监狱监室恒温直饮水的供水装置
CN213834926U (zh) 一种具有检测功能的净水消毒器
KR200415218Y1 (ko) 상수도용 정수처리 장치
KR20130131965A (ko) 수처리 장치의 물 살균 유로구조
KR10147632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CN220283867U (zh) 反渗透浓缩出液回收装置
KR100708576B1 (ko) 상수도용 정수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