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601A -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601A
KR20200132601A KR1020190058395A KR20190058395A KR20200132601A KR 20200132601 A KR20200132601 A KR 20200132601A KR 1020190058395 A KR1020190058395 A KR 1020190058395A KR 20190058395 A KR20190058395 A KR 20190058395A KR 20200132601 A KR20200132601 A KR 20200132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urrent value
electrode
module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준석
오경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8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2601A/ko
Priority to US16/834,199 priority patent/US20200361793A1/en
Priority to PCT/KR2020/005677 priority patent/WO2020235829A1/en
Publication of KR20200132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0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for ratio control purposes
    • B67D1/1206Flow det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Fl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5Volt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4Cur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45Fl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95Cells containing solid electroly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6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a software program or a logic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살균수 출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단계와,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모듈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단계와,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정전압이 인가되는 정전압공급단계와,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에서 출력되는 실시간 전류값을 감지하는 전류감지단계와, 상기 감지된 유량과, 실시간 전류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목표전류값을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방법{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균일한 농도의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물을 공급하는 장치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통상 사용자가 레버 또는 버튼을 조작하게 될 경우 노즐을 통해 저장된 물이 취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사용자가 레버 또는 버튼을 조작하는 동안 노즐의 밸브가 개방되어 물이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는 컵 또는 용기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확인하면서 상기 레버 또는 버튼의 조작을 종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냉장고와 정수기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냉장고와 정수기에 구비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서 단순히 정수된 물의 공급뿐만 아니라, 냉수와 온수는 물론 살균수까지 공급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4-0033772호(이하, 선행문헌 1)에서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선행문헌 1에서는, 정수 생성수단 및 살균수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정수와 살균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특징이 개시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수단은, 싱크대 개수대로 정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공급코크 및 공급코크에 설치된 조작부를 포함하는 특징이 개시된다.
상기와 같은, 선행문헌 1의 경우, 살균수의 사용량이 많아지거나 공급 유량이 급격히 변동되는 경우에 대한 대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총용존 고형물질(TDS, total dissolved solids)의 양에 대한 대처 역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공급 유량이 급격히 변동되거나, 유입된 물에 총용존 고형물질(TDS, total dissolved solids)의 농도가 변경된 경우, 살균수 농도가 증가되거나, 감소되면거, 일정한 농도의 살균수를 생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출수되는 살균수의 산화성 혼합 물질(MO)의 양을 균일하게 유지하기가 어렵다. 출수되는 살균수의 산화성 혼합 물질의 양이 적정 수준 균일하게 유지되지 않는다면, 이는 살균수 농도 부족으로 인한 살균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살균수 농도가 과하게 증가되는 경우, 과농도로 인해 살균수에서 염소 냄새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균일한 농도의 살균수를 제공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된 물의 유량 및 총용존 고형물질(TDS, total dissolved solids)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살균수 모듈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균일한 농도의 살균수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이 유입되는 유입되는 원수배관과, 상기 원수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원수배관의 물을 공급받아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모듈과, 상기 살균수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살균수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살균수배관과, 상기 원수배관 상에 설치되는 유량센서와,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에서 출력되는 실시간 전류값을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량센서에서 감지된 유량정보와, 상기 전류감지부에서 감지된 실시간 전류값 중 선택된 적으로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목표 전류값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실시간 전류값이 목표전류값에 도달되게, 상기 살균수모듈로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센서에서 감지된 유량이 커지면, 상기 살균수모듈의 목표 전류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유량센서에서 감지된 유량이 작아지면, 상기 살균수모듈의 목표 전류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정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값과 기매칭된 값을 목표전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실시간 전류값으로 유입된 물의 경도를 예측하고, 물의 경도가 높으면, 목표전류값을 감소시키고, 물의 경도가 낮으면, 목표전류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수배관에는, 입수된 물을 정화시키는 필터 및 상기 원수배관을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유입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수배관에는, 상기 살균수배관을 유동하는 물 또는 살균수의 유동을 단속하는 살균수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수모듈은, 상기 원수배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물이 유동하도록, 상기 유입관과 일렬로 연장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극부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경유한 물이 토출되게 상기 유입관의 맞은편에 상기 유입관과 일렬로 형성된 토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는, 제1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마주보면서 제1전극과 이격하여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은 적어도 일부가, 길고 납작한 박스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은, 물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단면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살균수 출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단계와,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모듈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단계와,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정전압이 인가되는 정전압공급단계와,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에서 출력되는 실시간 전류값을 감지하는 전류감지단계와, 상기 감지된 유량과, 실시간 전류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목표전류값을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단계에서, 목표 전류값 설정 후, 실시간 전류값과 목표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변경하는 조절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단계에서, 실시간 전류값이 목표전류값보다 낮으면,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키고, 실시간 전류값이 목표전류값보다 크면,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단계에서, 실시간 전류값이 낮으면, 물의 경도가 낮다고 판단하여, 목표 전류값을 증가시키고, 실시간 전류값이 높으면, 물의 경도가 높다고 판단하여, 목표 전류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단계에서, 실시간 전류값이 감지되면, 해당 전류값과 기매칭된 목표 전류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단계에서, 실시간 유량이 클수록, 목표 전류값은 증가되고, 실시간 유량이 작을수록, 목표 전류값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N번째 살균수 출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단계와, 희망출수량을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희망출수량을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단계와, 희망출수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모듈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단계와, 상기 감지된 유량을 기초로, 상기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목표전류값을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단계에서, 상기 목표전류값은 N-1번째, 살균수 출수시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된 전류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희망출수량이 기준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정전압이 인가되는 정전압공급단계와,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에서 출력되는 실시간 전류값을 감지하는 전류감지단계와, 상기 감지된 유량과, 실시간 전류값을 기초로, 상기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목표전류값을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단계에서, 목표 전류값 설정 후, 실시간 전류값과 목표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변경하는 조절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입수되는 유량변화 및 입수된 물의 총용존 고형물질(TDS, total dissolved solids)의 농도변화의 영향 없이, 일정한 농도의 살균수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수되는 유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유량이 증가되면, 살균수 모듈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증가되게 제어하고, 입수되는 유량이 감소되면, 살균수 모듈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감소되게 제어하여, 입수유량이 변경되도, 일정한 농도의 살균수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수되는 물의 총용존 고형물질(TDS, total dissolved solids)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입수되는 물의 총용존 고형물질(TDS, total dissolved solids)의 농도가 증가되면, 살균수 모듈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낮아지게 제어하고, 입수되는 물의 총용존 고형물질(TDS, total dissolved solids)의 농도가 감소되면, 살균수 모듈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증가되게 제어하여, 입수되는 물의 총용존 고형물질(TDS, total dissolved solids)의 농도가 변경되도, 일정한 농도의 살균수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싱크대의 외측에 설치된 출수부에서, 정수, 냉수, 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음용수 및/또는 살균수가 출수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용수와 살균수가 별도의 코크 및 별도의 배관을 통해서 출수되어, 사용자가 살균수 일부가 혼합된 음용수를 제공받지 않고, 음용수만을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싱크대의 외측에 설치된 하나의 출수부에서, 정수, 냉수, 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음용수와 세척력을 갖는 살균수가 출수되어, 사용자가 세척 및 헹굼 작업을 하나의 장소에서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모듈의 부피를 줄여서,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기존 정수기 또는 수처리 장치의 내부에 살균수 모듈을 간단히 추가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싱크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수배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살균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살균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살균수 생성모듈에 포함된 전극부의 단면을 도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살균수 생성모듈의 조립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10은 살균수 모듈의 전극에 정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살균수모듈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 및 경도에 따라,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을 비교한 표이다.
도 11은 살균수 모듈의 전극에 정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살균수모듈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 및 경도에 따라,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을 비교한 표이다.
도 12는 살균수모듈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 및 경도 별,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목표전류값을 매칭한 표이다.
도 13은 살균수모듈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 및 경도 별,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목표전류값을 매칭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언더싱크 정수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싱크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수배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정수기, 냉장고 등과 같이 외부에서 물을 유입하고, 유입된 물을 정화시킨 뒤, 배출하는 다양한 수처리 장치, 정화 장치가 해당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싱크대(10)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언더싱크형(under sink type) 정수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싱크대(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본체부(100)와, 적어도 일부가 싱크대(1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출수부(2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본체부(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면을 형성하는 평면 형태의 탑 커버(1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과 후면이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양측면과 바닥면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싱크대(10)의 하측에 마련된 수납공간(1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좌우폭이 좁고 전후길이가 긴 슬림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싱크대 내부에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고, 싱크대 내부 공간의 안쪽 모서리에 배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이 분리되면, 필터가 노출되고,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필터를 수월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가이드하는 원수배관(20)과, 상기 원수 배관(20)을 따라 공급된 물을 정수로 정화시키는 필터(120)와,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를 상기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시키는 출수배관(30)을 포함한다.
한편, 원수배관(20)은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면서, 외부의 급수원과 하우징(110) 내부의 필터(120)를 연결한다. 상기 원수배관(20)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110) 외측의 급수원에서 공급된 원수는 필터(12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필터(120)로 공급된 물(원수)은, 필터(120)를 통과하면서, 정수로 정화된다. 상기 필터(120)는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터(120)는 3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배관(20)을 통과한 물은 복수의 필터(120)를 통과하면서, 보다 깨끗한 물로 정화될 수 있다.
또한,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는 출수배관(30)을 통해, 싱크대(10)의 외측에 노출된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출수배관(30)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필터(120) 측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노출된 후, 출수부(200) 측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출수배관(30)은 상기 하우징(110)의 후단(도 1을 기준으로 우측)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배관(30)은 후술되는 살균수배관(34), 공통배관(38,39), 온수배관(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출수배관(30)이 하우징(110)의 후단을 관통하면, 출수배관(30)이 하우징(110)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커버(111)를 관통하지 않기 때문에, 탑커버(111)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출수배관(30)이 하우징(110)의 후단을 관통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110)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커버(112)의 상단 중앙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리세스(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세스(미도시)를 통해서, 상기 출수배관(30), 즉 후술되는 살균수배관(34), 공통배관(38,39), 온수배관(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관이 하우징(110)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세스(미도시)의 개방된 상측은 상기 탑커버(111)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따라서, 탑커버(111)를 하우징(110)에서 분리하면, 리세스(미도시)의 상측이 개방되고, 탑커버(111)를 하우징(110)에 장착하면, 리세스(미도시)의 상측이 커버되면서, 리세스(미도시)는 폐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리세스(미도시)를 통과하는 출수배관(30)은 리세스(미도시)와 탑커버(11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출수배관(30)의 타측 단부는 상기 출수부(200)와 직접 연결될 수 있고, 별도의 연결배관(미도시) 또는 연결부품을 통해서, 상기 출수부(200)과 연결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연결배관(미도시) 또는 연결 부품의 일측 단부는 상기 출수배관(30)과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출수부(2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출수배관(30)을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토출된 물은 연결배관(미도시)을 통해서, 출수부(20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출수배관(30)은,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및 살균수 배관(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하의 설명에서,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 및 살균수 배관(34)은 출수배관(30)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공통배관(38,39) 역시 출수배관(30)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출수배관(30)은,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 살균수배관(34) 및 공통배관(38,39)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출수배관(30)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필터(120)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물은 상기 출수배관(30)을 통해서, 상기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된다.
또한, 상기 출수배관(30)의 타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 및 살균수 배관(34)으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출수배관(30)에서, 정수배관(31)으로 분기된 물은 정수 상태로, 출수부(200) 측으로 바로 공급된다.
반면, 출수배관(30)에서, 냉수배관(32)으로 분기된 물은 냉수배관(32) 상에 구비된 냉수탱크(140)를 거치면서 차갑게 냉각된 후, 냉수의 상태로 출수부(200) 측으로 공급된다.
또한, 온수배관(33)으로 분기된 물은 온수배관(33) 상에 구비된 온수탱크(130)을 거쳐 가열된 후, 온수의 상태로 출수부(200) 측으로 공급된다.
또한, 살균수배관(34)으로 분기된 물은 살균수배관(34) 상에 구비된 살균수모듈(150)을 거치면서, 살균수의 상태로, 출수부(2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수배관(20)에는, 필터(120)로 공급되는 물의 유속을 조절하는 감압밸브(2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수배관(20) 또는 출수배관(30)에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36), 또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거나,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유입밸브(35), 또는 물의 유속을 감지하는 유속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배관(30)에서 분기된 정수배관(31)과, 냉수배관(32)과, 온수배관(33)과, 살균수배관(34)에는 각 배관에서의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개폐밸브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정수배관(31)에는 정수배관(31)에서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정수밸브(4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배관(32)에는 냉수배관(32)에서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냉수밸브(42)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배관(33)에는 온수배관(33)에서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온수밸브(43)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수배관(34)에는, 살균수배관(34)에서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살균수밸브(4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배관(33)에는 상기 온수탱크(130)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37)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탱크(130)에는 증기 배출을 위한 세이프티 밸브(51)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유량센서(36)가 구비되면, 냉수탱크(140) 및 온수탱크(13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감지될 수 있고, 그 유량 정보를 활용해서, 냉수탱크(140) 및 온수탱크(130)에 공급되는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량조절밸브(37)가 구비되면, 온수탱크(13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즉각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정수배관(31)과, 냉수배관(32)과, 온수배관(33)과, 살균수배관(34)에 각각 정수밸브(41), 냉수밸브(42), 온수밸브(43), 살균수밸브(44)가 구비되면, 냉수탱크(140), 온수탱크(130) 및 살균수모듈(150)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다. 그리고, 냉수밸브(42), 온수밸브(43), 살균수밸브(44)는 냉수 또는 온수 또는 살균수 생성이 필요한 경우에만 개방되어 냉수탱크(140), 온수탱크(130) 및 살균수모듈(15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정수밸브(41)의 경우, 정수 출수가 필요한 경우에만 개방되어, 출수부(200)로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출수부(200)는, 상기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 및 살균수배관(34)에서 공급된 정수, 냉수, 온수 및 살균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복수의 출수노즐(210,22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출수노즐(210,220)은 상기 싱크대(10)의 상측으로 노출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몸체(230)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출수노즐(210,220)은 정수, 냉수, 온수가 출수되는 제1출수노즐(210)과, 살균수가 출수되는 제2출수노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상하방향으로 이격해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출수노즐(210)이 상측에 배치되고, 제2출수노즐(220)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출수노즐(220)에서 배출된 살균수가 정수, 냉수, 온수가 취출되는 제1출수노즐(210)에떨어지면서, 제1출수노즐(210)이 살균수에 의해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자주 사용하는 냉,온,정수가 출수되는 제1출수노즐(210)이 상측에 배치되면서, 사용자의 접근이 쉽고, 조작 및 출수가 용이하다. 그리고, 비교적 적게 사용되는 제2출수노즐(220)은 제1출수노즐(210)의 하측에 배치되면서, 은폐가 가능하며, 제1출수노즐(210) 대비 접근이 어려워, 실수로 살균수를 출수하여 음용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수평방향으로 이격해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몸체(23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독립적으로 회전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을 따라 유동하는 정수 및 냉수는 하나의 제1공통배관(38)에서 합류되고, 제1공통배관(38)을 통해서, 출수부(2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공통배관(38) 및 온수배관(33)을 통해 유동된 정수, 냉수, 온수는 제1출수노즐(210)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또한, 상기 온수배관(33) 역시 상기 제1공통배관(38)과 합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공통배관(39)은 상기 온수배관(33)과 제1공통배관(38)이 합류된 지점부터 상기 출수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공통배관(39)을 통해서 유동된 정수, 냉수, 온수는 제1출수노즐(210)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수모듈(15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살균수배관(34)을 유동한 뒤, 상기 제2출수노즐(220)을 통해서 싱크대(10) 외측의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살균수배관(34) 상에는 제2출수밸브(6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출수밸브(62)는 상기 살균수배관(34)과 상기 출수부(20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출수밸브(62)는 상기 살균수배관(34)을 통해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하는 살균수를 출수부(200)로 공급하거나, 별도의 드레인배관(50)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공통배관(39)상에는 제1출수밸브(6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수밸브(61)는 상기 제2공통배관(39)과 상기 출수부(20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출수밸브(61)는 상기 제2공통배관(39)을 통해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하는 정수, 냉수, 온수를 상기 출수부(200)로 공급하거나, 별도의 드레인배관(50)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각각 하나의 입구와,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제1출구와 제2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두 개의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삼방밸브(3-way valve)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출구는 상기 출수노즐(210,220) 측과 연결될 수 있고, 제2출구는 드레인배관(50)과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제1출수밸브(61)의 입구는 상기 제2공통배관(39)과 연결되고, 제1출구는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되며, 제2출구는 드레인배관(50)과 연결된다.
또한, 제2출수밸브(62)의 입구는 상기 살균수배관(34)과 연결되고, 제1출구는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되며, 제2출구는 드레인배관(50)과 연결된다.
참고로, 상기 제1출수밸브(61)와 연결된 드레인 배관과 상기 제2출수밸브(62)와 연결된 드레인 배관은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하나의 드레인 배관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출수부(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싱크대(10)의 상부로 노출되게 싱크대(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230) 및 몸체(230)의 일측으로 연장된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싱크대(10)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본 발명과 같이, 정수, 온수, 정수 및 살균수가 싱크대의 외측으로 노출된 출수노즐을 통해서, 출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가 제시되지 않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한 개의 출수부에서 냉,온,정수와 살균수가 각각 출수될 수 있도록 출수노즐을 구성하였다.
만약, 정수,냉수,온수 및 살균수가 싱크대 외부로 출수되게 출수부가 구성된 경우라도, 정수,냉수,온수와 살균수가 동일한 지점에서, 출수되지 않게 출수노즐이 배치된 경우, 사용자는 야채, 과일 등을 세척할 때, 먼저 살균수 출수노즐 아래에서, 야채, 과일의 표면의 세균, 오물 등을 1차로 세척하고, 살균수로 세척된 야채, 과일 등을 정수가 출수되는 출수노즐의 아래로 옮긴 뒤, 정수를 배출하여, 야채 과일에 묻은 살균수를 2차 세척하여 제거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따라서, 1차 세척 및 2차 세척이 서로 다른 장소에서 진행되면서, 세척과정이 매우 번거로울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하나의 위치에 피세척물을 놓고, 제2출수노즐(220)을 통해 살균수를 출수해서 1차 세척 후, 제2출수노즐(220)의 상측에 배치된 제1출수노즐(210)을 통해 정수를 출수하여, 정수 세척을 마무리할 수 있다. 따라서, 1차 세척 및 2차 세척이 한곳에서 진행되면서, 세척과정이 매우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물은 정수, 온수, 냉수이다. 살균수는 특별한 상황에서만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무의식 상태에서, 살균수 배출을 선택하지 않고 정수 배출을 선택하도록, 본 발명에서는 제2출수노즐(220)의 상측에 제1출수노즐(210)을 배치하였다.
일반적으로, 살균수를 배출하여, 음용할 경우, 살균수 내에서는 차아염소산이 함유되어 사용자의 건강에 이롭지 못하다.
이렇게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의 몸체부(230)의 상측에 냉,온,정수 취출이 가능한 제1출수노즐(210)을 배치하고, 하부에 살균수가 출수되는 제2출수노즐(220)을 배치하였다.
또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수, 온수, 냉수가 출수되는 제1출수노즐(210)의 폭과 연장된 길이가 하부의 살균수가 출수되는 제2출수노즐(220)에 비해서 넓고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살균수가 출수되는 제2출수노즐(220)은 제1출수노즐(210)에 의해서 은폐가 가능하다.
또한, 종래 경우, 상하 배치된 출수노즐의 개별 회전구조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 출수노즐과 하부 출수노즐이 별도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만약, 상부 출수노즐과 하부 출수노즐이 독립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동시에 회전하는 구조를 구비하면, 상부 출수노즐에서 정,온,냉수 취출 시, 하부 출수노즐이 물을 받는 용기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출수노즐은 외형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몸체부(230) 내부에 배치되고, 싱크대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내측부재(260)에 대해서, 각각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약 180도 회전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2개의 출수노즐(210,220)이 외부의 간섭에 의해서, 임의로 움직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즉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회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체와 회전체 사이에 복수의 오링 및 각링을 배치하였다.
참고로, 상기 ‘회전체’는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체’는 몸체부(230), 후술되는 내측부재(260), 후술되는 제1,2연결부재(214,215) 및 결합부재(216)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오링 및 각링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링 및 각링의 작용에 의해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은 사용자가 세팅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오링의 경우, 원주방향으로 마찰을 형성하고, 각링의 경우, 소정의 높이를 형성하여, 상하방향으로 마찰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의 경우, 오링 및 각링에 의해 원주방향 및 상하방향(축방향)으로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오링 및 각링은, 각 구성품 간의 유격을 잡아줄 수 있다. 오링 및 각링에 의해 마찰이 발생하면서,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의 회전이 부드럽게 진행되면서,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고,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이 회전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부(200)에는 표시 및 입력수단(240)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는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에는 출수버튼(244)을 비롯해서 각종 명령 및 설정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각종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제1출수노즐(21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상기 출수부(200)의 최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온수, 정수, 냉수, 살균수 선택기능, 출수 명령 기능, 냉수 및 온수 온도 설정 및 표시기능, 드레인 선택 기능, 필터 교체주기 알림 기능, 출수되는 물의 용량을 설정 기능, 출수되는 물의 취출 시간 설정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살균수 선택 버튼, 살균수 출수버튼 역시 제1출수노즐(2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출수하는 물을 상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출수버튼(244)은 후술되는 제1코크(219)의 수직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출수버튼(244)은 제1코크(219)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서의 정수,냉수,온수 및 살균수의 취출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수도 배관, 물탱크, 지하수 배관 등의 급수원과 연결된 원수배관(20)을 통해서 원수를 공급받는다. 상기 원수배관(20) 상에는 감압밸브(21)가 설치되며, 원수는 상기 감압밸브(21)를 통과하면서,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된다.
그리고, 감압된 원수는 감압밸브(21)와 상기 필터(120)를 연결하는 배관을 통해서 상기 필터(120)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원수는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수 상태가 된다. 그리고, 유입밸브(35)의 개방에 의해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는 출수배관(30)을 유동하면서, 유량센서(36)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량센서(36)에서 감지된 유량은 온수탱크(130) 또는 냉수탱크(140)의 출력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량센서(36)를 통과한 정수는 출수배관(30)을 따라서 유동한다. 그리고, 살균수측, 냉수-정수측, 온수측으로 분지될 수 있다.
먼저, 냉수,정수측으로 분지된 정수는 재차 냉수측과 정수측으로 분지되어 각각 정수배관(31)과 냉수배관(32)으로 유동한다. 상기 정수배관(31)과 냉수배관(32)에는 각각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정수밸브(41)와 냉수밸브(42)가 설치된다. 사용자의 정수 또는 냉수 선택 조작에 의해 상기 정수밸브(41)와 냉수밸브(42)가 선택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출수버튼의 조작을 통해 선택된 밸브가 개방되어 정수 또는 냉수가 제1출수노즐(210)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가 냉수 출수를 요청하면, 냉수밸브(42)가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냉수밸브(42)가 개방되면, 출수배관(30)의 정수는 냉수배관(32) 및 냉수밸브(42)를 통과하게 되고, 냉수배관(32)의 물은 냉수탱크(140) 내부의 쿨링 코일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쿨링 코일을 따라 유동되는 물은 상기 냉수탱크(140) 내부의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냉수로 냉각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각수는 설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냉각된다.
상기 냉수탱크(140)를 지난 냉수는 냉수배관(32)과 연결된 제1공통유로(38) 및 제2공통유로(39)를 통해,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하고, 제1출수밸브(61)를 거쳐, 제1출수노즐(210)로 공급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해 압축기가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의 구동은 상기 냉수탱크(140)의 내부에 구비된 냉수 온도센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는 항상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인버터 압축기로 필요한 부하에 대응하여 주파수가 조절되며, 냉각 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는 인버터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수를 최적의 효율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정수 출수를 요청하면, 상기 정수밸브(41)가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정수밸브(41)가 개방되면, 출수배관(30)의 정수는 정수배관(31) 및 정수밸브(41)를 통과하게 되고, 정수배관(31)과 연결된 제1공통유로(38) 및 제2공통유로(39)를 통해,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출수밸브(61)를 거쳐, 제1출수노즐(21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온수의 출수를 요청한 경우, 상기 온수밸브(43)가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온수밸브(43)가 개방되면, 출수배관(30)의 정수는 온수배관(33) 및 온수밸브(43)를 통과한다. 또한, 온수배관(33)을 통과한 물은 유량조절밸브(37)에 의해,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량조절밸브(37)를 통과하면서, 유량이 조절된 정수는 온수탱크(130)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탱크(130)을 지나는 과정에서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온수탱크(130)은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온수탱크(130)에 포함된 워킹 코일의 출력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온수탱크(130)을 통과한 정수는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온수탱크(130)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수는, 온수배관(33)과 연결된 제2공통유로(39)를 통해,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출수밸브(61)를 거쳐, 제1출수노즐(21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탱크(130)는 드레인 배관(50)과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배관(50)은 상기 온수탱크(130) 내부의 물이 끓게 되는 경우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배관(50)에는 세이프티 밸브(51)가 구비되어 설정된 압력 이상의 압력이 발생될 경우 상기 세이프티 밸브(51)가 개방되어 증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세히, 상기 세이프티 밸브(51)는 상기 온수 탱크 내에서 온수의 가열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온수 탱크의 내부가 증기에 의해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세이프티 밸브(51)는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온수 탱크 내부의 증기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증기 배출을 위한 드레인 배관의 경우,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와 연결된 드레인 배관과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기 배출을 위한 드레인 배관의 경우,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와 연결된 드레인 배관과 합류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온수탱크(130)는 유도가열 방식으로 순간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순간온수 특성 상 온수탱크(130)로 유입되는 입수 유량이 작을 경우, 온수탱크(130) 내에서, 끓음(boiling)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온수탱크에 출력을 공급하는 제어모듈에 포함된 소자(일예로, IGBT)의 히트싱크(heat sink)에 온도센서를 장착한다. 그리고, 히트싱크(heat sink)의 온도가 설정온도(일예로, 70℃)를 초과하면, 온수탱크(130)로 출력 공급을 중단한다.
일 예로, 상기 온수탱크(130)는 온수를 만들기 위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와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 및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와 제어부는 하나의 모듈 상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는 온수탱크(130)로 공급된 정수를 공급받아 온수로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는, 상기 온수 탱크(130)를 지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워킹 코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경우, 냉수, 정수, 온수가 하나의 제1출수노즐(210)을 통해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
참고로, 제1출수밸브(61)에는 제2공통배관(39)을 통해 공급된 냉수,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제2공통배관(39)에서 공급된 냉수, 온수의 온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1출수밸브(61)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만족범위에 포함되면, 냉수, 온수를 제1출수노즐(210) 측으로 공급하고,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만족범위에 미포함되면, 정수, 냉수, 온수를 드레인 배관(50) 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제1출수밸브(61)의 유로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온도센서는 냉/온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측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온수, 냉수의 출수 시, 사용자가 출수버튼을 누르면, 배관의 물은 온도 만족 여부에 관계없이 무조건 드레인이 진행된 후, 온수 및 냉수의 출수가 진행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가 냉수 출수를 요청하면, 냉수탱크(140)와 제1출수밸브(61) 사이에 채워졌던 물(잔수)은 드레인 배관(50)을 통해서, 자동으로 드레인되고, 잔수의 배출이 진행된 후, 냉수탱크(140)의 물은 제1출수밸브(61)를 거쳐, 제1출수노즐(21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차가운 냉수만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온수 출수를 요청하면, 온수탱크(130)와 제1출수밸브(61) 사이에 채워졌던 물(잔수)은 드레인 배관(50)을 통해서, 자동으로 드레인되고, 잔수의 배출이 진행된 후, 온수탱크(130)의 물은 제1출수밸브(61)를 거쳐, 제1출수노즐(21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뜨거운 온수만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반면, 정수의 경우, 잔수의 드레인 없이, 곧 바로 정수의 출수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살균수 출수를 요청하면, 살균수밸브(44)가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살균수밸브(44)가 개방되면, 출수배관(30)의 정수는 살균수배관(34) 및 살균수밸브(44)를 통과하게 되고, 살균수배관(34)의 물은 살균수모듈(150)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살균수모듈(15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살균수배관(34)을 따라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하고, 제2출수밸브(62)를 거쳐, 제2출수노즐(220)을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언더싱크 정수기 특성상 싱크대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부(100)와 싱크대 외부에 설치된 출수부(200)의 거리가 멀어 이들을 연결하는 유로가 길어진다. 또한, 이 유로에 남아있는 잔수가 출수온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출수부(200)와 최대한 가까운 위치에 밸브(61,62)를 설치하여 유로에 남아있는 잔수를 선택적으로 드레인(drain) 시킨 후 출수가 이루어지게 하여 온도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 후 본체부(100)와 출수부(200)를 연결하는 길이가 긴 유로에 남아있는 잔수를 출수부(200) 바로 아래 설치된 밸브(61)에서 드레인 시킨 후, 갓 만들어진 직수(온수 또는 정수) 만을 출수노즐(210)로 출수하여 목표 출수 온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원수배관(20)으로 유입된 물은, 필터(120)를 통과하면서, 정수로 정화된다.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는, 출수배관(30)을 따라 유동하고, 유입밸브(35)와, 유량센서(36)를 통과한다.
그리고, 출수배관(30)은 살균수배관(34)으로 분지된다.
상기 살균수배관(34) 상에는 살균수모듈(150)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원터 디스펜싱 장치는, 상기 살균수모듈(150)의 전극(152022)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수모듈(150)의 전극(1521,1522)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1521,1522)에서 출력되는 실시간 전류값을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170) 및, 상기 유량센서(36)에서 감지된 유량정보와, 상기 전류 감지부(170)에서 감지된 실시간 전류값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살균수모듈(150)에서 출력되는 목표 전류값을 설정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살균수 출수가 시작되면, 유량센서(36)에서 살균수모듈(150)로 유입되는 실시간 유량을 감지한다. 그리고, 유량센서(36)에서 감지된 실시간 유량값은 제어부(180)로 입력된다.
또한, 전원공급부(160)에서, 살균수모듈(150)의 전극(1520)으로 미리 설정된 정전압을 공급한다.
그리고, 전극(1520)에서 출력된 실시간 전류값을 전류감지부(170)에서 읽고, 읽힌 전류값은 상기 제어부(180)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류감지부(170)에서 감지된 실시간 전류값과, 유량센서(36)에서 감지된 실시간 유량값을 입력받고, 입력된 전류값 및 유량값과 매칭된 값을 목표 전류값으로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180)에는, 상기 전류감지부(170)에서 감지된 실시간 전류값과, 유량센서(36)에서 감지된 실시간 유량값 별로 목표 전류값이 매칭된 테이블(도 12참조)이 저장된 상태이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류감지부(170)에서 감지된 실시간 전류값과 매칭된 값을 목표 전류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원 공급부(160)에서 상기 살균수모듈(150)의 전극(1520)으로 정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상기 전류 감지부(170)에서 감지된 전류값과 매칭된 값을 목표전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류 감지부(170)에서 감지된 실시간 전류값으로 유입된 물의 경도, 즉 유입된 물의 총용존 고형물질(TDS, total dissolved solids)의 농도를 예측하고, 물의 경도가 높으면, 목표전류값을 감소시키고, 물의 경도가 낮으면, 목표전류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유량센서(36)에서 감지된 실시간 유량값을 입력받고, 입력된 유량값과 매칭된 값을 목표 전류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유량센서(36)에서 감지된 유량이 커지면, 상기 살균수모듈(150)의 목표 전류값을 증가시킬 수 있고, 상기 유량센서(36)에서 감지된 유량이 작아지면, 상기 살균수모듈(150)의 목표 전류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살균수모듈(150)에서, 출력되는 실시간 전류값이 목표전류값에 도달되게, 상기 전원 공급부(160)로 신호를 보내, 상기 살균수모듈(150)로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상세히, 실시간 전류값이 목표 전류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원 공급부(160)는 살균수모듈(150)로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실시간 전류값이 목표 전류값보다 크면 상기 전원 공급부(160)는 살균수모듈(150)로 인가되는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원 공급부(160)는 듀티(duty)제어를 통해서, 상기 살균수모듈(150)로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상세히, 실시간 전류값이 목표 전류값보다 작으면 상기 전원 공급부(160)는 듀티(duty)를 증가시켜, 살균수모듈(150)로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실시간 전류값이 목표 전류값보다 크면 상기 전원 공급부(160)는 듀티(duty)를 감소시켜, 살균수모듈(150)로 인가되는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요약하면, 살균수 생성 시, 먼저 유량이 체크되고, 살균수 모듈의 전극으로 정전압이 인가된다.
이후, 살균수모듈의 전극에서 출력된 실시간 전류값을 기초로, 유입된 물의 총용존 고형물질(TDS, total dissolved solids)의 농도를 예측한다.
그리고, 제어부에서는, 감지된 실시간 유량값과, 전극에서 출력된 실시간 전류값 및 유입된 물의 총용존 고형물질(TDS, total dissolved solids)의 농도를 기초로, 목표전류값을 설정한다.
여기서 '목표전류값'이라 함은, 살균수모듈의 전극에서 출력되어야 하는 전류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살균수모듈의 전극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이 목표전류값에 도달되게,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실시간으로 조절한다.
이에 따르면, 입수되는 유량 및 유입된 물의 총용존 고형물질(TDS, total dissolved solids)의 농도가 변경된 경우, 그에 맞춰 살균수 모듈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유동제어가 이루어져, 균일한 농도의 살균수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통신부(181)를 통해서, 밸브제어부(182) 및 전원공급부(160)와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제어부(182)는 각종 밸브(35,62)에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살균수 모듈>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살균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살균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살균수 생성모듈에 포함된 전극부의 단면을 도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모듈(150)은 케이싱(1510), 전극부(1520), 스페이서(1530), 캡(154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케이싱(1510)은 살균수모듈(150)의 외부 몸체를 형성한다.
케이싱(1510)의 내측에는 상기 전극부(1520), 스페이서(153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싱(1510)은 일측이 개방되어 개구(1511)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살균수가 토출되는 토출관(1512)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510)은 적어도 일부가 납작한 박스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510)은 적어도 일부가 길이가 긴 박스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510)에 의해 정의된 내부공간의 두께 또는 폭은 물의 입수 및 출수 시 수압 또는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싱(1510)의 내부공간은 물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단면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1511), 토출관(1512) 역시 물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단면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510)의 개구(1511)는 캡(154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개구(1511)가 형성된 케이싱(1513)의 일측단부에는 원통형의 유입부(1513)가 형성되고, 상기 캡(1540) 역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1540)은 상기 개구(1511)가 형성된 케이싱(1510)의 유입부(1513)를 감싸는 형태로, 케이싱(151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513)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그 외경이 단계별로 점차 커지면서, 계단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513)의 단부에는 외측면에 복수의 홈부(1513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1540)은 상부캡(1541)과 하부캡(15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캡(1541)은 상기 케이싱(1510)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캡(1541)은 상기 케이싱(1510)의 토출관(1512)이 형성된 상측(도 25 기준)에서 하측으로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1541)은 상기 유입부(1513)를 상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유입부(1513)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캡(1542)은 케이싱(1510)의 하측에서 개구(1511)를 차폐하면서, 상기 상부캡(1541)과 체결된다. 일 예로, 상기 상부캡(1541)의 하측에는 외주면에 나사산(154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캡(1542)의 상단의 내주면에는 상기 상부캡(1541)의 나사산(1543)이 체결되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캡(1541)과 하부캡(1542)가 체결되면, 상기 케이싱(1510)의 개구(1511)가 캡(2540)에 의해서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캡(1541)과 하부캡(1542) 사이 또는 상기 케이싱(1510)과 캡(1540)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오링(155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캡(1542)에는 상기 살균수배관(34)에서 공급된 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5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1544)은 필터 측 살균수 배관과 연결되고, 토출관(1512)은 출수부(200) 측 살균수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캡(1541)의 외면 그리고, 하부캡(1542)의 외면에는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방지용 요철(1545,1546)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부캡(1541)의 외면 그리고, 하부캡(1542)의 외면에는 상기 미끄럼방지용 요철(1545,1546)의 형성을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홈과 돌기가 번갈아 가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510)은 외면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보강리브(15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510)은 마주보는 면이 평면을 이룰 수 있다. 평면 형상의 케이싱(1510)의 외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보강리브(1514)는 복수의 횡방향 보강리브 및 종방향 보강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종방향 보강리브와, 복수의 횡방향 보강리브는 교차되면서, 격자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의 보강리브(1514)의 구성으로, 케이싱(1510)의 내압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케이싱(1510)과 캡(1540)에 의해서, 상기 살균수모듈(150)의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살균수 모듈(150)은 유입관(1544)이 하측을 향하고, 토출관(1512)이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관(1544)를 통해 입수된 물이 케이싱(1510)의 내측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토출관(1512)은 케이싱(1510)의 상측에 위치하여, 살균수는 토출관(1512)을 통해 케이싱(1510)의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1544)과 토출관(1512)은 각각 살균수배관(34)과 연결된다. 따라서, 살균수배관(34)으로 유입된 정수는 유입관(1544)을 통해 살균수모듈(150)로 유입되고, 살균수모듈(15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토출관(1512)을 통해 살균수모듈(150)을 빠져나간 뒤, 살균수배관(34)을 통해 출수부(2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544) 하측에 배치되고, 살균수가 토출되는 토출관(1512)이 상측에 구비되면, 하측에서 상측으로 물이 천천히 유동하게 되고, 살균수 생성과정에서 발생된 기포가 상측으로 포집된 후, 토출관(1512)로 빠져나갈 수 있다.
만약, 유입관(1544)이 케이싱(1510)의 상측에 위치하면, 유입관(1544)을 통해 입수된 물이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빠르게 유동하게 되고, 정수가 전극부(1520)과 충분히 반응하지 않고 배출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원하는 살균수 농도를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유입관(1544)과 토출관(1512)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 살균수 생성과정에서 발생된 기포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살균수 생성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유입관(1544)과 토출관(1512)을 상하방향으로 배치하되, 유입관(1544)이 하측에 배치되고, 토출관(1512)이 상측에 배치되게, 살균수모듈(150)을 설치한다.
이에 따르면, 하측에서부터 상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수위가 상승하면서 물과 전극부(1520)의 접촉면적이 확장됨으로써 전극부(1520)과 물의 화학반응에 따른 살균수 생성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케이싱(1510)의 내측에는 케이싱(1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물이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케이싱(1510)의 내부에는 두 개의 전극부(1520)가 서로 오버랩(overlap)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510)의 내부에는 두 개의 전극부(1520) 간격을 유지하도록 스페이서(15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1520)는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510)은 내측면에 상기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게 잡아주는 홀더(미도시)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은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전극(1521)은 판형으로 구비되고, 제2전극(1522)은 일측과 타측이 마주보게 접힌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1522)은 ‘U’자 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2전극(1522)은 상호 마주보는 한쌍의 전극판(1522a,1522b)과, 상기 전극판(1522a,1522b)의 일측을 연결하는 굽힘부(152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굽힘부(1522a)에는 절개된 형상의 슬릿(1522d)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1521)은 상기 전극판(1522a,152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극판(1522a,1522b)과 제1전극(1521)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전극판(1522a,1522b)과 제1전극(1521)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극판(1522a,1522b)과 제1전극(1521) 사이에 형성된 갭(G)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전극판(1522a,1522b)과 제1전극(1521) 사이, 또는 상기 전극판들(1522a,1522b) 사이에는 스페이스(1530)가 삽입된다.
상기 스페이서(1530)는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530)는 상기 슬릿(1522d)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슬릿(1522d)은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2개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1530)역시, 상기 슬릿(1522d)에 대응하여, 2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530)는 상기 전극(152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중심부(1531)와, 상기 중심부(1531) 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중심부(15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부(15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돌기부(1532)는 상기 전극판(1522a,1522b) 사이에 끼워져, 전극판(1522a,1522b) 사이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돌기부(1532)는 상기 전극판(1522a,1522b)과 제1전극(1521) 사이에 끼워져, 전극판(1522a,1522b)과 제1전극(1521) 사이 간격을 유지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스페이서(1530)가 중심부(1531)와 돌기부(1532)로 형성되면, 상기 전극(1521,1522)의 간격이 유지되면서, 상기 돌기부(1532) 사이를 통해서, 물이 유동할 수 있어, 물의 유동저항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에는 각각 단자부(1523,15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1521)에는 상기 단자부(1523)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돌출되고, 곡면으로 이루어진 파지부(152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1523,1524)는 상기 하부캡(1542)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1523,1524)는 상호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513)의 유입부(1513)에는 내측면에 상기 단자부(1523,1524)가 고정되는 끼움부(1513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캡(1542)에는 상기 단자부(1523,1524)가 통과하는 통과홀(154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과홀(1547)과 단자부(1523,1524) 사이에는 누수방지를 위해 오링(1561,1562)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하부캡(1542) 외측으로 노출된 단자부(1523,1524)를 통해서, 상기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염소이온이 녹아 있는 물(정수)을 전기분해하여 살균력을 갖는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할 수 있다. 차아염소산수는 특성 상, 기포가 다량 포함되고, 뿌옇게 출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포가 많이 포함된 살균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정수와 살균수를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살균수의 농도는 사용자가 음용 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은 고체고분자 전해질막을 중심으로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수중에서 전기분해 반응을 유도하여 고농도의 오존을 생성함에 따라 강력한 살균력을 가진 오존이 혼합된 살균수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전극(1521,1522) 각각에 단자부(1523,1524)가 구비되어, 외부전원(전류)이 단자부(1523,1524)를 통해 전극(1521,1522)으로 인가될 수 있다. 단자부(1523,1524) 각각은 각 전극(1521,1522)의 일측에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부캡(1542)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단자부(1523,1524) 각각은 전극(1521,1522)의 가로방향(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극부(1520)가 평판형의 제1전극(1521)과, 접힌 형상의 제2전극(1522)으로 구비되면,
전극부(1520)의 크기가 작아지고, 결과적으로 살균수모듈(150)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반면, 제2전극(1522)이 접힌 형상을 갖고, 제1전극(1521)이 상기 제2전극(1522)의 전극판(1522a,1522b)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물과 전극(1521,1522)의 접촉면적이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전극(1521,1522)과 물의 화학반응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은 마주보는 면에 코팅이 진행되어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은 티타늄(Ti)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팅층은 이리듐(Ir)과 백금(Pt)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은 0.5mm의 두께를 구비하고, 상기 코팅층은 1.6㎛의 두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제1전극(1521)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제2전극(1522)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살균수 모듈(15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제2출수노즐(210)을 통해서, 싱크대로 제공되고, 사용자는 살균수를 이용해서, 설거지, 과일세척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살균수 생성모듈의 조립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극판(1522a,1522b)과 제1전극(1521) 사이, 또는 상기 전극판들(1522a,1522b) 사이에는 제2스페이스(156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2스페이스(1560)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페이스(1560)는 'ㄷ'자 형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페이스(1560)는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전극(1521)의 단부는 상기 슬릿홈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스페이서(1560)는 타측의 중심부에 고정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에는 상기 제2전극(1522)의 슬릿(1522d) 사이에 형성된 브릿지(1522f)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을 기준으로 양측단부는 각각 상기 슬릿(1522d)에 삽입된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먼저 제2스페이서(1560)가 제1전극(1521)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전극(1521)의 단부는 상기 제2스페이서(1560)의 일측에 형성된 슬릿홈에 삽입된다. 상기 제2스페이서(1560)는 상기 제1전극(1521)의 중심부에 결합된다.
이후,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전극(1522)에 제1전극(1521)이 삽입되면서,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스페이서(1560)의 타측은 상기 슬릿(1522d)에 삽입되고, 슬릿(1522d) 사이에 형성된 브릿지(1522f)는 제2스페이서(1560)는 타측의 중심부에 고정홈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브릿지(1522f)가 고정홈에 삽입되면, 케이싱(1510)에 전극(1520) 삽입 시, 제2스페이서(1560)가 밀리거나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후, 도 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로 결합된 전극(1520)을 케이싱(1510)에 삽입한다.
<제어방법>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살균수 출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단계와,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모듈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단계와,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정전압이 인가되는 정전압공급단계와,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에서 출력되는 실시간 전류값을 감지하는 전류감지단계와, 상기 감지된 유량과, 실시간 전류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목표전류값을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정단계에서, 목표 전류값 설정 후, 실시간 전류값과 목표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변경하는 조절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절단계에서, 실시간 전류값이 목표전류값보다 낮으면,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키고, 실시간 전류값이 목표전류값보다 크면,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절단계에서, 듀티(duty)제어를 통해서,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단계에서, 실시간 전류값이 낮으면, 물의 경도가 낮다고 판단하여, 목표 전류값을 증가시키고, 실시간 전류값이 높으면, 물의 경도가 높다고 판단하여, 목표 전류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단계에서, 실시간 전류값이 감지되면, 해당 전류값과 기매칭된 목표 전류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단계에서, 실시간 유량이 클수록, 목표 전류값은 증가되고, 실시간 유량이 작을수록, 목표 전류값은 감소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로부터, N번째 살균수 출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단계와, 희망출수량을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희망출수량을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단계와, 희망출수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모듈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단계와, 상기 감지된 유량을 기초로, 상기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목표전류값을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정단계에서, 상기 목표전류값은 N-1번째, 살균수 출수시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된 전류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희망출수량이 기준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정전압이 인가되는 정전압공급단계와,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에서 출력되는 실시간 전류값을 감지하는 전류감지단계와, 상기 감지된 유량과, 실시간 전류값을 기초로, 상기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목표전류값을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단계에서, 목표 전류값 설정 후, 실시간 전류값과 목표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변경하는 조절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N번째, 살균수 출수명령이 입력된다.
그리고, 살균수 밸브가 개방된다.(S111)
상기 '살균수 밸브'는 제2출수밸브(62)를 의미한다.
또한, 유입밸브(35)가 개방된다. (S112)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살균수 출수명령이 입력되면, 통신부(181)를 통해서, 밸브제어부(182)로 개방 신호를 보내, 살균수 밸브와 유입밸브(35)를 개방시킨다.
이후, 출수되는 물의 양을 기준유량과 비교한다.(S113)
일 예로, 기준유량은 120ml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S113단계에서, 출수되는 물의 양(희망출수량)이 기준유량보다 큰 경우, 전원공급부(160)에서 살균수모듈(150)의 전극(1520)으로 기설정된 정전압을 인가한다.(S114)
일 예로, 상기 정전압은 5V 내지 9V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살균수 출수명령이 입력되면, 전원공급부(160)로 신호를 보내, 살균수모듈(150)의 전극(1520)으로 정전압을 인가시킨다.
그리고, 살균수모듈(150)의 전극(1520)으로 정전압이 인가된 시간이 기준시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5)
일 예로, 기준시간은 약 3초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S115단계에서, 살균수모듈(150)의 전극(1520)으로 정전압이 인가된 시간이 기준시간을 경과하면, 전류감지부(170)에서, 살균수모듈(150)의 전극(1520)에서 출력된 전류값을 실시간으로 감지한다.(S116)
그리고, 전류감지부(170)에서 감지된 전류값은 제어부(180)로 입력된다.
상기 S116단계에서, 살균수모듈(150)에 물이 유입되면, 통전이 진행되고, 제1전극에서 제2전극으로 전류가 흐르고, 제2전극에서 출력된 전극은 전류감지부(170)에서 읽혀진다.
이때, 유입된 물의 총용존 고형물질(TDS, total dissolved solids)의 농도가 높을수록, 제2전극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은 커진다.
따라서, 제어부는 제2전극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이 크면, 유입된 물의 총용존 고형물질(TDS, total dissolved solids)의 농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유입된 물의 경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된 물의 경도가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제어부(180)는 살균수모듈(150)에서 생성된 살균수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도록, 살균수모듈(150)의 전극(1520)으로 유입되는 전압의 크기를 낮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2전극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이 작으면, 유입된 물의 총용존 고형물질(TDS, total dissolved solids)의 농도가 낮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유입된 물의 경도가 낮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된 물의 경도가 낮은 상태이기 때문에, 제어부(180)는 살균수모듈(150)에서 생성된 살균수의 농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살균수모듈(150)의 전극(1520)으로 유입되는 전압이 커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살균수의 농도가 기준보다 낮으면, 살균력이 확보되지 않고, 살균수의 농도가 기준보다 크면, 염소 냄새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상기 S113단계에서, 출수되는 물의 양(희망출수량)이 기준유량 이하인 경우, 상기 S114단계 및 S115는 생략된다.
그리고, 후술되는 S117단계가 바로 진행된다.
출수되는 살균수 유량이 작은 경우, 출수량이 작기 때문에, 출수시간이 짧다.
따라서, S114단계 및 S115를 진행할 경우, 그만큼 시간이 지연되면서, 살균수의 농도확보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출수되는 살균수 유량이 작은 경우, S114단계 및 S115는 생략하고, 유량을 감지하는 S117단계를 바로 진행한다.
즉, 출수되는 살균수 유량이 작은 경우, 유입된 물의 총용존 고형물질(TDS, total dissolved solids)의 농도를 판단하고, 그에 맞춰 전극(1520)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변경하는 제어는 생략되고, 유량에 따라 전극(1520)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변경하는 제어만 진행된다.
한편, 유량센서(36)에서, 살균수모듈(150)로 유입되는 물의 실시간 유량을 감지한다.(S117)
그리고, 감지된 유량은 제어부(180)로 입력된다.
만약, 감지된 유량이 크면, 제어부(180)는 살균수모듈(150)에서 생성된 살균수의 농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살균수모듈(150)의 전극(1520)으로 유입되는 전압이 커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반면, 감지된 유량이 작으면, 제어부(180)는 살균수모듈(150)에서 생성된 살균수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도록, 살균수모듈(150)의 전극(1520)으로 유입되는 전압의 크기를 낮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정전압 인가 후, 전극에서 출력된 전류값과, 실시간 유량값이 제어부(180)로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80)에서는 목표전류를 설정한다.(S118)
여기서 목표전류는 상기 살균수모듈(150)의 전극(1520)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목표값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180)에는, 상기 전류감지부(170)에서 감지된 실시간 전류값과, 유량센서(36)에서 감지된 실시간 유량값 별로 목표 전류값이 매칭된 테이블(도 12참조)이 저장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정전압 인가 후, 전극에서 출력된 전류값과, 실시간 유량값이 입력되면, 곧 바로, 목표전류값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출수되는 살균수 유량이 작게 세팅되어, S114단계 및 S115가 생략된 경우, 목표전류(N번째)는, N-1번째 살균수 출수 시, 목표전류값(N-1번째)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목표전류값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전류감지부(170)는 계속해서, 살균수모듈(150)의 전극(1520)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을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전류감지부(170)에서 감지된 전류값을 상기 S118단계에서 설정된 목표전류값과 비교한다.(S119)
상기 S119단계에서, 실시간 전류가 목표전류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전원공급부(160)로 신호를 보내서, 살균수모듈(150)의 전극(1520)으로 공급되는 전압을 증가시킨다.(S120)
반대로, 상기 S119단계에서, 실시간 전류가 목표전류보다 작지 않으면, 실시간 전류가 목표전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121)
그리고, S121단계에서, 실시간 전류가 목표전류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180)는 전원공급부(160)로 신호를 보내서, 살균수모듈(150)의 전극(1520)으로 공급되는 전압을 감소시킨다.(S122)
반면, 상기 S121단계에서, 실시간 전류가 목표전류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살균수모듈(150)의 전극(1520)으로 공급되는 전압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지 않고, 유지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출수정지여부를 판단한다.(S123)
참고로, 설정된 용량의 살균수가 모두 출수되거나, 사용자로부터 긴급출수정지명령이 입력된 경우가 출수가 정지된다.
상기 S123단계에서, 출수정지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유입밸브(35)를 닫는다. (S124)
그리고, 살균수 밸브를 닫는다.(S125)
상기 '살균수 밸브'는 제2출수밸브(62)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출수정지를 위해서, 통신부(181)를 통해서, 밸브제어부(182)로 차단 신호를 보내, 살균수 밸브와 유입밸브(35)를 차단시킨다.
그리고, 살균수 출수가 종료된다.
반면, 상기 S123단계에서, 출수정지 상황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유량을 체크하는 S117단계로 되돌아가고, 유량에 따라 목표전류를 설정하고, 전극에서 출력된 전류가 설정된 목표전류에 도달하도록, 전극으로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가 반복 진행될 수 있다.
도 10은 살균수 모듈의 전극에 정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살균수모듈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 및 경도에 따라,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을 비교한 표이다.
도 11은 살균수 모듈의 전극에 정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살균수모듈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 및 경도에 따라,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을 비교한 표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살균수 모듈의 전극에 정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살균수모듈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이 클수록,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은 작아지고, 살균수모듈로 유입되는 물의 경도가 클수록,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유량이 고정되고, 정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을 기초로, 유입된 물의 경도, 즉 유입된 물의 총용존 고형물질(TDS, total dissolved solids)의 농도를 예측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유입되는 물의 유량 및 물의 경도가 변경되더라고, 균일한 농도의 살균수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살균수모듈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 및 경도 별,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목표전류값을 매칭한 표이다.
도 13은 살균수모듈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 및 경도 별,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목표전류값을 매칭한 그래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살균수 모듈의 전극에 정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이 클수록, 즉 유입된 물의 경도 또는 유입된 물의 총용존 고형물질(TDS, total dissolved solids)의 농도가 클수록, 목표전류값은 작아지고, 살균수모듈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이 낮을수록, 목표전류값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살균수 모듈의 전극에 정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이 작을수록, 즉 유입된 물의 경도 또는 유입된 물의 총용존 고형물질(TDS, total dissolved solids)의 농도가 낮을수록, 목표전류값은 커지고, 살균수모듈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이 클수록, 목표전류값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량이 고정되고, 정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전류값을 기초로, 유입된 물의 경도, 즉 유입된 물의 총용존 고형물질(TDS, total dissolved solids)의 농도를 예측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유입되는 물의 성질이 변경되더라고, 균일한 농도의 살균수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살균수모듈로 유입되는 유량이 변경되더라도, 그에 따라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균일한 농도의 살균수를 생성 및 제공할 수도 있다.

Claims (20)

  1. 물이 유입되는 유입되는 원수배관;
    상기 원수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원수배관의 물을 공급받아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모듈;
    상기 살균수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살균수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살균수배관;
    상기 원수배관 상에 설치되는 유량센서;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에서 출력되는 실시간 전류값을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
    상기 유량센서에서 감지된 유량정보와, 상기 전류감지부에서 감지된 실시간 전류값 중 선택된 적으로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목표 전류값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실시간 전류값이 목표전류값에 도달되게, 상기 살균수모듈로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하거나 감소시키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센서에서 감지된 유량이 커지면, 상기 살균수모듈의 목표 전류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유량센서에서 감지된 유량이 작아지면, 상기 살균수모듈의 목표 전류값을 감소시키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정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값과 기매칭된 값을 목표전류로 설정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감지된 실시간 전류값으로 유입된 물의 경도를 예측하고,
    물의 경도가 높으면, 목표전류값을 감소시키고,
    물의 경도가 낮으면, 목표전류값을 증가시키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배관에는, 입수된 물을 정화시키는 필터 및 상기 원수배관을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유입밸브가 설치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배관에는, 상기 살균수배관을 유동하는 물 또는 살균수의 유동을 단속하는 살균수밸브가 설치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모듈은,
    상기 원수배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물이 유동하도록, 상기 유입관과 일렬로 연장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극부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경유한 물이 토출되게 상기 유입관의 맞은편에 상기 유입관과 일렬로 형성된 토출관을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제1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마주보면서 제1전극과 이격하여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적어도 일부가, 길고 납작한 박스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은, 물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단면적을 갖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11. 사용자로부터, 살균수 출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단계;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모듈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단계;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정전압이 인가되는 정전압공급단계;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에서 출력되는 실시간 전류값을 감지하는 전류감지단계;
    상기 감지된 유량과, 실시간 전류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목표전류값을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에서, 목표 전류값 설정 후,
    실시간 전류값과 목표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변경하는 조절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단계에서,
    실시간 전류값이 목표전류값보다 낮으면,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키고,
    실시간 전류값이 목표전류값보다 크면,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감소시키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에서,
    실시간 전류값이 낮으면, 물의 경도가 낮다고 판단하여, 목표 전류값을 증가시키고,
    실시간 전류값이 높으면, 물의 경도가 높다고 판단하여, 목표 전류값을 감소시키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에서,
    실시간 전류값이 감지되면, 해당 전류값과 기매칭된 목표 전류값으로 설정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에서,
    실시간 유량이 클수록, 목표 전류값은 증가되고,
    실시간 유량이 작을수록, 목표 전류값은 감소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
  17. 사용자로부터, N번째 살균수 출수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단계;
    희망출수량을 판단하는 판단단계;
    희망출수량을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단계;
    희망출수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모듈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단계;
    상기 감지된 유량을 기초로, 상기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목표전류값을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에서,
    상기 목표전류값은 N-1번째, 살균수 출수시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된 전류값으로 설정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희망출수량이 기준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정전압이 인가되는 정전압공급단계;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에서 출력되는 실시간 전류값을 감지하는 전류감지단계;
    상기 감지된 유량과, 실시간 전류값을 기초로, 상기 살균수모듈에서 출력되는 목표전류값을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에서, 목표 전류값 설정 후,
    실시간 전류값과 목표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살균수모듈의 전극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변경하는 조절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90058395A 2019-05-17 2019-05-17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32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395A KR20200132601A (ko) 2019-05-17 2019-05-17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6/834,199 US20200361793A1 (en) 2019-05-17 2020-03-30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20/005677 WO2020235829A1 (en) 2019-05-17 2020-04-29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395A KR20200132601A (ko) 2019-05-17 2019-05-17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601A true KR20200132601A (ko) 2020-11-25

Family

ID=73231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395A KR20200132601A (ko) 2019-05-17 2019-05-17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61793A1 (ko)
KR (1) KR20200132601A (ko)
WO (1) WO20202358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251A1 (ko) * 2021-01-15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4543A (zh) * 2021-06-21 2022-12-23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气泡发生装置和家用电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3650A (ja) * 1996-03-22 1997-09-30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殺菌水製造装置
JP3746605B2 (ja) * 1997-12-26 2006-02-15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EP1074515B1 (en) * 1999-08-06 2007-10-03 PuriCore International Limited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an aqueous solution
KR20090107214A (ko) * 2008-04-08 2009-10-13 주식회사 이오니아 이온수 수소 이온 농도 조절 제어 방법 및 이온수 생성장치
EP2974907B1 (en) * 2014-07-16 2019-05-15 Airbus Operations GmbH Mobile water cart with water pre-conditioning device
KR101861710B1 (ko) * 2016-05-25 2018-05-29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JP6209255B1 (ja) * 2016-07-21 2017-10-04 株式会社日本トリム 電解水生成装置
KR101803875B1 (ko) * 2016-08-01 201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살균수 생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251A1 (ko) * 2021-01-15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61793A1 (en) 2020-11-19
WO2020235829A1 (en)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70851A1 (en) Liquid dispensing device
KR102194595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US11827540B2 (en) Liquid dispensing device
US20200361793A1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305191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WO20111437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nitizing water in a bathing unit and control interface for use in connection with same
KR102524055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491063B1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WO20111437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anitizing water in a bathing unit providing diagnostic capabilities and control interface for use in connection with same
KR20200047102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447111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US9517958B2 (en) System for water filtration
KR101861710B1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KR101286273B1 (ko) 이온수기 유로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283533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306072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599999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481846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548254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10118783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0704479B1 (ko) 벽걸이형 보일러를 이용한 이온수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