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479B1 - 벽걸이형 보일러를 이용한 이온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벽걸이형 보일러를 이용한 이온수 공급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4479B1 KR100704479B1 KR1020040060434A KR20040060434A KR100704479B1 KR 100704479 B1 KR100704479 B1 KR 100704479B1 KR 1020040060434 A KR1020040060434 A KR 1020040060434A KR 20040060434 A KR20040060434 A KR 20040060434A KR 100704479 B1 KR100704479 B1 KR 1007044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water supply
- water
- mounted boiler
- ionized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42—Cleaning arrange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경수를 가정 내 설치된 벽걸이형 보일러를 거쳐 공급받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경수를 이온수로서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의 용수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경수를 벽면의 일정 높이에 설치된 벽걸이형 보일러를 거쳐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용수공급관에 구비되는 삼방향 밸브와; 상기 삼방향 밸브와 벽걸이형 보일러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용수공급관 사이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온수를 상기 벽걸이형 보일러에 공급하는 이온수공급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이온수 공급수단은 상기 삼방향 밸브와 연결되는 유입라인과, 상기 벽걸이형 보일러 측의 용수공급관과 연결되는 배출라인 사이에 연결되는 이온수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보일러를 이용한 이온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계통도.
도 2는 일반적인 벽걸이형 보일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삼방향 밸브
20 : 이온수 공급수단
22 : 유입라인 22a : 전처리필터
24 : 배출라인 24a : 제어부
24b : 수류스위치 25 : 이온수기
25a : 수용탱크 25b : 격막
26 : 전원 26a : 양전극
26b : 음전극 27 : 이온화부
27a : 산성수부 27b : 알칼리수부
28,29 : 연결라인 29a : 개폐밸브
100 : 벽걸이형 보일러
102 : 유입구
110 : 용수공급관
본 발명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경수를 가정 내 설치된 벽걸이형 보일러를 거쳐 공급받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경수를 이온수로서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벽걸이형 보일러를 이용한 이온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는 난방 및 온수를 제공받을 수단의 일환으로 여러 형태의 보일러가 설치되어 지는 데, 상기 보일러는 운전 중에 발생하는 소음이나 위험요소 등으로 인해 별도의 보일러실이나 또는 사용자와의 간섭이 최대한 발생하지 않는 베란다 등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보일러가 가지는 특성으로 인해 가정집에 설치되는 보일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이 외부의 용수공급관(110)과 연결되어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 순환수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벽면에서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벽걸이형 보일러(100)가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벽걸이형 보일러에 공급되는 통상의 생활용수인 경수는 주지된 바와 같이 정화시설 등지에서 화학약품 처리 등과 같은 정화과정을 거쳐 지하로 매설된 각 용수공급관 등을 통하여 공급되거나 또는 저장탱크에 저장되었다가 공급되는 것으로, 이는 벽걸이형 보일러의 내부에서 제어신호에 따라 직,온수블럭과 삼방변의 작동에 의해 난방 측과 음용 또는 세탁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경수에는 정화과정에서 완전 분해되지 않은 화학약품이나 공급되는 과정에서 용수공급관 또는 저장탱크 등의 노화로 인해 많은 불순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함유된 상태로 공급되어 짐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많은 불신을 가지게 되었다.
그에 따라 근래에 들어서는 상기한 경수를 별도의 연수기나 이온수기를 통하여 정화된 연수나 이온수로서 제공받아 사용하고 있는 실정으로서, 이같은 경우에는 상기 별도의 연수기나 이온수기를 가정 내에 별도의 설치장소를 확보한 다음 설치해야 함에 따라 설치 및 사용상에 많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경수를 가정 내 설치된 벽걸이형 보일러를 거쳐 공급받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경수를 이온수인 산성수 또는 알칼리수로서 선택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온수의 공급 및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여 이온수기의 개폐밸브 및 전원을 차단하고 보일러에 경수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온수기에 경수 공급시보다 깨끗한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걸이형 보일러가 설치되는 장소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의 용수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경수를 벽면의 일정 높이에 설치된 벽걸이형 보일러를 거쳐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용수공급관에 구비되는 삼방향 밸브와; 상기 삼방향 밸브와 벽걸이형 보일러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용수공급관 사이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온수를 상기 벽걸이형 보일러에 공급하는 이온수공급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이온수 공급수단은 상기 삼방향 밸브와 연결되는 유입라인과, 상기 벽걸이형 보일러 측의 용수공급관과 연결되는 배출라인 사이에 연결되도록 수용탱크 내부의 격막에 의해 플러스 및 마이너스 전원과 연결된 각각의 양전극과 음전극이 구비되는 산성수부와 알칼리수부로 구성되는 이온화부와, 상기 산성수부 및 알칼리수부와 상기 유입라인과 배출라인이 각각의 연결라인으로 연결되되, 상기 배출라인의 연결라인에는 각각의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이온수기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라인에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밸브와 삼방향 밸브를 제어하는 수류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유입라인에는 전처리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이온수 공급수단은 상기 벽걸이형 보일러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용수공급관(110)을 통하여 공급되는 생활용수인 경수를 벽면의 일정 높이에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설치된 벽걸이형 보일러(100)를 거쳐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용수공급관(110)에 구비되어 상기 경수를 그 벽걸이형 보일러의 용수공급관이나 후술하는 이온수 공급수단으로 공급하도록 개폐되는 삼방향 밸브(3 WAY VALVE)(10)와;
상기 삼방향 밸브(10)와 벽걸이형 보일러(100)의 유입구(102)에 연결되는 용수공급관(110) 사이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온수를 상기 벽걸이형 보일러에 공급하여 사용자가 이온수를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이온수 공급수단(20)을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이온수 공급수단(20)은 상기 삼방향 밸브(10)와 연결되는 유입라인(22) 과, 상기 벽걸이형 보일러(100) 측의 용수공급관(110)과 연결되는 배출라인(24) 사이에 연결되는 이온수기(2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온수기(25)는 수용탱크(25a) 내부의 격막(25b)에 의해 플러스 및 마이너스 전원(26)과 연결된 각각의 양전극(26a)과 음전극(26b)이 구비되는 산성수부(27a)와 알칼리수부(27b)로 구성되는 이온화부(27)와, 상기 산성수부(27a) 및 알칼리수부(27b)와 상기 유입라인(22)과 배출라인(24)이 각각의 연결라인(28)(29)으로 연결되되, 상기 배출라인(24)의 연결라인(29)에는 각각의 개폐밸브(29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삼방향 밸브를 이온수 공급수단 측으로 전환시켜 경수가 용수공급관을 통하여 벽걸이형 보일러로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유입라인과 연결라인을 통하여 이온수기의 이온화부인 산성수부와 알칼리수부로 각각 유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이온수기의 이온화부로 유입되는 경수는 수용탱크 내에서 플러스 및 마이너스 전원과 연결된 각각의 양전극과 음전극에 의해 이온화되면서 산성수와 알칼리수로 분리되고, 그 분리된 산성수나 알칼리수는 그와 연결된 연결라인의 개폐밸브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개방시킴에 따라 그 개방된 측의 필요로 하는 산성수 또는 알칼리수가 상기 연결라인과 배출라인 및 용수공급관을 통하여 벽걸이형 보일러에 공급되어 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높고 낮게 함에 따라 상기 분리되는 산성수나 알칼리수의 농도가 약하거나 강하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벽걸이형 보일러를 거쳐 가정 내로 공급되는 공급수는 일반 경수가 아니라 이온화된 산성수나 알칼리수 중의 하나인 이온수로 공급되어 짐으로써,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알맞은 이온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상기 공급된 이온수가 전원의 세기에 낮아 약 산성수 일 경우에는 살균 및 세정 능력이 높은 관계로, 세안이나 샤워 또는 과일 및 야채 등을 세정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이온수가 약 알칼리수 일 경우에는 음용 물이나 밥짓는 물 또는 보리차 등에 적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의 세기가 높아 강 알칼리수 일 경우에는 세척력이 뛰어나 세탁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전원의 세기를 낮고 높게 함에 따라 약 산성수 또는 알칼리수나 강 산성수 또는 알칼리수로 형성되는 것은, 전원의 세기를 낮고 높게 함에 따라 이온화부의 산성수부 및 알칼리수부에 구비된 각각의 양전극과 음전극으로 통전되는 전류의 세기가 낮거나 높은 상태에 따라 수용탱크 내의 경수에 함유된 음이온이나 양이온의 흡착되는 양이 서로 다른 관계로, 그 양전극과 음전극으로 흡압되는 음이온이나 양이온의 양에 따라 산성수나 알칼리수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벽걸이형 보일러에 유입되기 전의 경수를 이온수공급수단에 의해 이온수로 변환된 상태에서 벽걸이형 보일러로 공급함에 따라 그 벽걸이형 보일러로 공급된 이온수는 기존의 벽걸이형 보일러 시스템과 연결된 각 배관을 통하여 냉,온수 또는 난방수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원의 세기를 낮고 높게 함에 따라 약 산성수 또는 알칼리수나 강 산성수 또는 알칼리수로 형성되는 것은, 전원의 세기를 낮고 높게 함에 따라 이온화부의 산성수부 및 알칼리수부에 구비된 각각의 양전극과 음전극으로 통전되는 전류의 세기가 낮거나 높은 상태에 따라 수용탱크 내의 경수에 함유된 음이온이나 양이온의 흡착되는 양이 서로 다른 관계로, 그 양전극과 음전극으로 흡압되는 음이온이나 양이온의 양에 따라 산성수나 알칼리수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벽걸이형 보일러에 유입되기 전의 경수를 이온수공급수단에 의해 이온수로 변환된 상태에서 벽걸이형 보일러로 공급함에 따라 그 벽걸이형 보일러로 공급된 이온수는 기존의 벽걸이형 보일러 시스템과 연결된 각 배관을 통하여 냉,온수 또는 난방수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반적인 경수를 그대로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로 하는 기능수인 이온수를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입라인(22)에는 통상의 여과제인 부직포 등이 내장된 전처리필터(22a)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용수공급관을 통하여 이온수 공급수단으로 공급되는 경수에 함유된 미세한 유기물이나 염소 등을 상기 전처리필터에서 제거한 상태로 이온수 공급수단에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이온수기의 이온화부에서 보다 청정화된 상태의 이온수를 생성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라인(24)에는 통상적인 제어부(24a)와 연결되어 상기 이온수기의 배출라인 측의 연결라인(29)에 설치된 각 개폐밸브(29a)와 용수공급관(110)에 구비된 삼방향 밸브(10)를 제어하는 수류스위치(24b)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이온수기의 연결라인에 설치된 개폐밸브를 선택하여 개방시키면 산성수나 알칼 리수가 공급되는 것을 수류스위치가 공급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이온수기의 양전극과 음전극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삼방향 밸브를 이온수 공급수단 측으로 개방시켜 경수가 이온수기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 상기 연결라인의 각 개폐밸브를 폐쇄하여 산성수나 알칼리수가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 또한 수류스위치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제어부에서 상기 이온수기의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삼방향 밸브를 이온수 공급수단 측을 폐쇄하고 보일러 측의 용수공급관 측으로 개방하여 경수를 보일러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이온수 공급수단에서 이온수의 공급 및 차단에 의해 이온수는 물론 경수를 보다 간편하게 벽걸이형 보일러에 공급할 수 있는 편리성도 갖는다.
한편, 상기 이온수 공급수단(20)은 상기 벽걸이형 보일러(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설치공간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벽걸형 보일러의 특성상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구비함에 따라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이온수 공급수단을 상기한 벽걸이형 보일러의 하부에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상기 벽걸이형 보일러의 내부에 구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설치공간 없이 이온수 공급수단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경수를 가정 내 설치된 벽걸이형 보일러를 거쳐 공급받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경수를 이온수인 산성수 또는 알칼리수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온수의 공급 및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여 이온수기의 개폐밸브 및 전원을 차단하고 보일러에 경수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생활용수인 경수뿐만 아니라 기능수인 이온수를 제공받아 필요로 하는 용도에 알맞은 공급수를 제공받을 수 있어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벽걸이형 보일러에 공급수가 끊김 없이 원활하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삭제
또, 이온수기에 경수 공급시 전처리필터를 통하여 더욱 깨끗한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온수 생성시 더욱더 청정화된 이온수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삭제
또, 이온수 공급수단을 벽걸이형 보일러가 설치되는 특성상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구비함에 따라 벽걸이형 보일러가 설치되는 장소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Claims (7)
- 삭제
- 삭제
- 삭제
- 외부의 용수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경수를 벽면의 일정 높이에 설치된 벽걸이형 보일러를 거쳐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상기 용수공급관(110)에 구비되는 삼방향 밸브(10)와;상기 삼방향 밸브(10)와 보일러(100)의 유입구(102)에 연결되는 용수공급관(110) 사이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온수를 상기 벽걸이형 보일러에 공급하는 이온수공급수단(20)을 구비하되, 상기 이온수 공급수단(20)은 상기 삼방향 밸브(10)와 연결되는 유입라인(22)과, 상기 보일러(100) 측의 용수공급관(110)과 연결되는 배출라인(24) 사이에 연결되도록 수용탱크(25a) 내부의 격막(25b)에 의해 플러스 및 마이너스 전원(26)과 연결된 각각의 양전극(26a)과 음전극(26b)이 구비되는 산성수부(27a)와 알칼리수부(27b)로 구성되는 이온화부(27)와, 상기 산성수부(27a) 및 알칼리수부(27b)와 상기 유입라인(22)과 배출라인(24)이 각각의 연결라인(28)(29)으로 연결되되, 상기 배출라인(24)의 연결라인(29)에는 각각의 개폐밸브(29a)가 구비되는 이온수기(25)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라인(24)에는 제어부(24a)와 연결되어 상기 개폐밸브(29a)와 삼방향 밸브(10)를 제어하는 수류스위치(24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보일러를 이용한 이온수 공급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라인(22)에는 전처리필터(22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보일러를 이용한 이온수 공급장치.
- 삭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수 공급수단(20)은 상기 벽걸이형 보일러(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보일러를 이용한 이온수 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0434A KR100704479B1 (ko) | 2004-07-30 | 2004-07-30 | 벽걸이형 보일러를 이용한 이온수 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0434A KR100704479B1 (ko) | 2004-07-30 | 2004-07-30 | 벽걸이형 보일러를 이용한 이온수 공급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1547A KR20060011547A (ko) | 2006-02-03 |
KR100704479B1 true KR100704479B1 (ko) | 2007-04-10 |
Family
ID=37121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0434A KR100704479B1 (ko) | 2004-07-30 | 2004-07-30 | 벽걸이형 보일러를 이용한 이온수 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447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3031B1 (ko) * | 2017-12-21 | 2019-07-25 | 주식회사 엔디디 | 바이오 감지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5230B1 (ko) * | 2001-08-06 | 2003-11-12 |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 보일러를 이용한 냉온 이온수장치 |
KR100473533B1 (ko) * | 2003-07-12 | 2005-03-14 | 주식회사 두레산업 | 용수의 이온 활성수 처리장치 |
-
2004
- 2004-07-30 KR KR1020040060434A patent/KR10070447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5230B1 (ko) * | 2001-08-06 | 2003-11-12 |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 보일러를 이용한 냉온 이온수장치 |
KR100473533B1 (ko) * | 2003-07-12 | 2005-03-14 | 주식회사 두레산업 | 용수의 이온 활성수 처리장치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1004052300000 |
10047353300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1547A (ko) | 2006-0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102734A (zh) | 一种热水设备及其控制方法 | |
KR100704479B1 (ko) | 벽걸이형 보일러를 이용한 이온수 공급장치 | |
US20080131314A1 (en) | Ozone-generating system for tubs and method | |
CN215490298U (zh) | 热水器 | |
KR20120113164A (ko) | 정수기용 위생키트 | |
JP3301678B2 (ja) | イオン水生成装置 | |
CN215175948U (zh) | 热水器系统 | |
CN215946893U (zh) | 用水系统 | |
KR101063982B1 (ko) | 절전형 음수기 | |
US11976402B2 (en) | Ozone laundry system | |
KR100666559B1 (ko) | 이온수기 | |
JP4410504B2 (ja) | 注水切換え装置 | |
CN215175969U (zh) | 热水器 | |
CN215809259U (zh) | 热水器 | |
JP2007170741A (ja) | ドレン処理装置、熱源装置及びドレン処理方法 | |
KR20220026467A (ko) | 살균수 공급 절수기 | |
KR100502305B1 (ko) | 냉온 이온 정수기의 누수 방지 방법 | |
JP7424405B2 (ja) | 水供給装置 | |
JPH06173303A (ja) | 給水システム | |
KR100644945B1 (ko) | 이온수기 제어방법 및 전해조 세척방법 | |
KR200399773Y1 (ko) | 벽걸이형 이온 냉온정수기 | |
KR200301154Y1 (ko) | 이온수 제조가 가능한 냉온정수기 | |
JPH07299463A (ja) | 風呂ユニット | |
KR100690060B1 (ko) | 이온수기 및 이온수기 제어방법 | |
JPH10252112A (ja) | イオン水供給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