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999B1 - 워터 디스펜싱 장치 - Google Patents

워터 디스펜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999B1
KR102599999B1 KR1020200133402A KR20200133402A KR102599999B1 KR 102599999 B1 KR102599999 B1 KR 102599999B1 KR 1020200133402 A KR1020200133402 A KR 1020200133402A KR 20200133402 A KR20200133402 A KR 20200133402A KR 102599999 B1 KR102599999 B1 KR 102599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outlet
outlet nozzle
pipe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9815A (ko
Inventor
배정석
문정민
전제욱
윤종원
여준기
김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3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99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9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5Dispensing valves electro-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1Fixing a tap to the sanitary appliance or to an associated mounting surface, e.g. a counter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싱크대에 결합되는 내측부재, 일측이 상기 내측부재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물이 출수되는 제1코크가 형성된 제1출수노즐, 상기 내측부재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제1안내홀 및 상기 제1안내홀과 분리되게 형성된 제2안내홀을 형성하는 링 형상의 제1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의 제1안내홀을 통해서, 상기 내측부재에서 상기 제1출수노즐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코크와 연결되는 제2공통배관, 상기 제1연결부재의 제2안내홀을 통해서, 상기 내측부재에서 상기 제1출수노즐 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워터 디스펜싱 장치 {water disp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물을 공급하는 장치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통상 사용자가 레버 또는 버튼을 조작하게 될 경우 노즐을 통해 저장된 물이 취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사용자가 레버 또는 버튼을 조작하는 동안 노즐의 밸브가 개방되어 물이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는 컵 또는 용기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확인하면서 상기 레버 또는 버튼의 조작을 종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냉장고와 정수기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냉장고와 정수기에 구비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서 단순히 정수된 물의 공급뿐만 아니라, 냉수와 온수까지 공급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1884736호(이하, 선행문헌 1)에서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선행문헌 1에서는, 싱크대의 하측에 설치되는 본체와 싱크대의 외측에 설치되고 물이 출수되는 노즐부를 구비한 토출수단의 특징이 개시된다.
그리고,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 패널이 노즐부의 상측에 분리형으로 구비되는 특징, 토출수단에 접이식으로 연결되거나 회전식으로 연결된 용기 받침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특징, 및 배관내 잔수의 자동 드레인이 진행되는 특징이 개시된다.
상기와 같은 선행문헌 1의 경우, 싱크대 외측으로 노출된, 노즐부를 통해서, 정수, 냉수, 온수를 공급할 수는 있지만, 세척력을 갖는 살균수의 공급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토출수단과 몸체부의 구체적인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개시되지 않았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10-2014-0033772호(이하, 선행문헌 2)에서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선행문헌 2에서는, 정수 생성수단 및 살균수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정수와 살균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특징이 개시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수단은, 싱크대 개수대로 정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공급코크 및 공급코크에 설치된 조작부를 포함하는 특징이 개시된다.
상기와 같은 선행문헌 2의 경우, 하나의 코크를 통해서, 살균수 및 정수를 출수함에 따라, 정수 출수 시, 배관 및 코크에 잔존하는 살균수가 정수에 섞여서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참고로, 살균수의 경우, 차아염소산(HClO)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음용수로 적합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정수와 살균수를 별도의 코크로 배출해줄 필요가 있다.
종합하면, 종래의 경우, 정수, 온수, 정수 및 살균수가 싱크대의 외측으로 노출된 출수노즐을 통해서, 출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가 제시되지 않았다.
그리고, 정수,냉수,온수 및 살균수가 싱크대 외부로 출수되게 출수부가 구성된 경우라 하더라도, 정수,냉수,온수와 살균수가 동일한 지점에서, 출수되지 않게 출수노즐이 배치될 경우, 사용자는 야채, 과일 등을 세척할 때, 먼저 살균수 출수노즐 아래에서, 야채, 과일의 표면의 세균, 오물 등을 1차로 세척하고, 살균수로 세척된 야채, 과일 등을 정수가 출수되는 출수노즐의 아래로 옮긴 뒤, 정수를 배출하여, 야채 과일에 묻은 살균수를 2차 세척하여 제거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따라서, 1차 세척 및 2차 세척이 서로 다른 장소에서 진행되면서, 세척과정이 매우 번거로울 수 밖에 없다.
또한, 정수,냉수,온수 및 살균수가 동일한 지점에서 서로 다른 출수노즐을 통해 배출되게 하더라고, 살균수가 배출되는 출수노즐의 경우, 은폐시킬 필요가 있다.
만약, 살균수를 배출하여, 음용할 경우, 살균수 내에서는 차아염소산이 함유되어 사용자의 건강에 이롭지 못하다.
이렇게 때문에,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살균수를 배출하여 음용하지 않도록, 평상시에 살균수가 배출되는 출수노즐의 은폐구조가 필요하다.
또한, 언더싱크 타입의 정수기의 경우, 싱크대 내부에서 싱크대 외부로 배관 또는 전선 등이 연결된 상태에서, 출수노즐이 회전하기 때문에, 배관 또는 전선 등이 엉키거나, 꼬이는 등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언더싱크 타입의 정수기의 경우, 싱크대 내부에서 싱크대 외부로 배관이 길게 연결된 상태에서, 냉수탱크에서 토출된 냉수가 긴 거리를 유동하기 때문에, 냉수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고, 미지근한 온도의 냉수가 출수노즐을 통해 제공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싱크대의 외측에 설치된 하나의 출수부에서, 정수, 냉수, 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음용수와 살균수가 출수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음용수와 살균수가 별도의 코크 및 별도의 배관을 통해서 출수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음용수와 살균수가 동일한 지점에서 출수되되, 음용수가 상측에서 출수되고, 살균수가 하측에서 출수되어, 살균수에 의해 음용수가 오염되지 않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음용수가 출수되는 출수노즐이 살균수가 출수되는 노즐 보다 길게 형성되어, 음용수 출수 시, 살균수 출수 노즐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음용수가 출수되는 출수노즐에 의해 살균수가 출수되는 노즐이 은폐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측의 음용수가 출수되는 출수노즐의 상면에, 살균수가 출수되는 노즐 제어용 버튼이 구비되어, 출수되는 물의 종류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력이 향상되어, 출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살균수가 출수되는 출수노즐이 비교적 하측에 배치되어, 살균수 출수가 싱크대의 개수대 내에서만 진행되게 유도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음용수가 출수되는 출수노즐이 살균수가 출수되는 노즐이 연동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출수노즐이 회전된 상태에서, 임의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출수노즐의 회전 조작이 보다 부드럽게 진행되어 사용자가 느끼는 회전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음용수가 출수되는 출수노즐이 살균수가 출수되는 노즐의 회전 반경이 사용자가 설정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부 출수노즐과 하부 출수노즐이 하나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하나의 회전축의 중공이 배관 및 배선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회전축의 내부 공간에 구획되어 배관용 공간과 배선용 공간이 개별적으로 확보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부 출수노즐의 상면을 형성하는 표시 및 입력수단을 분리하여, 상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부 출수노즐의 코크 및 배관을 교체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하부 출수노즐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을 분리하여, 하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하부 출수노즐의 코크 및 배관을 교체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부 출수노즐의 상면을 형성하는 표시 및 입력수단으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피시비로 물이 유입되지 않고 차단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부 출수노즐과 하부 출수노즐이 회전하더라도, 회전축의 중공을 통과하는 배관 및 배선의 엉킴 및 꼬임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출수노즐의 코크와 연결된 배관과, 출수노즐의 PCB와 접속하는 전선이 별도의 홀을 통과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배관과 전선 간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부 출수노즐에 설치된 피시비와 전선의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배관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출수노즐로 출수되는 냉수 및 온수의 온도가 설정온도로 출수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적어도 일부가 싱크대의 상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 출수부를 포함하고, 음용수 또는 살균수 중 적어도 하나를상기 출수부로 토출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출수부는 정수, 온수,냉수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음용수를 공급하는 제1출수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수부는, 상기 싱크대에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출수노즐은 일측이 상기 내측부재의 상측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수노즐은 상기 내측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수노즐의 일측 하단에는 상기 내측부재의 상측이 수용되는 중공 형상의 제1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수노즐의 일측 하단에는, 정수, 온수,냉수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음용수가 출수되는 제1코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출수노즐의 내측에는 일측이 상기 제1코크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내측부재의 중공을 통과하는 배관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재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제1안내홀 및 상기 제1안내홀과 분리되게 형성된 제2안내홀을 형성하는 링 형상의 제1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의 제1안내홀을 통해서, 상기 내측부재에서 상기 제1출수노즐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코크와 연결되는 제2공통배관 및 상기 제1연결부재의 제2안내홀을 통해서, 상기 내측부재에서 상기 제1출수노즐 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제1안내홀의 둘레에서, 상하으로 연장되는 중공 형상의 배관 가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출수노즐은 일측 하단에, 상기 제1연결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제1삽입부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삽입부에는,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턱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코크와 가까운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된 제1스토퍼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저면에, 상기 제1스토퍼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회전제한돌기가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재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를 상기 내측부재의 상단에 연결하는 링 형상의 제2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에는 상기 배관 및 전선이 통과하도록, 상기 제1안내홀 및 제2안내홀과 연통하는 제3안내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복수의 결합홀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홀은 별도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는, 하단에,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된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외주면에 하단에서 상단으로 그 두께가 증가되면서, 경사면을 형성하는 고정후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에는 하단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절개된 형태의 슬릿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해서 복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의 상단에 평면의 고정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후크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홀이 원주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경사면의 상단에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후크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홀이 원주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벤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출수노즐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선과 연결되며, 상기 제1출수노즐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표시 및 입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은, 최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출수노즐의 상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개방홈과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된 측벽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거나,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피시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출수노즐의 내측에는, 상기 배관 또는 전선을 잡아주기 위해, 굽어진 형태를 갖는 후크돌기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돌기는, 상기 제1출수노즐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 일측으로 연장된 제1후크돌기와, 상기 제1후크돌기의 상단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2후크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후크돌기와 제2후크돌기의 하측에는 각각 전선이 통과되고, 상기 제1후크돌기와 제2후크돌기의 상측에는 배관이 통과될 수 있다.
또한, 일측이 상기 내측부재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출수노즐의 하측에 이격하여 배치되어, 세척력을 갖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제2출수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싱크대의 외측에 설치된 하나의 출수부에서, 정수, 냉수, 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음용수와 세척력을 갖는 살균수가 출수되어, 사용자가 세척 및 헹굼 작업을 하나의 장소에서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용수와 살균수가 별도의 코크 및 별도의 배관을 통해서 출수되어, 사용자가 살균수 일부가 혼합된 음용수를 제공받지 않고, 음용수만을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용수와 살균수가 동일한 지점에서 출수 되되, 음용수가 상측에서 출수되고, 살균수가 하측에서 출수되어, 살균수에 의해 음용수 출수노즐이 오염되지 않고, 음용수 출수노즐의 청결이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용수가 출수되는 출수노즐이 살균수가 출수되는 노즐 보다 길게 형성되어, 음용수 출수 시, 살균수 출수 노즐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음용수 출수노즐의 하측에 컵 등의 용기를 놓고 음용수를 취출 받을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용수가 출수되는 출수노즐에 의해 살균수가 출수되는 노즐이 은폐되어,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살균수를 배출하여 음용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측의 음용수가 출수되는 출수노즐의 상면에, 살균수가 출수되는 노즐 제어용 버튼이 구비되어, 출수되는 물의 종류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력이 향상되어, 출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살균수가 출수되는 출수노즐이 비교적 하측에 배치되어, 살균수 출수가 싱크대의 개수대 내에서만 진행되게 유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용수가 출수되는 출수노즐이 살균수가 출수되는 노즐이 연동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회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상부 출수노즐과 하부 추루수노즐을 회전시킨 후, 출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출수노즐이 회전된 상태에서, 임의로 회전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출수노즐이 고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출수노즐의 회전 조작이 보다 부드럽게 진행되어 사용자가 느끼는 회전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출수노즐의 추구방향 흔들거림 및 원주방향 흔들거림이 방지되어, 출수노즐의 회전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용수가 출수되는 출수노즐이 살균수가 출수되는 노즐의 회전 반경이 사용자가 설정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부 출수노즐과 하부 출수노즐이 하나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하나의 회전축의 중공이 배관 및 배선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회전축의 내부 공간에 구획되어 배관용 공간과 배선용 공간이 개별적으로 확보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부 출수노즐의 상면을 형성하는 표시 및 입력수단을 분리하여, 상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부 출수노즐의 코크 및 배관을 교체할 수 있어, 배관 및 코크의 교체가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부 출수노즐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을 분리하여, 하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하부 출수노즐의 코크 및 배관을 교체할 수 있어, 배관 및 코크의 교체가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부 출수노즐의 상면을 형성하는 표시 및 입력수단으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피시비로 물이 유입되지 않고 차단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부 출수노즐과 하부 출수노즐이 회전하더라고, 회전축의 중공을 통과하는 배관 및 배선의 엉킴 및 꼬임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출수노즐의 코크와 연결된 배관과, 출수노즐의 PCB와 접속하는 전선이 별도의 홀을 통과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배관과 전선 간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부 출수노즐에 설치된 피시비와 전선의 접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관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출수노즐로 출수되는 냉수 및 온수의 온도가 설정온도로 출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싱크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수배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출수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출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출수부의 측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출수부와 싱크대의 결합부분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7a은 출수부와 싱크대의 결합구조의 일 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b는 출수부와 싱크대의 결합부분의 다른 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c는 제1출수밸브 및 제2출수밸브의 작동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너트부재와 스크류가 체결된 상태를 하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너트부재와 스크류가 체결된 상태를 측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제1출수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12a는 제1출수노즐에서 표시 및 입력수단이 분리된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일부분을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와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제2출수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상부프레임이 제거된 제2출수노즐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은 제2출수노즐을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은 상부프레임과 하측프레임 사이에 살균수배관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일부를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19는 표시 및 입력수단을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0은 제1출수노즐을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1은 제1출수노즐의 측단면도이다.
도 22는 제1출수노즐의 정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일부를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살균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살균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살균수 생성모듈에 포함된 전극부의 단면을 도인 도면이다.
도 27은 살균수모듈 및 제어부가 필터 브라켓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8은 필터 브라켓의 일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에서 살균수가 출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의 살균수 출수를 위한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의 살균수 출수를 위한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32는 살균수 정량 출수 시, 살균수모듈과 각 밸브의 동작상태를 보인 타이밍도이다.
도 33은 살균수 정량 출수 전, 강제종료 시, 살균수모듈과 각 밸브의 동작상태를 보인 타이밍도이다.
도 34는 살균수 정량 출수 전, 냉/온/정 수 출수시, 살균수모듈과 각 밸브의 동작상태를 보인 타이밍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의 온수출수를 위한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의 온수출수를 위한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언더싱크 정수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싱크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수배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정수기, 냉장고 등과 같이 외부에서 물을 유입하고, 유입된 물을 정화시킨 뒤, 배출하는 다양한 수처리 장치, 정화 장치가 해당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싱크대(10)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언더싱크형(under sink type) 정수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싱크대(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본체부(100)와, 적어도 일부가 싱크대(1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출수부(2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본체부(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면을 형성하는 평면 형태의 탑 커버(1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과 후면이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양측면과 바닥면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싱크대(10)의 하측에 마련된 수납공간(1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좌우폭이 좁고 전후길이가 긴 슬림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싱크대 내부에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고, 싱크대 내부 공간의 안쪽 모서리에 배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이 분리되면, 필터가 노출되고,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필터를 수월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가이드하는 원수배관(20)과, 상기 원수 배관(20)을 따라 공급된 물을 정수로 정화시키는 필터(120)와,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를 상기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시키는 출수배관(30)을 포함한다.
한편, 원수배관(20)은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면서, 외부의 급수원과 하우징(110) 내부의 필터(120)를 연결한다. 상기 원수배관(20)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110) 외측의 급수원에서 공급된 원수는 필터(12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필터(120)로 공급된 물(원수)은, 필터(120)를 통과하면서, 정수로 정화된다. 상기 필터(120)는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터(120)는 3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배관(20)을 통과한 물은 복수의 필터(120)를 통과하면서, 보다 깨끗한 물로 정화될 수 있다.
또한,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는 출수배관(30)을 통해, 싱크대(10)의 외측에 노출된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출수배관(30)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필터(120) 측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노출된 후, 출수부(200) 측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출수배관(30)은 상기 하우징(110)의 후단(도 1을 기준으로 우측)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배관(30)은 후술되는 살균수배관(34), 공통배관(38,39), 온수배관(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출수배관(30)이 하우징(110)의 후단을 관통하면, 출수배관(30)이 하우징(110)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커버(111)를 관통하지 않기 때문에, 탑커버(111)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출수배관(30)이 하우징(110)의 후단을 관통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110)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커버(112)의 상단 중앙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리세스(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세스(미도시)를 통해서, 상기 출수배관(30), 즉 후술되는 살균수배관(34), 공통배관(38,39), 온수배관(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관이 하우징(110)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세스(미도시)의 개방된 상측은 상기 탑커버(111)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따라서, 탑커버(111)를 하우징(110)에서 분리하면, 리세스(미도시)의 상측이 개방되고, 탑커버(111)를 하우징(110)에 장착하면, 리세스(미도시)의 상측이 커버되면서, 리세스(미도시)는 폐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리세스(미도시)를 통과하는 출수배관(30)은 리세스(미도시)와 탑커버(11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출수배관(30)의 타측 단부는 상기 출수부(200)와 직접 연결될 수 있고, 별도의 연결배관(미도시) 또는 연결부품을 통해서, 상기 출수부(200)과 연결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연결배관(미도시) 또는 연결 부품의 일측 단부는 상기 출수배관(30)과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출수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출수배관(30)을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토출된 물은 연결배관(미도시)을 통해서, 출수부(20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출수배관(30)은,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 및 살균수 배관(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하의 설명에서,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 및 살균수 배관(34)은 출수배관(30)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공통배관(38,39) 역시 출수배관(30)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출수배관(30)은,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 살균수배관(34) 및 공통배관(38,39)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출수배관(30)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필터(120)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물은 상기 출수배관(30)을 통해서, 상기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된다.
또한, 상기 출수배관(30)의 타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 및 살균수 배관(34)으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출수배관(30)에서, 정수배관(31)으로 분기된 물은 정수 상태로, 출수부(200) 측으로 바로 공급된다.
반면, 출수배관(30)에서, 냉수배관(32)으로 분기된 물은 냉수배관(32) 상에 구비된 냉수탱크(140)를 거치면서 차갑게 냉각된 후, 냉수의 상태로 출수부(200) 측으로 공급된다.
또한, 온수배관(33)으로 분기된 물은 온수배관(33) 상에 구비된 온수탱크(130)을 거쳐 가열된 후, 온수의 상태로 출수부(200) 측으로 공급된다.
또한, 살균수배관(34)으로 분기된 물은 살균수배관(34) 상에 구비된 살균수모듈(150)을 거치면서, 살균수의 상태로, 출수부(2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수배관(20)에는, 필터(120)로 공급되는 물의 유속을 조절하는 감압밸브(2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수배관(20) 또는 출수배관(30)에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36), 또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거나,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유입밸브(35), 또는 물의 유속을 감지하는 유속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배관(30)에서 분기된 정수배관(31)과, 냉수배관(32)과, 온수배관(33)과, 살균수배관(34)에는 각 배관에서의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개폐밸브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정수배관(31)에는 정수배관(31)에서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정수밸브(4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배관(32)에는 냉수배관(32)에서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냉수밸브(42)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배관(33)에는 온수배관(33)에서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온수밸브(43)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수배관(34)에는, 살균수배관(34)에서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살균수밸브(4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배관(33)에는 상기 온수탱크(130)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37)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탱크(130)에는 증기 배출을 위한 세이프티 밸브(51)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유량센서(36)가 구비되면, 냉수탱크(140) 및 온수탱크(13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감지될 수 있고, 그 유량 정보를 활용해서, 냉수탱크(140) 및 온수탱크(130)에 공급되는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량조절밸브(37)가 구비되면, 온수탱크(13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즉각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정수배관(31)과, 냉수배관(32)과, 온수배관(33)과, 살균수배관(34)에 각각 정수밸브(41), 냉수밸브(42), 온수밸브(43), 살균수밸브(44)가 구비되면, 냉수탱크(140), 온수탱크(130) 및 살균수모듈(150)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다. 그리고, 냉수밸브(42), 온수밸브(43), 살균수밸브(44)는 냉수 또는 온수 또는 살균수 생성이 필요한 경우에만 개방되어 냉수탱크(140), 온수탱크(130) 및 살균수모듈(15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정수밸브(41)의 경우, 정수 출수가 필요한 경우에만 개방되어, 출수부(200)로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출수부(200)는, 상기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 및 살균수배관(34)에서 공급된 정수, 냉수, 온수 및 살균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복수의 출수노즐(210,22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출수노즐(210,220)은 상기 싱크대(10)의 상측으로 노출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몸체(230)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출수노즐(210,220)은 정수, 냉수, 온수가 출수되는 제1출수노즐(210)과, 살균수가 출수되는 제2출수노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상하방향으로 이격해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출수노즐(210)이 상측에 배치되고, 제2출수노즐(220)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출수노즐(220)에서 배출된 살균수가 정수, 냉수, 온수가 취출되는 제1출수노즐(210)에떨어지면서, 제1출수노즐(210)이 살균수에 의해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자주 사용하는 냉,온,정수가 출수되는 제1출수노즐(210)이 상측에 배치되면서, 사용자의 접근이 쉽고, 조작 및 출수가 용이하다. 그리고, 비교적 적게 사용되는 제2출수노즐(220)은 제1출수노즐(210)의 하측에 배치되면서, 은폐가 가능하며, 제1출수노즐(210) 대비 접근이 어려워, 실수로 살균수를 출수하여 음용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수평방향으로 이격해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몸체(23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독립적으로 회전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을 따라 유동하는 정수 및 냉수는 하나의 제1공통배관(38)에서 합류되고, 제1공통배관(38)을 통해서, 출수부(2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공통배관(38) 및 온수배관(33)을 통해 유동된 정수, 냉수, 온수는 제1출수노즐(210)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또한, 상기 온수배관(33) 역시 상기 제1공통배관(38)과 합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공통배관(39)은 상기 온수배관(33)과 제1공통배관(38)이 합류된 지점부터 상기 출수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공통배관(39)을 통해서 유동된 정수, 냉수, 온수는 제1출수노즐(210)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수모듈(15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살균수배관(34)을 유동한 뒤, 상기 제2출수노즐(220)을 통해서 싱크대(10) 외측의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살균수배관(34) 상에는 제2출수밸브(6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출수밸브(62)는 상기 살균수배관(34)과 상기 출수부(20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출수밸브(62)는 상기 살균수배관(34)을 통해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하는 살균수를 출수부(200)로 공급하거나, 별도의 드레인배관(50)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공통배관(39)상에는 제1출수밸브(6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수밸브(61)는 상기 제2공통배관(39)과 상기 출수부(20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출수밸브(61)는 상기 제2공통배관(39)을 통해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하는 정수, 냉수, 온수를 상기 출수부(200)로 공급하거나, 별도의 드레인배관(50)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각각 하나의 입구와,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제1출구와 제2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두 개의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삼방밸브(3-way valve)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출구는 상기 출수노즐(210,220) 측과 연결될 수 있고, 제2출구는 드레인배관(50)과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제1출수밸브(61)의 입구는 상기 제2공통배관(39)과 연결되고, 제1출구는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되며, 제2출구는 드레인배관(50)과 연결된다.
또한, 제2출수밸브(62)의 입구는 상기 살균수배관(34)과 연결되고, 제1출구는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되며, 제2출구는 드레인배관(50)과 연결된다.
참고로, 상기 제1출수밸브(61)와 연결된 드레인 배관과 상기 제2출수밸브(62)와 연결된 드레인 배관은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하나의 드레인 배관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출수부(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싱크대(10)의 상부로 노출되게 싱크대(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230) 및 몸체(230)의 일측으로 연장된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싱크대(10)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본 발명과 같이, 정수, 온수, 정수 및 살균수가 싱크대의 외측으로 노출된 출수노즐을 통해서, 출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가 제시되지 않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한 개의 출수부에서 냉,온,정수와 살균수가 각각 출수될 수 있도록 출수노즐을 구성하였다.
만약, 정수,냉수,온수 및 살균수가 싱크대 외부로 출수되게 출수부가 구성된 경우라도, 정수,냉수,온수와 살균수가 동일한 지점에서, 출수되지 않게 출수노즐이 배치된 경우, 사용자는 야채, 과일 등을 세척할 때, 먼저 살균수 출수노즐 아래에서, 야채, 과일의 표면의 세균, 오물 등을 1차로 세척하고, 살균수로 세척된 야채, 과일 등을 정수가 출수되는 출수노즐의 아래로 옮긴 뒤, 정수를 배출하여, 야채 과일에 묻은 살균수를 2차 세척하여 제거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따라서, 1차 세척 및 2차 세척이 서로 다른 장소에서 진행되면서, 세척과정이 매우 번거로울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하나의 위치에 피세척물을 놓고, 제2출수노즐(220)을 통해 살균수를 출수해서 1차 세척 후, 제2출수노즐(220)의 상측에 배치된 제1출수노즐(210)을 통해 정수를 출수하여, 정수 세척을 마무리할 수 있다. 따라서, 1차 세척 및 2차 세척이 한곳에서 진행되면서, 세척과정이 매우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물은 정수, 온수, 냉수이다. 살균수는 특별한 상황에서만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무의식 상태에서, 살균수 배출을 선택하지 않고 정수 배출을 선택하도록, 본 발명에서는 제2출수노즐(220)의 상측에 제1출수노즐(210)을 배치하였다.
일반적으로, 살균수를 배출하여, 음용할 경우, 살균수 내에서는 차아염소산이 함유되어 사용자의 건강에 이롭지 못하다.
이렇게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의 몸체부(230)의 상측에 냉,온,정수 취출이 가능한 제1출수노즐(210)을 배치하고, 하부에 살균수가 출수되는 제2출수노즐(220)을 배치하였다.
또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수, 온수, 냉수가 출수되는 제1출수노즐(210)의 폭과 연장된 길이가 하부의 살균수가 출수되는 제2출수노즐(220)에 비해서 넓고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살균수가 출수되는 제2출수노즐(220)은 제1출수노즐(210)에 의해서 은폐가 가능하다.
또한, 종래 경우, 상하 배치된 출수노즐의 개별 회전구조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 출수노즐과 하부 출수노즐이 별도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만약, 상부 출수노즐과 하부 출수노즐이 독립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동시에 회전하는 구조를 구비하면, 상부 출수노즐에서 정,온,냉수 취출 시, 하부 출수노즐이 물을 받는 용기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출수노즐은 외형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몸체부(230) 내부에 배치되고, 싱크대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내측부재(260)에 대해서, 각각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약 180도 회전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2개의 출수노즐(210,220)이 외부의 간섭에 의해서, 임의로 움직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즉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회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체와 회전체 사이에 복수의 오링 및 각링을 배치하였다.
참고로, 상기 ‘회전체’는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체’는 몸체부(230), 후술되는 내측부재(260), 후술되는 제1,2연결부재(214,215)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오링 및 각링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링 및 각링의 작용에 의해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은 사용자가 세팅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오링의 경우, 원주방향으로 마찰을 형성하고, 각링의 경우, 소정의 높이를 형성하여, 상하방향으로 마찰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의 경우, 오링 및 각링에 의해 원주방향 및 상하방향(축방향)으로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오링 및 각링은, 각 구성품 간의 유격을 잡아줄 수 있다. 오링 및 각링에 의해 마찰이 발생하면서,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의 회전이 부드럽게 진행되면서,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고,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이 회전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부(200)에는 표시 및 입력수단(240)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는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에는 출수버튼(244)을 비롯해서 각종 명령 및 설정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각종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제1출수노즐(21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상기 출수부(200)의 최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온수, 정수, 냉수, 살균수 선택기능, 출수 명령 기능, 냉수 및 온수 온도 설정 및 표시기능, 드레인 선택 기능, 필터 교체주기 알림 기능, 출수되는 물의 용량을 설정 기능, 출수되는 물의 취출 시간 설정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살균수 선택 버튼, 살균수 출수버튼 역시 제1출수노즐(2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출수하는 물을 상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출수버튼(244)은 후술되는 제1코크(219)의 수직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출수버튼(244)은 제1코크(219)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서의 정수,냉수,온수 및 살균수의 취출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수도 배관, 물탱크, 지하수 배관 등의 급수원과 연결된 원수배관(20)을 통해서 원수를 공급받는다. 상기 원수배관(20) 상에는 감압밸브(21)가 설치되며, 원수는 상기 감압밸브(21)를 통과하면서,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된다.
그리고, 감압된 원수는 감압밸브(21)와 상기 필터(120)를 연결하는 배관을 통해서 상기 필터(120)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원수는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수 상태가 된다. 그리고, 유입밸브(35)의 개방에 의해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는 출수배관(30)을 유동하면서, 유량센서(36)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량센서(36)에서 감지된 유량은 온수탱크(130) 또는 냉수탱크(140)의 출력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량센서(36)를 통과한 정수는 출수배관(30)을 따라서 유동한다. 그리고, 살균수측, 냉수-정수측, 온수측으로 분지될 수 있다.
먼저, 냉수-정수측으로 분지된 정수는 재차 냉수측과 정수측으로 분지되어 각각 정수배관(31)과 냉수배관(32)으로 유동한다. 상기 정수배관(31)과 냉수배관(32)에는 각각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정수밸브(41)와 냉수밸브(42)가 설치된다. 사용자의 정수 또는 냉수 선택 조작에 의해 상기 정수밸브(41)와 냉수밸브(42)가 선택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출수버튼의 조작을 통해 선택된 밸브가 개방되어 정수 또는 냉수가 제1출수노즐(210)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가 냉수 출수를 요청하면, 냉수밸브(42)가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냉수밸브(42)가 개방되면, 출수배관(30)의 정수는 냉수배관(32) 및 냉수밸브(42)를 통과하게 되고, 냉수배관(32)의 물은 냉수탱크(140) 내부의 쿨링 코일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쿨링 코일을 따라 유동되는 물은 상기 냉수탱크(140) 내부의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냉수로 냉각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각수는 설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냉각된다.
상기 냉수탱크(140)를 지난 냉수는 냉수배관(32)과 연결된 제1공통유로(38) 및 제2공통유로(39)를 통해,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하고, 제1출수밸브(61)를 거쳐, 제1출수노즐(210)로 공급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해 압축기가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의 구동은 상기 냉수탱크(140)의 내부에 구비된 냉수 온도센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는 항상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인버터 압축기로 필요한 부하에 대응하여 주파수가 조절되며, 냉각 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는 인버터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수를 최적의 효율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정수 출수를 요청하면, 상기 정수밸브(41)가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정수밸브(41)가 개방되면, 출수배관(30)의 정수는 정수배관(31) 및 정수밸브(41)를 통과하게 되고, 정수배관(31)과 연결된 제1공통유로(38) 및 제2공통유로(39)를 통해,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출수밸브(61)를 거쳐, 제1출수노즐(21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온수의 출수를 요청한 경우, 상기 온수밸브(43)가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온수밸브(43)가 개방되면, 출수배관(30)의 정수는 온수배관(33) 및 온수밸브(43)를 통과한다. 또한, 온수배관(33)을 통과한 물은 유량조절밸브(37)에 의해,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량조절밸브(37)를 통과하면서, 유량이 조절된 정수는 온수탱크(130)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탱크(130)을 지나는 과정에서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온수탱크(130)은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온수탱크(130)에 포함된 워킹 코일의 출력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온수탱크(130)을 통과한 정수는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온수탱크(130)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수는, 온수배관(33)과 연결된 제2공통유로(39)를 통해,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출수밸브(61)를 거쳐, 제1출수노즐(21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탱크(130)는 드레인 배관(50)과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배관(50)은 상기 온수탱크(130) 내부의 물이 끓게 되는 경우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배관(50)에는 세이프티 밸브(51)가 구비되어 설정된 압력 이상의 압력이 발생될 경우 상기 세이프티 밸브(51)가 개방되어 증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세히, 상기 세이프티 밸브(51)는 상기 온수 탱크 내에서 온수의 가열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온수 탱크의 내부가 증기에 의해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세이프티 밸브(51)는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온수 탱크 내부의 증기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증기 배출을 위한 드레인 배관의 경우,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와 연결된 드레인 배관과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기 배출을 위한 드레인 배관의 경우,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와 연결된 드레인 배관과 합류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온수탱크(130)는 유도가열 방식으로 순간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순간온수 특성 상 온수탱크(130)로 유입되는 입수 유량이 작을 경우, 온수탱크(130) 내에서, 끓음(boiling)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온수탱크에 출력을 공급하는 제어모듈에 포함된 소자(일예로, IGBT)의 히트싱크(heat sink)에 온도센서를 장착한다. 그리고, 히트싱크(heat sink)의 온도가 설정온도(일예로, 70℃)를 초과하면, 온수탱크(130)로 출력 공급을 중단한다.
일 예로, 상기 온수탱크(130)는 온수를 만들기 위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와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 및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와 제어부는 하나의 모듈 상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는 온수탱크(130)로 공급된 정수를 공급받아 온수로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는, 상기 온수 탱크(130)를 지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워킹 코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경우, 냉수, 정수, 온수가 하나의 제1출수노즐(210)을 통해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
참고로, 제1출수밸브(61)에는 제2공통배관(39)을 통해 공급된 냉수,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8, 도 7b참조) 구비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제2공통배관(39)에서 공급된 냉수, 온수의 온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1출수밸브(61)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만족범위에 포함되면, 냉수, 온수를 제1출수노즐(210) 측으로 공급하고,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만족범위에 미포함되면, 정수, 냉수, 온수를 드레인 배관(50) 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68, 도 7b참조)는 제1출수밸브(61)의 유로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온도센서(68, 도 7b참조)는 냉/온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측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온수, 냉수의 출수 시, 사용자가 출수버튼을 누르면, 배관의 물은 온도 만족 여부에 관계없이 무조건 드레인이 진행된 후, 온수 및 냉수의 출수가 진행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가 냉수 출수를 요청하면, 냉수탱크(140)와 제1출수밸브(61) 사이에 채워졌던 물(잔수)은 드레인 배관(50)을 통해서, 자동으로 드레인되고, 잔수의 배출이 진행된 후, 냉수탱크(140)의 물은 제1출수밸브(61)를 거쳐, 제1출수노즐(21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차가운 냉수만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온수 출수를 요청하면, 온수탱크(130)와 제1출수밸브(61) 사이에 채워졌던 물(잔수)은 드레인 배관(50)을 통해서, 자동으로 드레인되고, 잔수의 배출이 진행된 후, 온수탱크(130)의 물은 제1출수밸브(61)를 거쳐, 제1출수노즐(21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뜨거운 온수만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반면, 정수의 경우, 잔수의 드레인 없이, 곧 바로 정수의 출수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살균수 출수를 요청하면, 살균수밸브(44)가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살균수밸브(44)가 개방되면, 출수배관(30)의 정수는 살균수배관(34) 및 살균수밸브(44)를 통과하게 되고, 살균수배관(34)의 물은 살균수모듈(150)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살균수모듈(15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살균수배관(34)을 따라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하고, 제2출수밸브(62)를 거쳐, 제2출수노즐(220)을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언더싱크 정수기 특성상 싱크대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부(100)와 싱크대 외부에 설치된 출수부(200)의 거리가 멀어 이들을 연결하는 유로가 길어진다. 또한, 이 유로에 남아있는 잔수가 출수온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출수부(200)와 최대한 가까운 위치에 밸브(61,62)를 설치하여 유로에 남아있는 잔수를 선택적으로 드레인(drain) 시킨 후 출수가 이루어지게 하여 온도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 후 본체부(100)와 출수부(200)를 연결하는 길이가 긴 유로에 남아있는 잔수를 출수부(200) 바로 아래 설치된 밸브(61)에서 드레인 시킨 후, 갓 만들어진 직수(온수 또는 정수) 만을 출수노즐(210)로 출수하여 목표 출수 온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출수부>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출수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출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a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출수부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b는 도 5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싱크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몸체(230)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다른 예로, 상기 몸체(230)는 그 단면이 원형이 아닌,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230)는 높이에 따라 그 단면적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230)는 높이에 따라 그 외경 또는 외측 둘레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230)는 높이에 따라 그 단면적이 점차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230)는 높이에 따라 그 외경 또는 외측 둘레가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230)는 높이에 따라 그 단면적이 증가되다가 감소되거나, 감소되다가 증가되는 형상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230)는 높이에 따라 그 외경 또는 외측 둘레가 증가되다가 감소되거나, 감소되다가 증가되는 형상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230)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고,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경사지게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230)는 곡선으로 라운드 지게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230)는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사다리꼴 또는 모래시계형 또는 가운데만 폭이 좁은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이 납작한 받수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은 그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은 각각 양측 단부가 곡면으로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고, 일정각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출수노즐(210)의 상측에 터치 방식의 입력수단이 마련되고, 터치 입력을 통해 출수가 진행되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방식이 아닌 회전 방식, 누름 방식, 기울이는 방식 등의 물리적 힘을 이용한 조작부를 통해, 출수가 진행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출수부(2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몸체(230), 상기 몸체(230)의 내측에 배치된 내측부재(26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몸체(230)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이격해서 배치된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230)는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1몸체(231)와,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 사이에 위치되는 제2몸체(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몸체(231) 및 제2몸체(232)는 각각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231) 및 제2몸체(232)는 동일한 크기의 외경 및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몸체(231)의 길이는 제2몸체(232)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231)의 경우, 후술되는 관통부재(250)와의 결합을 위해, 하측의 내주면에 나사산(23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수노즐(210) 또는 제2출수노즐(220)의 상면에는 표시 및 입력수단(24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출수노즐(210) 또는 제2출수노즐(220)에는 각각 하측을 향해 개방된 출수구(211,2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최상측에 배치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플레이트(241), 상기 플레이트(241)의 하측에 배치되는 프레임(242), 상기 프레임(242)의 하측에 배치되거나, 프레임(242)의 내측에 수용되는 피시비(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41)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243)에는 LED를 비롯한 다양한 표시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시비(243)에는 스위치, 터치센서, 버튼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243)에는 각종 소자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42)는 상기 피시비(243)에 실장된 각종 소자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242)에는 상기 표시수단 및 스위치, 터치센서 등이 상기 플레이트(241) 측으로 노출되게 개방된 복수의 개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및 입력수단(240)에는, 온수선택 버튼, 용량선택 버튼, 정수선택 버튼, 살균수선택 버튼, 냉수선택 버튼, 연속출수선택 버튼, 및 출수선택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수선택 버튼, 용량선택 버튼, 정수선택 버튼, 살균수선택 버튼, 냉수선택 버튼, 연속출수선택 버튼은 사용자가 3초 이상 누른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만, 선택되고,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선택 버튼의 상측에는, 온도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온도표시부에는, 40℃, 75℃, 85℃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온수선택 버튼을 누르는 동작으로,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선택하고, 선택된 온수의 온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량선택 버튼의 상측에는, 용량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용량표시부에는, 120ml, 500ml, 1000ml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량선택 버튼을 누르는 동작으로, 출수되는 물의 용량을 선택하고, 선택된 출수 용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표시 및 입력수단(240)을 이용해서, 사용자가 온수, 냉수, 정수, 살균수 출수를 조작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정수 출수 시, 사용자는 정수선택 버튼을 누르고, 출수버튼(244)을 누른다. 그리고, 정수가 출수된다.
다음, 냉수 출수 시, 사용자는 냉수선택 버튼을 누르고, 출수버튼(244)을 누른다. 그리고, 냉수가 출수된다.
다음, 온수 출수 시, 사용자는 온수선택 버튼을 누르고, 출수버튼(244)을 누른다. 그리고, 온수가 출수된다.
이때, 사용자는 온수선택 버튼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서, 온수의 온도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온수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 살균수 출수 시, 사용자는 살균수선택 버튼을 누르고, 출수버튼(244)을 누른다. 그리고, 살균수가 출수된다.
상기 온수, 냉수, 정수, 살균수 출수 시, 사용자는 용량선택 버튼은 통해서, 출수되는 온수, 냉수, 정수, 살균수의 용량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정수버튼 또는 온수버튼 또는 냉수버튼 또는 살균수 버튼을 누르고, 출수버튼을 누르면, 디폴트 용량의 정수 또는 온수 또는 냉수 또는 살균수가 출수된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정수버튼 또는 온수버튼 또는 냉수버튼 또는 살균수 버튼을 누르고 용량버튼을 눌러 용량을 선택한 후, 출수버튼을 누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용량의 정수 또는 온수 또는 냉수 또는 살균수가 출수된다.
또 다른 예로, 정수 또는 온수 또는 냉수 또는 살균수가 출수된 상황에서, 사용자가 출수버튼을 한번 더 누르면, 출수가 종료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수노즐(210)은 상측이 개방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내측 공간(210a)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42), 피시비(243)는 상기 제1출수노즐(210)에 형성된 내측 공간(210a)에 수납되고, 상기 플레이트(241)는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241)는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개방된 상부 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241)의 경계부(241a)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241)와 제1출수노즐(210) 사이로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41)는 상기 프레임(241)의 상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241)의 경계부(241a)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241)의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241)와 제1출수노즐(210) 사이로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어도, 프레임(241)의 측벽(242g, 도 22참조) 사이로 물 또는 이물질이 통과되고, 결과적으로 프레임(241)의 측벽(242g, 도 22참조) 내측에 배치된 피시비에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개방된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내측에 단턱(213a)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41)의 경계부(241a)는 상기 단턱(213a)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단턱(213a)의 깊이는 상기 플레이트(241)의 두께만큼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개방된 상부와 상기 플레이트(241)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출수노즐(210)은 일측 하단에 상기 제2몸체(232)의 상단에서 내측에 삽입되게, 하측으로 연장된 제1삽입부(212)를 형성한다. 상기 제1삽입부(212)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212)의 외경은 상기 제2몸체(232)의 내경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212)는 상기 출수구(211)의 맞은편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212)의 외경은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폭(출수노즐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의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후단(도 4 기준 우측)의 외면과 제2몸체(232)의 외면은 매끄럽게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삽입부(212)는 그 외경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삽입부(212)가 삽입되는 제2몸체(232)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삽입부(212)를 제2몸체(232)에 삽입하는 작업이 손쉽게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선단에는 출수구(211)가 형성된 제1코크(219)가 배치된다. 상기 제1코크(219)는 상기 제1출수밸브(61)와 제2공통배관(39)을 통해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1출수밸브(61)를 통과한 냉수, 온수, 정수는 상기 제2공통배관(39)을 통해서, 제1코크(219)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공통배관(39)은 냉수, 온수, 정수를 제1출수밸브(61)로 안내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1출수밸브(61)를 통과한 냉수, 온수, 정수를 제1코크(219)로 안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출수밸브(61)는 상기 제2공통배관(39) 상에 설치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선단에는 상기 제1코크(219)가 설치되는 제1코크설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코크(219)는 상기 제1코크설치홀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제2출수노즐(220)은 일측 하단에 상기 제1몸체(231)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삽입되게, 하측으로 연장된 제2삽입부(222)를 형성한다. 상기 제2삽입부(222)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부(222)의 외경은 상기 제1몸체(231)의 내경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부(222)는 상기 출수구(221)의 맞은편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부(222)의 외경은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폭(출수노즐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의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삽입부(222)의 상단과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하단 사이에는 단턱(22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후단(도 4 기준 우측)의 외면과 제1몸체(231)의 외면은 매끄럽게 이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선단에는 출수구(221)가 형성된 제2코크(229)가 배치된다. 상기 제2코크(229)는 상기 제2출수밸브(62)와 살균수배관(34)을 통해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2출수밸브(62)를 통과한 살균수는 상기 살균수배관(34)을 통해서, 제1코크(219)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살균수배관(34)은 살균수를 제2출수밸브(62)로 안내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2출수밸브(62)를 통과한 살균수를 제2코크(229)로 안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출수밸브(62)는 상기 살균수배관(34) 상에 설치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하부프레임(220a)에는, 상기 제2코크(229)가 하측으로 노출되게 개방된 통과홀(220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코크(229)는 상기 통과홀(220d)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프레임(220a)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220a)은 둘레를 따라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벽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연장벽은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내측으로 수용된다.
또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폭(도 4 기준 좌우방향 길이)은 제2출수노즐(220)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길이(출수노즐의 연장방향 길이)은 제2출수노즐(220)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선단에 형성된 출수구(211)는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선단보다 더 돌출된 위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출수노즐(210)에서 출수된 물이 상기 제2출수노즐(220)에 닿지 않으면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히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출수구(211)는 상기 제2출수노즐(220)과 상하방향으로 오버랩(overlap)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2출수노즐(220)의 경우 제1출수노즐(210) 대비, 길이가 짧고, 높이가 낮기 때문에, 싱크대(10)의 싱크볼(12) 내부에서만 출수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즉, 제2출수노즐(220)의 하측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제2출수노즐(220)을 싱크대(10)의 싱크볼(12) 측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만 살균수의 출수가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한한 살균수가 싱크볼(12) 내부에서만 출수되게 유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회전은 상기 싱크볼(12) 내부에서만 가능하게 그 회전범위가 제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 제1출수노즐(210)의 경우 제2출수노즐(220) 대비, 길이가 길고, 높이가 높기 때문에, 싱크대(10) 외부에서도 출수가 자유롭게 가능할 수 있다. 즉, 제1출수노즐(210)의 하측 공간은 비교적 넓게 확보되어, 컵 등의 용기를 제1출수노즐(210)의 하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냉수, 온수, 정수의 출수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제1출수노즐(210)은 제2출수노즐(220) 대비 크기가 크고 더 상측에 위치되므로, 사용자는 제1출수노즐(210)을 제2출수노즐(220) 보다 더 쉽게 인지할 수 있고, 더 쉽게 조작하면서, 냉/온/정수의 출수를 진행할 수 있다.
만약, 제1출수노즐(210) 보다 높이가 높은 냄비 등의 용기에 냉수, 온수, 정수를 받고자 할 경우에는, 냄비 등의 큰 용기를 싱크볼(12)에 넣고, 제1출수노즐(210)을 냄비 등의 큰 용기의 상측에 위치되게 회전시킨 상태에서, 출수를 진행하여, 냉수, 온수, 정수를 냄비 등의 큰 용기에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출수노즐(210)은 양측 단부에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곡면부(213)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출수노즐(220)은 출수구(221)가 형성된 선단이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단에는 원통형의 연결부(22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부(222)는 상기 연결부(223)의 하단에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23)의 외경은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213) 외면의 곡률반경, 연결부(223)의 외경, 그리고 제1몸체(231) 및 제2몸체(232)의 외경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싱크대(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일 예로,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는 180도 범위에서, 회전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은 약 180도 범위에서, 회전 동작하고, 제2출수노즐(220)의 경우에도 약180도 범위에서 회전동작 할 수 있다.
상기 제1출수노즐(210), 제2출수노즐(220), 몸체부(230)는 싱크대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물과 접촉할 수 밖에 없고, 녹이 슬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제1출수노즐(210), 제2출수노즐(220), 몸체부(230)는 녹슬지 않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출수부와 싱크대 결합구조>
도 6은 출수부와 싱크대의 결합부분을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a은 출수부와 싱크대의 결합구조의 일 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b는 출수부와 싱크대의 결합부분의 다른 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c는 제1출수밸브 및 제2출수밸브의 작동 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메인 구성요소인 출수부(200)와 싱크대(10)의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출수부(200)는 상기 싱크대(10)를 관통하는 관통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재(250)의 상측은 상기 싱크대(10)의 상부에 위치되고, 하측은 싱크대(10)의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관통부재(250)의 하측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2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재(250)는 중심부에 외경이 확장되어, 플랜지(2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52)는 외주면에, 제1몸체(231)의 하측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31a)와 체결되는 나사산(25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재(250)의 플랜지(252)는 상기 제1몸체(231)의 내측 하단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산(231a,252a)의 체결에 의해서, 상기 관통부재(250)와 제1몸체(231)는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랜지(252)의 상측에는 플랜지(252) 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부(25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재(250)는 상하방향으로 중공부(25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공부(254)는 상기 연장부(253), 플랜지(252), 스크류(251)를 관통한다.
상기 중공부(254)를 통해서, 살균수배관(34) 및 제2공통배관(39)이 통과될 수 있고, 중공부(254)를 통과한 살균수배관(34)은 제2출수노즐(220) 내측으로 삽입되고, 중공부(254)를 통과한 제2공통배관(39)은 제2출수노즐(210) 내측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253)는 후술되는 내측부재(260)의 내측에 수용된다. 그리고, 내측부재(260)는 제1몸체(231)의 내측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부재(250)의 중공부(254)를 통해서, 싱크대 내측에서, 배관(34,39)를 끼울 때, 단차에 의해 걸리는 문제 없이, 중공부(254)를 통과한 배관(34,39)이 매끄럽게 제1몸체(231) 및 내측부재(26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측부재(26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내측부재(260)의 상단은 상기 제2몸체(232)의 내부, 그리고, 삽입부(212)의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내측부재(260)의 하단은 상기 제1몸체(231)의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재(250)의 연장부(253)는 상기 내측부재(260)의 하단에 삽입된다.
상기 내측부재(26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측부재(260)는 싱크대에 고정되고,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의 회전축 역할을 한다. 즉 내측부재(260)는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 회전 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내측부재(260)는 강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부재(26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부재(26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싱크대(10)에는 관통부재(250)의 스크류(251)보다 크거나, 같은 크기의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을 통해서, 관통부재(250)의 스크류(251)가 싱크대(10)를 관통한다. 따라서, 싱크대(10)의 하단에는 관통부재(250)의 스크류(251)가 노출된다. 그리고 싱크대(10)의 하측으로 노출된 관통부재(250)의 스크류(251)를 너트부재(270)로 체결한다. 따라서, 관통부재(250)가 싱크대(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53)는 외주면에 복수의 홈부(255, 도 4참조)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253)가 삽입되는 내측부재(260)의 하측에는 내주면에 홈부(268, 도 4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부(255,268) 사이에는 결합편(298)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편(298)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255,268)와 결합편(298)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홈부(255,268)와 결합편(298)은 상기 관통부재(250) 및 내측부재(26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홈부(255,268) 및 결합편(298)의 구성으로, 연장부(253)와 내측부재(260) 사이 간격이 확보됨과 동시에, 연장부(253)와 내측부재(260)의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재(250)의 플랜지(252)와 싱크대(10)의 상면 사이에는 실링용 오링(299)이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관통부재(250)의 플랜지(252)의 외측 하단에는 실링부재(299)가 삽입되는 홈이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용 오링(299)의 구성으로, 관통부재(250)의 플랜지(252)와 싱크대(10)의 유격이 잡히게 되고, 관통부재(250)의 플랜지(252)와 싱크대(10)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부재(250), 내측부재(260) 및 제1몸체(231)와 싱크대(10)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면서, 관통부재(250), 내측부재(260) 및 제1몸체(231)가 싱크대(10)에 보다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너트부재와 스크류가 체결된 상태를 하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너트부재와 스크류가 체결된 상태를 측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너트부재(270)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251)와 체결되게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너트부재(270)는 각기둥 형태의 바디(274)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바디(274)는 육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부재(27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27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부재(270)는 상기 싱크대(10)와 인접하는 상단에 원판 형태로 확장된 확장부(27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273)의 상면에는 고정력 향상을 위해 돌기 형태의 세그먼트를 복수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부재(270)는 상기 바디(274)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서, 상기 확장부(273)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걸림부(27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75)는 상기 바디(274)의 외면에서, 상기 확장부(273)의 경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너트부재(270)의 바디가 육각기둥을 비롯한 각기둥 형태로 구비되면, 측면에서, 스패너, 펜치 등의 도구를 통해서, 너트부재(270)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너트부재(270)에 걸림부(275)가 형성되면, 손 미끄러짐이 방지되면서, 사용자가 손으로 바디(274)를 잡고, 너트부재(270)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확장부(273)가 형성되면, 상기 싱크대(10)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면서, 너트부재(270)가 싱크대(10)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출수부(200)와 싱크대(10)의 결합력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으로 너트부재(270)를 회전시키고, 너트부재(270)를 조임수단으로 한두 바뀌 정도만 회전시키면, 체결력이 강화될 수 있다.
참고로, 싱크대에, 수도전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등록실용신안 0276610호(이하, 선행문헌)에 개시된 바 있다.
상세히, 선행문헌에는 냉,온수관이 연결된 수도전의 하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관이 형성되고, 싱크대의 체결구멍을 상기 체결관이 관통한 뒤, 싱크대 하부에서 체결너트를 상기 체결관에 끼워 수도전을 싱크대에 고정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이때, 싱크대의 하부공간은 협소하여, 체결너트 조립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과 같이, 출수노즐(210,220)이 회전하는 구조의 경우, 출수노즐(210,220)의 반복 회전에 따라 너트부재(270)가 풀려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견고하게 너트부재(270)를 체결해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너트부재(270)의 형상을 원판형상의 확장부(273)와 육각기둥 형태의 바디(274)를 일체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육각기둥 형태의 바디(274)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직선형의 걸림부(275)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걸림부(275)는, 걸림부(275)가 연결된 바디(274)의 일면(274a)과 이웃하여 양측에 형성된 경사면(275b,274c)의 가상의 연장선(EL1, EL2)과 중첩되거나, 가상의 연장선(EL1, EL2) 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너트부재(270) 체결용 공구, 예를 들어 스패너, 펜치들을 이용해서, 바디부(274)를 회전시킬 때, 상기 걸림부(275)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75)는 바디(274)의 두개의 변에만 형성될 수 있다. 그 이유는, 걸림부(275)가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총 4개의 변을 통해서, 랜치 등 끼워 너트부재(270)를 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관통부재(250)와 너트부재(270)의 체결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관통부재(250)를 싱크대(10)의 상측에서, 싱크대(10)에 형성된 홀(13, 도 7a 참조)에 끼우고, 싱크대(10)의 하측으로 노출된 스크류(251)에 너트부재(270)를 체결한다. 이때, 사용자는 시야가 가려진 상태에라 하더라도, 상기 걸림부(275)를 손으로 잡고, 스크류(251)에 너트부재(270)를 손쉽게 1차적으로 체결시킬 수 있다. 이때, 걸림부(275)는 너트부재(270)의 회전 방향과 교차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으로 걸림부(275)를 잡고 너트부재(270)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1차 체결이 완료되면, 별도의 공구를 바디(274)에 끼운 뒤, 공구를 돌려서 스크류(251)에 너트부재(270)를 2차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251)에 너트부재(270)가 보다 쉬우면서도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관통부재(250), 너트부재(270) 및 싱크대(10)의 체결력 향상을 위해, 상기 싱크대(10)의 저면과 상기 너트부재(270)의 확장부(273) 사이에는 고무와셔(276, 도 7a 참조)가 삽입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싱크대(10)에 형성된 홀(13, 도 7a 참조)은 상기 플랜지(25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252)의 직경은 상기 제1몸체(231)의 내경 및 내측부재(26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252)는 상기 제1몸체(231) 및 내측부재(26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상기 출수부(20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제1몸체(231) 또는 제2몸체(232)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상기 출수부(20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제1몸체(231) 또는 제2몸체(232)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싱크대(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출수부(200)는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가 설치되는 브라켓(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80)은 상기 싱크대(10)의 하면과, 상기 너트부재(270) 사이에 삽입되는 수평부(281)와 상기 수평부(281)의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2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281)에는 상기 관통부재(250)의 스크류(251)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251)는 싱크대(10)의 홀(13, 도 7a 참조)과, 수평부(281)의 홀을 차례대로 관통한 뒤, 수평부(281)의 하측에서, 너트부재(270)와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281)와 수직부(282)에 의해 정의된 모서리의 내측면에는 보강리브(28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282)에는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282)에는 각종 배관(34,39)을 움켜쥐는 방식으로 고정하는 배관고정후크(285) 및 상기 밸브(61,62)가 고정되게 밸브고정후크(286)이 복수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282)는 일측 또는 양측에 수직부(282)와 수직방향으로 연장벽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벽(287)에는 상기 각종 배관(34,39)이 통과되는 배관통과홀 또는 배관통과홈(288)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수직부(282)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수직부(282)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수직부(282)에 상호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각각 수직부(282)의 일측 상단과 타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냉,온,정수 및 살균수가 유입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측에서 상측으로 냉,온,정수 및 살균수가 출수노즐(210,220) 측으로 배출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드레인이 진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냉,온,정수 및 살균수가 유입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측에서 상측으로 냉,온,정수 및 살균수가 출수노즐(210,220) 측으로 배출되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드레인이 진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7c를 참조하여,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의 개폐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전기신호에 의해 상하동작하는 플런저(66)에 의해 개방 및 차폐될 수 있다.
먼저, 도 7c의 (a) 와 같이, 상기 플런저(66)가 상승하면, 물이 유입되는 입구(63)와 물이 배출되는 출구(64)를 연결하는 유로가 개방된다.
이때, 입구(63)와 출구(64)는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플런저(66)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입구(63)로 유입된 물은 출구(64)로 빠져나가고, 출구(64)로 빠져나간 물은 출수노즐(210,22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66)가 상승하면서, 배수구(65)와 입구(63)를 연결하는 유로는 차폐된다.
상기 배수구(65)는 상기 입구(63)와 상하방향(도 7c기준)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66)의 하측에는 누수 방지를 위해 실링부(67)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온도센서(68)는 상기 입구(63) 측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68)는 물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입구(63) 측과 상기 플런저(66)에 의해 개폐되는 분기점(69) 사이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반면, 도 7c의 (b) 와 같이, 상기 플런저(66)가 하강하면, 물이 유입되는 입구(63)와 물이 배출되는 출구(64)를 연결하는 유로가 차단된다.
또한, 상기 플런저(66)가 하강하면서, 배수구(65)와 입구(63)를 연결하는 유로는 개방된다.
따라서, 입구(63)로 유입된 물은 배수구(65)로 빠져나가고, 배수구(65)로 빠져나간 물은 드레인 된다.
참고로, 상기된 온도센서 및 후술되는 온도센서는 입구(63)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된 온도센서 및 후술되는 물이 유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온도센서는 입구(63)와 플런지(66)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언더싱크 정수기 특성상 싱크대 외부로 나오는 출수노즐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경우, 식용수(냉,온,정수) 출수용 출수노즐과 살균수 출수용 출수노즐을 구분하되, 각 출수노즐을 하나의 몸체로 구현하였고,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현하였다.
또한, 제1출수노즐의 경우, 터치 입력 및 디스플레이 출력이 가능하게 구현하였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출수노즐이 좌우 회전 동작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출수노즐의 회전각도 제한구조>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제1출수노즐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확대시킨 도면이다. 그리고, 도 12a는 제1출수노즐에서 표시 및 입력수단이 분리된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2b는 도 12a의 일부분을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와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출수노즐(210)은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은 회전동작이 90도 내지 270도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회전제한구조가 필요하다.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경우, 상기 삽입부(212)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212c)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재(214)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턱(212c)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돌기(214b)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214b)는 플랜지 형태로, 상기 제1연결부재(214)의 상단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214)는 상기 내측부재(26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돌기(214b)가 걸림턱(212c)의 상단에 안착되면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경우, 걸림턱(212c)이 안착돌기(214b)의 하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 동작한다.
또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경우, 상기 삽입부(212)의 내측면에서, 상기 삽입부(212)의 내측 중공으로 돌출되는 제1스토퍼(211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2111)는 도 10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스토퍼(2111)는, 걸림턱(212c)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2111)는, 상기 제1코크(219)와 가까운 위치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1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턱(212c)은 삽입부(212)의 내측면에서, 제1길이 만큼 돌출되고, 상기 제1스토퍼(2111)는 삽입부(212)의 내측면에서, 제1길이 보다 긴 제2길이 만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2111)는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2110) 보다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2110)과 상기 삽입부(212)가 연결되는 모서리는 전선(60) 또는 배관 등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곡면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212)의 내측에는 상기 제1출수노즐(210)이 회전 동작할 때, 함께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링(ring) 형상의 제1연결부재(2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214)에는 상기 제1스토퍼(2111)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회전제한돌기(214a)가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회전제한돌기(214a)는 상기 제1출수노즐(210)을 향하는 면이, 일직선(도 12a의 점선참조)을 형성하면서, 180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스토퍼(2111)의 회전각도는 한 쌍의 회전제한돌기(214a)에 의해, 180도로 제한되고, 결과적으로 제1출수노즐(210)의 회전각도가 180도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출수노즐(210)의 회전 시, 제1스토퍼(2111)가 상기 한 쌍의 회전제한돌기(214a)에 걸리면서, 제1출수노즐(210)의 회전범위가 제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스토퍼(2111)는 한 쌍의 회전제한돌기(214a)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제한돌기(214a)는 상기 제1스토퍼(2111)의 회전은 제한하되, 상기 걸림턱(212c)의 회전에는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214)는 내측부재(260)의 상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연결부재(214)는 내측부재(260)와 함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은 상기 제1연결부재(2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출수노즐(210)의 회전 시, 상기 내측부재(260)와 제1연결부재(214)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세히, 상기 내측부재(260)는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하지 않고, 제1연결부재(214)는 내측부재(26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214)는 상기 내측부재(260)의 상단에 배치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214)는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 형태의 안착돌기(214b)를 형성한다.
상기 제1스토퍼(2111)는 상기 안착돌기(214b)의 하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제한돌기(214a)는 상기 안착돌기(214b)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스토퍼(2111)는 제1출수노즐(210)의 회전 시, 상기 회전제한돌기(214a)에 걸리면서,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241)는 상기 안착돌기(214b)의 저면에 접촉 지지되면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214)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제1안내홀(214e) 및 상기 제1안내홀(214e)과 별도로 형성된 제2안내홀(214f)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공통배관(39)은 상기 제1연결부재(214)의 제1안내홀(214e)을 통해서, 상기 내측부재(260)에서 상기 제1출수노즐(210)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코크(219)와 연결된다.
또한, 각종 전선(60)은 상기 제1연결부재(214)의 제2안내홀(214f)을 통해서, 상기 내측부재(260)에서 상기 제1출수노즐(210) 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전선(60)은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과 연결되거나, 제1출수노즐(210)에 배치된 UV LED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안내홀(214f)은 상기 제1연결부재(214)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홀(214e)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안내홀(214f)은 상기 제1안내홀(214e)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홀(214e)과 제2안내홀(214f)의 모서리 부분은 전선(60) 또는 배관 등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모두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214)는 상기 전선(60) 또는 배관 등과 접촉하는 모서리 부분이, 모두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안내홀(214f)은 다시 복수의 홀로 구획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안내홀(214f)이 여러 홀로 구획된 경우, 상기 복수의 제2안내홀(214f)은 서로 일부가 연통할 수 있고, 서로 분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214)는, 상기 제1안내홀(214e)의 둘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형상의 배관 가이드(214g)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관 가이드(214g)는 상기 제1연결부재(214)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관 가이드(214g)가 형성되면, 상기 제2공통배관(39)은 상기 배관 가이드(214g)와 제1안내홀(214e)을 통과한 뒤, 제1출수노즐(210)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공통배관(39)이 보다 확실하게 전선(60) 등과 분리될 수 있고, 제2공통배관(39)이 보다 확실히 가이드되면서, 제2공통배관(39)의 꼬임 등의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연결부재(214)는 직접 내측부재(260)에 연결될 수 있고, 링(ring) 형상의 제2연결부재(215)를 통해서, 내측부재(260)와 결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제2연결부재(215)는, 상기 내측부재(26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214)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214)를 상기 내측부재(260)의 상단에 연결한다.
상기 제2연결부재(215)에는 상기 제2공통배관(39) 및 전선(60)이 통과하도록, 상기 제1안내홀(214e) 및 제2안내홀(214f)과 연통하는 제3안내홀(215h)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215)는 하단이 상기 내측부재(260)의 상단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부재(215)는 하단에,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부재(260)의 상단에 삽입되는 체결부(215e)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215e)는 외주면에 하단에서 상단으로 그 두께가 증가되면서, 경사면(215g)을 형성하는 고정후크(215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후크(215a)는 복수 구비되고,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후크(215a) 한쌍으로 구비되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재(260)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후크(215a)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홀(264)이 원주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264)은 상기 고정후크(215a)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215)는 상단에 상기 내측부재(260)의 상단에 안착되게 외측으로 연장된 안착부(215b)가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15b)의 구성으로, 상기 제2연결부재(215)는 내측부재(260)의 상단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215)의 체결부(215e)에는 하단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절개된 형태의 슬릿(215c)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해서 복수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슬릿(215c)은 복수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215e)는 슬릿(215c)의 작용으로 반경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사익 체결부(215e)는 외력이 가해지면 중심측으로 오므라졌다가 외력에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펼쳐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215e)의 외측면에는 고정후크(215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후크(215a)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점차 증가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후크(215a)는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경사면(215g)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후크(215a)는 내측부재(260)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홀(264)에 끼워지고, 이에 따라서, 제2연결부재(215)와 내측부재(260)는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내측부재(260)의 상단에 상기 제2연결부재(215)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215)를 하방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경사면(215g)을 따라 제2연결부재(215)가 내측부재(260)의 내측으로 진입하고, 이 과정에서, 슬릿(215c)의 간격이 줄어들면서, 체결부(215e)는 중심측으로 오므라진다. 이후, 상기 고정후크(215a)는 상기 고정홀(264)에 삽입되고, 상기 슬릿(215c)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체결부(215e)는 전체적으로 확장된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215)는 내측부재(260)의 상단에 고정된다.
상기 체결부(215e)는, 상기 경사면(215g)의 상단에 평면의 고정턱(215d)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후크(215a)가 상기 고정홀(264)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턱(215d)는 고정홀(264)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지지된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215)와 내측부재(260)의 결합력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215e)는, 상기 경사면(215g)의 상단에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고정홈(215k)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홀(264)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홈(215k)에 삽입되는 벤딩부(26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상기 벤딩부(264a)가 상기 고정홈(215k)에 삽입되어, 제2연결부재(215)와 내측부재(260)의 결합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부재(260)의 상단에 상기 제2연결부재(215)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연결부재(215)를 하방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경사면(215g)을 따라 제2연결부재(215)가 내측부재(260)의 내측으로 진입하고, 이 과정에서, 슬릿(215c)의 간격이 줄어들면서, 체결부(215e)는 중심측으로 오므라진다. 이후, 상기 고정후크(215a)는 벤딩부(264a)를 통과한 뒤, 상기 고정홀(264)에 삽입되고, 상기 슬릿(215c)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체결부(215e)는 전체적으로 확장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후크(215a)가 고정홀(264)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벤딩부(264a)는 상기 고정홈(215k)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215)는 내측부재(260)의 상단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부재(215)의 상하이동 또는 회전동작이 보다 확실히 제한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214)와 제2연결부재(215)는 필요에 따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214)와 제2연결부재(215)는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된 후,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214)와 제2연결부재(215)는 별도의 체결부재(216)를 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214)와 제2연결부재(215)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복수의 결합홀(214c)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홀(214c)은 별도의 체결부재(216)로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체결부재(216)는 볼트, 나사, 리브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214)와 제2연결부재(215)에 형성된 결합홀(214c)은 각각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214c)은 총 3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결합홀(214c)을 연결한 선은 삼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연결부재(214)와 제2연결부재(215)가 결합되면, 상기 제1연결부재(214)는 제2연결부재(215)의 상단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 가이드(214g)는 상기 제2연결부재(215)의 제3안내홀(215h)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배관 가이드(214g)가 제3안내홀(215h)에 위치되면, 상기 제3안내홀(215h) 역시,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안내홀(215h)이 구획되면서, 배관 가이드(214g)에 의해 정의된 내부 공간은 제2공통배관(39) 전용 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배관 가이드(214g)의 외부 공간의 경우,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과 연결된 전선(60) 등이 통과되는 전용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 꼬임 및 엉킴 등의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214)와 제2연결부재(215)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재(214)와 제2연결부재(215)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216)를 통해서 하나의 몸체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결부재(214)와 제2연결부재(215)는 하나의 모듈로 결합된다.
이후, 상기 하나의 모듈로 결합된 제1연결부재(214), 제2연결부재(215)는 상기 내측부재(260)의 상측에 삽입 및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2110)에는 상기 제1출수노즐(210) 내측에 배치되는 제2공통배관(39) 및 전선(60)을 고정하는 후크돌기(2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돌기(217)는 일측이 하부프레임(21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프레임(2110)과 이격되며, 후크 형상으로 굽어진 형태를 구비한다. 상기 후크돌기(217)는 적어도 일부가 볼록한 형태를 갖는다. 상기 후크돌기(217)는 하부프레임(2110)의 복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돌기(217)의 높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돌기(217)는 하부프레임(2110)에 상호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후크돌기(217)가 복수 구비된 경우, 어느 하나의 후크돌기(217)는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후크돌기(217)는 타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후크돌기(217)는, 상기 하부프레임(2110)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 일측으로 절곡되면서 연장된 제1후크돌기(217a, 도 22참조)와, 상기 제1후크돌기(217a)의 상단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2후크돌기(217b, 도 22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후크돌기(217a,도 22참조)는 일측이 개방되고, 제2후크돌기(217b,도 22참조)는 타측이 개방된다.
이때 상기 제1후크돌기(217a,도 22참조)와 제2후크돌기(217b,도 22참조)의 하측에는 각각 전선(60)이 통과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후크돌기(217a,도 22참조)와 제2후크돌기(217b,도 22참조)의 상측에는 제2공통배관(39)이 안착되어 통과될 수 있다.
라서, 각종 전선(60)과 제2공통배관(39)이 분리되어 배치되고, 고정되면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회전 동작 시, 각종 전선(60)과 제2공통배관(39)의 쏠림현상 및 꼬임, 간섭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공통배관(39)의 단부에는 냉/온/정수가 출수되는 제1코크(219)가 연결된다. 제1코크(219)는 양측이 상기 하부프레임(2110)에 결합된 별도의 고정브라켓(219a)에 의해 하부프레임(2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219a)는 전체적으로 ‘V’자, ‘U’자 형태를 구비한다. 그리고, 양측 단부는 하부프레임(2110)에 나사 체결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코크 및 배관 교체 시, 고정 브라켓(219a)의 나사를 풀고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1코크(219)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공통배관(39)과 연결되는 입구(219b)와, 상기 입구(219b)와 연통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출구(219c)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공통배관(39)과 입구(219b)는 입구(219b)의 외측에 제2공통배관(39)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2공통배관(39)을 가압하는 별도의 고정캡(218)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공통배관(39)과 입구(219b)는 열융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공통배관(39) 교체 시, 제1코크(219)까지 통째로 교체가 진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코크(219) 및 제2공통배관(39)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출수노즐에 설치 및 분리될 수 있다.
설치 시, 제1출수노즐(21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을 분리한다. 그리고, 제1출수노즐(210)의 상측이 개방된다. 그리고, 제1코크(219) 및 제2공통배관(39)을 제1출수노즐(2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넣고, 제2공통배관(39)을 내측부재(260)로 넣는다. 그리고, 표시 및 입력수단(240)을 제1출수노즐(210)에 결합한다.
반대로, 분리 시, 제1출수노즐(21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을 분리한다. 그리고, 제1출수노즐(210)의 상측이 개방된다. 그리고, 제1코크(219) 및 제2공통배관(39)을 제1출수노즐(2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빼낸다. 그리고, 제2공통배관(39)을 상측으로 잡아당긴다. 이때, 상기 제2공통배관(39)은 제1출수밸브에서 분리된 상태이다.
이후, 새로운 제1코크(219) 및 제2공통배관(39)을 설치한 후, 표시 및 입력수단(240)을 제1출수노즐(210)에 결합한다.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나사 체결, 접착 등의 방식으로 하나의 모듈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출수노즐(210)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에 배치된 제1출수노즐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온수 출수, 냉수출수, 정수 출수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제1출수노즐에는 물의 종류를 선택하는 표시 및 입력수단(240)이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표시 및 입력수단(240)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기판(PCB)이 장착되고, 다수의 전원선 또는 신호 등이 배관을 따라서, 싱크대 하부에 배치된 정수기 본체와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부의 제1출수노즐과 하부의 제2출수노즐을 각각 회전시킬 경우, 두 개의 노즐의 회전에 의해 전선 꼬임 및 엉킴 등이 발생하여, 전원선 단락 현상 및 이에 따른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부의 제1출수노즐과 하부의 제2출수노즐 사이에 결합부재(21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216)는 내측부재(260)의 내부 공간을 2개로 구획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공간은 전원선 및 각종 전선 통과용 공간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공간은 출수 배관 통과용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재(260)의 외측면과,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삽입부(212) 사이에는 누수 방지, 흔들림 방지, 회전 저항 발생 및 조작 감도 향상을 위한 제1오링(291)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내측부재(260)에는 상기 제1오링(291)이 삽입되게 내측으로 오목한 제1삽입홈(261)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오링(291)에 의해서, 내측부재(260)와 제1출수노즐(210)의 삽입부(212)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오링(291)에 의해서 제1출수노즐(210)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또한, 제1오링(291)에 의해 내측부재(260)와 제1출수노즐(210)의 삽입부(212)의 유격이 잡힐 수 있다. 또한, 제1오링(291)에 의해서 마찰이 발생하면서, 제1출수노즐(210)의 회전이 부드럽게 진행되면서,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고, 제1출수노즐(210)이 회전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재(260)의 외측면과 상기 삽입부(212)의 내측면 사이, 및/또는 삽입부(212)의 외측면과 상기 제2몸체(232)의 내측면 사이에는 제1각링(295)가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각링(295)는 상기 제1삽입홈(261)에 끼워진 제1오링(291) 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오링(291)에 의해서, 고정체인 내측부재(260)와 회전체인 삽입부(212)의 간격이 유지되고, 삽입부(212) 회전 시, 내측부재(260)와 삽입부(212) 사이에 회전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축방향으로 마찰이 생겨, 제1출수노즐(210)이 축방향으로 흔들거리지 않도록 잡아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각링(295)에 의해서, 제2몸체(232)와 삽입부(212)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각링(295)은 링 형상을 갖고, 그 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제2출수노즐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부프레임이 제거된 제2출수노즐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6은 제2출수노즐을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은 상부프레임과 하측프레임 사이에 살균수배관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일부를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2출수노즐(220) 역시 제1출수노즐(210)과 마찬가지로,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출수노즐(220)은 회전동작이 90도 내지 270도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2출수노즐(212)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회전제한구조가 필요하다.
제2출수노즐(220)의 경우, 제2출수노즐(2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220a)의 후단(도 14 기준 우측)에 제2스토퍼(224)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부재(260)에는 상기 제2스토퍼(224)가 삽입되는 회전제한홀(262)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제한홀(262)은 내측부재(260)의 원주방향을 따라 개방되고, 120-180도만큼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제한홀(262)에 삽입된 제2스토퍼(224)는 120-180도 범위에서만 회전되고, 결과적으로 제2출수노즐(220)의 회전각도는 120-180도 제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출수노즐(220) 회전 시, 상기 내측부재(26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220b)의 후단(도 14를 기준으로 우측)과 상기 제2몸체(232) 하단의 외측면 사이에는 누수 방지 및 회전 저항을 발생하도록 제4오링(294)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220b)의 후단에는 상기 제4오링(294)이 수평방향으로 접촉 지지되게 측벽(220c)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220c)의 하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몸체(232)의 하단에는 상기 제4오링(294)이 수용되게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측면홈(23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홈(232a)의 상측에는 상기 상부프레임(220b)의 모서리 일부가 수용되는 모서리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220a)과,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프레임(220b)에는 각각, 제2출수노즐(220)의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225,226)이 형성된다. 하부프레임(220a)의 지지돌기(226)는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부프레임(220b)의 지지돌기(225)는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각각의 지지돌기(225,226)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고, 각 지지돌기(225,226)의 단부는 근접하거나, 접촉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돌기(225,226)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출수노즐(220) 내측에 배치되는 살균수배관(34)은 상기 지지돌기(226) 사이를 통과하면서, 지지돌기(226)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8을 참조하면, 각 지지돌기(225,226)에는 체결용 구멍(225a,226a)이 형성되고, 각 구멍(225a,226a)은 볼트, 나사 등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하방에서 상측으로 나사 등을 체결하여, 상부프레임(220b)과 하부프레임(220a)을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220b)을 상면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프레임(220a)은 하면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220b)은 상측으로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프레임(220a)은 하측으로 오목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220a)의 측벽은 상기 상부프레임(220b)의 측벽의 내측으로 수용된다.
따라서, 제2출수노즐(2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220a)과,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프레임(220b)은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용 구멍(226a)은 하부프레임(220a)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부프레임(220a)의 하측에서, 볼트, 나사 등을 체결용 구멍(226a)에 끼우고 각 지지돌기(225,226)의 체결용 구멍(225a,226a)을 체결하여, 하부프레임(220a)과, 상부프레임(220b)을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재(260)의 외측면과 상기 제2삽입부(222)의 내측면 사이에는 흔들림 방지, 누수방지, 회전저항 발생, 회전 조작감 향상을 위해, 제3오링(293)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재(26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3오링(293)이 삽입되는 오링삽입홈(263)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오링(293)에 의해서, 내측부재(260)와 제2출수노즐(220)의 제2삽입부(222)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3오링(293)에 의해서 제2출수노즐(220)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또한, 제3오링(293)에 의해 내측부재(260)와 제2출수노즐(220)의 제2 삽입부(222)의 유격이 잡힐 수 있다. 또한, 제3오링(293)에 의해서 마찰이 발생하면서, 제2출수노즐(220)의 회전이 부드럽게 진행되면서,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고, 제2출수노즐(220)이 회전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재(260)의 외측면과 상기 제1몸체(231)의 내측면 사이에는 흔들림 방지, 누수방지, 회전저항 발생, 회전 조작감 향상을 위해, 제2각링(296)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각링(296)에 의해, 축방향으로 마찰이 생겨, 제2출수노즐(220)이 축방향으로 흔들거리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삽입부(222)의 하단은 상기 제2각링(296)의 상측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재(260)의 외측면에는, 각링삽입홈(267)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링삽입홈(267)에 제2각링(296)이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각링삽입홈(267)에 각링지지부재(297)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각링지지부재(297)는 상기 각링삽입홈(267)에 삽입되는 삽입부(297c)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링지지부재(297)는 상기 제2각링(296)이 안착되게 상기 삽입부(297c)의 하단에서 외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각링지지부(297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링지지부재(297)는 상기 각링지지부(297a)의 외측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된 수직연장부(297d)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연장부(297d)는 내측부재(260)의 외측면과 상기 제1몸체(231)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수직연장부(297d)는 상기 내측부재(260)과 마주보는 내측면의 하단에 경사면(297b)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97b)에 의해, 상기 수직연장부(297d)의 하단의 두께가 좁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각링지지부재(297)를 상기 내측부재(260)와 제1몸체(231) 사이에 끼우지 용이하다.
상기 제2각링(296)에 의해서, 내측부재(260)와 제1몸체(231)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참고로, 제2각링(296)은 링 형상을 갖고, 그 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링지지부재(297) 및 제2각링(296)에 의해서, 제2삽입부(222)의 하단이 지지되면서, 제2출수노즐(220)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회전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코크(229)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살균수배관(34)과 연결되는 입구(229a)와, 상기 입구(229a)와 연통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출구(229b)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살균수배관(34)과 입구(229a)는 입구(229a)의 외측에 살균수배관(34)이 끼워진 상태에서, 살균수배관(34)을 가압하는 별도의 고정캡(218)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살균수배관(34)과 입구(229a)는 열융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살균수배관(34)교체 시, 제2코크(229)까지 통째로 교체가 진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코크(229) 및 살균수배관(34)을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2출수노즐에 설치 및 분리될 수 있다.
설치 시, 제2출수노즐(2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220a)을 분리한다. 그리고, 제2코크(229) 및 살균수배관(34)을 제2출수노즐(220)의 개방된 하측에서 상측으로 넣고, 살균수배관(34)을 회전제한홀(262)로 넣어서, 살균수배관(34)을 내측부재(260)로 넣는다. 그리고, 하부프레임(220a)을 제2출수노즐(220)에 결합한다.
반대로, 분리시, 제2출수노즐(2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220a)을 분리한다. 그리고, 제2코크(229) 및 살균수배관(34)을 제2출수노즐(22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빼낸다. 그리고, 살균수배관(34)을 회전제한홀(262)을 통해 잡아당긴다. 이때, 상기 살균수배관(34)은 제2출수밸브에서 분리된 상태이다.
이후, 새로운 제2코크(229) 및 살균수배관(34)을 설치한 후, 하부프레임(220a)을 제2출수노즐(220)에 결합한다.
<표시 및 입력수단과 제1출수노즐의 결합구조>
도 19는 표시 및 입력수단을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0은 제1출수노즐을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1은 제1출수노즐의 측단면도이다. 도 22는 제1출수노즐의 정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일부를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제1출수노즐(2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제2출수노즐(220)의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최상측에 배치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플레이트(241), 상기 플레이트(241)의 하측에 배치되는 프레임(242), 상기 프레임(242)의 하측에 배치되는 피시비(24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41)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243)에는 LED를 비롯한 다양한 표시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시비(243)에는 스위치, 터치센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243)에는 각종 접속단자들(243a,243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들(243a,243b)은 제1출수노즐(210)의 제1삽입부(212)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삽입부(212)를 통과한 전원선 및 각종 배선이 접속단자들(243a,243b)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1출수노즐(210) 회전 시, 전원선 및 각종 배선의 꼬임 및 엉킴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42)에는 상기 표시수단 및 스위치, 터치센서 등이 플레이트(241) 측으로 노출되게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41)의 저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의 구성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241)는 상기 프레임(242)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42)은 상면에 상기 플레이트(241)와 면접촉되게 적어도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은 상측이 개방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내측 공간(210a)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42), 피시비(243)는 상기 제1출수노즐(210)에 형성된 내측 공간(210a)에 수납되고, 상기 플레이트(241)는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241)는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상부 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241)의 경계부(241a)는 상기 제2출수노즐(21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241)와 제2출수노즐(210) 사이로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즉,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41)는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상부에 접착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42)은 평면부(242h)와 상기 평면부(242h)의 하측 둘레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측벽(242g)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242g) 내부에 피시비(243)가 수용되면서, 피시비(243)의 방수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242g)은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후크부(242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42d)에 의해서, 상기 피시비(243)는 프레임(24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42d)는 상기 측벽(242g)의 일측(도 19 기준)하측의 선단(도 19기준 좌측)과 후단(도19기준 우측)에 형성되고, 측벽(242g)의 타측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42d)는 상기 측벽(242g)의 타측(도 19기준 상측)의 선단(도 19기준 좌측)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프레임(242)에서 피시비(243) 분리 시, 후크부(242d)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도 19기준 상측)의 선단(도 19기준 좌측)에서, 피시비(243)를 잡아당겨, 피시비(243)를 프레임(242)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체결용 홀(243c, 2112)은 후크부(242d)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도 19기준 상측)의 선단(도 19기준 좌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243)는 프레임(242)의 하측에서 상측(도 22 기준)으로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242d)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그 돌출두께가 점점 두꺼워 지면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피시비(243)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끼우면, 후크부(242d)의 경사면(242e)을 따라 피시비(243)의 양측이 이동하다가, 후크부(242d)의 상단에 피시비(243)의 양측이 끼워지면, 피시비(243)가 프레임(24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42)은 상기 양 측벽(242g)의 상단을 연결하는 평면부(242h)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면부(242h)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복수의 개방홈(242f)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평면부(242h)의 하단은 상기 피시비(243)의 상측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시비(243)의 하측은 상기 후크부(242d)에 의해 지지되고, 상측은 상기 개방홈(242f)의 하단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피시비(243)는 프레임(242)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시비(243)와 제1출수노즐(210)의 하부프레임(2110)에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용 홀(243c, 211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용 홀(243c, 2112)은 볼트, 나사 등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출수노즐(210)의 하측에서, 나사 등을 체결하여, 하부프레임(2110), 피시비(243)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42)에는 상기 체결용 홀(243c, 2112)을 통과한 나사 등이 체결되게 하측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용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부프레임(2110), 피시비(243) 및 프레임의 결합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하부프레임(2110)에는 제1코크(219)가 설치되는 코크홀(2113)이 형성되고, 제2공통배관(39)이 배치되는 중공(2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2117)은 상기 삽입부(212)의 중공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부(21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42)에는 상기 돌기부(211a)의 상단에 안착되는 제1돌기(242c)가 형성된다. 상기 제1돌기(242c)는 외측 하단 모서리에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출수노즐(21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홈부(2115)가 상기 돌기부(219)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2115)는 하단에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211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42)의 양측에는 상기 홈부(2115)에 삽입되게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2돌기(24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기(242a)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상기 제2돌기(242a)의 외측면에는 경사면(242b)이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임(242)을 제1출수노즐(2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누르면서 조립하면, 상기 경사면(242b)이 돌기부(211a)와 접촉하면서, 하강하고, 이후, 경사면(242b)이 돌기부(211a)의 하측에 위치되면, 제2돌기(242a)가 홈부(2115)에 수용되면서, 프레임(242)이 제1출수노즐(210)에 걸림 구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제1출수노즐(210)의 상면에 표시 및 입력수단(240)을 배치하였다. 따라서, 물 사용에 따른 물 튐 현상에 의해, 표시 및 입력수단(240)으로 물이 유입되면서, 오작동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1출수노즐(210)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하고, 개방된 상부를 플레이트(241)가 덮도록 구성하였다. 플레이트(241)와 제1출수노즐(210) 사이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그 내부공간에 입력용 터치 센서, 표시용 LED 등이 배치된다.
그리고, 플레이트(241)의 외측이 제1출수노즐(210) 대비 더 튀어나도록 형성하여, 방수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제1출수노즐(210)은 내측에 복수개의 호스 고정용 후크를 배치하고, 홀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제1출수노즐(210)에서 표시 및 입력수단(240)을 분리하면, 상측으로 코크 및 배관이 노출되고, 방문 매니저 또는 사용자는 손쉽게 배관 및 코크를 분리 하고, 새로운 배관 및 코크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나사 체결, 접착, 후크 체결 등의 방식으로 하나의 모듈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상측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제1출수노즐(210)의 하측에서 나사를 풀면 통째로 제1출수노즐(210)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제1출수노즐(210)의 상측이 개방된다.
<살균수 모듈>
도 2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살균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살균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살균수 생성모듈에 포함된 전극부의 단면을 도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모듈(150)은 케이싱(1510), 전극부(1520), 스페이서(1530), 캡(154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케이싱(1510)은 살균수모듈(150)의 외부 몸체를 형성한다.
케이싱(1510)의 내측에는 상기 전극부(1520), 스페이서(153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싱(1510)은 일측이 개방되어 개구(1511)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살균수가 토출되는 토출관(1512)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510)은 적어도 일부가 납작한 박스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510)에 의해 정의된 내부공간의 두께 또는 폭은 물의 입수 및 출수 시 일정한 수압이 유지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510)의 개구(1511)는 캡(154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개구(1511)가 형성된 케이싱(1513)의 일측단부에는 원통형의 유입부(1513)가 형성되고, 상기 캡(1540) 역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1540)은 상기 개구(1511)가 형성된 케이싱(1510)의 유입부(1513)를 감싸는 형태로, 케이싱(151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513)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그 외경이 단계별로 점차 커지면서, 계단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513)의 단부에는 외측면에 복수의 홈부(1513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1540)은 상부캡(1541)과 하부캡(15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캡(1541)은 상기 케이싱(1510)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캡(1541)은 상기 케이싱(1510)의 토출관(1512)이 형성된 상측(도 25 기준)에서 하측으로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1541)은 상기 유입부(1513)를 상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유입부(1513)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캡(1542)은 케이싱(1510)의 하측에서 개구(1511)를 차폐하면서, 상기 상부캡(1541)과 체결된다. 일 예로, 상기 상부캡(1541)의 하측에는 외주면에 나사산(154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캡(1542)의 상단의 내주면에는 상기 상부캡(1541)의 나사산(1543)이 체결되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캡(1541)과 하부캡(1542)가 체결되면, 상기 케이싱(1510)의 개구(1511)가 캡(2540)에 의해서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캡(1541)과 하부캡(1542) 사이 또는 상기 케이싱(1510)과 캡(1540)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오링(155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캡(1542)에는 상기 살균수배관(34)에서 공급된 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5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1544)은 필터 측 살균수 배관과 연결되고, 토출관(1512)은 출수부(200) 측 살균수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캡(1541)의 외면 그리고, 하부캡(1542)의 외면에는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방지용 요철(1545,1546)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부캡(1541)의 외면 그리고, 하부캡(1542)의 외면에는 상기 미끄럼방지용 요철(1545,1546)의 형성을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홈과 돌기가 번갈아 가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510)은 외면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보강리브(15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510)은 마주보는 면이 평면을 이룰 수 있다. 평면 형상의 케이싱(1510)의 외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보강리브(1514)는 복수의 횡방향 보강리브 및 종방향 보강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종방향 보강리브와, 복수의 횡방향 보강리브는 교차되면서, 격자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의 보강리브(1514)의 구성으로, 케이싱(1510)의 내압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케이싱(1510)과 캡(1540)에 의해서, 상기 살균수모듈(150)의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살균수 모듈(150)은 유입관(1544)이 하측을 향하고, 토출관(1512)이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관(1544)를 통해 입수된 물이 케이싱(1510)의 내측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토출관(1512)은 케이싱(1510)의 상측에 위치하여, 살균수는 토출관(1512)을 통해 케이싱(1510)의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1544)과 토출관(1512)은 각각 살균수배관(34)과 연결된다. 따라서, 살균수배관(34)으로 유입된 정수는 유입관(1544)을 통해 살균수모듈(150)로 유입되고, 살균수모듈(15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토출관(1512)을 통해 살균수모듈(150)을 빠져나간 뒤, 살균수배관(34)을 통해 출수부(2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544) 하측에 배치되고, 살균수가 토출되는 토출관(1512)이 상측에 구비되면, 하측에서 상측으로 물이 천천히 유동하게 되고, 살균수 생성과정에서 발생된 기포가 상측으로 포집된 후, 토출관(1512)로 빠져나갈 수 있다.
만약, 유입관(1544)이 케이싱(1510)의 상측에 위치하면, 유입관(1544)을 통해 입수된 물이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빠르게 유동하게 되고, 정수가 전극부(1520)과 충분히 반응하지 않고 배출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원하는 살균수 농도를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유입관(1544)과 토출관(1512)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 살균수 생성과정에서 발생된 기포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살균수 생성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유입관(1544)과 토출관(1512)을 상하방향으로 배치하되, 유입관(1544)이 하측에 배치되고, 토출관(1512)이 상측에 배치되게, 살균수모듈(150)을 설치한다.
이에 따르면, 하측에서부터 상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수위가 상승하면서 물과 전극부(1520)의 접촉면적이 확장됨으로써 전극부(1520)과 물의 화학반응에 따른 살균수 생성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케이싱(1510)의 내측에는 케이싱(1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물이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케이싱(1510)의 내부에는 두 개의 전극부(1520)가 서로 오버랩(overlap)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510)의 내부에는 두 개의 전극부(1520) 간격을 유지하도록 스페이서(15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1520)는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510)은 내측면에 상기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게 잡아주는 홀더(미도시)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은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전극(1521)은 판형으로 구비되고, 제2전극(1522)은 일측과 타측이 마주보게 접힌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1522)은 ‘U’자 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2전극(1522)은 상호 마주보는 한쌍의 전극판(1522a,1522b)과, 상기 전극판(1522a,1522b)의 일측을 연결하는 굽힘부(152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굽힘부(1522a)에는 절개된 형상의 슬릿(1522d)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1521)은 상기 전극판(1522a,152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극판(1522a,1522b)과 제1전극(1521)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전극판(1522a,1522b)과 제1전극(1521)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극판(1522a,1522b)과 제1전극(1521) 사이에 형성된 갭(G)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전극판(1522a,1522b)과 제1전극(1521) 사이, 또는 상기 전극판들(1522a,1522b) 사이에는 스페이스(1530)가 삽입된다.
상기 스페이서(1530)는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530)는 상기 슬릿(1522d)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슬릿(1522d)은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2개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1530)역시, 상기 슬릿(1522d)에 대응하여, 2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530)는 상기 전극(152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중심부(1531)와, 상기 중심부(1531) 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중심부(15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부(15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돌기부(1532)는 상기 전극판(1522a,1522b) 사이에 끼워져, 전극판(1522a,1522b) 사이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돌기부(1532)는 상기 전극판(1522a,1522b)과 제1전극(1521) 사이에 끼워져, 전극판(1522a,1522b)과 제1전극(1521) 사이 간격을 유지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스페이서(1530)가 중심부(1531)와 돌기부(1532)로 형성되면, 상기 전극(1521ㅡ1522)의 간격이 유지되면서, 상기 돌기부(1532) 사이를 통해서, 물이 유동할 수 있어, 물의 유동저항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에는 각각 단자부(1523,15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1521)에는 상기 단자부(1523)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돌출되고, 곡면으로 이루어진 파지부(152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1523,1524)는 상기 하부캡(1542)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1523,1524)는 상호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513)의 유입부(1513)에는 내측면에 상기 단자부(1523,1524)가 고정되는 끼움부(1513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캡(1542)에는 상기 단자부(1523,1524)가 통과하는 통과홀(154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과홀(1547)과 단자부(1523,1524) 사이에는 누수방지를 위해 오링(1561,1562)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하부캡(1542) 외측으로 노출된 단자부(1523,1524)를 통해서, 상기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염소이온이 녹아 있는 물(정수)을 전기분해하여 살균력을 갖는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할 수 있다. 차아염소산수는 특성 상, 기포가 다량 포함되고, 뿌옇게 출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포가 많이 포함된 살균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정수와 살균수를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살균수의 농도는 사용자가 음용 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은 고체고분자 전해질막을 중심으로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수중에서 전기분해 반응을 유도하여 고농도의 오존을 생성함에 따라 강력한 살균력을 가진 오존이 혼합된 살균수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전극(1521,1522) 각각에 단자부(1523,1524)가 구비되어, 외부전원(전류)이 단자부(1523,1524)를 통해 전극(1521,1522)으로 인가될 수 있다. 단자부(1523,1524) 각각은 각 전극(1521,1522)의 일측에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부캡(1542)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단자부(1523,1524) 각각은 전극(1521,1522)의 가로방향(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극부(1520)가 평판형의 제1전극(1521)과, 접힌 형상의 제2전극(1522)으로 구비되면,
전극부(1520)의 크기가 작아지고, 결과적으로 살균수모듈(150)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반면, 제2전극(1522)이 접힌 형상을 갖고, 제1전극(1521)이 상기 제2전극(1522)의 전극판(1522a,1522b)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물과 전극(1521,1522)의 접촉면적이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전극(1521,1522)과 물의 화학반응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은 마주보는 면에 코팅이 진행되어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은 티타늄(Ti)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팅층은 이리듐(Ir)과 백금(Pt)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은 0.5mm의 두께를 구비하고, 상기 코팅층은 1.6㎛의 두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제1전극(1521)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제2전극(1522)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살균수 모듈(15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제2출수노즐(210)을 통해서, 싱크대로 제공되고, 사용자는 살균수를 이용해서, 설거지, 과일세척 등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 살균수모듈 및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하우징 내 배치 및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7은 살균수모듈 및 제어부가 필터 브라켓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8은 필터 브라켓의 일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정수를 위한 필터(120) 및 각종 밸브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170)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170)은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커버(113, 도 1 참조)에 인접하도록, 하우징(1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브라켓(170)의 하측에는 필터(120)가 결합되고, 상측에는 살균수모듈(150)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16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필터 브라켓(17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박스 형상의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터 브라켓(170)과 제어부(160)에는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나사 체결공(174)을 형성하고, 필터 브라켓(170)과 제어부는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에는 일측 또는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체결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필터 브라켓(170)에는, 필터 브라켓(170)의 내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171), 상기 제1연장부(171)의 단부에서 수직 상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172)를 포함하는 제1연장돌기(17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172)는 상기 제어부(160)의 일측면의 하측과 접촉하면서, 제어부(16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브라켓(170)에는, 필터 브라켓(170)의 내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연장부(171) 보다 상측에 위치된 제3연장부(176), 상기 제3연장부(176)의 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제4연장부(177)를 포함하는 제2연장돌기(178)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4연장부(172)는 상기 제어부(160)의 일측면의 상측과 접촉하면서, 제어부(16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돌기(173) 및 제2연장돌기(178)는 상호 대칭되게, 상기 필터 브라켓(17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브라켓(170)에는, 상기 제어부(160)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프론트커버(113, 도 1 참조)가 구비된 전방을 향해 연장된 지지턱(179)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60)는 필터 브라켓(170)의 상측에 배치 및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브라켓(170)의 하측에는 필터(120)가 장착되고, 필터 브라켓(170)의 상측에는 균수모듈(150) 및 살균수모듈(150)에 전기적 신호를 주는 제어부(PCB Assembly, 160)가 장착된다.
기존 정수기에 살균수 출수 기능을 추가하면서, 하우징(110)내부에 살균수 생성 기능을 하는 살균수모듈(150)과 전기적 신호를 주는 제어부(PCB Assembly, 160)를 배치할 수 밖에 없다.
기존 정수기에서, 구조적으로 큰 변경 없이 살균수모듈(150) 및 제어부(PCB Assembly, 160)를 추가하기 위해 살균수모듈(150)의 부피를 최소화시켰고, 살균수 출수 유로를 추가시켰다.
또한, 필터(120)를 거친 정수가, 살균수모듈(150) 내부에 있는 티타늄 소재의 전극에 백금과 이리듐을 코팅하여 구성한 살균수모듈(150)을 통과하면서, 차염소산이 발생하면서 살균수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살균수모듈(150) 및 살균수모듈(150)에 전기적 신호를 주는 제어부(PCB Assembly, 160)를 하우징(110) 내에 장착하기 위해, 기존 정수기에 사용하고 있는 필터 브라켓(170)의 금형 만을 수정하여 살균수모듈(150) 및 제어부(PCB Assembly, 160)를 안착 및 결합시키는 구조를 간편하게 구현하였다. 또한, 필터(120)와 살균수모듈(150)을 연결하는 유로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살균수 출수제어>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에서 살균수가 출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의 살균수 출수를 위한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의 살균수 출수를 위한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먼저, 도 29를 참조하면, 원수는 필터(120)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는 유입밸브(35) 및 유량센서(36)을 거친 뒤, 살균수모듈(44)로 유입된다.
살균수모듈(44)을 통과한 정수는 살균수로 변하게 되고, 살균수모듈(44)에서 출수된 살균수는 제2출수밸브(62)로 유입된다.
이후, 제2출수밸브(62)의 개방 위치에 따라, 제2출수밸브(62)로 유입된 살균수는 출수부(200)로 유입되어, 제2출수노즐(220)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되거나, 드레인 배관(50)을 통해서, 배수구로 버려질 수 있다.
상기 제2출수밸브(62)는 제어부(160)에 의해, 개폐된다. 상세히, 제어부(160)에서,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의 개방을 지시하면, 제2출수밸브(62)는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를 개방하여, 유입된 살균수를 제2출수노즐(220) 측으로 공급한다.
반면, 상세히, 제어부(160)에서, 드레인 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의 개방을 지시하면, 제2출수밸브(62)는 드레인 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를 개방하여, 유입된 살균수를 드레인 배관(50) 측으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살균수모듈(150)을 통해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다 보면, 살균수 출수 후, 케이싱(1510)의 내부 또는 전극부(1520) 등에는 차아염소산수가 잔존하고, 이에 따라 전기분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살균수모듈(150), 살균수배관(34), 제2출수밸브(62), 제2출수노즐(220)에, 변색,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세히, 아래 화학식1과 같이, 물에 포함된 망간이온(Mn2+ )이 빠르게 산화망간 형태로 침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화학식 1]
HOCl + Mn2 + + H2O → 2MnO2(s) + Cl- + 3H+
따라서, 살균수 출수 후, 살균수모듈(150), 살균수배관(34), 제2출수노즐(220) 등의 세척 및 드레인이 필요하다.
도 30은 살균수모듈(150)의 세척을 위한 제어방법을 도시하였다
도 30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살균수 출수를 요청하면, 살균수가 출수될 수 있다.(S110)
이때, 살균수 1회 출수량은 기준값으로 자동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입수밸브(35), 살균수밸브(44)는 개방되고, 제2출수밸브(62)는 드레인 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를 차폐하고,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는 개방한다. 그리고, 살균수모듈(150)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서,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는 살균수모듈(150)을 거친 뒤, 살균수 형태로 전환되어 제2출수노즐(220)로 공급되고, 사용자는 살균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강제정지명령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상기 S120 단계에서, 강제정지가 발생되면, 후술되는 드레인을 진행하는 단계(S190)가 진행된다.
반면, S120 단계에서, 강제정지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2출수노즐(220)로 출수된 세척수 양(누적 pulse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세척 pulse값)을 비교한다. (S130)
상기 S130단계에서, 출수된 세척수 양(누적 pulse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세척 pulse값)을 초과하면, 살균수 생성이 중단되고, 살균수 모듈(150)로 유입된 정수는, 정수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S140)
이때, 입수밸브(35), 살균수밸브(44)는 개방되고, 제2출수밸브(62)는 드레인 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를 차폐하고,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는 개방한다. 그리고, 살균수모듈(150)에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강제정지명령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재판단한다.(S150)
상기 S150 단계에서, 강제정지가 발생되면, 후술되는 드레인을 진행하는 단계(S190)가 진행된다.
반면, S150 단계에서, 강제정지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2출수노즐(220)로 출수된 정수의 양(누적값)과 기 설정된 목표값을 비교한다. (S160)
상기 S160단계에서, 출수된 정수의 양(누적 pulse값)이 기 설정된 목표값(목표 pulse값)을 초과하면, 제2출수노즐(220)로의 정수의 출수를 정지하고, 드레인을 진행한다.(S170)
이때, 입수밸브(35), 살균수밸브(44)는 개방되고, 제2출수밸브(62)는 드레인 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를 개방하고,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는 차폐한다. 그리고, 살균수모듈(150)에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그리고, 드레인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만큼 진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80)
일예로, 기준시간은 약 10초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드레인이 기준시간 동안 진행되었다고 판단되면, 드레인을 정지한다.(S190)
이때, 입수밸브(35), 살균수밸브(44) 역시 차폐되고, 제2출수밸브(62)는 드레인 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도 차폐되며,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 역시 차폐된다. 그리고, 살균수모듈(150)에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살균수의 출수가 완료 후, 정수를 제2출수노즐(220) 측으로 공급하여, 살균수모듈(150)과 제2출수노즐(220)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의 세척이 진행되고, 제2출수노즐(220) 또한 세척될 수 있다. 따라서, MnO2에 의한 유로변색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이 진행되면서, 살균수모듈(150) 및 살균수배관(44)의 잔수가 드레인배관(50)을 통해 배수구로 배출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세척수의 1회 출수량은 120ml, 500ml, 1000ml 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수의 1회 출수량이 120ml인 경우, 상기 기준값(pulse값)은 205이고, 목표값(pulse값)은 248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세척수의 1회 출수량이 500ml인 경우, 상기 기준값(pulse값)은 849이고, 목표값(pulse값)은 999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세척수의 1회 출수량이 1000ml인 경우, 상기 기준값(pulse값)은 1848이고, 목표값(pulse값)은 1998로 설정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살균수모듈(150)은 드레인이 진행된 후,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살균수모듈(150)에서 드레인배관(50)으로 유동시키면서 각 전극(1521,1522)에 전류 방향을 반대로 인가하는 역전 단계를 추가적으로 진행하여, 전극(1521,1522)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역전 단계가 진행된 후, 추가 드레인이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도 31은 드레인을 위한 제어방법을 도시하였다.
도 31을 참조하면, 먼저, 드레인이 진행된다.(S210)
상기와 같은 드레인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의해 진행될 수 있고, 자동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제2출수노즐(220)로 출수된 세척수 및 정수의 양(누적값)이 기 설정된 목표값을 초과하는 경우이며, 이 경우, 제2출수노즐(220)로의 세척수 또는 정수의 출수를 정지하고, 드레인이 자동으로 진행된다.
S210단계에서, 입수밸브(35), 살균수밸브(44)는 개방되고, 제2출수밸브(62)는 드레인 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를 개방하고,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는 차폐한다. 그리고, 살균수모듈(150)에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이 드레인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제어부에서는 사용자로부터 냉수, 온수, 정수 출수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220)
만약, S22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냉수, 온수, 정수 출수명령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드레인이 중단된다.(S250)
그리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 또는 정수가 출수된다.(S260)
반면, S22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냉수, 온수, 정수 출수명령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드레인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만큼 진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일 예로, 기준시간은 약 10초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드레인이 기준시간 동안 진행되었다고 판단되면, 드레인을 정지한다.(S240)
이때, 입수밸브(35), 살균수밸브(44) 역시 차폐되고, 제2출수밸브(62)는 드레인 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도 차폐되며,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 역시 차폐된다. 그리고, 살균수모듈(150)에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드레인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냉/온/정수 출수요청이 발생하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냉/온/정수 출수가 즉각적으로 진행되게 드레인을 중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는 드레인 여부에 관계없이 원하는 온도의 정수를 즉시 제공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느끼는 만족감이 커질 수 있다.
도 32는 살균수 정량 출수 시, 살균수모듈과 각 밸브의 동작상태를 보인 타이밍도이다. 도 33은 살균수 정량 출수 전, 강제종료 시, 살균수모듈과 각 밸브의 동작상태를 보인 타이밍도이다. 도 34는 살균수 정량 출수 전, 냉/온/정 수 출수시, 살균수모듈과 각 밸브의 동작상태를 보인 타이밍도이다.
먼저, 도 32를 참조하면, 살균수 정량 출수 시, 살균수 출수가 완료되면, 정수가 출수되면서, 배관 세척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로부터 살균수 출수가 요청되면, 살균수모듈(150)에 전원이 공급(on)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가 개방(on)된다. 그리고, 제2출수밸브(62)는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가 개방(on)된다.
그리고, 살균수가 정량 출수되면, 살균수 출수가 종료되고, 제2출수노즐(220)로 정수가 출수되면서, 살균수모듈(150)과 제2출수노즐(220) 사이의 배관 세척이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제2출수노즐(220) 역시 세척이 진행된다. 이 때, 살균수모듈(150)에 전원이 차단(off)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는 개방(on)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2출수밸브(62)는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를 개방(on)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일 예로, 상기와 같이 제2출수노즐(220)로 정수가 출수되는 시간은 5초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출수노즐(220)을 통해서, 살균수 출수 후, 정수가 출수되면, 사용자는 살균수를 이용해서, 과일, 채소, 그릇 등을 세척하고, 이어서 나오는 정수로 과일, 채소, 그릇 등의 피세척물에 묻은 살균수를 손 쉽게 헹궈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출수노즐(220)을 통한 정수출구가 완료되면, 드레인이 시작된다. 이 과정에서, 살균수모듈(150)과 살균수배관(34)의 잔수가 드레인유로(5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살균수모듈(150)은 전원이 차단(off)된 상태를 유지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는 개방(on)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2출수밸브(62)는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를 닫고, 드레인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를 개방(on)시킨다. 일 예로, 상기와 같이 드레인배관(50)으로 정수가 출수되는 시간은 10초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이 완료되면, 대기모드로 돌입한다. 대기모드에서, 살균수모듈(150)은 전원이 차단(off)된 상태를 유지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는 차단(close)된다.
도 32에서, 제2출수밸브(62)의 제1출구가 개방되면, 제2출구는 차단된 것을 의미하고, 반대로, 제2출수밸브(62)의 제2출구가 개방되면, 제1출구는 차단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2출수밸브(62)에서, 제2출수노즐(220) 측으로 물을 공급하면, 드레인배관(50) 측으로 물의 배출이 차단되고, 제2출수밸브(62)에서, 드레인배관(50)측으로 물을 공급하면, 제2출수노즐(220) 측으로 물의 배출이 차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도 33을 참조하면, 살균수 정량 출수가 완료되기 전, 사용자로부터 강제종료가 요청되면, 바로 드레인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로부터 살균수 출수가 요청되면, 살균수모듈(150)에 전원이 공급(on)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가 개방(on)된다. 그리고, 제2출수밸브(62)는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가 개방(on)된다.
그리고, 살균수가 정량 출수 되기전, 살균수 강제 종료 요청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강제종료가 입력되면, 살균수 출구가 종료되고, 곧 바로 드레인이 시작된다.
이 과정에서, 살균수모듈(150)과 살균수배관(34)의 잔수가 드레인유로(5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살균수모듈(150)은 전원이 차단(off)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는 개방(on)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2출수밸브(62)는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를 닫고, 드레인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를 개방(on)시킨다. 일 예로, 상기와 같이 드레인배관(50)으로 정수가 출수되는 시간은 10초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이 완료되면, 대기모드로 돌입한다. 대기모드에서, 살균수모듈(150)은 전원이 차단(off)된 상태를 유지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는 차단(close)된다.
도 33에서, 제2출수밸브(62)의 제1출구가 개방되면, 제2출구는 차단되고, 반대로, 제2출수밸브(62)의 제2출구가 개방되면, 제1출구는 차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2출수밸브(62)에서, 제2출수노즐(220) 측으로 물을 공급하면, 드레인배관(50) 측으로 물의 배출이 차단되고, 제2출수밸브(62)에서, 드레인배관(50)측으로 물을 공급하면, 제2출수노즐(220) 측으로 물의 배출이 차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살균수가 정량 출수되지 않은 경우에는 곧바로 드레인을 진행하고, 살균수의 정량출수가 진행된 경우에만, 제2출수노즐(220)로 정수를 공급하면서 1차 세척을 진행하고, 1차 세척이 종료되면 드레인을 진행할 수 있다.
드레인이 설정시간 동안 진행되지 않고 냉/온/정수 출수 요청에 의해 강제 종료된 경우, 냉/온/정수 출수 후, 드레인이 재진행되면서, 배관 세척이 확실히 진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34를 참조하면, 드레인 진행 중, 냉/온/정수 출수요청 시, 드레인이 중지되고, 냉/온/정수 출수가 진행된 후, 드레인이 재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로부터 살균수 출수가 요청되면, 살균수모듈(150)에 전원이 공급(on)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가 개방(on)된다. 그리고, 제2출수밸브(62)는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가 개방(on)된다.
그리고, 살균수가 정량 출수 되기전, 살균수 강제 종료 요청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강제종료가 입력되면, 살균수 출구가 종료되고, 곧 바로 드레인이 시작된다.
이 과정에서, 살균수모듈(150)과 살균수배관(34)의 잔수가 드레인유로(5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살균수모듈(150)은 전원이 차단(off)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는 개방(on)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2출수밸브(62)는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를 닫고, 드레인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를 개방(on)시킨다. 일 예로, 상기와 같이 드레인배관(50)으로 정수가 출수되는 시간은 10초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드레인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드레인이 종료되기전 사용자로부터 냉/온/정수 출수가 요청된다.
상기와 같이 냉/온/정수 출수가 입력되면, 드레인이 종료되고, 곧 바로 냉/온/정수 출수가 진행된다. 냉/온/정수 출수 과정에서, 제1출수밸브(61)는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제1출구를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살균수밸브(44)는 차단(close)되고, 유입밸브(35)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냉/온/정수가 정량 출수되면, 냉/온/정수 출수가 종료된다. 상기와 같은 냉/온/정수 출수 종료를 위해서, 제1출수밸브(61)는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제1출구를 차단하고, 드레인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이 재진행된다.
이 때, 살균수모듈(150)은 전원이 차단(off)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는 개방(on)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2출수밸브(62)는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를 닫고, 드레인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를 개방(on)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일 예로, 상기와 같이 드레인배관(50)으로 정수가 출수되는 시간은 10초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이 완료되면, 대기모드로 돌입한다. 대기모드에서, 살균수모듈(150)은 전원이 차단(off)된 상태를 유지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는 차단(close)된다.
도 34에서, 제1출수밸브(61)의 제1출구가 개방되면, 제2출구는 차단되고, 반대로, 제1출수밸브(61)의 제2출구가 개방되면, 제1출구는 차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1출수밸브(61)에서, 제1출수노즐(210) 측으로 물을 공급하면, 드레인배관(50) 측으로 물의 배출이 차단되고, 제1출수밸브(61)에서, 드레인배관(50)측으로 물을 공급하면, 제1출수노즐(210) 측으로 물의 배출이 차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2출수밸브(62)의 제1출구가 개방되면, 제2출구는 차단되고, 반대로, 제2출수밸브(62)의 제2출구가 개방되면, 제1출구는 차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2출수밸브(62)에서, 제2출수노즐(220) 측으로 물을 공급하면, 드레인배관(50) 측으로 물의 배출이 차단되고, 제2출수밸브(62)에서, 드레인배관(50)측으로 물을 공급하면, 제2출수노즐(220) 측으로 물의 배출이 차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드레인이 설정시간 동안 진행되지 않고 냉/온/정수 출수 요청에 의해 강제 종료된 경우, 냉/온/정수 출수 후, 드레인이 재진행되면서, 배관 세척이 확실히 진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온수출수제어>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의 온수출수를 위한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의 온수출수를 위한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35를 참조하여, 출수되는 온수가 ‘첫잔’일 경우 온수 출수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첫잔 및 반복잔의 기준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첫잔 및 반복잔은, ‘n번째’ 온수 출수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n-1번째’ 온수 출수 이후, 대기시간의 경과 여부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상기 대기시간이 약 3분을 경과한 경우, 첫잔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첫잔 및 반복잔은, 온수탱크의 온수 또는 온도 제1출수밸브(61)에서 감지된 잔수의 온도 등에 따라 판단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첫반 및 반복잔은,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정수의 온도와 제1출수밸브(61)에서 감지된 잔수의 온도차이에 의해서, 판단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첫반 및 반복잔은, 온수탱크에서 감지된 온수의 온도와 제1출수밸브(61)에서 감지된 잔수의 온도차이에 의해서, 판단될 수도 있다.
먼저, 사용자가 출수버튼(240)을 누르면서, 온수 출수 명령이 입력된다.(S301)
그리고, 첫잔 또는 반복잔 여부가 판단되고, 첫잔일 경우, 곧 바로 예열이 진행된다.(S302)
예열 상태에서, 제1출수밸브(61)와 유입밸브(35) 및 온수밸브(43)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S303,S304,S305)
다만, 제1출수밸브(61)는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출구는 닫히고, 드레인 측과 연결된 출구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예열 종료 후, 기 설정된 고정출력이 온수탱크(130)로 공급되고, 실시간 온도제어가 진행된다.(S306)
일 예로, 상기 S306단계에서, 온수탱크(130)를 가열하는 워킹코일(미도시)의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S306단계에서, 온수탱크(130)를 가열하는 워킹코일(미도시)의 출력을 실시간으로조정할 수 있다. 상세히, 온수탱크(130)의 온도 또는 온수탱크(130)에서 가열된 온수의 온도 또는 온수탱크(130)로 유입되는 정수의 온도 또는 온수탱크(130)로 유입되는 정수의 유량 등의 요인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각 요인에 따라 온수탱크(130)를 가열하는 워킹코일(미도시)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예열과정은 약 4.2초 내지 5.0초 범위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이후, 유입밸브(35) 및 온수밸브(43)가 순차적으로 개방된다. (S307, S308)
그리고, 배관 내 잔수 및/또는 온수의 드레인이 시작된다. (S309)
온수 드레인 시, 제1출수밸브(61)는 드레인 측 출구가 개방된다.
드레인 시간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약 3.6초 동안 드레인이 진행될 수 있다.
드레인이 완료되면, 제1출수노즐(210)을 통해, 온수 출수가 진행된다.
온수 출수를 위해서, 제1출수밸브(61)는 드레인 측이 닫히고,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출구가 개방된다.(S310)
그리고, 설정된 양의 온수가 출수되고 나면, 온수 출수가 종료된다. (S311)
이후, 제1출수밸브(61)가 닫힌다. (S312)
그리고 온수밸브(43)와 유입밸브(35)가 순차적으로 닫히게 된다.(S313,S314)
다만, 제1출수밸브(61)는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출구는 닫히고, 드레인 측과 연결된 출구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36을 참조하여, 출수되는 온수가 ‘반복잔’일 경우 온수 출수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첫잔 및 반복잔의 기준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첫잔 및 반복잔은, ‘n번째’ 온수 출수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n-1번째’ 온수 출수 이후, 대기시간의 경과 여부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상기 대기시간이 약 3분을 경과한 경우, 첫잔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첫잔 및 반복잔은, 온수탱크의 온수 또는 온도 제1출수밸브(61)에서 감지된 잔수의 온도 등에 따라 판단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첫반 및 반복잔은,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정수의 온도와 제1출수밸브(61)에서 감지된 잔수의 온도차이에 의해서, 판단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첫반 및 반복잔은, 온수탱크에서 감지된 온수의 온도와 제1출수밸브(61)에서 감지된 잔수의 온도차이에 의해서, 판단될 수도 있다.
먼저, 사용자가 출수버튼(240)을 누르면서, 온수 출수 명령이 입력된다. (S401)
그리고, 곧 바로 예열이 진행된다.(S402)
이후, 예열 상태에서, 출수온도를 기준온도와 비교한다.(S403)
여기서, ‘출수온도’는 상기 제1출수밸브(61)에 장착된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수의 온도를 의미한다.
일 예로, 상기 기준온도는 75℃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출수온도가 기준온도(75℃) 이하일 경우, 예열을 진행한다.
그리고, 온수탱크(130)의 온도를 예측하기 위해서, 출수 후, 대기시간이 기준시간이상 지났는지 판단한다.(S411)
이겨서, ‘출수 후 대기시간’의 의미는 ‘n번째’ 온수 출수 진행 시, ‘n-1번째’ 온수 출수 이후, 대기시간을 의미한다.
만약, 출수 후, 대기시간이 기준시간(약 3분) 이상 경과하지 않은 경우, 제1출수밸브(61)와 유입밸브(35) 및 온수밸브(43)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상세히, 제1출수밸브(61)를 닫히도록 제어한다. (S412)
다만, 제1출수밸브(61)는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출구는 닫히고, 드레인 측과 연결된 출구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온수밸브(43)가 닫히도록 제어한다. (S413)
그리고, 유입밸브(35)가 닫히도록 제어한다. (S414)
상기 온수밸브(43)는 물의 흐름을 기준으로 온수탱크(130) 보다 앞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밸브(43)가 닫힌 상태라 하더라도, 온수탱크(43) 내부에서 물이 끓게 되면, 온수탱크(43)의 압력이 커지고, 가열된 온수의 일부가 온수탱크(130)를 빠져나올 수 있다. 그리고, 빠져나온 온수는 제1출수밸브(61)를 거쳐 드레인 된다. 그리고, 드레인되는 온수의 온도는 제1출수밸브(61)의 유입구 측에 설치된 온도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된다.
또한, 대기시간이 기준시간(약 3분) 이상 경과한 경우라 하더라도, 제1출수밸브(61)와 유입밸브(35) 및 온수밸브(43)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상세히, 제1출수밸브(61)를 닫히도록 제어한다. (S412)
다만, 제1출수밸브(61)는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출구는 닫히고, 드레인 측과 연결된 출구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온수밸브(43)가 닫히도록 제어한다. (S413)
그리고, 유입밸브(35)가 닫히도록 제어한다. (S414)
마찬가지로, 상기 온수밸브(43)는 물의 흐름을 기준으로 온수탱크(130) 보다 앞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밸브(43)가 닫힌 상태라 하더라도, 온수탱크(43) 내부에서 물이 끓게 되면, 온수탱크(43)의 압력이 커지고, 가열된 온수의 일부가 온수탱크(130)를 빠져나올 수 있다. 그리고, 빠져나온 온수는 제1출수밸브(61)를 거쳐 드레인 된다. 그리고, 드레인되는 온수의 온도는 제1출수밸브(61)의 유입구 측에 설치된 온도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된다.
한편, 상기 S403단계에서, 출수온도가 기준온도(75℃)를 초과하면, 예열 드레인(1차 드레인)이 진행된다.
이를 위해서, 온수밸브(43)가 열리도록 제어한다. (S421)
상기 온수밸브(43)는 물의 흐름을 기준으로 온수탱크(130) 보다 앞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유입밸브(35)가 열리도록 제어한다. (S422)
이때, 제1출수밸브(61)는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출구는 닫히고, 드레인 측과 연결된 출구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예열 드레인이 진행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예열 드레인이 종료된다.(S423)
그리고, 예열 드레인 과정에서, 온수탱크(130)를 빠져나온 온수는 제1출수밸브(61)를 거쳐 드레인 된다. 그리고, 드레인되는 온수의 온도는 제1출수밸브(61)의 유입구 측에 설치된 온도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된다.
일 예로, 상기 예열 드레인은 약 0.8초 내지 1초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즉, 상기 S403단계에서, 출수온도가 기준온도(75℃)를 초과하면, 온수밸브(43)와 유입밸브(35)를 개방하면서, 약 1초 동안의 예열과 드레인이 진행되고, 상기 S403단계에서, 출수온도가 기준온도(75℃) 이하에 해당되면, 온수밸브(43)와 유입밸브(35)가 닫힌 상태에서, 예열만 진행된다.
상기와 같은 ‘예열시간’은 약 1.0초 내지 5.2초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이후, 기 설정된 고정출력이 온수탱크(130)로 공급되고, 실시간 온도제어가 진행된다.(S430)
즉, 상기 S414단계 또는 S423단계 이후에는 기 설정된 고정출력이 온수탱크(130)로 공급되고, 실시간 온도제어가 진행된다.(S430)
그리고, 간헐적 출수 여부를 판단한다.(S431)
상기 간헐적 출수 여부는 상기 S411단계의 판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S411단계에서, 출수 후, 대기시간이 기준시간이상이면, S431단계에서는 간헐적 출수로 판단한다.
다른 예로, S411단계에서, 출수 후, 대기시간이 기준시간 미만이면, S431단계에서는 간헐적 출수가 아니고, 반복잔으로 판단한다.
S431단계에서, 간헐적 출수로 판단되면, 실시간으로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출수온도를 제2기준온도(약 88℃)와 비교한다.(S432)
반면, S431단계에서, 간헐적 출수로 판단되지 않으면, S432 단계를 생략하고, 곱 다로 후술되는 S441단계가 진행된다.
한편, 상기 S432단계에서, 실시간 출수온도가 제2기준온도(약 88℃)를 초과하는 경우, 온수 출수가 진행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온수밸브(43)가 개방된다.(S441)
그리고, 유입밸브(35)가 개방된다.(S442)
이후, 온수 출수가 진행된다.(S443)
그리고, 온수 출수를 위해서, 제1출수밸브(61)는 드레인 측이 닫히고,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출구가 개방된다.(S444)
그리고, 설정된 양의 온수가 출수되고 나면, 온수 출수가 종료된다. (S461)
이후, 제1출수밸브(61)가 닫힌다.(S462)
그리고 온수밸브(43)와 유입밸브(35)가 순차적으로 닫히게 된다.(S463, S464)
다만, 제1출수밸브(61)는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출구는 닫히고, 드레인 측과 연결된 출구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432단계에서, 출수온도가 제2기준온도(약 88℃) 이하인 경우, 온수 출수 전 추가 드레인이 진행된다.
이를 위해서, 온수밸브(43)가 열리도록 제어한다. (S451)
그리고, 유입밸브(35)가 열리도록 제어한다. (S452)
이때, 제1출수밸브(61)는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출구는 닫히고, 드레인 측과 연결된 출구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추가 드레인이 진행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추가 드레인이 종료된다.(S453)
상기와 같이 추가 드레인이 종료되면, 온수 출수를 위해서, 제1출수밸브(61)는 드레인 측이 닫히고,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출구가 개방된다.(S444)
그리고, 설정된 양의 온수가 출수되고 나면, 온수 출수가 종료된다. (S461)
이후, 제1출수밸브(61)가 닫힌다.(S462)
그리고 온수밸브(43)와 유입밸브(35)가 순차적으로 닫히게 된다.(S463, S464)
종합하면, 출수 온도가 75℃를 초과하는 경우, 예열과정에서 예열 드레인(1차 드레인)이 진행될 수 있다.
이는 온수탱크 내 끓음(boiling)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반면, 출수 온도가 75℃ 이하인 경우, 온수탱크 내 끓음(boiling) 발생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예열 드레인(1차 드레인)이 생략되고, 예열만 진행될 수 있다. 다만, 이때에도 온수탱크 내 끓음으로 인해 소량의 온수는 드레인 된다.
또한, 예열 후, 제1출수밸브(61)에서 감지된 온수의 온도, 즉 ‘출수 온도’가 88℃ 이하인 경우, 추가 드레인(2차 드레인)이 진행될 수 있다.
반면, 예열 후, 제1출수밸브(61)에서 감지된 온수의 온도, 즉 ‘출수 온도’가 88℃를 초과하는 경우, 추가 드레인(2차 드레인)이 생략되고 곧 바로 온수 출수가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가 드레인(2차 드레인)의 시간은 입수 온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입수온도가 높을수록 추가 드레인 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일 예로,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입수온도가 30℃ 미만일 경우, 추가 드레인 시간은 9.5초에서 예열 시간을 뺀 시간 만큼 진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입수온도가 30℃ 이상 45℃ 미만일 경우, 추가 드레인 시간은 9.0초에서 예열 시간을 뺀 시간 만큼 진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입수온도가 45℃ 이상 60℃ 미만일 경우, 추가 드레인 시간은 5.0초에서 예열 시간을 뺀 시간 만큼 진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입수온도가 60℃ 이상일 경우, 추가 드레인 시간은 생략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n번째 출수에서, 온수 출수 명령이 입력되고, n-1번째 출수에서, 냉수가 출수된 경우, 무조건 드레인이 진행된다. 여기서, 드레인은 온수탱크와 제1출수밸브(61) 사이 유로의 잔수가 모두 배출될 수 있는 범위에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n번째 출수에서, 온수 출수 명령이 입력되고, n-1번째 출수에서, 정수가 출수된 경우에도, 무조건 드레인이 진행된다. 여기서, 드레인은 온수탱크와 제1출수밸브(61) 사이 유로의 잔수가 모두 배출될 수 있는 범위에서 진행될 수 있다.
반면, n번째 출수에서, 온수 출수 명령이 입력되고, n-1번째 출수에서도 온수가 출수된 경우에만, 제1출수밸브(61)에서 감지된 잔수의 온도에 따라서, 드레인을 진행하거나 드레인 없이 곧바로 출수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n번째 출수에서, 냉수 출수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도, 무조건 드레인이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드레인은 냉수탱크와 제1출수밸브(61) 사이 유로의 잔수가 모두 배출될 수 있는 범위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에서 온수가 출수되는 과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온수출수가 요청된다.
이후, 이전 출수 후, 기준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 예로, 기준시간을 3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n번째 출수에서 온수 출수가 요청되고, n-1번째 출수에서, 온수가 출수된 후, 경과된 시간이기준시간 이상일 경우, 드레인 없이 예열만 진행된다.
즉, 온수출수가 연달아 진행되고, 연달아 진행된 온수출수 사이 시간이 기준시간 이상일 경우, 첫복잔으로 판단하고, 드레인 없이 예열만 진행된다. 드레인 없이 예열만 진행되는 이유는 온수 탱크 과열로 인한 끓음(boil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 예로, 예열은 약 1.8 초 내지 3.9초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예열시간은 목표 온수온도, 온수 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입수 온도, 입수 유량, 온수탱크로 공급되는 출력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이후, 예열이 종료되면, 출수온도를 기준온도와 비교한다.
일 예로, 상기 ‘출수온도’는 제1출수밸브(61)에서 감지된 잔수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출수온도’는 온수탱크에서 출수된 온수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온도는 약 88℃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출수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제1출수노즐(210)에서 곧 바로 온수 출수가 진행된다.
그리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목표 유량의 온수가 출수되면, 온수 출수는 종료된다.
반면, 출수온도가 기준온도 미만인 경우, 선택적으로 드레인이 진행된 후, 제1출수노즐(210)에서 온수 출수가 진행된다.
이때, 여기서, 드레인 시간은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입수 온도 또는 온수 탱크 자체의 온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입수 온도 또는 온수 탱크 자체의 온도가 높을수록 드레인 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일 예로,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입수 온도 또는 온수 탱크 자체의 온도가 30℃ 미만일 경우, 드레인 시간은 8.5초에서 예열 시간을 뺀 시간 만큼 진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입수 온도 또는 온수 탱크 자체의 온도가 30℃ 이상 45℃ 미만일 경우, 드레인 시간은 8.0초에서 예열 시간을 뺀 시간 만큼 진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입수 온도 또는 온수 탱크 자체의 온도가 45℃ 이상 60℃ 미만일 경우, 드레인 시간은 4.0초에서 예열 시간을 뺀 시간 만큼 진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입수 온도 또는 온수 탱크 자체의 온도가 60℃ 이상일 경우, 드레인 시간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출수노즐(210)에서 곧 바로 온수 출수가 진행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에서 온수가 출수되는 과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온수출수가 요청된다.
이후, 이전 출수 후, 기준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 예로, 기준시간을 3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n번째 출수에서 온수 출수가 요청되고, n-1번째 출수에서, 온수가 출수된 후, 경과된 시간이기준시간 미만인 경우, 예열과 동시에 드레인이 진행된다.
즉, 온수출수가 연달아 진행되고, 연달아 진행된 온수출수 사이 시간이 기준시간 미만인 경우, 반복잔으로 판단하고, 예열과 동시에 드레인이 진행된다. 예열과 동시에 드레인이 진행되는 이유는 온수 탱크내 과열로 인한 끓음(boil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드레인 시간은 0.6초 내지 1.8초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드레인 및 예열이 종료되면, 제1출수노즐(210)에서 곧 바로 온수 출수가 진행된다.
그리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목표 유량의 온수가 출수되면, 온수 출수는 종료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경우, 제1출수노즐(210)와 인접해서 배치된 제1출수밸브(61)에 온도센서가 장착된다. 따라서, 제1출수노즐(210)로 배출되는 냉수, 온수의 온도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만약, 온도센서가 싱크대 내부에 설치된 정수기 본체 측에 배치된 경우, 정수기 본체에서 온수 또는 냉수의 온도가 만족되었다 하더라도, 싱크대 내부의 정수기 본체와 싱크대 외부의 출수부를 연결하는 긴 배관을 온수 또는 냉수의 온도에 변화가 생기고,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만족스러운 온도의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경우, 사용자에게 물이 공급되는 출수노즐 근처에 배치된 제1출수밸브(61)에 온도센서가 장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온도의 온수 또는 냉수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과 같이, 제1출수밸브(61)에 온도센서가 장착된 경우, 온도센서에서 온수 또는 냉수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수 또는 냉수의 온도가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 배관의 온수 또는 냉수를 출수노즐로 공급하지 않고, 드레인시키고,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수 또는 냉수의 온도가 만족스러울 경우에만 출수노즐로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한다. 또한, 출수노즐과 제1출수밸브(61)의 거리가 짧게 형성되고, 제1출수밸브(61)에서 출수노즐로 온수 또는 냉수가 유동하는 도중에 물의 온도 변화가 거의 없게 된다. 비록, 싱크대 내부에 정수기 본체가 배치되고, 싱크대 외부에 출수노즐이 배치된 경우라 하더라도, 출수노즐과 출수밸브(61)가 인접해서 배치되고, 제1출수밸브(61)에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온도의 온수 및 냉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드레인 시간은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정수의 온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냉수탱크(140)가 싱크대 하부에 배치되고, 냉수가 출수되는 제1출수노즐(210)은 싱크대의 외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냉수가 유동하는 배관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서, 제1출수노즐(210)로 취출되는 냉수의 온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세히, 냉수탱크(140)에서 차가운 물이 배출되더라고, 냉수탱크(140)에서 배출된 냉수가 길이가 긴 배관을 유동하면서, 냉수의 온도가 올라가고, 최종적으로 미지근한 온도의 냉수가 제1출수노즐(210)로 배출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출수노즐(210)로 배출되는 냉수의 온도는 6도 수준을 유지하도록 설정된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은 언더싱크 타입의 정수기의 경우, 냉수탱크(140)에서 배출된 냉수가 길이가 긴 배관을 유동하면서 그 온도가 올라가게되고, 결국 제1출수노즐(210)로 배출되는 냉수의 온도가 7도 이상으로 올라갈 우려가 있다.
특히, 냉수 첫잔 출수 시, 더욱 더 냉수 온도가 올라갈 우려가 있다.
첫잔 및 반복잔의 기준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첫잔 및 반복잔은,‘n번째’ 냉수 출수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n-1번째’ 냉수 출수 이후, 대기시간의 경과 여부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상기 대기시간이 약 3분을 경과한 경우, 첫잔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냉수 첫잔 출수 시, 냉수 온도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냉수 첫잔 출수전 배관 내 잔류하는 잔수를 드레인을 진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약 0.7초 동안 드레인을 진행한 뒤, 제1추루수노즐(210)로 냉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냉수탱크(140)의 내측에는 냉각수(coolant)가 채워지고, 냉수탱크(140)의 내부공간의 하단에는 원통형으로 감긴 냉수코일이 배치되고, 상단에는 원통형으로 감긴 증발기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냉수코일과 증발기의 내부공간에는 교반기능을 하는 아지테이터(Agitator)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경우, 냉수첫잔의 온도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냉수탱크(140)의 냉각수(coolant) 온도를 -2.5℃ ~ 0.5℃로 설정한다.
그리고, 냉각수(coolant)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냉각수(coolant) 온도가 0.0℃ ~ 0.5℃ 범위에 해당되면, 아지테이터(Agitator)를 가동(on)시킨다.
또한, 냉각수(coolant)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냉각수(coolant) 온도가 -1.5℃ ~ 0.0℃ 범위에 해당되면, 아지테이터(Agitator)를 정지(off)시킨다.
또한, 냉각수(coolant)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냉각수(coolant) 온도가 -2.5℃ ~ -1.5℃ 범위에 해당되면, 아지테이터(Agitator)를 가동(on)시킨다. 이때, 상기 아지테이터(Agitator)는 15초 동안 가동(on)하고, 45초 동안 정지(off)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적어도 일부가 싱크대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 출수부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싱크대에 결합되는 내측부재;
    일측이 상기 내측부재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물이 출수되는 제1코크가 형성된 제1출수노즐;
    상기 내측부재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제1안내홀 및 상기 제1안내홀과 분리되게 형성된 제2안내홀을 형성하는 링 형상의 제1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의 제1안내홀을 통해서, 상기 내측부재에서 상기 제1출수노즐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코크와 연결되는 제2공통배관;
    상기 제1연결부재의 제2안내홀을 통해서, 상기 내측부재에서 상기 제1출수노즐 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제1안내홀의 둘레에서, 상하으로 연장되는 중공 형상의 배관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제1출수노즐의 내측에는 상기 전선과 상기 제2공통배관을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돌기는,
    상기 제1출수노즐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후 일측으로 연장된 제1후크돌기와,
    상기 제1후크돌기의 상단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제2후크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후크돌기와 제2후크돌기의 하측에는 각각 상기 전선이 통과되고,
    상기 제1후크돌기와 제2후크돌기의 상측에는 제 2 공통 배관이 안착되어 통과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수노즐은 일측 하단에, 상기 제1연결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제1삽입부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부에는,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턱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코크와 가까운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된 제1스토퍼를 형성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저면에,
    상기 제1스토퍼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회전제한돌기가 양측에 형성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를 상기 내측부재의 상단에 연결하는 링 형상의 제2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에는 상기 배관 및 전선이 통과하도록, 상기 제1안내홀 및 제2안내홀과 연통하는 제3안내홀을 형성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복수의 결합홀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홀은 별도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는
    하단에,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된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외주면에 하단에서 상단으로 그 두께가 증가되면서, 경사면을 형성하는 고정후크를 형성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는 하단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절개된 형태의 슬릿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해서 복수 형성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경사면의 상단에 평면의 고정턱이 형성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후크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홀이 원주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경사면의 상단에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후크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홀이 원주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벤딩부가 형성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수노즐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선과 연결되며, 상기 제1출수노즐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표시 및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은:
    최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출수노즐의 상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개방홈과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된 측벽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거나,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피시비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내측부재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출수노즐의 하측에 이격하여 배치되어, 세척력을 갖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제2출수노즐을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0200133402A 2020-10-15 2020-10-15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599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402A KR102599999B1 (ko) 2020-10-15 2020-10-15 워터 디스펜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402A KR102599999B1 (ko) 2020-10-15 2020-10-15 워터 디스펜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815A KR20220049815A (ko) 2022-04-22
KR102599999B1 true KR102599999B1 (ko) 2023-11-09

Family

ID=8145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402A KR102599999B1 (ko) 2020-10-15 2020-10-15 워터 디스펜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9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2382A (ja) 2003-01-31 2004-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9281B2 (ja) * 1994-03-11 2005-02-09 株式会社Osgコーポレーション ビルトイン型電解整水器の排水カラン装置
KR100397874B1 (ko) * 2001-01-03 2003-09-13 김명철 정수용 취수밸브장치
KR102267887B1 (ko) * 2019-02-22 2021-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191049B1 (ko) * 2019-02-22 2020-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2382A (ja) 2003-01-31 2004-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815A (ko) 202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1049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194595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267887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685037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305191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447111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599999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617152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306072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283533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548254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481846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