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875B1 - 살균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살균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875B1
KR101803875B1 KR1020160098207A KR20160098207A KR101803875B1 KR 101803875 B1 KR101803875 B1 KR 101803875B1 KR 1020160098207 A KR1020160098207 A KR 1020160098207A KR 20160098207 A KR20160098207 A KR 20160098207A KR 101803875 B1 KR101803875 B1 KR 101803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er casing
casing
inlet
inne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상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8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875B1/ko
Priority to CN201710500590.8A priority patent/CN10767344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수구 및 출수구를 구비하는 아우터 케이싱;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입수구 및 출수구와 연통되며 내부에 물의 유동을 위한 유로부를 형성하는 이너 케이싱; 상기 이너 케이싱의 유로부에 수용되고, 상기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두 개의 전극; 및 상기 두 개의 전극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전극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살균수 생성장치는 내압성능이 우수하고 일정한 살균수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살균수 생성장치{STERILIZING WATER GENE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물의 전기분해로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살균수 생성장치('전해조'라고도 칭함)는 염소이온(Cl-)이 녹아 있는 수돗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력이 있는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하고, 미생물의 DNA와 효소(Enzyme) 등을 파괴하여 살균할 수 있다.
차아염소산수는 크게 나누어 음용수인 알칼리이온수와 살균을 목적으로 식품위생관리에 사용되는 물인 강산성 차아염소산수, 약산성 차아염소산수, 미산성차아염소산수 등이 있다. 식품위생관리에 사용되는 차아염소산수는 모두 차아염소산이나 차아염소산 이온 등의 염소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용액으로 살균효과를 가 진다.
살균수인 차아염소산수는 가정 등에서 기존의 살균소독제 대신에 야채나 과일 등의 식재료, 조리기구, 손 및 목욕물 등을 살균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살균수 생성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살균수 생성장치(10)는 케이싱(11)과, 케이싱(11) 내부에 서로 마주보게 이격 배치된 애노드(anode,양극) 및 캐소드(cathode,음극)의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케이싱(11)에 입수구(12)와 출수구(13)가 구비된다.
살균수 생성장치(10)의 몸체를 형성하는 케이싱(11)은 두 개의 전극을 사이에 두고 제1평판(11a)과 제2평판(11b)의 가장자리부를 서로 융착시키는 평판형 구조로 형성된다. 두 개의 전극은 상호 간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1 및 제2평판(11a,11b)에 의해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1)은 내부에 물의 흐름을 두 개의 전극 사이로 유도하는 유로를 구비한다.
입수구(12)와 출수구(13) 각각은 케이싱(11)의 제1평판(11a)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평판(11a)과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물이 입수구(12)에서 제1 및 제2평판(11a,11b) 사이의 유로로 유입될 때 그리고 제1 및 제2평판(11a,11b) 사이의 유로에서 출수구(13)로 유출될 때 유로 방향이 직각 또는 수직방향으로 바뀌는 유로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케이싱(11)의 구조에서, 입수구(12)를 통해 유입된 수돗물은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로 안내되어 유동되고, 수돗물이 애노드 및 캐소드과의 화학반응을 통해 전기분해되어 차아염소산수를 포함하는 살균수가 생성된다. 두 전극 사이를 통과하며 생성된 살균수는 출수구(13)를 통해 출수된다.
그러나, 종래의 살균수 생성장치(10)의 케이싱(11)은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입수구(12)와 출수구(13) 사이의 길이가 길어 내압에 취약한 구조이므로, 가정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높은 수압, 예를 들면 1.5 ~ 8 ㎏f/㎠이 케이싱(11)의 두 평판(11a,11b) 사이에 전달될 경우 케이싱(11)에 크랙(CRACK) 등의 파손 및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기존의 가정용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고수압에도 잘 견딜 수 있도록 내압 성능이 우수하고, 파손 및 누수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살균수 생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살균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살균수 생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아우터 케이싱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이너 케이싱을 통해 내부 유로에서 아우터 케이싱으로 전달되는 수압이 아우터 케이싱의 원주면에 균일한 압력분포로 전달됨으로써, 내압 성능이 우수하고, 파손 및 누수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살균수 생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이너 케이싱의 유로부가 평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수돗물이 유로부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물과 전극의 접촉면적과 물의 유동비율이 일정함에 따라 살균수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살균수 생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장치는 입수구 및 출수구를 구비하는 아우터 케이싱;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입수구 및 출수구와 연통되며 내부에 물의 유동을 위한 유로부를 형성하는 이너 케이싱; 상기 이너 케이싱의 유로부에 수용되고, 상기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두 개의 전극; 및 상기 두 개의 전극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전극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케이싱과 이너 케이싱은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싱은 상기 이너 케이싱을 감쌀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너 케이싱은, 상기 유로부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싱으로 연장되어, 상기 물의 수압을 상기 아우터 케이싱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수압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너 케이싱은, 상기 복수의 수압전달부의 외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내주면과 접촉 가능하게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주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수압전달부는 상기 유로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부의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유로부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전극을 감싸며 상기 물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로단면적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평면형 유로홈; 상기 평면형 유로홈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입수구와 연통되는 제1연통부; 및 상기 평면형 유로홈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출수구와 연통되는 제2연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평면형 유로홈에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평면형 유로홈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전극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입수구 및 출수구와 각각 연통되는 연통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입수구와 출수구는,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하여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입수구의 입수방향과 상기 출수구의 출수방향은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길이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케이싱은 반경방향으로 절단되어 상하방향으로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너 케이싱은 길이방향으로 절단되어 좌우방향으로 상호 간극을 두고 분리 가능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이너 케이싱은 테두리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의 이너 케이싱은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결합되어 이너 케이싱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의 체결부 각각은, 상기 이너 케이싱의 길이방향 절단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케이싱과 이너 케이싱은 각각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싱은 상기 이너 케이싱을 감쌀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케이싱이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가정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고수압에도 견딜 수 있는 내압 성능이 크게 향상되어, 파손 및 누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이너케이싱의 유로부 내에서 수돗물이 전극과 반응하면서 흐르는 유동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됨에 따라 살균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살균수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살균수 생성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살균수 생성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살균수 생성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아우터 케이싱에서 분리된 제2아우터 케이싱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살균수 생성장치가 원주방향으로 절단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이너 케이싱에서 유로부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4에서 이너 케이싱의 외주면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이너 케이싱의 상부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이너 케이싱의 하부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아우터 케이싱에서 제1아우터 케이싱이 제거된 제2아우터 케이싱과 이너 케이싱을 밑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도 13에서 C-C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D-D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에서 이너 케이싱을 확대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4의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이 조립된 상태로 측면에서 이너 케이싱을 바라본 측면도다.
도 20은 도 19에서 이너 케이싱의 상부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1은 도 19에서 이너 케이싱의 하부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살균수 생성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살균수 생성장치는 냉장고, 정수기의 위생 관리 및 빌트인(Built-In) 정수기에 살균수를 생성하여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살균수를 이용하여 과일, 야채, 조리기구 등을 살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균수 생성장치는 정수기와 정수기 냉장고의 내부유로 관을 살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균수 생성장치는 독자적인 장치로 구비되어 필요 시 살균수 생성장치를 정수기나 정수기 냉장고에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살균수 생성장치는 정수기 또는 정수기가 장착된 정수기 냉장고의 내부에 설치되어 필요시에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압 특성을 고려하고, 일정한 농도의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는 살균수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살균수 생성장치(100)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살균수 생성장치(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살균수 생성장치(100)는 아우터 케이싱(110), 이너 케이싱(120), 전극(130), 스페이서(140)를 포함한다.
아우터 케이싱(110)은 살균수 생성장치(100)의 몸체를 형성한다.
아우터 케이싱(110)은 내압 성능의 향상을 위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아우터 케이싱(110)의 하측에 입수구(113)가 형성되고, 아우터 케이싱(110)의 상측에 출수구(114)가 형성된다.
입수구(113)와 출수구(114)는 아우터 케이싱(110)의 서로 반대되는 측면에서 각각 관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물공급호스가 입수구(113)와 출수구(114)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입수구(113) 및 출수구(114)의 관 직경은 입수 및 출수 시 일정한 수압이 유지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입수구(113)는 아우터 케이싱(1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입수구(113)를 통해 입수된 물이 아우터 케이싱(110)의 내측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출수구(114)는 아우터 케이싱(110)의 상측에 위치하여, 출수구(114)를 통해 아우터 케이싱(110)의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
입수구(113)에 물공급호스가 연결되어, 수돗물공급원으로부터 수돗물이 입수구(113)를 통해 살균수 생성장치(100)에 제공될 수 있다. 출수구(114)에 연결호스의 일측이 연결되고, 연결호스의 타측이 정수기의 내부유로 관 등에 연결되어, 살균수 생성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가 출수구(114)를 통해 연결호스를 거쳐 정수기의 내부유로 관으로 유입될 수 있다.
입수구(113)와 출수구(114)는 아우터 케이싱(110)의 반대되는 측면에서 각각 아우터 케이싱(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입수구(113) 및 출수구(114)가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살균수 생성장치(100)는 입수구(113)가 중력방향으로 향하고 출수구(114)가 중력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입수구(113)가 아우터 케이싱(110)의 상측에 위치하면, 입수구(113)를 통해 입수된 물이 중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떨어지고, 이때 수돗물이 전극(130)과 충분히 반응하지 않고 떨어지므로 원하는 살균수 농도를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입수구(113)를 통해 입수된 물이 중력에 영향을 받아 전극(130)에 골고루 퍼지지 않고 입수구(113)로부터 중력방향으로 물과 전극(130) 간의 국부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므로 전극(130)과 물의 화학반응에 따른 살균수 생성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입수구(113)가 아우터 케이싱(110)의 하측에 형성되고, 출수구(114)가 아우터 케이싱(1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아우터 케이싱(110)의 내부에 장착된 이너 케이싱(120)의 유로부(126) 하측에서부터 유로부(126)를 따라 상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수위가 상승하면서 물과 전극(130)의 접촉면적이 확장됨으로써 전극(130)과 물의 화학반응에 따른 살균수 생성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우터 케이싱(110)(길이방향 중심선)이 수직하게 배치될 경우에 출수구(114)가 상방향으로 향하고 입수구(113)가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살균수 생성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싱(110)(길이방향 중심선)이 수평하게 배치될 경우 출수구(114)가 아우터 케이싱(110)의 오른쪽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입수구(113)가 아우터 케이싱(110)의 왼쪽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이때 출수구(114)가 아우터 케이싱(11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하여 입수구(113)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입수구(113)와 출수구(114)는 사출성형에 의해 아우터 케이싱(1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입수구(113)와 아우터 케이싱(110)의 연결부분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리브(113a)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113a)는 아우터 케이싱(110)의 일측면으로부터 입수구(113)의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출수구(114)와 아우터 케이싱(110)의 연결부분에도 강도 보강을 위해 복수의 리브(114a)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싱(110)은 아우터 케이싱(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등분 되도록 아우터 케이싱(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절단 가공되어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극(130)의 크기 및 구조의 특성상 전극(130)을 수용하는 아우터 케이싱(110)은 길이가 직경에 비해 더 길다. 아우터 케이싱(110)은 원주면이 길이방향으로 이등분되도록 절단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만약, 아우터 케이싱(110)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이등분할 경우에 케이싱의 둘레길이가 원주 길이보다 더 길어서,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을 체결할 때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의 체결부(115a,115b) 사이에 밀봉해야 할 길이가 더욱 길어지고, 밀봉 후에도 상기 체결부(115a,115b)로 수압이 집중되어 누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우터 케이싱(110)은 길이방향 대비 길이가 짧은 원주방향으로 이등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수구(113)는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하부면에 구비되고, 출수구(114)는 제2아우터 케이싱(112)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 각각은 내부에 이너 케이싱(120)을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 각각의 일측은 서로 연통되도록 개방되며 그 일측 단부에 플랜지(flange) 형태로 형성된 체결부(115a,115b)끼리 맞닿아 체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은 각각 체결부(115a,115b)를 구비하고, 체결부(115a,115b)를 통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115a)는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상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15b)는 제2아우터 케이싱(112)의 하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 각각의 체결부(115a,115b)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체결될 수 있다.
제2아우터 케이싱(112)의 체결부(115b)에 복수의 체결돌기부(116)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체결돌기부(116)는 제2아우터 케이싱(112)의 체결부(115b) 외측면에서 아우터 케이싱(110)의 길이방향으로 원통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원통형의 체결돌기부(116)와 제2아우터 케이싱(112) 각각의 외주면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재(116b)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서로 보강될 수 있다. 체결돌기부(116)의 내부에 스크류의 나사부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홈(116a)이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체결부(115a)에 복수의 체결홀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홀과 복수의 체결돌기부(116)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스크류는 체결홀을 관통하여 체결돌기부(116)의 체결홈(116a)으로 삽입되어 나사 체결됨으로써,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체결부(115a)와 제2아우터 케이싱(112)의 체결부(115b) 사이에 원형의 실링부재(118)가 설치되어,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의 체결부(115a,115b)를 밀봉할 수 있다.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 각각은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보강리브(117,117')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보강리브(117')는 복수의 횡방향보강리브(117a') 및 종방향보강리브(117b')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횡방향보강리브(117a')는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고, 복수의 횡방향보강리브(117a') 각각은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원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복수의 횡방향보강리브(117a')는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입수구(113)와 멀어지도록 이격되고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체결부(115a)와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종방향보강리브(117b')는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고, 복수의 종방향보강리브(117b') 각각은 복수의 횡방향보강리브(117a')를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복수의 횡방향보강리브(117a')와 연결된다. 제1아우터 케이싱(111)에 구비되는 복수의 횡방향보강리브(117a')와 종방향보강리브(117b') 각각은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체결부(115a)로 갈수록 반경방향의 돌출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아우터 케이싱(11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보강리브(117)는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보강리브(117)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2아우터 케이싱(11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횡방향보강리브(117a) 중 하나는 제2아우터 케이싱(1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2아우터 케이싱(112)의 복수의 체결부(115b)와 각각 연결된다. 또한, 제2아우터 케이싱(11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보강리브(117)는 제2아우터 케이싱(112)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보강리브(117)는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의 외주면 일부, 예를 들면 체결부(115a,115b)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의 체결력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보강리브(117)는 아우터 케이싱(110)의 내압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너 케이싱(120)은 아우터 케이싱(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너 케이싱(12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케이싱(120)은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은 한 개의 원통을 원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반원통 형태로 이등분될 수 있다.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은 좌우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은 체결부(115a,115b)를 통해 원통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결합되고,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은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 각각의 체결부(115a,115b)는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의 길이방향 절단선(12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서로 맞닿아 체결됨으로써, 수압이 이너 케이싱(120)에서 아우터 케이싱(110)으로 원주면을 따라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아우터 케이싱(110)에서 분리된 제2아우터 케이싱(112)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살균수 생성장치(100)가 원주방향으로 절단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이너 케이싱(120)에서 유로부(126)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10은 도 4에서 이너 케이싱(120)의 외주면부(128)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이너 케이싱(120)의 상부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이너 케이싱(120)의 하부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너 케이싱(120)은 유로부(126), 복수의 수압전달부(127) 및 외주면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부(126)는 이너 케이싱(120)의 내부에 구비된다. 유로부(126)는 도 5에 도시된 제2아우터 케이싱(112)의 길이방향 중심선 O-O'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유로부(126)는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 각각의 내측에 직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유로부(126)의 내측에 평면형 유로홈(126a)이 각각 형성된다. 평면형 유로홈(126a)은 물이 유동할 수 있는 유로공간을 형성한다.
유로부(126)의 일측에 제1연통부(1261)가 형성되고, 유로부(126)의 타측에 제2연통부(1262)가 형성된다. 제1연통부(1261)와 제2연통부(1262)는 유로부(126)의 길이방향 중심선과 평행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연통부(1261,1262)는 유로부(126)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연통부(1261)는 입수구(113)와 연통되어, 물이 입수구(113) 및 제1연통부(1261)를 통해 전극(130)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연통부(1262)는 출수구(114)와 연통되어, 살균수가 제2연통부(1262)와 출수구(114)를 통해 아우터 케이싱(110)의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
두 개의 전극(130) 각각은 평면형 유로홈(126a)에 두께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게 수용된다. 각 전극(130)은 직사각형의 판(PLAT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전극(13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염소이온이 녹아 있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력을 갖는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전극(130)은 고체고분자 전해질막을 중심으로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수중에서 전기분해 반응을 유도하여 고농도의 오존을 생성함에 따라 강력한 살균력을 가진 오존이 혼합된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두 개의 전극(130) 각각에 전원입력부(131)가 구비되어, 외부에서 전원(전류)이 전극(130)입력부를 통해 전극(130)으로 인가될 수 있다. 전원입력부(131) 각각은 각 전극바디의 일측에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이너 케이싱(120)과 아우터 케이싱(110)의 상부면을 각각 관통하여 아우터 케이싱(110)의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전원입력부(131) 각각은 전극(130)의 가로방향(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평면형 유로홈(126a)에 복수의 돌기(126b)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는 평면형 유로홈(126a)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도 9 참조). 복수의 돌기(126b)는 전극(130)의 일면을 지지하여, 평면형 유로홈(126a)에 전극(130)이 수용될 때 전극(130)과 평면형 유로홈(126a)이 두께방향으로 상호 간의 간극을 두고 이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평면형 유로홈(126a)과 전극(130)의 간극으로 물이 유입되어, 물과 전극(130)의 접촉면적을 확장시켜 전극(130)과 물의 화학반응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두 개의 전극(130) 사이에 스페이서(140)가 삽입되고, 스페이서(140)는 두 개의 전극(130)을 두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스페이서(140)는 전극(130)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스페이서 바디(141)와, 스페이서 바디(141)의 내측 가로부분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상기 가로부분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연결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 바디(141)는 전극(130)의 가장자리부를 지지할 수 있다. 중간연결부(142)는 전극(130)의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 바디(141)의 가로부분 일측과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홈부(143)가 각각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홈부(143)는 아우터 케이싱(110)의 입수구(113) 및 출수구(114)와 각각 연통되게 형성되어, 물이 스페이서 바디(141)의 가로부분을 통과할 때 스페이서(140)에 의한 유로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연통홈부(143)는 스페이서 바디(141)의 가로부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복수 개씩 입수구(113) 및 출수구(114)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연통홈부(143)가 스페이서 바디(141)의 가로부분 각각에 하나씩만 형성된다면, 전극(130) 사이에 스페이서(140)를 삽입하여 조립할 때 연통홈부(143)와 아우터 케이싱(110)의 입수구(113) 및 출수구(114)의 방향을 맞추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수의 연통홈부(143)가 스페이서 바디(141)의 가로부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입수구(113) 및 출수구(114)와 연통되게 형성됨으로써, 전극(130)과 스페이서(140)의 조립 시 작업성이 향상된다.
유로부(126)는 평면형태로 형성되어, 물의 유동방향을 따라 일정한 유동단면적을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유로부(126)를 따라 흐르는 물의 살균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살균수 농도는 다음 식에 의해 입력 전류(Input Current) 및 살균수의 유동 비율(Flow rate)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Figure 112016074914040-pat00001
상기 식에 따르면 살균수 농도는 입력 전류가 일정할 때 유동비율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즉, 입력 전류가 일정하다면 살균수의 유동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될 때 살균수 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로부(126)는 물의 유동방향으로 유동단면적이 일정하여 물의 유동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됨에 따라, 일정한 농도의 살균수를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전극(130)에 인가되는 입력 전류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입수구(113)를 통해 입수되는 물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이너 케이싱(120)의 외주면부(128)는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어 아우터 케이싱(11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 각각의 외측에 속이 빈 반원통형의 외주면부(128)가 배치되고,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 각각의 내측에 직사각형의 두 유로부(126)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외주면부(128)의 양단부는 유로부(126)의 가로방향 양측단과 일체로 연결된다.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 각각의 내부에 상기 외주면부(128)와 유로부(126) 사이로 복수의 수압전달부(127)가 구비되어, 상기 외주면부(128)와 유로부(126)를 연결한다.
복수의 수압전달부(127) 각각은 유로부(126)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수압전달부(127) 각각은 유로부(126)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수압전달부(127)는 유로부(126)의 가로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수압전달부(127) 각각의 일측은 유로부(126)의 외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수압전달부(127) 각각의 타측은 외주면부(128)의 내측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수압전달부(127)는 유로부(126)의 가로방향을 따라 세 개로 설치될 수 있고, 세 개의 수압전달부(127) 중 중간의 수압전달부(127)는 다른 두 개의 수압전달부(127)보다 높이가 가장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수압전달부(127) 각각은 유로부(126)에서 외주면부(128)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너 케이싱(122)의 유로부(126) 내측 가장자리부에 결합홈(123)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2이너 케이싱(124)의 유로부(126) 내측 가장자리부에 결합돌기(125)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23)과 결합돌기(125)가 암수 결합되어, 제1이너 케이싱(122)이 제2이너 케이싱(124)에 대하여 길이방향(세로방향) 및 폭방향(가로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하지만, 제1이너 케이싱(122)은 제2이너 케이싱(124)에 대하여 유로부(126)의 두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유로부(126)의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압이 유로부(126)의 두께방향으로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에 각각 전달됨에 따라,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의 결합홈(123)과 결합돌기(125)는 일정한 간극을 두고 서로 벌려질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125)와 결합홈(123) 사이의 간극은 결합돌기(125)가 결합홈(123) 내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유로부(126)의 두께방향으로 유격을 허용한다.
상기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 각각은 가장자리부끼리의 간극을 통해 서로 벌어지게 됨으로써, 유로부(126)에서 수압전달부(127) 및 외주면부(128)를 통해 아우터 케이싱(110)으로 전달되는 수압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의 벌어지는 간격은 상기 외주면부(128)와 아우터 케이싱(10)의 내주면 간의 이격 거리로 제한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내압 성능 향상을 위한 원통형 케이싱의 동력전달 메카니즘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돗물은 물공급원으로부터 아우터 케이싱(110)의 입수구(113)를 통해 이너 케이싱(120)의 유로부(126)로 공급된다. 수돗물은 유로부(126)의 제1연통부(1261)를 통해 상기 유로부(126)의 내부에 유입되고, 제1연통부(1261)와 연통된 스페이서(140)의 연통홈부(143)를 경유하여 유로부(126) 내부에 수용된 두 전극(130) 사이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제1연통부(1261)를 통해 유입된 수돗물은 전극(130)과 평면형 유로홈(126a) 사이의 간극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로부(126) 내부에 유입된 수돗물은 아우터 케이싱(110)의 하부에 위치한 입수구(113)에서 상부에 위치한 출수구(114)를 향해 점차적으로 상승한다. 이때, 전극(130)에 전원이 인가되면 수돗물과 전극(130)의 화학반응에 의해 살균수가 생성된다.
살균수는 유로부(126)를 따라 이동하여 아우터 케이싱(110)의 출수구(114)를 통해 1.3ℓ/min의 유량으로 출수될 수 있다.
여기서, 살균수 생성장치(100)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압력은 예를 들면 4.5 ~ 8 ㎏f/㎠ 일 수 있다. 물의 수압은 대부분 이너 케이싱(120)의 유로부(126) 내부에서 평면형 유로홈(126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즉 유로부(126)의 두께방향으로 작용한다.
상기 수압의 전달경로를 살펴보면, 유로부(126)의 평면형 유로홈(126a) 내부에서 발생된 수압은 이너 케이싱(120)의 유로부(126)에서 상기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을 벌어지게 하고, 수압은 복수의 수압전달부(127)를 통해 분산되며 외주면부(128)로 전달되고, 외주면부(128)는 아우터 케이싱(110)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원통형의 아우터 케이싱(110)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전달된다.
상기 복수의 수압전달부(127)는 유로부(126)에서 받은 수압을 분산시켜 외주면부(128)로 전달하고, 외주면부(128)는 아우터 케이싱(110)의 원주면을 따라 물의 균일한 분포압력이 작용하도록 해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살균수 생성장치(100)의 내부에 입수된 물의 압력이 이너 케이싱(120)의 수압전달부(127) 및 외주면부(128)를 통해 원통형 아우터 케이싱(110)으로 전달될 때, 원통형 아우터 케이싱(110)의 원주면을 따라 균일한 분포압력이 작용함으로써, 가정용 냉장고 및 빌트인 정수기에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4.5 ㎏f/㎠ 이상 살균수 생성장치(100)에 작용하더라도 살균수 생성장치(100)는 파손되거나 누수되지 않고 살균수를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은 유로부(126)의 두께방향으로 상호 간의 유격을 허용하도록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의 가장자리부에 결합홈(123) 및 결합돌기(125)를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평판형 케이스의 가장자리부가 상호 융착된 구조에 비해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 상호간의 유격에 의해 수압을 흡수하여 고수압에도 잘 견딜 수 있는 내압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너 케이싱(120)의 유로부(126)는 내부에 평면형 유로홈(126a)을 구비하여 물의 유동방향에 따라 유동단면적이 일정하므로, 유로부(126)를 따라 흐르는 물의 유동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일정한 농도의 살균수를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장치(2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아우터 케이싱(210)에서 제1아우터 케이싱(211)이 제거된 제2아우터 케이싱(212)과 이너 케이싱(220)을 밑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도 13에서 C-C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에서 D-D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4에서 이너 케이싱(220)을 확대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4의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222,224)이 조립된 상태로 측면에서 이너 케이싱(220)을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에서 이너 케이싱(220)의 상부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1은 도 19에서 이너 케이싱(220)의 하부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장치(200)는 타원형의 아우터 케이싱(210)을 포함한다.
아우터 케이싱(210)은 길이방향으로 이등분되도록 타원형의 원주방향을 따라 절단되는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211,2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211,212) 각각은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211,212) 각각은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211,212) 각각의 중공부는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211,212) 내부에 이너 케이싱(220), 두 개의 전극(230) 및 스페이서(24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제1아우터 케이싱(211)의 하부면에 입수구(213)가 형성되고, 제2아우터 케이싱(212)의 상부면에 출수구(214)가 형성된다. 입수구(213)는 출수구(214)에 비해 중력방향으로 아우터 케이싱(2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입수구(213)를 통해 입수되는 물과 전극(230)의 접촉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211,212) 각각은 체결부(215a,215b)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211,212)의 각각에 구비되는 체결부(215a,215b)는 플랜지 형태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2아우터 케이싱(212)의 체결부(215a,215b)에 복수의 체결돌기부(216)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복수의 체결돌기부(216)는 체결부(215a,215b)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돌기부(216) 각각의 내부에 체결홈(216a)이 형성된다. 제1아우터 케이싱(211)의 체결부(215a,215b)에 복수의 체결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고, 스크류가 체결홀을 통해 체결홈(216a)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211,212)은 복수의 체결부(215a,215b)를 통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211,212)의 원주면에 복수의 횡방향보강리브(217a)와 종방향보강리브(217b)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횡방향보강리브(217a) 및 종방향보강리브(217b) 중 어느 하나의 보강리브는 복수의 체결부(215a,215b)와 연결되어,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211,212)의 체결력 및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211,212) 각각의 체결부(215a,215b) 사이에 실링부재(218)가 삽입되어, 상기 실링부재(218)에 의해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211,212) 사이의 기밀이 유지된다.
이너 케이싱(220)의 내부에 두 개의 전극(230)이 두께방향으로 서로 오버랩(OVERLAP)되게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전극(230) 사이에 스페이서(240)가 삽입되게 설치되어, 두 전극(230) 상호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전극(230) 및 스페이서(240)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의 전극(130) 및 스페이서(140)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너 케이싱(220)은 단면적이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아우터 케이싱(210)은 이너 케이싱(2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이너 케이싱(220)은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222,2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222,224)은 타원의 장축(LONG AXIS) 선을 기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등분 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싱(210)의 이등분 선은 이너 케이싱(220)의 절단선(22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너 케이싱(222)의 하단부에 제1연통부(2261)가 형성되고, 제2이너 케이싱(224)의 상단부에 제2연통부(2262)가 형성된다. 제1연통부(2261)는 입수구(213)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제2연통부(2262)는 출수구(214)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입수구(213)와 제1연통부(2261) 각각은 출수구(214)와 제2연통부(2262)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너 케이싱(22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입수구(213)와 출수구(214)는 아우터 케이싱(210)의 길이방향 중심선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연통부(2261,2262) 각각은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제2아우터 케이싱(212)은 이너 케이싱(2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타원형의 케이싱 구조는 높은 수압에도 잘 견딜 수 있는 내압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때,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222,224) 각각의 중간부는 이너 케이싱(220)의 양단부에 비해 두께방향으로 더욱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연통부(2261,2262) 각각은 외측에 타원형의 실링부재(218)를 구비하여, 제1연통부(2261)와 입수구(213) 사이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고, 제2연통부(2262)와 출수구(214) 사이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입수구(213)를 통해 유입된 물이 이너 케이싱(220)과 아우터 케이싱(210) 사이로 누설되지 않고 이너 케이싱(2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이너 케이싱(220)의 내부에서 생성된 살균수가 제2연통부(2262)를 통해 누설되지 않고 출수구(214)를 통해 출수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스페이서(240)에 복수의 연통홈부(243)가 구비된다. 복수의 연통홈부(243)는 스페이서(240) 바디의 가로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제1연통부(2261) 및 제2연통부(2262)와 연통되어, 전극(230) 사이로 유입되는 물의 유로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8을 참고하면,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222,224)의 내측에 유로부(226)가 구비된다.
유로부(226)는 두께방향으로 리세스(RECESS)되게 형성되어, 물이 유동할 수 있는 유로공간을 제공한다. 유로부(226)의 내부에 두 개의 전극(230)이 수용된다. 유로부(226)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복수의 돌기(226b)가 형성되고, 복수의 돌기(226b)는 유로부(226)에 수용되는 전극(230)을 지지하여 유로부(226)와 전극(230)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유로부(226)는 유로단면적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평면형이다.
유로부(226)는 유로의 폭과 높이가 일정하여 물의 유동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일정한 농도의 살균수를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18, 도 20 및 도 21을 참고하면, 제1이너 케이싱(222)의 유로부(226) 가장자리에 결합홈(223)가 형성되고, 제2이너 케이싱(224)의 유로부(226) 가장자리에 결합돌기(225)가 형성된다.
결합돌기(225)와 결합홈(223)은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222,224)에 서로 반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225)가 결합홈(223)에 삽입됨으로, 제1이너 케이싱(222)은 제2이너 케이싱(224)에 대하여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하지만, 제1이너 케이싱(222)과 제2이너 케이싱(224) 사이에 두께방향으로 상호간의 유격이 허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222,224) 상호간의 유격은 유로부(226)에서 아우터 케이싱(210)으로 수압이 전달될 때 상기 수압을 흡수하여 내압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원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원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원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원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원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200 : 살균수 생성장치 110,210 : 아우터 케이싱
111,211 : 제1아우터 케이싱 112,212 : 제2아우터 케이싱
113,213 : 입수구 113a : 리브
114,214 : 출수구 114a 리브 :
115a,115b,215a,215b : 체결부
116,216 : 체결돌기부 116a,216a : 체결홈
116b : 연결부재 117,117',217 : 보강리브
117a,217a,117a' : 횡방향보강리브
117b,217b,117b' : 종방향보강리브
118,218 : 실링부재 120,220 : 이너 케이싱
121,221 : 절단선 122,222 : 제1이너 케이싱
123,223 : 결합홈 124,224 : 제2이너 케이싱
125,225 : 결합돌기 126,226 : 유로부
126a : 평면형 유로홈 126b,226b : 돌기
1261,2261 : 제1연통부 1262,2262 : 제2연통부
127 : 수압전달부 128 : 외주면부
130,230 : 전극 131,231 : 전원입력부
140,240 : 스페이서 141 : 스페이서 바디
142 : 중간연결부 143,243 : 연통홈부

Claims (15)

  1. 입수구 및 출수구를 구비하는 아우터 케이싱;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입수구 및 출수구와 연통되며 내부에 물의 유동을 위한 유로부를 형성하는 이너 케이싱;
    상기 이너 케이싱의 유로부에 수용되고, 상기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두 개의 전극; 및
    상기 두 개의 전극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전극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
    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케이싱과 이너 케이싱은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싱은 상기 이너 케이싱을 감싸고,
    상기 이너 케이싱은,
    상기 유로부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싱으로 연장되어, 상기 물의 수압을 상기 아우터 케이싱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수압전달부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싱은,
    상기 복수의 수압전달부의 외측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내주면과 접촉 가능하게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주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압전달부는 상기 유로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부의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6. 입수구 및 출수구를 구비하는 아우터 케이싱;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입수구 및 출수구와 연통되며 내부에 물의 유동을 위한 유로부를 형성하는 이너 케이싱;
    상기 이너 케이싱의 유로부에 수용되고, 상기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두 개의 전극; 및
    상기 두 개의 전극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전극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
    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전극을 감싸며 상기 물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로단면적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평면형 유로홈;
    상기 평면형 유로홈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입수구와 연통되는 제1연통부; 및
    상기 평면형 유로홈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출수구와 연통되는 제2연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형 유로홈에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평면형 유로홈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전극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입수구 및 출수구와 각각 연통되는 연통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와 출수구는,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하여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의 입수방향과 상기 출수구의 출수방향은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싱은 반경방향으로 절단되어 상하방향으로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싱은 길이방향으로 절단되어 좌우방향으로 상호 간극을 두고 분리 가능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이너 케이싱은 테두리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의 이너 케이싱은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결합되어 이너 케이싱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의 체결부 각각은, 상기 이너 케이싱의 길이방향 절단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15. 입수구 및 출수구를 구비하는 아우터 케이싱;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입수구 및 출수구와 연통되며 내부에 물의 유동을 위한 유로부를 형성하는 이너 케이싱;
    상기 이너 케이싱의 유로부에 수용되고, 상기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두 개의 전극; 및
    상기 두 개의 전극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전극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
    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케이싱과 이너 케이싱은 각각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싱은 상기 이너 케이싱을 감싸고,
    상기 유로부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전극을 감싸며 상기 물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로단면적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평면형 유로홈;
    상기 평면형 유로홈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입수구와 연통되는 제1연통부; 및
    상기 평면형 유로홈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출수구와 연통되는 제2연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KR1020160098207A 2016-08-01 2016-08-01 살균수 생성장치 KR101803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207A KR101803875B1 (ko) 2016-08-01 2016-08-01 살균수 생성장치
CN201710500590.8A CN107673446B (zh) 2016-08-01 2017-06-27 灭菌水产生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207A KR101803875B1 (ko) 2016-08-01 2016-08-01 살균수 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875B1 true KR101803875B1 (ko) 2017-12-04

Family

ID=6092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207A KR101803875B1 (ko) 2016-08-01 2016-08-01 살균수 생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3875B1 (ko)
CN (1) CN10767344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6368A1 (en) * 2018-02-09 2019-08-15 Lg Electronics Inc. Sterilizing water maker
WO2020235829A1 (en) * 2019-05-17 2020-11-26 Lg Electronics Inc.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102Y1 (ko) * 2004-07-31 2004-10-15 신봉철 이온수 유로 모듈전극판 구조
JP2010058052A (ja) * 2008-09-03 2010-03-18 Morinaga Milk Ind Co Ltd 複極式電解槽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スペーサ
KR101427989B1 (ko) * 2013-09-26 2014-08-07 주식회사 파이노 전기분해 장치를 구비한 수소수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96353B1 (en) * 1999-06-08 2011-02-09 E-Cell Corporation Sealing means for electrically driven water purification uni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FR2835898B1 (fr) * 2002-02-12 2004-04-23 Michelin Avs Articulation hydroelastique avec canal de surpression a section variable
JP4599487B2 (ja) * 2004-07-28 2010-12-15 株式会社ホクエツ 水冷式縦型電解槽
DE102009005011A1 (de) * 2009-01-17 2010-07-22 Eilenburger Elektrolyse- Und Umwelttechnik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lektrochemischen Desinfektion von Trink- und Brauchwasser mit hohen Härtegehalten
JP5538431B2 (ja) * 2009-12-25 2014-07-02 森永乳業株式会社 電解水製造装置
CN102557229B (zh) * 2012-02-22 2013-10-23 长春工业大学 定容内燃式超临界流体氧化装置及其氧化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102Y1 (ko) * 2004-07-31 2004-10-15 신봉철 이온수 유로 모듈전극판 구조
JP2010058052A (ja) * 2008-09-03 2010-03-18 Morinaga Milk Ind Co Ltd 複極式電解槽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スペーサ
KR101427989B1 (ko) * 2013-09-26 2014-08-07 주식회사 파이노 전기분해 장치를 구비한 수소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6368A1 (en) * 2018-02-09 2019-08-15 Lg Electronics Inc. Sterilizing water maker
WO2020235829A1 (en) * 2019-05-17 2020-11-26 Lg Electronics Inc.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73446B (zh) 2021-05-11
CN107673446A (zh) 2018-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1945B1 (ko) 전해수생성장치
KR101803875B1 (ko) 살균수 생성장치
JP4856530B2 (ja) 電解水の有効塩素濃度調節方法、電解水のpH調節方法および電解水生成装置。
KR101861864B1 (ko) 전기 분해 시스템
US20130146473A1 (en) Dual diaphragm electrolysis cell assembly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leaning solution without any salt residues and simultaneously generating a sanitizing solu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vel of available free chlorine and pH
BR112017026680B1 (pt) Sistema de eletrolisação de água de alto volume e método de uso
KR101332608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101027538B1 (ko) 살균 전해수 제조 장치, 이를 포함하는 살균 전해수 제조 시스템 및 방법
ITRM20050666A1 (it) Blocco di reattori elettrolitici a membrana con quattro camere.
US201301464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tabilized sanitizing solution
JP3986820B2 (ja) 電解殺菌水製造装置
JP3434348B2 (ja) 電解水生成装置
CN101922014A (zh) 隔膜法氯发生器及次氯酸钠的制备方法
US9399588B2 (en) Electrolysis water-making apparatus
KR20190096567A (ko) 살균수 생성장치
KR101564266B1 (ko) 정수기의 전해조
CN112941546B (zh) 臭氧水制造机
KR20230106146A (ko) 생성 장치
CN214789262U (zh) 水龙头
KR101402227B1 (ko) 수처리장치
CN201762459U (zh) 隔膜法氯发生器
JP7509928B2 (ja) 電気分解槽用の電極構造体
KR20080025276A (ko) 워터가스 발생장치의 전해조
JPH01317592A (ja) 電解殺菌水または中性無菌水製造装置
KR102424776B1 (ko) 냉각효율이 향상된 컴팩트형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생성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