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567A - 살균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살균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567A
KR20190096567A KR1020180016170A KR20180016170A KR20190096567A KR 20190096567 A KR20190096567 A KR 20190096567A KR 1020180016170 A KR1020180016170 A KR 1020180016170A KR 20180016170 A KR20180016170 A KR 20180016170A KR 20190096567 A KR20190096567 A KR 20190096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water
outer casing
inner casing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수
우상기
박종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6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6567A/ko
Priority to PCT/KR2019/000276 priority patent/WO2019156368A1/en
Publication of KR20190096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45Fl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의 전기해로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수구 및 출수구를 구비하는 아우터 케이싱과,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입수구 및 출수구와 연통되며 내부에 물의 유동을 위한 유로부를 형성하는 이너 케이싱과, 상기 이너 케이싱의 유로부에 수용되고, 상기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두 개의 전극 및 상기 두 개의 전극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전극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유로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유로부의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배치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의 두께와 상기 수평부의 두께는 상이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살균수 생성장치{sterilizing water gene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살균수 생성장치('전해조'라고도 칭함)는 염소이온(Cl-)이 녹아 있는 수돗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력이 있는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하고, 미생물의 DNA와 효소(Enzyme) 등을 파괴하여 살균할 수 있다.
차아염소산수는 크게 나누어 음용수인 알칼리이온수와 살균을 목적으로 식품위생관리에 사용되는 물인 강산성 차아염소산수, 약산성 차아염소산수, 미산성차아염소산수 등이 있다. 식품위생관리에 사용되는 차아염소산수는 모두 차아염소산이나 차아염소산 이온 등의 염소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용액으로 살균효과를 가 진다.
살균수인 차아염소산수는 가정 등에서 기존의 살균소독제 대신에 야채나 과일 등의 식재료, 조리기구, 손 및 목욕물 등을 살균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살균수 생성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살균수 생성장치(10)는 케이싱(11)과, 케이싱(11) 내부에 서로 마주보게 이격 배치된 애노드(anode,양극) 및 캐소드(cathode,음극)의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케이싱(11)에 입수구(12)와 출수구(13)가 구비된다.
살균수 생성장치(10)의 몸체를 형성하는 케이싱(11)은 두 개의 전극을 사이에 두고 제1평판(11a)과 제2평판(11b)의 가장자리부를 서로 융착시키는 평판형 구조로 형성된다. 두 개의 전극은 상호 간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1 및 제2평판(11a,11b)에 의해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1)은 내부에 물의 흐름을 두 개의 전극 사이로 유도하는 유로를 구비한다.
입수구(12)와 출수구(13) 각각은 케이싱(11)의 제1평판(11a)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평판(11a)과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물이 입수구(12)에서 제1 및 제2평판(11a,11b) 사이의 유로로 유입될 때 그리고 제1 및 제2평판(11a,11b) 사이의 유로에서 출수구(13)로 유출될 때 유로 방향이 직각 또는 수직방향으로 바뀌는 유로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케이싱(11)의 구조에서, 입수구(12)를 통해 유입된 수돗물은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로 안내되어 유동되고, 수돗물이 애노드 및 캐소드과의 화학반응을 통해 전기분해되어 차아염소산수를 포함하는 살균수가 생성된다. 두 전극 사이를 통과하며 생성된 살균수는 출수구(13)를 통해 출수된다.
그러나, 종래의 살균수 생성장치(10)의 케이싱(11)은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입수구(12)와 출수구(13) 사이의 길이가 길어 내압에 취약한 구조이므로, 가정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높은 수압, 예를 들면 1.5 ~ 8 ㎏f/㎠이 케이싱(11)의 두 평판(11a,11b) 사이에 전달될 경우 케이싱(11)에 크랙(CRACK) 등의 파손 및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살균수 생성장치(10)의 경우,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되어 양극과 음극이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 적용된다. 그러나, 상기 스페이서가 평평한 플레이트(plate) 형태로 이루어져, 유로확보가 어려워지면서, 처리 유량이 감소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지속적으로 물의 전기분해가 진행되다 보면, 물에 의해 전극과 스페이서 사이에 스케일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차아염소산의 농도가 저하되며, 살균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10-1564266호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극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의 형상을 변경하여, 공간이 확보되면서 유동성이 개선되고, 스케일 생성을 방지할 수 있는 살균수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극 사이의 전기분해 표면적을 넓혀, 차아염소산 생성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차아염소산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살균수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가정용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고수압에도 잘 견딜 수 있도록 내압 성능이 우수하고, 파손 및 누수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살균수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살균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살균수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장치는 입수구 및 출수구를 구비하는 아우터 케이싱과,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입수구 및 출수구와 연통되며 내부에 물의 유동을 위한 유로부를 형성하는 이너 케이싱과, 상기 이너 케이싱의 유로부에 수용되고, 상기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두 개의 전극 및 상기 두 개의 전극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전극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유로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유로부의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배치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의 두께와 상기 수평부의 두께는 상이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부는, 상기 수평부와 연결되지 않은 중심부의 두께가, 상기 수평부와 연결된 양측 단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의 두께는, 상기 수평부와 연결된 수직부의 양측 단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와 연결되지 않은 수직부의 중심부 두께는 상기 수평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부는 상기 중심부와 양측단부 사이에, 중심부 측으로 그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경사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부 사이에는, 상기 입수구 및 출수구와 각각 연통하는 연통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 또는 상기 수직부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유로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중심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수직홈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싱과 이너 케이싱은 각각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싱은 상기 이너 케이싱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로부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전극을 감싸며 상기 물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로단면적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평면형 유로홈과, 상기 평면형 유로홈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입수구와 연통되는 제1연통부 및 상기 평면형 유로홈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출수구와 연통되는 제2연통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평면형 유로홈에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평면형 유로홈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전극을 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전극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의 형상을 변경하여, 공간이 확보되면서 유동성이 개선되고, 스케일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사이의 전기분해 표면적을 넓혀, 차아염소산 생성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차아염소산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가정용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고수압에도 잘 견딜 수 있도록 내압 성능이 우수하고, 파손 및 누수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이너케이싱의 유로부 내에서 수돗물이 전극과 반응하면서 흐르는 유동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됨에 따라 살균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살균수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살균수 생성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살균수 생성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전극 사이에 스페이서가 배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일부영역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은 도 7에 도시된 스페이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살균수 생성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살균수 생성장치는 언더싱크 타입의 빌트인(Built-In) 정수기에 포함될 수 있으며, 살균수를 생성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살균수를 이용하여 과일, 야채, 조리기구 등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살균수 생성장치는 독자적인 장치로 구비되어 필요 시 살균수 생성장치를 정수기나 정수기 냉장고에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살균수 생성장치는 정수기 또는 정수기가 장착된 정수기 냉장고의 내부에 설치되어 필요시에 작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생성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살균수 생성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장치는 아우터 케이싱(110), 이너 케이싱(120), 전극(130), 스페이서(1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아우터 케이싱(110)은 살균수 생성장치의 외부 몸체를 형성한다.
아우터 케이싱(110)의 내측에는 상기 이너 케이싱(120)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아우터 케이싱(110)의 하측에는 입수구(113)가 형성되고, 아우터 케이싱(110)의 상측에는 출수구(114)가 형성된다. 상기 입수구(113)와 출수구(114)는 아우터 케이싱(110)의 서로 반대되는 측면에서 각각 관 형태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물공급용 호스가 입수구(113)와 출수구(114)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입수구(113) 및 출수구(114)의 직경은 물의 입수 및 출수 시 일정한 수압이 유지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수구(113)는 아우터 케이싱(1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입수구(113)를 통해 입수된 물이 아우터 케이싱(110)의 내측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출수구(114)는 아우터 케이싱(110)의 상측에 위치하여, 살균수는 출수구(114)를 통해 아우터 케이싱(110)의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
상기 입수구(113)에는 물공급용 호스가 연결되어, 수돗물 등이 입수구(113)를 통해 살균수 생성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출수구(114)에 연결호스의 일측이 연결되고, 연결호스의 타측이 정수기의 내부유로관 등에 연결되어, 살균수 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가 출수구(114)를 통해 연결호스를 거쳐 정수기의 내부유로 관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 내측으로 유입된 살균수는 별도의 출수배관을 통해, 싱크대 외측에 구비된 파우셋의 출수노즐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입수구(113)와 출수구(114)는 아우터 케이싱(110)의 반대되는 측면에서 각각 아우터 케이싱(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입수구(113) 및 출수구(114)가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살균수 생성장치는 입수구(113)가 중력방향으로 향하고 출수구(114)가 중력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입수구(113)가 아우터 케이싱(110)의 상측에 위치하면, 입수구(113)를 통해 입수된 물이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빠르게 유동하게 되고, 수돗물이 전극(130)과 충분히 반응하지 않고 배출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원하는 살균수 농도를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입수구(113)를 통해 입수된 물이 중력에 영향을 받아 전극(130)에 골고루 퍼지지 않고 입수구(113)로부터 중력방향으로 물과 전극(130) 간의 국부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므로 전극(130)과 물의 화학반응에 따른 살균수 생성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입수구(113)가 아우터 케이싱(110)의 하측에 형성되고, 출수구(114)가 아우터 케이싱(1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아우터 케이싱(110)의 내부에 장착된 이너 케이싱(120)의 유로부(126) 하측에서부터 유로부(126)를 따라 상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수위가 상승하면서 물과 전극(130)의 접촉면적이 확장됨으로써 전극(130)과 물의 화학반응에 따른 살균수 생성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우터 케이싱(110))이 수직하게 배치될 경우에 출수구(114)가 상방향으로 향하고 입수구(113)가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살균수 생성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반면, 아우터 케이싱(110)이 수평하게 배치될 경우 출수구(114)가 아우터 케이싱(110)의 오른쪽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입수구(113)가 아우터 케이싱(110)의 왼쪽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이때 출수구(114)가 아우터 케이싱(11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하여 입수구(113)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입수구(113)와 출수구(114)는 사출성형에 의해 아우터 케이싱(1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입수구(113)와 아우터 케이싱(110)의 연결부분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리브(113a)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113a)는 아우터 케이싱(110)의 일측면으로부터 입수구(113)의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출수구(114)와 아우터 케이싱(110)의 연결부분에도 강도 보강을 위해 복수의 리브(114a)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싱(110)은 아우터 케이싱(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등분 되도록 아우터 케이싱(110)의 외측 둘레방향(길이방향과 수직된 방향)을 따라 절단 가공되어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극(130)의 크기 및 구조의 특성상 전극(130)을 수용하는 아우터 케이싱(110)은 길이가 폭(길이와 수직한 방향)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된다.
아우터 케이싱(110)이 길이방향과 수직하는 둘레방향으로 이등분되도록 절단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만약, 아우터 케이싱(110)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이등분할 경우에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을 체결할 때,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의 체결부(115a,115b) 사이에 밀봉해야 할 길이가 더욱 길어지고, 밀봉 후에도 상기 체결부(115a,115b)로 수압이 집중되어 누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우터 케이싱(110)은 길이방향 대비 길이가 짧은 둘레방향으로 이등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수구(113)는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하부면에 구비되고, 출수구(114)는 제2아우터 케이싱(112)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 각각은 내부에 이너 케이싱(120)을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 각각의 일측은 서로 연통되도록 개방되며 그 일측 단부에 플랜지(flange) 형태로 형성된 체결부(115a,115b) 끼리 맞닿아 체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은 각각 체결부(115a,115b)를 구비하고, 체결부(115a,115b)를 통해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115a)는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상단에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115b)는 제2아우터 케이싱(112)의 하단에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 각각의 체결부(115a,115b)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체결될 수 있다.
제2아우터 케이싱(112)의 체결부(115b)에는 복수의 체결돌기부(116)가 둘레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체결돌기부(116)는 제2아우터 케이싱(112)의 체결부(115b) 외측면에서 아우터 케이싱(110)의 길이방향으로 원통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부(116)의 내부에는 스크류 등의 나사부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홈이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체결부(115a)에 복수의 체결홀이 둘레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홀과 복수의 체결돌기부(116)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스크류는 체결홀을 관통하여 체결돌기부(116)의 체결홈으로 삽입되어 나사 체결됨으로써,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체결부(115a)와 제2아우터 케이싱(112)의 체결부(115b) 사이에는 링(ring) 형태의 실링부재(118)가 설치되어,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의 체결부(115a,115b)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 각각은 외면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보강리브(117,117')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외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보강리브(117')는 복수의 횡방향보강리브(117a') 및 종방향보강리브(117b')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횡방향보강리브(117a')는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고, 복수의 횡방향보강리브(117a') 각각은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외측면에서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복수의 종방향보강리브(117b')는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되고, 복수의 종방향보강리브(117b') 각각은 복수의 횡방향보강리브(117a')를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며 복수의 횡방향보강리브(117a')와 연결된다.
제2아우터 케이싱(112)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보강리브(117)는 제1아우터 케이싱(111)의 보강리브(117)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복수의 보강리브(117,117')의 구성으로, 아우터 케이싱(110)의 내압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아우터 케이싱(111,112) 각각은 타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 각각은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 각각의 중공부는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 내부에 이너 케이싱(120), 두 개의 전극(130) 및 스페이서(14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이너 케이싱(120)은 아우터 케이싱(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너 케이싱(120)은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너 케이싱(120)은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용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은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하나의 용기를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이등분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은 좌우방향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은 타원의 장축(LONG AXIS) 선을 기준하여 양측으로 이등분 되도록 절단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싱(110)의 이등분 선은 이너 케이싱(120)의 절단선(121)과 수직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은 체결부(115a,115b)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서로 결합되고,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은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의 외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아우터 케이싱(111,112) 각각의 체결부(115a,115b)는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의 길이방향 절단선(12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서로 맞닿아 체결됨으로써, 수압이 이너 케이싱(120)에서 아우터 케이싱(110)으로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싱(120)은 유로부(126)를 포함한다.
유로부(126)는 이너 케이싱(12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유로부(126)는 제1 및 제2이너 케이싱(122,124) 각각의 내측에 직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유로부(126)의 내측에 평면형 유로홈(126a)이 각각 형성된다. 평면형 유로홈(126a)은 물이 유동할 수 있는 유로공간을 형성한다.
유로부(126)의 일측에 제1연통부(1261)가 형성되고, 유로부(126)의 타측에 제2연통부(1262)가 형성된다. 제1연통부(1261)와 제2연통부(1262)는 유로부(126)의 길이방향 중심선과 평행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연통부(1261,1262)는 유로부(126)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연통부(1261)는 입수구(113)와 연통되어, 물이 입수구(113) 및 제1연통부(1261)를 통해 전극(130)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연통부(1262)는 출수구(114)와 연통되어, 살균수가 제2연통부(1262)와 출수구(114)를 통해 아우터 케이싱(110)의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
제1 및 제2연통부(1261,1262) 각각은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케이싱(120)의 내부에는 두 개의 전극(130)이 두께방향으로 서로 오버랩(overlap)되게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전극(130) 사이에는 스페이서(140)가 삽입되어, 두 전극(130) 상호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두 개의 전극(130) 각각은 평면형 유로홈(126a)에 두께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게 수용된다. 각 전극(130)은 직사각형의 판(PLAT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전극(13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염소이온이 녹아 있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력을 갖는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한다.
또한, 두 개의 전극(130)은 고체고분자 전해질막을 중심으로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수중에서 전기분해 반응을 유도하여 고농도의 오존을 생성함에 따라 강력한 살균력을 가진 오존이 혼합된 살균수를 생성할 수도 있다.
두 개의 전극(130) 각각에 전원입력부(131)가 구비되어, 외부에서 전원(전류)이 전원입력부(131)를 통해 전극(130)으로 인가될 수 있다. 전원입력부(131) 각각은 각 전극바디의 일측에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이너 케이싱(120)과 아우터 케이싱(110)의 상부면을 각각 관통하여 아우터 케이싱(110)의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전원입력부(131) 각각은 전극(130)의 가로방향(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평면형 유로홈(126a)에 복수의 돌기(126b)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126b)는 평면형 유로홈(126a)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126b)는 전극(130)의 일면을 지지하여, 평면형 유로홈(126a)에 전극(130)이 수용될 때 전극(130)과 평면형 유로홈(126a)이 두께방향으로 상호 간의 간극을 두고 이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평면형 유로홈(126a)과 전극(130)의 간극으로 물이 유입되어, 물과 전극(130)의 접촉면적을 확장시켜 전극(130)과 물의 화학반응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전극 사이에 스페이서가 배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일부영역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9은 도 7에 도시된 스페이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두 개의 전극(130) 사이에 스페이서(140)가 삽입되고, 스페이서(140)는 두 개의 전극(130)을 두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스페이서(140)는, 상기 유로부(126)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유로부(126)의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배치되는 수직부(141)와, 상기 수직부(141)의 양측 단부(141a)를 각각 연결하는 수평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140)는 대체적으로, '口'자 또는 '日'자 또는 '目'자 형과 같이, 사각형상의 테두리를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테두리의 양측단부를 리브로 연결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141)의 두께와 상기 수평부(142)의 두께는 상이하게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수직부(141)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평부(142)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141)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평부(142)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수직부(141) 또는 수평부(142)는 그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수직부(141) 또는 수평부(142)는 상기 전극(130)과 면접촉 하면서, 전극(130) 사이를 이격시키는 부분은 두껍게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부(141)는 상기 수평부(142)와 연결되지 않은 중심부(141b)의 두께가, 상기 수평부(142)와 연결된 양측 단부(141a)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142)의 두께는, 상기 수평부(142)와 연결된 수직부(141)의 양측 단부(141a)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142)와 연결되지 않은 수직부(141)의 중심부(141b) 두께는 상기 수평부(142)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141)는 상기 중심부(141b)와 양측단부(141a) 사이에, 중심부(141b) 측으로 그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경사부(14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직부(141) 또는 수평부(142)의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되거나, 요철을 형성하면, 전극(130) 사이가 스페이서(140)에 의해 이격됨과 동시에, 전극(130)과 스페이서(140) 사이에 물의 유동공간(S, 도 6 참조)이 확보되면서, 물의 유동성이 개선될 수 있다. 나아가 유동성이 개선되면서, 스케일 생성이 최대한 방지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수직부(141) 또는 수평부(142)는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요철(凹凸)을 구비하거나 절곡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부(142) 또는 상기 수직부(141)의 양측 단부(141a)에는, 상기 유로부(126)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중심 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수직홈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전극(130) 사이의 전기분해 표면적을 넓힐 수 있어, 차아염소산 생성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차아염소산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부(141) 사이에는, 상기 입수구(113) 및 출수구(114)와 각각 연통하는 연통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143)는 상기 수직부(141)의 양측단부(141a)를 연결하는 수평부(14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142)는 상기 수직부(141)의 양측단부(141a) 대비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부(141)의 양측단부(141a) 사이에는 두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연통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연통부(143)는 아우터 케이싱(110)의 입수구(113) 및 출수구(114)와 각각 연통되게 형성되어, 물이 스페이서(140)의 내측으로 유입되거나, 스페이서(140)의 외측으로 토출될 때 스페이서(140)에 의한 유로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유로부(126)는 평면형태로 형성되어, 물의 유동방향을 따라 일정한 유동단면적을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유로부(126)를 따라 흐르는 물의 살균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전극(130)에 인가되는 입력 전류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입수구(113)를 통해 입수되는 물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 생성장치에서, 살균수가 생성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수돗물은 물공급원으로부터 아우터 케이싱(110)의 입수구(113)를 통해 이너 케이싱(120)의 유로부(126)로 공급된다. 수돗물은 유로부(126)의 제1연통부(1261)를 통해 상기 유로부(126)의 내부에 유입되고, 제1연통부(1261)와 연통된 스페이서(140)의 연통부(143)를 경유하여 유로부(126) 내부에 수용된 두 전극(130) 사이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제1연통부(1261)를 통해 유입된 수돗물은 전극(130)과 평면형 유로홈(126a) 사이의 간극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로부(126) 내부에 유입된 수돗물은 아우터 케이싱(110)의 하부에 위치한 입수구(113)에서 상부에 위치한 출수구(114)를 향해 점차적으로 상승한다. 이때, 전극(130)에 전원이 인가되면 수돗물과 전극(130)의 화학반응에 의해 살균수가 생성된다.
살균수는 유로부(126)를 따라 이동하여 아우터 케이싱(110)의 출수구(114)를 통해 출수될 수 있다.
이때, 이너 케이싱(120)의 유로부(126)는 내부에 평면형 유로홈(126a)을 구비하여 물의 유동방향에 따라 유동단면적이 일정하므로, 유로부(126)를 따라 흐르는 물의 유동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일정한 농도의 살균수를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40)의 적어도 일부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전극(130)과 이격되면서, 물의 유동공간이 확보될 수 있고, 물의 유동성이 개선될 수 있다. 나아가 유동성이 개선되면서, 스케일 생성이 최대한 방지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입수구 및 출수구를 구비하는 아우터 케이싱;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입수구 및 출수구와 연통되며 내부에 물의 유동을 위한 유로부를 형성하는 이너 케이싱;
    상기 이너 케이싱의 유로부에 수용되고, 상기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두 개의 전극; 및
    상기 두 개의 전극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전극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유로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유로부의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배치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의 두께와 상기 수평부의 두께는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는,
    상기 수평부와 연결되지 않은 중심부의 두께가, 상기 수평부와 연결된 양측 단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의 두께는, 상기 수평부와 연결된 수직부의 양측 단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와 연결되지 않은 수직부의 중심부 두께는 상기 수평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는 상기 중심부와 양측단부 사이에, 중심부 측으로 그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 사이에는, 상기 입수구 및 출수구와 각각 연통하는 연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 또는 상기 수직부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유로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중심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수직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싱과 이너 케이싱은 각각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싱은 상기 이너 케이싱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와 출수구는,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의 입수방향과 상기 출수구의 출수방향은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싱은 수평방향으로 절단되어 상하방향으로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아우터 케이싱 및 제2 아우터 케이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싱은 길이방향으로 절단되어, 좌우 방향으로 상호 간극을 두고 분리 가능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이너 케이싱 및 제2이너 케이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너 케이싱 및 제2이너 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이너 케이싱은 테두리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의 이너 케이싱은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결합되어 이너 케이싱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우터 케이싱 및 제2아우터 케이싱의 체결부 각각은, 상기 이너 케이싱의 길이방향 절단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전극을 감싸며 상기 물의 유동방향을 따라 유로단면적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평면형 유로홈;
    상기 평면형 유로홈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입수구와 연통되는 제1연통부; 및
    상기 평면형 유로홈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출수구와 연통되는 제2연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형 유로홈에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평면형 유로홈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전극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수 생성장치.








KR1020180016170A 2018-02-09 2018-02-09 살균수 생성장치 KR20190096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170A KR20190096567A (ko) 2018-02-09 2018-02-09 살균수 생성장치
PCT/KR2019/000276 WO2019156368A1 (en) 2018-02-09 2019-01-08 Sterilizing water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170A KR20190096567A (ko) 2018-02-09 2018-02-09 살균수 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567A true KR20190096567A (ko) 2019-08-20

Family

ID=6754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170A KR20190096567A (ko) 2018-02-09 2018-02-09 살균수 생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96567A (ko)
WO (1) WO201915636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266B1 (ko) 2011-03-24 2015-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전해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9581A (ja) * 1997-05-09 1998-11-24 Sanyo Electric Co Ltd イオン水生成装置の電解槽
JP3808838B2 (ja) * 2003-03-13 2006-08-16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電解セル
EE05607B1 (et) * 2010-09-09 2012-12-17 Ilt�enko Valeri Meetod ja elektrolser desinfitseeriva vahendi saamiseks
EP3012232A1 (en) * 2014-10-22 2016-04-27 Pooltronix SARL Electrolysis device for a monitoring and treating system for a swimming pool
KR101803875B1 (ko) * 2016-08-01 201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살균수 생성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266B1 (ko) 2011-03-24 2015-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전해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56368A1 (en) 2019-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23781B (zh) 用于生产无菌水的单元、包括所述单元的筒以及包括所述筒的洗衣机
KR100964878B1 (ko) 수냉식 열교환기를 구비한 고효율의 비격막식 차아염소산나트륨발생장치
JP4856530B2 (ja) 電解水の有効塩素濃度調節方法、電解水のpH調節方法および電解水生成装置。
US20170145571A1 (en) Electrolysis device
US20220251719A1 (en) Ozone electrolysis cell and ozone electrolysis cell application module
KR101027538B1 (ko) 살균 전해수 제조 장치, 이를 포함하는 살균 전해수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101198630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제조용 전해조의 전극판 지지구조
KR101332608B1 (ko)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JP4904367B2 (ja) 4つのチャンバを有する膜電解反応器システム
JPWO2016043109A1 (ja) 電解装置および電極
US20130146474A1 (en) Mesh electrode electrolysis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anitizing solution
CN107673446B (zh) 灭菌水产生装置
JP2024027150A (ja) 生成装置
KR20190096567A (ko) 살균수 생성장치
KR102007787B1 (ko)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
JP4056623B2 (ja) 電解中性水生成機の電解槽
KR20160038087A (ko) 전해수 제조 장치
JPH0699174A (ja) 殺菌水製造用電解反応ユニット
KR101054266B1 (ko) 살균 전해수 제조 장치, 이를 포함하는 살균 전해수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29080A (ko) 차아염소산나트륨 제조용 전해조의 전극판 지지부재
KR20030093171A (ko)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전기분해장치
CN215050735U (zh) 一种紧凑型折叠式次氯酸钠发生器电解槽
CN214789262U (zh) 水龙头
KR20180062895A (ko) 전해장치의 전극판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장치
JP7467519B2 (ja) 電解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