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787B1 -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787B1
KR102007787B1 KR1020170163551A KR20170163551A KR102007787B1 KR 102007787 B1 KR102007787 B1 KR 102007787B1 KR 1020170163551 A KR1020170163551 A KR 1020170163551A KR 20170163551 A KR20170163551 A KR 20170163551A KR 102007787 B1 KR102007787 B1 KR 102007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ctrode
hydrogen
hydrogen wat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185A (ko
Inventor
조자룡
임동표
임경준
Original Assignee
조자룡
주식회사 엠비지
임동표
임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자룡, 주식회사 엠비지, 임동표, 임경준 filed Critical 조자룡
Priority to KR1020170163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78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65Special power supply, e.g. solar energy or batt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bott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수병 제조사별 물배출구의 크기에 맞게 규격화된 링형 혹은 볼트형을 가지고 있는 생수병커넥터를 제공하며, 전극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수소수 생성시 발생되는 산소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멤브레인필터 전체가 물에 잠기도록 하여 알칼리 수소수 생성 및 오존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하며, 하부몸체부로부터 수소수생성부가 포함된 연결프레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세척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며, 유브이엘이디부를 구성하여 미생물의 살균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smart Water generation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수병 제조사별 물배출구의 크기에 맞게 규격화된 링형 혹은 볼트형을 가지고 있는 생수병커넥터를 제공하며, 전극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수소수 생성시 발생되는 산소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멤브레인필터 전체가 물에 잠기도록 하여 알칼리 수소수 생성 및 오존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하며, 하부몸체부로부터 수소수생성부가 포함된 연결프레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세척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며, 유브이엘이디부를 구성하여 미생물의 살균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소가 용존된 물을 수소수라고 하며, 일반적으로는 상온에서 수소가 0.2ppm 내지 1.6ppm 정도 함유된 물을 수소수라고 한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휴대형 수소수 생성장치는 무격막 전해조에서 백금전극이나 백금족 원소가 코팅된 전극을 사용하여 물을 전해하여, 음극측에서 수소를 발생시켜 수소가 함유된 물, 즉 수소수를 생성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수도수, 지하수 등의 물에는 물 이외에도 미량의 염분(NaCl)이 이온형태(Na+, Cl-)로 존재하며, 이러한 염분이 존재하는 물을 전해하면, 양극측에서 염소이온(Cl-)이 산화하여 염소(Cl2(g))가 발생되고, 수돗물 소독에 사용되는 염소소독제 성분인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과 같은 수소 이외의 물질이 생성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이 생성되는 반응은 아래와 같다.
양극반응
2Cl- → Cl2 + 2e
2H2O → 4H+ + O2 + 4e
음극반응
2H2O + 2e → 2OH- + H2
Na+ + OH- → NaOH
전체반응
NaOH + Cl2 → NaOCl + NaCl + H2O
또한,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 염분이 없는 물을 전해하여 수소수를 생성할 경우, 양극측에서 오존(O3)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 전기분해 반응은 아래와 같다.
양극반응
2H2O → 4H+ + O2 + 4e
음극반응
2H2O +2e → 2OH- + H2
전체 반응
2H2O → 2H2 + O2
한편, 물 전기분해를 위한 이론전압은 1.23V 이나 실제적으로 물을 전기분해하기 위해서는 전극간 거리, 전해액과 같은 여러 조건에 의해 이론전압보다 높은 전압(과전압)이 필요하다.
2H2O → 4H+ + O2 + 4e (E0 = 1.23V)
백금전극에 과전압을 인가할 경우 오존이 발생되며 이때의 반응은 아래와 같다.
3H2O → 6H+ + O3 + 6e (E0 = 1.51V)
결과적으로 수소 이외에 오존이 함유된 물이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수소수를 생성함에 있어 상기와 같은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및 오존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염소, 및 휘발성 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활성탄 필터를 구비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한국공개특허제2013-0073831호 ‘수소수 제조 장치’에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필터 장착을 위하여 별도의 구조를 적용하여야 하며,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환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필터에 세균이 번식하여 위생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실정이다.
또한, 비극성기체인 수소가 물에 잘 녹지 않아 수소 용존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수소수 발생기의 음극에서는 수소가 발생하고 양극에서 염소와 오존의 배출에 있어서 음극과 양극 사이에 수용성 고분자 전해질 물질을 삽입하여 음극 상단에 위치한 물을 수소수로 변환 시키고자 하나 이러한 상기 모듈에서 상부의 물이 누수되어 하부의 회로 기판 및 배터리 등에 침수 등의 영향을 피하고자 상기 모듈 하단에 구조물로 밀착시키고 측면에 구멍을 배치하여 오존과 염소를 배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밀착과 밀착된 부위 측면에 구멍을 배치하여 오존과 염소를 배출하는 방식은 실제 제품에 있어서 적절히 오존을 배출하지 못하고 양극에서 생성된 오존이 압착된 상기 모듈의 수용성 고분자 전해질과 상단의 음극판의 측면을 통해서 상부의 물로 배출되어 오존이 포함된 수소수가 생성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수소수는 오존등이 포함되어 오히려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수소수 생성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73831호 수소수 제조 장치(2013.07.03) 한국등록특허 제10-1604804호 수소수 생성 장치(2016.03.1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수병 제조사별 물배출구의 크기에 맞게 규격화된 링형 혹은 볼트형을 가지고 있는 생수병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극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수소수 생성시 발생되는 산소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멤브레인필터 전체가 물에 잠기도록 하여 알칼리 수소수 생성 및 오존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몸체부로부터 수소수생성부가 포함된 연결프레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세척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브이엘이디부를 구성하여 미생물의 살균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물을 투입할 수 있고, 상측은 덮개부와 결합되며, 하측은 수소수생성부에 결합된 연결프레임에 결합되는 물보관부(100)와,
상기 물보관부의 상부에 체결 또는 분리되는 덮개부(200)와,
상측에 물보관부의 하측이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310);와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어느 일측에 수소수 제조시 발생된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산소배출구(321);와 공급되는 물을 수소수생성부로 제공하기 위한 물주입구(3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평부(320);와
상기 수평부의 하측 측면에 형성되어 하부몸체부(500)와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결프레임(300)과,
상기 연결프레임 내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전극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물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물을 전기 분해하는 수소수생성부(400)와,
일측에 연결프레임이 형성된 탈부착부(330)와 돌려 결합하도록 측면에 탈부착부(510)를 형성하고 있으며, 내부에 배터리부(520)를 포함하고 있는 하부몸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의 전해방법에 의해 발생한 수소를 원수 중에 용해시켜 수소수를 제조하는 수소수 생성장치는,
상측에 물보관부의 하측이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310);와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어느 일측에 수소수 제조시 발생된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산소배출구(321);와 공급되는 물을 수소수생성부로 제공하기 위한 물주입구(3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평부(320);와
상기 수평부의 하측 측면에 형성되어 하부몸체부(500)와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결프레임(300)과,
상기 연결프레임 내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전극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물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물을 전기 분해하는 수소수생성부(400)와,
일측에 연결프레임이 형성된 탈부착부(330)와 돌려 결합하도록 측면에 탈부착부(510)를 형성하고 있으며, 내부에 배터리부(520)를 포함하고 있는 하부몸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연결프레임(300)에 형성된 탈부착부(330)와 하부몸체부(500)에 형성된 탈부착부(510) 간의 결합을 돌려서 해제시킴으로써, 하부몸체부로부터 수소수생성부(400)가 포함된 연결프레임(300)의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는,
생수병 제조사별 물배출구의 크기에 맞게 규격화된 링형 혹은 볼트형을 가지고 있는 생수병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생수별 물배출구의 크기와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전극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수소수 생성시 발생되는 산소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테두리를 따라 산소가 새어 수소(H)와 결합되어 수소 용존량을 떨어뜨리는 단점을 해결하게 된다.
또한, 멤브레인필터 전체가 물에 잠기도록 하여 알칼리 수소수 생성 및 오존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하부몸체부로부터 수소수생성부가 포함된 연결프레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세척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수소수 생성장치를 다시 구매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브이엘이디부를 구성하여 미생물의 살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수소수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에 생수통을 안착시켜 물을 투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의 연결프레임과 생수병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의 연결프레임과 하부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의 수소수생성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의 수소수생성부의 전원공급모듈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의 수소수생성부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다른 각도에 본 단면도이며, 도 11은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는, 크게 물보관부(100)와, 덮개부(200)와, 연결프레임(300)과, 수소수생성부(400)와, 하부몸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물보관부(10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물을 투입할 수 있는 원통형상으로 가지고 있다.
이때, 상측은 상측은 덮개부와 결합되며, 하측은 수소수생성부에 결합된 연결프레임에 결합되는 방식이다.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물보관부의 상부에 체결 또는 분리되는데, 사용시에는 덮개부를 분리하여 물을 투입하게 되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체결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보관부와 덮개부 간의 결합은 나사산과 나사홈을 각각 구성하여 서로 돌려 결합하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며, 탈부착이 가능한 어떠한 방식이라도 상관없다.
그리고, 연결프레임(300)과 연결프레임의 내부에 수소수생성부(400)를 구성하게 되며, 하부몸체부(500)와 연결프레임 간에 서로 돌려 결합하는 방식을 채택하게 된다.
상기한 연결프레임(300)과 수소수생성부(400) 및 하부몸체부(500)의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에 생수통을 안착시켜 물을 투입하는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는 물보관부 없이 생수병을 이용한 수소수 생성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즉, 연결프레임(300)과, 연결프레임 내부에 형성되는 수소수생성부(400) 및 하부몸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연결프레임(300)과 수소수생성부(400) 및 하부몸체부(500)의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의 연결프레임과 생수병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의 연결프레임과 하부몸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300)은 상측에 물보관부의 하측이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310);와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어느 일측에 수소수 제조시 발생된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산소배출구(321);와 공급되는 물을 수소수생성부로 제공하기 위한 물주입구(3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평부(320);와
상기 수평부의 하측 측면에 형성되어 하부몸체부(500)와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결합부(310)는 연결프레임(300)의 상측에 물보관부의 하측이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되게 되는데, 내부에는 물보관부의 하측과 체결되기 위하여 나사산 혹은 나사홈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320)는 상기 결합부(310)의 하단에 연이어 수평하게 형성되게 된다.
이때, 수평부의 어느 일측에 수소수 제조시 발생된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산소배출구(321)를 구성하게 되며, 타측에 공급되는 물을 수소수생성부(400)로 제공하기 위한 물주입구(322)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부의 하측 측면에는 하부몸체부(500)와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부(330)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하부몸체부(500)는 일측에 연결프레임이 형성된 탈부착부(330)와 돌려 결합하도록 측면에 탈부착부(510)를 형성하고 있으며, 내부에 배터리부(520)를 포함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연결프레임의 탈부착부(330)와 하부몸체부의 탈부착부(510)에 의해 돌려서 서로 탈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부(310)의 내측에는 나사홈을 형성하고 있으면, 상기 나사홈에 생수병 제조사별 물배출구의 크기에 맞게 규격화된 링형 혹은 볼트형을 가지고 있는 생수병커넥터(350a, 350b, 350c)를 돌려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별도의 생수병커넥터를 결합부(310)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홈에 돌려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생수병커넥터는,
내측에 생수병의 물배출구에 형성된 나사산과 돌려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홈을 구성하고 있게 된다.
이때, 링형(350a)일 경우에는 외측에 나사산을 구성하여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나사홈에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링형의 내측에도 마찬가지로 나사산을 구성하게 될 경우에 생수통에 물배출구에 형성된 나사홈에 돌려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링형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대한민국에서 제조되는 생수통의 배출구 사이즈에 맞는 방식이다.
한편, 볼트형(350b, 350c)일 경우에는 수직부에 나사산을 구성하여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나사홈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볼트형 내측에도 마찬가지로 나사산을 구성하게 될 경우에 생수통에 물배출구에 형성된 나사홈에 돌려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볼트형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외국 특히 미국에서 제조되는 생수통의 배출구 사이즈에 맞는 방식이다.
즉, 생수병 제조사별 물배출구의 크기에 맞게 규격화된 링형 혹은 볼트형을 가지고 있는 생수병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생수별 물배출구의 크기와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의 수소수생성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의 수소수생성부의 전원공급모듈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의 수소수생성부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다른 각도에 본 단면도이며, 도 11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소수생성부(400)는, 전원공급모듈(420);과 물유출방지모듈(430);과 전극부보호판(440);과 전극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공급모듈(42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전원공급라인(421)을 구성하여 배터리부(520)를 통해 전원을 전원공급라인으로 제공받게 된다.
즉, 원형의 전원공급라인을 일정 간격으로 떨어지게 4개 라인(1,2,3,4)을 형성하게 되며, 전원공급라인에 전선을 연결하게 되며, 전선이 끝단을 양측에 형성된 티타늄봉(422)에 연결시켜 티타늄봉을 통해 전원을 전극부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또한, 전원공급모듈에는 피시비보드를 구성하여 피시비보드에 유브이엘이디부(425)를 설치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피시비보드에는 CPU를 구성함으로써, 전원 공급 제어 및 수소수생성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유출방지모듈(430)은 전원공급모듈의 상측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물이 하측에 형성된 전원공급모듈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측에 경사부(431)를 형성하고 있게 된다.
상기 경사부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여기에 안착되는 전극부보호판(440)도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어느 일측에 끝단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경사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끝단에 수직으로 수직부를 형성하였는데, 수직부의 내부에는 엘이디를 구성함으로써, 동작시 점등되고, 동작되지 않을 경우에는 점등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동작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부보호판(440)은 상기 물유출방지모듈의 상측에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극부의 하측을 결합하기 위한 전극부하단보호모듈(441)과 상기 전극부하단보호모듈에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이 전극부상단보호모듈에 결합되는 전극부(450) 및 전극부의 상측을 결합하기 위한 전극부상단보호모듈(442)을 구성하고 있게 된다.
또한, 경사부(431)에 일측이 경사지게 결합되어 전극부가 경사지게 구성되도록 하는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부보호판의 일측이 타측보다 더 높게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산소배출하는 부위를 더 높게 하여 산소가 경사라인을 타고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산소는 위로 상승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경사라인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요약하면, 상기 전극부(450)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수소수 제조시 발생된 산소를 산소배출구(321)로 배출시 경사면을 따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는 경사각을 주지 않으면 테두리로 산소가 새버리게 되어 상측의 수소와 결합하여 수소 용존량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각을 주게 된 것이다.
종래의 수소수 생성장치는 모두 수평면에서 산소를 배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산소가 테두리로 새버리게 되어 수소 용존량이 상당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경사각을 가지는 구조를 개발하게 된 것이다.
한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부(450)는 양전극과 음전극으로 구성되게 되는데, 전극부보호판 내부 하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양전극(451)과 상기 전극부보호판 내부 상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음전극(452) 및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멤브레인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생수병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물유출방지모듈(430)까지 유입됨으로써, 멤브레인필터가 잠기게 되어 알칼리 수소수가 생성되고, 오존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은 물유출방지모듈(430)의 상면에서부터 채워지게 되므로 전극부 사이에 있는 멤브레인필터가 자연스럽게 잠기게 된다.
종래 기술들의 경우에는 멤브레인필터의 상단만 잠기게 되므로 오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멤브레인필터를 완전하게 물에 잠기게 하면 알칼리 수소수가 생성되게 되며, 염소가 물에 녹게 되며, 미산성 염소산수가 된다.
따라서, 오존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원리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04804호인 수소수 생성장치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모듈(420)은,
어느 한 부위에 유브이엘이디부(425)를 형성하고 있으며, 전원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됨으로써, 살균 작용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동작할 경우에 유브이엘이디부도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살균 작용을 실시하는 것이다.
상기 피시비보드에 형성된 CPU의 점등 제어에 따라 동작시 동작 신호를 획득하여 유브이엘이디부가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연결프레임(300)에 형성된 탈부착부(330)와 하부몸체부(500)에 형성된 탈부착부(510) 간의 결합을 돌려서 해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하부몸체부로부터 수소수생성부(400)가 포함된 연결프레임(300)의 세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의 수소수 생성장치들은 수소수 발생부가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전극부를 세척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고가의 수소수 생성장치를 재 사용할 수 없어 일정 시간 경과 후 버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탈부착 방식을 도입한 것이다.
이를 통해, 일정 시간 경과 후, 하부몸체부로부터 수소수생성부(400)가 포함된 연결프레임(300)을 분리하여 이를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생수병 제조사별 물배출구의 크기에 맞게 규격화된 링형 혹은 볼트형을 가지고 있는 생수병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생수별 물배출구의 크기와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전극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수소수 생성시 발생되는 산소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테두리를 따라 산소가 새어 수소(H)와 결합되어 수소 용존량을 떨어뜨리는 단점을 해결하게 된다.
또한, 멤브레인필터 전체가 물에 잠기도록 하여 알칼리 수소수 생성 및 오존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하부몸체부로부터 수소수생성부가 포함된 연결프레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세척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수소수 생성장치를 다시 구매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브이엘이디부를 구성하여 미생물의 살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수소수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물보관부
200 : 덮개부
300 : 연결프레임
400 : 수소수생성부
500 : 하부몸체부

Claims (5)

  1. 물의 전해방법에 의해 발생한 수소를 원수 중에 용해시켜 수소수를 제조하는 수소수 생성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물을 투입할 수 있고, 상측은 덮개부와 결합되며, 하측은 수소수생성부에 결합된 연결프레임에 결합되는 물보관부(100)와,
    상기 물보관부의 상부에 체결 또는 분리되는 덮개부(200)와,
    상측에 물보관부의 하측이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310);와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어느 일측에 수소수 제조시 발생된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산소배출구(321);와 공급되는 물을 수소수생성부로 제공하기 위한 물주입구(3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평부(320);와
    상기 수평부의 하측 측면에 형성되어 하부몸체부(500)와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결프레임(300)과,
    상기 연결프레임 내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전극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물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물을 전기 분해하는 수소수생성부(400)와,
    일측에 연결프레임이 형성된 탈부착부(330)와 돌려 결합하도록 측면에 탈부착부(510)를 형성하고 있으며, 내부에 배터리부(520)를 포함하고 있는 하부몸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소수생성부(400)는,
    일정간격으로 전원공급라인(421)을 구성하여 배터리부(520)를 통해 전원을 전원공급라인으로 제공받아 양측에 형성된 티타늄봉(422)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극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420);과
    상기 전원공급모듈의 상측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물이 하측에 형성된 전원공급모듈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측에 경사부(431)를 형성하고 있는 물유출방지모듈(430);과
    상기 물유출방지모듈의 상측에 형성되며, 전극부의 하측을 결합하기 위한 전극부하단보호모듈(441)과 상기 전극부하단보호모듈에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이 전극부상단보호모듈에 결합되는 전극부(450) 및 전극부의 상측을 결합하기 위한 전극부상단보호모듈(442)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경사부(431)에 일측이 경사지게 결합되어 전극부가 경사지게 구성되도록 하는 전극부보호판(440);과
    상기 전극부보호판 내부 하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양전극(451)과 상기 전극부보호판 내부 상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음전극(452) 및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멤브레인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극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
  2. 물의 전해방법에 의해 발생한 수소를 원수 중에 용해시켜 수소수를 제조하는 수소수 생성장치에 있어서,
    상측에 물보관부의 하측이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310);와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어느 일측에 수소수 제조시 발생된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산소배출구(321);와 공급되는 물을 수소수생성부로 제공하기 위한 물주입구(3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평부(320);와
    상기 수평부의 하측 측면에 형성되어 하부몸체부(500)와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결프레임(300)과,
    상기 연결프레임 내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전극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물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물을 전기 분해하는 수소수생성부(400)와,
    일측에 연결프레임이 형성된 탈부착부(330)와 돌려 결합하도록 측면에 탈부착부(510)를 형성하고 있으며, 내부에 배터리부(520)를 포함하고 있는 하부몸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소수생성부(400)는,
    일정간격으로 전원공급라인(421)을 구성하여 배터리부(520)를 통해 전원을 전원공급라인으로 제공받아 양측에 형성된 티타늄봉(422)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극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420);과
    상기 전원공급모듈의 상측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물이 하측에 형성된 전원공급모듈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측에 경사부(431)를 형성하고 있는 물유출방지모듈(430);과
    상기 물유출방지모듈의 상측에 형성되며, 전극부의 하측을 결합하기 위한 전극부하단보호모듈(441)과 상기 전극부하단보호모듈에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이 전극부상단보호모듈에 결합되는 전극부(450) 및 전극부의 상측을 결합하기 위한 전극부상단보호모듈(442)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경사부(431)에 일측이 경사지게 결합되어 전극부가 경사지게 구성되도록 하는 전극부보호판(440);과
    상기 전극부보호판 내부 하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양전극(451)과 상기 전극부보호판 내부 상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음전극(452) 및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멤브레인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극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10)의 내측에는 나사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나사홈에 생수병 제조사별 물배출구의 크기에 맞게 규격화된 링형 혹은 볼트형을 가지고 있는 생수병커넥터(350a, 350b, 350c)를 돌려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생수병커넥터는,
    내측에 생수병의 물배출구에 형성된 나사산과 돌려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홈을 구성하고,
    링형일 경우에는 외측에 나사산을 구성하여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나사홈에 결합되며,
    볼트형일 경우에는 수직부에 나사산을 구성하여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나사홈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450)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수소수 제조시 발생된 산소를 산소배출구(321)로 배출시 경사면을 따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공급되는 물이 상기 물유출방지모듈(430)까지 유입됨으로써, 멤브레인필터가 잠기게 되어 알칼리 수소수가 생성되고, 오존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원공급모듈(420)은,
    어느 한 부위에 유브이엘이디부(425)를 형성하고 있으며, 전원공급라인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됨으로써, 살균 작용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
KR1020170163551A 2017-11-30 2017-11-30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 KR102007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551A KR102007787B1 (ko) 2017-11-30 2017-11-30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551A KR102007787B1 (ko) 2017-11-30 2017-11-30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185A KR20190064185A (ko) 2019-06-10
KR102007787B1 true KR102007787B1 (ko) 2019-08-07

Family

ID=6684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551A KR102007787B1 (ko) 2017-11-30 2017-11-30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7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6345B (zh) * 2019-09-27 2024-03-29 刘仁秋 一种便于移动的氢矿泉水壶
US20220081327A1 (en) * 2020-09-15 2022-03-17 Roving Blue, Inc. Water treatment through ozone generated from an invertible ozonation cap attachable to a vesse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463B1 (ko) 2011-12-23 2013-10-23 주식회사 아루이 수소수 제조 장치
KR101671931B1 (ko) * 2014-06-13 2016-11-03 구본민 산소수 및 수소수 생성장치
KR101604804B1 (ko) 2015-08-21 2016-03-18 (주)시온텍 수소수 생성장치
KR101972893B1 (ko) * 2016-04-08 2019-04-26 주식회사 에스이씨오 수소발생기를 구비한 휴대용 물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185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23781B (zh) 用于生产无菌水的单元、包括所述单元的筒以及包括所述筒的洗衣机
KR101604804B1 (ko) 수소수 생성장치
KR101746077B1 (ko) 수소수 제조용 수소 발생 유니트
CN102372341B (zh) 电解离子水生成装置
KR100634760B1 (ko) 과전위전극 전해셀을 이용한 살균산화수 제조장치
KR102007787B1 (ko)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
KR200425130Y1 (ko) 거치형 전해소독수생성장치
KR101027538B1 (ko) 살균 전해수 제조 장치, 이를 포함하는 살균 전해수 제조 시스템 및 방법
CN113646268A (zh) 氯消毒水生成装置
KR101679790B1 (ko) 정수기용 항균 및 수소수 생성장치
KR101755309B1 (ko) 간이형 수소수 제공장치
KR101741043B1 (ko)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
KR101390651B1 (ko) 메쉬전극을 포함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20150092822A (ko) 수소수 제조를 위한 수소 발생 유니트
KR100754274B1 (ko) 사이클론형 전기분해용 전해조
KR101606805B1 (ko) 누수방지용 캡을 가진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CN210341086U (zh) 一种具有储垢功能的次氯酸钠发生器电解槽
KR101519565B1 (ko) 수소수 제조를 위한 용존기
KR101313698B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KR20140132819A (ko) 전극 교체형 전해수 제조장치
KR101054266B1 (ko) 살균 전해수 제조 장치, 이를 포함하는 살균 전해수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200309987Y1 (ko) 전기분해장치
KR101010330B1 (ko) 이온수 제조용 전기분해장치
JP2003088737A (ja) オゾン水製造装置
KR102406460B1 (ko) 단자 어셈블리를 가지는 휴대용 전해 소독수 생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