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043B1 -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043B1
KR101741043B1 KR1020150051541A KR20150051541A KR101741043B1 KR 101741043 B1 KR101741043 B1 KR 101741043B1 KR 1020150051541 A KR1020150051541 A KR 1020150051541A KR 20150051541 A KR20150051541 A KR 20150051541A KR 101741043 B1 KR101741043 B1 KR 101741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ydrogen
outlet
inlet
gener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2289A (ko
Inventor
김서곤
이말수
허현
임동수
한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Priority to KR1020150051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043B1/ko
Publication of KR20160122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01F3/04099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B01F2003/0491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수의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업소의 수도관과 직결된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하여 정수하는 필터와, 필터에 의하여 정수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수소를 물에 용해시켜 수소수를 생성하는 수소발생유니트와, 수소 용존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소발생유니트에 의하여 생성된 수소수를 유입하여 상기 수소발생유니트로 재순환시키는 펌프와, 상기 수소발생유니트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배출하는 토수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Direct type providing apparatus for hydrogen water}
본 발명은 수소수의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업소의 수도관과 직결된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하여 정수하는 필터와, 필터에 의하여 정수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수소를 물에 용해시켜 수소수를 생성하는 수소발생유니트와, 수소 용존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소발생유니트에 의하여 생성된 수소수를 유입하여 상기 수소발생유니트로 재순환시키는 펌프와, 상기 수소발생유니트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배출하는 토수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소수란 높은 용존량으로 수소가 용해된 물을 가리킨다.
이러한 수소수는 용존된 수소가 활성산소인 하이드록실 래디칼(hydroxyl radical)을 제거하는 항산화작용을 함으로써 노화를 방지하고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 암, 치매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며, 피부미용, 다이어트, 피로회복, 성기능 개선, 운동능력 향상, 면역력 강화, 숙취 해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수소수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로서 종래 공지된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1-39647 호의 전해수소수 생성장치, 대한민국특허제 1076631 호의 수소수 제조장치, 대한민국특허 제 995713 호의 전기분해용 전극조립체, 이를 구비한 산소수소발생기 및 이를 구비한 수소수제조장치, 대한민국 특허 제 1250470 호의 용존 수소수 제조장치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지기술들은 생성된 전체적으로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대용량이기 때문에 설치 장소에 따라서 설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어 일반 가정용 또는 업소용으로 사용하기에 다소 부적합한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는 비교적 단순하고 소형화된 구조로 이루어져 가정용 및 업소용으로 사용함에 적합하고, 나아가, 수소수를 수용하는 물통을 구비하지 않고 수도관에 직결되어 공급받는 물을 바로 수소수로 변환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한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의 구성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의 구성은, 가정이나 업소의 수도관과 직결된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하여 정수하는 필터와, 필터에 의하여 정수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수소를 물에 용해시켜 수소수를 생성하는 수소발생유니트와, 수소 용존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소발생유니트에 의하여 생성된 수소수를 유입하여 상기 수소발생유니트로 재순환시키는 펌프와, 상기 수소발생유니트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배출하는 토수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는 비교적 단순하고 소형화된 구조로 이루어져 설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가정용이나 업소에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수도관과 직결되어 공급받는 물을 바로 수소수로 변환하여 배출하는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이므로, 별도의 물통을 위한 세척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보다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수소수를 음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인체에 유익한 수소가 풍부하게 용존된 양질의 수소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소발생유니트는 입수구로 유입되는 물의 낙하 압력에 의하여 수소발생유니트 내부의 물때의 발생이 최대한 방지되기 때문에 수소수의 음용을 위한 위생성을 보다 제고시킨 효과를 발현한다.
도 1 은 본 발명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의 실시예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 실시예의 수소발생유니트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 실시예의 수소발생유니트의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 실시예의 수소발생유니트의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 실시예의 수소발생유니트의 전극체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는 가정이나 업소의 수도관(미도시)과 직결된 물공급관(70)과, 상기 물공급관(7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하여 정수하는 필터(10)와, 필터(10)에 의하여 정수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수소를 물에 용해시켜 수소수를 생성하는 수소발생유니트(20)와, 수소 용존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소발생유니트(20)에 의하여 생성된 수소수를 유입하여 상기 수소발생유니트(20)로 재순환시키는 펌프(30)와, 상기 수소발생유니트(20)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배출하는 토수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는 물공급관(70)에 의하여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직접 공급받고,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수소발생유니트(20)가 수소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수소수를 토수구(40)로 배출시켜 음용하되 토수구(40)에 의한 수소수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펌프(30)가 수소수를 상기 수소발생유니트(20)측으로 재순환시킴으로써 수소수의 수소 용존량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직수형이지만 높은 용존량의 수소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의 실시예의 구성도이며, 도 1 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는, 가정이나 업소의 수도관(미도시)과 직결된 물공급관(70)과, 상기 물공급관(7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필터입구(11)를 통하여 유입받아 물을 여과하여 정수한 후 정수된 물을 필터출구(12)를 통하여 배출하는 필터(10)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필터(10)에 의하여 정수된 물은 상기 필터출구(12)에 연결된 제 1 연결관(71)을 통하여 유동되어 제 1 T자관(51)의 입구로 유입된다.
상기 제 1 T자관(51)은 입구가 상기 제 1 연결관(71)의 출구와 연결되고, 제 1 T자관(51)의 출구는 수소발생유니트(20)의 입수구(21)측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T자관(51)의 입구와 출구 사이에 연통된 연결구로 펌프(30)의 출구(32)로 배출되는 수소수가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T자관(51)의 입구로 유입된 정수된 물이 연결구로 유입된 수소수와 혼합되어 제 1 T자관(51)의 출구로 배출된 후 제 2 연결관(72)를 통하여 수소발생유니트(20)의 입수구(21)으로 유동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T자관(51)의 입구는 출구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있고 펌프(30)의 출구(32)로부터 배출 압력이 제 1 T자관(51)의 출구측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제 1 T자관(51)으로 유입된 물이 필터출구(12)측으로 역류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수소발생유니트(20)는 상부에 입수구(21)가 형성되고, 측부에 출수구(22)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입수구(21)로부터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는 전극부(23)가 취부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소발생유니트(20)에 의하여 입수구(21)로 유입된 물이 전기분해되면서 수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수소가 다시 유입된 물에 용해되면서 수소발생유니트(20)의 내부에서 수소수로 변환되는 것이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수소발생유니트(20)는 복수개의 수소발생유니트(20)를 상호 직렬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는데, 수소발생유니트(20)의 설치 갯수가 증가될수록 수소 용존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본 발명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의 부피와 크기를 고려하여 필요한 갯수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실시예는 두개의 수소발생유니트(20,20')를 설치한 실시예이며, 전단의 수소발생유니트(20)의 출수구(22)로 배출된 수소수가 후단의 수소발생유니트(20')의 입수구(21')로 유입되고, 후단의 수소발생유니트(20')의 수소수 생성과정을 한번 더 거쳐서 그의 출수구(22')로 배출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두개로 직렬 연결된 수소발생유니트(20')의 출수구(22')로 배출된 수소수는 제 3 연결관(73)을 통하여 제 2 T자관(52)의 입구로 유입된다.
상기 제 2 T자관(52)은 입구가 상기 제 3 연결관(73)의 출구와 연결되고, 제 2 T자관(52)의 출구는 토수밸브(60)의 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T자관(52)의 입구와 출구 사이에 연통된 연결구는 펌프(30)의 입구(31)와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수소발생유니트(20')의 출수구(22')로 배출된 수소수는 토수밸브(60)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 2 T자관(52)의 연결구를 통하여 상기 펌프(30)의 입구(31)로 유동되어 펌프(30)에 의하여 펌핑된 후 펌프의 출구(32)를 통하여 배출되고, 출구(32)로 배출된 수소수는 제 1 T자관(51)의 연결구와 출구를 거쳐서 다시 제 2 연결관(72)으로 유동되어 수소발생유니트(20)의 입수구(21)로 리턴됨으로써, 토수밸브(60)가 폐쇄되어 토수구(40)로 수소수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펌프(30)에 의한 펌핑 작동으로 인하여 수소수가 수소발생유니트(20)측으로 재순환됨으로써 수소수의 수소 용존량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수소수의 재순환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 수소수 제공장치가 직수형인데도 불구하고 고용존량의 수소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T자관(52)의 출구에 연결된 토수밸브(60)의 출구는 토수관(75)과 연결되고 토수관(75)의 말단에 토수구(40)가 설치됨으로써, 토수밸브(60)가 개방될 경우, 수소수가 토수관(75)으로 유동되어 토수구(40)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면서 사용자가 수소수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실시예와 같이 상기 토수밸브(60)의 출구와 토수관(75) 사이에 정량밸브(6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량밸브(61)는 관로의 중간부가 다른 부분보다 협소한 직경을 가지도록 설계된 공지의 밸브로서, 정량밸브(61)로 유입된 수소수가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하여 정량밸브(61)의 협소한 관로상에서 물의 속도와 압출 압력이 증가되면서 토수관(75)측으로 배출됨으로써, 수소수가 보다 원활하게 토수구(40)로 배출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펌프(30) 및 수소발생유니트(20)의 작동은 전자제어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울러, 상기 토수밸브(60)는 전자제어에 의하여 밸브가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채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하는 본 발명 실시예의 수소수 제공장치는, 시험 결과, 전원 인가후 최초 1 시간동안 펌프(30) 및 수소발생유니트(20)를 가동시키고 40 분 휴지, 이후 20 분을 가동후 40 분 휴지를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대략 1300 ppm 정도의 고 용존량의 수소수를 토수구(40)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수소발생유니트(2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 실시예의 수소발생유니트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 실시예의 수소발생유니트의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 실시예의 수소발생유니트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수소발생유니트(20)는 본 발명의 수소수 제공장치가 수도관에 직결되는 직수형임을 감안하여 수소의 용존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수소발생유니트(20)의 내부에 발생될 수 있는 물때(통상적으로 '백태'라고도 불리움)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특별히 고안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3 및 도 4 의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소발생유니트(2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속이 빈 중공의 몸체(24)를 가지고 있으며, 몸체(24)의 상부 개구는 캡(25)으로 차폐되고, 상기 캡(25)에 몸체(24)측으로 물을 유입시키는 입수구(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24)의 일측에는 몸체(24) 내부에 수용된 수소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수구(22)가 형성되고, 몸체(24)의 하부에는 상기 입수구(21)로부터 몸체(24) 내부로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는 전극부(23)가 취부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소발생유니트(20)에 의하여 입수구(21)로 유입된 물이 상기 전극부(23)에 의하여 전기분해되면서 수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수소가 물에 용해되면서 수소발생유니트(20)의 몸체(24) 내부에서 물이 수소수로 변환되게 된다. 변환된 수소수는 몸체(24)의 출수구(2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소발생유니트(20)는 상부의 입수구(21)를 통하여 물이 유입되고 측면의 출수구(22)를 통하여 물이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입수구(21)를 통하여 낙수되는 물의 낙하 압력으로 인하여 몸체(24) 내부에 물때(백태)가 제거됨으로써 이물질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5 는 캡(25)이 제거된 상태의 몸체(24)의 평면도로서, 전극부(23)의 내부에는 물을 전기분해하기 위하여 전력이 인가되는 전극체(80)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극체(80)의 노출된 테두리 부위는 실링부재(26)에 의하여 밀폐된다.
도 6 은 상기 전극체(80)의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전극체(80)는 격막(83)과, 상기 격막(83)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전극(81)과 상기 격막(83)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전극(8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전극(81)의 상측에 상부커버(84)가 체결되고, 상기 하부전극(82)의 하부에 하부커버(85)가 체결된다.
상기 상부전극(81) 및 하부전극(82)은 중앙 부분에 조밀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기공(81a,82a)들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전극(81) 및 하부전극(82)의 중앙 부분의 외주에 상부커버(84) 및 하부커버(85)와의 상호 결합을 위한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전극(81) 및 하부전극(82)의 일측에는 전류의 입력을 위한 전극단자(81b,82b)가 돌출 형성되며, 대략 3.5 V ~ 5 V 의 양전압과 음전압이 각각 인가된다.
또한,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상부전극(81)과 하부전극(82)의 표면에 절연용 패킹부재(미도시)가 게재되어 상기 상부전극(81)과 하부전극(82)의 단락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상부전극(81)과 하부전극(82)에 외주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고정볼트(미도시)를 상부커버(84)와 하부커버(85)로 관통시키고 너트(미도시)를 체결함으로써 격막(83)을 통과하는 물의 누출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실시예의 전극체(80)는 상부전극(81)과 하부전극(82)의 전극단자(81b,82b)들을 통하여 양전압과 음전압이 각각 인가되면, 몸체(24)로 유입된 물이 전기분해되어 수소가 생성되며, 생성된 수소는 몸체(24)에 유입된 물에 다시 용해되면서 물을 수소수로 변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전극체(80)의 상기 상부전극(81)과 하부전극(82)은 수소의 확산이 용이하고 허용전류밀도가 높은 일종의 촉매 전극의 기능을 수행하며, 백금이나 이리듐과 같은 귀금속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실시예는 상기 상부전극(81)으로서 백금 전극을 이용하여 음극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전극(82)으로서 이리듐 전극을 이용하여 양극을 형성한다.
따라서, 물분자가 전기분해되면서 발생되는 수소는 양극인 하부전극(82)으로부터 격막(83)을 통과하여 음극인 상부전극(81)으로 전달되고 상부전극(81)의 기공(81a)를 통하여 수소발생유니트(20)의 몸체 내부에 유입된 물에 용해되면서 물을 수소수로 변환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격막(83)은 주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고분자막을 채용함이 바람직하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필터
11; 필터입구 12; 필터출구
20; 수소발생유니트
21; 입수공 22; 출수공
23; 전극부 24; 몸체
25; 캡 26; 실링부재
30; 펌프
31; 펌프입구 32; 펌프출구
40; 토수구
51; 제 1 T자관 52; 제 2 T자관
60; 토수 밸브
61; 정량 밸브
70; 물 공급관
71; 제 1 연결관 72; 제 2 연결관
73; 제 3 연결관 74; 제 4 연결관
75; 토수관
80; 전극체
81; 상부전극
81a; 기공 81b; 전극단자
82; 하부전극
82a; 기공 82b; 전극단자
83; 격막
84; 상부커버
85; 하부커버

Claims (8)

  1. 수소수 제공장치에 있어서,
    수도관과 직결된 물공급관(70);
    상기 물공급관(7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하여 정수하는 필터(10);
    상기 필터(10)에 의하여 정수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수소를 물에 용해시켜 수소수를 생성하는 수소발생유니트(20);
    수소 용존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생성된 수소수를 유입하여 상기 수소발생유니트(20)로 재순환시키는 펌프(30);
    상기 수소발생유니트(20)에서 생성된 수소수를 배출하는 토수구(4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소발생유니트(20)는 상부에 입수구(21)가 형성되고, 측부에 출수구(22)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입수구(21)로부터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는 전극부(23)가 취부되고,
    상기 수소발생유니트(20)는,
    상부가 개구된 중공의 몸체(24)를 가지고 있으며, 몸체(24)의 상부 개구는 캡(25)으로 차폐되고, 상기 캡(25)에 몸체(24)로 물을 유입시키는 입수구(2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24)의 일측에 출수구(22)가 형성되고, 몸체(24)의 하부에 전극부(23)가 취부되고,
    상기 전극부(23)의 내부에 물을 전기분해하기 위하여 전력이 인가되는 전극체(80)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체(80)는,
    격막(83)과, 상기 격막(83)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전극(81)과 상기 격막(83)의 하부에 위치한 하부전극(8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전극(81)의 상측에 상부커버(84)가 체결되고, 상기 하부전극(82)의 하부에 하부커버(85)가 체결되고, 상기 상부전극(81) 및 하부전극(82)은 중앙에 조밀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기공(81a,82a)들이 형성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0)에 의하여 정수된 물은 필터출구(12)에 연결된 제 1 연결관(71)을 통하여 유동되어 제 1 T자관(51)의 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제 1 T자관(51)은 입구가 상기 제 1 연결관(71)의 출구와 연결되고, 제 1 T자관(51)의 출구는 수소발생유니트(20)의 입수구(21)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T자관(51)의 입구와 출구 사이에 연통된 연결구로 상기 펌프(30)의 출구(32)로 배출되는 수소수가 유입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발생유니트(20)의 출수구(22)로 배출된 수소수는 제 3 연결관(73)을 통하여 제 2 T자관(52)의 입구로 유입되고,
    상기 제 2 T자관(52)은 입구가 상기 제 3 연결관(73)의 출구와 연결되고, 제 2 T자관(52)의 출구는 토수밸브(60)의 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T자관(52)의 입구와 출구 사이에 연통된 연결구는 펌프(30)의 입구(31)와 연결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T자관(52)의 출구에 연결된 토수밸브(60)의 출구는 토수관(75)과 연결되고 토수관(75)의 말단에 토수구(40)가 설치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토수밸브(60)의 출구와 토수관(75) 사이에 정량밸브(61)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50051541A 2015-04-13 2015-04-13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 KR101741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541A KR101741043B1 (ko) 2015-04-13 2015-04-13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541A KR101741043B1 (ko) 2015-04-13 2015-04-13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289A KR20160122289A (ko) 2016-10-24
KR101741043B1 true KR101741043B1 (ko) 2017-06-16

Family

ID=57256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541A KR101741043B1 (ko) 2015-04-13 2015-04-13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0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774B1 (ko) 2018-12-11 2019-08-19 (주)휴앤스 비저수식 수소수 생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2273B2 (en) * 2019-05-14 2022-06-07 Lg Electronics Inc. Hydrogen water genera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1023B1 (ja) * 2014-02-15 2015-04-01 株式会社勝電技研 水素水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1023B1 (ja) * 2014-02-15 2015-04-01 株式会社勝電技研 水素水製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774B1 (ko) 2018-12-11 2019-08-19 (주)휴앤스 비저수식 수소수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289A (ko) 201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077B1 (ko) 수소수 제조용 수소 발생 유니트
KR101575164B1 (ko) 기능수 생성장치
KR101728010B1 (ko) 초음파 수소수 미스트 발생장치
JP2015131295A (ja) 携帯型水素水製造装置
KR20150101696A (ko) 수소수 생성장치
WO2016134617A1 (zh) 一种便利使用的可便携多用途无膜电解水装置
KR20160133621A (ko) 수소수 분무기
KR101741043B1 (ko) 직수형 수소수 제공장치
KR20150145354A (ko) 정수기형 수소수 제조장치
KR20150092822A (ko) 수소수 제조를 위한 수소 발생 유니트
KR20150085152A (ko)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KR102007787B1 (ko)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
KR101755309B1 (ko) 간이형 수소수 제공장치
KR101679790B1 (ko) 정수기용 항균 및 수소수 생성장치
KR20150145351A (ko) 물병형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
KR101867370B1 (ko) 휴대형 수소수 제조 장치
KR101606805B1 (ko) 누수방지용 캡을 가진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WO2018168109A1 (ja) 電解水素水生成器
KR101519565B1 (ko) 수소수 제조를 위한 용존기
KR101716271B1 (ko) 휴대용 수소수 제조장치
KR101010330B1 (ko) 이온수 제조용 전기분해장치
KR20160000467U (ko)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JP5210456B1 (ja) 洗浄水生成装置
KR101808684B1 (ko) 휴대용 수소수 생성장치
KR20100035489A (ko) 이온수 제조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