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172A -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방법 - Google Patents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172A
KR20110074172A KR1020090131068A KR20090131068A KR20110074172A KR 20110074172 A KR20110074172 A KR 20110074172A KR 1020090131068 A KR1020090131068 A KR 1020090131068A KR 20090131068 A KR20090131068 A KR 20090131068A KR 20110074172 A KR20110074172 A KR 20110074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washing
col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선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1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4172A/ko
Publication of KR20110074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냉이온정수기의 배관을 청소하기 위해 배관세척용 시약을 투입한 경우 각각의 밸브를 조절하여 모든 배관이 순차적으로 자동 선택되어 세척되고 헹궈짐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배관을 선택하여 세척하는 불편함을 없앨 뿐만 아니라 배관세척용 시약이 잔류하지 않도록 헹굼을 진행하여 편리한 배관 세척으로 위생적인 배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정수기, 이온수, 세척, 시약, 배관, 리셋, 위생

Description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방법{METHOD FOR WASHING PIPE OF COLD WATER IONIZER}
본 발명은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이온정수기의 배관을 청소하기 위해 배관세척용 시약을 투입한 경우 각각의 밸브를 조절하여 모든 배관이 세척될 수 있도록 하는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가 급속하게 진전됨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은 편리하여지고 윤택해진 반면에, 환경오염은 날로 심각해지고 있으며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인하여 세계 각국에서는 여러 가지 형태의 기상이변이 발생되어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를 주고 있다.
특히, 생명의 근원인 물은 각종 쓰레기와 폐수의 무단 방류로 인하여 날로 오염정도가 심해지고 있으며, 오염된 물을 정수하기 위하여 더욱 더 많은 화학약품을 투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물을 끓여 먹고 있다.
또한, 가정에서도 정수기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일반적인 정수기는 활성탄, 이온막 등을 구비하는 필터를 이용하여 물에 함유된 산화물, 중금속, 먼지 및 찌꺼기 등을 필터링하여 정화시키는 것으로서, 다양한 방식의 정수장치 등이 이용되어진다.
초창기의 정수기는 정수통에 활성탄을 적층시키고 이 정수통에 물을 부어서 자연정화가 되어지도록 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정수통의 내부를 자주 청소하지 않으면, 이물질이 활성탄 혹은 정수통의 내부에 적층되어서 정수된 물이 부패되어지는 문제점을 지닌다.
이를 개선하여 수돗물이 다수개의 전처리 여과필터, 전처리 활성탄필터, 역삼투막 필터 및 후처리 활성탄필터 등의 다수개의 필터부재를 통하여 이동하면서 정수되도록 하는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를 최근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수기에서 필터한 물을 재차 전해조를 사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를 음용수로 사용하고, 산성수를 미용수로 사용하도록 하는 이온정수기가 제안되어지고 있다.
위에서 설명한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냉이온정수기를 일정시간 사용하게 되면 필터부의 정화능력이 저하되므로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내부 배관도 오염되기 때문에 세척을 해야 한다.
배관 세척을 위해서는 냉이온정수기를 분해한 후 배관을 세척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는 오염이 심각한 경우 전문기사에 의해 시행되며 일반적인 경우에는 배관세척용 시약을 투입한 후 물을 흘려보냄으로써 배관을 세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배관세척용 시약을 투입한 후 물을 흘려보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물 흐름에 따른 배관을 선택하여 배수시켜 세척하기 때문에 배관에 따라서는 충분히 세척이 되지 않는 배관도 발생하게 되고, 배관세척용 시약이 모두 씻겨 나가지 않아 음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냉이온정수기의 배관을 청소하기 위해 배관세척용 시약을 투입한 경우 각각의 밸브를 조절하여 모든 배관이 세척될 수 있도록 하는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방법은 배관 세척모드가 선택되었는가 판단하는 단계; 배관 세척모드가 선택된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배관 세척을 수행하는 단계; 및 배관 세척 후 설정시간 동안 대기한 후 솔레노이드 밸브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배관 헹굼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 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배관 세척모드는 필터 리셋스위치와 세척스위치가 동시에 설정시간 이상 입력될 경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배관 세척과 배관 헹굼은 상온정수 출수배관, 냉정수 출수배관, 상온이온수 출수배관, 냉이온수 출수배관, 순환 출수배관 순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솔레노이드 밸브는 급수밸브, 냉수밸브, 정수밸브, 이온수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이온정수기의 배관을 청소하기 위해 배관세척용 시약을 투입한 경우 각각의 밸브를 조절하여 모든 배관이 순차적으로 자동 선택되어 세척되고 헹궈짐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배관을 선택하여 세척하는 불편함을 없앨 뿐만 아니라 배관세척용 시약이 잔류하지 않도록 헹굼을 진행하여 편리한 배관 세척으로 위생적인 배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 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이온정수기의 물흐름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이온정수기는 정수를 음용하기 위해 정수 출수콕(20)을 작동시키면 급수밸브(10)를 작동시켜 원수를 필터부(12)에 의해 정제한 후 냉수조밸브(14), 냉수밸브(16)를 정수밸브(18)에서 정수 출수콕(20)으로 출수된다.
또한 냉정수를 음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냉수밸브(16)에서 냉수조(28)를 통과한 후 정수밸브(18)를 통해 정수 출수콕(20)으로 출수된다.
한편 이온수를 음용하기 위해 이온수 출수콕(26)을 작동시키면 급수밸브(10)를 작동시켜 원수를 필터부(12)에 의해 정제한 후 냉수조밸브(14), 냉수밸브(16), 정수밸브(18)를 지나 전해조(22)에서 전기분해된 후 이온수밸브(24)를 통해 이온수 출수콕(26)으로 출수된다.
또한, 냉이온수를 음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냉수밸브(16)에서 냉수조(28)를 통과한 후 정수밸브(18)를 거쳐 전해조(22)에서 전기분해된 후 이온수밸브(24)를 통해 이온수 출수콕(26)으로 출수된다.
이때 냉수조(28)에 냉각수를 보충하기 위해서는 급수밸브(10)를 통해 원수가 급수되면 필터부(12)에서 정제된 후 냉수조밸브(14)에서 냉수조(28)로 보충된다.
따라서 냉각기(32)가 동작하게 되면 냉각수에 잠긴 증발기(33)에 의해 냉각수를 냉각시키게 되고 냉수조(28)를 순환하는 냉수관(17)으로 정수된 물이 통과하면서 냉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수조(28)에는 냉각수의 수온을 균일하도록 하기 위해 팬(35)을 회전시켜 냉각수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34)가 설치된다.
한편, 냉수조(28)에 고여있는 냉각수를 배수시키기 위해서는 냉수조 배수밸브(30)를 작동시켜 냉각수를 냉수조 배수관(31)을 통해 배수시킬 수 있으며 냉수조(28)에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경우에도 냉수조 배수관(31)을 통해 배수된다.
또한 전해조(22)에서 전기분해된 산성 이온수는 배수관(23)을 통해 배수되고 출수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수시킬 경우 이온수밸브(24)를 통해 배수관(23)으로 배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을 위한 제어회로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을 위한 제어회로는 배관 세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필터 리셋스위치(40)와 세척스위치(50), 원수의 급수를 단속하는 급수밸브(10), 냉수와 상온수를 선택하는 냉수밸브(16), 정수의 출수와 통과를 선택하는 정수밸브(18), 이온수의 출수와 배수를 선택하는 이온수밸브(24), 필터 리셋스위치(40)와 세척스위치(50)의 작동에 따라 배관 세척모드의 선택여부를 판단하여 급수밸브(10), 냉수밸브(16), 정수밸브(18), 이온수밸브(24)의 작동을 제 어하여 각 배관으로 흐르는 물의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배관의 세척 및 헹굼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따라서, 필터 리셋스위치(40)와 세척스위치(50)의 조작으로 배관 세척모드를 선택할 경우 제어부(60)에서 배관 세척모드에 따라 급수밸브(10), 냉수밸브(16), 정수밸브(18), 이온수밸브(24)의 작동을 제어하여 각 배관으로 물을 순환시켜 세척 및 헹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을 위한 제어회로를 통한 배관 세척방법을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관 세척을 위해서는 필터부(12)의 필터를 분리한 후 배관세척용 시약을 필터위에 얹은 후 필터를 조립한 후 배관 세척을 위한 배관 세척모드를 선택한다.
이후 배관 세척을 위해 필터 리셋스위치(40)와 세척스위치(50)를 동시에 3초 이상 누를 경우 배관 세척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한다(S10).
이렇게 배관 세척모드가 선택된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인 급수밸브(10), 냉수밸브(16), 정수밸브(18), 이온수밸브(24)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배관 세척을 진행한다(S20).
배관 세척은 상온정수 출수배관을 세척하기 위해 급수밸브(10), 냉수밸브(16), 정수밸브(18)를 선택하여 상온정수 출수배관에 대해 1분정도 세척을 진행 하고, 냉정수 출수배관을 세척하기 위해 급수밸브(10), 정수밸브(16)를 선택하여 냉정수 출수배관에 대해 1분정도 세척을 진행하고, 상온이온수 출수배관을 세척하기 위해 급수밸브(10), 냉수밸브(16), 이온수밸브(24)를 선택하여 상온이온수 출수배관에 대해 1분정도 세척을 진행하고, 냉이온수 출수배관을 세척하기 위해 급수밸브(10), 이온수밸브(24)를 선택하여 냉이온수 출수배관에 대해 1분정도 세척을 진행하고, 순환 출수배관을 세척하기 위해 급수밸브(10), 냉수밸브(16)를 선택하여 순환 출수배관에 대해 1분정도 세척을 진행한다.
이와 같이 세척을 진행한 후 2분 정도 대기한 후 다시 배관 헹굼을 진행한다(S30)(S40).
배관 헹굼은 상온정수 출수배관을 헹굼하기 위해 급수밸브(10), 냉수밸브(16), 정수밸브(18)를 선택하여 상온정수 출수배관에 대해 1분정도 헹굼을 진행하고, 냉정수 출수배관을 헹굼하기 위해 급수밸브(10), 정수밸브(18)를 선택하여 냉정수 출수배관에 대해 1분정도 헹굼을 진행하고, 상온이온수 출수배관을 헹굼하기 위해 급수밸브(10), 냉수밸브(16), 이온수밸브(24)를 선택하여 상온이온수 출수배관에 대해 1분정도 헹굼을 진행하고, 냉이온수 출수배관을 헹굼하기 위해 급수밸브(10), 이온수밸브(24)를 선택하여 냉이온수 출수배관에 대해 1분정도 헹굼을 진행하고, 순환 출수배관을 헹굼하기 위해 급수밸브(10), 냉수밸브(16)를 선택하여 순환 출수배관에 대해 1분정도 헹굼을 진행한다.
위와 같이 배관 세척모드로 진입될 경우 출수배관에 따라 급수밸브(10), 냉수밸브(16), 정수밸브(18), 이온수밸브(24)가 선택되면서 모든 배관에 대해 자동으 로 세척 및 헹굼이 이루어져 사용자가 직접 배관을 선택하여 세척하는 불편함을 없앨 뿐만 아니라 배관세척용 시약이 잔류하지 않도록 헹굼을 진행하여 편리한 배관 세척으로 위생적인 배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이온정수기의 물흐름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을 위한 제어회로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급수밸브 12 : 필터부
14 : 냉수조밸브 16 : 냉수밸브
17 : 냉수관 18 : 정수밸브
20 : 정수출수콕 22 : 전해조
23 : 배수관 24 : 이온수밸브
26 : 이온수출수콕 28 : 냉수조
30 : 냉수조 배수밸브 31 : 냉수조 배수관
32 : 냉각기 33 : 증발기
34 : 교반기 35 : 팬
40 : 필터 리셋스위치 50 : 세척스위치
60 : 제어부

Claims (4)

  1. 배관 세척모드가 선택되었는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배관 세척모드가 선택된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배관 세척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배관 세척 후 설정시간 동안 대기한 후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배관 헹굼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세척모드는 필터 리셋스위치와 세척스위치가 동시에 설정시간 이상 입력될 경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세척과 상기 배관 헹굼은 상온정수 출수배관, 냉정수 출수배관, 상온이온수 출수배관, 냉이온수 출수배관, 순환 출수배관 순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본 발명에서 솔레노이드 밸브는 급수밸브, 냉수밸브, 정수밸브, 이온수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KR1020090131068A 2009-12-24 2009-12-24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방법 KR20110074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068A KR20110074172A (ko) 2009-12-24 2009-12-24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068A KR20110074172A (ko) 2009-12-24 2009-12-24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172A true KR20110074172A (ko) 2011-06-30

Family

ID=4440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068A KR20110074172A (ko) 2009-12-24 2009-12-24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41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6500B2 (en)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and recycling shower water
CN100469981C (zh) 一种家用分质供水方法和装置
CN104695513B (zh) 卫浴污水全方位回收及自动循环利用系统
WO2017084570A1 (zh) 净水机的控制方法及净水机
CN111102734A (zh) 一种热水设备及其控制方法
US10843938B2 (en)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and recycling shower water
KR101224651B1 (ko) 냉이온정수기의 냉각수 급수 제어방법
KR100701928B1 (ko) 정수기의 필터 플러싱 방법
KR20130104089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090126858A (ko) 플러싱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방법
JP2011140857A (ja) 雨水利用システム
CN102303930A (zh) 软水净水机
KR20110074172A (ko) 냉이온정수기의 배관 세척방법
KR20160094732A (ko) 정수기의 구동장치
KR102054310B1 (ko) 자동운전형 빗물재이용 시스템
KR20110066537A (ko) 냉이온정수기의 필터 플럭싱 방법
KR101153832B1 (ko) 냉이온정수기의 이온수 모드 선택방법
KR101093765B1 (ko) 냉이온정수기의 제어방법
KR100630834B1 (ko) 냉매수조형 정수기의 냉매수조 자동 세척방법
KR20150026237A (ko) 냉이온정수기의 필터 세척장치 및 그 방법
JP2008043900A (ja) イオン水生成装置
KR102299619B1 (ko) 직수형 정수기
KR20130131965A (ko) 수처리 장치의 물 살균 유로구조
CN203794714U (zh) 智能全自动处理一体化自动控制净水装置
KR20110066538A (ko) 냉이온정수기의 냉수조 청소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