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848A -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848A
KR20230167848A KR1020220067982A KR20220067982A KR20230167848A KR 20230167848 A KR20230167848 A KR 20230167848A KR 1020220067982 A KR1020220067982 A KR 1020220067982A KR 20220067982 A KR20220067982 A KR 20220067982A KR 20230167848 A KR20230167848 A KR 20230167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valve
water
valve modu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주
이현강
이종환
김현구
정다운
오유원
정희도
박찬정
예병효
박성민
오동민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7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7848A/ko
Publication of KR20230167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01D35/1475Pressure relief valves or pressure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을 여과시킬 수 있는 필터를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할 수 있는 가열장치;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가열장치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할 경우 상기 가열장치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방되는 밸브모듈;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지지되며, 상기 밸브모듈을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고정구가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고, 상기 고정구가 내측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고정구와 대향하는 밸브내주면을 가지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밸브모듈에 삽입되었을 때,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밸브내주면과 면접촉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ASSEMBLY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도 등의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정수로 여과시킨 후 정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필터를 사용하여 물을 정수로 여과하며, 필터에서 여과된 물은 정수기 내부에 구비된 유로를 따라 유동한 후 정수기 외부로 출수된다.
한편, 정수는 사용자에게 바로 제공될 수 있으나,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후 온수로 제공되기도 한다. 이를 위해 정수기는 정수를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장치 및 가열장치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출원인 엘지전자 주식회사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63253 “정수기”(특허문헌 1)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온수 탱크 및 온수 탱크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온수 탱크 내부의 증기를 배출할 수 있는 세이프티 밸브를 개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정수기는 세이프티 밸브의 출구와 연결되는 증기 배관이 추가로 구비되기 때문에, 증기 배관을 케이스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 등이 형성되어야 하는바, 케이스 제조 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세이프티 밸브는 정수기가 낙하하거나 운송 중에 증기 배관이 세이프티 밸브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세이프티 밸브의 출구를 통하여 증기가 사방으로 토출되게 된다. 이로 인해, 사방으로 토출되는 증기를 인식한 사용자는 정수기가 손상되었거나 정수기의 내부 부품에 결함이 발생한 것으로 오인할 수 있다.
따라서, 증기 배관과 같이 세이프티 밸브와 연결되는 구성 없이 증기를 배출할 수 있으면서 정수기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케이스 내부의 소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세이프티 밸브를 구비한 정수기의 필요성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7-0063253 (2017.06.08 출원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밸브모듈이 베이스프레임에 지지된 고정구에 삽입됨으로써 밸브모듈이 베이스 프레임의 소정 지점에 고정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정구의 제1 고정면부 및 제2 고정면부가 밸브내주면과 서로 다른 지점에서 면접촉하도록 밸브모듈에 고정구가 삽입됨으로써 프레임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고정구가 밸브모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정구가 밸브모듈에 삽입되었을 때, 밸브내주면에 대한 개방면의 상대적인 위치 조절을 통하여 밸브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을 여과시킬 수 있는 필터를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할 수 있는 가열장치;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가열장치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할 경우 상기 가열장치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방되는 밸브모듈;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지지되며, 상기 밸브모듈을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고정구가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고, 상기 고정구가 내측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고정구와 대향하는 밸브내주면을 가지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밸브모듈에 삽입되었을 때,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밸브내주면과 면접촉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는 상기 밸브모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밸브모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밸브내주면과 접촉하는 고정면; 및 상기 밸브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개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밸브모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밸브내주면에 있어서, 상기 고정면이 상기 밸브내주면에 투영된 면적보다 상기 개방면이 상기 밸브내주면에 투영된 면적이 작은,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면은 제1 고정면부; 및 상기 고정구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양측 단부 각각이 상기 제1 고정면부의 양측 단부와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제2 고정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면은, 상기 제1 고정면부의 일측 단부에 인접한 제2 고정면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1 고정면부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 개방면부; 및 상기 제1 고정면부의 타측 단부에 인접한 제2 고정면부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제1 고정면부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2 개방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면부 및 상기 제2 고정면부는 상기 고정구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고정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열된,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고정면은 곡선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개방면은 직선 형상을 가지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제공되는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고정구에 고정되었을 때,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물을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정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기는, 물을 여과시킬 수 있는 필터를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할 수 있는 가열장치;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가열장치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할 경우 상기 가열장치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방되는 밸브모듈;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지지되며, 상기 밸브모듈을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고정구가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고, 상기 고정구가 내측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고정구와 대향하는 밸브내주면을 가지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밸브모듈에 삽입되었을 때,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밸브내주면과 면접촉하는, 정수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밸브모듈이 베이스프레임에 지지된 고정구에 삽입됨으로써 밸브모듈이 베이스 프레임의 소정 지점에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정구의 제1 고정면부 및 제2 고정면부가 밸브내주면과 서로 다른 지점에서 면접촉하도록 밸브모듈에 고정구가 삽입됨으로써 프레임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고정구가 밸브모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정구가 밸브모듈에 삽입되었을 때, 밸브내주면에 대한 개방면의 상대적인 위치 조절을 통하여 밸브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수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밸브모듈이 고정구로부터 이탈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밸브모듈에 삽입된 고정구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고정구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유동', '배출' 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유동, 배출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등의 방향에 대한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본 명세서의, 상하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도 1 내지 도 3의 좌표축 방향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조립체(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조립체(1)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여과함으로써 깨끗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기 조립체(1)는 수도 등과 같은 물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공급받은 물을 깨끗한 물로 여과할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 조립체(1)는 정수기(10) 및 필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정수기(10)는 필터(20)가 장착되었을 때,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깨끗한 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10)는 프레임(100), 유로모듈(200), 워터몸체(300), 냉각부(400), 방열부(500), 팬유닛(600), 가열장치(700), 밸브모듈(800) 및 고정구(9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유로모듈(200), 워터몸체(300), 냉각부(400), 방열부(500), 팬유닛(600), 가열장치(700), 밸브모듈(800) 및 고정구(9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은 유로모듈(200), 워터몸체(300), 냉각부(400), 방열부(500), 팬유닛(600), 가열장치(700), 밸브모듈(800) 및 고정구(9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00)은 메인프레임(110), 필터프레임(120) 및 베이스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10)은 유로모듈(200), 워터몸체(300), 냉각부(400), 방열부(500), 팬유닛(600), 가열장치(7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110)은 필터프레임(1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프레임(110)에는 유입구(111) 및 배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11)는 프레임(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구(111)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유입구(111)는 각각 메인프레임(110)의 좌우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유입구(111)는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출구(112)는 프레임(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구(112)는 메인프레임(11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120)은 필터(20)를 지지할 수 있으며, 필터(20)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프레임(120)은 워터몸체(300)의 상측에 놓이고, 후술할 히트싱크(520)의 전방측에 놓이도록 메인프레임(110)에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30)은 메인프레임(110) 및 워터몸체(3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30)은 고정구(9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30)은 프레임(100)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유로모듈(200)은 필터(20)에서 여과된 물을 프레임(100)의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모듈(200)은 메인프레임(110)의 전면부에 배치되도록 메인프레임(11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유로모듈(200)은 메인프레임(110)으로부터 교체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모듈(200)은 출수부(210) 및 유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수부(210)는 유로부(220)를 따라 유동하는 물을 외부로 출수할 수 있다. 이러한 출수부(210)는 메인프레임(110)의 전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출수부(210)는 유로부(220)와 연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출수부(210)는 유로부(220)와 하나의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출수부(210)는 유로부(220)와 별개의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프레임(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유로부(220)는 물이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부(220)는 필터(20)에서 여과된 물을 출수부(210)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유로부(220)는 메인프레임(110)의 전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출수부(2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워터몸체(300)는 유입된 물이 소정 온도 이하로 냉각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워터몸체(300)는 냉각부(4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워터몸체(300)의 외면에는 냉각부(400)의 일면이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냉각부(400)에서 발생된 냉기는 워터몸체(300)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워터몸체(300)는 물이 유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터몸체(300)는 물이 유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직수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워터몸체(300)에는 서로 어긋나도록 배열되는 복수 개의 격벽(310)이 구비되며, 복수 개의 격벽(310)에 의해 물이 유동하기 위한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워터몸체(300)의 상부로부터 유입된 물은 워터몸체(300)의 하부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워터몸체(300) 내부에 형성된 경로를 따라 유동하는 물의 유동 방향은 복수 개의 격벽(310)에 의해 복수 차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워터몸체(300)로 유입된 물은 복수 개의 격벽(310)을 따라 유동하는 동안 냉각부(40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시로 워터몸체(300)는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식 물탱크일 수 있다. 이 경우 워터몸체(300)는 유입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냉각부(400)에 의해 냉각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터몸체(300)에 수용된 물은 워터몸체(300)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워터몸체(300)의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차오를 수 있다. 이러한 워터몸체(300) 내부로 유입된 물은 차오르는 동안 냉각부(40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워터몸체(300)는 워터몸체(300)에 선입된 물이 선출될 수 있는 파이프 형상(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파이프를 따라 유동하는 물은 냉각부(40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워터몸체(300)의 파이프로 유입된 물은 파이프를 따라 유동하는 동안 저온으로 냉각되어 파이프로부터 출수될 수 있다.
냉각부(400)는 워터몸체(300) 내부로 유입된 물을 소정 온도 이하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냉각부(400)는 일면이 워터몸체(300)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워터몸체(30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냉각부(400)는 워터몸체(300)의 후방측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부(400)는 전면이 워터몸체(300)의 후면에 접촉하도록 워터몸체(30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냉각부(400)는 전자식 냉각장치로 구성됨으로써 증발기나 압축기 등의 냉각시스템이 생략될 수 있으며, 최소한의 부피로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냉각부(400)는 열전모듈(410) 및 콜드블럭(420)을 포함할 수 있다.
열전모듈(410)은 전류가 흐르면, 일면이 냉각되고 타면이 발열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모듈(410)은 전면이 콜드블럭(420)의 후면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모듈(410)의 전면이 냉각되면, 열전모듈(410)에서 발생한 냉기는 콜드블럭(420)을 통하여 워터몸체(300)의 후면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열전모듈(410)의 후면은 후술할 히트파이프(510)와 접촉할 수 있으며, 열전모듈(410)에서 발생된 열은 히트파이프(510)로 전달될 수 있다.
콜드블럭(420)은 열전모듈(410)에서 발생된 냉기를 워터몸체(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콜드블럭(420)은 전면이 워터몸체(300)의 후면과 접촉하도록 워터몸체(30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콜드블럭(420)은 후면이 열전모듈(410)의 전면과 접촉하도록 열전모듈(4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모듈(410)에서 발생한 냉기는 콜드블럭(420)에 의해 워터몸체(300) 내부의 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드블럭(420)은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콜드블럭(420)은 워터몸체(300)에 직접 접착될 수도 있으며, 스크류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 워터몸체(300)에 결합될 수 있다.
방열부(500)는 열전모듈(410)의 냉각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전모듈(41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열부(500)는 히트파이프(510) 및 히트싱크(52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파이프(510)는 열전모듈(410)의 후면에 배치되며, 열전모듈(410)에서 발생되는 열을 히트싱크(5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파이프(510)는 열매를 통하여 열전모듈(410)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전달받은 열을 히트싱크(5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히트파이프(510)는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히트싱크(520)는 히트파이프(510)로부터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히트싱크(520)는 워터몸체(3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워터몸체(30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히트싱크(520)는 히트파이프(510)의 상측에 놓인 채로 히트파이프(510)와 연결되며, 히트파이프(510)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팬유닛(600)은 프레임(100) 외부 공기가 프레임(100) 내부로 유입되고, 프레임(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프레임(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팬유닛(600)이 작동되면, 외부 공기는 유입구(111)를 통해 프레임(100) 내부로 유입되고, 프레임(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배출구(112)를 통해 프레임(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열장치(700)는 필터(20)에서 여과된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장치(700)는 필터(20)에서 여과된 물을 100℃에 가까운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열장치(700) 내부는 가열된 수증기에 의해 압력이 상승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밸브모듈(800)은 가열장치(700)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가열장치(7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모듈(800)은 가열장치(700)와 연결되며, 가열장치(700)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할 경우 가열장치(700)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모듈(800)은 가열장치(700) 내부의 압력이 입계값 이하일 경우 폐쇄되어 가열장치(700) 내부와 외부를 차단시킨다. 또한, 밸브모듈(800)은 가열장치(700) 내부 압력이 입계값에 도달할 경우 개방되어 가열장치(700)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킨다.
한편, 밸브모듈(800)은 고정구(900)가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베이스프레임(13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모듈(800)은 고정구(900)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구될 수 있으며, 고정구(900)가 내측에 삽입되었을 때 밸브모듈(800)은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밸브모듈(800)의 일측에는 고정구(900)가 내측에 삽입되었을 때, 고정구(900)와 대향하는 밸브내주면(810)을 가질 수 있다.
밸브내주면(810)은 밸브모듈(80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밸브모듈(800)에 고정구(900)가 삽입되었을 때, 고정구(90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와 면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밸브모듈(800)은 밸브내주면(810)이 고정구(900)와 면접촉하는 부분을 통해 고정구(9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밸브모듈(800)은 밸브내주면(810)이 고정구(900)와 면접촉하지 않는 부분을 통해 가열장치(700)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내주면(810)은 고정구(900)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형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고정구(900)는 프레임(100)의 하부에 지지되며, 밸브모듈(800)을 프레임(100)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구(900)는 베이스프레임(130)에 지지되며, 밸브모듈(800)을 베이스프레임(130)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구(900)는 베이스프레임(130)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밸브모듈(800)의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부분에 삽입됨으로써 밸브모듈(800)을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구(900)는 밸브모듈(800)에 삽입되었을 때,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밸브내주면(810)과 면접촉할 수 있다. 또한, 고정구(900)는 삽입부(910) 및 스토퍼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910)는 밸브모듈(800)에 삽입되며, 밸브내주면(810)과 대향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910)는 스토퍼부(920)의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910)는 적어도 일부가 밸브내주면(810)과 면접촉함으로써 밸브모듈(8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910)는 고정면(911) 및 개방면(9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및 도 7을 참조하면, 고정면(911)은 밸브모듈(800)을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구(900)가 밸브모듈(800)에 삽입되었을 때, 밸브내주면(810)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면(911)은 고정구(900)가 밸브모듈(800)에 삽입되었을 때, 삽입부(910)의 측면 둘레 중 밸브내주면(810)과 접촉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고정면(911)은 고정구(900)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면(911)은 고정구(900)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원주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원형일 수 있다. 여기서 원주 방향은 고정구(900)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밸브내주면(810)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고정면(911)은 제1 고정면부(911a) 및 제2 고정면부(9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면부(911a) 및 제2 고정면부(911b)는 서로 상이한 위치에서 밸브내주면(810)과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부(910)는 제1 고정면부(911a) 및 제2 고정면부(911b)를 통하여 서로 다른 두 면에서 밸브내주면(81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구(900)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2 고정면부(911b)의 양측 단부 각각은 제1 고정면부(911a)의 양측 단부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고정구(900)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고정면부(911a)는 삽입부(9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원 상에서 3사분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고정면부(911b)는 1사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고정면부(911a)와 제2 고정면부(911b)는 고정구(900)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고정구(9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개방면(912)은 밸브모듈(800)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외부로 유동하도록 고정구(900)가 밸브모듈(800)에 삽입되었을 때, 밸브내주면(810)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면(912)은 고정구(900)가 밸브모듈(800)에 삽입되었을 때, 삽입부(910)의 측면 둘레 중 밸브내주면(810)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일 수 있다. 또한, 개방면(912)은 삽입부(910)가 밸브모듈(800)에 삽입되었을 때, 밸브내주면(810)에 있어서 고정면(911)이 밸브내주면(810)에 투영된 면적보다 개방면(912)이 밸브내주면(810)에 투영된 면적이 작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삽입부(910)가 밸브내주면(810)과 접촉하는 면적이 삽입부(910)가 밸브내주면(810)과 접촉하지 않는 면적보다 크다. 이러한 개방면(912)은 고정구(900)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개방면(912)은 곡선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개방면(912)은 고정구(900)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고정면(911) 보다 삽입부(910)의 중심과 인접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개방면(912)은 제1 개방면부(912a) 및 제2 개방면부(9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방면부(912a) 및 제2 개방면부(912b)는 서로 상이한 위치에서 밸브내주면(81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개방면부(912a)와 밸브내주면(810) 사이 및 제2 개방면부(912b)와 밸브내주면(810) 사이에는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서로 다른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방면부(912a)는 양측 단부가 제1 고정면부(911a)의 일측 단부와 제2 고정면부(911b)의 일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면부(911a)의 일측 단부와 제2 고정면부(911b)의 일측 단부는 서로 인접한 단부일 수 있다. 또한, 제2 개방면부(912b)는 양측 단부가 제1 고정면부(911a)의 타측 단부와 제2 고정면부(911b)의 타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면부(911a)의 타측 단부와 제2 고정면부(911b)의 타측 단부는 서로 인접한 단부일 수 있다.
또한, 고정구(900)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개방면부(912a)는 삽입부(9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원 상에서 2사분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개방면부(912b) 4사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개방면부(912a)와 제2 개방면부(912b)는 삽입부(910)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고정구(9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스토퍼부(920)는 고정구(900)가 밸브모듈(800)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부(920)는 삽입부(910)가 밸브모듈(800) 내측에 삽입되었을 때, 밸브모듈(800)의 일단부에 간섭된다. 이 경우 삽입부(910)는 더 이상 밸브모듈(800) 내측으로 삽입되지 못한다. 이러한 스토퍼부(920)는 삽입부(910) 및 밸브내주면(810) 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밸브모듈(800)은 내측에 삽입부(910)가 삽입됨으로써 베이스프레임(1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고정면부(911a) 및 제2 고정면부(911b)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밸브내주면(810)과 면접촉하며, 밸브모듈(800)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온수 추출이 입력되면 가열장치(700)에서는 필터(20)에서 여과된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한다. 이 경우 가열장치(700) 내부의 압력은 상승하며, 가열장치(700) 내부 압력이 임계값에 도달할 경우 밸브모듈(800)은 개방된다. 또한, 가열장치(700) 내부의 유체는 밸브모듈(800)을 따라서 유동한 후 밸브내주면(810)과 개방면(912)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예를 들어, 밸브모듈(800)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는 제1 개방면부(912a)와 밸브내주면(810) 사이의 공간과 제2 개방면부(912b)와 밸브내주면(81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고정구(900)는 베이스프레임(1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밸브내주면(810)에 대한 제1 개방면부(912a)와 제2 개방면부(912b)의 상대적인 위치는 달라질 수 있으며, 밸브모듈(800)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방향도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구(900)의 회전에 따라 밸브모듈(800)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는 밸브내주면(810)에 대한 제1 개방면부(912a) 및 제2 개방면부(912b)의 상대적인 위치 조절을 통하여 밸브모듈(800)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밸브모듈(800)로부터 배출된 유체가 프레임(100) 외부로 유동하거나 프레임(100) 내부를 향하여 유동하도록 조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수기(10)는 밸브모듈(800)이 베이스프레임(130)에 지지된 고정구(900)에 삽입됨으로써 밸브모듈(800)이 베이스프레임(130)의 소정 지점에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수기(10)는 제1 고정면부(911a) 및 제2 고정면부(911b)가 밸브내주면(810)과 서로 다른 지점에서 면접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밸브모듈(8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정수기 조립체
10: 정수기 20: 필터
100: 프레임 110: 메인프레임
120: 필터프레임 130: 베이스프레임
200: 유로모듈 300: 몸체
400: 냉각부 500: 방열부
600: 팬유닛 700: 가열장치
800: 밸브모듈 810: 삽입구
900: 고정구 910: 삽입부
911: 고정면 911a: 제1 고정면부
911b: 제2 고정면부 912: 개방면
912a: 제1 개방면부 912b: 제2 개방면부
920: 스토퍼부

Claims (7)

  1. 물을 여과시킬 수 있는 필터를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할 수 있는 가열장치;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가열장치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할 경우 상기 가열장치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방되는 밸브모듈;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지지되며, 상기 밸브모듈을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고정구가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고, 상기 고정구가 내측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고정구와 대향하는 밸브내주면을 가지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밸브모듈에 삽입되었을 때,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밸브내주면과 면접촉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밸브모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밸브모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밸브내주면과 접촉하는 고정면; 및 상기 밸브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개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밸브모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밸브내주면에 있어서, 상기 고정면이 상기 밸브내주면에 투영된 면적보다 상기 개방면이 상기 밸브내주면에 투영된 면적이 작은,
    정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면은 제1 고정면부; 및 상기 고정구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양측 단부 각각이 상기 제1 고정면부의 양측 단부와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제2 고정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면은,
    상기 제1 고정면부의 일측 단부에 인접한 제2 고정면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1 고정면부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 개방면부; 및
    상기 제1 고정면부의 타측 단부에 인접한 제2 고정면부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제1 고정면부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2 개방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면부 및 상기 제2 고정면부는 상기 고정구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고정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열된,
    정수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고정면은 곡선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개방면은 직선 형상을 가지는,
    정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제공되는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고정구에 고정되었을 때,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정수기.
  7. 물을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정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기는,
    물을 여과시킬 수 있는 필터를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
    상기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할 수 있는 가열장치;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가열장치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할 경우 상기 가열장치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방되는 밸브모듈;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지지되며, 상기 밸브모듈을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고정구가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고, 상기 고정구가 내측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고정구와 대향하는 밸브내주면을 가지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밸브모듈에 삽입되었을 때,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밸브내주면과 면접촉하는,
    정수기 조립체.
KR1020220067982A 2022-06-03 2022-06-03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KR20230167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982A KR20230167848A (ko) 2022-06-03 2022-06-03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982A KR20230167848A (ko) 2022-06-03 2022-06-03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848A true KR20230167848A (ko) 2023-12-12

Family

ID=89159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982A KR20230167848A (ko) 2022-06-03 2022-06-03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784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3253A (ko) 2015-11-30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3253A (ko) 2015-11-30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6550B2 (en) Integrated heat dissipating assembly
KR102298981B1 (ko) 연소장치
US9958219B2 (en) Heat exchanger and dynamic baffle
JP6635747B2 (ja) 統合egrクーラー
JP6194309B2 (ja) 排気熱回収装置
JP6173932B2 (ja) 熱電発電装置
CN107782171B (zh) 热交换器以及热水器
JP2009299679A (ja) 一体型冷却材ポンピング・モジュール
US20170138633A1 (en) Electric heating device for heating fluids
JP4891617B2 (ja) 水冷式ヒートシンク
WO2022188567A1 (zh) 蒸汽发生器系统和衣物处理设备
US20100086396A1 (en) Dual inlet regenerative air pump
KR20230167848A (ko) 정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조립체
KR20190017461A (ko)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JP2017225926A (ja) イオン交換器
AU2015235704B2 (en) Engine coolant circuit
US20180347431A1 (en) Heat exchanger and waste heat recovery structure
JP6862319B2 (ja) イオン交換器
JP6687649B2 (ja) 排気熱回収装置
KR101990441B1 (ko) 냉수탱크
KR101919412B1 (ko) 열교환기
KR20200074013A (ko) 열원기
CN108603687B (zh) 热交换器
KR20220025591A (ko) 정수기
KR101701354B1 (ko) 냉수탱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