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354B1 - 냉수탱크 - Google Patents

냉수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354B1
KR101701354B1 KR1020150000766A KR20150000766A KR101701354B1 KR 101701354 B1 KR101701354 B1 KR 101701354B1 KR 1020150000766 A KR1020150000766 A KR 1020150000766A KR 20150000766 A KR20150000766 A KR 20150000766A KR 101701354 B1 KR101701354 B1 KR 101701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ter
plate
inner spa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186A (ko
Inventor
조규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온텍
Priority to KR1020150000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3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수탱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수평연장부와 절곡연장부를 가지는 냉각유도확산판이 설치되며, 하우징 내부공간을 상호 연통되도록 분할하는 상부 분리판 및 하부 분리판이 구비됨으로써 내부로 유입된 물이 하향 안내되어 수평연장부와 절곡연장부를 거치면서 2중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냉각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유입된 물에 대한 더욱 신속한 냉각처리가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최적의 냉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아울러 유입된 물에 대한 하향 안내되어 수평연장부와 절곡연장부를 거치면서 2중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더욱 신속한 냉각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일시에 많은 양의 물을 빼낸 후에도 단시간 내에 신속히 냉각된 최적의 냉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수탱크{Cold water tank}
본 발명은 냉수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 내부에 수평연장부와 절곡연장부를 가지는 냉각유도확산판이 설치되며, 하우징 내부공간을 상호 연통되도록 분할하는 상부 분리판 및 하부 분리판이 구비됨으로써 내부로 유입된 물이 하향 안내되어 수평연장부와 절곡연장부를 거치면서 2중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냉각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유입된 물에 대한 더욱 신속한 냉각처리가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최적의 냉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아울러 일시에 많은 양의 물을 빼낸 후에도 단시간 내에 신속히 냉각된 최적의 냉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냉수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기, 정수기, 이온수기와 같은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에 적용되는 냉수탱크는 내부로 유입된 물을 냉각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수탱크가 수처리 기기에 적용된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처리 기기(10)에 적용된 종래기술에 따른 냉수탱크(20)는 수도전과 같은 원수공급부에 연결되어 원수를 냉수탱크(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입수관(30)과, 냉수탱크(20)에서 냉각된 냉수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조리수 밸브(50)와 연결된 출수관(40)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냉수탱크(20)는 냉수탱크(20)에 유입되는 원수의 압력이 높은 경우, 원수의 유입속도가 빠르므로 탱크 내부에서 충분한 냉각시간 동안 머무르지 못하고 출수관(40)으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냉수탱크(20)에서 이미 냉각된 냉수와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원수가 혼합되어 출수되면, 출수되는 냉수의 온도가 상승하여 사용자에게는 원하는 온도의 냉수가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아울러, 소형화된 직수식 수처리 기기(10)의 경우에는 많은 양의 냉수를 장시간 동안 보관하며 냉각시키는 방식보다 원수의 냉각시간이 짧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요구가 큰 실정이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냉수탱크(20)는 내부에서 차가운 물이 탱크의 하단부에 존재하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물은 탱크의 상단부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수탱크(20)는 원수와 탱크 하단부에 존재하는 냉수가 혼합되고, 탱크 상단부에 존재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냉수가 추출되므로, 하단부에 존재하는 냉수를 상승한 온도만큼 다시 냉각시켜야 하기 때문에, 냉수탱크(20)의 냉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다시 말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냉수탱크(20)는 냉수탱크(20) 내에 유입되어 배출되는 물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고르게 냉각되도록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내부로 유입된 물이 하향 안내되면서 2중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냉각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유입된 물에 대한 더욱 신속한 냉각처리가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최적의 냉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아울러 유입된 물에 대한 하향 안내되면서 2중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더욱 신속한 냉각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일시에 많은 양의 물을 빼낸 후에도 단시간 내에 신속히 냉각된 최적의 냉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냉수탱크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수평연장부와 절곡연장부를 가지는 냉각유도확산판이 설치되며, 하우징 내부공간을 상호 연통되도록 분할하는 상부 분리판 및 하부 분리판이 구비됨으로써 내부로 유입된 물이 하향 안내되어 수평연장부와 절곡연장부를 거치면서 2중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냉각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유입된 물에 대한 더욱 신속한 냉각처리가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최적의 냉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냉수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유입된 물에 대한 하향 안내되어 수평연장부와 절곡연장부를 거치면서 2중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더욱 신속한 냉각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일시에 많은 양의 물을 빼낸 후에도 단시간 내에 신속히 냉각된 최적의 냉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는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에 적용되어 내부로 유입된 물을 임시로 저장하면서 냉각시키는 냉수탱크에 있어서, 밀폐된 후방 상측에 외부로부터 정수 처리된 물이 유입되는 입수관이 구비되고, 전방이 개방되어 개방된 내부공간의 상부 일정공간을 중앙부분과 분할시키되 일측에 결착홈이 형성된 상부 분리판이 구비되어 내부공간이 분할되며, 상기 입수관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하향 안내되도록 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전방을 덮는 커버로 구성된 수조;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하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거리 떨어져 장착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대하여 상기 상부 분리판과 함께 상부, 중앙, 하부로 분할시키되, 중앙과 하부가 분할되도록 하는 하부 분리판; 상단이 밀폐되고 하단이 개방되어 하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 분리판 중앙부분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토록 고정되는 출수 안내관; 상기 출수 안내관의 상기 하부 분리판 상측 테두리를 감싸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분리판의 결착홈에 결착고정되는 결착판; 및 상기 하우징의 저면으로부터 일정길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출수 안내관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단이 상기 출수 안내관의 밀폐된 저면과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상기 출수 안내관의 개방된 하단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 안내하는 출수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외측 저면에 상기 출수관이 결합고정되는 결합구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출수관은 "L"자 형으로 절곡되어 하부 일단이 수처리 기기의 전해조유닛과 연결되는 출수라인과, 상단이 상기 출수 안내관의 밀폐된 저면과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도록 상기 출수라인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출수관은 상기 출수라인의 상기 연장라인과 연결되는 상단부 둘레를 따라 링 타입의 결합돌부가 다수 개로 외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부 사이에 패킹이 삽입고정되어 상기 출수라인의 상단부인 상기 결합돌부 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결합구 내에 삽입고정되는 한편, 상기 결합돌부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결합돌부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결합구 저면에 결합고정되는 고정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결합구 상에 고정설치됨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하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거리 떨어져 상기 하부 분리판이 장착고정되되 상기 하부 분리판의 둘레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내면에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부 분리판의 둘레와 대응되어 내부공간 하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거리 떨어진 내면에 장착가이드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입수관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내부공간의 상부 후방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안내된 후에 상기 상부 분리판의 상부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입수관과 연통되어 내부공간 상측에 단면이 "U"자 형상을 가지는 유입가이드가 형성됨이 양호하다.
아울러, 상기 입수관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상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상부 분리판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분리판과 상기 하부 분리판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상부 분리판은 후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유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한편, 상기 유통홀을 통하여 상기 상부 분리판과 상기 하부 분리판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하부 분리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바닥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분리판은 후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유통공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조는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전방이 상기 커버로 덮이도록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분과 상기 커버의 사이를 통하여 누수가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테두리와 상기 커버의 내면 테두리 사이에 실링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전방을 덮도록 구성됨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외면에 밀착되는 냉 전도판의 일면이 흡열 측에 밀착되는 열전소자가 열전소자 하우징의 중앙에 삽입설치되며,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 측에 열 전도판이 밀착되는 열전소자유닛이 상기 수조의 커버 외면에 밀착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열 전도판으로부터 발열되는 열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방열핀이 상기 열전소자유닛의 상기 열 전도판 일면에 밀착설치됨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고정브래킷을 통하여, 냉각유도확산판이 상기 커버가 개재되어 상기 열전소자유닛과 고정설치되는 한편, 상기 냉각유도확산판은 상기 수조의 커버 내면 중앙에 상기 냉 전도판의 면적과 대응되어 밀착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공간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수평연장부와, 상기 수평연장부와 대향되어 상기 베이스의 하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일정길이 연장된 후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중앙 측으로 직교하여 절곡 연장되는 절곡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가 상기 고정브래킷을 통하여 상기 커버가 개재되어 상기 열전소자유닛과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냉각유도확산판의 수평연장부는 일측으로부터 상부 삽입홈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상부 삽입홈 상에 상기 출수 안내관의 상부 외면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상부 분리판 상부의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냉각유도확산판의 절곡연장부는 일측으로부터 하부 삽입홈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하부 삽입홈 상에 상기 출수 안내관의 하부 외면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하부 분리판 하부의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에 배치됨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우징 내부에 수평연장부와 절곡연장부를 가지는 냉각유도확산판이 설치되며, 하우징 내부공간을 상호 연통되도록 분할하는 상부 분리판 및 하부 분리판이 구비됨으로써 내부로 유입된 물이 하향 안내되어 수평연장부와 절곡연장부를 거치면서 2중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냉각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유입된 물에 대한 더욱 신속한 냉각처리가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최적의 냉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유입된 물에 대한 하향 안내되어 수평연장부와 절곡연장부를 거치면서 2중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더욱 신속한 냉각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일시에 많은 양의 물을 빼낸 후에도 단시간 내에 신속히 냉각된 최적의 냉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수탱크가 수처리 기기에 적용된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가 적용되는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가 적용되는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에서의 요부인 열전소자유닛을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가 적용되는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가 적용되는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가 적용되는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에서, 냉수탱크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가 적용되는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에 대한 전해조와 연결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가 적용되는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가 적용되는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에서의 요부인 열전소자유닛을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가 적용되는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가 적용되는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가 적용되는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에서, 냉수탱크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가 적용되는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에 대한 전해조와 연결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수탱크는 냉온수기, 정수기, 이온수기와 같은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내부로 유입된 물을 임시로 저장하면서 냉각시켜 사용자에게 냉수를 마실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는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에 적용되는 것이며, 이러한 냉수탱크는 크게 분류하면, 수조(100), 하부 분리판(200), 출수 안내관(300), 결착판(310), 및 출수관(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조(100)는 하우징(110)과 커버(120) 및 후술될 실링부재(1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은 밀폐된 후방 상측에 외부로부터 정수 처리된 물이 유입되는 입수관(111)이 구비되고, 전방이 개방되어 개방된 내부공간의 상부 일정공간을 중앙부분과 분할시키되 일측에 결착홈(114)이 형성된 상부 분리판(113)이 구비되어 내부공간이 분할되며, 상기 입수관(111)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하향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전방을 덮는 것으로, 그의 테두리 부분이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테두리와 맞닿도록 하여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하여 밀착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수조(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전방이 상기 커버(120)로 덮이도록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부분과 상기 커버(120)의 사이를 통하여 누수가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테두리와 상기 커버(120)의 내면 테두리 사이에 실링부재(130)가 개재되어 상기 커버(120)가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전방을 덮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 분리판(200)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하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거리 떨어져 장착고정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 대하여 상기 상부 분리판(113)과 함께 상부, 중앙, 하부로 분할시키되, 중앙과 하부가 분할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출수 안내관(300)은 상단이 밀폐되고 하단이 개방되어 하단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 분리판(200) 중앙부분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토록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착판(310)은 상기 출수 안내관(300)의 상기 하부 분리판(200) 상측 테두리를 감싸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분리판(113)의 결착홈(114)에 결착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출수관(400)은 상기 하우징(11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길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출수 안내관(300)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단이 상기 출수 안내관(300)의 밀폐된 저면과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상기 출수 안내관(300)의 개방된 하단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 안내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에서, 특히 상기 하우징(110)은 외측 저면에 상기 출수관(400)이 결합고정되는 결합구(117)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출수관(400)은 "L"자 형으로 절곡되어 하부 일단이 수처리 기기의 전해조유닛(10)과 연결되는 출수라인(410)과, 상단이 상기 출수 안내관(300)의 밀폐된 저면과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도록 상기 출수라인(410)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라인(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해조유닛(10)은 통상의 이온수기와 같은 수처리 기기에서, 냉수탱크를 거친 물이 유입되어 이온수로 전환되도록 하는 구성이며, 이는 일측에 전해조(11)가 구비되어 상기 출수라인(41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유입되어 상기 전해조(11)를 거친 후 이온수(산성 이온수, 알칼리성 이온수)가 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출수관(400)은 상기 출수라인(410)의 상기 연장라인(420)과 연결되는 상단부 둘레를 따라 링 타입의 결합돌부(411)가 다수 개로 외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부(411) 사이에 패킹(415)이 삽입고정되어 상기 출수라인(410)의 상단부인 상기 결합돌부(411) 부분이 상기 하우징(110)의 결합구(117) 내에 삽입고정된다.
더욱이, 상기 출수관(400)은 상기 결합돌부(411)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결합돌부(411)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결합구(117) 저면에 결합고정되는 고정구(118)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결합구(117) 상에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하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거리 떨어져 상기 하부 분리판(200)이 장착고정되되 상기 하부 분리판(200)의 둘레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내면에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하부 분리판(200)의 둘레와 대응되어 내부공간 하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거리 떨어진 내면에 장착가이드(115)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에서,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입수관(111)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내부공간의 상부 후방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안내된 후에 상기 상부 분리판(113)의 상부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입수관(111)과 연통되어 내부공간 상측에 단면이 "U"자 형상을 가지는 유입가이드(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입수관(111)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상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상부 분리판(113)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분리판(113)과 상기 하부 분리판(20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상부 분리판(113)은 후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유통홀(113a)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유통홀(113a)을 통하여 상기 상부 분리판(113)과 상기 하부 분리판(20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하부 분리판(20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바닥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분리판(200)은 후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유통공(210)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는 열전소자유닛(500)이 상기 수조(100)의 커버(120) 외면에 밀착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열전소자유닛(500)은 상기 커버(120)의 외면에 밀착되는 냉 전도판(530)의 일면이 흡열 측에 밀착되는 열전소자(521)가 열전소자 하우징(520)의 중앙에 삽입설치되며, 상기 열전소자(521)의 발열 측에 열 전도판(510)이 밀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는 상기 열 전도판(510)으로부터 발열되는 열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방열핀(800)이 상기 열전소자유닛(500)의 상기 열 전도판(510) 일면에 밀착설치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고정브래킷(700)을 통하여, 냉각유도확산판(600)이 상기 커버(120)가 개재되어 상기 열전소자유닛(500)과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냉각유도확산판(600)과 상기 열전소자유닛(500)이 상기 고정브래킷(700)을 통하여 고정설치될 때, 상기 고정브래킷(700)과 함께 고정볼트 등의 고정수단(미도시)을 통하여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냉각유도확산판(600)과 상기 열전소자유닛(500)이 상기 고정브래킷(700)과 고정수단(미도시)을 통하여 고정설치될 때, 상기 고정브래킷(700), 고정수단을 통하여 상기 열전소자유닛(500)의 일측에 상기 방열핀(800)이 더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냉각유도확산판(600)은 상기 수조(100)의 커버(120) 내면 중앙에 상기 냉 전도판(530)의 면적과 대응되어 밀착고정되는 베이스(610)와, 상기 베이스(610)의 상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 상부공간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수평연장부(620)와, 상기 수평연장부(620)와 대향되어 상기 베이스(610)의 하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일정길이 연장된 후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중앙 측으로 직교하여 절곡 연장되는 절곡연장부(6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610)가 상기 고정브래킷(700)을 통하여 상기 커버(120)가 개재되어 상기 열전소자유닛(500)과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연장부(620)는 상기 베이스(610)의 상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 상부공간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610)의 상단으로부터 각이진 역 "U"자 형상으로 절곡된 후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연장부(630)의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중앙 측으로 직교하여 절곡 연장되는 상단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경우에 상기 하부 분리판(20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지도록 절곡 연장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냉각유도확산판(600)의 수평연장부(620)는 일측으로부터 상부 삽입홈(621)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상부 삽입홈(621) 상에 상기 출수 안내관(300)의 상부 외면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상부 분리판(113) 상부의 상기 하우징(110) 내부공간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냉각유도확산판(600)의 절곡연장부(630)는 일측으로부터 하부 삽입홈(631)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하부 삽입홈(631) 상에 상기 출수 안내관(300)의 하부 외면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하부 분리판(200) 하부의 상기 하우징(110) 내부공간에 배치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는 상기 방열핀(800) 일측에 상기 방열핀(800)을 통하여 방출되는 열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팬(900)이 더 설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열팬(900)이 더 설치고정됨으로써 상기 방열팬(900)을 통하여 상기 열전소자유닛(500)의 열 전도판(510)의 열에 대한 외부로의 방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상기 수평연장부(620)와 절곡연장부(630)를 가지는 냉각유도확산판(600)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10) 내부공간을 상호 연통되도록 분할하는 상부 분리판(113) 및 하부 분리판(200)이 구비됨으로써 내부로 유입된 물이 하향 안내되어 수평연장부(620)와 절곡연장부(630)를 거치면서 2중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냉각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유입된 물에 대한 더욱 신속한 냉각처리가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최적의 냉수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유입된 물에 대한 하향 안내되어 수평연장부(620)와 절곡연장부(630)를 거치면서 2중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더욱 신속한 냉각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일시에 많은 양의 물을 빼낸 후에도 단시간 내에 신속히 냉각된 최적의 냉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수조
110: 하우징 111: 입수관
112: 유입가이드 113: 상부 분리판
113a: 유통홀 114: 결착홈
115: 장착가이드 117: 결합구
118: 고정구
120: 커버 130: 실링부재
200: 하부 분리판 210: 유통공
300: 출수 안내관 310: 결착판
400: 출수관
410: 출수라인 411: 결합돌부
415: 패킹 420: 연장라인
500: 열전소자유닛
510: 열 전도판 520: 열전소자 하우징
521: 열전소자 530: 냉 전도판
600: 냉각유도확산판
610: 베이스 620: 수평연장부
621: 상부 삽입홈 630: 절곡연장부
631: 하부 삽입홈
700: 고정브래킷 800: 방열핀
900: 방열팬
10: 전해조유닛 11: 전해조

Claims (11)

  1.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에 적용되어 내부로 유입된 물을 임시로 저장하면서 냉각시키는 것으로, 밀폐된 후방 상측에 외부로부터 정수 처리된 물이 유입되는 입수관(111)이 구비되고, 전방이 개방되어 개방된 내부공간의 상부 일정공간을 중앙부분과 분할시키되 일측에 결착홈(114)이 형성된 상부 분리판(113)이 구비되어 내부공간이 분할되며, 상기 입수관(111)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하향 안내되도록 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전방을 덮는 커버(120)로 구성된 수조(10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하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거리 떨어져 장착고정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 대하여 상기 상부 분리판(113)과 함께 상부, 중앙, 하부로 분할시키되, 중앙과 하부가 분할되도록 하는 하부 분리판(200); 상단이 밀폐되고 하단이 개방되어 하단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 분리판(200) 중앙부분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토록 고정되는 출수 안내관(300); 상기 출수 안내관(300)의 상기 하부 분리판(200) 상측 테두리를 감싸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분리판(113)의 결착홈(114)에 결착고정되는 결착판(310); 및 상기 하우징(11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길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출수 안내관(300)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단이 상기 출수 안내관(300)의 밀폐된 저면과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상기 출수 안내관(300)의 개방된 하단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 안내하는 출수관(400)을 포함하되, 상기 커버(120)의 외면에 밀착되는 냉 전도판(530)의 일면이 흡열 측에 밀착되는 열전소자(521)가 열전소자 하우징(520)의 중앙에 삽입설치되며, 상기 열전소자(521)의 발열 측에 열 전도판(510)이 밀착되는 열전소자유닛(500)이 상기 수조(100)의 커버(120) 외면에 밀착설치되는 냉수탱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고정브래킷(700)을 통하여, 냉각유도확산판(600)이 상기 커버(120)가 개재되어 상기 열전소자유닛(500)과 고정설치되고, 상기 냉각유도확산판(600)은 상기 수조(100)의 커버(120) 내면 중앙에 상기 냉 전도판(530)의 면적과 대응되어 밀착고정되는 베이스(610)와, 상기 베이스(610)의 상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 상부공간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수평연장부(620)와, 상기 수평연장부(620)와 대향되어 상기 베이스(610)의 하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일정길이 연장된 후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중앙 측으로 직교하여 절곡 연장되는 절곡연장부(6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610)가 상기 고정브래킷(700)을 통하여 상기 커버(120)가 개재되어 상기 열전소자유닛(500)과 고정설치되는 한편,
    상기 냉각유도확산판(600)의 수평연장부(620)는 일측으로부터 상부 삽입홈(621)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상부 삽입홈(621) 상에 상기 출수 안내관(300)의 상부 외면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상부 분리판(113) 상부의 상기 하우징(110)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냉각유도확산판(600)의 절곡연장부(630)는 일측으로부터 하부 삽입홈(631)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하부 삽입홈(631) 상에 상기 출수 안내관(300)의 하부 외면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하부 분리판(200) 하부의 상기 하우징(110) 내부공간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외측 저면에 상기 출수관(400)이 결합고정되는 결합구(117)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출수관(400)은 "L"자 형으로 절곡되어 하부 일단이 수처리 기기인 정수기의 전해조유닛(10)과 연결되는 출수라인(410)과, 상단이 상기 출수 안내관(300)의 밀폐된 저면과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도록 상기 출수라인(410)의 상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라인(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관(400)은 상기 출수라인(410)의 상기 연장라인(420)과 연결되는 상단부 둘레를 따라 링 타입의 결합돌부(411)가 다수 개로 외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부(411) 사이에 패킹(415)이 삽입고정되어 상기 출수라인(410)의 상단부인 상기 결합돌부(411) 부분이 상기 하우징(110)의 결합구(117) 내에 삽입고정되는 한편,
    상기 결합돌부(411)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결합돌부(411)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결합구(117) 저면에 결합고정되는 고정구(118)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결합구(117) 상에 고정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하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거리 떨어져 상기 하부 분리판(200)이 장착고정되되 상기 하부 분리판(200)의 둘레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내면에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하부 분리판(200)의 둘레와 대응되어 내부공간 하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거리 떨어진 내면에 장착가이드(115)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입수관(111)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내부공간의 상부 후방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안내된 후에 상기 상부 분리판(113)의 상부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입수관(111)과 연통되어 내부공간 상측에 단면이 "U"자 형상을 가지는 유입가이드(1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111)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상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상부 분리판(113)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분리판(113)과 상기 하부 분리판(20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상부 분리판(113)은 후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유통홀(113a)이 관통 형성되는 한편,
    상기 유통홀(113a)을 통하여 상기 상부 분리판(113)과 상기 하부 분리판(20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하부 분리판(20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 바닥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분리판(200)은 후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유통공(210)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전방이 상기 커버(120)로 덮이도록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부분과 상기 커버(120)의 사이를 통하여 누수가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테두리와 상기 커버(120)의 내면 테두리 사이에 실링부재(130)가 개재되어 상기 커버(120)가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전방을 덮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도판(510)으로부터 발열되는 열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방열핀(800)이 상기 열전소자유닛(500)의 상기 열 전도판(510) 일면에 밀착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000766A 2015-01-05 2015-01-05 냉수탱크 KR101701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766A KR101701354B1 (ko) 2015-01-05 2015-01-05 냉수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766A KR101701354B1 (ko) 2015-01-05 2015-01-05 냉수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186A KR20160084186A (ko) 2016-07-13
KR101701354B1 true KR101701354B1 (ko) 2017-02-01

Family

ID=56505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766A KR101701354B1 (ko) 2015-01-05 2015-01-05 냉수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546A (ko) 2020-04-22 2021-11-01 주식회사 다원물산 냉수탱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0870A (ko) * 2005-07-20 200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20076416A (ko) * 2010-12-29 2012-07-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KR101439831B1 (ko) * 2012-10-30 2014-09-15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546A (ko) 2020-04-22 2021-11-01 주식회사 다원물산 냉수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186A (ko)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619B1 (ko)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US7466550B2 (en) Integrated heat dissipating assembly
KR101898639B1 (ko) 냉수 공급장치의 수통구조
CN105308739A (zh) 液冷散热器
KR101668017B1 (ko) 정수기의 순간 냉온수 장치
KR101701354B1 (ko) 냉수탱크
KR101837618B1 (ko)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20190017461A (ko)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1791898B1 (ko) 중앙 냉각채널 형 열전발전 시스템
KR20130024592A (ko) 저장탱크
KR20140041103A (ko) 정수기의 냉수조
KR20140110824A (ko) 정수 공급 장치
KR101524924B1 (ko) 열전 모듈을 이용하는 냉각 탱크
KR101527543B1 (ko) 정수 공급 장치
KR200435182Y1 (ko) 온수 역류 저감 냉온수기
KR20160027722A (ko) 정수기용 온수 가열 장치
KR101665181B1 (ko) 열전냉각모듈을 이용한 냉각장치
KR101801247B1 (ko) 중앙 냉각채널 형 열전발전 및 배기열회수 통합 시스템
CN209314188U (zh) 油泵控制器散热结构
KR101501754B1 (ko) 정수 공급 장치
CN215219622U (zh) 一种用于笔记本电脑的散热装置
KR102354221B1 (ko) 냉수탱크
CN208094980U (zh) 一种电源外壳
CN219270685U (zh) 即热加热杯和热水设备
CN211406688U (zh) 一种散热装置及逆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