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592A - 저장탱크 - Google Patents

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592A
KR20130024592A KR1020110088131A KR20110088131A KR20130024592A KR 20130024592 A KR20130024592 A KR 20130024592A KR 1020110088131 A KR1020110088131 A KR 1020110088131A KR 20110088131 A KR20110088131 A KR 20110088131A KR 20130024592 A KR20130024592 A KR 20130024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inlet
storage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7617B1 (ko
Inventor
정웅
문현석
김규준
주우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8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6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24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2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steel or ferrous alloys
    • F28F21/083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steel or ferrous alloys from stainless st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5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copper or copper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3Mounting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저장탱크에 물이 유입될 때 유입된 물이 저장탱크에 이미 수용되어 있는 물과 급격히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저장탱크에 이미 수용되어 있는 물이 안정적으로 출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저장탱크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저장탱크는, 입수부와 출수부가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탱크 본체; 및 상기 탱크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입수부에서 유입된 유입수가 상기 탱크본체 내부에 수용된 저장수와 급격히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수 안정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장탱크{WATER TANK}
본 발명은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탱크에 물이 유입될 때 유입된 물이 저장탱크에 이미 수용되어 있는 물과 급격히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저장탱크에 이미 수용되어 있는 물이 안정적으로 출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저장탱크는 입수부에서 유입된 물을 수용하고, 출수부를 통하여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저장탱크로 유입되는 물이 저장탱크에 이미 수용되어 있는 물과 급격히 혼합되는 경우에는 최근에 유입된 물과 이미 수용되어 있는 물이 혼합되어 출수될 수 있다.
특히, 저장탱크가 냉수탱크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출수에 필요한 온도로 물을 냉각시켜 보관하게 되지만, 저장탱크로 유입되는 물(상온수)이 저장탱크 내부에 이미 수용되어 있던 물(냉수)과 급격히 혼합되는 경우에는 냉수가 출수되지 못하고 상온수와 냉수가 혼합된 물이 출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의 비중을 이용하여 저장탱크의 하측에서 물을 출수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지만, 유입되는 상온수의 흐름(또는 낙하)에 의한 물의 혼합 및 대류에 의한 물의 섞임으로 인해 안정적인 냉수의 추출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직수식 저장탱크의 경우에는 냉수를 추출하는 경우 계속하여 상온수가 공급되므로 냉수를 다량 추출하는 경우 저장탱크에 수용된 냉수와 저장탱크로 새로 유입되는 상온수가 상당 부분 섞이게 되어 일정량 추출 이후에는 설정온도 이하의 냉수의 추출이 사실상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냉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냉수탱크) 뿐만 아니라 온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온수탱크)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탄산수나 산소수 등과 같이 저장탱크에 수용된 물이 충분한 기능을 유지하면서 출수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장탱크의 탱크본체로 유입되는 유입수가 탱크본체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저장수와 급격히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탱크본체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저장수를 안정적으로 출수할 수 있는 저장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유입수와 저장수의 혼합을 지연시킬 수 있는 구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저장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저장탱크가 냉수탱크로 사용되는 경우 유입수가 냉각부를 통하여 충분히 냉각된 후에 출수될 수 있는 저장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저장탱크가 냉수탱크로 사용되는 경우 냉각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저장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입수부와 출수부가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탱크 본체; 및 상기 탱크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입수부에서 유입된 유입수가 상기 탱크본체 내부에 수용된 저장수와 급격히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수 안정화수단;을 포함하는 저장탱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입수 안정화수단은 유입수가 유입되는 유입수 공간을 저장수가 수용된 저장수 공간과 구분하되, 상기 유입수 공간과 저장수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개구가 형성된 격벽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유입수 안정화수단은 상기 유입수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입수부를 통하여 유입된 유입수가 충돌하는 혼합지연판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입수부와 출수부가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탱크 본체; 및 상기 탱크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입수부에서 유입된 유입수가 상기 탱크본체 내부에 수용된 저장수와 급격히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수 안정화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수 안정화수단은, 상기 입수부로부터 유입된 유입수를 1차적으로 상기 탱크본체에 미리 수용된 저장수와 혼합을 지연시키는 혼합지연판과, 상기 혼합지연판을 거친 물을 2차적으로 상기 탱크본체에 미리 수용된 저장수와 혼합을 지연시키되, 유입수가 저장수와 혼합되게 하는 연통개구가 형성된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저장탱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혼합지연판은 상기 입수부에 구비된 입수구의 하측에 위치하는 중앙부가 하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입수부에 구비된 입수구와 상기 연통개구는 상기 탱크본체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반대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통개구는 상기 격벽부재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탱크 본체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합형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부재는 제1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합형에 의해 상기 유입수 공간과 저장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부재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는 밀폐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연통개구를 제외한 부분에서의 물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수부는 외부에서 유입된 물이 입수구를 통해 상기 탱크본체로 유입되기 전에 임시로 저장되는 버퍼공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버퍼공간부는 상기 입수구의 직상방 위치를 벗어난 위치에서 입수 파이프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입수구는 다수의 개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저장탱크는, 상기 탱크본체 내부에 수용된 물을 냉각하는 열전모듈을 구비하는 냉각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유입수가 상기 연통개구를 통하여 상기 열전모듈이 결합된 부분으로 흐르도록 상기 격벽부재의 연통개구는 상기 열전모듈이 결합된 부분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부는 상기 열전모듈과 접촉하는 콜드싱크에서 전달된 열을 상기 탱크본체 내부에 수용된 물에 전달하도록 상기 탱크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금속재질의 열전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격벽부재의 연통개구는 상기 열전도 부재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도 부재와 상기 콜드싱크 사이에 위치하는 탱크본체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저장탱크는, 상기 제2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탱크본체 내부에 수용된 물을 냉각하는 열전모듈을 구비하는 냉각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몸체는 이종금속이 접합된 클래딩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상기 제2 몸체는 내부가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고, 외부가 알루미늄 또는 구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수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탱크본체의 상부로 공급되며, 상기 출수부에서 출수되는 물은 상기 탱크본체의 하부에서 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탱크의 탱크본체로 유입되는 유입수가 유입수 안정화 수단을 통해 안정화된 상태에서 저장수와 혼합되게 하고 탱크본체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저장수와 급격히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탱크본체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저장수를 안정적으로 출수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유입수 안정화 수단을 구성하는 격벽부재가 유입수 공간과 저장수 공간을 구획함으로써 저장수가 유입수와 급격히 혼합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유입수 안정화 수단을 혼합지연판 및 격벽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유입수와 저장수의 급격한 혼합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입수부에 버퍼공간부를 설치하거나 입수구를 다수의 개구로 구성함으로써 탱크본체에 유입되는 물이 안정화된 상태에서 공급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직수식 저장탱크의 경우에는 저장수(냉수)를 추출하는 경우 계속하여 유입수(상온수)가 공급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수 안정화수단을 통하여 유입수와 저장수의 급격한 혼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탱크본체를 제1 몸체와 제2 몸체로 구성함으로써 유입수와 저장수의 혼합을 지연시키거나 유입수의 흐름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유입수 안정화 수단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탱크를 냉수탱크로 사용하는 경우 격벽부재의 연통개구를 통하여 저장수와 섞이는 유입수를 냉각부를 통해 냉각하도록 함으로써 유입수를 충분히 냉각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탱크본체의 내부에 열전모듈의 냉각열을 전달하는 열전도부재가 설치되는 경우 격벽부재의 연통개구를 통하여 저장수 공간에 유입되는 유입수가 열전도부재 위로 공급됨으로써 유입수의 냉각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탱크본체를 제1 몸체와 제2 몸체로 형성하는 경우, 제2 몸체에 냉각부를 연결시킴과 동시에 금속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냉각효율 및 조립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제1 몸체를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제1 몸체를 통한 열교환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몸체를 이종금속이 접합된 클래딩 구조로 형성하는 경우, 제2 몸체의 외부(외측면)를 알루미늄이나 구리와 같이 열전도 특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하고, 내부(내측면)를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이 물에 안정적인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냉각효과와 안전한 물의 수용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저장탱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장탱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저장탱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탱크본체의 제1 몸체의 후면도.
도 5는 도 4의 좌측 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탱크본체의 제1 몸체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탱크본체의 제1 몸체 중 일부를 절개하여 내부 구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저장탱크를 부분 절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저장탱크의 부분 절개 사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가지다(갖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7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저장탱크(100)는 물이 수용되는 탱크본체(200)와, 상기 탱크본체(200)로 유입되는 유입수를 안정화시켜 탱크본체(200)에 수용되어 있는 저장수와 급격히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수 안정화수단(400)을 포함하며, 탱크본체(200)에 수용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30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 1, 도 2 등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저장탱크(100)가 냉각부(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한 저장탱크(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부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다.
먼저, 상기 탱크본체(20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탱크본체(20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입수부(230)와 탱크본체(200)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출수부(240)가 설치된다.
이러한 탱크본체(200)의 형상이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입수 안정화수단(4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및/또는 열전도 및 단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2 이상의 몸체로 분할된 후 합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탱크본체(200)는는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합형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전후 방향으로 분할된 후 합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분할 방향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가 합형될 때 결합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기 않도록 밀폐부재(25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밀폐부재(250)는 제1 몸체(210)의 밀폐부재 안착개구(215)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는 다수의 체결부(217, 227)에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를 체결함으로써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부(217, 227)는 탱크본체(200) 내부의 압력이나 탱크본체(200)의 형상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적당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탱크본체(200)의 입수부(230)는 탱크본체(200)의 제1 몸체(210)의 상부에 형성된 입수구(231)를 포함한다. 이러한 입수구(231)는 다수의 개구(232)로 형성되어 입수파이프(238)로부터 유입된 물을 안정화시킨 상태에서 탱크본체(200)에 유입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수부(230)에는 버퍼공간부(2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공간부(235)는 탱크본체(200)로 유입수가 유입되기 전에 입수 파이프(238)로부터 공급된 물이 버퍼공간부(235)에 수용된 물과 혼합되어 안정화된 상태에서 탱크본체(2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버퍼공간부(235)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입수부(230)는 탱크본체(200)의 상면으로 돌출된 돌출부(23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입수파이프(238)를 통해 유입된 물이 입수구(231)로 직접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고 버퍼공간부(235)에서 유입수의 안정화를 효율적으로 도모하기 위하여 상기 버퍼공간부(235)는 입수구(231)의 직상방 위치를 벗어난 위치에서 입수 파이프(238)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버퍼공간부(235)의 상면은 덮개판(237)을 통하여 폐쇄되며, 돌출부(233)와 덮개판(237) 사이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오링과 같은 밀봉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237)은 체결부(234)에 의해 탱크본체(2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탱크본체(200)의 출수부(240)는 탱크본체(200)의 제1 몸체(210)의 상부에 형성된 출수구(241)를 포함한다. 이러한 출수부(240)도 입수부(230)와 유사하게 버퍼공간부(24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퍼공간부(245)의 측면은 돌출부(243)에 의해 형성되고 상면은 덮개판(247)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판(247)은 오링과 같은 밀봉부재를 개재한 상태에서 체결부(244)에 의해 탱크본체(2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출수부(240)는 탱크본체(200)의 하부에서 물이 유출될 수 있도록 탱크본체(200)의 하부로 연장되는 출수안내관(246)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출수안내관(246)을 통하여 출수되는 물은 출수구(241) 및 버퍼공간부(245) 및 출수파이프(248)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탱크본체(200)에는 탱크본체(200)에 물이 유입될 때 탱크본체(200)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에어배출용 체크밸브(5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에어배출용 체크밸브(500)는 출수부(240)에 형성된 체크밸브 안착구(249)에 설치될 수 있으나, 그 설치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저장탱크(100)가 직수식 탱크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에어배출용 체크밸브(500)는 탱크본체(200) 내부에 물이 유입될 때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탱크본체(200)의 내부 압력에 의해 물이 원활히 유입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입수파이프(238)와 출수파이프(248)는 덮개판(237, 247)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물의 입출입이 가능하다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니플이나 별도의 호스로 구성되는 것도 모두 입수파이프(238)와 출수파이프(248)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탱크본체(200)에는 탱크본체(20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260)가 장착될 수 있고, 탱크본체(20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하여 탱크본체(200)의 하부에는 드레인부(27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저장탱크(100)는 냉수탱크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수탱크로 사용되는 저장탱크(100)는 낮은 온도의 물이 저장탱크(100)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출수안내관(246)을 통하여 탱크본체(200)의 하부에서 물이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수되는 물이 하부에 위치하는 낮은 온도의 물과 급격히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즉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입수부(230)로 유입된 물은 상기 탱크본체(200)의 상부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입수부(230)와 출수부(240) 사이에는 출수 단열부재(28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출수 단열부재(280)는 입수부(230)와 출수부(240) 사이의 열전달을 방지하여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기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저장탱크(100)에 구비되는 유입수 안정화수단(400)은 상기 탱크본체(200)에 구비되어 상기 입수부(230)에서 유입된 유입수가 상기 탱크본체(200) 내부에 수용된 저장수와 급격히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유입수 안정화수단(400)은 유입수가 최대한 안정화된 상태에서 저장수와 혼합되게 하고, 이로 인해 유입수와 저장수의 급격한 혼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입수 안정화수단(400)은 도 2,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유입수가 유입되는 유입수 공간(201)을 저장수가 수용된 저장수 공간(202)과 구분하되, 상기 유입수 공간(201)과 저장수 공간(202)을 연통시키는 연통개구(425)가 형성된 격벽부재(4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탱크본체(200)가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의 합형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상기 격벽부재(420)는 제1 몸체(21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격벽부재(420)는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의 합형에 의해 유입수 공간(201)과 저장수 공간(202)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격벽부재(420)를 통해 유입수 공간(201)과 저장수 공간(202)을 완전히 분리할 수있도록 격벽부재(420)와 제2 몸체(220) 사이에는 밀폐부재(420)가 구비되어 상기 연통개구(425)를 제외한 부분에서의 물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수 안정화수단(400)은 유입수 공간(201)에 설치되어 상기 입수부(230)를 통하여 유입된 유입수가 충돌하는 혼합지연판(41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혼합지연판(410)은 격벽부재(420)에 의해 형성되는 유입수 공간(201)으로 물이 유입될 때 곧바로 저장수 공간(202)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혼합지연판(410)은 유입수가 유입될 때 유입수가 1차적으로 충돌하면서 유속을 줄여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혼합지연판(410)은 입수부(230)에 구비된 입수구(231)의 하측에 위치하는 중앙부가 하측으로 절곡된 'V'자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혼합지연판(410)으로 낙하한 유입수를 임시로 가두도록 기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수 공간(201)과 저장수 공간(202)은 격벽부재(420)의 연통개구(425)를 통하여 물의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입수구(23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연통개구(425)를 통해 곧바로 유출되지 않도록,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부(230)에 구비된 입수구(231)와 연통개구(425)는 상기 탱크본체(200)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반대의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입수 공간(201)에 유입된 물이 연통개구(425)를 통해 바로 배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유입수 공간(201)의 상단, 즉 격벽부재(420)의 상단에 연통개구(42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격벽부재(420)의 상단에 연통개구(425)를 설치함으로써 유입된 물은 하측으로부터 차올라 연통개구(425)를 넘어서 저장수 공간(202)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입수부(230)에 버퍼공간부(235)가 형성되거나 입수구(231)가 복수의 개구(232)로 형성되는 경우, 유입수 안정화수단(400)에는 안정화된 유입수가 공급되므로 유입수 안정화 효과는 더욱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격벽부재(420)가 유입수 공간(201)과 저장수 공간(202)을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격벽부재(420)는 연통개구(425) 이외의 일측{예를 들어, 제2 몸체(220)에 인접한 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혼합지연판(410)은 입수부(230)로부터 유입된 유입수를 1차적으로 탱크본체(200)에 미리 수용된 저장수와 혼합을 지연시키게 되며, 상기 격벽부재(420)는 혼합지연판(410)을 거친 물을 2차적으로 탱크본체(200)에 미리 수용된 저장수와 혼합을 지연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저장탱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부(300)를 포함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본체(200) 내부에 수용된 물을 냉각하도록 냉각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부(300)는 열전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열전모듈(열전소자)(310)를 이용한 냉각부(300)는 열전모듈(열전소자)(310), 콜드싱크(콜드블럭)(330), 히트싱크(340) 및 팬(37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다양한 형상과 구조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냉각부(300)는 탱크본체(200)의 외면으로부터 순서대로, 열전모듈(310)로부터의 냉기를 탱크본체(200)에 수용되는 전달하는 콜드싱크(330), 전원인가에 의해 발열과 흡열이 발생하는 열전모듈(310), 방열부재(341)를 포함하는 히트싱크(340), 히트싱크(340)를 냉각하기 위한 팬(370)이 설치되며, 히트싱크(340)의 일측에는 히트싱크(340)의 온도를 감지하여 팬(370)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온도조절 스위치(38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콜드싱크(330)가 외부와 열교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콜드싱크(330)를 덮는 단열부재(3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부재(320)의 중앙에는 콜드싱크(3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조립개구(3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콜드싱크(330)의 체결홀(332)은 탱크본체(200)의 제2 몸체(220)와의 결합에 제공되며, 콜드싱크(330)의 체결홀(333)은 히트싱크(340)의 체결홀(342)에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콜드싱크(330), 열전모듈(310) 및 히트싱크(340)를 서로 결합하게 한다.
한편, 도 2,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부(300)는 탱크본체(200) 내부에 설치된 열전도부재(360) 및 상기 열전도부재(360)를 제2 몸체(220)에 부착하기 위한 연결부재(3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부재(360)는 열전모듈(310)과 접촉하는 콜드싱크(330)로부터의 냉기(냉열)를 탱크본체(200)에 수용된 물에 제공하기 위하여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전도부재(360)는 부식에 강하고 물을 오염시키지 않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러한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50)는 열전도부재(360)를 탱크본체(200) 외부의 콜드싱크(330)와 연결하게 된다. 이때, 열전도부재(360)를 탱크본체(200)를 개재하여 콜드싱크(330)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콜드싱크(330)로부터 탱크본체(200)를 관통하여 연결부재(350)까지 스크류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사용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가 탱크본체(200) 내부에 수용된 물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가 연결부재(35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연결부재(350)의 결합부분은 관통되지 않은 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탱크본체(200)가 제1 몸체(210)와 제2 몸체(220)로 구성되는 경우, 냉각부(30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몸체(220)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 몸체(220)는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몸체(220)는 이종금속이 접합된 클래딩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일 예로서, 내부(탱크본체의 내측면)가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고, 외부(탱크본체의 외측면)가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또는 구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21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제1 몸체(210)를 통한 열교환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단열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1 몸체(210)를 제2 몸체(220)보다 상대적으로 큰 형상으로 함으로써 제2 몸체(220)를 통한 열전달 효과 상승 및 제1 몸체(210)를 통한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몸체(210)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복잡한 형상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유입수 안정화수단(400) 등의 각종 구성을 손쉽게 형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저장탱크(100)가 냉각부(300)를 포함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수가 격벽부재(420)의 연통개구(425)를 통하여 열전모듈(310)이 결합된 부분으로 흐르도록 상기 격벽부재(420)의 연통개구(425)는 상기 열전모듈(310)이 결합된 부분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저장수 공간(202)에 유입된 유입수가 하측으로 이동하더라도 냉각부(300)에 의해 충분히 냉각될 수 있으므로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200) 내부에 열전도부재(36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격벽부재(420)의 연통개구(425)는 열전도부재(360)의 상부에 위치하여 유입수가 연통개구(425)를 통하여 열전도부재(360)와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저장탱크 200... 탱크본체
201... 유입수 공간 202... 저장수 공간
210... 제1 몸체 215... 밀폐부재 안착개구
217... 체결부 220... 제2 몸체
227... 체결부 230... 입수부
231... 입수구 232... 개구
233... 돌출부 234... 체결부
235... 버퍼공간부 237... 덮개판
238... 입수 파이프 240... 출수부
241... 출수구 243... 돌출부
244... 체결부 245... 버퍼공간부
246... 출수안내관 247... 덮개판
248... 출수 파이프 249... 체크밸브 안착구
250... 밀폐부재 260... 온도센서
270... 드레인부 280... 출수 단열부재
300... 냉각부 310... 열전모듈
320... 단열부재 321... 조립개구
330... 콜드싱크 332, 333... 체결홀
340... 히트싱크 341... 방열부재
342... 체결홀 350... 연결부재
360... 열전도부재 370 : 팬
380... 온도조절 스위치 400... 유입수 안정화 수단
410... 혼합지연판 420... 격벽부재
425... 연통개구 430... 밀폐부재
500... 에어배출용 체크밸브

Claims (20)

  1. 입수부와 출수부가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탱크 본체; 및
    상기 탱크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입수부에서 유입된 유입수가 상기 탱크본체 내부에 수용된 저장수와 급격히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수 안정화수단;
    을 포함하는 저장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 안정화수단은 유입수가 유입되는 유입수 공간을 저장수가 수용된 저장수 공간과 구분하되, 상기 유입수 공간과 저장수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개구가 형성된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 안정화수단은 상기 유입수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입수부를 통하여 유입된 유입수가 충돌하는 혼합지연판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4. 입수부와 출수부가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탱크 본체; 및
    상기 탱크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입수부에서 유입된 유입수가 상기 탱크본체 내부에 수용된 저장수와 급격히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수 안정화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수 안정화수단은,
    상기 입수부로부터 유입된 유입수를 1차적으로 상기 탱크본체에 미리 수용된 저장수와 혼합을 지연시키는 혼합지연판과,
    상기 혼합지연판을 거친 물을 2차적으로 상기 탱크본체에 미리 수용된 저장수와 혼합을 지연시키되, 유입수가 저장수와 혼합되게 하는 연통개구가 형성된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저장탱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지연판은 상기 입수부에 구비된 입수구의 하측에 위치하는 중앙부가 하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부에 구비된 입수구와 상기 연통개구는 상기 탱크본체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반대의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7.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개구는 상기 격벽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본체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합형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본체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합형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격벽부재는 제1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합형에 의해 상기 유입수 공간과 저장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재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는 밀폐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연통개구를 제외한 부분에서의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1.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부는 외부에서 유입된 물이 입수구를 통해 상기 탱크본체로 유입되기 전에 임시로 저장되는 버퍼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공간부는 상기 입수구의 직상방 위치를 벗어난 위치에서 입수 파이프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는 다수의 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4.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 내부에 수용된 물을 냉각하는 열전모듈을 구비하는 냉각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유입수가 상기 연통개구를 통하여 상기 열전모듈이 결합된 부분으로 흐르도록 상기 격벽부재의 연통개구는 상기 열전모듈이 결합된 부분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열전모듈과 접촉하는 콜드싱크에서 전달된 열을 상기 탱크본체 내부에 수용된 물에 전달하도록 상기 탱크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금속재질의 열전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격벽부재의 연통개구는 상기 열전도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부재와 상기 콜드싱크 사이에 위치하는 탱크본체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7.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탱크본체 내부에 수용된 물을 냉각하는 열전모듈을 구비하는 냉각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이종금속이 접합된 클래딩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내부가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고, 외부가 알루미늄 또는 구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2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탱크본체의 상부로 공급되며, 상기 출수부에서 출수되는 물은 상기 탱크본체의 하부에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KR1020110088131A 2011-08-31 2011-08-31 저장탱크 KR101837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131A KR101837617B1 (ko) 2011-08-31 2011-08-31 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131A KR101837617B1 (ko) 2011-08-31 2011-08-31 저장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592A true KR20130024592A (ko) 2013-03-08
KR101837617B1 KR101837617B1 (ko) 2018-03-13

Family

ID=4817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131A KR101837617B1 (ko) 2011-08-31 2011-08-31 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6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618B1 (ko) * 2013-10-22 2014-10-15 (주) 에타 물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온정수기
KR101501071B1 (ko) * 2013-06-28 2015-03-11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냉각장치
KR101524924B1 (ko) * 2013-08-02 2015-06-02 주식회사 동양매직 열전 모듈을 이용하는 냉각 탱크
KR101527460B1 (ko) * 2013-07-03 2015-06-10 주식회사 엠아이서진 냉각부재가 형성된 냉수탱크
KR20190133903A (ko) * 2018-05-24 2019-12-04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체토출모듈의 액체 저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1077A (en) 1994-05-27 1996-03-26 Springwell Dispensers, Inc. Thermoelectric water chiller
JP3641678B2 (ja) 1994-12-28 2005-04-27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電子冷却器および瞬冷サーバー
KR100205793B1 (ko) 1996-12-30 1999-07-01 배경석 냉각시스템 및 냉정수기
KR200208550Y1 (ko) * 1998-04-20 2001-01-15 김익홍 냉온수 리저브탱크
JP4714048B2 (ja) * 2006-03-10 2011-06-29 株式会社 エスト 冷水生成装置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冷温水サーバー
KR100836717B1 (ko) * 2006-12-05 2008-06-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냉온 탱크
JP4600537B2 (ja) * 2008-07-10 2010-1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ザーブタンク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071B1 (ko) * 2013-06-28 2015-03-11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냉각장치
KR101527460B1 (ko) * 2013-07-03 2015-06-10 주식회사 엠아이서진 냉각부재가 형성된 냉수탱크
KR101524924B1 (ko) * 2013-08-02 2015-06-02 주식회사 동양매직 열전 모듈을 이용하는 냉각 탱크
KR101450618B1 (ko) * 2013-10-22 2014-10-15 (주) 에타 물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온정수기
KR20190133903A (ko) * 2018-05-24 2019-12-04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체토출모듈의 액체 저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617B1 (ko) 201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619B1 (ko)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KR101439831B1 (ko) 냉수탱크
KR20130024592A (ko) 저장탱크
KR101286875B1 (ko) 열교환기
KR101898639B1 (ko) 냉수 공급장치의 수통구조
CN114601333B (zh) 饮水设备
CN210408115U (zh) 饮水机的冰胆组件和饮水机
CN114601336B (zh) 饮水设备
JP4725575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EP3043117B1 (fr) Distributeur de fluide caloporteur et installation comportant un tel distributeur
US7207182B1 (en) Swamp cooler cooling system
JP4082342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CN217013597U (zh) 饮水机
KR101701354B1 (ko) 냉수탱크
CN219165015U (zh) 冷却组件及基因测序仪
CN114601335B (zh) 储水装置及饮水设备
KR100556793B1 (ko) 냉장고의 측부냉기덕트
KR200313260Y1 (ko) 탈부착이 용이한 냉각저수통의 다단 분배판
CN213039343U (zh) 发动机机油冷却结构、发动机以及车辆
US20060060607A1 (en) Inner tank structure of drinking water dispenser
KR101278619B1 (ko) 압출 튜브를 이용한 내장형 오일쿨러
CN211316543U (zh) 相变热水器
CN109723867B (zh) 龙头
KR102090693B1 (ko) 냉온 매트용 냉온수 공급장치
KR20020029252A (ko) 빙축 열교환을 이용한 냉·정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