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824A - 정수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정수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0824A
KR20140110824A KR1020140109803A KR20140109803A KR20140110824A KR 20140110824 A KR20140110824 A KR 20140110824A KR 1020140109803 A KR1020140109803 A KR 1020140109803A KR 20140109803 A KR20140109803 A KR 20140109803A KR 20140110824 A KR20140110824 A KR 20140110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oling unit
flow path
air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6874B1 (ko
Inventor
박시준
가진성
노진환
문현석
김재만
이영재
모병선
김대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9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874B1/ko
Publication of KR20140110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냉각유닛의 냉기로 인해 장치의 외측면에 응결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 공급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정수 공급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냉각유닛; 및 외부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송풍시키는 송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냉각유닛과 상기 하우징 사이로 유입되어 단열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공기를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시켜, 장치 하우징(외관) 내외부의 공기의 온도차를 감소시킴으로써, 냉각유닛의 냉기에 의해 하우징에 응결수가 생성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 공급 장치{WATER PURIFICATION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정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유닛의 냉기로 인해 장치의 외측면에 응결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 공급 장치는 탱크에 저장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냉수기, 정수기 및 냉온정수기로 상품화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냉수기, 정수기 및 냉온정수기의 소형화에 중점을 둔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를 위해, 장치의 외관인 하우징을 최대한 소형화시키기 위한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장치를 소형화시키는 경우에는 냉수탱크 등의 냉각유닛과 하우징이 매우 근접하게 설계되며, 이로 인해 냉각유닛의 냉기가 하우징에 전달되어 하우징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온도가 달라지게 되고, 결국 하우징의 외측면에 응결수가 생성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외관이 큰 제품의 경우에는 장치 내부의 공간이 충분하여 보냉제를 이용하여 냉각유닛에 응결수가 생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나, 소형화된 제품의 경우에는 보냉제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정수 공급 장치에 채용되는 냉각유닛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부피의 소형화, 진동과 소음을 줄이고 디자인 측면을 고려해서, 최근에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전자냉각 방식의 냉각유닛이 소개된다. 열전소자(Thermo Electric Module)는 전원이 공급되면 일측은 냉각되고 타측은 발열되는 열펌프의 일종으로서, 콤프레샤 방식의 문제점인 부피가 크고, 무겁고, 진동과 소음이 심한 것과는 반대로 구성이 간단하고, 소형이며, 소음과 진동이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전자냉각 방식을 이용한 종래의 소형 정수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로서, 정수 공급 장치는 하우징(10)의 내측에 냉각유닛(20)이 장착되고, 냉각유닛(20)의 일측에는 냉각유닛(20)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열전소자(30)가 설치된다. 이때, 열전소자(30)의 흡열부(32)는 냉각유닛(20) 측으로, 발열부(34)는 하우징(10)의 후면으로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열전소자(30)의 발열부(34)를 냉각시키기 위한 송풍팬(40)이 하우징(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팬(40)은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열전소자(30)의 발열부(34)로 송풍함으로써 발열부(34)를 냉각시킨다.
이때, 발열부(34)를 냉각시킨 공기는 하우징(10)의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15)를 통해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하에서, 장치의 소형화를 위해 냉각유닛(20)과 하우징(10)은 양자 사이의 간격이 5mm 이내로 매우 근접하게 구성되며, 이때, 하우징(10)의 외측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유닛(20)의 냉기로 인한 응결수(W)가 생성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장치 하우징(외관) 내외부의 공기의 온도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정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냉각유닛의 냉기에 의해 하우징에 응결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별도의 송풍수단 없이 간단한 구조로 냉각유닛과 하우징을 단열시킬 수 있는 정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장치의 소형화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정수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공급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냉각유닛; 및 외부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송풍시키는 송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냉각유닛과 상기 하우징 사이로 유입되어 단열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공급 장치는, 외부 공기가 상기 냉각유닛과 상기 하우징 사이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로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공급 장치에서, 상기 유로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돌출편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공급 장치에서, 상기 유로가이드부는 상기 냉각유닛 측으로 갈수록 유로가 넓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공급 장치에서, 상기 유로가이드부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측 돌출편과 하측 돌출편을 구비하고, 상기 하측 돌출편은 상기 냉각유닛 측으로 갈수록 하향 절곡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공급 장치에서, 상기 유로가이드부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측 돌출편과 하측 돌출편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돌출편과 상기 하측 돌출편의 사이 간격은 상기 냉각유닛 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공급 장치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가이드부는 상기 배기부의 상기 냉각유닛 측 방향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공급 장치에서, 상기 유로가이드부는 상기 배기부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공급 장치에서, 상기 냉각유닛의 일측에는 상기 냉각유닛에 저장되는 물을 냉각시키는 열전소자가 구비되고,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부 방향으로 외부공기를 송풍하며, 상기 유로가이드부는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 중에서 일부의 공기를 상기 냉각유닛과 하우징 사이의 공간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공급 장치에서, 상기 하우징에는,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부를 냉각시키고 배출되는 배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로가이드부는 상기 배기부의 상기 냉각유닛 측 방향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공급 장치에서, 상기 냉각유닛은 냉수생성장치, 냉수탱크, 얼음생성장치 또는 얼음저장탱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공급 장치에서,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냉각유닛의 후면에 구비된 상기 열전소자에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유로가이드부는 상기 냉각유닛의 측면을 향해 유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공급 장치에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유로가이드 측의 일부분이 공기배출이 차단되도록 폐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공급 장치에서, 상기 단열 공기층은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를 저감시켜 응결수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공기를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장치 하우징(외관) 내외부의 공기의 온도차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냉각유닛과 하우징 사이의 공간에 단열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냉각유닛의 냉기에 의해 하우징에 응결수가 생성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송풍수단 없이 하우징에 형성되는 간단한 구조의 유로를 통해 열전소자를 냉각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송풍수단을 이용하여 냉각유닛과 하우징 사이의 공간에 단열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냉각유닛과 하우징 사이의 공간 크기에 따라 유동적으로 형성되는 단열 공기층을 이용하여 냉각유닛과 하우징을 단열시킬 수 있으므로, 장치의 소형화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전자냉각 방식을 이용한 종래의 정수 공급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공급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수 공급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정수 공급 장치의 하우징이 제거된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정수 공급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가지다(갖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수기로 구성된 정수 공급 장치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공급 장치는 정수기로 구성되는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공급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공급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측면도, 도 4는 하우징이 제거된 배면도, 도 5는 평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공급 장치(100)는 하우징(110), 냉각유닛(120), 송풍수단(130)을 포함하며, 유로가이드부(140) 및 열전소자(1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로가이드부(140) 및 열전소자(1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공급 장치(100)에 열전소자(150)를 이용한 전자냉각방식이 적용되는 경우에 포함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공급 장치(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하우징(11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추출할 수 있는 파우셋 또는 코크(119)가 구비될 수 있고, 파우셋 또는 코크(119)의 하방에는 물 추출시 유실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는 트레이(11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후방에는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시킬 수 있는 정수필터(1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하기 위하여 내부에 설치되는 전장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는 최소한의 부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유닛(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냉매등에 의한 냉기 또는 열전소자 등을 통해 냉수 또는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냉각유닛(120)은 도면에 도시되고 후술할 바와 같이 냉수탱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유닛(12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냉수생성장치나 냉수탱크 또는 얼음생성장치나 얼음저장탱크 등 냉매 등에 의한 냉기 또는 열전소자 등을 통해 냉수 또는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장치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냉각유닛(120)에서는 냉각수단을 통해 냉수 또는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유닛(120)에 사용되는 냉각수단으로는 공지의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수단(130)은 하우징(110)의 외부 공기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되어, 하우징(110)의 내외부 온도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공급 장치(100)는 상기 냉각유닛(120)과 같이 온도가 낮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요소들로 인하여 하우징(110)의 내부공기는 외부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가 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내부와 외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온도차가 큰 경우에 하우징(110)에 응결수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풍수단(130)은 하우징(110)의 외부공기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하우징(110)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의 온도차를 감소시켜 하우징(110)에 응결수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송풍수단(130)은 하우징(110)의 내부공기 냉각에 가장 큰 원인인 냉각유닛(120) 측으로 외부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송풍수단(130)이 냉각유닛(120)과 하우징(110) 사이의 공간에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풍수단(130)은 하우징(110)의 외부공기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송풍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공급 장치(100)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폭은 장치의 소형화를 위해 냉각유닛(120)의 폭보다 약간 더 크게 제작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하우징(110)에 장착된 냉각유닛(120)의 측면과 하우징(110)의 측면 사이의 간격은 일 예로서 2mm 내지 5mm로 좁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유닛(120)과 하우징(110)의 간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송풍수단(130)은 상기와 같이 근접해 있는 하우징(110)과 냉각유닛(120) 사이의 공간으로 외부공기를 송풍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측면과 냉각유닛(120)의 측면 사이의 공간에 외부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공기를 냉각유닛(120)과 하우징(110) 사이에 유입시키는 경우, 냉각유닛(120)과 하우징(110)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게 되고, 이러한 공기층은 냉각유닛(120)의 냉기가 하우징(1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 공기층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냉각유닛(120)의 냉기는 하우징(110)에 전달되지 않게 되어 하우징(110)의 내외측면에 온도차가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응결수가 생성되는 문제가 해결되게 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공급 장치(100)는 전자냉각방식을 사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열전소자(150) 및 유로가이드부(14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150)는 냉각유닛(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각유닛(120)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전소자(150)의 흡열부(152)는 냉각유닛(120) 내부의 열을 흡수할 수 있도록 냉각유닛(12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고, 발열부(154)는 흡열부(152)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흡열부(152)에서 흡수한 열에 의해 발열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발열부(154)는 열의 발산이 용이할 수 있도록 방열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열전소자(150)는 펠티에 효과에 의한 흡열 또는 발열을 이용한 것으로서, 통전시에 흡열부(152)에서는 흡열반응이 일어나고, 발열부(154)에서는 발열반응이 일어난다.
한편,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공급 장치(1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냉각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송풍수단(130)은 열전소자(150)의 발열부(154)를 냉각시키기 위해 열전소자(150) 방향으로 외부공기를 송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냉각유닛(120)의 후측면에는 열전소자(150)가 구비될 수 있고, 송풍수단(130)은 열전소자(150)의 후방에 배치되는 발열부(154)에 대향하여 하우징(110)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유로가이드부(140)는 상기 송풍수단(130)에 의해 유동되는 외부공기가 냉각유닛(120)과 하우징(11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외부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유로가이드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상측 돌출편(142) 및 하측 돌출편(14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유로가이드부(140)는 냉각유닛(120)의 측면 상단부에 구비되고, 냉각유닛(120)의 측면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측면 전체에 외부공기가 송풍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유로가이드부(14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돌출편(144)이 하향 절곡되어 냉각유닛(120) 측으로 갈수록 유로가 넓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유로가이드부(140)는 상단부에 구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각유닛(120)의 측면 하측부에 구비되거나 중앙부에 구비되어, 외부공기를 상방으로 가이드하거나 상하방으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유로가이드부(140)는 송풍수단(13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 중에서 일부의 공기를 냉각유닛(120)과 하우징(110) 사이의 공간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송풍수단(130)에 의해 송풍되어 열전소자(150)의 발열부(154)를 냉각시킨 후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서 일부만 냉각유닛(120)과 하우징(110) 사이의 공간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송풍수단(130)에 의해 유동되어 열전소자(150)의 발열부(154)를 냉각시킨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기부(115)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유로가이드부(140)는 배기부(115)의 냉각유닛(120) 측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열전소자(150)의 발열부(154)를 냉각시킨 공기는 발열부(154)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고온의 공기(열기)가 되므로, 많은 양의 열기가 냉각유닛(120)에 접촉하게 되면 냉각유닛(120) 내부에 저장된 냉수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공급 장치(100)는 상술한 구성과 같이 공기의 대부분은 배기부(115)를 통해 배출되고, 그 중에서 소량의 공기만 냉각유닛(120)과 하우징(110) 사이의 공간에 송풍되어 단열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기부(115)는 유로가이드부(140) 측의 일부분이 공기배출이 차단되도록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부(115) 중에서 유로가이드부(140)의 초입부분에는 배기부(115)가 막혀있는 폐쇄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폐쇄부(117)는 배기부(115) 측으로 유동되는 공기 중에서 유로가이드부(140) 측으로 이동하는 공기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바로 배출되지 않고 유로가이드부(140)로 이동될 수 있도록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로가이드부(140)는 냉각유닛(120)의 전후방향으로도 전체적으로 단열 공기층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유닛(120)의 후단에 유로의 말단이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정수 공급 장치 110: 하우징
115: 배기부 117: 폐쇄부
120: 냉각유닛 130: 송풍수단
140: 유로가이드부 142: 상측 돌출편
144: 하측 돌출편 150: 열전소자
152: 흡열부 154: 발열부
160: 정수필터

Claims (14)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냉각유닛; 및
    외부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송풍시키는 송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냉각유닛과 상기 하우징 사이로 유입되어 단열 공기층을 형성하는 정수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 공기가 상기 냉각유닛과 상기 하우징 사이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로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돌출편으로 구비되는 정수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부는 상기 냉각유닛 측으로 갈수록 유로가 넓어지도록 구비되는 정수 공급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부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측 돌출편과 하측 돌출편을 구비하고,
    상기 하측 돌출편은 상기 냉각유닛 측으로 갈수록 하향 절곡되도록 구비되는 정수 공급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부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측 돌출편과 하측 돌출편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돌출편과 상기 하측 돌출편의 사이 간격은 상기 냉각유닛 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구비되는 정수 공급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가이드부는 상기 배기부의 상기 냉각유닛 측 방향 단부에 구비되는 정수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부는 상기 배기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정수 공급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의 일측에는 상기 냉각유닛에 저장되는 물을 냉각시키는 열전소자가 구비되고,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부 방향으로 외부공기를 송풍하며,
    상기 유로가이드부는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 중에서 일부의 공기를 상기 냉각유닛과 하우징 사이의 공간으로 가이드하는 정수 공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부를 냉각시키고 배출되는 배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로가이드부는 상기 배기부의 상기 냉각유닛 측 방향 단부에 구비되는 정수 공급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냉수생성장치, 냉수탱크, 얼음생성장치 또는 얼음저장탱크로 구성되는 정수 공급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냉각유닛의 후면에 구비된 상기 열전소자에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유로가이드부는 상기 냉각유닛의 측면을 향해 유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정수 공급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유로가이드부 측의 일부분이 공기배출이 차단되도록 폐쇄되는 정수 공급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공기층은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를 저감시켜 응결수의 생성을 방지하는 정수 공급 장치.
KR1020140109803A 2014-08-22 2014-08-22 정수 공급 장치 KR101826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803A KR101826874B1 (ko) 2014-08-22 2014-08-22 정수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803A KR101826874B1 (ko) 2014-08-22 2014-08-22 정수 공급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744A Division KR101501754B1 (ko) 2012-04-13 2012-04-13 정수 공급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748A Division KR101527543B1 (ko) 2014-12-19 2014-12-19 정수 공급 장치
KR1020150113586A Division KR101631212B1 (ko) 2015-08-12 2015-08-12 정수 공급 장치
KR1020150128324A Division KR101647640B1 (ko) 2015-09-10 2015-09-10 정수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824A true KR20140110824A (ko) 2014-09-17
KR101826874B1 KR101826874B1 (ko) 2018-02-09

Family

ID=51756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803A KR101826874B1 (ko) 2014-08-22 2014-08-22 정수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8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267B1 (ko) 2015-03-25 2016-10-06 주식회사 교원 결로방지구조를 갖는 정수기
KR20220025591A (ko) 2020-08-24 2022-03-03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N115140859A (zh) * 2022-07-26 2022-10-04 杭州绿益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净水器的布水及排污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570A (ja) * 2001-03-14 2002-09-24 Daiwa Industries Ltd フラワーショーケース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267B1 (ko) 2015-03-25 2016-10-06 주식회사 교원 결로방지구조를 갖는 정수기
KR20220025591A (ko) 2020-08-24 2022-03-03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N115140859A (zh) * 2022-07-26 2022-10-04 杭州绿益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净水器的布水及排污系统
CN115140859B (zh) * 2022-07-26 2023-06-23 杭州绿益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净水器的布水及排污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874B1 (ko) 2018-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6188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cold water and water purifier
KR20180063022A (ko)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US20080105407A1 (en) Integrated heat dissipating assembly
KR101826874B1 (ko) 정수 공급 장치
KR102295457B1 (ko) 수처리 장치용 냉수생성모듈
KR101668017B1 (ko) 정수기의 순간 냉온수 장치
KR101837618B1 (ko)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1527543B1 (ko) 정수 공급 장치
EP2640176B1 (en) Vapor cycle convective cooling of electronics
KR101501754B1 (ko) 정수 공급 장치
KR20120063883A (ko) 냉수탱크
KR20140055284A (ko)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KR102027263B1 (ko)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101631212B1 (ko) 정수 공급 장치
KR101647640B1 (ko) 정수 공급 장치
KR101663267B1 (ko) 결로방지구조를 갖는 정수기
TW200515125A (en) Arrangement to cool the heat-dissipating computer-components
JP2010085054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KR102091682B1 (ko) 정수기
KR102051673B1 (ko) 수처리 장치의 냉수 저장 장치
KR101717378B1 (ko)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냉온풍기
KR101701354B1 (ko) 냉수탱크
WO2017046986A1 (ja) 冷却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電子機器
WO2016208180A1 (ja) 冷却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電子機器
US20110072835A1 (en) Cooling device for electronic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