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682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682B1
KR102091682B1 KR1020180025178A KR20180025178A KR102091682B1 KR 102091682 B1 KR102091682 B1 KR 102091682B1 KR 1020180025178 A KR1020180025178 A KR 1020180025178A KR 20180025178 A KR20180025178 A KR 20180025178A KR 102091682 B1 KR102091682 B1 KR 102091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housing
water purifier
condens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4723A (ko
Inventor
김승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5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68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4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 사이클을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저장하는 탱크, 상기 탱크의 물을 냉각하기 위한 것으로, 응축기가 상기 탱크의 후방에 배치되는 냉동 사이클, 상기 탱크와 상기 냉동 사이클을 감싸며, 좌우 측면에는 상기 탱크보다 전방에 흡기구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흡기구로부터 배기구로 공기 유동을 만들기 위한 팬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 사이클을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나 제빙기 등의 경우 각종 구성요소 간 온도차로 인해 결로가 발생하기 쉽다.
이에 특허등록공보 제10-1501754호는 해당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한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요컨대 정수기의 후방에서부터 차례로 팬, 열전 소자 그리고 탱크가 이웃하게 배치되고, 팬이 전방으로, 즉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송풍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열전 소자를 이용하여 탱크의 물을 냉각하면서, 팬을 이용하여 하우징의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도입함으로써 하우징의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를 줄여 결로를 방지한다는 것이다. 또한 열전 소자의 발열부의 열기가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기구가 그 발열부의 측방에 바로 이웃하게 형성된다.
하지만 이는 기본적으로 열전 소자를 이용하여 탱크의 물을 냉각하는 개념의 정수기에 적용되기 위한 기술로, 냉동 사이클을 포함하는 정수기에 적용되기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팬과 배기구가 인접해 있어 하우징의 전체적인 내부에 걸쳐 공기 유동을 형성하기 어렵고, 팬이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계속 송풍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구를 지나쳐 더 들어간 공기가 하우징의 외부로 다시 배출되기도 어려워 종국적으로 결로를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KR 10-1501754 B1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결로가 발생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저장하는 탱크, 상기 탱크의 물을 냉각하기 위한 것으로, 응축기가 상기 탱크의 후방에 배치되는 냉동 사이클, 상기 탱크와 상기 냉동 사이클을 감싸며, 좌우 측면에는 상기 탱크보다 전방에 흡기구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흡기구로부터 배기구로 공기 유동을 만들기 위한 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는 상기 하우징의 좌우 측면으로부터 각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는 상기 탱크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배기구는 상기 응축기의 외곽에 상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가 상기 하우징의 배기구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팬은 상기 응축기의 후방에 배치되어, 후방으로 송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전방에서부터 차례로 하우징의 흡기구, 탱크, 응축기 그리고 팬이 배열되어 하우징의 외부로 통하되, 탱크가 하우징의 좌우 측면으로부터 각각 이격되고 응축기가 탱크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며 팬이 후방으로 송풍함으로써, 하우징의 흡기구로부터 탱크와 하우징의 좌우 측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응축기와 팬을 지나 하우징의 외부로 나가는 공기 유동이 형성된다. 따라서 탱크의 냉기가 하우징의 좌우 측면으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공기 유동에 의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저수조, 응축기 및 팬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의 탱크(11), 응축기(12) 및 팬(14)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정수기(10)는 탱크(11), 냉동 사이클, 하우징(13) 및 팬(14)을 포함한다.
물론 그밖에 정수기가 작동하는 데 보통 필요로 할 만한 구성요소들, 예컨대 수원(水源)의 물을 도입하기 위한 유로, 물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 사용자에게 물을 공급하기 위한 코크 등도 더 포함하고 있다. 다만 이는 공지된 바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그로부터 용이하게 변경하여 채용할 수 있을 정도에 불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탱크(11)는 물을 저장한다. 여기서 물은 사용자에게 식수로 공급할 물일 수도 있고, 그 식수로 공급할 물을 냉각하는 데 이용되는 열전달 매개체일 수도 있다. 만약 본 정수기(10)가 이른바 저수형 정수기라면 탱크(11)는 사용자에게 식수로 공급할 물을 직접 저장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반면 본 정수기(10)가 이른바 직수형 정수기라면 사용자에게 식수로 공급할 물이 유동하기 위한 파이프(미도시)가 탱크(11)의 내부를 지나가게 설치되고, 탱크(11)가 상기 파이프의 물을 냉각하는 데 이용되는 열전달 매개체로서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12), 모세관(또는 교축 밸브)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다. 냉매는 이들을 순환하면서 응축기(12)에서 상대적으로 열기를 방출하고 증발기에서 냉기를 방출하게 된다.
이에 증발기가 탱크(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에게 식수로 공급할 물 또는 열전달 매개체로서 물을 냉각할 수 있다.
한편 응축기(12)는 공지된 바와 같이 냉매가 유동하는 파이프가 대략 S자 형태로 다수 절곡되어 방열판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13)은 탱크(11)와 냉동 사이클을 감싸 보호하며 정수기(1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룬다.
하지만 이 경우 냉동 사이클이 탱크(11)의 물을 냉각한 결과, 탱크(11)로부터 하우징(13)으로 일부 냉기가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3)에 결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그 주변이 오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하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탱크(11)는 하우징(13)의 좌우 측면으로부터 각각 이격되어 설치된다. 즉 탱크(11)와 하우징(13)의 좌우 측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각각 마련된다. 여기서 좌우 측면이란 정수기(10)의 일반적인 사용 상태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상대적인 위치를 구분하여 지칭하기 위한 것이지 절대적인 위치를 뜻하는 것은 아니며, 흔히 코크의 좌우에 해당하는 옆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탱크(11)는 하우징(13)보다 좌우 폭이 다소 작게 형성되어 하우징(13)의 실질적인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냉동 사이클은 응축기(12)가 탱크(11)의 후방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후방 역시 정수기(10)의 일반적인 사용 상태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단지 상대적인 방향을 구분하여 지칭하기 위한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좌우 측면이 코크의 좌우에 해당하는 옆면을 의미한다면 후방은 코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팬(14)은 응축기(12)의 후방에 이웃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팬(14)은 그 후방으로 송풍할 수 있게 배치된다.
또한 팬(14)은 냉동 사이클에 연동하여 냉동 사이클이 작동할 때에만 작동할 수도 있고, 냉동 사이클이 작동하지 않을 때에도 상시 작동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공기 유동을 만들어 결로를 방지한다는 효과의 측면을 고려한다면 냉동 사이클에 무관하게 상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우징(13)의 좌우 측면에는 탱크(11)보다 전방에 흡기구(13A)가 형성된다. 여기서 전방은 코크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흡기구(13A)는 하우징(13)의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들어오기 위한 부분으로, 흡기구(13A)의 크기와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으로 특정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하우징(13)의 후면에는 배기구(13B)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기구(13B)는 하우징(13)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나가기 위한 부분으로, 이를 구현하기 위해 배기구(13B)가 응축기(12)의 외곽에 상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고, 응축기(12)가 그 배기구(13B)에 끼워 맞춰지는 형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13)의 내부의 공기가 응축기(12)의 파이프와 방열판 사이사이의 영역을 관통하여 외부로 나갈 수 있다.
또는 하우징(13)이 탱크(11), 응축기(12) 및 팬(14)을 전체적으로 함께 감싸고, 배기구(13B)가 팬(14)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배기구(13B)의 크기와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으로 특정하지 않기로 한다.
결과적으로 전방에서부터 차례로 하우징(13)의 흡기구(13A), 탱크(11), 응축기(12) 그리고 팬(14) 배열되어 하우징(13)의 외부로 통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팬(14)이 작동하여 후방으로, 즉 하우징(13)의 외부로 송풍하면, 먼저 하우징(13)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나가고, 이에 따른 기압차로 인해 하우징(13)의 외부의 공기가 흡기구(13A)를 통해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3)의 흡기구(13A)로부터 탱크(11)와 하우징(13)의 좌우 측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응축기(12)와 팬(14)을 지나 하우징(13)의 외부로 나가는 공기 유동이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탱크(11)의 냉기가 하우징(13)의 좌우 측면으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공기 유동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탱크(11)의 냉기가 응축기(12)를 지나가면서 냉매의 응축을 도와 냉동 사이클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측면도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진다. 한편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하게 개량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이나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물을 저장하는 탱크,
    상기 탱크의 물을 냉각하기 위한 것으로, 응축기가 상기 탱크의 후방에 배치되는 냉동 사이클,
    상기 탱크와 상기 냉동 사이클을 감싸며, 좌우 측면에는 상기 탱크보다 전방에 흡기구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흡기구로부터 배기구로 공기 유동을 만들기 위한 팬을 포함하되,
    상기 탱크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상기 탱크 사이의 공간을 지나 상기 배기구로 공기 유동이 형성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상기 하우징의 좌우 측면으로부터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기 탱크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정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배기구는 상기 응축기의 외곽에 상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가 상기 하우징의 배기구에 끼워 맞춰지는 정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응축기의 후방에 배치되어, 후방으로 송풍하는 정수기.
KR1020180025178A 2018-03-02 2018-03-02 정수기 KR102091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178A KR102091682B1 (ko) 2018-03-02 2018-03-02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178A KR102091682B1 (ko) 2018-03-02 2018-03-02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723A KR20190104723A (ko) 2019-09-11
KR102091682B1 true KR102091682B1 (ko) 2020-03-20

Family

ID=6794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178A KR102091682B1 (ko) 2018-03-02 2018-03-02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6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5591A (ko) 2020-08-24 2022-03-03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2791A (ja) * 2002-04-24 2003-11-06 Unimat Offisco Corp 飲料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754B1 (ko) * 2012-04-13 2015-03-10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2791A (ja) * 2002-04-24 2003-11-06 Unimat Offisco Corp 飲料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5591A (ko) 2020-08-24 2022-03-03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723A (ko)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9505B2 (ja) スイッチキャビネット内部に配置された部品の冷却設備
SE534348C2 (sv) System och anordning innefattande en sammanbyggd kondensor och förångare
JP5929864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399774B2 (ja) 冷蔵庫
JP2008049796A (ja) 車載電子機器の冷却装置
JP2013002774A (ja) パラレルフロー型熱交換器及びそれ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CN109631455B (zh) 冰箱
KR102091682B1 (ko) 정수기
JP6292834B2 (ja) 情報処理室の空調設備
JP200705086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6589235B2 (ja) 空気調和装置
JP4935474B2 (ja) 自動販売機
JP2006038306A (ja) 冷凍装置
KR20080022324A (ko) 2열 열교환기
JP2002373033A (ja) 情報処理装置の冷却システム
KR20150146212A (ko) 냉장고 냉각장치 및 냉장고 냉각장치 제어방법
JP2006069441A (ja) 空気冷却ユニット
KR100829185B1 (ko) 공기조화기
JP2007093068A (ja) 熱交換装置
JP2008002730A (ja) 冷蔵庫
JP2005053474A (ja) 車両用冷却ファン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7186863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WO2023135628A1 (ja) 冷凍冷蔵庫
WO2023073891A1 (ja) 輸送用冷凍機ユニット
KR101420744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