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618B1 -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 Google Patents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618B1
KR101837618B1 KR1020110076043A KR20110076043A KR101837618B1 KR 101837618 B1 KR101837618 B1 KR 101837618B1 KR 1020110076043 A KR1020110076043 A KR 1020110076043A KR 20110076043 A KR20110076043 A KR 20110076043A KR 101837618 B1 KR101837618 B1 KR 101837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air
heat sink
supply device
thermoelectric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4113A (ko
Inventor
정웅
문현석
김규준
주우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6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618B1/ko
Publication of KR20130014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전자냉각부에 포함되는 열전모듈을 냉각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전자냉각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를 냉각하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냉각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전력공급장치를 냉각할 수 있는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는 열전모듈(210)을 포함하는 전자냉각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공급장치(300)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210)을 냉각시키는 적어도 일부의 공기가 상기 전력공급장치(300)로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 전력공급장치(300)를 냉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전자냉각부에 포함되는 열전모듈을 냉각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전자냉각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를 냉각할 수 있으며, 별도의 냉각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전력공급장치를 냉각할 수 있고,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할 수 있으며,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COOLING STRUCTURE OF ELECTRIC POWER SUPPLY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전자냉각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냉각부에 포함되는 열전모듈을 냉각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전자냉각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를 냉각하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냉각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전력공급장치를 냉각할 수 있는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주방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커짐에 따라 주방에 위치할 수 있는 정수기 등의 제품의 소형화가 이루어지는 추세이다.
한편, 정수기에는 유입된 물을 여과하여 정수로 만드는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 뿐만 아니라, 여과된 물을 냉각하여 냉정수로 만들도록 구성된 냉수탱크 또는 여과된 물을 가열하여 온정수로 만들도록 구성된 온수탱크 등도 구비된다.
종래, 여과된 물을 냉각하여 냉정수로 만들기 위해서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동시스템에 포함되며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가 냉수탱크에 구비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증발기가 포함되는 냉동시스템에는 전술한 증발기 이외에도 압축기와 응축기 및 모세관 또는 팽창밸브가 포함된다. 따라서, 여과된 물을 냉각하여 냉정수로 만들기 위해서 전술한 냉동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품의 소형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냉동시스템을 사용하여 여과된 물을 냉각시키는 것 이외에, 전원이 인가되면 일측은 냉각되고 타측은 가열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열전모듈을 사용하여 여과된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냉각 방식을 전자냉각방식이라고 한다. 그리고, 전자냉각방식에서는 열전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열전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공급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전자냉각방식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전모듈에 전력을 공급하여 냉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전력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전력공급장치에서 열이 비교적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전력공급장치를 냉각시키기 위한 팬 등의 별도의 냉각수단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의해서도, 전술한 정수기 등의 제품의 소형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력공급장치를 냉각하기 위한 별도의 냉각수단의 구동을 위해서도 추가의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수기 등의 제품의 에너지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전자냉각부에 포함되는 열전모듈을 냉각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전자냉각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를 냉각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별도의 냉각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전력공급장치를 냉각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에너지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자냉각부에 포함되는 열전모듈을 냉각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전자냉각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로 유동하도록 하여 전력공급장치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는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전자냉각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공급장치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에 있어서, 열전모듈을 냉각시키는 적어도 일부의 공기가 전력공급장치로 유동하도록 하여 전력공급장치를 냉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냉각부는 열전모듈의 일측에 연결되는 콜드싱크; 열전모듈의 타측에 연결되는 히트싱크; 및 히트싱크에 구비되며 외부의 공기가 히트싱크에 유입되어 열전모듈을 냉각한 후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팬;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공급장치는 히트싱크의 공기 유출측에 위치하여 히트싱크로부터 유출된 공기에 의해서 직접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트싱크에 유입된 공기는 히트싱크의 양 측면으로 유출되며, 전력공급장치는 히트싱크의 양 측면 중 한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장치에는 공기가 유출입되는 복수개의 공기유출입구가 형성되며, 전력공급장치는 공기유출입구가 히트싱크의 양 측면 중 한 측면과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트싱크로부터 유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전력공급장치로 유동하여 전력공급장치를 냉각하도록 히트싱크와 전력공급장치 사이에는 공기 안내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안내수단의 일측은 히트싱크의 공기 유출측에 위치하고 타측은 전력공급장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히트싱크에 유입된 공기는 히트싱크의 양 측면으로 유출되며, 공기 안내수단의 일측은 히트싱크의 양 측면 중 한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안내수단의 타측은 공기가 유출입되도록 전력공급장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공기유출입구 중 일부의 공기유출입구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안내수단의 일측은 공기 안내수단의 타측보다 단면적이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안내수단은 덕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는 일면이 개방되며 전력공급장치가 설치되는 장치와의 사이에서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공급장치는 전자냉각부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공급장치는 스위칭 방식 전력공급장치(SMPS;Switched-Mode Power Supply)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싱크에는 복수개의 방열부재가 구비되며, 복수개의 방열부재 사이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여과하는 복수개의 정수필터; 복수개의 정수필터에 연결된 냉각탱크; 냉수탱크에 구비되며 냉수탱크에 수용된 물을 냉각하도록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전자냉각부; 및 전자냉각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공급장치를 냉각하도록 전술한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냉각부에 포함되는 열전모듈을 냉각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전자냉각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냉각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전력공급장치를 냉각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정수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정수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의 일실시예에 의해서 냉각되는 전력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는 전자냉각부가 적용된 냉수탱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의 일실시예에 의해서 냉각되는 전력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는 전자냉각부가 적용된 냉수탱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전자냉각부에 포함되는 열전모듈을 냉각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전자냉각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로 유동하도록 하여 전력공급장치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것을 기초로 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에 의해서 냉각될 전력공급장치(300)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열전모듈(210)을 포함하는 전자냉각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전자냉각부(200)에는, 즉 후술하고 도3과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자냉각부(200)에 포함되는 열전모듈(210) 또는 팬(240)에는, 전력공급장치(300)에 의해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공급장치(300)는, 예컨대 스위칭 방식 전력공급장치(SMPS;Switched-Mode Power Supply)일 수 있다. 그러나, 전력공급장치(3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열전모듈(210)을 포함하는 전자냉각부(2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3과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력공급장치(300)에 의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전자냉각부(200)는 냉수탱크(CT)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냉수탱크(CT)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기(WP)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냉수탱크(CT)는 정수기(WP)에 구비되어 물을 여과하는 복수개의 정수필터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정수필터를 거치면서 여과된 물은 냉수탱크(CT)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냉수탱크(CT)에 수용된 물은 열전모듈을(210)을 포함하는 전자냉각부(200)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냉각부(200)는 냉수탱크(CT) 뿐만 아니라 제빙기 등 고체 또는 유체를 냉각하는 곳이라면 어느 곳에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자냉각부(200)가 구비된 냉수탱크(CT) 또한 정수기(WP) 뿐만 아니라, 제빙기나 이온수기 등, 물을 냉각시키는 곳이라면 어느 곳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냉각부(200)가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기(WP)에 구비된 냉수탱크(CT)에 구비되어 도3과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수탱크(CT)에 수용된 물을 냉각하는 데에 사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전자냉각부(200)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열전모듈(210) 뿐만 아니라, 콜드싱크(220), 히트싱크(230) 및, 팬(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열전모듈(210)은 열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모듈(210)에 전술한 전력공급장치(300)에 의해서 전력이 공급되면, 열전모듈(210)의 일측, 즉 후술할 바와 같이 콜드싱크(220)가 연결되는 열전모듈(210)의 일측은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열전모듈(210)의 타측, 즉 후술할 바와 같이 히트싱크(230)가 연결되는 열전모듈(210)의 타측은 가열될 수 있다. 즉, 열전모듈(210)에 공급된 전력에 의해서 열전모듈(210)의 일측으로부터 열전모듈(210)의 타측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열전모듈(210)의 일측에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콜드싱크(22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콜드싱크(22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C)에 의해서 냉수탱크(CT)의 덮개판(P)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판(P)에는 전술한 연결부재(C)에 의해서 열전도부재(HC)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도부재(HC)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수탱크(CT)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공급장치(300)에 의해서 열전모듈(210)에 전력이 공급되면, 열전모듈(210)의 일측으로부터 열전모듈(210)의 타측으로부터 열전달이 이루어져서 열전모듈(210)의 일측은 냉각된다. 그리고, 열전모듈(210)의 일측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냉수탱크(CT)에 수용된 물로부터 열전도부재(HC)와 덮개판(P) 및 콜드싱크(220)를 거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열전모듈(210)의 일측으로 열이 전달된다.
한편, 도3과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열전모듈(210)의 타측에는 히트싱크(23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히트싱크(23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팬(24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공급장치(300)에 의해서 열전모듈(210)에 전력이 공급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냉수탱크(CT)에 수용된 물로부터 열전모듈(210)의 일측에 전달된 열은 열전모듈(210)의 타측, 즉 히트싱크(230)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서, 히트싱크(230)의 온도는 상승되어 주위의 온도보다 높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력공급장치(300)에 의해서 팬(240)에 전력이 공급되면, 팬(240)이 구동된다. 이와 같은 팬(240)의 구동에 의해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히트싱크(230)로 유입된다. 그리고, 히트싱크(230)에 유입된 공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전달로 인해서 온도가 상승된 히트싱크(230) 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다. 따라서, 히트싱크(230)로부터 히트싱크(230)에 유입된 공기로 열전달이 이루어진다. 즉, 공기의 온도가 상승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히트싱크(230)로부터의 열전달에 의해서 온도가 상승된 공기는 히트싱크(230)로부터 외부로 유출된다. 이에 의해서, 히트싱크(230)가 냉각되고 히트싱크(230)에 연결된 열전모듈(210)이 냉각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히트싱크(230)에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방열부재(23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열전모듈(210)의 구동에 의해서 히트싱크(230)에 전달된 열은 복수개의 방열부재(231)로 전달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팬(240)의 구동에 의해서 외부의 공기가 히트싱크(230)에 유입되면, 유입된 공기는 복수개의 방열부재(231) 사이를 유동하면서 복수개의 방열부재(231)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후 외부로 유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방열부재(231)가 냉각되어 히트싱크(230)가 냉각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전모듈(210)을 냉각시키는 적어도 일부의 공기가 전력공급장치(300)로 유동하도록 하여 전력공급장치(300)를 냉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히트싱크(230)에 유입되어 히트싱크(230)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공기는 온도가 상승되더라도 전력공급장치(300)의 온도보다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을 수 있다. 그러므로, 히트싱크(230)에 유입된 공기를 전력공급장치(300)로 유동하도록 하면, 전력공급장치(300)로부터 공기에 열이 전달될 수 있어서 전력공급장치(300)를 냉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전자냉각부(200)에 포함되는 팬(240) 이외의 팬(도시되지 않음) 등과 같은 별도의 냉각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전력공급장치(300)를 냉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공급장치(300)의 냉각을 위해서 별도의 냉각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력공급장치(300)에 의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전자냉각부(200)가 구비되는 냉수탱크(CT)가 구비될 수 있는 정수기(WP) 등의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전자냉각부(200)에 포함되는 팬(240) 이외의 팬 등의 별도의 냉각수단에 전력공급장치(300)에 의해서 추가의 전력을 공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력공급장치(300)는 히트싱크(230)의 공기 유출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하고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히트싱크(230)에 유입되어 히트싱크(230)를 냉각한 공기는 전력공급장치(300)로 유동하여 전력공급장치(300)를 직접 냉각시킨 후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히트싱크(230)에 유입된 공기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히트싱크(230)의 양 측면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전력공급장치(30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히트싱크(230)의 양 측면 중 한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력공급장치(300)에는 공기가 유출입되는 복수개의 공기유출입구(3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전력공급장치(30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에 형성된 공기유출입구(310)가 히트싱크(230)의 양 측면 중 한 측면과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히트싱크(230)를 냉각한 공기 중 비교적 많은 양의 공기가 전력공급장치(300)로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공급장치(300)의 냉각이 전체적으로 고르면서도 비교적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정수기(WP) 등의 제품에 전자냉각부(200)가 구비되는 냉수탱크(CT) 이외에 온수탱크(HT)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히트싱크(230)의 공기 유출측에 전력공급장치(300)를 위치시킬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공급장치(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히트싱크(230)의 공기 유출측에 위치하지 않고, 예컨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자냉각부(20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히트싱크(230)와 전력공급장치(300) 사이에 공기 안내수단(4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히트싱크(230)로부터 유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공기 안내수단(400)를 통해 전력공급장치(300)로 유동하여 전력공급장치(300)를 냉각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공급장치(300)를 냉각한 공기는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공기 안내수단(400)의 일측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히트싱크(224)의 공기 유출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안내수단(400)의 타측은 전력공급장치(300)에 위치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히트싱크(230)에 유입된 공기는 히트싱크(230)의 양 측면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공기 안내수단(400)의 일측은 히트싱크(230)의 양 측면 중 한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력공급장치(300)에 공기가 유출되도록 복수개의 공기유출입구(310)가 형성된 경우에 공기 안내수단(400)의 타측은 복수개의 공기유출입구(310) 중 일부의 공기유출입구(310)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공기 안내수단(400)의 일측은 공기 안내수단(400)의 타측보다 단면적이 더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안내수단(400)의 일측이 공기 안내수단(400)의 타측보다 단면적이 더 크면, 베르누이의 정리에 의해서 공기의 속도가 공기 안내수단(400)의 일측에 유입되었을 때보다 공기 안내수단(400)의 타측으로 유출될 때 더 빨라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공기의 속도가 빨라지면, 공기의 대류열전달계수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히트싱크(230)로부터 유출된 일부의 공기가 공기 안내수단(400)에 유입되더라도, 전력공급장치(300)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공기 안내수단(400)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덕트일 수 있다. 또한, 덕트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면이 개방되며 전력공급장치(300)가 설치되는 장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정수기(WP)와의 사이에서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덕트의 개방된 일면이 정수기의 하우징에 접하여 폐쇄됨으로써 덕트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기 안내수단(400)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덕트에 한정되지 않고, 히트싱크(230)로부터 유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전력공급장치(300)로 유동하여 전력공급장치(300)를 냉각하도록 히트싱크(230)와 전력공급장치(300)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라면, 덕트 이외에 관 등 어떠한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를 사용하면, 전자냉각부에 포함되는 열전모듈을 냉각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전자냉각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를 냉각할 수 있으며, 별도의 냉각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전력공급장치를 냉각할 수 있고,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할 수 있으며,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200 : 전자냉각부 210 : 열전모듈
220 : 콜드싱크 230 : 히트싱크
231 : 방열부재 240 : 팬
300 : 전력공급장치 310 : 공기유출입구
400 : 덕트 CT : 냉수탱크
HT : 온수탱크 WP : 정수기
C : 연결부재 HC : 열전도부재
P : 덮개판

Claims (16)

  1. 열전모듈(210)을 포함하는 전자냉각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공급장치(300)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210)을 냉각시키는 적어도 일부의 공기가 상기 전력공급장치(300)로 유동하도록 하여 상기 전력공급장치(300)를 냉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자냉각부(200)는 상기 열전모듈(210)의 일측에 연결되는 콜드싱크(220), 상기 열전모듈(210)의 타측에 연결되는 히트싱크(230) 및, 상기 히트싱크(230)에 구비되며 외부의 공기가 상기 히트싱크(230)에 유입되어 상기 열전모듈(210)을 냉각한 후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팬(240)을 포함하고,
    상기 히트싱크(230)로부터 유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력공급장치(300)로 유동하여 상기 전력공급장치(300)를 냉각하도록 상기 히트싱크(230)와 전력공급장치(300) 사이에는 공기 안내수단(400)이 구비되며,
    상기 공기 안내수단(400)의 일측은 상기 히트싱크(230)의 공기 유출측에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전력공급장치(300)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장치(300)는 상기 히트싱크(230)의 공기 유출측에 위치하여 상기 히트싱크(230)로부터 유출된 공기에 의해서 직접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230)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히트싱크(230)의 양 측면으로 유출되며,
    상기 전력공급장치(300)는 상기 히트싱크(230)의 양 측면 중 한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장치(300)에는 공기가 유출입되는 복수개의 공기유출입구(310)가 형성되며,
    상기 전력공급장치(300)는 상기 공기유출입구(310)가 상기 히트싱크(230)의 양 측면 중 한 측면과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230)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히트싱크(230)의 양 측면으로 유출되며,
    상기 공기 안내수단(400)의 일측은 상기 히트싱크(230)의 양 측면 중 한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수단(400)의 타측은 공기가 유출입되도록 상기 전력공급장치(300)에 형성된 복수개의 공기유출입구(310)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수단(400)의 일측은 상기 공기 안내수단(400)의 타측보다 단면적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수단(400)은 덕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일면이 개방되며 상기 전력공급장치(300)가 설치되는 장치와의 사이에서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장치(300)는 상기 전자냉각부(2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장치(300)는 스위칭 방식 전력공급장치(SMPS;Switched-Mode Power Suppl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230)에는 복수개의 방열부재(231)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방열부재(231) 사이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16. 물을 여과하는 복수개의 정수필터;
    상기 복수개의 정수필터에 연결된 냉수탱크(CT);
    상기 냉수탱크(CT)에 구비되며 상기 냉수탱크(CT)에 수용된 물을 냉각하도록 열전모듈(210)을 포함하는 전자냉각부(200); 및
    상기 전자냉각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공급장치(300)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제1항과 제3항 내지 제5항 및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수기.
KR1020110076043A 2011-07-29 2011-07-29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1837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043A KR101837618B1 (ko) 2011-07-29 2011-07-29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043A KR101837618B1 (ko) 2011-07-29 2011-07-29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113A KR20130014113A (ko) 2013-02-07
KR101837618B1 true KR101837618B1 (ko) 2018-03-13

Family

ID=47894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043A KR101837618B1 (ko) 2011-07-29 2011-07-29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6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618B1 (ko) * 2013-10-22 2014-10-15 (주) 에타 물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온정수기
CN105197025B (zh) * 2015-11-05 2017-08-08 中国北车集团大连机车研究所有限公司 电力机车多系统共用冷却塔
CN106654923B (zh) * 2016-10-27 2018-07-03 广东圣火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带有散热功能的电气配电柜
KR102027263B1 (ko) * 2017-08-11 2019-10-01 최병규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N107302841B (zh) * 2017-08-17 2019-02-22 重庆路格科技有限公司 自动散热开关电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315B1 (ko) * 2007-09-04 2009-09-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열전모듈을 이용한 컴퓨터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315B1 (ko) * 2007-09-04 2009-09-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열전모듈을 이용한 컴퓨터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113A (ko) 201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5154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coolant in water-cooled battery system and method thereof
EP3015777B1 (en) Control box, an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mprising same
JP5024600B2 (ja) 発熱体冷却構造及びその構造を備えた駆動装置
KR101837618B1 (ko)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US20180023823A1 (en) Semiconductor-based air conditioning device
US8297062B2 (en) Heat-dissipating device for supplying cold airflow
JP2006216303A (ja) 発熱機器の冷却構造
CN104144807B (zh) 电加热流体的装置、相关供暖和/或空气调节设备
KR20150063827A (ko) 전력 반도체 모듈용 방열 시스템
KR101668017B1 (ko) 정수기의 순간 냉온수 장치
KR101800374B1 (ko) 열전소자가 결합된 일체형 워터블록을 이용한 냉방장치
KR20140055284A (ko)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EP2640176B1 (en) Vapor cycle convective cooling of electronics
US20160273854A1 (en) Device for regulating the circulation of a coolant liquid for a heat exchanger, particularly for a motor vehicle engine charge air cooler
KR101826874B1 (ko) 정수 공급 장치
JP6972179B2 (ja) 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
JP6190914B1 (ja) 冷媒流路付き電気機器
KR20120088578A (ko) 공조 코어
KR101527543B1 (ko) 정수 공급 장치
JP2007335624A (ja) 電子機器用の液冷装置
US20110072835A1 (en) Cooling device for electronic components
KR101501754B1 (ko) 정수 공급 장치
CN219868110U (zh) 空调器
KR102548781B1 (ko) 초소형 분리형 냉난방장치
KR101631212B1 (ko) 정수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