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883A - 냉수탱크 - Google Patents

냉수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883A
KR20120063883A KR1020100125047A KR20100125047A KR20120063883A KR 20120063883 A KR20120063883 A KR 20120063883A KR 1020100125047 A KR1020100125047 A KR 1020100125047A KR 20100125047 A KR20100125047 A KR 20100125047A KR 20120063883 A KR20120063883 A KR 20120063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body
tank
cold water
wat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영
이현희
정웅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5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3883A/ko
Publication of KR2012006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25D31/003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with immersed cool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59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being in direct heat contact with the beverage, e.g. placed inside a beverage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34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iquid heat storage material
    • F28D20/0039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iquid heat storage material with stratification of the heat storag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냉수탱크에 유입되는 물과 증발기에 의해서 냉각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서로 섞이지 않아서 냉각효율이 향상되며 크기가 작은 냉수탱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수탱크는 유입관(210)과 유출관(220)이 연결된 탱크본체(200); 상기 탱크본체(200)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관(210)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탱크본체(200) 내부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는 증발기(300); 및 상기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을 복수개로 나누도록 상기 탱크본체(200)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복수개로 나뉘어진 상기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 분리부재(4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깅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냉수탱크에 유입되는 물과 증발기에 의해서 냉각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으며, 냉수탱크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냉수탱크로의 물의 유입 압력이 높아도 냉각이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냉수탱크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서 냉수탱크가 정수기 등의 제품에 설치될 때 공간의 제약이 없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수탱크{COLD WATER TANK}
본 발명은 유입된 물을 냉각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냉수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냉수탱크에 유입되는 물과 증발기에 의해서 냉각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서로 섞이지 않아서 냉각효율이 향상되며 크기가 작은 냉수탱크에 관한 것이다.
냉수탱크는 유입된 물을 냉각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수탱크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증발기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냉수탱크에 유입되어 저장된 물을 냉각하게 된다.
한편, 냉수탱크에 유입되는 물의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물의 유입속도가 빠르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냉수탱크에 유입되는 물과 증발기에 의해서 냉각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서로 섞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냉수탱크에 유입되는 물과 증발기에 의해서 냉각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서로 섞이면, 냉각된 물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상승된 온도만큼 다시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켜야하기 때문에, 냉수탱크의 냉각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수탱크에 유입되는 물의 압력이 높으면, 냉수탱크로의 물의 유입과 증발기에 의해서 냉각된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에, 냉수탱크에 유입되는 물이 냉각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 동안 냉수탱크에 머무르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충분히 냉각되지 못한 물이 외부로 배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냉수탱크에 유입된 물이 냉각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 동안 냉수탱크에 머무르게 하기 위해서, 종래에 내부탱크와 외부탱크의 이중 탱크로 냉수탱크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냉수탱크의 크기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냉수탱크를 정수기 등의 제품에 설치할 때 공간의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과 같은 종래의 냉수탱크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냉수탱크에 유입되는 물과 증발기에 의해서 냉각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냉수탱크의 냉각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냉수탱크로의 물의 유입 압력이 높아도 냉각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냉수탱크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냉수탱크가 정수기 등의 제품에 설치될 때 공간의 제약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냉수탱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탱크본체의 내부 공간을 나누는 분리부재가 탱크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여, 냉수탱크에 유입되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물과 증발기에 의해서 냉각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며 냉수탱크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냉수탱크는 유입관과 유출관이 연결된 탱크본체; 탱크본체에 구비되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어 탱크본체 내부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는 증발기; 및 탱크본체 내부의 공간을 복수개로 나누도록 탱크본체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복수개로 나뉘어진 탱크본체 내부의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 분리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리부재는 증발기 상부의 탱크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관은 분리부재에 의해서 나뉘어진 탱크본체 내부의 공간 중 최상부의 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재에는 하나 이상의 유동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본체에는 복수개의 분리부재가 구비되며, 각 분리부재의 유동구멍은 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다른 분리부재의 유동구멍과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재에는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유동구멍으로 유도하는 유도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도부재는 나선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관의 일측은 탱크본체와 분리부재를 관통하여 탱크본체 내부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출관은 탱크본체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냉수탱크에 유입되는 물과 증발기에 의해서 냉각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탱크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탱크로의 물의 유입 압력이 높아도 냉각이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탱크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탱크가 정수기 등의 제품에 설치될 때 공간의 제약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와 이에 포함되는 분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와 이에 포함되는 분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와 이에 포함되는 분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4 내지 도6은 각각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냉수탱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탱크본체의 내부 공간을 나누는 분리부재가 탱크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여, 냉수탱크에 유입되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물과 증발기에 의해서 냉각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며 냉수탱크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100)는 탱크본체(200)와, 증발기(300) 및, 분리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탱크본체(20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탱크본체(20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덮개부와 저장부의 2부분으로 나뉘어지고, 나뉘어진 덮개부와 저장부의 2부분이 밀봉되게 결합되어 탱크본체(200)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탱크본체(200)를 이루는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탱크본체(20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입관(210)과 유출관(220)이 연결될 수 있다. 유입관(210)은, 예컨대 정수기(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된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 또는 정수탱크(도시되지 않음) 등과 같은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관(210)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탱크본체(20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물공급원에 저장된 물이 유입관(210)을 통해 탱크본체(200)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유입관(210)은 후술할 분리부재(400)에 의해서 나뉘어진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 중 최상부의 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바와 같이 증발기(300)에 의해서 냉각된 탱크본체(200)에 저장된 물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물이 탱크본체(200) 상부를 통해서 탱크본체(200)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탱크본체(20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출관(220)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유출관(220)은 파우셋이나 추출콕크 등의 배출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바와 같이 증발기(300)에 의해서 냉각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탱크본체(200)에 저장된 물, 즉 냉수가 유출관(220)을 통해 탱크본체(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유출관(220)의 일측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탱크본체(200)와 분리부재(400)를 관통하여 탱크본체(200) 내부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탱크본체(200)와 분리부재(40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출관 통과구멍(240,4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증발기(300)에 의해서 냉각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탱크본체(200)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 즉 냉수가 유출관(220)을 통해 탱크본체(200)의 외부로 배출되어 배출부재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유출관(220)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탱크본체(200)의 하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후술할 증발기(300)에 의해서 냉각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탱크본체(200)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 즉 냉수가 유출관(220)을 통해 탱크본체(200)의 외부로 배출되어 배출부재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탱크본체(200),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탱크본체(200)의 상부에는 공기배출관(230)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배출관(23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체크밸브(2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210)에 의해서 탱크본체(200)에 물이 유입될 때, 탱크본체(200) 존재하는 공기가 공기배출관(230)을 통해 탱크본체(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체크밸브(231)에 의해서 외부의 공기는 탱크본체(20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탱크본체(200)로의 물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증발기(3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탱크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증발기(300)는 탱크본체(200)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탱크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증발기(300)는 압축기(도시되지 않음), 응축기(도시되지 않음), 모세관(도시되지 않음) 이나 팽창밸브(도시되지 않음) 등을 포함하는 냉동시스템(도시되지 않음)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300)에는 차가운, 예컨대 영하의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증발기(300)를 유동하는 차가운 냉매와 탱크본체(200)에 저장된 물과의 열교환에 의해서 탱크본체(200) 내부에 저장된 물이 냉각되어 냉수가 될 수 있다. 즉, 유입관(210)에 의해서 유입되어 탱크본체(200) 내부에 저장된 물로부터 증발기(300)를 유동하는 차가운 냉매로의 열전달에 의해서 탱크본체(200)에 저장된 물이 냉각되어 냉수가 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분리부재(400)는 탱크본체(200)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분리부재(400)에 의해서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이 복수개로 나누어질 수 있다. 즉,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탱크본체(200) 내부에 하나의 분리부재(400)가 구비되면,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은 2개로 나누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탱크본체(200) 내부에 2개의 분리부재(400)가 구비되면,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은 3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분리부재(4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분리부재(400)에 의해서 나뉘어진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분리부재(400)에는 하나 이상의 유동구멍(4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유동구멍(410)이 분리부재(400)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유동구멍(410)이 분리부재(4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분리부재(400)에 형성된 유동구멍(410)의 갯수나 형상 또는 크기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분리부재(400)에 의해서 나뉘어진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갯수나 형상 또는 크기라면 어떠한 갯수나 형상 또는 크기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분리부재(4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증발기(300) 상부의 탱크본체(2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부재(400)가 증발기(300) 상부의 탱크본체(200) 내부에 구비되면,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이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증발기(300)에 의해서 냉각되는 냉각부로 나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탱크본체(200)에 유입되는 물과 증발기(300)에 의해서 냉각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탱크본체(200)에 저장된 물이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수탱크(100)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탱크본체(200)의 내부 공간을 분리부재(400)에 의해서 나누는 구성으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탱크본체(200)에 유입되는 물과 증발기(300)에 의해서 냉각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탱크본체(200)에 저장된 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내부탱크와 외부탱크의 다중으로 이루어진 냉수탱크(도시되지 않음)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100)가 비교적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냉수탱크(100)가 정수기 등의 제품에 설치될 때 공간의 제약이 없을 수 있다
한편, 도1과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분리부재(400)가 탱크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부재(400)에는 복수개의 유동구멍(4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탱크본체(200)에 유입되는 물과 증발기(300)에 의해서 냉각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탱크본체(200)에 저장된 물이 분리부재(400)에 의해서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유입관(210)에 의해서 탱크본체(200)에 유입되는 물의 압력이 높아서 탱크본체(200)에 유입되는 물의 속도가 비교적 빠르다고 하더라도,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부재(400)를 통과하면서 물의 속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증발기(300)가 구비된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에서의 물의 유동이 안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이 증발기(300)가 구비된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에 냉각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 동안 머무를 수 있어서, 증발기(300)에 의한 물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분리부재(400)가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2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2개의 분리부재(400)가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분리부재(40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 이상의 유동구멍(4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분리부재(400)의 유동구멍(410)은 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다른 분리부재(400)의 유동구멍(410)과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탱크본체(200)에 유입되는 물과, 증발기(300)에 의해서 냉각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탱크본체(200)에 저장된 물이 섞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210)을 통해 유입된 물은, 탱크본체(200)에 구비된 복수개의 분리부재(400) 중 가장 위쪽에 구비된 분리부재(400)에 형성된 유동구멍(410)을 먼저 통과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의 분리부재(400)에 형성된 유동구멍(410)의 위치로 유동한다. 이후, 다음의 분리부재(400)의 유동구멍(410)을 통과하여 증발기(300)가 구비된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유입관(210)에 의해서 탱크본체(200)에 유입되는 물의 압력이 높아서 유입되는 물의 속도가 비교적 빠르다고 하더라도, 복수개의 분리부재(400)를 각각 통과하면서 물의 속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증발기(300)가 구비된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에서의 물의 유동이 안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이 증발기(300)가 구비된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에 냉각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 동안 머무를 수 있어서, 증발기(300)에 의한 물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3과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유동구멍(410)이 형성된 하나의 분리부재(400)가 탱크본체(2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분리부재(40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도부재(4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도부재(430)에 의해서 유입관(210)을 통해 탱크본체(200)의 내부에 유입된 물을 유동구멍(410)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부재(43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나선형일 수 있다. 그러나, 유도부재(430)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나선형에 한정되지 않고, 유입관(210)을 통해 탱크본체(200)의 내부에 유입된 물을 유동구멍(410)으로 유도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탱크본체(200)에 유입되는 물과, 증발기(300)에 의해서 냉각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탱크본체(200)에 저장된 물이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유입관(210)을 통해 분리부재(400) 상부의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에 유입된 물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의 유도부재(430)를 따라 유동한 후, 유동구멍(410)을 통해 증발기(300)가 구비된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탱크본체(200)에 유입되는 물의 압력이 높아서 유입되는 물의 속도가 비교적 빠르다고 하더라도, 탱크본체(200)에 유입된 물이 유도부재(430)를 따라 유동하는 동안 속도가 저하된 후 유동구멍(410)을 통과하여 증발기(300)가 구비된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으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300)가 구비된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에서의 물의 유동이 안정될 수 있다. 그리고, 물이 증발기(300)가 구비된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에 냉각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 동안 머무를 수 있어서, 증발기(300)에 의한 물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300)에 얼음(I)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분리부재(400)의 유동구멍(410)을 통해 증발기(300)가 구비된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증발기(300)를 유동하는 차가운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서 냉각되기 전에, 증발기(300)에 생성된 얼음(I)과의 열교환에 의해서 먼저 냉각된다. 따라서, 냉수탱크(100)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100)를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냉수탱크에 유입되는 물과 증발기에 의해서 냉각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으며, 냉수탱크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냉수탱크로의 물의 유입 압력이 높아도 냉각이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냉수탱크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서 냉수탱크가 정수기 등의 제품에 설치될 때 공간의 제약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냉수탱크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냉수탱크 200 : 탱크본체
210 : 유입관 220 : 유출관
230 : 공기배출관 231 : 체크밸브
240, 420 : 유출관 통과구멍 300 : 증발기
400 : 분리부재 410 : 유동구멍
430 : 유도부재 I : 얼음

Claims (8)

  1. 유입관(210)과 유출관(220)이 연결된 탱크본체(200);
    상기 탱크본체(200)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관(210)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탱크본체(200) 내부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는 증발기(300); 및
    상기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을 복수개로 나누도록 상기 탱크본체(200)에 하나 이상 구비되며 복수개로 나뉘어진 상기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 분리부재(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냉수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400)는 상기 증발기(300) 상부의 상기 탱크본체(20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관(210)은 상기 분리부재(400)에 의해서 나뉘어진 상기 탱크본체(200) 내부의 공간 중 최상부의 공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400)에는 하나 이상의 유동구멍(4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200)에는 복수개의 분리부재(400)가 구비되며,
    각 분리부재(400)의 유동구멍(410)은 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다른 분리부재(400)의 유동구멍(410)과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400)에는 상기 유입관(210)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상기 유동구멍(410)으로 유도하는 유도부재(4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430)는 나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220)의 일측은 상기 탱크본체(200)와 상기 분리부재(400)를 관통하여 상기 탱크본체(200) 내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210)은 상기 탱크본체(200)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KR1020100125047A 2010-12-08 2010-12-08 냉수탱크 KR20120063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047A KR20120063883A (ko) 2010-12-08 2010-12-08 냉수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047A KR20120063883A (ko) 2010-12-08 2010-12-08 냉수탱크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268A Division KR20140099850A (ko) 2014-07-18 2014-07-18 냉수탱크
KR1020150134526A Division KR20150115707A (ko) 2015-09-23 2015-09-23 냉수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883A true KR20120063883A (ko) 2012-06-18

Family

ID=46684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047A KR20120063883A (ko) 2010-12-08 2010-12-08 냉수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388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6745A (ko) * 2012-10-31 2014-05-12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의 냉수 저장 장치
KR101439831B1 (ko) * 2012-10-30 2014-09-15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KR101501071B1 (ko) * 2013-06-28 2015-03-11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냉각장치
KR101524924B1 (ko) * 2013-08-02 2015-06-02 주식회사 동양매직 열전 모듈을 이용하는 냉각 탱크
KR101527460B1 (ko) * 2013-07-03 2015-06-10 주식회사 엠아이서진 냉각부재가 형성된 냉수탱크
KR20180016089A (ko) * 2016-08-05 2018-02-14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831B1 (ko) * 2012-10-30 2014-09-15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KR20140056745A (ko) * 2012-10-31 2014-05-12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의 냉수 저장 장치
KR101501071B1 (ko) * 2013-06-28 2015-03-11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냉각장치
KR101527460B1 (ko) * 2013-07-03 2015-06-10 주식회사 엠아이서진 냉각부재가 형성된 냉수탱크
KR101524924B1 (ko) * 2013-08-02 2015-06-02 주식회사 동양매직 열전 모듈을 이용하는 냉각 탱크
KR20180016089A (ko) * 2016-08-05 2018-02-14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299634U (zh) 经济器以及离心式制冷机
KR20120063883A (ko) 냉수탱크
KR101201101B1 (ko) 냉수탱크
JP2007163042A (ja) 熱交換器
CN103380347A (zh) 废气冷却器
JP2014020755A (ja) 流下液膜式蒸発器
JP2008008577A (ja) 冷凍サイクル
CN104595247A (zh) 一种具有再冷却结构的离心压缩机
JP2008032269A (ja) アキュムレータ
JP6616213B2 (ja) 熱交換システム
US11408654B2 (en) Economizer and refrigeration system having the same
JP2016038196A (ja) コンデンサ
KR20130014113A (ko)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JP6204870B2 (ja) ガスクーラ
KR101826874B1 (ko) 정수 공급 장치
KR20150115707A (ko) 냉수탱크
JP2013245917A (ja) 気液分離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4020753A (ja) 流下液膜式蒸発器
CN105091430A (zh) 一种闪蒸器及具有该闪蒸器的空调系统
KR20180060285A (ko) 냉수기
KR20170131324A (ko) 냉수탱크
KR101744554B1 (ko) 물탱크
KR20140099850A (ko) 냉수탱크
KR101527543B1 (ko) 정수 공급 장치
US20170254597A1 (en) Stacked plate heat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