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6089A - 냉수기 - Google Patents

냉수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6089A
KR20180016089A KR1020160100044A KR20160100044A KR20180016089A KR 20180016089 A KR20180016089 A KR 20180016089A KR 1020160100044 A KR1020160100044 A KR 1020160100044A KR 20160100044 A KR20160100044 A KR 20160100044A KR 20180016089 A KR20180016089 A KR 20180016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ace
main body
bypass pip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1071B1 (ko
Inventor
이권재
이현우
허성환
이경민
예병효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0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071B1/ko
Publication of KR20180016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4Stationary cabinets
    • F25D3/04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2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disposed in a cold storage element not forming part of a container for products to be cooled, e.g. ice pack or gel accumulator
    • F25D2303/0822Details of th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수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수기는 물공급원의 물이 유입되어 유동한 후 배출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내부공간을 유동하는 물이 냉각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냉각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물공급원에 연결된 공급관이 연결되는 유입구가 상기 내부공간에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급관이나 유입구에는 상기 내부공간에 생성된 얼음을 녹이도록 물공급원의 물을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관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수기{WATER COOLER}
본 발명은 냉수를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냉수기에 관한 것이다.
냉수기는 유입된 물을 냉각하여 냉수를 만드는 장치이다.
냉수기는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본체와, 본체에 구비되는 냉각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에 유입된 물공급원의 물은 본체를 유동하면서 냉각유닛에 의해서 냉각되어 냉수가 된 후 본체로부터 배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본체를 유동하는 물이 냉각유닛에 의해서 빙점 아래로 냉각되면, 본체에 얼음이 생성된다. 그리고, 냉각유닛에 의한 계속된 냉각에 의해서 본체에 생성된 얼음이 성장하여 본체가 막히게 되면 본체로부터 냉수가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종래 냉수기에서는 본체에 생성된 얼음을 녹일 수 없어서 이러한 경우 사용자에게 냉수를 공급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냉수기에 얼음이 생성되더라도 사용자에게 계속하여 냉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냉수기에 생성된 얼음이 녹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냉수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냉수기는 물공급원의 물이 유입되어 유동한 후 배출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내부공간을 유동하는 물이 냉각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냉각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물공급원에 연결된 공급관이 연결되는 유입구가 상기 내부공간에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급관이나 유입구에는 상기 내부공간에 생성된 얼음을 녹이도록 물공급원의 물을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관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에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내부공간과는 연통되지 않는 해빙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해빙용 공간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해빙용 공간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빙용 공간은 상기 본체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소정 거리 연장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관의 타측은 상기 내부공간에 연결되어 냉각된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유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관의 타측은 상기 내부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관의 타측은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관의 타측은 상기 본체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관의 타측은 상기 본체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된 공간형성부재; 및 상기 내부공간의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상기 공간형성부재에 연결되는 덮개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형성부재에는 상기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부재에는 냉각된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연결되는 유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일측은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는 유로가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유로형성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는 나선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에 상기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는 유로형성부;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물이 통과하는 통과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와 유로형성부재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재와 상기 유로형성부재에 포함되는 베이스부에는 상기 바이스패스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일측을 통해서 위치하는 해빙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관에는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연결되어 냉각된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유출구에는 유량계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와 유량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계에서 측정된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냉각된 물의 유량이 소정 유량 미만이 되면 상기 밸브를 작동하여 상기 바이패스관에 물공급원의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는 유량조절밸브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기에 생성된 얼음을 녹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기에 얼음이 생성되더라도 사용자에게 냉수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기로부터 배출되는 냉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과 도4는 각각 도1의 Ⅰ-Ⅰ'선과 도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5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3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냉수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냉수기의 제1실시예
이하,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과 도4는 각각 도1의 Ⅰ-Ⅰ'선과 도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5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3과 같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100)의 제1실시예는 본체(200)와, 냉각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에는 내부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200)의 내부공간(S)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의 물이 유입되어 유동한 후 배출될 수 있다.
물공급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도 등의 원수공급원이나,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여과부(도시되지 않음), 또는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 등 본체(200)의 내부공간(S)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본체(200)에는 물공급원에 연결된 공급관(T)이 연결되는 유입구(211)가 내부공간(S)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은 공급관(T)를 유동하여 유입구(211)를 통해 본체(200)의 내부공간(S)에 유입될 수 있다.
유입구(211)는 본체(2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유입구(211)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내부공간(S)에 연결되어 내부공간(S)에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위치라면 본체(200)의 어느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
본체(200)에는 유출구(221)가 내부공간(S)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내부공간(S)을 유동하면서 냉각유닛(300)에 의해서 냉각된 물, 즉 냉수가 유출구(221)를 통해 배출되고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유출구(221)는 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유출구(221)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내부공간(S)에 연결되어 내부공간(S)을 유동하면서 냉각유닛(300)에 의해서 냉각된 물, 즉 냉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위치라면 본체(200)의 어느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
본체(200)에는 해빙용 공간(SM)이 형성될 수 있다. 해빙용 공간(SM)은 외부와 연통되도록 일측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해빙용 공간(SM)은 내부공간(S)과는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해빙용 공간(SM)의 내부에는 후술할 바이패스관(400)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일측을 통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관(400)에 물공급원의 물이 유동하게 되면, 해빙용 공간(SM) 위치한 바이패스관(400)의 부분을 유동하는 물공급원의 물과 내부공간(S)에 생성된 얼음(I) 사이에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바이패스관(400)을 유동하는 물공급원의 물로부터 내부공간(S)에 생성된 얼음(I)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공간(S)에 생성된 얼음(I)이 녹을 수 있다.
해빙용 공간(SM)은 본체(2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소정 거리 연장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해빙용 공간(SM)은 본체(2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해빙용 공간(SM)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바이패스관(400)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일측을 통해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어떠한 형상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본체(2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형성부재(210)와, 덮개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형성부재(210)에는 전술한 내부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공간형성부재(210)는,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공간형성부재(210)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내부공간(S)이 형성될 수 있는 형상과 구성이라면 어떠한 형상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공간형성부재(210)에는 전술한 유입구(211)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유입구(211)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형성부재(2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유입구(211)가 구비되는 공간형성부재(210)의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간형성부재(210)의 어느 부분에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입구(211)는 덮개부재(2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공간형성부재(210)에는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위치되는 온도센서용 공간(ST)이 형성될 수 있다. 온도센서용 공간(ST)에 위치되는 온도센서에 의해서 내부공간(S)을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센서용 공간(ST)은 외부와 연통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S)과는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개방된 일측을 통해 온도센서가 온도센서용 공간(ST)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온도센서용 공간(ST)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온도센서가 위치되어 내부공간(S)을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온도센서용 공간(ST)에 위치되는 온도센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온도센서용 공간(ST)에 위치되어 내부공간(S)을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덮개부재(220)는 내부공간(S)의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공간형성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덮개부재(220)는 예컨대 판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덮개부재(220)의 형상과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내부공간(S)의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공간형성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과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덮개부재(220)에는 전술한 유출구(22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유출구(221)는 전술한 공간형성부재(2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체(200)는 유로형성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형성부재(230)는 내부공간(S)에 구비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재(230)에 의해서 내부공간(S)에 일측은 유입구(211)에 연결되고 타측은 유출구(221)에 연결되는 유로(P)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구(211)에 유입된 물공급원의 물은 유로형성부재(230)에 의해서 내부공간(S)에 형성된 유로(P)을 유동하면서 냉각유닛(300)에 의해서 냉각된 후 유출구(22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냉각유닛(300)과 내부공간(S)을 유동하는 물과의 열전달면적과 열전달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물공급원의 물이 냉각유닛(300)에 의해서 고르게 그리고 비교적 용이하고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재(230)에 의해서 내부공간(S)에 형성되는 유로(P)는, 예컨대 나선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유로형성부재(230)에 의해서 내부공간(S)에 형성되는 유로(P)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측은 유입구(211)에 연결되고 타측은 유출구(221)에 연결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유로형성부재(230)는 베이스부(231)와 유로형성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231)는 대략 세로로 세워진 판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부(23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내부공간(S)에 구비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베이스부(231)에는 물이 통과하는 통과구멍(23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유로형성부(232)에 의해서 베이스부(231)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형성된 유로(P)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231) 둘레에 일측은 유입구(211)에 연결되고 타측은 유출구(221)에 연결되는 나선형상의 유로(P)가 형성될 수 있다.
통과구멍(231a)은 베이스부(231)의 양측에 각각 복수개가 세로로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통과구멍(231a)의 개수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로형성부(232)에 의해서 베이스부(231)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형성된 유로(P)가 연결될 수 있는 개수나 배치라면 어떠한 개수나 배치라도 가능하다.
유로형성부(232)는 베이스부(231)의 둘레에 유로(P)가 형성되도록 베이스부(231)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유로형성부(232)는 베이스부(231)에 공간형성부재(210) 방향으로 복수개가 세로로 소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복수개의 유로형성부(232) 사이에 각각 경사진 유로(P)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유로형성부(232)의 개수와 베이스부(231)에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부(231)의 둘레에 유로(P)가 형성될 수 있는 개수나 구성이라면 어떠한 개수나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전술한 덮개부재(220)와 유로형성부재(2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전술한 해빙용 공간(SM)은 덮개부재(220)와 유로형성부재(320)의 베이스부(231)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덮개부재(220)와 유로형성부재(230)는 별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냉각유닛(300)은 본체(200)의 내부공간(S)을 유동하는 물이 냉각되도록 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냉각유닛(300)은, 예컨대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일 수 있다.
그러나, 냉각유닛(30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체(200)에 구비되어 본체(200)의 내부공간(S)을 유동하는 물을 냉각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전원에 연결되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열전모듈 등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공급관(T)이나 유입구(211)에는 바이패스관(400)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1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 형의 분지관(TD)에 공급관(T)과 유입구(211) 및 바이패스관(400)의 일측이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바이패스관(400)의 일측이 공급관(T)이나 유입구(21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바이패스관(400)의 일측이 공급관(T)이나 유입구(211)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바이패스관(400)에 의해서 물공급원의 물이 유입구(211)에 유입되지 않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200)의 내부공간(S)에 생성된 얼음(I)을 녹일 수 있다.
바이패스관(40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V)가 구비될 수 있다. 밸브(V)에 의해서 바이패스관(400)으로 물공급원의 물이 바이패스될 수 있다. 또한, 밸브(V)에 의해서 바이패스되는 물공급원의 물의 유량이 조절될 수도 있다.
바이패스관(400)에 구비되는 밸브(V)는 예컨대 유량조절밸브일 수 있다. 그러나, 밸브(V)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바이패스관(400)으로 물공급원의 물이 바이패스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본체(200)의 유출구(221)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계(FM)가 구비될 수 있다. 유량계(FM)에 의해서 유출구(221)로부터 배출되는 냉각된 물, 즉 냉수의 유량이 측정될 수 있다. 유출구(221)에 구비되는 유량계(FM)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출구(221)로부터 배출되는 냉각된 물, 즉 냉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1실시예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전술한 밸브(V)와 유량계(FM)에 전기적으로, 예컨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유량계(FM)에서 측정된 유출구(221)를 통해 배출되는 냉각된 물, 즉 냉수의 유량이 소정 유량 미만이 되면 밸브(V)를 작동하여 바이패스관(400)에 물공급원의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본체(200)의 내부공간(S)의 유로(P)를 유동하는 물이 냉각유닛(300)에 의해서 빙점이하로 냉각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S)의 유로(P)에 얼음(I)이 생성된다. 그리고, 얼음(I)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유출구(221)로부터 배출되는 냉각된 물, 즉 냉수의 유량이 감소된다.
이 경우, 유량계(FM)에서 측정된 유출구(221)를 통해 배출되는 냉각된 물, 즉 냉수의 유량이 소정 유량 미만이 되면, 제어부(500)는 바이패스관(400)의 밸브(V)를 작동하여 바이패스관(400)에 물공급원의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바이패스관(400)의 일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200)의 해빙용 공간(SM)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물공급원의 물은 해빙용 공간(SM)의 내부에 위치된 바이패스관(400)의 부분을 지나면서 본체(200)의 내부공간(S)의 유로(P)에 생성된 얼음(I)과 열교환을 하게 된다.
즉, 해빙용 공간(SM)에 위치된 바이패스관(400)의 부분을 유동하는 물공급원의 물로부터 본체(200)의 내부공간(S)의 유로(P)에 생성된 얼음(I)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해빙용 공간(SM)의 내부에 위치된 바이패스관(400)의 부분을 유동하는 물은 냉각되고 내부공간(S)의 유로(P)에 생성된 얼음(I)은 녹게 된다.
한편, 바이패스관(400)의 타측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구(221)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바이패스관(400)은 유량계(FM) 하류의 유출구(221)의 부분 또는 유출구(221)에 연결된 연결관(TC)에 분지관(TD)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이패스관(400)을 유동하면서 냉각된 물공급원의 물, 즉 냉수는 유출구(221)를 통해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200)의 내부공간(S)의 유로(P)에 얼음(I)이 생성되어 유로(P)를 유동하면서 냉각유닛(300)에 의해서 냉각된 물, 즉 냉수의 유량이 감소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에게 계속하여 냉각된 물, 즉 냉수를 공급할 수 있다.
본체(200)의 내부공간(S)의 유로(P)에 생성된 얼음(I)이 녹아서 유량계(FM)에 의해서 측정된 유출구(221)를 통해 배출되는 냉각된 물, 즉 냉수의 유량이 소정 유량 이상이 되면 제어부(500)는 바이패스관(400)으로 물공급원의 물이 유동하지 않도록 밸브(V)를 작동시킬 수 있다.
냉수기의 제2실시예
이하, 도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2실시예는 상기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1실시예와 본체(200)에 해빙용 공간(SM)이 형성되지 않고, 바이패스관(400)의 타측이 본체(200)의 내부공간(S)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100)의 제2실시예에서는 바이패스관(400)의 타측이 본체(200)의 내부공간(S)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이패스관(400)을 유동한 물공급원의 물은 본체(200)의 내부공간(S)에 유입되어 본체(200)의 내부공간(S)에 생성된 얼음(I)을 녹일 수 있다.
바이패스관(400)의 타측은, 예컨대 본체(200)의 내부공간(S)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100)의 제2실시예에서는 유입구(211)가 본체(2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유출구(221)가 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유입구(211)에 유입된 물공급원의 물은 전체적으로 본체(200)의 내부공간(S)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유동하면서 냉각유닛(300)에 의해서 냉각된다. 그러므로, 얼음(I)은 본체(200)의 내부공간(S)의 하부보다는 상부에 생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바이패스관(400)의 타측이 본체(200)의 내부공간(S)의 상부에 연결되면 바이패스관(400)을 유동하여 내부공간(S)에 유입된 물공급원의 물이 얼음(I)에 직접 접촉할 수 있어서, 얼음(I)을 용이하게 녹일 수 있다.
그러나, 바이패스관(400)의 타측이 연결되는 본체(200)의 내부공간(S)의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바이패스관(400)을 유동하는 물공급원의 물이 유입되어 얼음(I)을 녹일 수 있는 부분이라면 본체(200)의 내부공간(S)의 어떠한 부분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이 경우에는 본체(200)의 내부공간(S)에 얼음(I)이 생성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제어부(500)가 바이패스관(400)의 밸브(V)를 작동시켜서 바이패스관(400)에 물공급원의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공급원의 물이 바이패스관(400)을 통해 본체(200)의 내부공간(S)에 유입되어, 냉각유닛(300)에 의해서 냉각된 물, 즉 냉수와 혼합될 수 있다. 그리고, 유출구(221)로부터 배출되는 냉각된 물, 즉 냉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냉각된 물, 즉 냉수의 배출초기에 유출구(221)로부터, 예컨대 섭씨 1도 내지 4도 등의 너무 낮은 온도의 냉수가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냉수가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냉수기의 제3실시예
이하, 도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3실시예는 상기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1실시예와 본체(200)에 해빙용 공간(SM)이 형성되지 않고, 바이패스관(400)의 타측이 본체(200)의 일면을 관통하여 내부공간(S)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100)의 제3실시예에서는 바이패스관(400)의 타측이 본체(200)의 일면을 관통하여 내부공간(S)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바이패스관(400)을 유동한 물공급원의 물이 본체(200)의 내부공간(S)에 유입되어 본체(200)의 내부공간(S)에 생성된 얼음(I)을 녹일 수 있다. 또한, 물공급원의 물이 본체(200)의 내부공간(S)에 유입되어 냉각유닛(300)에 의해서 냉각된 물, 즉 냉수와 혼합됨으로써, 유출구(221)로부터 배출되는 냉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바이패스관(400)의 타측은, 예컨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내부공간(S)의 하면을 관통하여 내부공간(S)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바이패스관(400)의 타측이 관통하는 본체(200)의 내부공간(S)의 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내부공간(S)에 생성된 얼음(I)을 녹일 수 있고 유출구(221)로부터 배출되는 냉각된 물, 즉 냉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면이라면 어떠한 면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바이패스관(400)의 타측이 위치하는 내부공간(S)의 부분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내부공간(S)에 생성된 얼음(I)을 녹일 수 있고 유출구(221)로부터 배출되는 냉각된 물, 즉 냉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부분이라면 어떠한 부분이라도 가능하다.
냉수기의 제4실시예
이하, 도9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4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4실시예는 상기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의 제1실시예와 일측은 공급관(T)이나 유입구(211)에 연결되고 타측은 본체(200)의 내부공간(S)의 일면을 관통하여 내부공간(S)에 위치하는 별도의 바이패스관(400')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100)의 제4실시예에서는 일측은 공급관(T)이나 유입구(211)에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본체(200)에 형성된 해빙용 공간(SM)에 위치하는 바이패스관(400) 이외에 별도의 바이패스관(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별도의 바이패스관(400')의 일측은 공급관(T)이나 유입구(211)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십자형의 분지관(TD)에 각각 공급관(T)과 유입구(211), 바이패스관(400)의 일측 및 별도의 바이패스관(400')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별도의 바이패스관(400')의 일측이 공급관(T)이나 유입구(211)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급관(T)이나 유입구(211)에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별도의 바이패스관(400')의 타측은 내부공간(S)의 일면을 관통하여 내부공간(S)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별도의 바이패스관(400')의 타측은 본체(200)의 내부공간(S)의 하면을 관통하여 내부공간(S)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양 바이패스관(400, 400') 중 적어도 하나에 물공급원의 물이 유동하도록 하여 본체(200)의 내부공간(S)에 생성된 얼음(I)이 녹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바이패스관(400')에 물공급원의 물이 유동하도록 하여 물공급원의 물이 본체(200)의 내부공간(S)에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유출구(221)로부터 배출되는 냉각된 물, 즉 냉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수기를 사용하면, 냉수기에 생성된 얼음을 녹일 수 있으며, 냉수기에 얼음이 생성되더라도 사용자에게 냉수를 공급할 수 있고, 냉수기로부터 배출되는 냉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냉수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냉수기 200 : 본체
210 : 공간형성부재 211 : 유입구
220 : 덮개부재 221 : 유출구
230 : 유로형성부재 231 : 베이스부
231a : 통과구멍 232 : 유로형성부
300 : 냉각유닛 400, 400' : 바이패스관
500 : 제어부 S : 내부공간
T : 공급관 TD : 분지관
SM : 해빙용 공간 P : 유로
ST : 온도센서용 공간 V : 밸브
FM : 유량계 TC : 연결관

Claims (19)

  1. 물공급원의 물이 유입되어 유동한 후 배출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내부공간을 유동하는 물이 냉각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냉각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물공급원에 연결된 공급관이 연결되는 유입구가 상기 내부공간에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급관이나 유입구에는 상기 내부공간에 생성된 얼음을 녹이도록 물공급원의 물을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관의 일측이 연결되는 냉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내부공간과는 연통되지 않는 해빙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해빙용 공간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해빙용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는 냉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빙용 공간은 상기 본체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소정 거리 연장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냉수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의 타측은 상기 내부공간에 연결되어 냉각된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유출구에 연결되는 냉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의 타측은 상기 내부공간에 연결되는 냉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의 타측은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에 연결되는 냉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의 타측은 상기 본체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냉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의 타측은 상기 본체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냉수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된 공간형성부재; 및
    상기 내부공간의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상기 공간형성부재에 연결되는 덮개부재;
    를 포함하는 냉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재에는 상기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부재에는 냉각된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연결되는 유출구가 구비되는 냉수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측은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유출구에 연결되는 유로가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유로형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냉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나선형상인 냉수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부재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에 상기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는 유로형성부; 를 포함하는 냉수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물이 통과하는 통과구멍이 형성되는 냉수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와 유로형성부재는 일체로 이루어지는 냉수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와 상기 유로형성부재에 포함되는 베이스부에는 상기 바이스패스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일측을 통해서 위치하는 해빙용 공간이 형성되는 냉수기.
  17.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에는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연결되어 냉각된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유출구에는 유량계가 구비되는 냉수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와 유량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계에서 측정된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냉각된 물의 유량이 소정 유량 미만이 되면 상기 밸브를 작동하여 상기 바이패스관에 물공급원의 물이 유동하도록 하는 냉수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유량조절밸브인 냉수기.
KR1020160100044A 2016-08-05 2016-08-05 냉수기 KR102541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044A KR102541071B1 (ko) 2016-08-05 2016-08-05 냉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044A KR102541071B1 (ko) 2016-08-05 2016-08-05 냉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089A true KR20180016089A (ko) 2018-02-14
KR102541071B1 KR102541071B1 (ko) 2023-06-08

Family

ID=61229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044A KR102541071B1 (ko) 2016-08-05 2016-08-05 냉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0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0592A (zh) * 2019-06-21 2019-09-20 江苏永盛传热科技有限公司 一种简易型可移动便捷冷却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222A (ko) * 2000-02-11 2001-08-29 최연모 농, 수산물의 진공건조장치
KR20020029252A (ko) * 2000-10-12 2002-04-18 송 재 식 빙축 열교환을 이용한 냉·정수 시스템
US20100282777A1 (en) * 2009-05-05 2010-11-11 Johnson Gregory A Rapid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ed Beverages
KR20120063883A (ko) * 2010-12-08 2012-06-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냉수탱크
KR20130035888A (ko) * 2011-09-30 2013-04-09 코웨이 주식회사 빙축열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
KR20140041009A (ko) * 2012-09-27 2014-04-04 김덕현 음용수 냉각장치의 온도조절시스템
KR20150124222A (ko) * 2014-04-28 2015-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형 냉수조
KR20160069091A (ko) * 2014-12-05 2016-06-16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생성 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222A (ko) * 2000-02-11 2001-08-29 최연모 농, 수산물의 진공건조장치
KR20020029252A (ko) * 2000-10-12 2002-04-18 송 재 식 빙축 열교환을 이용한 냉·정수 시스템
US20100282777A1 (en) * 2009-05-05 2010-11-11 Johnson Gregory A Rapid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ed Beverages
KR20120063883A (ko) * 2010-12-08 2012-06-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냉수탱크
KR20130035888A (ko) * 2011-09-30 2013-04-09 코웨이 주식회사 빙축열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
KR20140041009A (ko) * 2012-09-27 2014-04-04 김덕현 음용수 냉각장치의 온도조절시스템
KR20150124222A (ko) * 2014-04-28 2015-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형 냉수조
KR20160069091A (ko) * 2014-12-05 2016-06-16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생성 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0592A (zh) * 2019-06-21 2019-09-20 江苏永盛传热科技有限公司 一种简易型可移动便捷冷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071B1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8218A (ko) 냉수탱크
RU2010148734A (ru) Герметичная капсул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помещения в нее ингредиентов напитка и оснащенная мембраной со стороны впускной грани
TWI672756B (zh) 流體加熱器、加熱塊及氣化系統
CN107917564A (zh) 冷水产生设备和具有该设备的净水器
KR20170105301A (ko) 제빙기
CN105723078B (zh) 用于内燃机的冷却系统
KR20180016089A (ko) 냉수기
KR101443976B1 (ko) 얼음 정수기
CN114376409A (zh) 多温段饮水系统和饮水设备
KR101262719B1 (ko) 정수기용 열전소자를 이용한 유체 냉각 유니트
CN109984607A (zh) 饮水机的制冷系统和具有其的饮水机
KR20180060285A (ko) 냉수기
KR101744554B1 (ko) 물탱크
KR102581580B1 (ko) 제빙기용 증발기
KR101957687B1 (ko) 제빙기
KR101409902B1 (ko) 정수기
KR20210143041A (ko) 제빙기
KR102464172B1 (ko) 냉수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20140062847A (ko) 정수기용 일체형 직타원 증발기유닛
CN217565719U (zh) 一种制冷水路系统和具有该水路系统的饮水机
JP2002022371A (ja) 冷水供給用熱交換器と水温制御方法
CN216454614U (zh) 多温段饮水系统和饮水设备
KR20240047631A (ko) 냉수 생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N109643134A (zh) 用于变速器油回路的恒温器和变速器油回路
KR20200126661A (ko) 냉수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