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902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902B1
KR101409902B1 KR1020120098864A KR20120098864A KR101409902B1 KR 101409902 B1 KR101409902 B1 KR 101409902B1 KR 1020120098864 A KR1020120098864 A KR 1020120098864A KR 20120098864 A KR20120098864 A KR 20120098864A KR 101409902 B1 KR101409902 B1 KR 101409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cold water
hot water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2223A (ko
Inventor
최고봉
정순기
김경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8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902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수기는 물을 정화하여 정수를 통과시키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흐르는 정수 배관;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냉각한 냉수가 흐르는 냉수 배관;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가열한 온수가 흐르는 온수 배관; 상기 정수 배관, 상기 냉수 배관 및 상기 온수 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정수 배관에서 공급된 정수와 상기 냉수 배관에서 공급된 냉수와 상기 온수 배관에서 공급된 온수가 하나의 홀에서 배출되도록 공급 홀이 형성된 통합 배관; 및 상기 통합 배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냉수 배관에서 토출된 냉수와 상기 온수 배관에서 배출된 온수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형성된 격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 { A Water Purifier }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수와 온수가 섞이는 것을 방지하여, 냉수 또는 온수의 첫잔 온도를 개선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도 1내지 도 2를 참고하면, 정수기는 원수의 물을 다양한 필터들을 이용하여 정수시킨 후, 이를 상온수, 온수, 고온수 및 냉수로 가열 또는 냉각시켜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여기서 상온수는 통상적으로 15~18℃, 온수는 40~70℃, 고온수는 80~92℃, 냉수는 4~6℃를 의미한다. 물론 이러한 온도범위는 다르게 결정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상온수와 온수 및 고온수의 범위는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정수기에는 상기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탱크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정수기는 히터가 내장되는 온수탱크, 원수가 필터링되어 상온 수의 정수 수가 저장되는 정수탱크, 정수탱크와 세퍼레이트 보드로 분리된 냉수탱크를 포함한다. 그리고, 정수기는 각각의 탱크들과 연결된 유로들과, 유로들에 장착되는 밸브들을 포함한다.
온수탱크 내부의 히터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그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제어부와 연결된다. 정수탱크는 정수수 입수구로부터 상온상태의 정수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이를 온수탱크와 냉수탱크로 공급한다. 정수수는 필터를 통과한 음용수로서 여기서 설명하는 상온수, 온수, 고온수 등은 모두 정수수를 의미한다. 한편, 냉수탱크는 냉수를 생산하기 위한 일반적인 냉각시스템, 예를 들면 콤프레셔 방식을 이용하거나 열전소자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적용되어, 그 내부의 정수수가 냉각된다.
온수탱크, 정수탱크 및 냉수탱크에는 온수배관, 정수배관 및 냉수배관이 각각 연결되며, 사용자가 코크 또는 버튼을 누르게 되면, 온수추출밸브, 정수추출밸브, 냉수추출밸브는 열리게되고 각각의 유로들을 통해 정수수 출수구로 원하는 온도의 정수가 배출되게 된다.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배출구에서 냉수, 온수 및 정수가 배출되는 원 코크 시스템 정수기가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원 코크 시스템 정수기는 하나의 배관에서 냉수, 온수 및 정수가 배출되므로, 종전에 배출되다 배관에 남은 잔수와 새롭게 배출되는 물이 만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온도의 물을 얻기 위해, 처음 배출되는 물을 버려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고객은 최초의 온수를 배출하기 위해 온수 밸브를 손으로 누를 수 있고, 고온의 온수가 손에 흘러 화상을 입을 위험성도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객이 처음 배출되는 물을 버리지 않고도 원하는 온도의 물을 바로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고객이 처음 배출되는 온수를 컵에 담지 않기위해손으로 밸브를 조작하는 위험성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물을 정화하여 정수를 통과시키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흐르는 정수 배관;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냉각한 냉수가 흐르는 냉수 배관;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가열한 온수가 흐르는 온수 배관; 상기 정수 배관, 상기 냉수 배관 및 상기 온수 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정수 배관에서 공급된 정수와 상기 냉수 배관에서 공급된 냉수와 상기 온수 배관에서 공급된 온수가 하나의 홀에서 토출되도록 공급 홀이 형성된 통합 배관; 및 상기 통합 배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냉수 배관에서 토출된 냉수와 상기 온수 배관에서 토출된 온수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형성된 격벽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정수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정수기로부터 처음 배출되는 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배출되게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사용자가 잔수를 버릴 필요가 없다는 장점도 있다.
셋째, 사용자가 잔수를 버리기 위해 손으로 밸브를 조작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내부 모습을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필터와 통합 배관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배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통합 배관을 도 4의 L-L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배관, 냉수 배관 및 온수 배관과 도 5에 표시된 통합 배관의 단면과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배관 중 하부 패널과 격벽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통합 배관 중 하부 패널과 격벽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배관을 도 4의 A-A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배관을 도 4의 B-B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배관을 도 4의 C-C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통합 배관을 도 4의 C-C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정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1)의 내부 모습을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1)의 필터(3)와 통합 배관(100)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배관(100)의 사시도이다.
도 2내지 도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1)는 물을 정화하여 정수를 통과시키는 필터(3); 필터(3)를 통과한 정수가 흐르는 정수 배관(10); 필터(3)를 통과한 정수를 냉각한 냉수가 흐르는 냉수 배관(20); 필터(3)를 통과한 정수를 가열한 온수가 흐르는 온수 배관(30); 정수 배관(10), 냉수 배관(20) 및 온수 배관(30)과 연결되고, 정수 배관(10)에서 공급된 정수와 냉수 배관(20)에서 공급된 냉수와 온수 배관(30)에서 공급된 온수가 하나의 홀에서 토출되도록 공급 홀(45)이 형성된 통합 배관(100); 및 통합 배관(100) 내부에 배치되어, 냉수 배관(20)에서 토출된 냉수와 온수 배관(30)에서 토출된 온수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형성된 격벽(210)을 포함한다.
필터(3)는 물을 정화한다. 필터(3)는 물을 정화하여 정수를 배출한다. 배출된 정수는 정수 탱크로 저장될 수 있다. 배출된 정수는 가열되어 온수가 될 수 있다. 온수는 온수 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배출된 정수는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수가 될 수 있다. 냉수는 냉수 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로, 필터(3)는 통합 배관(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필터(3)는 케이스(2)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3)를 통과한 물은 정수가 되어 정수 배관(10)을 흐른다. 정수 배관(10)은 정수 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
정수 배관(10)은 통합 배관(100)과 연결된다. 정수 배관(10)은 후술할 연결 배관(111)과 연결될 수 있다. 정수를 냉각한 냉수는 냉수 배관(20)을 흐른다. 냉수 배관(20)은 냉수 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 냉수 배관(20)은 통합 배관(100)과 연결된다.
냉수 배관(20)은 후술할 연결 배관(111)과 연결될 수 있다. 정수를 가열한 온수는 온수 배관(30)을 흐른다. 온수 배관(30)은 온수 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 온수 배관(30)은 통합 배관(100)과 연결된다. 온수 배관(30)은 후술할 연결 배관(111)과 연결될 수 있다.
통합 배관(100)은 정수 배관(10), 냉수 배관(20) 및 온수 배관(30)과 연결된다. 통합 배관(100)은 정수 배관(10)에서 공급된 정수와 냉수 배관(20)에서 공급된 냉수와 온수 배관(30)에서 공급된 온수가 하나의 홀에서 배출되도록 공급 홀(45)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통합 배관(100)은 케이스(2) 전방에 위치한다. 통합 배관(100)은 필터(3)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통합 배관(100)의 전방 끝단은 케이스(2) 외부로 돌출된다. 공급 홀(45)은 케이스(2) 외부로 돌출된 통합 배관(100)에 형성된다. 격벽(210)은 통합 배관(100) 내부에 배치된다. 격벽(210)은 냉수 배관(20)에서 토출된 냉수와 온수 배관(30)에서 배출된 온수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예로, 통합 배관(100)은 하부 패널(110)과, 하부 패널(110)위에 덮힘 장착되는 상부 패널(150)로 형성될 수 있다. 통합 배관(100)은 상하로 분리 및 조립될 수 있다. 하부 패널(110)은 물이 지나가는 유로를 형성한다.
상부 패널(150)을 유로의 덮개를 형성한다. 상부 패널(150)의 하단은 내부로 만곡되어 배관 면적을 확장시킨다. 상부 패널(150)의 상단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패널(150)의 상단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패널(150)의 상단은 격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 배관(10), 냉수 배관(20) 및 온수 배관(30)과 도 5에 표시된 통합배관의 단면과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배관(100) 중 하부 패널(110)과 격벽(210)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통합 배관(100) 중 하부 패널(130)과 격벽(230)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내지 도8은은 이해를 돕기 위해, 상부 패널(150)을 제외한 하부 패널(110)만을 도시하였다. 상부 패널(150)은 하부 패널(110)을 밀폐하거나, 대칭되는 형상일 수 있으며, 그외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실시예를 구분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하부 패널(110, 130)의 도면 부호를 통합 배관(100)의 도면 부호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6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격벽(210)의 일 단은 냉수 배관(20)에 형성되어 냉수를 배출하는 냉수 홀(25)과 온수 배관(30)에 형성되어 온수를 배출하는 온수 홀(35) 사이에 배치되고, 격벽(210)의 타 단은, 통합 배관(100, 110)에 형성된 공급 홀(45) 직전까지 연장될 수 있다.
냉수 홀(25)을 통해 유입된 냉수와 온수 홀(35)을 통해 유입된 온수는 격벽(210)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흐른다. 바람직하게는, 격벽(210)의 위치는 냉수의 유로 넓이와 온수의 유로 넓이가 서로 동일하게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로, 격벽(210)은 통합 배관(110)과 냉수 배관(20)의 연결 지점과 통합 배관(110)과 온수 배관(30)의 연결 지점 사이에서 시작되어, 통합 배관(110)의 내부를 지나 통합 배관(100)에 형성된 공급 홀(45) 직전까지 연장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격벽(230)은 공급 홀(45)을 가로질러 통합 배관(130)의 전방 끝단까지 연결된다. 격벽(230)은 통합 배관(130)에 형성된 공급 홀(45)을 분할한다. 바람직하게는 격벽(230)은 공급 홀(45)의 중심을 지난다. 격벽(230)은 공급홀의 면적을 양분한다. 격벽(230)은 공급 홀(45)의 면적을 균등하게 분할한다. 격벽(230)은 공급 홀(45)이 형성하는 유로를 분할한다.
통합 배관(110)은 케이스(2) 내부에서 정수 배관(10), 냉수 배관(20) 및 온수 배관(30)과 연결된다. 통합 배관(110)의 타 측은 하나의 배관이 케이스(2)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통합 배관(110)은, ‘T’ 형태를 이루고, 통합 배관(110)을 흐르는 정수, 냉수 및 온수가 수평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수평으로 배치된다.
일 실시예로, 통합 배관(110)은 단일한 관으로 형성되고, 횡으로 배치되어, 정수 배관(10), 냉수 배관(20) 및 온수 배관(30)과 연결된 연결 배관(111); 및 단일한 관으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후단이 연결 배관(111)의 전방 중심과 연결된 공급 배관(113)을 포함한다.
연결 배관(111)은 단일한 관으로 형성된다. 연결 배관(111)은 상부 패널(150)과 하부 패널(110)로 형성되어 조립될 수 있다. 연결 배관(111)은 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배관(111)은 다양한 방식으로 냉수, 온수 및 정수 배관(10)과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배관(111)의 후면에 일렬로 연결된다. 연결 배관(111)은 공급 배관(113)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배관(111)의 전면 중앙에 공급 배관(113)이 연결된다.
연결 배관(111)의 후단은 냉수 배관(20)과 연결되는 정수 홀(15), 냉수 배관(30)과 연결되는 냉수 홀(25) 및 온수 배관(30)과 연결되는 온수 홀(35)이 형성된다.
공급 배관(113)은 연결 배관(111)과 연결된다. 공급 배관(113)의 후단은 연결 배관(111)과 연결된다. 공급 배관(113)의 후단은 연결 배관(111)의 중앙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공급 배관(113)은 단일한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 배관(113)은 상부 패널(150)과 하부 패널(110)로 형성되어 조립될 수 있다. 공급 배관(113)의 전단은 케이스(2) 외부로 돌출 배치된다. 공급 배관(113)의 전단에는 공급 홀(45)이 형성된다.
공급 배관(113)의 전방 하단에는 공급 홀(45)이 형성되고, 공급 홀(45) 주변에는 공급 홀(45)을 통해 흘러내리는 물의 방향을 유도하는 유도 배관(115)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도 배관(115)은 공급 홀(45) 주변에 형성되어 물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한다. 유도 배관(115)은 공급 배관(113)의 전단을 하향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유도 배관(115)은 하나의 배관을 형성한다. 유도 배관(115) 내부는 격벽(21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격벽(210)은 유도 배관(115)의 상단에 형성되어, 유도 배관(115)의 배관 면적을 양분하지 않는다. 격벽(210)은 유도 배관(115) 내부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연결 배관(111)의 후면 중심은 냉수 배관(20)이 연결되고, 연결 배관(111)과 냉수 배관(20)의 연결지점 양 측면에는, 정수 배관(10) 및 온수 배관(30)이 연결될 수 있다. 정수 배관(10)과 온수 배관(30)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정수 배관(10)과 냉수 배관(20)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격벽(210)은, 일 측은 온수 배관(30)의 연결 지점과 냉수 배관(20)의 연결 지점 사이에 배치되고, 타 측은 공급 배관(113)의 중심을 향해 배치되는 제 1격벽(211); 및 일 측은 제 1격벽(211)과 연결되고, 타 측은 공급 배관(113) 내부에 배치되어 공급 배관(113)의 전면 끝단까지 연결된 제 2격벽(21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격벽(211)의 일 측은 온수 홀(35)과 냉수 홀(2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 1격벽(211)과 제 2격벽(213)은 직선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 1격벽(231)과 제 2격벽(233)은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절곡의 정도는 냉수의 유로와 온수의 유로가 서로 섞이지 않을 정도로 형성된다. 절곡의 정도는 공급 배관(13)과 연결 배관(131) 사이에 형성되는 배관 면적이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절곡의 정도는 연결 배관(131)에서 공급 배관(133)으로 향하는 냉수 및 정수의 유로의 넓이와 냉수의 유로 넓이가 동일 하도록 형성된다.
제 1격벽(231)과 제 2격벽(233)의 연결지점은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 1격벽(231)과 연결 배관(131)의 연결지점은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 2격벽(233)과 공급 배관(133)의 연결 지점은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배관(100)을 도 4의 A-A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배관(100)을 도 4의 B-B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배관(100)을 도 4의 C-C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9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통합 배관(100)을 도 4의 C-C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연결 배관(131)의 배관 면적(S4)은, 공급 배관(133)의 전체 배관 면적(S3)보다 작고, 제 2격벽(233)에 의해 분할된 공급 배관(133)의 어느 일측의 배관 면적(S1, S2)보다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격벽(233)은 분할된 양 측의 배관 면적(S1, S2)이 동일하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예로, 통합 배관(100)의 배관 단면(S1, S2, S3, S4)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합 배관(100)의 배관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형은 완전한 원형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그 형태가 전체적으로 곡선을 띄고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 또는 모서리 부분을 곡면으로 형성하면 충분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통합 배관(100)의 배관 단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격벽(230)과 통합 배관(100)의 연결 지점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통합 배관(100)의 내부는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통합배관의 모서리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9c는 격벽(210)이 공급 홀을 가로지르지 않는 경우, 하단에서 유도 배관(115)을 바라본 모습이고, 도 9d는 격벽(230)이 공급 홀을 가로지르는 경우, 하단에서 유도 배관(135)을 바라본 모습이다.
도 9c 및 도9d를 참조하면, 격벽(210)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격벽(210)은 공급 홀(45) 직전까지 배치될 수 있다. 격벽(210)은 통합 배관(110)을 가로지르지 않을 수 있다. 정수 및 냉수의 유로와 냉수의 유로는 공급 홀(45)에 이르기 전에 합쳐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격벽(230)은 공급 홀(45)을 가로지른다. 격벽(210)은 통합 배관(130)의 전면 끝단까지 연결된다. 정수 및 냉수의 유로와 온수의 유로는 유도 배관(135)을 통과하기 전까지 분리된다. 정수 및 냉수의 유로와 냉수의 유로는 물이 연직방향으로 낙하하기 전까지 합쳐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1)는, 물을 정화하여 정수를 통과시키는 필터(3); 필터(3)를 통과한 정수가 흐르는 정수 배관(10); 필터(3)를 통과한 정수를 냉각한 냉수가 흐르는 냉수 배관(20); 필터(3)를 통과한 정수를 가열한 온수가 흐르는 온수 배관(30); 및 일 측은, 정수 배관(10)에서 공급된 정수와 냉수 배관(20)에서 공급된 냉수가 만나 하나의 유로를 형성하고, 타 측은, 온수 배관(30)에서 공급된 온수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며, 전방 끝단에는, 유로들을 흐르는 물이 하나의 홀에서 배출되도록 형성된 공급 홀(45)이 형성된 통합 배관(100)을 포함한다.
이상은 냉수와 온수의 유로를 구분하는 구조를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정수와 냉수도 구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은 필터(3)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정수로 변환된다. 정수는 가열 또는 냉각되어, 정수 배관(10), 냉수 배관(20) 및 온수 배관(30)을 따라 흐른다.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미도시)에서 원하는 물을 선택하고, 코크(4)를 조작하면 정수 추출 밸브(13), 냉수 추출 밸브(23) 및 온수 추출 밸브(33)는 밸브의 차단을 해제하여 물을 흘려 보낸다.
만약 사용자가 냉수를 선택하고, 컵이나 손을 케이스 외부에 돌출된 코크(4)를 밀면,냉수 추출 밸브(23)가 열린다. 냉수는 냉수 홀(25)을 통과해 연결 배관(111)과 공급 배관(113)을 지나 유도 배관(115)을 통해 컵으로 낙하한다. 이때 사용자가 컵을 빼면 코크(4)는 당겨지고, 냉수 추출 밸브(23)는 냉수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때 연결 배관(111)과 공급 배관(113)을 통해 흐르던 냉수는 연결 배관(111)과 공급 배관(113) 내부에 그대로 잔존하게 된다.
다름으로 사용자가 온수를 선택하면 온수 추출 밸브(33)가 열리고 온수 홀(35)을 통해 온수가 배출된다. 온수는 연결 배관(111)을 흐르다 공급 배관(113)을 통해 공급 홀(45)에서 낙하한다. 이때 유도 배관(115)은 온수의 배출 지점을 가이드 한다.
제 1격벽(211)은 연결 배관(111) 내부에 위치하여 온수와 냉수의 유로를 구분하고, 제 2격벽(213)은 공급 배관(113) 내부에 위치하여 온수와 냉수의 유로를 구분하므로, 공급 배관(113)과 연결 배관(111)에 남아있던 잔수와 새로 흐르는 물은 서로 합쳐지지 않는다. 따라서 냉수와 온수는 합쳐지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초반에 배출되는 물을 버릴 필요가 없다. 또한 초반에 배출되는 물을 버리기 위해 손으로 코크(4)를 조작하는등 불필요한 행위를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코크(4)를 손으로 밀다가 갑자기 온수가 나와 화상을 입을 위험성도 없어진다.
통합 배관(130)의 내부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되므로, 기포가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배관 면적을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물의 흐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및 형상을 통해 배관 단면을 확장하되, 배관의 외형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정수기 2: 케이스
3: 필터 4: 코크
5: 온수 탱크 7: 콤프레서
10: 정수 배관; 13: 정수 추출 밸브
20: 냉수 배관 23: 냉수 추출 밸브
30: 온수 배관 33: 온수 추출 밸브
15: 정수 홀 25: 냉수 홀
35: 온수 홀 45: 공급 홀
100: 통합 배관 110: 하부 패널
111: 연결 배관 113: 공급 배관
115: 유도 배관 130: 하부 패널
131: 연결 배관 133: 공급 배관
135: 유도 배관 150: 상부 패널
210: 격벽 211: 제 1격벽
213: 제 2격벽 230: 격벽
231: 제 1격벽 233: 제 2격벽

Claims (16)

  1. 물을 정화하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냉각한 냉수가 흐르는 냉수 배관;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가열한 온수가 흐르는 온수 배관;
    상기 냉수 배관 및 상기 온수 배관과 연결되고, 냉수와 온수를 배출하는 공급 홀을 형성하며, 상기 냉수 배관에서 공급된 냉수와 상기 온수 배관에서 공급된 온수를 횡방향으로 유도하는 통합배관; 및
    상기 통합 배관 내부에 배치되어 온수 유로와 냉수 유로를 구획하고 상기 공급홀의 상측을 가로지르는 격벽을 포함하는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배관은,
    하부 패널과, 상기 하부 패널위에 덮힘 장착되는 상부 패널로 형성된 정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일 단은, 상기 냉수 배관에 형성되어 냉수를 배출하는 냉수 홀과 상기 온수 배관에 형성되어 온수를 배출하는 온수 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격벽의 타 단은, 상기 통합 배관에 형성된 공급 홀 직전까지 연장된 정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공급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격벽에 의해 분리된 상기 온수유로 또는 상기 냉수유로보다 직경이 큰 유도배관을 포함하는 정수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배관은,
    ‘T’ 형태를 이루고, 상기 통합 배관을 흐르는 냉수 및 온수가 수평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수평으로 배치된 정수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흐르는 정수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배관은,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정수 배관, 상기 냉수 배관 및 상기 온수 배관과 연결된 연결 배관; 및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후단이 상기 연결 배관의 전방 중심과 연결된 공급 배관을 포함하는 정수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배관의 전방 하단에는 상기 공급 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 홀 주변에는 상기 공급 홀을 통해 흘러내리는 물의 방향을 유도하는 유도 배관이 형성된 정수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배관은 상기 연결배관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정수배관 및 상기 온수배관은,
    상기 냉수배관을 중심으로 어느 하나는 상기 냉수배관의 좌측에, 다른 하나는 상기 냉수배관의 우측에 배치된 정수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일 측은, 상기 온수 배관의 연결 지점과 상기 냉수 배관의 연결 지점 사이에 배치되고, 타 측은, 상기 상기 공급 배관의 중심을 향해 배치되는 제 1격벽; 및
    일 측은 상기 제 1격벽과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공급 배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 배관의 전면 끝단까지 연결된 제 2격벽으로 형성된 정수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격벽과 상기 제 2격벽의 연결지점은 곡면으로 형성된 정수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관의 배관 면적은,
    상기 공급 배관의 전체 배관 면적보다 작고, 상기 제 2격벽에 의해 분할된 상기 공급 배관의 어느 일측의 배관 면적보다는 크도록 형성된 정수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격벽은, 분할된 양 측의 배관 면적이 동일하도록 배치된 정수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배관의 배관 단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된 정수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과 상기 통합 배관의 연결 지점은 곡면으로 형성된 정수기.
  16. 삭제
KR1020120098864A 2012-09-06 2012-09-06 정수기 KR101409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864A KR101409902B1 (ko) 2012-09-06 2012-09-06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864A KR101409902B1 (ko) 2012-09-06 2012-09-06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223A KR20140032223A (ko) 2014-03-14
KR101409902B1 true KR101409902B1 (ko) 2014-06-20

Family

ID=5064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864A KR101409902B1 (ko) 2012-09-06 2012-09-06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9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447B1 (ko) * 2017-08-29 2024-01-25 주식회사 피코그램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
CN108634741A (zh) * 2018-07-18 2018-10-12 广东百晟图电器实业有限公司 便携式双仓保温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449Y1 (ko) 2003-07-29 2003-10-17 동양매직 주식회사 냉온 정수기
KR200427743Y1 (ko) * 2006-06-30 2006-09-29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의 취수구 구조
KR100656961B1 (ko) * 2003-10-29 2006-12-13 이중호 싱크대용 상냉(온) 정수기
KR20100090828A (ko) * 2009-02-09 2010-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449Y1 (ko) 2003-07-29 2003-10-17 동양매직 주식회사 냉온 정수기
KR100656961B1 (ko) * 2003-10-29 2006-12-13 이중호 싱크대용 상냉(온) 정수기
KR200427743Y1 (ko) * 2006-06-30 2006-09-29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의 취수구 구조
KR20100090828A (ko) * 2009-02-09 2010-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223A (ko) 201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101B1 (ko) 냉수탱크
CN107343755A (zh) 净水器
CN104879904A (zh) 空调器
KR101409902B1 (ko) 정수기
US20070235173A1 (en) Shell and tube evaporator
CN104374138B (zh) 风冷冰箱
KR20150137965A (ko) 자동차용 가열-/공기 조화 시스템
KR20120137824A (ko) 온수조 및 그를 갖는 직수형 정수기
CN106132737A (zh) 车辆用空调单元
KR20090051942A (ko) 냉장고용 물탱크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101323891B1 (ko) 정수기
CN211288864U (zh) 一种多功能出水机构
US20150251516A1 (en) Housing for vehicular hvac system and dual hvac system
CN110836276A (zh) 一种龙头出水机构
CN108072208A (zh) 冷凝器
CN110431355A (zh) 换气装置
CN105091430A (zh) 一种闪蒸器及具有该闪蒸器的空调系统
KR102333713B1 (ko) 간접가열방식과 직접가열방식의 탈빙히터를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는 제빙모듈 및 그 제조방법
WO2020259546A1 (zh) 用于制冰器的水过滤和回收利用系统
KR20220166144A (ko) 정수기
JP2008030522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20180060285A (ko) 냉수기
KR20120017153A (ko) 물탱크
KR101656624B1 (ko) 정수기용 수도꼭지
CN204943988U (zh) 一种闪蒸器及具有该闪蒸器的空调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