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144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144A
KR20220166144A KR1020210075081A KR20210075081A KR20220166144A KR 20220166144 A KR20220166144 A KR 20220166144A KR 1020210075081 A KR1020210075081 A KR 1020210075081A KR 20210075081 A KR20210075081 A KR 20210075081A KR 20220166144 A KR20220166144 A KR 20220166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water
passage
discharge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석
전제욱
윤종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5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6144A/ko
Priority to US17/836,421 priority patent/US20220396500A1/en
Publication of KR20220166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6Water distributors either inside a treatment tank or directing the water to several treatment tanks; Water treatment plants incorporating these distributors, with or without chemical or biologica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6Adapted for dispensing high viscosity products
    • B67D2210/00163Agit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와 정수를 출수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외부의 급수원에서 공급된 물을 정수하는 필터와,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필터 측으로 안내하는 급수유로와, 상기 급수유로의 제1지점에서 분기된 후, 물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점보다 후단에 위치한 급수유로의 제2지점으로 합류되는 보조유로와, 상기 제1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유로에서 보조유로로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유동전환밸브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과,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경유하는 가열유로를 형성하고, 온수 출수 시 상기 가열유로를 통과하는 정수를 온수로 순간 가열시키는 온수모듈과, 상기 온수모듈을 통과한 온수를 상기 출수노즐 측으로 안내하는 온수유로와, 상기 유동전환밸브 및 온수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사용자에게 원수를 필터링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온도의 물을 원하는 양만큼의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정수기는 통상 사용자가 레버 또는 버튼을 조작하게 될 경우 노즐을 통해 여과된 물이 취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정수기는 사용자가 레버 또는 버튼을 조작하는 동안 노즐의 밸브가 개방되어 여과된 물이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는 컵 또는 용기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확인하면서 상기 레버 또는 버튼의 조작을 종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수기는 정수기 자체로 구비되거나, 냉장고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선행문헌 1(한국공개 특허공보 2019-0010596호)에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와,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필터로 공급하는 급수유로와, 상기 급수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급수밸브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이 취출되는 출수노즐과,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을 상기 케이스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유로와, 상기 출수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출수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출수밸브와, 사용자로부터 세척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로 세척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급수밸브 또는 상기 출수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간헐적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가 개시된다.
또한, 선행문헌 2(한국공개 특허공보 2007-0083008호)에는 RO 멤브레인 모듈을 채용하는 직수형 저장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직수형 정수 장치는, 정수수가 일시 저장되는 정수수 저장탱크, 정수수 배출관을 흐르는 정수수를 정수수 저장탱크에 공급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제 1 연결관, 정수수 저장탱크에 저장된 정수수가 RO 멤브레인 모듈에 유입되도록 유로를 제공하는 제 2 연결관, 원수 공급관의 경로상에 설치되어 원수의 송수압을 증대시키는 부스터 펌프, 및 수도꼭지가 잠겼을 때 이를 감지하여, 정수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정수수를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로 공급하고, 정수수 저장탱크에 기설정된 일정 양의 정수수가 저장된 경우 저장된 정수수를 RO 멤브레인 모듈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의 경우, 정수 출수 시, '정수' 버튼을 선택한 후,'출수'버튼을 누르면 정수 밸브가 개방되고, 정수 유로를 통해서, 정수가 흐르고, 출수노즐을 통해 정수가 출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의 경우, 온수 출수 시, '온수' 버튼을 선택한 후, '출수'버튼을 누르면 온수 밸브가 개방되고, 온수탱크에서 가열된 온수가 온수 유로를 통해 흐르고, 출수노즐을 통해 온수가 출수된다.
즉, 종래 정수기의 경우, 온수유로와 정수유로가 별도로 형성되고, 온수는 온수유로 및 온수밸브를 통해서 출수노즐로 공급되고, 정수는 정수유로 및 정수밸브를 통해서 출수노즐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냉수, 정수, 온수 출수 기능을 제공하는 종래의 정수기는 각 냉수유로, 중간유로, 온수유로를 별도로 구비한다. 이는 온도가 다른 물의 유로를 구분하기 위함이다. 이렇듯 출수되는 물의 온도별로 유로를 두는 구조가 당연시 여겨졌으나, 각 유로를 구성하는데 있어, 복잡도가 증가하고 공간 활용 측면에서도 불리하며, 단가 상승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정수기 본체 내부의 배관 또는 배선 등을 점검 및 교체하기 위해서, 정수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을 분리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냉각모듈 내 냉수배관을 스테인레스 재질로 변경함에 따라, 냉각성능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냉수 온도가 더디게 내려가는 문제도 있었다.
선행문헌 1. 한국공개 특허공보 2019-0010596호 (2019-01-28) 선행문헌 2. 한국공개 특허공보 2007-0083008호 (2007-08-17)
본 발명은, 별도의 정수유로와 정수밸브를 두지 않고, 온수유로를 통해서, 온수와 정수를 출수하도록 유로를 구현하여, 정수유로 및 정수밸브의 구비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정수유로 및 정수밸브의 구성을 삭제할 수 있어, 정수기 내부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정수기의 소형화가 가능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온수 출수 시와 정수 출수 시, 필터로 유동하는 물의 유로를 별도로 형성하여, 온수의 온도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정수의 출수유량을 확보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온수 출수 후, 정수가 출수될 경우, 잔류 온수에 의해 출수되는 정수의 온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온수 출수 후, 잔수가 배출되어, 출수되는 정수의 온도 조건을 만족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필터 측으로 유동하는 물을 가열시킨 뒤, 필터 측으로 공급하여, 필터와 출수노즐 사이에 배치된 배관 및 밸브는 물론, 출수노즐까지 온수살균이 진행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정수기 본체의 분리 없이, 살균수 모듈을 분리 및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정수기 본체 내부의 빈 공간에 살균수모듈을 배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냉수모듈 내 상부유동과 하부유동이 각각 발생하여, 냉각수 탱크 내 전체 물온도를 낮출 수 있고, 냉수 출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탑커버의 분리 없이, 전선을 하우징의 배면을 통해서, 본체부와 연결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개선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하우징이 조립된 상태에서, 전선을 하우징의 배면에 연결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관의 연장되는 방향이 손쉽게 변경될 수 있어, 본체부의 설치환경에 맞춰서 배관의 형상을 손쉽게 변형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정수, 온수, 살균수를 생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에서 생성된 정수, 온수, 살균수를 토출하는 출수부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부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급수원에서 공급된 물을 정수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경유하는 가열유로를 형성하고, 온수 출수 시 상기 가열유로를 통과하는 정수를 온수로 순간 가열시키는 온수모듈과, 상기 필터와 상기 온수모듈을 연결하는 중간유로와, 일측이 상기 중간유로에서 분기되고, 타측이 상기 출수부 측과 연결되는 살균수 유로와, 상기 살균수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살균수 유로를 통과하는 물을 살균수로 전기분해시키는 살균수 모듈과, 상기 온수모듈을 통과한 온수를 상기 출수노즐 측으로 안내하는 온수유로와, 상기 온수모듈 및 살균수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일측 상부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납홈을 형성하고, 상기 살균수 모듈은, 상기 수납홈에 수용되며, 상기 수납홈의 개방된 입구를 차폐하는 수납홈커버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납홈의 입구를 정의하는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상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홈 커버는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면부와 면접촉하는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면부의 단부에 후크 방식으로 고정되는 후크부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납홈의 입구를 정의하는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하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홈 커버는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면부의 상단에 안착되는 하단부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은,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본체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일측이 상기 중간유로에서 분기되고 타측이 상기 출수부 측과 연결된 냉수유로와, 상기 냉수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냉수유로를 통과하는 정수를 냉수로 냉각시키는 냉수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냉수모듈은,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탱크, 상기 냉각수 탱크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탱크 커버, 상기 탱크 커버에 장착되는 교반 모터, 상기 몸통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교반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중간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냉수 배관의 내측에 놓이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교반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부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블레이드가 상기 축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축부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상부 블레이브부, 상기 축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블레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블레이드부의 블레이드는 제1각도 만큼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 블레이부의 블레이드는 상기 제1각도보다 작은 제2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는 연결구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는 제1 높이를 갖는 제1 연결구와, 상기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를 갖고, 상기 제1연결구의 일측과 연통하게 형성된 제2연결구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구를 통해 삽입된 후, 상기 제2연결부를 차폐하는 연결부 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구 커버는 상측과 하측에 상기 제2연결구를 정의하는 상단과 하단이 삽입되는 슬라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 커버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제2 연결구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구 커버에는, 배관 또는 전선이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과홀이 형성된다.
상기 통과홀은 복수 구비되고,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통과홀은 복수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서로 연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 커버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는 연결구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관이 통과한다.
상기 배관은, 길이방향을 따라 주름지게 형성된 주름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배관에는 적어도 3곳에 주름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주름구간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된다.
상기 배관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모듈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온수모듈에서 배출된 정수는 상기 온수유로를 거쳐 상기 출수부로 출수된다.
또한, 온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모듈을 온(on)시키고, 상기 온수모듈에서 배출된 온수는 온수유로를 거쳐 상기 출수노즐로 출수된다.
또한, 상기 필터와 상기 온수모듈 사이에는, 상기 온수모듈 측으로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냉온수밸브가 장착되고, 온수 출시 및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모, 으로 물이 유동하도록 상기 냉온수밸브를 개방시킨다.
또한, 급수원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필터 측으로 안내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의 제1지점에서 분기된 후, 물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점보다 후단에 위치한 급수유로의 제2지점으로 합류되는 보조유로, 상기 보조유로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 및 상기 제1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유로에서 보조유로로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유동전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동전환밸브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온수출수 시, 상기 급수유로의 물이 상기 보조유로를 통과하도록 상기 유동전환밸브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정수출수 시, 상기 급수유로의 물이 상기 급수유로를 통해서만 유동하도록 상기 유동전환밸브를 제어한다.
상기 보조유로에는 상기 보조유로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시키는 보조히터가 설치된다.
온수살균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히터를 작동시키고, 상기 보조히터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수는 필터를 통과한 뒤, 상기 출수노즐 방향으로 유동한다.
상기 본체부는 싱크대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출수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싱크대의 상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정수유로 및 정수밸브를 두지 않고, 온수유로를 통해서, 온수와 정수를 출수하도록 구현하여, 정수유로 및 정수밸브의 구비에 따른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정수유로 및 정수밸브의 구성을 삭제할 수 있어, 정수기 내부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정수기의 소형화가 가능한 이점도 있다.
또한, 정수유로 및 정수밸브의 구성을 삭제할 수 있어, 주기적으로 진행되는 배관 교체비 등의 유지 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온수 출수 시와 정수 출수 시, 필터로 유동하는 물의 유로를 별도로 형성하여, 온수의 온도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정수의 출수유량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온수 출수 후, 정수가 출수될 경우, 잔류 온수에 의해 출수되는 정수의 온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온수 출수 후, 잔수가 배출되어, 출수되는 정수의 온도 조건을 만족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온수 출수 후, 정수가 출수될 경우, 잔류 온수에 의해 출수되는 정수의 온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냉수를 통해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낮춰, 출수되는 정수의 온도 조건을 만족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필터 측으로 유동하는 물을 가열시킨 뒤, 필터 측으로 공급하여, 물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필터와 출수노즐 사이에 배치된 배관 및 밸브는 물론 출수노즐까지 온수살균이 진행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연속출수가 진행되면서, 온수살균이 진행되기 때문에, 유속에 의해 유로 및 밸브의 살균이 진행되면서 이물질의 제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정수기에 포함된 유로 및 밸브의 온수살균 및 온수세척하면서 발생하는 온수의 일부는 출수노즐로 배출하고, 나머지는 정수기의 외측으로 드레인 할 수 있도록하여, 출수노즐로 대량의 온수가 배출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대량의 온수를 처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정수기 본체에 별도의 수납홈과 수납홈커버가 형성되어, 살균수모듈의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하고, 정수기 본체의 분리 없이, 살균수모듈을 분리 및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도 있다.
또한, 정수기 본체 내부의 빈 공간에 살균수모듈을 배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냉수모듈에 설치되는 교반부재의 축부에 상부 블레이브부와 하부 블레이드부가 별도로 형성되어, 상부유동과 하부유동이 각각 발생하고, 이에 따라 상부 블레이브부의 회전에 의해, 증발기가 배치된 상부공간에서 별도의 유동이 발생하여, 냉각수 탱크 내 전체 물온도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부 블레이드부의 회전에 의해, 냉수유로가 배치된 하부 공간에서 별도의 유동이 발생하여, 보다 빠르고 확실하게 열교환이 진행되고, 이에 따라 냉수 출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탑커버의 분리 없이, 전선을 하우징의 배면을 통해서, 본체부와 연결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하우징이 조립된 상태에서, 전선을 하우징의 배면에 연결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이점도 있다.
또한, 각종 배관의 적어도 일부에 주름구간을 형성하여, 배관의 연장되는 방향이 손쉽게 변경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관의 여러 곳에 주름구간이 형성되어, 본체부의 설치환경에 맞춰서 배관의 형상을 손쉽게 변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가 싱크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본체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프론트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수납홈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살균수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프론트 커버가 분리된 상태에서, 본체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수납홈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A-A’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정수기에 적용되는 냉수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냉수모듈에 적용되는 교반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부재 작동 시, 냉수모듈 내 유동을 해석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교반부재의 형상 별 냉수 출수 온도 및 냉각 성능을 비교한 표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유로 및 전선이 하우징과 연결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정수기에 적용되는 배관이 일자로 펴진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일부를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정수기에 적용되는 배관이 구부러진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발명 사상의 실시예이지만,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표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언더 싱크 정수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가 싱크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수배관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외부에서 물을 유입하고, 유입된 물을 정화시킨 뒤, 배출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적어도 일부가 싱크대(10)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언더싱크형(under sink type) 정수기로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일체형 정수기, 직수형 정수기, 데스크탑형 정수기, 스탠드형 정수기 등을 의미할 수 있고, 냉장고 등과 같이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싱크대(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본체부(100)와, 적어도 일부가 싱크대(1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출수부(2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본체부(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면을 형성하는 평면 형태의 탑 커버(1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과 후면이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양측면과 바닥면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싱크대(10)의 하측에 마련된 수납공간(1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좌우폭이 좁고 전후길이가 긴 슬림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싱크대 내부에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고, 싱크대 내부 공간의 안쪽 모서리에 배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이 분리되면, 필터가 노출되고,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필터를 수월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가이드하는 급수유로와, 상기 원수 배관을 따라 공급된 물을 정수로 정화시키는 필터(120)와,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를 상기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시키는 출수배관을 포함한다.
한편, 급수유로는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면서, 외부의 급수원과 하우징(110) 내부의 필터(120)를 연결한다. 상기 급수유로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110) 외측의 급수원에서 공급된 원수는 필터(12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필터(120)로 공급된 물(원수)은, 필터(120)를 통과하면서, 정수로 정화된다. 상기 필터(120)는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터(120)는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유로를 유동한 물은 복수의 필터(120)를 통과하면서, 보다 깨끗한 물로 정화될 수 있다.
또한,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는 출수배관을 통해, 싱크대(10)의 외측에 노출된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출수배관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필터(120) 측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노출된 후, 출수부(200) 측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출수배관은 상기 하우징(110)의 후단(도 1을 기준으로 우측)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유로는 후술되는 온수유로(340), 냉수유로(350), 살균수 유로(3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출수배관이 하우징(110)의 후단을 관통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110)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커버(112)의 상단에는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연결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113)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113)를 통해서, 상기 출수유로, 즉 후술되는 온수유로(340), 냉수유로(350), 살균수 유로(3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로가 하우징(110)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113)를 통해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선, 배선 등이 하우징(110)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올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출수유로의 타측 단부는 상기 출수부(200)와 직접 연결될 수 있고, 별도의 배관 또는 부품을 통해서, 상기 출수부(200)과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출수부(200)는, 상기 온수유로(340), 냉수유로(350), 살균수 유로(390)에서 공급된 정수, 냉수, 온수 및 살균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복수의 출수노즐(210,22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출수노즐(210,220)은 상기 싱크대(10)의 상측으로 노출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몸체(230)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출수노즐(210,220)은 정수, 냉수, 온수가 출수되는 제1출수노즐(210)과, 살균수가 출수되는 제2출수노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상하방향으로 이격해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출수노즐(210)이 상측에 배치되고, 제2출수노즐(220)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출수노즐(220)에서 배출된 살균수가 정수, 냉수, 온수가 취출되는 제1출수노즐(210)에 떨어지면서, 제1출수노즐(210)이 살균수에 의해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자주 사용하는 냉,온,정수가 출수되는 제1출수노즐(210)이 상측에 배치되면서, 사용자의 접근이 쉽고, 조작 및 출수가 용이하다. 그리고, 비교적 적게 사용되는 제2출수노즐(220)은 제1출수노즐(210)의 하측에 배치되면서, 은폐가 가능하며, 제1출수노즐(210) 대비 접근이 어려워, 실수로 살균수를 출수하여 음용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수평방향으로 이격해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몸체(23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독립적으로 회전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냉수유로(350)를 통해 유동한 냉수, 및 온수유로(340)를 통해 유동한 온수, 정수는 제1출수노즐(210)을 통해서, 출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수모듈(13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살균수 유로(390)를 유동한 뒤, 상기 제2출수노즐(220)을 통해서 싱크대(10) 외측의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살균수 유로(390) 상에는 제2출수밸브(4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출수밸브(480)는 상기 살균수 유로(390)와 상기 출수부(20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출수밸브(480)는 상기 살균수 유로(390)를 통해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하는 살균수를 출수부(200)로 공급하거나, 별도의 드레인유로(380)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유로(340) 및 냉수유로(350)는 독립적으로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유로(340) 및 냉수유로(350)은 합류된 후, 공통유로(360)을 통해서,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통유로(360) 상에는 제1출수밸브(4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수밸브(470)는 상기 공통유로(360)와 상기 출수부(20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출수밸브(470)는 상기 공통유로(360)를 통해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하는 정수, 냉수, 온수를 상기 출수부(200)로 공급하거나, 별도의 드레인 유로(380)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출수밸브(470)와 제2출수밸브(480)는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하나의 몸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제1출수밸브(470)와 연결된 드레인유로와 상기 제2출수밸브(480)와 연결된 드레인 유로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하나의 드레인 유로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출수부(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싱크대(10)의 상부로 노출되게 싱크대(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230) 및 몸체(230)의 일측으로 연장된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싱크대(10)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본 발명과 같이, 정수, 온수, 정수 및 살균수가 싱크대의 외측으로 노출된 출수노즐을 통해서, 출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가 제시되지 않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한 개의 출수부에서 냉,온,정수와 살균수가 각각 출수될 수 있도록 출수노즐을 구성하였다.
만약, 정수,냉수,온수 및 살균수가 싱크대 외부로 출수되게 출수부가 구성된 경우라도, 정수,냉수,온수와 살균수가 동일한 지점에서, 출수되지 않게 출수노즐이 배치된 경우, 사용자는 야채, 과일 등을 세척할 때, 먼저 살균수 출수노즐 아래에서, 야채, 과일의 표면의 세균, 오물 등을 1차로 세척하고, 살균수로 세척된 야채, 과일 등을 정수가 출수되는 출수노즐의 아래로 옮긴 뒤, 정수를 배출하여, 야채 과일에 묻은 살균수를 2차 세척하여 제거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따라서, 1차 세척 및 2차 세척이 서로 다른 장소에서 진행되면서, 세척과정이 매우 번거로울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하나의 위치에 피세척물을 놓고, 제2출수노즐(220)을 통해 살균수를 출수해서 1차 세척 후, 제2출수노즐(220)의 상측에 배치된 제1출수노즐(210)을 통해 정수를 출수하여, 정수 세척을 마무리할 수 있다. 따라서, 1차 세척 및 2차 세척이 한곳에서 진행되면서, 세척과정이 매우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물은 정수, 온수, 냉수이다. 살균수는 특별한 상황에서만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무의식 상태에서, 살균수 배출을 선택하지 않고 정수 배출을 선택하도록, 본 발명에서는 제2출수노즐(220)의 상측에 제1출수노즐(210)을 배치하였다.
일반적으로, 살균수를 배출하여, 음용할 경우, 살균수 내에서는 차아염소산이 함유되어 사용자의 건강에 이롭지 못하다.
이렇게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의 몸체부(230)의 상측에 냉,온,정수 취출이 가능한 제1출수노즐(210)을 배치하고, 하부에 살균수가 출수되는 제2출수노즐(220)을 배치하였다.
상기 몸체부(230)는 상기 싱크대(10)와 제2출수노즐(220)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 몸체(231)와,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몸체(2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 출수노즐과 하부 출수노즐이 별도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만약, 상부 출수노즐과 하부 출수노즐이 독립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동시에 회전하는 구조를 구비하면, 상부 출수노즐에서 정,온,냉수 취출 시, 하부 출수노즐이 물을 받는 용기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출수노즐은 각각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출수부(200)에는 표시 및 입력수단(240)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제1출수노즐(21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은 상기 출수부(200)의 최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온수, 정수, 냉수, 살균수 선택기능, 출수 명령 기능, 냉수 및 온수 온도 설정 및 표시기능, 드레인 선택 기능, 필터 교체주기 알림 기능, 출수되는 물의 용량을 설정 기능, 출수되는 물의 취출 시간 설정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약 10ml단위로, 출수되는 물의 용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약 10ml단위로, 희망 출수 용량을 입력할 수 있도록, 출수될 물의 용량을 10ml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살균수 선택 버튼, 살균수 출수버튼 역시 제1출수노즐(2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출수하는 물을 상시,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살균수 출수버튼은 제2출수노즐(220)의 상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정수,냉수,온수 및 살균수의 취출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온수와 정수를 출수하되, 온수와 정수가 하나의 유로를 통해서 출수된다.
먼저, 급수원에서 공급된 물은 급수유로(310)를 통해서, 상기 필터(120) 측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는 중간유로(320)를 통해서, 유동한다.
상기 중간유로(320)는 일측이 상기 필터(120)의 출구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온수모듈(140)의 입구측과 연결되어,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물을 상기 온수모듈(140) 측으로 안내한다.
그리고, 온수모듈(140)을 통과한 정수 또는 온수는 온수유로(340)를 통해서 제1 출수노즐(210) 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온수유로(340)는 공통유로(360)를 통해서, 제1 출수노즐(210)과 연결된다. 따라서, 온수모듈(140) 및 온수유로(340)를 통과한 물은 공통유로(360)를 통과한 뒤 제1 출수노즐(210)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온수모듈(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온수모듈(140)에서 정수가 가열되면, 제1 출수노즐(210)로 온수가 출수된다.
또한, 상기 온수모듈(140)에 전원이 차단되면, 온수모듈(140)을 통과한 정수는 가열되지 않고, 정수의 상태로 제1 출수노즐(210)로 출수된다.
즉, 본 발명의 경우, 하나의 유로를 통해서, 온수와 정수를 출수한다.
온수와 정수의 경우, 둘 다, 급수유로(310), 필터(120), 중간유로(320), 온수모듈(140), 온수유로(340), 공통유로(360)를 거쳐, 제1 출수노즐(210)로 출수된다.
차이점으로는, 온수모듈(140)의 작동 여부이다. 정수 출수 시, 제어부(180)는 온수모듈(140)을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여 온수모듈(140)은 작동하지 않고, 온수모듈(140)을 통과한 정수는 정수의 상태로 공통유로(360)로 유동한다. 반면, 온수 출수 시, 제어부(180)는 온수모듈(140)은 온(on)상태로 전환하여, 온수모듈(140)은 작동하게 되고, 온수모듈(140)을 통과한 정수는 온수로 가열된다.
상기 온수모듈(140)은 온수탱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온수탱크에는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가 경유하는 가열유로(141)가 형성되고, 온수 출수 시 상기 가열유로(141)를 통과하는 정수는 온수로 가열된다. 반면, 정수 출수 시 상기 가열유로(141)를 통과한 정수는 온도 변화 없이 정수의 상태를 유지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온수모듈(140)을 통과한 정수 또는 온수를 상기 제1 출수노즐(210) 측으로 안내하는 온수유로(340) 및 공통유로(360)를 포함한다. 즉, 온수모듈(140)에서 토출된 정수 또는 온수는 온수유로(340) 및 공통유로(360)를 거쳐, 제1출수노즐(210)로 토출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온수모듈(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180)는 온수모듈(140)의 가열원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온수모듈(140)에서 배출된 정수는 상기 온수유로(340) 및 공통유로(360)를 거쳐 상기 제1 출수노즐(210)로 출수된다. 즉, 정수 출수 시, 온수모듈(140)의 가열원이 오프(off)되어, 정수가 온수모듈(140)의 가열유로(141)를 통과할 때 가열되지 않고, 정수의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는 온수유로(340) 및 공통유로(360)를 거쳐, 제1 출수노즐(21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온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온수모듈(140)의 가열원을 온(on)시키고, 상기 온수모듈(140)에서 배출된 온수는 온수유로(340) 및 공통유로(360)를 거쳐 상기 제1 출수노즐(210)로 공급된다. 즉, 온수모듈(140)의 가열원이 온(on)되면, 정수가 온수모듈(140)의 가열유로(141)를 통과할 때 가열되고, 온수의 상태로 배출된다. 그리고, 온수모듈(140)에서 토출된 온수는 온수유로(340) 및 공통유로(360)를 거쳐, 제1 출수노즐(210)로 공급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상기 급수유로(310)의 제1지점(P1)에서 분기된 후, 물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점(P1)보다 후단에 위치한 급수유로(310)의 제2지점(P2)으로 합류되는 보조유로(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유로(330)에는 유량조절밸브(4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밸브(440)는 보조유로(330)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량조절밸브(440)는 보조유로(330)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낮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유량조절밸브(440)와 연결되어, 상기 유량조절밸브(440)를 제어한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유량조절밸브(440)를 개방하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유량조절밸브(440)의 개방된 정도를 조절하여, 결과적으로 보조유로(330)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유로(330)에는 상기 보조유로(330)를 통과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유량 조절 밸브(440)에 일체로 설치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온도센서는 각종 급수유로(310), 중간유로(320), 온수유로(340), 공통유로(3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는 온수모듈(140)에 설치될 수도 있고, 후술되는 제1출수밸브(47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온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한 물의 온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받은 온도 정보를 활용하여, 온수모듈(140) 또는 후술되는 보조히터(45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점(P1)에는 유동전환밸브(4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밸브(430)는 상기 급수유로(310)에서 보조유로(330)로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유동전환밸브(4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동전환밸브(430)는 1개의 입구와 2개의 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동전환밸브(430)의 입구는 상기 급수유로(310)와 연결되고, 2개의 출구 중 하나는 급수유로(310)로 다시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보조유로(3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유동전환밸브(430)의 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고, 상기 유동전환밸브(430)의 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유동전환밸브(430)의 출구 중 어느 하나만 선택해서 개방하고 나머지 하나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유동전환밸브(430)의 출구를 모두 개방시킬 수 있고, 상기 유동전환밸브(430)의 출구를 모두 차단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전환밸브(430)로 유입된 물은, 급수유로(310)로 전달되거나, 보조유로(33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급수유로(310)는 상기 유동전환밸브(430)를 기준으로, 유동전환밸브(430) 측으로 물을 안내하는 제1급수유로(311)와, 상기 유동전환밸브(430)에서 토출된 물을 필터(120) 측으로 안내하는 제2급수유로(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급수유로(311)를 통해서, 상기 유동전환밸브(430)로 유입된 물은 보조유로(330)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고, 제2급수유로(312)로만 유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급수유로(311)를 통해서, 상기 유동전환밸브(430)로 유입된 물은 보조유로(330) 방향으로만 유동하고, 제2급수유로(312)로는 유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급수유로(311)를 통해서, 상기 유동전환밸브(430)로 유입된 물은 보조유로(330) 방향으로 일부 유동하고, 제2급수유로(312) 방향으로도 일부 유동할 수 있다.
온수출수 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급수유로(311)를 통해서 유입된 물이 상기 보조유로(330)를 통과하도록 상기 유동전환밸브(4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유동전환밸브(430)로 유입된 물은 제2급수유로(312) 측으로는 토출되지 않고, 상기 보조유로(330) 측으로만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유로(330)를 통과한 물은, 상기 제2지점(P2)에서 제2급수유로(312)로 합류된 후, 상기 필터(12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정수출수 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급수유로(311)를 통해서 유입된 물이 상기 제2급수유로(312)를 통해서만 유동하도록 상기 유동전환밸브(4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유동전환밸브(430)로 유입된 물은 보조유로(330) 측으로는 토출되지 않고, 상기 제2급수유로(312) 측으로만 토출된다.
그리고, 제2급수유로(312)로 토출된 물은, 상기 필터(120)로 공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수의 경우, 필터(120)를 통과한 뒤, 유로를 통해 제1 출수노즐(210)로 공급된다. 따라서, 유로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필요가 없으며, 유량이 클수록 좋다.
하지만, 온수의 경우, 필터(120)를 통과한 뒤, 온수로 가열된 후, 제1 출수노즐(210)로 공급된다. 따라서, 온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 온수모듈(140)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정수 대비 낮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필터(12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로(310)에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하여, 필터(120)로 공급되는 유량을 낮게 조절할 경우, 온수 온도는 높아져, 온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하지만, 정수 출수시에도, 낮게 조절된 유량으로 인해서, 정수 유량도 줄어들게 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정수 출수시, 제1급수유로(311)를 통해서, 유입된 물을 제2급수유로(312)를 통해서, 필터(120)로 공급한다. 상기 제2급수유로(312)에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정수유량이 낮아지는 상황이 방지되며, 정수유량 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
반면, 온수 출수시, 제1급수유로(311)를 통해서, 유입된 물을 보조유로(330)를 통해서, 필터(120)로 공급한다. 상기 보조유로(330)에는 유량조절밸브(440)가 설치된 상태이며, 유량조절밸브(440)에 의해 낮게 조절된 유량이 필터(120)로 유입되어, 온수모듈(140)로 공급되는 유량이 낮아져, 온수 온도가 높아질 수 있고, 온수 온도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급수유로(310)에서 필터(120)로 유동하는 물의 경로를 두 갈래로 나눠서 정수 출수시에는 급수유로(310)로만 물을 유동시켜 유량이 줄어들지 않도록 하고, 온수 출수시에는 급수유로(310)의 물을 보조유로(330)로 유동시켜서 유량을 낮춰서, 온수의 온도 조건 만족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필터(120)에서 토출된 정수는, 중간유로(320)를 통해서 온수모듈(140) 측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온수모듈(140)로 유입된 물은 가열되어 온수의 상태로 토출되거나, 가열되지 않고 정수의 상태로 토출되어 온수유로(340)를 유동한다.
온수유로(340)를 유동하던 온수 또는 정수는 공통유로(360)를 통해서 유동한 뒤, 제1 출수노즐(210)을 통해서, 정수기 외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공통유로(360)는 일측이 상기 온수유로(34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 출수노즐(210)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공통유로(360)에는 상기 제1 출수노즐(210) 측으로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1출수밸브(4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출수밸브(4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180)는 정수, 온수 또는 냉수 출수 시, 상기 제1출수밸브(470)가 개방되게 제어하고, 출수가 진행되지 않는 대기상태에서, 상기 제1출수밸브(470)가 차단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온수 출수 후, 온수모듈(140)은 가열된 상태이고, 온수유로(340) 및 온수모듈(140), 그리고 공통유로(360)에도 온수가 채워진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정수를 출수하면, 정수가 출수되기 전, 온수유로(340) 또는 온수모듈(140) 내 온수가 제1 출수노즐(210)을 통해서, 출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온수 출수 후, 정수가 출수되기 전, 온수유로(340) 및 온수모듈(140), 그리고 공통유로(360)에 남아있는 온수(잔수)를 드레인시켜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정수기는 드레인유로(37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출수밸브(470)는 삼방밸브(3-way valve)로 구비되고, 상기 제1출수밸브(470)에는 드레인 유로(37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출수밸브(470)는 유입된 물은 상기 제1 출수노즐(210) 측으로 유동할 수 있고, 상기 드레인 유로(370)로 유동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출수밸브(470)는 1개의 입구와 2개의 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출수밸브(470)의 입구는 상기 온수유로(340) 측으로 연장된 공통유로(360)와 연결된다. 그리고, 2개의 출구 중 하나는 상기 제1 출수노즐(210) 측으로 연장된 공통유로(360)로 다시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드레인 유로(370)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출수밸브(470)의 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고, 상기 제1출수밸브(470)의 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출수밸브(470)의 출구 중 어느 하나만 선택해서 개방하고 나머지 하나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출수밸브(470)의 출구를 모두 개방시킬 수 있고, 상기 제1출수밸브(470)의 출구를 모두 차단시킬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출수밸브(470)로 유입된 물은, 상기 제1 출수노즐(210) 측으로 연장된 공통유로(360)로 토출되어 제1 출수노즐(210)로 토출되거나, 드레인 유로(370)로 토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온수출수 시, 상기 제1출수밸브(470)는 상기 제1 출수노즐(210) 측으로 연장된 공통유로(360)로 물이 토출되게 개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온수출수가 종료되면, 상기 제1출수밸브(470)는 상기 드레인 유로 (370)와 연결된 출구가 개방되어, 온수유로(340), 공통유로(360) 또는 온수모듈(140) 내 잔수가 드레인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온수출수 후, 드레인이 진행되면, 온수유로(340), 공통유로(360) 또는 온수모듈(140)은 정수로 채워진 상태이거나, 비워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온수 출수 후, 정수 출수 시, 정수의 온도가 고온의 잔수에 의해 상승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온수 출수 후, 드레인이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수 출수가 진행되면, 온수모듈(140)이 꺼진 상태라 하더라도, 온수유로(340), 공통유로(360) 또는 온수모듈(140)에는 고온의 잔수가 남아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1 출수노즐(210)을 통해서, 고온의 물이 출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참고로, 상기 드레인은, 온수탱크 내 잔수가 배출될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온수 출수가 종료되면, 정수 출수 여부에 관계없이, 드레인을 진행할 수 있다.
즉, 온수 출수시, 온수모듈(140)은 작동하고, 제1출수밸브(470)는 제1 출수노즐(210) 측 출구가 개방된다.
그리고, 온수 출수가 종료되면, 온수모듈(140)은 작동을 멈추고, 제1출수밸브(470)는 드레인유로(370)측 출구가 개방되어, 온수유로(340) 또는 온수모듈(140) 내 온수가 드레인유로(370)를 통해서, 드레인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드레인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1출수밸브(470)는 드레인유로(370) 측 출구가 차단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온수 출수가 종료되고, 정수 출수 진행 시, 온수 출수 후, 경과 시간을 체크해서, 경과시간에 따라 선택적으로 드레인을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온수 출수가 종료되고, 정수 출수 진행 시, 온수유로(340) 또는 공통유로(360) 또는 온수모듈(140) 또는 제1출수밸브(470)의 잔수 온도를 체크하고, 체크된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드레인을 진행할 수도 있다.
다시,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냉수출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일측이 상기 중간유로(320)에서 분기되고, 타측이 상기 공통유로(360)로 합류되는 냉수유로(350)와, 상기 냉수유로(350)에 설치되어, 상기 냉수유로(350)를 통과하는 정수를 냉수로 냉각시키는 냉수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유로(320)에는, 상기 냉수유로(350)의 분기점에 냉온수밸브(4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냉온수밸브(46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일 예로, 온수 출시 또는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180)는 냉온수밸브(460)가 상기 온수모듈(140) 측으로 개방되게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냉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180)는 냉온수밸브(460)가 상기 냉수유로(350) 측으로 개방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냉온수밸브(460)는 1개의 입구와 2개의 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냉온수밸브(460)의 입구는 상기 필터(120) 측으로 연장된 중간유로(320)와 연결된다. 그리고, 2개의 출구 중 하나는 상기 온수모듈(140) 측으로 연장된 중간유로(320)로 다시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냉수유로(350)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냉온수밸브(460)의 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고, 상기 냉온수밸브(460)의 출구를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냉온수밸브(460)의 출구 중 어느 하나만 선택해서 개방하고 나머지 하나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냉온수밸브(460)의 출구를 모두 개방시킬 수 있고, 상기 제1출수밸브(470)의 출구를 모두 차단시킬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냉온수밸브(460)로 유입된 물은, 상기 온수모듈(140) 측으로 연장된 중간유로(320)로 토출되어 온수모듈(140)로 공급되거나, 냉수유로(350)로 토출될 수 있다.
변형 예로, 온수 출수 후, 가열된 상태이고, 온수유로(340) 및 온수모듈(140), 그리고 공통유로(360)에도 온수가 채워진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정수를 출수하면, 정수가 출수되기 전, 온수유로(340) 또는 온수모듈(140) 내 온수가 제1 출수노즐(210)을 통해서, 출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냉수를 통해서, 제1 출수노즐(210)로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낮게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온수출수 후, 기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정수 출수가 진행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냉온수밸브(460)가 상기 온수모듈(140)과 연결된 중간유로(320) 측 출구를 개방하고, 냉수유로(350) 측 출구도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기준시간'은 다양하게 세팅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준시간'은 60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온수 출수 후, 기준시간이 경과되기 전,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냉온수밸브(460)의 양쪽 출구를 동시에 개방시키되, 상기 냉수유로(350) 측 출구는 제1시간 동안 개방된 후, 차단되게 제어하고, 상기 온수모듈(140)과 연결된 중간유로(320) 측 출구는 제1시간 보다 긴 제2시간동안 개방되게 제어한다.
여기서, '제1시간' 및 '제2시간'은 다양하게 세팅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시간'은 3초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유로(350)와 상기 온수유로(340)를 통해 토출된 물은 공통유로(360)에서 합류된 후, 상기 제1 출수노즐(210)을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온수 출수가 종료되고, 정수 출수 진행 시, 온수 출수 후, 경과 시간을 체크해서, 경과시간에 따라 선택적으로 냉수 일부를 잔수에 합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온수 출수가 종료되고, 정수 출수 진행 시, 온수유로(340) 또는 공통유로(360) 또는 온수모듈(140) 또는 제1출수밸브(470)의 잔수 온도를 체크하고, 체크된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선택적으로 냉수 일부를 잔수에 합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온수유로를 통해서, 정수를 출수할 때, 잔류 온수에 의해, 정수 출수 시 초기에 온수 또는 미온수가 토출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급수유로(310)에는 급수원에서 유입된 물의 수압을 조절하는 감압밸브(410), 또는 상기 급수유로(310)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체크하는 유량센서(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급수유로(311)에는, 물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감압밸브(410)과 유량센서(420)가 순서대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유량센서(420)와 연결되어, 상기 유량센서(420)에서 감지한 유량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받은 유량 정보를 활용하여, 온수모듈(140) 또는 후술되는 보조히터(45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온수 살균>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온수살균 기능을 갖는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유로(330)에는 상기 보조유로(330)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시키는 보조히터(4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히터(450)는 물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량조절밸브(440) 보다 뒤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보조히터(4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온수살균 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보조히터(450)를 작동시키고, 온수모듈(140)과 냉수모듈(150)은 작동을 멈춘다.
그리고, 상기 보조히터(45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수는 필터(120)를 통과한 뒤, 상기 제1 출수노즐(210) 방향으로 유동한다.
상기와 같이, 보조히터(450)가 작동하면, 보조히터(450)가 설치된 보조유로(330), 필터(120), 중간유로(320), 온수유로(340), 냉수유로(350), 공통유로(360)가 온수에 의해 살균처리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온수살균 시, 제1급수유로(311)의 물이 보조유로(330)로 유동하도록 유동전환밸브(43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필터(120)에서 토출된 후 중간유로(320)를 유동하는 물이 냉수유로(350) 또는 온수유로(340) 측으로 유동하도록 냉온수밸브(46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필터(120)에서 토출된 후 중간유로(320)를 유동하는 물이 냉수유로(350) 측으로 유동하도록 냉온수밸브(46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필터(120)에서 토출된 후 중간유로(320)를 유동하는 물이 온수모듈(140) 및 온수유로(340) 측으로 측으로 유동하도록 냉온수밸브(46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필터(120)에서 토출된 후 중간유로(320)를 유동하는 물이 냉수유로(350) 및 온수유로(340) 측으로 유동하도록 냉온수밸브(4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필터(120)에서 토출된 후 중간유로(320)를 유동하는 물은 동시에 냉수유로(350) 및 온수유로(34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필터(120)에서 토출된 후 중간유로(320)를 유동하는 물은 순차적으로 냉수유로(350) 측으로 먼저 유동한 뒤, 온수유로(340) 측으로 유동하거나, 온수유로(340) 측으로 먼저 유동한 뒤, 냉수유로(35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온수살균 시, 공통유로(360)의 물이 제1 출수노즐(210) 또는 드레인유로(370) 측으로 유동하도록 제1출수밸브(47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공통유로(360)를 거쳐 제1출수밸브(470)로 유입된 물이 제1 출수노즐(210) 측으로 유동하도록 제1출수밸브(47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공통유로(360)를 거쳐 제1출수밸브(470)로 유입된 물이 드레인유로(370) 측으로 유동하도록 제1출수밸브(4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공통유로(360)를 거쳐 제1출수밸브(470)로 유입된 물이 제1 출수노즐(210) 측으로 유동하고, 드레인유로(370) 측으로도 유동하도록 제1출수밸브(4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공통유로(360)를 거쳐 제1출수밸브(470)로 유입된 물은 동시에 제1 출수노즐(210) 측과 드레인유로(37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공통유로(360)를 거쳐 제1출수밸브(470)로 유입된 물은 순차적으로 제1 출수노즐(210) 측으로 먼저 유동한뒤 드레인유로(370) 측으로 유동하거나, 드레인유로(370) 측으로 먼저 유동한 뒤, 제1 출수노즐(21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기(10)는 상기 온수모듈(140)에서, 온수의 가열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유로(380) 및 세이프티 밸브(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온수모듈(140)에 포함된 온수탱크의 내부가 증기에 의해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이프티 밸브(190)는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온수탱크 내부의 증기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온수탱크에서 배출된 증기는 드레인유로(380)를 통해 정수기(1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출수가 진행되면서, 온수살균이 진행되기 때문에, 유속에 의해 유로 및 밸브의 살균이 진행되면서 이물질의 제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수기에 포함된 유로 전체를 온수살균 및 온수세척하면서 발생하는 온수의 일부는 출수노즐로 배출하고, 나머지는 정수기의 외측으로 드레인 할 수 있도록하여, 출수노즐로 대량의 온수가 배출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대량의 온수를 처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살균수 모듈>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살균수를 생성하고, 출수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해서, 일측이 상기 중간유로(320)에서 분기되고, 타측이 상기 출수부(200) 측과 연결되는 살균수 유로(390), 및 상기 살균수 유로(390)에 설치되어, 상기 살균수 유로(390)를 통과하는 물을 살균수로 전기분해시키는 살균수 모듈(13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살균수 모듈(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따르면, 살균수 유로(390)로 분기된 물은 살균수 유로(390) 상에 구비된 살균수 모듈(130)을 거치면서, 살균수의 상태로, 출수부(2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수 유로(390)에는, 살균수 유로(390)를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살균수 밸브(4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살균수 밸브(490)는 상기 살균수 모듈(130)로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살균수 출수를 요청하면, 살균수밸브(490)가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살균수밸브(490)가 개방되면, 중간유로(320)의 정수는 살균수 유로(390) 및 살균수밸브(490)를 통과하게 되고, 살균수 유로(390)의 물은 살균수모듈(130)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살균수모듈(13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살균수 유로(390)를 따라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하고, 제2출수밸브(480)를 거쳐, 도 제2출수노즐(220)을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살균수 모듈 위치>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본체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프론트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수납홈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살균수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14)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커버(114)는 상기 본체부(100)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패널(116)을 포함하고, 배면을 형성하는 리어커버(112),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일측 상부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납홈(161)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110)의 프론트 커버(111)를 제거하면, 내측커버(160)와 필터(120)가 외부로 노출된다. 내측커버(160)는 상측에 배치되고, 필터(120)는 하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홈(161)은 상기 내측커버(160)의 일측(도면의 좌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수 모듈(130)은, 상기 수납홈(161)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홈(161)의 개방된 입구는 별도의 수납홈커버(17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수납홈커버(170)는 내측커버(16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일 예로, 상기 프론트 커버(111)는 상하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내측커버(160) 역시, 상기 프론트 커버(111)와 대응하도록, 상하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수납홈커버(170)는 상기 내측커버(160)의 외측 표면과 매끄럽게 연결되게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납홈(161) 및 수납홈커버(170)가 형성되면, 살균수모듈(130)의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하다. 만약, 살균수모듈(130)의 점검 및 교체가 필요할 경우, 본체부(100)에서 프론트 커버(111)를 분리하고, 외부로 노출된 수납홈커버(170)를 내측커버(160)에서 분리시키면, 살균수모듈(130)이 노출되어, 살균수모듈(130)을 분리 및 설치할 있다.
도 8은 프론트 커버가 분리된 상태에서, 본체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수납홈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A-A’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커버(160)는, 상기 수납홈(161)의 입구를 정의하는 상단에서,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상면부(162)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홈 커버(170)는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면부(162)와 면접촉하는 상단부(171) 및, 상기 상단부(171)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면부(162)의 단부에 후크 방식으로 고정되는 후크부(17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홈 커버(170)는 수납홈(161)의 입구를 차폐한 상태에서, 후크체결 방식으로 상기 내측커버(16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커버(160)는 상기 수납홈(161)의 입구를 정의하는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하면부(163)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홈 커버(170)는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면부(163)의 상단에 안착되는 하단부(173)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납홈 커버(170)는 내측커버(160)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커버(160)에는 하방으로 오목한 보조홈부(164)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홈 커버(170)에는 상기 보조홈부(164)에 삽입되는 보조돌기부(17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홈부(164)는 상기 수납홈(161)의 일측(도면의 우측)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돌기부(174)는 수납홈 커버(170)의 일측(도면의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돌기부(174)는 보조홈부(164)에 삽입되고, 수납홈 커버(170)는 내측커버(16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여유 공간에 살균수모듈(130)을 배치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한편, 상기 살균수 모듈(130)은 유입관(131)이 하측을 향하고, 토출관(132)이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관(131)를 통해 입수된 물은 살균수 모듈(130)의 내측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토출관(132)은 살균수 모듈(130)의 상측에 위치하여, 살균수는 토출관(132)을 통해 살균수 모듈(130)의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131)과 토출관(132)은 각각 살균수 유로(390)와 연결된다. 따라서, 살균수 유로(390) 로 유입된 정수는 유입관(131)을 통해 살균수모듈(130)로 유입되고, 살균수모듈(13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토출관(132)을 통해 살균수모듈(130)을 빠져나간 뒤, 살균수 유로(390)를 통해 출수부(2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31)이 하측에 배치되고, 살균수가 토출되는 토출관(132)이 상측에 구비되면, 하측에서 상측으로 물이 천천히 유동하게 되고, 살균수 생성과정에서 발생된 기포가 상측으로 포집된 후, 토출관(132)로 빠져나갈 수 있다.
만약, 유입관(131)이 살균수모듈(130)의 상측에 위치하면, 유입관(131)을 통해 입수된 물이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빠르게 유동하게 되고, 정수가 살균수모듈(130) 내부의 전극부와 충분히 반응하지 않고 배출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고, 원하는 살균수 농도를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유입관(131)과 토출관(132)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 살균수 생성과정에서 발생된 기포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살균수 생성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유입관(131)과 토출관(132)을 상하방향으로 배치하되, 유입관(131)이 하측에 배치되고, 토출관(132)이 상측에 배치되게, 살균수모듈(130)을 설치한다.
참고로, 상기 살균수모듈(130)의 내부에는 두 개의 전극부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는 제1전극과 제2전극을 포함하고, 수중에서 전기분해 반응을 유도하여 고농도의 오존을 생성함에 따라 강력한 살균력을 가진 오존이 혼합된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살균수 모듈(13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제2출수노즐(220)을 통해서, 싱크대로 제공되고, 사용자는 살균수를 이용해서, 설거지, 과일세척 등을 진행할 수 있다.
<교반부재>
도 11은 본 발명의 냉수모듈에 적용되는 교반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정수기에 적용되는 냉수모듈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일측이 상기 중간유로(320)에서 분기되고 타측이 상기 출수부 (200) 측과 연결된 냉수유로(3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수유로(350)에는, 상기 냉수유로(350)를 통과하는 정수를 냉수로 냉각시키는 냉수모듈(150)가 설치된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냉수모듈(150)은,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탱크(151)와, 상기 냉각수 탱크(151)의 외면을 감싸서 냉각수를 외부 공기로부터 단열시키는 단열 케이스(15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수모듈(150)은, 상기 냉각수 탱크(151) 내부에 수용되며 내부에 음용수가 흐르는 냉수유로(350)과, 상기 냉각수 탱크(151)의 내부에서 상기 냉수유로(350)의 상측에 놓이는 구획 부재(153)와, 상기 구획 부재(153)의 상측에 놓이는 증발기(154)와, 상기 구획 부재(153)를 관통하여 상기 냉수유로(350)의 내측에 놓이는 교반 부재(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획 부재(153)는, 상기 냉각수 탱크(151)의 가로 방향으로 수평하게 놓여서, 상기 냉각수 탱크(151)의 내부 공간을 상기 증발기(154)가 놓이는 상측 공간과, 상기 냉수유로(350)가 놓이는 하측 공간으로 구획한다.
그리고, 상기 구획 부재(153)에는 다수의 격자 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구획 부재(153) 상측의 냉수와 상기 구획 부재(153) 하측의 냉수가, 상기 교반 부재(500)의 작동에 의하여 순환 가능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154)는 원주 방향으로 다수회 감기는 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교반 부재(500)는 상기 구획 부재(153)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냉수유로(350)의 내측에 놓인다. 상기 냉수유로(3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럴 형태로 감겨서 소정 길이와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모듈(150)은, 상기 냉각수 탱크(151)의 개구된 상단을 덮는 탱크 커버(155)와, 상기 탱크 커버(155)의 상면에 안착되는 교반 모터(156)와, 상기 탱크 커버(155)의 상측에서 상기 단열 케이스(152)의 개방된 상단을 덮는 케이스 커버(157)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단열 케이스(152)는, 상측이 개방되어, 내부 공간에 상기 냉각수 탱크(151)가 수용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157)는 상기 단열 케이스(151)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한다.
상기 교반 모터(156)의 회전축은 상기 탱크 커버(155)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151)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교반 부재(500)의 상단은 상기 교반 모터(156)의 회전축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교반 부재(500)는, 상기 교반 모터(156)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축부(510)와, 상기 축부(510)의 중간부와 하단에 형성되는 블레이드부(또는 임펠러부)(520,5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부(510)는, 블레이드부(520,530)가 상기 구획 부재(153)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지점에 놓일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블레이드부(520,530)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블레이드(521,531)가 상기 축부(5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블레이드(521, 531)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521, 531)는 사각형의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521, 531)는 상기 축부(510)와 연결되지 않은 외측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지게 형성되어 곡면부(522,53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축부(510)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원판형태의 플랜지부(540)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540)의 상부에는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모터 체결부(55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축부(510)의 중심부와 하단에는 상기 블레이드(521,531)가 연결되는 블레이드 고정부(560, 57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고정부(560,570)는 각각 사각형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부(510)의 단면은 십(十)자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부(510)애는 원판형의 보강부(58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부(520,530)는, 상기 축부(510)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상부 블레이브부(520)와, 상기 축부(510)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블레이드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블레이브부(520)의 블레이드(521) 및 하부 블레이드부(530)의 블레이드(531)는 각각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부 블레이브부(520)의 블레이드(521) 및 하부 블레이드부(530)의 블레이드(531)는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축부(51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블레이브부(520)의 블레이드(521)는 제1각도 만큼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 블레이드부(530)의 블레이드(531)는 상기 제1각도보다 작은 제2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각도 및 제2각도는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축부(510)와 상기 블레이드(521,531)의 상면이 형성하는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부재 작동 시, 냉수모듈 내 유동을 해석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4 내지 도 15는 교반부재의 형상 별 냉수 출수 온도 및 냉각 성능을 비교한 표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경우, 축부(510)에 상부 블레이브부(520)와 하부 블레이드부(530)가 별도로 형성되어, 상부유동과 하부유동이 각각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부 블레이브부(520)의 회전에 의해, 증발기가 배치된 상부공간에서 별도의 유동이 발생하여, 냉각수 탱크(151) 내 전체 물온도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부 블레이드부(530)의 회전에 의해, 냉수유로(350)가 배치된 하부 공간에서 별도의 유동이 발생하여, 보다 빠르고 확실하게 열교환이 진행되고, 이에 따라 냉수 출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교반부재(dual blade case 2)의 경우, 6잔 평균 냉수 온도가 6.7-6.8℃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파우셋 연결 구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유로 및 전선이 하우징과 연결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은 배면의 상측에 둘레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는 연결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탑커버(111)는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11a)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111a)에 상기 연결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11a)의 하단은 하우징(110)의 배면을 형성하는 리어커버(112), 하우징(110)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패널(116), 하우징(11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커버(114)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113)는 제1 높이를 갖는 제1 연결구(113a)와, 상기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를 갖고, 상기 제1연결구(113)의 일측(도면의 우측)과 연통하게 형성된 제2연결구(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구(113a)는 상기 연장부(111a)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구(113a)를 통해서, 각종 유로가 통과되고, 제2연결구(113b)를 통해서는 각종 전선(400)이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로는 급수유로(310), 중간유로(320), 보조유로(330), 온수유로(340), 냉수유로(350), 공통유로(360), 드레인 유로(380), 살균수 유로(3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구(113a)를 통해 삽입된 후, 상기 제2연결구(113b)를 차폐하는 연결구 커버(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구(113a)는 연결구 커버(117)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 커버(117)는 상측과 하측에 상기 제2연결구(113b)를 정의하는 상단과 하단이 삽입되는 슬라이드홈(117a)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 커버(117)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제2 연결구(113b)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구(113b)를 정의하는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슬라이드 홈(117a)에 삽입되는 슬라이드 돌기(113c)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 커버(117)는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이 변형이 용이하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정수기.
또한, 상기 연결구 커버(117)에는, 유로 또는 전선(400)이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과홀(117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과홀(117b)은 복수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통과홀(117b)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통과홀(117b)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과홀(117b)은 복수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서로 연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구(113) 및 연결구 커버(117)가 형성되면, 연결구 커버(117)에 전선(400)을 끼운 뒤, 연결구 커버(117)를 제1연결구(113a)를 통해서, 제2연결구(113b)에 끼워서, 전선(400)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탑커버(111)의 분리 없이, 전선(400)을 하우징(110)의 배면을 통해서, 본체부(100)와 연결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이 조립된 상태에서, 전선(400)을 하우징(110)의 배면에 연결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이점도 있다.
<주름 배관 구조>
도 17은 본 발명의 정수기에 적용되는 배관이 일자로 펴진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8은 도 17의 일부를 확대시킨 도면이다. 그리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정수기에 적용되는 배관이 구부러진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관(300)은 절곡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관(300)은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져, 굽힘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배관(300)이 온수유로(340) 또는 냉수유로(350) 또는 살균수 유로(390)인 경우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상기 배관(300)은, 급수유로(310), 중간유로(320), 보조유로(330), 온수유로(340), 냉수유로(350), 공통유로(360), 드레인 유로(380), 살균수 유로(3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은 배면의 상측에 둘레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는 연결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113)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관, 일 예로 온수유로(340) 또는 냉수유로(350) 또는 살균수 유로(390)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배관(300)은, 길이방향을 따라 주름지게 형성된 주름구간(30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300)에는 적어도 3곳에 주름구간(301)이 형성되고, 상기 주름구간(301)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구간(301)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구간은 주름이 형성되지 않은 직선구간(30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관(300)은 양측 단부에 직선구간(30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300)은 주름구간(301) 사이에 직선구간(3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관(30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관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30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배관(300)은 전체구간이 주름구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주름구간(301)은 작업자가 손으로 구부리면, 변형되고, 변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변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펴면,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관(300)의 적어도 일부에 주름구간(301)이 형성되면, 배관(300)의 연장되는 방향이 손쉽게 변경될 수 있다.
만약, 배관(300)의 3곳에 주름구간(301)이 형성되면, 본체부(100)의 설치환경에 맞춰서 배관(300)의 형상을 손쉽게 변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배관(300)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의 모서리는 면취(chamfer) 가공되며, 경사면(30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300)의 일측 단부 또는 양측 단부에서 제1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는,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단부홈(30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부홈(303)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Claims (30)

  1. 정수, 온수, 살균수를 생성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에서 생성된 정수, 온수, 살균수를 토출하는 출수부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급수원에서 공급된 물을 정수하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경유하는 가열유로를 형성하고, 온수 출수 시 상기 가열유로를 통과하는 정수를 온수로 순간 가열시키는 온수모듈;
    상기 필터와 상기 온수모듈을 연결하는 중간유로;
    일측이 상기 중간유로에서 분기되고, 타측이 상기 출수부 측과 연결되는 살균수 유로;
    상기 살균수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살균수 유로를 통과하는 물을 살균수로 전기분해시키는 살균수 모듈;
    상기 온수모듈을 통과한 온수를 상기 출수노즐 측으로 안내하는 온수유로;
    상기 온수모듈 및 살균수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일측 상부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납홈을 형성하고,
    상기 살균수 모듈은, 상기 수납홈에 수용되며,
    상기 수납홈의 개방된 입구를 차폐하는 수납홈커버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정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납홈의 입구를 정의하는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상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홈 커버는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면부와 면접촉하는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면부의 단부에 후크 방식으로 고정되는 후크부가 형성되는 정수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납홈의 입구를 정의하는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하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홈 커버는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면부의 상단에 안착되는 하단부를 형성하는 정수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본체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정수기.
  6.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중간유로에서 분기되고 타측이 상기 출수부 측과 연결된 냉수유로;
    상기 냉수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냉수유로를 통과하는 정수를 냉수로 냉각시키는 냉수모듈을 더 포함하는 정수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모듈은,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탱크;
    상기 냉각수 탱크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탱크 커버;
    상기 탱크 커버에 장착되는 교반 모터;
    상기 몸통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교반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중간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냉수 배관의 내측에 놓이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교반 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블레이드가 상기 축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정수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축부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상부 블레이브부;
    상기 축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블레이드부의 블레이드는 제1각도 만큼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 블레이부의 블레이드는 상기 제1각도보다 작은 제2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정수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는 연결구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는 제1 높이를 갖는 제1 연결구와,
    상기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를 갖고, 상기 제1연결구의 일측과 연통하게 형성된 제2연결구를 포함하는 정수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구를 통해 삽입된 후, 상기 제2연결부를 차폐하는 연결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커버는 상측과 하측에 상기 제2연결구를 정의하는 상단과 하단이 삽입되는 슬라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 커버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기 제2 연결구에 고정되는 정수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커버에는, 배관 또는 전선이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과홀이 형성되는 정수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홀은 복수 구비되고,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정수기.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홀은 복수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서로 연통하는 정수기.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커버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정수기.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는 연결구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관이 통과하는 정수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길이방향을 따라 주름지게 형성된 주름구간을 포함하는 정수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에는 적어도 3곳에 주름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주름구간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정수기.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정수기.
  22. 제 1항에 있어서,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모듈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온수모듈에서 배출된 정수는 상기 온수유로를 거쳐 상기 출수부로 출수되는 정수기.
  23. 제 1항에 있어서,
    온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모듈을 온(on)시키고, 상기 온수모듈에서 배출된 온수는 온수유로를 거쳐 상기 출수노즐로 출수되는 정수기.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와 상기 온수모듈 사이에는, 상기 온수모듈 측으로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냉온수밸브가 장착되고,
    온수 출시 및 정수 출수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수모듈 측으로 물이 유동하도록 상기 냉온수밸브를 개방시키는 정수기.
  25. 제 1항에 있어서,
    급수원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필터 측으로 안내하는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의 제1지점에서 분기된 후, 물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지점보다 후단에 위치한 급수유로의 제2지점으로 합류되는 보조유로;
    상기 보조유로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밸브; 및
    상기 제1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유로에서 보조유로로 유동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유동전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동전환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정수기.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온수출수 시, 상기 급수유로의 물이 상기 보조유로를 통과하도록 상기 유동전환밸브를 제어하는 정수기.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수출수 시, 상기 급수유로의 물이 상기 급수유로를 통해서만 유동하도록 상기 유동전환밸브를 제어하는 정수기.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유로에는 상기 보조유로를 유동하는 물을 가열시키는 보조히터가 설치되는 정수기.
  29. 제 28항에 있어서,
    온수살균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히터를 작동시키고, 상기 보조히터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수는 필터를 통과한 뒤, 상기 출수노즐 방향으로 유동하는 정수기.
  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싱크대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출수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싱크대의 상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정수기.
KR1020210075081A 2021-06-09 2021-06-09 정수기 KR20220166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081A KR20220166144A (ko) 2021-06-09 2021-06-09 정수기
US17/836,421 US20220396500A1 (en) 2021-06-09 2022-06-09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081A KR20220166144A (ko) 2021-06-09 2021-06-09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144A true KR20220166144A (ko) 2022-12-16

Family

ID=8438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081A KR20220166144A (ko) 2021-06-09 2021-06-09 정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396500A1 (ko)
KR (1) KR202201661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19880S1 (en) * 2022-03-29 2024-03-26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Water treatment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3008A (ko) 2006-02-20 2007-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90010596A (ko) 2016-05-20 2019-01-30 밀리켄 앤드 캄파니 가교-결합된 실록산 네트워크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3008A (ko) 2006-02-20 2007-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90010596A (ko) 2016-05-20 2019-01-30 밀리켄 앤드 캄파니 가교-결합된 실록산 네트워크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96500A1 (en)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25428B (zh) 净水器
EP4089242A1 (en) Liquid dispensing device
KR20160136659A (ko) 냉장고
EP3699367B1 (en) Liquid dispensing device
KR102267887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005569B1 (ko) 정수기
KR102305191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40117070A (ko) 정수기
KR20220093863A (ko) 정수기
KR20220166144A (ko) 정수기
KR102615063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US12037272B2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00047102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CN115052831A (zh) 净水器
CN105776685B (zh) 净水器
KR20210095101A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JP2007144363A (ja) 浄水装置
KR20190089145A (ko) 정수기
KR20210082955A (ko) 분리 모듈형 정수기
KR102283533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1774136B1 (ko) 냉장고
AU2022202423B2 (en) Water purifier
US20240091686A1 (en) Water purifier
KR101738294B1 (ko) 냉장고
KR102306072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