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2955A - 분리 모듈형 정수기 - Google Patents

분리 모듈형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2955A
KR20210082955A KR1020190175456A KR20190175456A KR20210082955A KR 20210082955 A KR20210082955 A KR 20210082955A KR 1020190175456 A KR1020190175456 A KR 1020190175456A KR 20190175456 A KR20190175456 A KR 20190175456A KR 20210082955 A KR20210082955 A KR 20210082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cooler
connection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현석
천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90175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2955A/ko
Publication of KR20210082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모듈형 정수기는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하기 위한 필터 및 원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공급되는 물이 출수되는 출수유닛 및 상기 본체 및 출수유닛 사이에 연결되어 물이 유동하는 제1연결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 모듈형 정수기{SEPERATABLE MODULE TYPE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설치대상 공간에 따라 다양하게 분리 설치가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모듈로 이루어진 분리 모듈형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정수기의 경우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최근 깨끗한 물, 다양한 온도 조건의 물 등 단순 음수를 떠난 소비자의 다양한 수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필터,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가열기품 또는 냉각부품, 다양한 전장부품 등이 정수기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정수기의 부피는 종래에 비하여 점점 커지게 된다.
한편, 정수기의 경우 음수가 편리한 주방의 싱크대 등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최근 정수기의 부피 증가에 따라 싱크대 상부의 많은 면적을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주방을 주로 사용하는 주부들의 싱크대 상부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정수기의 위치를 일시적으로 옮기거나 설치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2903호에는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용기가 분리되는 개념에 대한 분리형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지만, 여전치 전체 정수기의 부피는 크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점이 해결되지는 않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290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효과적인 출수를 위한 최소한의 부품만 포함된 별도의 출수유닛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주방에 원하는 지점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체가 설치되는 싱크대 하부의 한정적인 공간을 고려하여 본체를 복수 개의 모듈을 구분하여 간편하게 설치를 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리 모듈형 정수기는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하기 위한 필터 및 원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공급되는 물이 출수되는 출수유닛 및 상기 본체 및 출수유닛 사이에 연결되어 물이 유동하는 제1연결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필터가 구비되고, 제1연결배관이 연결되는 제1본체모듈, 상기 냉각기가 구비되는 제2본체모듈 및 상기 제1본체모듈 및 상기 냉각기 사이를 연결하고, 본체에서 공급되는 물이 유동하는 제2연결배관, 상기 냉각기 및 상기 제1본체모듈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냉각기를 통과한 물이 유동하는 제3연결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상기 필터가 구비되고, 제1연결배관이 연결되는 제1본체모듈, 상기 냉각기가 구비되는 제2본체모듈, 상기 제1본체모듈 및 상기 냉각기 사이를 연결하고, 본체에서 공급되는 물이 유동하는 제2연결배관, 상기 냉각기 및 상기 제1연결배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냉각기를 통과한 물이 유동하는 제4연결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필터가 구비되고, 제1연결배관이 연결되는 제1본체모듈, 상기 냉각기가 구비되는 제2본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기는 정수와 열매체가 열교환을 하며, 상기 제2본체모듈은 원수와 상기 열매체가 열교환하는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로 원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2본체모듈에 연결되는 원수공급관 및 응축기를 통과한 원수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2본체모듈에 연결되는 원수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 모듈형 정수기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정수기를 필터 등 정수에 필요한 구성이 설치되는 본체와 출수를 위한 최소한의 구성만으로 이루어지는 출수유닛으로 분리한다. 따라서 한정된 주방의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체를 복수 개의 모듈로 분리하여 싱크대 하부에 한정된 공간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효율적인 공간 배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정수기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본체의 사시도;
도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연결배관 및 연결전선이 출수유닛 및 본체를 연결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 간의 배관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 및 도6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정수기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출수유닛, 제1본체모듈, 제2본체모듈이 연결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 간의 배관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출수유닛, 제1본체모듈, 제2본체모듈이 연결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 간의 배관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정수기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본체의 사시도, 도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연결배관 및 연결전선이 출수유닛 및 본체를 연결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 간의 배관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 내지 도4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수기는 출수유닛(100), 본체(200), 연결배관(300), 연결전선(400)를 포함한다.
정수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은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에 나누어 구비된다. 그리고 출수유닛(100)과 본체(200)은 물이 유동하는 배관(300)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400)으로 연결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 효과적인 정수, 온수, 냉수를 제공하기 위한 최소한의 부품만 출수유닛(100)에 구비하고, 나머지 부품은 본체(200)에 구비하여, 출수유닛(100)의 부피를 최소화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200)는 싱크대의 하부 등 상대적으로 공간의 여부가 있는 곳에 위치시키고, 적은 부피의 출수유닛(100)을 원하는 지점에 간편하게 위치시키거나 옮길 수 있게 된다.
특히 온수공급기능이 있는 정수기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유량제어부(50)와 가열기(60)의 배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유량제어부(50)는 본체(200)에 구비하고, 가열기(60)만 출수유닛(100)에 배치를 시킨다. 따라서 출수유닛(100)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출수되는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을 할 수 있게 된다.
본체(200)는 출수유닛(100)과 연결배관(300) 및 전선(400)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본체(2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필터, 냉각시스템 등이 수용된다.
본체(200)에는 연결배관결합부(210), 연결전선결합부(220), 배수배관결합부(230), 원수배관결합부(24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정수기는 사용자가 출수유닛(100)의 위치 및 본체(200)의 위치를 주방에 상황에 맞게 선택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따라 본체(200)와 출수유닛(100) 사이의 거리는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본체(200)와 원수공급원과의 거리 및 본체(200)와 배수구와의 거리 역시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정수기 설치작업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본체(200)에는 연결배관결합부(210), 연결전선결합부(220), 배수배관결합부(230), 원수배관결합부 (240)가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수기를 설치과정에서 작업자는 사용자가 취수유닛(100) 및 본체(200)의 위치를 결정하면, 상기 거리에 따라 배관 및 전선 등의 거리를 결정하고, 본체에 배관 및 전선 등을 결합시키는 작업만으로 간단하게 설치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물이 유동하는 배관이 연결되는 연결배관결합부(210), 배수배관결합부(230), 원수배관결합부(240)의 경우 결합시 누수가 되지 않는 구성을 채택하여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배관결합부(210)는 온수연결배관결합부(211), 정수연결배관결합부(212) 및 배수연결배관결합부(213)을 포함한다. 연결전선결합부(220)는 신호전선결합부(221) 및 전기전선결합부(222)를 포함한다.
연결배관(300)은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에 연결되고,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를 유동하는 물이 흐른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배관(300)은 온수연결배관(310), 정수연결배관(320) 및 배수연결배관(330)을 포함한다. 그러나 정수기의 기능에 따른 추가적인 배관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연결배관(300)은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에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나, 사용자가 선택한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의 위치에 따른 길이 및 연결 후 누수가 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고려가 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위치결정에 따라 연결배관(300)의 길이가 결정되고, 연결배관(300)의 양측에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에 결합을 위한 고정구를 결합한 다음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에 결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수유닛(100)에 충분한 길이의 연결배관(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제공이 된다. 그리고 설치과정에서 사용자의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의 위치결정에 따라 결정된 길이로 자른 다음 끝단에 연결구(340)를 결합시키고, 본체(200)의 온수연결배관결합부(211), 정수연결배관결합부(212) 및 배수연결배관결합부(213)에 각각 결합을 시키게 된다.
연결전선(400)은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에 연결되어,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에 분산되어 배치되는 각 부품에 제어적인 신호와 전기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전선(400)는 전원연결전선(410) 및 신호연결전선(420)을 포함한다. 그러나 설계과정에 따라 하나의 전선이 연결전선이 구비되거나 3개 이상의 연결전선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연결전선(400)도 연결배관과 마찬가지로 설치과정에서 길이가 선택이 되어야 할 것이고,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에 효과적으로 연결되지 위한 다양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각각에서 연결전선(400)이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에 연결구(430)가 결합되고, 각 연결구가 체결됨에 따라 연결이 되게 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결구(430)를 수용하는 하우징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연결구(430)가 싱크대 하부 공간 등에 위치하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누수에 의한 누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정수기는 원수배관(500) 및 배수배관(600)을 더 포함한다.
원수배관(500)의 일단은 본체(200)의 원수배관결합부(240)에 결합되고, 타단은 주방의 원수공급원에 연결된다. 그리고 배수배관(600)의 일단은 본체(200)의 배수배관결합부(230)에 결합되고, 타단은 배수구에 결합된다.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수기의 유동흐름을 설명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는 정수, 냉수, 온수의 공급을 하기 위한 주요부품은 출수유닛(100)과 본체(200)에 나누어 배치된다. 특히 출수유닛(100)에는 온수배관(310)을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60)와 정수, 온수, 냉수의 배출을 결정하는 출수밸브(80) 등 최소한의 부품만 구비된다. 따라서 주방에 노출되는 출수유닛(100)의 크기를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의 위치를 사용자가 선택을 하게 된다. 선택에 따라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의 거리가 수 미터가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열기(60)가 본체(200)에 있는 경우 가열기(60)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수가 수 미터의 온수배관(310)을 유동하는 과정에서 온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열기(60)를 출수유닛(100)의 출수밸브(80)과 인접하도록 배치하여 사용자게 제공하는 온수의 온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한다.
즉,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온수공급기능이 있는 정수기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유량제어부(50) 및 가열기(60)의 배치에 있어서 유량제어부(50)는 본체(200)에 배치하고, 가열기(60)는 출수유닛(100)에 배치하여 온수온도조절을 효과적으로 하면서도 출수유닛(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것과 같이 필터(10), 응축기(20), 살균모듈(30), 냉각기(40), 유량제어부(50), 냉수밸브(70), 정수밸브(80), 원수밸브(90), 살균밸브(95) 등의 주요부품 등은 본체(200)에 구비된다.
정수의 유동은 다음과 같다. 원수배관(500)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가 필터(10), 원수밸브(85), 정수밸브(80)을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정수연결배관(320)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출수밸브(80)를 통하여 사용자에 제공된다.
온수의 유동은 다음과 같다. 원수배관(50)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가 필터(10), 원수밸브(90)를 통하여 유량제어부(50)로 유동한다. 유량제어부(50)를 통하여 유량이 제어된 물은 온수연결배관(310)으로 유동하고, 가열기(60)를 통하여 가열된 다음 출수밸브(8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냉수의 유동은 다음과 같다. 원수배관(500)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가 필터(10), 원수밸브(90)를 통하여 냉각기(40)로 유입된다. 냉각기(4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물은 냉수밸브(70)를 통과하여 정수연결배관(320)으로 유입되고, 출수밸브(80)를 통하여 사용자에 제공된다.
한편 냉각기(40)로는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기(40)를 흐르는 열매체를 이용하여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떨어뜨린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열을 흡수한 열매체는 응축기(20)로 유동을 하게 되고, 응축기를 유동하는 원수가 열매체를 응축시키게 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냉각사이클의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응축기(20)를 통과하면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수는 원수배관(500)을 통하여 응축기(20)로 유입되고, 배수배관(600)을 통하여 배수구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정수기의 경우 배관의 살균을 위한 살균수를 생성하기 살균모듈(90)이 구비된다. 즉 원수배관(500)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는 살균모듈(20)를 통과하면서 살균수가 생성되고, 살균수는 정수, 냉수, 온도배관을 유동한 다음 배수배관(60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의 거리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 양자를 연결하기 위한 온수연결배관(310), 냉수연결배관(320) 및 정수연결배관(330)의 길이는 수 미터에 이를 수 있다. 이 경우 정수밸브(85)와 출수밸브(80) 사이, 냉수밸브(40)와 출수밸브(80)사이, 유량조절부(50)과 출수밸브(80) 사이의 거리 역시 수 미터에 이르게 된다.
즉, 수 미터에 해당하는 연결배관(300)에는 물이 수용된 상태이고, 사용자에 물을 제공하는 경우 연결배관(300)에 장시간 수용된 물은 배수를 한 다음 새로 정수가 되거나 또는 온도가 조절된 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 미터에 이르는 연결배관(300)에 수용된 물의 배수에는 일정 시간이 소요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출수 입력이 있는 경우 배수를 하는 경우 사용자에 정수의 공급이 늦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출수유닛(100)에는 인체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고, 인체감지센서는 출수유닛(100) 외부에 인체에 대한 감지를 한다.
그리고 사람이 출수유닛(100)으로 다가오는 경우, 인체감지센서는 인체의 접근을 인지하고, 이에 따라 연결배관(300)의 수용된 물의 배수를 진행한다. 따라서 실제 사용자의 출수 입력이 있는 경우 보다 신속하게 정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온수연결배관(310) 및 정수연결배관(320)에 수용된 물은 배수연결배관(330)통하여 본체(200) 내부로 유입되고, 배수배관(600)을 통하여 배수구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출수유닛에는 안전배수배관(350)이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안전배수배관(350)은 가열기(60)에 연결되고, 가열기(60)의 과압시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이다. 그리고 안전배수배관(350)에는 체크밸브(350a)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안전배수배관(350)을 유동하는 수증기는 외부로 배출되며, 본 실시예에서의 안전배수배관(350)의 타단은 배수배관(600)에 연결된다.
도5 및 도6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정수기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출수유닛, 제1본체모듈, 제2본체모듈이 연결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 간의 배관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본체(2000)는 제1본체모듈(1100) 및 제2본체모듈(1200)을 포함한다.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분리모듈형 정수기의 본체(2000)가 설치되는 싱크대 하부의 공간은 싱크볼의 크기, 수납장의 구조 등에 따랄 다양하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나의 본체(200)가 구비되는 경우 싱크대 하부에 수납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2000)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부품을 구분하여 본체(2000)를 제1본체모듈(1100) 및 제2본체모듈(2000)에 나누어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설치대상가구의 싱크대 하부의 구조 등에 따라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본체모듈(1100) 및 제2본체모듈(1200)을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본체모듈(2100) 및 제2본체모듈(2200)에 구분하여 배치되는 부품은 각 부품의 기능, 각 부품을 유동하는 물의 유동 경로 등을 고려하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본체(2000) 내부의 다양한 부품 중 응축기(20), 냉각기(40) 및 냉각밸브(70)의 구성은 제2본체모듈(2200)에 구비되고, 나머지 부품들은 제1본체모듈(2100)에 구비된다.
즉, 냉수의 출수가 필요한 경우 정수는 제1본체모듈(2100)에서 제2본체모듈(2200) 내부에 위치하는 냉각기(40)로 유동한다. 그리고 냉각기(40)에서 냉각된 냉수가 다시 제1본체모듈(2100)로 유입된 후, 정수연결배관(320)을 통하여 출수유닛(100)으로 유동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본체모듈(2100) 및 냉각기(40) 사이를 연결하고, 본체에서 공급되는 물이 유동하는 제2연결배관(2300) 및 냉각기(40) 및 제1본체모듈(2100)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냉각기(4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물이 유동하는 제3연결배관(2400)을 포함한다.
한편, 냉각기(40)는 다양한 종류의 냉각장치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상기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열매체의 순환을 통한 냉각사이클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응축기(20) 및 냉각기(40)는 열매체순환관(2700)을 통하여 열매체가 순환하면서 정수의 열을 흡수한다.
그리고 열을 흡수한 열매체는 응축기(20)에서 발열을 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열매체의 발열을 위한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공급관(2500) 및 원수배출관(2600)이 응축기에 연결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서 하나의 본체(200)의 내부에 모든 부품이 구비되는 것과 달리, 다수 개의 부품을 2개의 제1본체모듈(2100) 및 제2본체모듈(2200)로 구분하여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출수유닛(100), 제1본체모듈(2100) 및 제2본체모듈(2200)에 정수의 유동 및 배출을 위한 배관 및 전기적인 신호의 전달을 위한 배선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2000)가 설치되는 싱크대의 하부의 공간이 좁은 경우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효과적으로 본체(2000)의 배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출수유닛, 제1본체모듈, 제2본체모듈이 연결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 간의 배관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정수기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 설명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냉각기(40)에서 냉각된 냉수가 제3연결배관(2400)을 통하여 제1본체모듈(210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본체(200)에 연결된 정수연결배관(320)을 통하여 출수유닛(100)으로 유동한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4연결배관(2800)은 제2본체모듈(2200)의 냉각기(40)와 제1연결배관(300) 사이에 구비된다. 따라서 냉각기(40)에서 냉각된 냉수는 제4연결배관(2800)을 통하여 제1연결배관(300) 중 정수연결배관(320)을 통하여 출수유닛(100)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 필터 20 : 응축기
30 : 살균모듈 40 : 냉각기
50 : 유량제어부 60 : 가열기
70 : 냉수밸브 80 : 정수밸브
90 : 원수밸브 95 : 살균밸브
100 : 출수유닛 200 : 본체
201: 필터 202: 전면커버
300 : 연결배관 310 : 온수연결배관
320 : 정수연결배관 330 : 배수연결배관
400 : 연결전선

Claims (4)

  1.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하기 위한 필터 및 원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공급되는 물이 출수되는 출수유닛; 및
    상기 본체 및 출수유닛 사이에 연결되어 물이 유동하는 제1연결배관;
    을 포함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필터가 구비되고, 제1연결배관이 연결되는 제1본체모듈;
    상기 냉각기가 구비되는 제2본체모듈; 및
    상기 제1본체모듈 및 상기 냉각기 사이를 연결하고, 본체에서 공급되는 물이 유동하는 제2연결배관;
    상기 냉각기 및 상기 제1본체모듈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냉각기를 통과한 물이 유동하는 제3연결배관;
    을 포함하는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필터가 구비되고, 제1연결배관이 연결되는 제1본체모듈;
    상기 냉각기가 구비되는 제2본체모듈;
    상기 제1본체모듈 및 상기 냉각기 사이를 연결하고, 본체에서 공급되는 물이 유동하는 제2연결배관;
    상기 냉각기 및 상기 제1연결배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냉각기를 통과한 물이 유동하는 제4연결배관;을 포함하는 정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필터가 구비되고, 제1연결배관이 연결되는 제1본체모듈;
    상기 냉각기가 구비되는 제2본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기는 정수와 열매체가 열교환을 하며,
    상기 제2본체모듈은 원수와 상기 열매체가 열교환하는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로 원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2본체모듈에 연결되는 원수공급관; 및
    응축기를 통과한 원수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2본체모듈에 연결되는 원수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정수기.
KR1020190175456A 2019-12-26 2019-12-26 분리 모듈형 정수기 KR20210082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456A KR20210082955A (ko) 2019-12-26 2019-12-26 분리 모듈형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456A KR20210082955A (ko) 2019-12-26 2019-12-26 분리 모듈형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955A true KR20210082955A (ko) 2021-07-06

Family

ID=76860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456A KR20210082955A (ko) 2019-12-26 2019-12-26 분리 모듈형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295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903A (ko) 2008-04-25 2009-10-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용기 분리형 정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903A (ko) 2008-04-25 2009-10-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용기 분리형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7855B2 (en) Water purifier
JP2005527109A (ja) 冷却装置
JP2007333337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US4759382A (en) System of hot and immediate water for taps-water and energy saving
AU2021257931B2 (en) Liquid purifier
CN106044883A (zh) 饮用水制备装置
KR100993891B1 (ko) 정수기
EP3699138A1 (en) Water based liquid supply system
KR102615063B1 (ko)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10082955A (ko) 분리 모듈형 정수기
KR102211141B1 (ko) 정수기용 출수유닛
CN105190209B (zh) 包括供水连接部的制冷器具
EP0059692A2 (en) Combined refrigerator/water heater unit
KR102205881B1 (ko)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KR102205880B1 (ko)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207227076U (zh) 壁挂自吸式反渗透冰热净水机
KR101717108B1 (ko) 정수기
CN215759359U (zh) 一体式水槽设备
JP4013897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装置
KR20060106803A (ko) 키트 냉온 정수기
CN212356889U (zh) 水处理装置
TWI704885B (zh) 廚下型淨水加熱裝置
CN211066191U (zh) 一种储水式温水型饮水器
CN220867218U (zh) 一种净水器加热制冷外置设备
CN214669099U (zh) 管路系统及具有其的样本分析仪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