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881B1 -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881B1
KR102205881B1 KR1020190015079A KR20190015079A KR102205881B1 KR 102205881 B1 KR102205881 B1 KR 102205881B1 KR 1020190015079 A KR1020190015079 A KR 1020190015079A KR 20190015079 A KR20190015079 A KR 20190015079A KR 102205881 B1 KR102205881 B1 KR 102205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outlet
outlet unit
cov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7552A (ko
Inventor
임주영
박종오
천명성
최태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90015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8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1Fixing a tap to the sanitary appliance or to an associated mounting surface, e.g. a counter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50Constructional features of escutcheons for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는 사용자에 제공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되는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에서 배출되는 물이 유동하는 연결배관, 상기 연결배관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배관을 유동한 물이 배출되는 취수코크를 포함하는 출수유닛 및 상기 연결배관을 차페하기 위한 커버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Purifier having Separated Water Discharging Uni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분리된 출수유닛이 구비된 정수기에 있어서, 본체와 분리된 출수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배관을 차폐하기 위한 설치구조 및 간단한 설치를 위한 연결배관 및 연결전선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정수기의 경우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최근 깨끗한 물, 다양한 온도 조건의 물 등 단순 음수를 떠난 소비자의 다양한 수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필터,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가열기품 또는 냉각부품, 다양한 전장부품 등이 정수기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정수기의 부피는 종래에 비하여 점점 커지게 된다.
한편, 정수기의 경우 음수가 편리한 주방의 싱크대 등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최근 정수기의 부피 증가에 따라 싱크대 상부의 많은 면적을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주방을 주로 사용하는 주부들의 싱크대 상부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정수기의 위치를 일시적으로 옮기거나 설치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2903호에는 정수된 물이 저정되는 저장용기가 분리되는 개념에 대한 분리형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지만, 여전치 전체 정수기의 부피는 크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점이 해결되지는 않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290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효과적인 출수를 위한 최소한의 부품만 포함된 별도의 출수유닛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주방에 원하는 지점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는 사용자에 제공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되는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에서 배출되는 물이 유동하는 연결배관, 상기 연결배관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배관을 유동한 물이 배출되는 취수코크를 포함하는 출수유닛 및 상기 연결배관을 차페하기 위한 커버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출수유닛은 상기 출수유닛의 하부구조를 형성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출수유닛의 외관을 형성하며, 취수코크가 구비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연결배관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형성되며,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유닛은 직선커버 및 곡선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커버 및 곡선커버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은 직선커버 및 곡선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은 관통구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배관이 진입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측면 및 하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 형성되는 연결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직선커버 및 곡선커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기 관통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구를 통하여 상기 연결커버와 결합되어 연결커버를 상기 관통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는 싱크대의 상판 또는 싱크볼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배관의 일단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출수유닛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연결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 또는 출수유닛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연결구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및 출수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전선을 더 포함하고, 연결전선의 일단은 본체 및 출수유닛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타단에는 서로 결합되는 연결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정수기가 본체와 출수유닛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선택을 하더라도 본체와 출수유닛을 연결하는 배관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둘째, 커버유닛을 다수의 모듈의 조립으로 구비하여, 기존의 설치된 출수유닛의 위치를 변경을 하는 경우에 있어 새로운 모듈의 조립에 따라 연결배관을 차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출수유닛의 설치를 위하여 싱크대의 상판을 타공한 경우, 위치변경을 위하여 별도의 타공을 하지 않고도 가능하다. 또한, 연결커버를 이용하여 기존의 싱크대 상판의 관통구를 막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넷째, 싱크대의 상판의 원목, 대리석으로 구비되는 등 사용자가 싱크대 상판의 타공을 꺼려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타공이 쉽고, 추후 교체가 용이한 싱크볼에 타공을 한 다음 설치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사용자가 본체 및 출수유닛의 위치를 선택하고, 이에 따른 양자를 유동하는 물이 유동하는 연결배관의 길이를 결정한 다음, 연결배관의 일단에 연결구를 결합하여 결합부에 끼움으로써 설치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사용자가 본체 및 출수유닛의 위치를 선택하고, 이에 따른 양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전선의 길이를 결정한 다음, 한 쌍의 연결전선의 각 끝단에 연결구를 각각 결합하고, 한 쌍의 연결구를 서로 결합시킴으로서 간단하게 설치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한 쌍의 연결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여, 싱크대 하부 등의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누전의 위험을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출수유닛의 사시도;
도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출수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출수유닛이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시예의 정수기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본체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본체의 분해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의 연결배관 및 연결전선이 출수유닛 및 본체를 연결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연결전선의 연결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
도1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 간의 배관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 간의 배관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 간의 배관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를 연결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4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출수유닛이 주방에 설치되는 개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15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출수유닛의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정수기는 출수유닛(100), 본체(200), 연결배관(300), 연결전선(400)를 포함한다.
정수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은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에 나누어 구비된다. 그리고 출수유닛(100)과 본체(200)은 물이 유동하는 배관(300)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선(400)으로 연결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 효과적인 정수, 온수, 냉수를 제공하기 위한 최소한의 부품만 출수유닛(100)에 구비하고, 나머지 부품은 본체(200)에 구비하여, 출수유닛(100)의 부피를 최소화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200)는 싱크대의 하부 등 상대적으로 공간의 여부가 있는 곳에 위치시키고, 적은 부피의 출수유닛(100)을 원하는 지점에 간편하게 위치시키거나 옮길 수 있게 된다.
특히 온수공급기능이 있는 정수기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유량제어부(50)와 가열기(60)의 배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유량제어부(50)는 본체(200)에 구비하고, 가열기(60)만 출수유닛(100)에 배치를 시킨다. 따라서 출수유닛(100)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출수되는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아일랜드 식탁에 설치되는 경우 아일랜드 식탁의 하부에 급수관이 제공되는 경우 본체(200)를 아일랜드 식탁의 하부에 배치할 수 있지만, 급수관이 싱크대의 하부에만 제공되는 경우, 본체(200)는 싱크대의 하부에 배치되고, 본체(200)와 출수유닛(100)을 연결하는 배관(300) 및 전선(400)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부재(1)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도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출수유닛의 사시도이고, 도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출수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출수유닛이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시예의 정수기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출수유닛(100)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가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절곡된 출수유닛(100)의 상부에 취수코크(101)가 노출된다. 따라서 하부에 컵 또는 받침대(102)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출수유닛(100)은 베이스(110), 하우징(120), 조작부(130),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전체 출수유닛(100)의 하부구조를 형성한다. 베이스(110)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놓을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에 고정이 되는 방식이 채택된다.
도5를 참조하면, 싱크대 등의 설치위치에 관통구(H)를 타공하고, 관통구(H)를 통과하여 고정부(140)와 결합이 되면서 설치위치에 고정이 된다.
베이스(110)와 고정부(140) 사이의 체결에는 다양한 구조 또는 방식이 채택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베이스(110)의 하부에는 관통구(H)에 삽입되는 돌기(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돌기(111)와 고정부(140)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베이스(110)가 설치 위치에 고정이 된다.
한편, 베이스(110), 돌기(111) 및 고정부(140)에는 후술하는 배관(300) 및 전선(400)이 출수유닛(100)의 외부로 내부에 노출되도록 내부에 상, 하 관통된 공간이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배관(300), 전선(400) 및 주요부품이 수용된 본체(200)는 싱크대의 하부에 배치되고, 출수유닛(100)만 싱크대의 상부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노출되게 된다.
하우징(120)은 베이스(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체적인 출수유닛(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20)은 상부가 절곡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하우징(120)은 출수유닛(100)의 측면 및 상면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하우징은 출수유닛(100)의 측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원기둥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조작부(130)가 구비된다.
그리고 하우징(120)는 출수유닛(100) 내부에 부품의 고정 및 보호를 위한 내측하우징 및 사용자에 노출되는 출수유닛(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하우징(120)은 제1내측하우징(121), 제2내측하우징(122), 제3내측하우징(123), 제1외측하우징(124) 및 제2외측하우징(125)를 포함한다.
제1내측하우징(121) 및 제2내측하우징(122)은 결합에 의하여 중공된 원통을 형성한다. 출수유닛(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히팅부(103) 및 출수밸브(104) 등은 제1내측하우징(121) 및 제2내측하우징(122)에 고정될 수 있고, 제1내측하우징(121) 및 제2내측하우징(122)는 베이스(110)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제1내측하우징(121) 및 제2내측하우징(122)이 베이스(110) 상에서 회전을 하는 경우 제1내측하우징(121) 및 제2내측하우징(122)에 고정된 출수유닛(100) 내부의 부품들은 제1내측하우징(121) 및 제2내측하우징(122)와 같이 회전을 하게 된다.
나아가 후술하는 제1외측하우징(124) 및 제2외측하우징(125) 역시 제1내측하우징(121) 및 제2내측하우징(122)을 둘러싸도록 고정이 되므로, 외부에는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110)를 중심으로 제1외측하우징(124) 및 제2외측하우징(125)이 회전을 하는 모습이 노출되게 된다.
한편, 받침대(102)는 베이스(110)에 결합되어 베이스(102)와 같이 회전을 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서는 베이스(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돌기 및 홈 등 기구적인 착탈 구조가 채택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110) 및 받침대(102)에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자석(미도시)이 구비되어 별도의 고정을 위한 기구적 구조 없이 자력에 의하여 간단하게 부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받침대(102)를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다른 높이의 받침대를 선택을 할 수 있고, 도4에서와 같이 하우징(120)이 회전을 하는 경우에도 회전한 하우징(120)의 취수코크(101)의 하부에 받침대(102)를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제3내측하우징(123)은 제1내측하우징(121) 및 제2내측하우징(122)의 후방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1외측하우징(124) 및 제2외측하우징(125)는 제1내측하우징(121), 제2내측하우징(122) 및 제3내측하우징(123)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외측하우징(124) 및 제2외측하우징(125)는 결합에 의하여 상부가 절곡된 원통 형상을 구현하며, 원통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형성한다.
한편, 출수유닛(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제1외측하우징(124)에는 취수코크의 노출을 위한 제1개구홀(미도시) 및 인체감지를 위한 센서의 노출을 위한 제2개구홀(124a)가 형성된다.
조작부(130)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제1외측하우징(124) 및 제2외측하우징(125)의 상면 개구된 부분에 설치되어 전체 출수유닛(100)의 상부를 형성한다. 조작부에는 정수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31)가 구비될 수 있고, 조작을 위한 다양한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디스플레이(131)가 원형의 조작부(130)의 가운데 위치하고, 둘레를 따라 조작을 위한 버튼부가 형성되거나 조작을 위한 터치패널 등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본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연결배관 및 연결전선이 출수유닛 및 본체를 연결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9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연결전선의 연결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9을 참조하면, 본체(200)는 출수유닛(100)과 연결배관(300) 및 전선(400)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본체(2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필터, 냉각시스템 등이 수용된다.
특히 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201)의 경우 주기적으로 교체를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체(200)의 전면에 위치하고, 전면커버(202)를 분리한 다음 교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온수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유량제어부(50) 및 가열기(60)의 배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유량제어부만 본체(200)에 구비되게 된다.
본체(200)에는 연결배관결합부(210), 연결전선결합부(220), 배수배관결합부(230), 원수배관결합부(24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정수기는 사용자가 출수유닛(100)의 위치 및 본체(200)의 위치를 주방에 상황에 맞게 선택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따라 본체(200)와 출수유닛(100) 사이의 거리는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본체(200)와 원수공급원과의 거리 및 본체(200)와 배수구와의 거리 역시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정수기 설치작업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본체(200)에는 연결배관결합부(210), 연결전선결합부(220), 배수배관결합부(230), 원수배관결합부 (240)가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수기를 설치과정에서 작업자는 사용자가 취수유닛(100) 및 본체(200)의 위치를 결정하면, 상기 거리에 따라 배관 및 전선 등의 거리를 결정하고, 본체에 배관 및 전선 등을 결합시키는 작업만으로 간단하게 설치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물이 유동하는 배관이 연결되는 연결배관결합부(210), 배수배관결합부(230), 원수배관결합부(240)의 경우 결합시 누수가 되지 않는 구성을 채택하여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배관결합부(210)는 온수연결배관결합부(211), 정수연결배관결합부(212) 및 배수연결배관결합부(213)을 포함한다. 연결전선결합부(220)는 신호전선결합부(221) 및 전기전선결합부(222)를 포함한다.
연결배관(300)은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에 연결되고,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를 유동하는 물이 흐른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배관(300)은 온수연결배관(310), 정수연결배관(320) 및 배수연결배관(330)을 포함한다. 그러나 정수기의 기능에 따른 추가적인 배관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연결배관(300)은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에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나, 사용자가 선택한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의 위치에 따른 길이 및 연결 후 누수가 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고려가 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위치결정에 따라 연결배관(300)의 길이가 결정되고, 연결배관(300)의 양측에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에 결합을 위한 고정구를 결합한 다음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에 결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수유닛(100)에 충분한 길이의 연결배관(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제공이 된다. 그리고 설치과정에서 사용자의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의 위치결정에 따라 결정된 길이로 자른 다음 끝단에 연결구(340)를 결합시키고, 본체(200)의 온수연결배관결합부(211), 정수연결배관결합부(212) 및 배수연결배관결합부(213)에 각각 결합을 시키게 된다.
연결전선(400)은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에 연결되어,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에 분산되어 배치되는 각 부품에 제어적인 신호와 전기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전선(400)는 전원연결전선(410) 및 신호연결전선(420)을 포함한다. 그러나 설계과정에 따라 하나의 전선이 연결전선이 구비되거나 3개 이상의 연결전선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연결전선(400)도 연결배관과 마찬가지로 설치과정에서 길이가 선택이 되어야 할 것이고,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에 효과적으로 연결되지 위한 다양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각각에서 연결전선(400)이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에 연결구(430)가 결합되고, 각 연결구가 체결됨에 따라 연결이 되게 된다.
한편, 배수배관(300)과 달리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에서 연결구에 의하여 체결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구(430)를 수용하는 하우징(44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440)의 내부에는 연결구(430)의 형태에 대응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연결구(430)는 하우징(440)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이 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연결구(430)가 싱크대 하부 공간 등에 위치하는 바, 싱크대 하부 등의 누수 등이 발생을 하더라도 하우징(440)은 연결구(430)가 누수에 노출되어 누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정수기는 원수배관(500) 및 배수배관(600)을 더 포함한다.
원수배관(500)의 일단은 본체(200)의 원수배관결합부(240)에 결합되고, 타단은 주방의 원수공급원에 연결된다. 그리고 배수배관(600)의 일단은 본체(200)의 배수배관결합부(230)에 결합되고, 타단은 배수구에 결합된다.
도1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 간의 배관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수기의 유동흐름을 설명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기는 정수, 냉수, 온수의 공급을 하기 위한 주요부품은 출수유닛(100)과 본체(200)에 나누어 배치된다. 특히 출수유닛(100)에는 온수배관(310)을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60)와 정수, 온수, 냉수의 배출을 결정하는 출수밸브(80) 등 최소한의 부품만 구비된다. 따라서 주방에 노출되는 출수유닛(100)의 크기를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의 위치를 사용자가 선택을 하게 된다. 선택에 따라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의 거리가 수 미터가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열기(60)가 본체(200)에 있는 경우 가열기(60)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수가 수 미터의 온수배관(310)을 유동하는 과정에서 온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열기(60)를 출수유닛(100)의 출수밸브(80)과 인접하도록 배치하여 사용자게 제공하는 온수의 온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한다.
즉,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온수공급기능이 있는 정수기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유량제어부(50) 및 가열기(60)의 배치에 있어서 유량제어부(50)는 본체(200)에 배치하고, 가열기(60)는 출수유닛(100)에 배치하여 온수온도조절을 효과적으로 하면서도 출수유닛(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것과 같이 필터(10), 응축기(20), 살균모듈(30), 냉각기(40), 유량제어부(50), 냉수밸브(70), 정수밸브(80), 원수밸브(90), 살균밸브(95) 등의 주요부품 등은 본체(200)에 구비된다.
정수의 유동은 다음과 같다. 원수배관(500)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가 필터(10), 원수밸브(85), 정수밸브(80)을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정수연결배관(320)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출수밸브(80)를 통하여 사용자에 제공된다.
온수의 유동은 다음과 같다. 원수배관(50)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가 필터(10), 원수밸브(90)를 통하여 유량제어부(50)로 유동한다. 유량제어부(50)를 통하여 유량이 제어된 물은 온수연결배관(310)으로 유동하고, 가열기(60)를 통하여 가열된 다음 출수밸브(8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냉수의 유동은 다음과 같다. 원수배관(500)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가 필터(10), 원수밸브(90)를 통하여 냉각기(40)로 유입된다. 냉각기(4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물은 냉수밸브(70)를 통과하여 냉수연결배관(330)으로 유입되고, 출수밸브(80)를 통하여 사용자에 제공된다.
한편 냉각기(40)로는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기(40)를 흐르는 냉매를 이용하여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떨어뜨린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열을 흡수한 냉매는 응축기(20)로 유동을 하게 되고, 응축기를 유동하는 원수가 냉매를 응축시키게 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냉각사이클의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응축기(20)를 통과하면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수는 원수배관(500)을 통하여 응축기(20)로 유입되고, 배수배관(600)을 통하여 배수구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정수기의 경우 배관의 살균을 위한 살균수를 생성하기 살균모듈(90)이 구비된다. 즉 원수배관(500)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는 살균모듈(20)를 통과하면서 살균수가 생성되고, 살균수는 정수, 냉수, 온도배관을 유동한 다음 배수배관(60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출수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의 거리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 양자를 연결하기 위한 온수연결배관(310), 냉수연결배관(320) 및 정수연결배관(330)의 길이는 수 미터에 이를 수 있다. 이 경우 정수밸브(85)와 출수밸브(80) 사이, 냉수밸브(40)와 출수밸브(80)사이, 유량조절부(50)과 출수밸브(80) 사이의 거리 역시 수 미터에 이르게 된다.
즉, 수 미터에 해당하는 연결배관(300)에는 물이 수용된 상태이고, 사용자에 물을 제공하는 경우 연결배관(300)에 장시간 수용된 물은 배수를 한 다음 새로 정수가 되거나 또는 온도가 조절된 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 미터에 이르는 연결배관(300)에 수용된 물의 배수에는 일정 시간이 소요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출수 입력이 있는 경우 배수를 하는 경우 사용자에 정수의 공급이 늦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출수유닛(100)에는 인체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고, 인체감지센서는 제2개구홀(124a)를 통하여 출수유닛(100) 외부에 인체에 대한 감지를 한다.
그리고 사람이 출수유닛(100)으로 다가오는 경우, 인체감지센서는 인체의 접근을 인지하고, 이에 따라 연결배관(300)의 수용된 물의 배수를 진행한다. 따라서 실제 사용자의 출수 입력이 있는 경우 보다 신속하게 정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온수연결배관(310) 및 정수연결배관(320)에 수용된 물은 배수연결배관(330)통하여 본체(200) 내부로 유입되고, 배수배관(600)을 통하여 배수구로 배출되게 된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 간의 배관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출수유닛(100)과 본체(200)의 배관연결 및 부품의 배치 등은 상기 설명한 제1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내부에 냉수의 공급을 위한 응축기, 냉각기 및 이와 관계된 배관의 구성이 없다는 점이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배관연결구조는 정수 및 온수만 제공이 되는 정수기에 적용이 되는 구조이고, 이하 전반적인 다른 구성인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 간의 배관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출수유닛 및 본체를 연결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2 및 도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출수유닛(100)과 본체(200)의 배관연결 및 부품의 배치 등은 상기 설명한 제1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출수유닛에는 안전배수배관(350)이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안전배수배관(350)은 가열기(60)에 연결되고, 가열기(60)의 과압시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이다. 그리고 안전배수배관(350)에는 체크밸브(350a)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안전배수배관(350)을 유동하는 수증기는 외부로 배출되며, 본 실시예에서의 안전배수배관(350)의 타단은 배수배관(600)에 연결된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출수유닛이 주방에 설치되는 개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출수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4 및 도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출수유닛(100')은 연결배관(300) 및 연결전선(400)를 덮는 커버유닛(150)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정수기의 전체적인 구성 및 물의 유동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결정하면, 해당 지점 싱크대의 상판에 관통구(H)를 타공을 한다. 그리고 관통구(H)를 통하여 출수유닛(100)과 고정구(140)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출수유닛(100)을 고정한다(도5 참조).
상기 설명한 제1실시예의 경우 본 발명의 정수기를 철거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수유닛(100)의 위치를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 기존 관통구(H)가 노출이 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싱크대의 상판의 경우 원목, 대리적 등으로 제작되어 복원이 쉽지 않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 따라서는 싱크대 상판의 타공을 꺼려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버유닛(150)을 이용하면, 싱크대 상판에 관통구(H)를 형성하지 않고도 연결배관(300) 및 연결전선(400)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커버유닛(150)을 조립하는 경우 사용자가 출수유닛(100)의 설치위치를 변경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기존의 싱크대의 상판에 관통구(H)를 뚫은 경우에도 새로운 관통구(H)를 뚫지 않더라도 출수유닛(100)의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커버유닛(150)은 직선커버(151) 및 곡선커버(152)를 포함한다. 직선커버(151) 및 곡선커버(152)는 다양한 길이 및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개개의 결합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출수유닛(100)과 연결되는 연결배관(300) 및 연결전선(400)을 차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베이스(110)에는 연결배관(300) 및 연결전선(400)이 하부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 형성된다. 그러나 본실시예의 출수유닛(100')의 베이스(110')에는 연결배관(300) 및 연결전선(400)이 노출될 수 있도록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다. 따라서 연결배관(300) 및 연결전선(400)은 베이스(110')의 측면으로 배출이 되고, 배출이 된 연결배관(300) 및 연결전선(400)은 직선커버(151) 및 곡선커버(152)를 통하여 차폐가 되게 된다.
한편, 연결배관(300) 및 연결전선(400)의 완벽한 차폐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베이스(110')는 직선커버(151) 또는 곡선커버(152)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구조가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마지막 직선커버(151) 또는 곡선커버(152)로부터 노출되는 연결배관(300) 및 연결전선(400)는 최대한 외부에 노출이 되지 않는 지점을 통하여 싱크대 하부 등에 위치하는 본체(200)와 연결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의 커버유닛(150)은 연결커버(153)을 더 포함한다. 연결커버(153)은 베이스와 같이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고, 하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커버(153)는 베이스(110')와 같이 직선커버(151) 또는 곡선커버(152)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이 될 수 있는 구조가 채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연결커버(153)의 하부는 상기 제1실시예의 베이스(100)와 같이 고정부(140)과 나사결합이 되는 돌기(153a)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연결커버(153)를 이용하는 경우 기존에 싱크대의 상판에 관통구(H)를 형성한 경우, 형성된 관통구(H)에 연결커버(153)을 설치함에 따라 새로운 관통구(H)를 형성하지 않고도 출수유닛(100')의 위치를 연결할 수 있다.
나아가 싱크대의 상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교체가 용이한 스테인레스 재질의 싱크볼(S)에 타공을 하고, 타공된 싱크볼에 연결커버(153)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정수기의 설치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 필터 20 : 응축기
30 : 살균모듈 40 : 냉각기
50 : 유량제어부 60 : 가열기
70 : 냉수밸브 80 : 정수밸브
90 : 원수밸브 95 : 살균밸브
100 : 출수유닛 101 : 취소코크
102: 받침대 110 : 베이스
120 : 하우징 130 : 조작부
140: 고정부 150 : 커버유닛
151 : 직선커버 152 : 곡선커버
153 : 연결커버 200 : 본체
201: 필터 202: 전면커버
300 : 연결배관 310 : 온수연결배관
320 : 정수연결배관 330 : 배수연결배관
400 : 연결전선 410 : 전원연결전선
420 : 신호연결전선 430 : 연결구
440 : 하우징

Claims (12)

  1.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필터에서 정수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취수코크를 포함하는 출수유닛;
    상기 본체 및 출수유닛 사이에 연결되어 물이 유동하는 연결배관; 및
    상기 연결배관을 차페하기 위한 커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출수유닛은,
    상기 출수유닛의 하부구조를 형성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출수유닛의 외관을 형성하며, 취수코크가 구비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연결배관이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형성되고,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직선커버 및 곡선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커버 및 곡선커버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의 일단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출수유닛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연결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 또는 출수유닛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연결구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출수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전선을 더 포함하고,
    연결전선의 일단은 본체 및 출수유닛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타단에는 서로 결합되는 연결구가 형성되는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10.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필터에서 정수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취수코크를 포함하는 출수유닛;
    상기 본체 및 출수유닛 사이에 연결되어 물이 유동하는 연결배관; 및
    상기 연결배관을 차페하기 위한 커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은 직선커버 및 곡선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은 관통구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배관이 진입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측면 및 하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 형성되는 연결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직선커버 및 곡선커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구를 통하여 상기 연결커버와 결합되어 연결커버를 상기 관통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는 싱크대의 상판 또는 싱크볼에 형성되는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KR1020190015079A 2019-02-08 2019-02-08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KR102205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079A KR102205881B1 (ko) 2019-02-08 2019-02-08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079A KR102205881B1 (ko) 2019-02-08 2019-02-08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552A KR20200097552A (ko) 2020-08-19
KR102205881B1 true KR102205881B1 (ko) 2021-01-21

Family

ID=72291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079A KR102205881B1 (ko) 2019-02-08 2019-02-08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8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2271B2 (ja) 2000-10-19 2009-12-09 株式会社Inax ホース収納カバー水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059U (ja) * 1993-10-15 1995-05-12 松下電工株式会社 水栓金具の配管カバー
KR101471864B1 (ko) 2008-04-25 2014-12-1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용기 분리형 정수기
KR101287503B1 (ko) * 2011-06-03 2013-07-19 김영규 혼합수전 체결장치
KR20180063657A (ko) *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이온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2271B2 (ja) 2000-10-19 2009-12-09 株式会社Inax ホース収納カバー水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552A (ko)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6097B1 (en) Refrigerator
CN107343755B (zh) 净水器
US9194606B2 (en) Water-heater, a combination of a top cover and bottom tray for a water heater, and a bottom cover
CN107625428B (zh) 净水器
KR102211141B1 (ko) 정수기용 출수유닛
KR102205881B1 (ko)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KR102205880B1 (ko)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09222649A (zh) 台式直饮机
US20220396500A1 (en) Water purifier
KR101296434B1 (ko) 정수기 및 그의 배수구조
KR20130006240A (ko) 정수기
CN104515122A (zh) 蒸汽发生装置及烹饪设备
KR20210082955A (ko) 분리 모듈형 정수기
KR102411725B1 (ko) 분리된 복수 개의 유닛을 포함하는 정수기
CN215759359U (zh) 一体式水槽设备
CN101573562B (zh) 嵌入式烹饪器具
CN105804165B (zh) 用于厨房混水龙头的连接单元以及所述单元的安置及连接方法
KR101291981B1 (ko) 빌트인 정수기
KR102532689B1 (ko) 캡슐음료 추출장치
KR20220055532A (ko) 정수기
KR102562522B1 (ko)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
JP2007144363A (ja) 浄水装置
JP7078748B2 (ja) 調理器具
KR20220114369A (ko) 캡슐음료추출장치용 보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추출장치
TWI704885B (zh) 廚下型淨水加熱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