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657A -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657A
KR20180063657A KR1020160163677A KR20160163677A KR20180063657A KR 20180063657 A KR20180063657 A KR 20180063657A KR 1020160163677 A KR1020160163677 A KR 1020160163677A KR 20160163677 A KR20160163677 A KR 20160163677A KR 20180063657 A KR20180063657 A KR 20180063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roller
operation unit
hot water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온
Priority to KR1020160163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3657A/ko
Publication of KR20180063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50Constructional features of escutcheons for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출수할 수 있도록 씽크대 상부에 형성한 구멍의 상부에 위치되는 파우셋몸체와; 출수되는 정수, 냉수 또는 온수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파우셋몸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우셋헤드와;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조작부가 설치된 파우셋헤드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메인노즐이 설치된 메인출수부재와; 사용자가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출수할 수 있도록 이미지 형태로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하는 이미지 버튼을 가지며 파우셋헤드에 일체로 설치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파우셋에 터치 방식의 조작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정수, 냉수 및 온수를 하나의 파우셋을 통해 선택적으로 출수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필요한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및 제어방법{Under-sink water purifier faucet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우셋에 터치 방식의 조작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정수, 냉수 및 온수를 선택적으로 출수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필터의 교환시기를 알 수 있도록 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淨水器, water purifier)란 물리적·화학적 방법으로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器具)를 말한다. 형태로 분류하면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하는 직결형과 물을 용기에 담아서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는 저장형이 있다. 정수원리나 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직결여과식은 수도관에 정수기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으로 물이 수압에 의하여 마이크로필터를 지나면서 불순물이 걸러진다. 이렇게 정수된 물은 파우셋(조리수밸브, faucet)을 통해 배출되어 음료수로 사용되는 것이다.
선행기술로 특허등록번호 제10-0837391호 "정수기용 파우셋"이 제안 되어 있고, 또한, 상기의 선행기술을 개선하기 위한 또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039770호(2010.04.16. (공개)) "정수기용 파우셋"은 수도관과 연결되는 원수유입관이 형성되고, 정수기로 수돗물을 이송하는 원수관과 정수된 물을 유입하는 정수관이 연결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내측에서 원수유입관과 연결되며 수돗물을 상기 원수관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밸브카트리지와; 상기 통공을 회전에 의해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카트리지와 결합된 샤프트와; 상기 고정몸체의 상측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어 토출관을 통해 정수된 물을 배출하되, 내측에는 통공이 형성된 상측물막이가 구비된 회전몸체와;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밸브카트리지의 통공을 개폐하는 회전핸들을 포함한다.
상기의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039770호(2010.04.16. (공개))는 토출구를 통해 정수된 물을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고정몸체의 상부에 설치한 회전핸들을 조정하여 정수된 물이 공급되도록 하였다.
상기 또 따른 선행기술은 사용자의 손에 물이 묻어 있거나 또는 세제가 묻어 있는 경우에는 회전핸들을 제대로 파지하지 못해 제대로 회전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회전핸들을 오랜 시간 사용함으로 인하여 정수된 물의 출수를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패킹들이 경화되거나 또는 산화되어 토출구를 통해 출수되는 정수된 물을 정지시키지 못하므로 파우셋을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039770호(2010.04.16. (공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파우셋에 터치 방식의 조작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정수, 냉수 및 온수를 선택적으로 출수시킬 수 있도록 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필터의 교환시기를 사용자가 사전에 알 수 있게 하므로 필터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출수할 수 있도록 씽크대 상부에 형성한 구멍의 상부에 위치되는 파우셋몸체와; 출수되는 정수, 냉수 또는 온수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파우셋몸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우셋헤드와;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조작부가 설치된 파우셋헤드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메인노즐이 설치된 메인출수부재와; 사용자가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출수할 수 있도록 이미지 형태로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하는 이미지 버튼을 가지며 파우셋헤드에 일체로 설치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파우셋몸체에는, 정수 또는 냉수가 공급되거나 또는 온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서브노줄이 설치된 서브출수부재가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작부는, 정수, 냉수 및 온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이미지 형태로 이미지 버튼이 터치패널에 형성되어 터치에 의해 정수본체에서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메인출수부재로 출수 되도록 하며, 필터의 교환시기를 알 수 있도록 필터교환램프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작부는, 터치패널의 이미지 버튼을 한번 터치하면, 정수, 냉수 또는 온수가 출수되고, 두 번 터치하면 출수가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
어댑터에 의해 파우셋과 정수본체에 전원을 공급하여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을 온(on)하는 단계와; 파우셋과 정수본체에 전원이 인가되어 조작부를 터치할 수 있도록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단계와; 조작부의 이미지 버튼을 눌러 정수, 냉수 또는 온수가 공급되도록 컨트롤러로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와; S30에서 정수, 냉수 또는 온수의 출수를 선택하였다면 컨트롤러에서 이미지 버튼을 누른 시간이 12시간이 경과 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12시간이 경과 되었다면, 컨트롤러에서 공급관의 정수를 빼내기 위하여 정수 솔레노이드밸브를 열어 메인출수부재를 통해 정수를 출수함과 동시에 스피커로 경보음을 송출하는 단계와; 컨트롤러에서 메인출수부재를 통해 정수가 10초 이상 출수되면, 정수 솔레노이드밸브를 닫아 정수의 출수를 정지시키는 단계와; 조작부의 이미지 버튼 중에서 정수, 냉수 또는 온수 중 어느 것을 선택하였는지 컨트롤러에서 판단하는 단계와; 컨트롤러는 이미지 버튼에서 정수를 누른 것으로 판단되면, 정수 솔레노이드밸브를 열어 정수를 출수함과 동시에 멜로디를 스피커로 송출하는 단계와; 조작부의 이미지 버튼을 다시 눌러 컨트롤러에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조작부의 이미지 버튼을 다시 누르면 메인출수부재를 통해 공급하는 정수를 차단하기 위해 컨트롤러에서 정수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동시켜 출수를 정지하는 단계와; 컨트롤러는 이미지 버튼에서 냉수를 누른 것으로 판단되면, 냉수 솔레노이드밸브를 열어 냉각기에 의해 일정 온도 이하로 낮춰진 냉수를 출수함과 동시에 멜로디를 스피커로 송출하는 단계와; 조작부의 이미지 버튼을 다시 눌러 컨트롤러에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조작부의 이미지 버튼을 다시 누르면 메인출수부재를 통해 공급하는 냉수를 차단하기 위해 컨트롤러에서 냉수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동시켜 출수를 정지하는 단계와; 컨트롤러는 이미지 버튼에서 온수를 누른 것으로 판단되면, 온수 솔레노이드밸브를 열어 히팅부재에 의해 일정 온도로 데워진 온수를 출수함과 동시에 멜로디를 스피커로 송출하는 단계와; 조작부의 이미지 버튼을 다시 눌러 컨트롤러에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조작부의 이미지 버튼을 다시 누르면 메인출수부재를 통해 공급하는 온수를 차단하기 위해 컨트롤러에서 온수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동시켜 출수를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우셋에 터치 방식의 조작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정수, 냉수 및 온수를 하나의 파우셋을 통해 선택적으로 출수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정수, 냉수 또는 온수의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셋의 상부에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파우셋에 조작부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정수, 냉수 또는 온수의 선택하기 용이한 것은 물론 터치 형태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므로 물기가 묻은 상태에서도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의 교환시기를 사용자가 알 수 있게 하여 필터의 교환이 용이한 것은 물론 필터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항상 정화가 된 물을 정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파우셋의 조작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정수본체에 설치되는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파우셋의 조작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이 씽크대에 설치되어 정수와 온수 및 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한 상태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이 씽크대에 설치되어 정수와 온수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한 상태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이 씽크대에 설치되어 정수 도, 냉수 또는 온수 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한 상태의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파우셋의 조작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정수본체에 설치되는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파우셋의 조작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이 씽크대에 설치되어 정수, 냉수 및 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한 상태의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이 씽크대에 설치되어 정수와 온수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이 씽크대에 설치되어 정수 또는 냉수 또는 온수 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100)은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출수할 수 있도록 씽크대 상부에 형성한 구멍의 상부에 위치되는 파우셋몸체(110)와, 출수되는 정수, 냉수 또는 온수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파우셋몸체(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우셋헤드(120)와,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조작부가 설치된 파우셋헤드(120)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메인노즐(131)이 설치된 메인출수부재(130)와, 사용자가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출수할 수 있도록 이미지 형태로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하는 이미지 버튼(220)을 가지며 파우셋헤드(120)에 일체로 설치되는 조작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파우셋몸체(110)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하부에 씽크대에 형성한 구멍에 결합할 수 있도록 외주연에 나사가 형성된 후드볼트(111)가 단턱지게 형성되고, 후드볼트(111)에는 고무링(미부호)이 설치되며, 후드볼트(111)에는 후드너트(112)가 결합하여 씽크대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200)는 이미지 형태로 이미지 버튼(220)이 구성되는 터치패널(210)이 파우셋헤드(120)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미지 버튼(220)은 정수, 냉수 및 온수가 표시된다. 상기 이미지 버튼 중에서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한번 누르면 메인출수부재(130)를 통해 정수, 냉수 또는 온수가 출수되고, 두 번 누르면, 메인출수부재(130)를 통해 출수되는 정수, 냉수 또는 온수의 출수가 멈춘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200)에는 필터(미도시)의 교환시기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필터교환램프(230)가 설치된다.
상기 조작부(200)에는 정화된 정수, 냉수 또는 온수의 공급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240)가 PCB형태로 이루어져 파우셋헤드(120)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러(240)는 어댑터(미도시)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온(on)된 상태에서 조작부(200)로 전원을 인가하여 사용자가 조작부(2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작동대기 상태로 유지, 이미지 버튼(220)의 정수, 냉수 또는 온수 중 하나를 사용자가 누르면 대기상태에서 12시간이 경과 되었는지를 판단, 12시간이 경과되면 10초간 정화된 물을 출수하면서 경고음을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발생, 조작부(200)를 통해 터치 된 버튼을 판단, 정수 또는 냉수 또는 온수의 출수, 멜로디를 스피커를 통해 발생, 조작부(200)를 터치에 의해 출수되는 정수 또는 냉수 또는 온수의 차단을 위한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 또는 냉수 솔레노이드밸브(330) 또는 온수 솔레노이드밸브(340)의 닫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러(240)는 어댑터로부터 24볼트(V)의 전원을 입력받아 파우셋(100)의 조작부(200)와 정수본체(300)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부(241)와; 상기 전원부(241)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으며 밸브조절부(243), 램프조절부(244) 및 메모리(245)를 제어하는 CPU(242)와; 상기 CPU(242)의 제어신호를 받아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 냉수 솔레노이드밸브(330) 또는 온수 솔레노이드밸브(340)를 제어하여 조작부(20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밸브조절부(243)와; 조작부(200)에 형성된 필터교환램프(230)에 전원을 인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깜빡이도록 제어하는 램프조절부(244)와; 조작부(20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정수 솔레노이드밸브, 냉수 솔레노이드밸브 또는 온수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 및 필터교환램프(230)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CPU(242)에서 독출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245)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240)에는 파우셋헤드(120)에 설치된 조작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커넥터(246)가 더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246)는 프로그램의 설치, 삭제 및 업그레이드, 진단 등을 할 수 있도록 외부에서 전자기기와 연결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공급관(113)을 통해 정수, 냉수 또는 온수가 공급되는 상태에 따른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정수 또는 냉수는 하나의 공급관(113)을 통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온수의 경우, 정수 또는 냉수가 공급되는 공급관(113)과는 별도로 온수관(미부호)을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는 정수본체(300)에 설치된 필터(미도시)에 의해 원수를 정화하여 공급하고, 상기 냉수는 정수본체(300)의 필터(미도시)에 의해 정화된 정수를 냉각기를 통해 일정 온도 이하로 낮춘 상태에서 공급하며, 상기 온수는 정수본체(300)의 필터에 의해 정화된 정수를 히팅부재(미도시)를 통해 일정 온도 이상으로 데운 상태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부재는 순간가열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순간가열방식이 아닌 온수를 저장하는 탱크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으나, 탱크식의 경우 정수본체(300)의 크기가 커지므로 가급적 구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정수본체(300)에서 공급되는 정수, 냉수와 온수가 모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정수본체(300)에 정수와 냉수만 공급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정수와 온수만을 공급하거나 또는 냉수와 온수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도 6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수, 냉수, 온수가 모두 공급되는 경우에는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 냉수 솔레노이드밸브(330) 및 온수 솔레노이드밸브(340)를 모두 설치하여 이미지 버튼(220)의 조작에 의해 하나의 공급관(113)을 통해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정수와 냉수만을 공급할 때에는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와 냉수 솔레노이드밸브(330)를 구성하고, 정수와 온수만을 공급할 때에는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와 온수 솔레노이드밸브(340)를 구성하며, 냉수와 온수만을 공급할 때에는 냉수 솔레노이드밸브(330)와 온수 솔레노이드밸브(340)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조합에 의해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정수, 냉수 또는 온수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 또는 냉수 솔레노이드밸브(330) 또는 온수 솔레노이드밸브(34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정수, 냉수 또는 온수 중 어느 하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은 도 1 내지 4의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5와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5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원 발명의 파우셋몸체(110)와 파우셋헤드(120) 및 조작부(200)의 구성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에 따른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파우셋몸체(110)에는 서브출수부재(1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서브출수부재(140)에는 정수 또는 냉수가 출수 되도록 하거나 또는 온수가 출수 될 수 있도록 서브노즐(141)이 설치된다.
상기 서브노즐(141)은 필터에 의해 정화된 정수 또는 냉수가 출수 될 수 있도록 공급관(113)을 통해 정수본체(300)와 연결한다. 또한, 상기 공급관은 도면에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서브출수부재(130)가 설치될 때에는 복수로 설치한다.
상기 냉수는 정수본체(300)에 설치된 냉각기(미도시)를 통해 일정온도 이하로 공급된다.
상기 서브출수부재(130)를 통해 정수 또는 냉수가 출수 될 시에는 메인출수부재(130)에서는 온수가 출수 되도록 하거나 또는 서브출수부재(140)를 통해 온수가 출수 될 시에는 메인출수부재(130)에서는 정수 또는 냉수가 출수 되도록 한다.
상기 온수는 정수본체(300)에 설치한 히팅부재(미도시)에 의해 일정 온도 이상으로 데워진 상태로 공급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파우셋(100)은 씽크대 하부에 설치된 정수본체(300)와 연결되어 조작부(200)에서 선택된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본체(300)는 내측에 일정한 공간을 갖는 본체케이스(320)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스(320) 내측에는 걸림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되어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가 복수로 설치되며, 복수의 필터에 의해 원수를 정화하여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파우셋(100)과 정수,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113)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의 작용을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제어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함께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제어방법은 어댑터에 의해 파우셋(100)과 정수본체(3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을 온하는 단계(S10)와; 파우셋(100)과 정수본체(3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조작부(200)를 터치할 수 있도록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20)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을 눌러 정수 또는 냉수 또는 온수가 공급되도록 컨트롤러(240)로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S30)와; S30에서 정수, 냉수 또는 온수의 출수를 선택하였다면 컨트롤로(240)에서 이미지 버튼을 누른 시간이 12시간이 경과 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40)와; 12시간이 경과 되었다면, 컨트롤러(240)에서 공급관(113)의 정수를 빼내기 위하여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를 열어 메인출수부재(130)를 통해 정수를 출수함과 동시에 스피커로 경보음을 송출하는 단계(S50)와; 컨트롤러(240)에서 메인출수부재(130)를 통해 정수가 10초 이상 출수되면,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를 닫아 정수의 출수를 정지시키는 단계(S60)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 중에서 정수, 냉수 또는 온수 중 어느 것을 선택하였는지 컨트롤러(240)에서 판단하는 단계(S70)와; 컨트롤러(240)는 이미지 버튼(220)에서 정수를 누른 것으로 판단되면,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를 열어 정수를 출수함과 동시에 멜로디를 스피커로 송출하는 단계(S80)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을 다시 눌러 컨트롤러(240)에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S90)와; 사용자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을 다시 누르면 메인출수부재(130)를 통해 공급하는 정수를 차단하기 위해 컨트롤러(240)에서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를 구동시켜 출수를 정지하는 단계(S100)와; 컨트롤러(240)는 이미지 버튼(220)에서 냉수를 누른 것으로 판단되면, 냉수 솔레노이드밸브(330)를 열어 냉각기에 의해 일정 온도 이하로 낮춰진 냉수를 출수함과 동시에 멜로디를 스피커로 송출하는 단계(S110)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을 다시 눌러 컨트롤러(240)에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S120)와; 사용자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을 다시 누르면 메인출수부재(130)를 통해 공급하는 냉수를 차단하기 위해 컨트롤러(240)에서 냉수 솔레노이드밸브(330)를 구동시켜 출수를 정지하는 단계(S130)와; 컨트롤러(240)는 이미지 버튼(220)에서 온수를 누른 것으로 판단되면, 온수 솔레노이드밸브(340)를 열어 히팅부재에 의해 일정 온도로 데워진 온수를 출수함과 동시에 멜로디를 스피커로 송출하는 단계(S140)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을 다시 눌러 컨트롤러(240)에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S150)와; 사용자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을 다시 누르면 메인출수부재(130)를 통해 공급하는 온수를 차단하기 위해 컨트롤러(240)에서 온수 솔레노이드밸브(340)를 구동시켜 출수를 정지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어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및 제어방법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어댑터를 통해 파우셋(100)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조작부(200)의 활성화 및 정수본체(300)에 전원이 공급(S10)되도록 한다.
상기 조작부(200)와 정수본체(300)로 전원이 공급되면, 정수본체(300)는 조작부(200)의 터치에 의한 신호가 인가되기 전까지 대기 상태(S20)를 유지한다.
상기 조작부(200)에서 정수, 냉수 또는 온수로 이루어진 이미지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터치하면, 그 신호가 컨트롤러(240)로 인가(S30)된다.
상기 조작부(20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정수본체(300)는 대기 상태에서 시간이 12시간이 경과 되었는지를 CPU(242)에서 메모리(245)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판단(S40)한다. 상기 대기 상태에서 12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S70으로 이동하고, 12시간이 경과 되었으면 정수본체(300)에 설치한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를 열어 공급관(113) 내부에 있던 정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CPU(242)에서 밸부조절부(243)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를 열어 정수를 10초간 파우셋헤드(120)에 설치된 메인출수부재(130)의 메인노즐(131)을 통해 출수하면서 경고음을 발생(S50)시킨다.
상기에서 10초간 정수가 출수 된 후에는 메인출수부재(130)의 메인노즐(131)에서 출수되는 것을 멈출 수 있도록 정수본체(300)에 설치된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를 닫는다.(S60)
상기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가 닫힌 상태에서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 중에서 어느 것을 사용자가 터치하였는지 컨트롤러(240)의 CPU(242)에서 판단(S70)한다.
상기 컨트롤러(240)에서 사용자가 정수를 선택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를 열어 정수를 출수함과 동시에 정수가 출수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멜로디를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발생(S80)시킨다.
그리고 정수가 출수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을 다시 누르면 컨트롤러(300)로 신호가 인가되도록 한다.(S90)
정수가 출수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을 터치하여 신호가 컨트롤러(240)로 인가되면, 상기 컨트롤러(240)는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를 닫아 메인출수부재(130)에서 정수가 출수되지 못하도록 한다.(S100)
그리고 상기 S70에서 상기 컨트롤러(240)의 CPU(242)에서 사용자가 냉수를 선택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냉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CPU(242)에서 밸브조절부(243)로 신호를 인가하여 냉수 솔레노이드밸브(330)를 열어 냉수를 출수함과 동시에 냉수가 출수되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멜로디를 발생(S110)시킨다. 이때 냉수는 냉각기를 통해 일정 온도 이하로 낮춰진 상태로 공급된다.
상기 냉수가 출수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을 눌러 컨트롤러(240)의 CPU(242)로 신호가 인가되도록 한다.(S120)
냉수가 출수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을 다시 눌러 신호가 컨트롤러(240)로 인가되면, 컨트롤러(240)는 냉수 솔레노이드밸브(330)를 닫아 메인출수부재(130)로 냉수가 출수되는 것을 차단한다.(S130)
또한, 상기 S70에서 컨트롤러(240)에서 사용자가 온수를 선택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온수 솔레노이드밸브(340)를 열어 온수를 출수함과 동시에 온수가 출수되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멜로디를 발생(S140)시킨다.
상기 온수가 출수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을 눌러 컨트롤러(240)의 CPU(242)로 신호가 인가되도록 한다.(S150)
상기 온수가 출수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을 다시 눌러 신호가 CPU(242)로 인가되면, CPU(242)는 밸브조절부(243)로 신호를 인가하여 온수 솔레노이드밸브(340)를 닫아 메인출수부재(130)에서 출수되는 온수를 차단 한다.(S160)
상기 S100과 S130 및 S160을 과정을 수행한 후에는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
그리고 S20의 대기 상태에서 CPU(242)는 필터의 교환주기가 도래하였는지를 판단(S200)하는데, 이때의 판단은 메모리(245)에 저장된 데이터를 CPU(242)에서 읽어들여 필터를 교체한 상태에서 5초간 눌러 초기화한 시점에서 현재까지의 시간을 날짜로 계산하여 교환시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한다.
상기 CPU(242)에서 필터의 교환주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CPU(242)는 램프조절부(244)로 신호를 인가하여 조작부(200)의 필터교환램프(230)가 깜빡이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S210)
상기 사용자가 필터를 교체한 상태에서 정수버튼을 5초 이상 누르면, CPU(242)에서는 필터가 교체된 것으로 판단하여 필터교환램프(230)가 일정 간격으로 깜빡이지 못하도록 제어한다.(S220)
그리고 이미지 버튼(220)에서 정수를 5초 이상 누른 상태에서 컨트롤러(240)에서 필터 주기에 대한 데이터가 초기화되지 못하면, 컨트롤러(240)는 필터교환램프(230)가 계속 깜빡이도록 제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다시 이미지 버튼(220)을 눌러 초기화 하도록 한다.
상기 이미지 버튼(220)을 눌러 초기화가 되었다면 S20의 대기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필터교환램프(230)가 일정한 간격으로 깜빡이는 것을 멈추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우셋(100)에 조작부(200)를 일체로 형성하므로 사용자가 정수, 냉수 또는 온수의 선택이 용이한 것은 물론 조작부(200)가 터치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사용하기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파우셋 110: 파우셋몸체
111: 후드볼트 112: 후드너트
113: 공급관 120: 파우셋헤드
130: 메인출수부재 131: 메인노즐
140: 서브출수부재 141: 서브노즐
200: 조작부 210: 터치패널
220: 이미지 버튼 230: 필터교환램프
240: 컨트롤러 241: 전원부
242: CPU 243: 밸브조절부
244: 램프조절부 245: 메모리
300: 정수본체 310: 케이스본체
320: 정수 솔레노이드 330; 냉수 솔레노이드
340; 온수 솔레노이드

Claims (7)

  1.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에 있어서,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출수할 수 있도록 씽크대 상부에 형성한 구멍의 상부에 위치되는 파우셋몸체(110)와;
    출수되는 정수, 냉수 또는 온수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파우셋몸체(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우셋헤드(120)와;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조작부가 설치된 파우셋헤드(120)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메인노즐이 설치된 메인출수부재(130)와;
    사용자가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출수할 수 있도록 이미지 형태로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하는 이미지 버튼(220)을 가지며 파우셋헤드(120)에 일체로 설치되는 조작부(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셋몸체(110)는,
    정수 또는 냉수가 공급되거나 또는 온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서브노줄(141)이 설치된 서브출수부재(140)가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00)는,
    정수, 냉수 및 온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이미지 형태로 이미지 버튼(220)이 터치패널(210)에 형성되어 터치에 의해 정수본체(300)에서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메인출수부재(130)를 통해 출수되도록 하며,
    필터의 교환시기를 알 수 있도록 필터교환램프(23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00)는,
    터치패널(210)의 이미지 버튼(220)을 한번 터치하면, 정수, 냉수 또는 온수가 출수되고, 두 번 터치하면 출수가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5. 제1항에 있어서,
    컨트롤러(240)는
    어댑터로부터 24볼트(V)의 전원을 입력받아 파우셋(100)의 조작부(200)와 정수본체(300)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부(241)와;
    상기 전원부(241)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으며 밸브조절부(243), 램프조절부(244) 및 메모리(245)를 제어하는 CPU(242)와;
    상기 CPU(242)의 제어신호를 받아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 냉수 솔레노이드밸브(330) 또는 온수 솔레노이드밸브(340)를 제어하여 조작부(20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는 밸브조절부(243)와;
    조작부(200)에 형성된 필터교환램프(230)에 전원을 인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깜빡이도록 제어하는 램프조절부(244)와;
    조작부(20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 냉수 솔레노이드밸브(330) 또는 온수 솔레노이드밸브(340)를 제어 및 필터교환램프(230)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CPU(242)에서 독출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245)로 이루어지는 컨트롤러(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6.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제어방법에 있어서,
    어댑터에 의해 파우셋(100)과 정수본체(3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을 온(on)하는 단계(S10)와;
    파우셋(100)과 정수본체(3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조작부(200)를 터치할 수 있도록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20)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을 눌러 정수, 냉수 또는 온수가 공급되도록 컨트롤러(240)로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S30)와;
    S30에서 정수, 냉수 또는 온수의 출수를 선택하였다면 컨트롤로(240)에서 이미지 버튼을 누른 후 12시간이 경과 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40)와;
    12시간이 경과 되었다면, 컨트롤러(240)에서 공급관의 정수를 빼내기 위하여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를 열어 메인출수부재(130)를 통해 정수를 출수함과 동시에 스피커로 경보음을 송출하는 단계(S50)와;
    컨트롤러(240)에서 메인출수부재(130)를 통해 정수가 10초 이상 출수되면,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를 닫아 정수의 출수를 정지시키는 단계(S60)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 중에서 정수, 냉수 또는 온수 중 어느 것을 선택하였는지 컨트롤러(240)에서 판단하는 단계(S70)와;
    컨트롤러(240)는 이미지 버튼(220)에서 정수를 누른 것으로 판단되면,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를 열어 정수를 출수함과 동시에 멜로디를 스피커로 송출하는 단계(S80)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을 다시 눌러 컨트롤러(240)에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S90)와;
    사용자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을 다시 누르면 메인출수부재(130)를 통해 공급하는 정수를 차단하기 위해 컨트롤러(240)에서 정수 솔레노이드밸브(320)를 구동시켜 출수를 정지하는 단계(S100)와;
    컨트롤러(240)는 이미지 버튼(220)에서 냉수를 누른 것으로 판단되면, 냉수 솔레노이드밸브(330)를 열어 냉각기에 의해 일정 온도 이하로 낮춰진 냉수를 출수함과 동시에 멜로디를 스피커로 송출하는 단계(S110)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을 다시 눌러 컨트롤러(240)에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S120)와;
    사용자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을 다시 누르면 메인출수부재(130)를 통해 공급하는 냉수를 차단하기 위해 컨트롤러(240)에서 냉수 솔레노이드밸브(330)를 구동시켜 출수를 정지하는 단계(S130)와;
    컨트롤러(240)는 이미지 버튼(220)에서 온수를 누른 것으로 판단되면, 온수 솔레노이드밸브(340)를 열어 히팅부재에 의해 일정 온도로 데워진 온수를 출수함과 동시에 멜로디를 스피커로 송출하는 단계(S140)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을 다시 눌러 컨트롤러(240)에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S150)와;
    사용자가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을 다시 누르면 메인출수부재(130)를 통해 공급하는 온수를 차단하기 위해 컨트롤러(240)에서 온수 솔레노이드밸브(340)를 구동시켜 출수를 정지하는 단계(S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20의 작동대기에서,
    필터의 교환주기가 도래하였는지 컨트롤러(240)에서 판단하는 단계(S200)와;
    필터의 교환주기가 도래한 것으로 컨트롤러(240)에서 판단되면, 조작부에 형성된 필터교환램프(23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일정 간격으로 깜빡이도록 하는 단계(S210)와;
    사용자가 케이스본체(310)의 필터를 교환한 후 조작부(200)의 이미지 버튼(220) 중에서 정수를 5초 이상 터치하는 단계(S220)와;
    필터의 교환주기의 데이터가 초기화가 되었는지 컨트롤러(240)에서 판단하여 초기화가 되지 않았다면 필터교환램프(230)를 계속 깜빡이고, 초기화가 되었다면 S20의 작동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S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제어방법.
KR1020160163677A 2016-12-02 2016-12-02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및 제어방법 KR20180063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677A KR20180063657A (ko) 2016-12-02 2016-12-02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677A KR20180063657A (ko) 2016-12-02 2016-12-02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657A true KR20180063657A (ko) 2018-06-12

Family

ID=62622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677A KR20180063657A (ko) 2016-12-02 2016-12-02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3657A (ko)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499B1 (ko) * 2018-09-18 2020-04-07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KR20200097552A (ko) * 2019-02-08 2020-08-19 주식회사 교원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KR20200097551A (ko) * 2019-02-08 2020-08-19 주식회사 교원 정수기용 출수유닛
KR20200097550A (ko) * 2019-02-08 2020-08-19 주식회사 교원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102799A (ko) * 2019-02-22 2020-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00132805A (ko) * 2019-02-22 2020-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00132806A (ko) * 2019-02-22 2020-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00134193A (ko) * 2019-02-22 2020-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10017987A (ko) * 2019-08-05 2021-02-17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KR20210095101A (ko) * 2020-11-17 2021-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WO2021154008A1 (en) * 2020-01-28 2021-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purifier
KR102289170B1 (ko) * 2021-02-15 2021-08-12 김진일 얼음이 배출되는 싱크대용 수도전
KR20210118381A (ko) * 2020-11-17 202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10124117A (ko) * 2020-11-17 202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US11279610B2 (en) 2019-02-22 2022-03-22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KR20220098535A (ko) * 2021-01-04 202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102452491B1 (ko) * 2021-06-17 2022-10-11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씽크대용 정수기능을 형성한 기능성 수전장치
KR20230020464A (ko) * 2020-11-19 2023-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30130956A (ko) 2022-03-04 2023-09-1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230137062A (ko) 2022-03-21 2023-10-0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230143770A (ko) 2022-04-06 2023-10-13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US11827540B2 (en) 2019-02-22 2023-11-28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KR20230163799A (ko) 2022-05-24 2023-12-01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6796U (ja) * 1991-04-30 1992-11-18 株式会社北沢バルブ 浄水器制御装置
JP2004293207A (ja) * 2003-03-27 2004-10-21 Toto Ltd 水栓装置
JP2006144321A (ja) * 2004-11-18 2006-06-08 Inax Corp 湯水混合水栓
JP2009232152A (ja) * 2008-03-24 2009-10-08 Toto Ltd タッチスイッチ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給水装置
KR20100039770A (ko) 2008-10-08 2010-04-16 권오선 정수기용 파우셋
KR20140123303A (ko) * 2013-04-12 2014-10-22 최상필 알칼리이온수 및 냉온수를 생성하는 정수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6008240A (ja) * 2014-06-23 2016-01-18 京セラケミカル株式会社 圧縮成形用粉粒状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6796U (ja) * 1991-04-30 1992-11-18 株式会社北沢バルブ 浄水器制御装置
JP2004293207A (ja) * 2003-03-27 2004-10-21 Toto Ltd 水栓装置
JP2006144321A (ja) * 2004-11-18 2006-06-08 Inax Corp 湯水混合水栓
JP2009232152A (ja) * 2008-03-24 2009-10-08 Toto Ltd タッチスイッチ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給水装置
KR20100039770A (ko) 2008-10-08 2010-04-16 권오선 정수기용 파우셋
KR20140123303A (ko) * 2013-04-12 2014-10-22 최상필 알칼리이온수 및 냉온수를 생성하는 정수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6008240A (ja) * 2014-06-23 2016-01-18 京セラケミカル株式会社 圧縮成形用粉粒状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93207호(2004.10.21.) 1부. *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499B1 (ko) * 2018-09-18 2020-04-07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KR20200097552A (ko) * 2019-02-08 2020-08-19 주식회사 교원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KR20200097551A (ko) * 2019-02-08 2020-08-19 주식회사 교원 정수기용 출수유닛
KR20200097550A (ko) * 2019-02-08 2020-08-19 주식회사 교원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11549243B2 (en) 2019-02-22 2023-01-10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US11279610B2 (en) 2019-02-22 2022-03-22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KR20200132806A (ko) * 2019-02-22 2020-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00134193A (ko) * 2019-02-22 2020-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00102799A (ko) * 2019-02-22 2020-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US11827540B2 (en) 2019-02-22 2023-11-28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US11866317B2 (en) 2019-02-22 2024-01-09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KR20200132805A (ko) * 2019-02-22 2020-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10017987A (ko) * 2019-08-05 2021-02-17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US11939232B2 (en) 2020-01-28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purifier
WO2021154008A1 (en) * 2020-01-28 2021-08-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purifier
KR20210124117A (ko) * 2020-11-17 202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10118381A (ko) * 2020-11-17 202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10095101A (ko) * 2020-11-17 2021-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30020464A (ko) * 2020-11-19 2023-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KR20220098535A (ko) * 2021-01-04 202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터 디스펜싱 장치
WO2022173127A1 (ko) * 2021-02-15 2022-08-18 김진일 얼음이 배출되는 싱크대용 수도전
KR102289170B1 (ko) * 2021-02-15 2021-08-12 김진일 얼음이 배출되는 싱크대용 수도전
KR102452491B1 (ko) * 2021-06-17 2022-10-11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씽크대용 정수기능을 형성한 기능성 수전장치
KR20230130956A (ko) 2022-03-04 2023-09-12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230137062A (ko) 2022-03-21 2023-10-04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230143770A (ko) 2022-04-06 2023-10-13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230163799A (ko) 2022-05-24 2023-12-01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3657A (ko) 언더씽크용 정수기 파우셋 및 제어방법
CN104129867A (zh) 龙头上带有显示控制面板的水处理系统
WO2012001683A2 (en) System for saving the initial water consumption while taking a shower
CN111108518A (zh) 水处理系统
CN101725735A (zh) 带液晶屏电子恒温水龙头
US10407881B1 (en) Water diverter and recycler
WO2009035319A1 (en) Kitchen faucet with external control.
JP4310856B2 (ja) 水栓装置
KR20120075994A (ko)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 및 방법
CN210736339U (zh) 供热水系统及软水设备
JP2001263819A (ja) 浄水器付き電気湯沸かし器
JP2014190544A (ja) 給湯機
KR102306989B1 (ko) 자동샤워장치
KR100710423B1 (ko) 측면필터부착이 가능한 선반 일체형 샤워기
JP2002004365A (ja) 給水装置
KR100668059B1 (ko) 이온수기 및 이온수기 제어방법
JP2005156053A (ja) 給湯装置
KR20210135839A (ko) 온수 순환 시스템
JP2020029997A (ja) 給湯装置
KR20120096825A (ko) 정수기의 온수 제어 장치
KR20050102881A (ko) 순간온수형 온수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JP4837194B2 (ja) 給湯器のミキシングバルブ装置
JPH06262178A (ja) イオン水生成装置
KR100620579B1 (ko) 정수기 제어방법
KR20090040975A (ko) 수위, 수온 및 여과기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