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994A -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5994A
KR20120075994A KR1020100137950A KR20100137950A KR20120075994A KR 20120075994 A KR20120075994 A KR 20120075994A KR 1020100137950 A KR1020100137950 A KR 1020100137950A KR 20100137950 A KR20100137950 A KR 20100137950A KR 20120075994 A KR20120075994 A KR 20120075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hot water
temperature
he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철
이동식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7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5994A/ko
Publication of KR20120075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9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 F16K35/02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 F16K35/025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said actuating element being operated manually (e.g. a push-button located in the valve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Abstract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는, 본체 내에 설치되어 급수관과 급수밸브를 통하여 공급된 물이 저장되고, 히터에 의해 데워진 물이 배수관과 배수밸브를 통하여 출수되는 온수조와, 온수조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선택하도록 본체의 조작패널에 구비된 유량조절버튼와, 온수조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선택하도록 본체의 조작패널에 구비된 온도조절버튼와, 급수관 또는 온수조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센서와, 온수조에 설치되어 공급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유량조절버튼의 선택유량과 유량감지센서의 감지유량을 비교제어하여 급수밸브의 개폐를 통한 목표유량을 조절하고, 온도조절버튼의 선택온도와 온도감지센서의 감지온도를 비교제어하여 히터의 가열을 통한 목표온도를 조절하며, 온수의 목표도달시 히터를 끄고 배수밸브를 개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 및 방법{WARM WATER SUPPLY DEVICE OF COLDNESS AND ARMTH WATER DEVICE AND SUPPL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의 온도와 유량을 미리 선택하여 저수조에 공급된 물을 히터로 순간 가열하여 데워준 후 출수하고, 대기상태에서는 비워두는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 정수기는 원수를 필터로 걸러주고 케이스 내에 설치된 온수조 또는 냉수조로 공급하여 저장한 후 사용자가 온수 콕 또는 냉수 콕에 설치된 레버 작동에 의해 선택된 온수 또는 냉수가 취수구를 통하여 공급되어 사용자가 음용하도록 구성된 물공급장치이다.
기존의 냉온 정수기의 온수조에는 가열장치가 부착되어 공급된 물을 일정온도 예를 들어 90℃정도 상승시킨 상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되기 전까지 온수조에 일시 보관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온수레버의 작동으로 온수조에 저장된 물은 온수 콕을 통하여 컵 등으로 공급되고 온수조의 수위가 낮아지면, 수위조절센서에서 수위를 감지하여 온수가 온수조 내로 공급되고, 온도감지센서에 온도를 감지하고 가열장치에서 온수조에 열을 가해 90℃정도 온도를 상승시켜 항상 사용 가능한 상태로 보관한다.
기존의 온수조는 외주 면에 발포나 단열재 마감을 통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고, 보통 2 ~ 3ℓ정도의 용량을 지닌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기존의 온수조는 장기간 사용하다가 보면, 온수조에 저장된 온수에서 이물질이 발생하여 온수조 바닥에 쌓이거나 물속의 칼슘이 이온화하여 하얀 석회가 침전되어 발생한 이물질이 사용자에게 위생과 미관상 좋지 않은 인식을 주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물의 온도와 유량을 미리 선택하여 저수조에 공급된 물을 히터로 순간 가열하여 데워준 후 출수하고, 대기상태에서는 온수조를 비워두므로 온수조 내면에 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와 유량을 디지털방식으로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유량과 온도를 용이하게 선택함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있는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는, 본체 내에 설치되어 급수관과 급수밸브를 통하여 공급된 물이 저장되고, 히터에 의해 데워진 물이 배수관과 배수밸브를 통하여 출수되는 온수조; 상기 온수조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선택하도록 본체의 조작패널에 구비된 유량조절버튼; 상기 온수조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선택하도록 본체의 조작패널에 구비된 온도조절버튼; 상기 급수관 또는 상기 온수조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센서; 상기 온수조에 설치되어 공급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유량조절버튼의 선택유량과 상기 유량감지센서의 감지유량을 비교제어하여 급수밸브의 개폐를 통한 목표유량을 조절하고, 상기 온도조절버튼의 선택온도와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감지온도를 비교제어하여 히터의 가열을 통한 목표온도를 조절하며, 온수의 목표도달시 히터를 끄고 배수밸브를 개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터는 상기 온수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순간 가열방식의 히터이고, 상기 온수조는 저수용량이 0.5 ~ 1.5 ℓ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밸브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된 온수 출수 콕의 레버에 연동되어 개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패널에는 상기 유량조절버튼의 작동에 따라 선택된 유량을 표시하도록 제어부와 연동하는 유량표시부; 및 상기 온도조절버튼의 작동에 따라 선택된 온도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동하는 온도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방법은, 유량조절버튼과 온도조절버튼을 조작하여 유량과 온도를 선택하는 단계; 급수관에 설치된 급수밸브를 개방하여 온수조로 급수하고 공급되는 유량을 유량감지센서로 감지하는 단계; 상기 유량조절버튼에 의해 선택유량까지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유량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급수 유량과 비교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유량조절버튼에 의해 선택된 목표유량까지 도달한 경우, 히터를 작동하여 물을 가열하고, 온도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하는 단계; 상기 온도조절버튼에 의해 선택된 목표온도까지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수 온도와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조절버튼에 의해 선택된 목표온도까지 도달한 경우, 상기 히터를 끄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량과 온도선택 단계 전에 온수버튼을 조작하여 온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터를 끄는 단계 후에 배수밸브를 즉시 개방하여 온수를 출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 및 방법은 물의 온도와 유량을 미리 선택하여 저수조에 공급된 물을 히터로 순간 가열하여 데워준 후 출수하고, 대기상태에서는 온수조를 비워두므로 온수조 내면에 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상, 미관상 깔끔한 이미지를 주고, 제품의 신뢰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온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와 유량을 디지털방식으로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유량과 온도를 용이하게 선택함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 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의 온수조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제어부 관련 구성의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의 조작패널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 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의 물공급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방법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 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의 온수조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제어부 관련 구성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의 조작패널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 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의 물공급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 공급장치는 냉온수기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필요에 따라 온수기, 냉온 정수기, 냉온 이온정수기 및 물을 정량공급하고 순간 가열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여러 장치 및 기기 등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는, 온수조(20), 유량조절버튼(40), 온도조절버튼(50), 유량감지센서(42), 온도감지센서(52) 및 제어부(70)를 포함한다.
온수조(20)는 본체(10) 내에 설치되어 급수관(22)과 급수밸브(24)를 통하여 공급된 물이 저장되고, 히터(60)에 의해 데워진 물이 배수관(26)과 배수밸브(28)를 통하여 출수 된다.
온수조(20)는 저수용량이 0.5 ~ 1.5ℓ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ℓ정도인 것이 사용상에 좋다.
이와 같이, 온수조(20)의 저수용량이 기존의 온수조에 비하여 현저하게 줄게 되므로 본 발명의 온수 공급장치가 적용되는 제품을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품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급수관(22)에는 정수된 물이 유입되거나 수돗물이 직접 유입될 수도 있다.
급수밸브(24)는 급수를 단속하는 개폐밸브이다.
히터(60)는 온수조(20)의 바닥에 설치되는 순간 가열방식의 히터이다.
히터(60)는 온수조(20)의 내벽 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히터(60)는 기존에 통용되는 여러 타입의 순간 가열방식의 히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히터(60)는 제어부(70)의 제어 의해 온/오프한다.
온수조(20)는 저수용량이 작지만, 가열방식을 순간가열방식으로 운용하므로 온수를 바로바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수관(26)는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된 온수 출수 콕(12)과 연결될 수 있다.
배수밸브(28)는 출수를 단속하는 개폐밸브이다.
배수밸브(28)는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된 온수 출수 콕(12)의 레버(14)에 연동되어 개폐 동작한다.
유량조절버튼(40)은 온수조(20)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선택하도록 본체(10)의 조작패널(30)에 구비된다.
온도조절버튼(50)은 온수조(20)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선택하도록 본체(10)의 조작패널(30)에 구비된다.
유량조절버튼(40)과 온도조절버튼(50)은 조작패널(30)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패널(30)에는 유량조절버튼(40)의 작동에 따라 선택된 유량을 표시하도록 제어부(70)와 연동하는 유량표시부(44), 및 온도조절버튼(50)의 작동에 따라 선택된 온도를 표시하도록 제어부(70)와 연동하는 온도표시부(54)를 포함한다.
조작패널(30)에는 온수버튼(32)과 냉수버튼(34)을 구비하여 온수 또는 냉수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냉이온 정수기인 경우에는 조작패널(30)에 알칼리수버튼과 산성수버튼이 구비될 것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량조절버튼(40)과 온도조절버튼(50)은 높은 상태를 표시하는 기능과 낮은 상태를 표시라는 기능을 갖는 상하버튼으로 이루어져 유량 및 온도를 디지털방식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수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00cc의 용량과 90℃의 온도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유량조절버튼(40)과 온도조절버튼(50)의 상하 버튼을 각각 눌러서 원하는 유량과 온도를 유량표시부(44) 및 온도표시부(54)의 수치를 보면서 선택할 수 있다.
유량표시부(44) 및 온도표시부(54)에서 표시되는 수치는 선택된 유량과 온도에 맞는 온수가 공급된 후에 재사용을 위한 대기 시에는 미리 기준치에 맞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기준치를 유량과 온도의 중간치가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온수의 최대용량이 200cc이고, 온도가 100℃인 경우, 유량과 온도의 중간치는 100cc와 50℃로 세팅한다.
그리고, 유량표시부(44) 및 온도표시부(54)는 상하버튼의 1회 작동시마다 1단위, 5단위, 10단위, 또는 기타 설정 단위로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버튼의 1회 작동시마다 10단위로 동작하도록 세팅된 경우, 유량표시부(44)의 유량은 10cc, 20cc, 30cc, 40cc. … 200cc단위로 동작할 것이고, 온도표시부(54)의 온도는 10℃, 20℃, 30℃, 40℃ … 100℃단위로 동작할 것이다.
유량감지센서(42)는 급수관(22) 또는 온수조(30)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한다.
온도감지센서(52)는 온수조(20)에 설치되어 공급된 물의 온도를 감지한다.
제어부(70)는 유량조절버튼(40)의 선택유량과 유량감지센서(42)의 감지유량을 비교제어하여 급수밸브의 개폐를 통한 목표유량을 조절하고, 온도조절버튼(50)의 선택온도와 온도감지센서(52)의 감지온도를 비교제어하여 히터(60)의 가열을 통한 목표온도를 조절하며, 온수의 목표유량과 목표온도 도달시 히터(60)를 끄고 배수밸브(28)를 개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방법을 살펴 보면, 유량조절버튼(42)과 온도조절버튼(52)을 조작하여 유량과 온도를 선택한다.(S20)
유량조절버튼(40)과 온도조절버튼(50)은 조작패널(30)의 전면에 구비된다.
조작패널(30)에는 유량조절버튼(40)의 작동에 따른 유량수치를 표시하는 유량표시부(44)와, 온도조절버튼(50)의 작동에 따른 온도수치를 표시하는 온도표시부(54)를 포함한다.
이때, 유량과 온도선택 단계(S20) 전에 온수버튼(32)을 조작하여 온수를 선택할 수 있다.(S10)
온수버튼(32)은 역시 조작패널(30)에 구비된다.
연이어, 급수관(22)에 설치된 급수밸브(24)를 개방하여 급수하고 공급되는 유량을 유량감지센서(42)로 감지한다.(S30)(S40)
그 다음, 유량조절버튼(40)에 의해 선택된 유량까지 목표유량까지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유량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급수 유량과 비교 판단한다.(S50)
그 다음, 유량조절버튼(40)에 의해 선택된 목표유량까지 도달한 경우, 히터(60)를 작동하여 물을 가열하고, 온도감지센서(50)를 통해 온수의 온도를 감지한다.(S60)(S70)
이때, 유량조절버튼(40)에 의해 선택된 목표유량까지 도달하지 못한 경우, 급수단계(S30)로 복귀하여 목표유량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한다.
그 다음, 온도조절버튼(50)에 의해 선택된 목표온도까지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온도감지센서(52)에 의해 감지된 온수 온도와 비교 판단한다.(S80)
그 다음, 온도조절버튼(50)에 의해 선택된 목표온도까지 도달한 경우, 히터(60)를 끈다.
연이어, 히터를 끈 후에 배수밸브(28)를 즉시 개방하여 온수를 출수한다.
그리고, 출수가 완료된 후 대기 시간에는 온수조(20)가 비워지므로 저수유량으로 인한 이물질 발생이 거의 없고, 그로 인해 물속의 칼슘이 이온화하여 하얀 석회가 침전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위생상, 미관상 좋은 이미지를 주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즉, 온수조(20)에 일시 저장되는 온수량을 순간가열시간에만 잠깐 이루어지므로 이물질 발생이 거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의 온도와 유량을 미리 선택하여 저수조에 공급된 물을 히터로 순간 가열하여 데워준 후 출수하고, 대기상태에서는 온수조를 비워두므로 온수조 내면에 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상, 미관상 깔끔한 이미지를 주고, 제품의 신뢰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와 유량을 디지털방식으로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유량과 온도를 용이하게 선택함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2 : 온수 출수콕
14 : 레버 20 : 온수조
22 : 급수관 24 : 급수밸브
26 : 배수관 28 : 배수밸브
30 : 조작패널 32 : 온수버튼
40 : 유량조절버튼 42 : 유량표시부
44 : 유량감지센서 50 : 온도조절버튼
52 : 온도표시부 54 : 온도감지센서
60 : 히터 70 : 제어부

Claims (7)

  1. 본체 내에 설치되어 급수관과 급수밸브를 통하여 공급된 물이 저장되고, 히터에 의해 데워진 물이 배수관과 배수밸브를 통하여 출수되는 온수조;
    상기 온수조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선택하도록 본체의 조작패널에 구비된 유량조절버튼;
    상기 온수조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선택하도록 본체의 조작패널에 구비된 온도조절버튼;
    상기 급수관 또는 상기 온수조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센서;
    상기 온수조에 설치되어 공급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유량조절버튼의 선택유량과 상기 유량감지센서의 감지유량을 비교제어하여 급수밸브의 개폐를 통한 목표유량을 조절하고, 상기 온도조절버튼의 선택온도와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감지온도를 비교제어하여 히터의 가열을 통한 목표온도를 조절하며, 온수의 목표도달시 히터를 끄고 배수밸브를 개방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온수조의 바닥에 설치되는 순간 가열방식의 히터이고,
    상기 온수조는 저수용량이 0.5 ~ 1.5 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밸브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된 온수 출수 콕의 레버에 연동되어 개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패널에는 상기 유량조절버튼의 작동에 따라 선택된 유량을 표시하도록 제어부와 연동하는 유량표시부; 및
    상기 온도조절버튼의 작동에 따라 선택된 온도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동하는 온도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
  5. 유량조절버튼과 온도조절버튼을 조작하여 유량과 온도를 선택하는 단계;
    급수관에 설치된 급수밸브를 개방하여 온수조로 급수하고 공급되는 유량을 유량감지센서로 감지하는 단계;
    상기 유량조절버튼에 의해 선택유량까지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유량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급수 유량과 비교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유량조절버튼에 의해 선택된 목표유량까지 도달한 경우, 히터를 작동하여 물을 가열하고, 온도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하는 단계;
    상기 온도조절버튼에 의해 선택된 목표온도까지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수 온도와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조절버튼에 의해 선택된 목표온도까지 도달한 경우, 상기 히터를 끄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온수공급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과 온도선택 단계 전에 온수버튼을 조작하여 온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온수공급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를 끄는 단계 후에 배수밸브를 즉시 개방하여 온수를 출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온수공급방법.
KR1020100137950A 2010-12-29 2010-12-29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 및 방법 KR201200759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950A KR20120075994A (ko) 2010-12-29 2010-12-29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950A KR20120075994A (ko) 2010-12-29 2010-12-29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994A true KR20120075994A (ko) 2012-07-09

Family

ID=4670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950A KR20120075994A (ko) 2010-12-29 2010-12-29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599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8474A (zh) * 2013-03-15 2014-09-17 徐文炎 车载冰箱饮水一体机
CN105371588A (zh) * 2015-12-02 2016-03-02 无锡拓能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车间冷冻水控制方法
CN105806025A (zh) * 2014-12-31 2016-07-2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供水装置及具有该供水装置的冰箱
CN106766657A (zh) * 2016-12-27 2017-05-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供水的冰箱水路控制系统及具有其的冰箱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48474A (zh) * 2013-03-15 2014-09-17 徐文炎 车载冰箱饮水一体机
CN104048474B (zh) * 2013-03-15 2016-12-28 徐文炎 一种车载冰箱饮水一体机
CN105806025A (zh) * 2014-12-31 2016-07-2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供水装置及具有该供水装置的冰箱
CN105371588A (zh) * 2015-12-02 2016-03-02 无锡拓能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车间冷冻水控制方法
CN105371588B (zh) * 2015-12-02 2017-11-10 陈根旺 一种车间冷冻水控制方法
CN106766657A (zh) * 2016-12-27 2017-05-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供水的冰箱水路控制系统及具有其的冰箱
WO2018121569A1 (zh) * 2016-12-27 2018-07-05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饮水装置的自动供水系统及具有其的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606B1 (ko) 온도 가변의 물 분배장치
KR20120075994A (ko)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 및 방법
JPH0337111B2 (ko)
JP2017198379A (ja) 風呂給湯装置
JP6964404B2 (ja) 風呂給湯装置
JP6514936B2 (ja) 熱機器
JP2017137087A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その動作制御方法およびその動作制御プログラム
KR20120095228A (ko) 일정온도의 온수 공급이 가능한 온수 공급시스템
KR101617659B1 (ko) 자동 온도 조절 급수장치 및 급수 제어방법
KR20070105650A (ko) 냉장고
JP5859910B2 (ja) 給湯機用リモコン装置
JP6496226B2 (ja) 給湯装置
JP6437903B2 (ja) 給湯装置
KR200344660Y1 (ko) 온수 공급 장치
KR101502651B1 (ko) 정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6882432B2 (ja) 給湯装置
JP4218686B2 (ja) 電気ポット
KR102010888B1 (ko) 온수기 및 그 제어 방법
JPH0346739B2 (ko)
JP4318308B2 (ja) 給湯装置
JP3697099B2 (ja) 電気温水器
JP4618331B2 (ja) 電気ポット
KR20050008594A (ko) 욕탕물의 공급장치
JP2017047407A (ja) 炭酸水浄水器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621189B1 (ko) 급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