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449Y1 - 냉온 정수기 - Google Patents

냉온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449Y1
KR200330449Y1 KR20-2003-0024466U KR20030024466U KR200330449Y1 KR 200330449 Y1 KR200330449 Y1 KR 200330449Y1 KR 20030024466 U KR20030024466 U KR 20030024466U KR 200330449 Y1 KR200330449 Y1 KR 2003304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ncoder
cold
water tank
soleno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4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4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4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4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5Dispensing valves electro-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2001/0087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 B67D2001/0088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operated by push butt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온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엔코더 방식을 이용하여 냉수, 상온수 및 온수 뿐만 아니라 혼합수(미냉수, 미온수)도 간편하게 취수할 수 있도록, 물을 정수하는 정수부(110)와, 상기 정수부(110)에 파이프로 연결된 상온수 탱크(132)와, 상기 상온수 탱크(132)에 각각 연결된 냉수 탱크(131) 및 온수 탱크(133)로 이루어진 냉온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에는 회전 가능한 엔코더(150)가 더 설치되고, 상기 냉수 탱크(131)에는 상기 엔코더(150)로 제어되는 제1전자 밸브(141)가 결합되며, 상기 상온수 탱크(132)에는 상기 엔코더(150)로 제어되는 제2전자(142) 밸브가 결합되며, 상기 온수 탱크(133)에는 상기 엔코더(150)로 제어되는 제3전자 밸브(143)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함.

Description

냉온 정수기{Hot and cool clean water apparatus}
본 고안은 냉온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엔코더 방식을 이용하여 냉수, 상온수 및 온수 뿐만 아니라 혼합수(미냉수, 미온수)도 간편하게 취수할 수 있는 냉온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냉온 정수기에 적용되는 취수 방법은 크게 기계식, 레버 누름식이 있다. 상기 기계식은 전기적 제어 방식이 아닌 기계식 구조로서 혼합수를 생성하거나 또는 취수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레버 누름식은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취수 방식으로서 물의 종류가 선택되면, 그 상태에서 레버를 작동시켜 취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계식은 한종류의 물을 선택한 후 다른 종류의 물을 선택할 경우 그 내부에 잔수뿐만 아니라 자체가 가지고 있는 열용량에 의해 취수시 온도의 상승 및 하강이 상당량 뒤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레버 누름식은 취수 그릇의 크기에 따라 레버를 누를 경우 취수시 불필요한 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릇의 크기에 따라 다소 제약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엔코더 방식을 이용하여 냉수, 상온수 및 온수 뿐만 아니라 혼합수(미냉수, 미온수)도 간편하게 취수할 수 있는 냉온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전기 및 기구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에서 발광 다이오드 및 전자 밸브의 작동 상태에 따른 5가지 부하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고안에 의한 냉온 정수기
101; 케이스 102; 패널
103; 취수관 110; 정수부
131; 냉수 탱크 132; 상온수 탱크
133; 온수 탱크 141; 제1전자 밸브
142; 제2전자 밸브 143; 제3전자 밸브
150; 엔코더 160; 푸시 스위치
171; 제1발광 다이오드 172; 제2발광 다이오드
173; 제3발광 다이오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물을 정수하는 정수부와, 상기 정수부에 파이프로 연결된 상온수 탱크와, 상기 상온수 탱크에 각각 연결된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로 이루어진 냉온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에는 회전 가능한 엔코더가 더 설치되고, 상기 냉수 탱크에는 상기 엔코더로 제어되는 제1전자 밸브가 결합되며, 상기 상온수 탱크에는 상기 엔코더로 제어되는 제2전자 밸브가 결합되며, 상기 온수 탱크에는 상기 엔코더로 제어되는 제3전자 밸브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엔코더에는 푸시 스위치가 더 설치되고, 상기 푸시 스위치는 상기 제1,2,3전자 밸브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상기 푸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엔코더에 의해 설정된 특정 전자 밸브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3전자 밸브에는 각각 상응하는 제1,2,3발광 다이오드가 정수기 외측으로 노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각 전자 밸브의 작동에 따라 상응하는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의한 냉온 정수기에 의하면, 엔코더로 원하는 온도의 물(냉수, 미냉수, 상온수, 미온수, 온수)을 선택한 후, 푸시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다양한 온도 범위의 물을 간편하게 취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냉온 정수기(100)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냉온 정수기(100)의 외형은 대략 사각 육면체 형태의 케이스(101)와, 상기 케이스(101)의 전면에 형성된 패널(102)과, 상기 패널(102) 하부에 설치된 취수관(10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100)의 전기 및 기구적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냉온 정수기(100)는 케이스(101) 내측에 물을 정수하는 정수부(1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정수부(110)에는 파이프로 상온수 탱크(1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온수 탱크(132)에는 냉수 탱크(131) 및 온수 탱크(133)가 각각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수 탱크(131)에는 제1전자 밸브(141)가, 상온수 탱크(132)에는 제2전자 밸브(142)가, 온수 탱크(133)에는 제3전자 밸브(143)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정수기(100)의 전면 패널(102)에는 회전 가능한 엔코더(150)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이 엔코더(150)는 상기 제1전자 밸브(141), 제2전자 밸브(142) 및 제3전자 밸브(14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엔코더(150)의 회전 상태에 따라 특정한 전자 밸브가 개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엔코더(150)의 중앙에는 푸시 스위치(160)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푸시 스위치(160)에 의해 선택된 특정 전자 밸브가 실제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엔코더(150)를 이용하여 냉수, 미냉수, 상온수, 미온수 및 온수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상기 푸시 스위치(160)를 누르면 패널(102) 하단의 취수관(103)을 통해 상기 선택된 물이 취수된다.
한편, 상기 패널(102)에는 상기 제1전자 밸브(141), 제2전자 밸브(142) 및 제3전자 밸브(143)의 동작을 알릴 수 있도록, 제1발광 다이오드(171), 제2발광 다이오드(172) 및 제3발광 다이오드(173)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상기 엔코더(150)에 의해 특정 온도의 물이 선택되면, 실제로 작동되는 전자 밸브의 상태가 표시된다.
이러한 구성을 하는 본 고안에 의한 냉온수 정수기(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정수기(100)의 케이스(101) 전면에 설치된 패널(102)에서 엔코더(150)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특정 온도 범위의 물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엔코더(150)를 조작하여 냉수를 선택했다고 하자.
그러면, 냉수 탱크(131)에 설치된 제1전자 밸브(141)가 작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제1전자 밸브(141)의 작동은 실제로 푸시 스위치(160)를 누름으로써 작동하게 된다.
즉, 상기 푸시 스위치(160)를 누르게 되면, 상기 냉수 탱크(131)에 장착된 제1전자 밸브(141)가 작동되며, 패널(102) 하단의 취수관(103)을 통해 냉수가 취수된다. 물론, 이때 상기 패널(101)에 설치된 제1발광 다잉드(171)가 발광되어, 현재의 물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의한 냉온 정수기(100)에 의하면, 5가지 상태의 물을 얻을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100)에서 발광 다이오드 및 전자 밸브의 작동 상태에 따른 5가지 부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엔코더(150)로 냉수를 선택하게 되면, 냉수 탱크(131)에 설치된 제1전자 밸브(141)만 작동하게 되고, 또한 제1발광 다이오드(171)만 작동하게 된다.
또한, 엔코더(150)로 미온수(냉수+상온수)를 선택하게 되면, 냉수 탱크(131)에 설치된 제1전자 밸브(141) 및 상온수 탱크(132)에 설치된 제2전자 밸브(142)가 작동하게 되고, 또한 제1발광 다이오드(171) 및 제2발광 다이오드(172)가 작동하게 된다.
위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의한 냉온 정수기(100)는 냉수, 미냉수(냉수+상온수), 상온수, 미온수(온수+상온수) 및 온수와 같은 5가지 상태의 물을 엔코더(150)를 이용하여 손쉽게 취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의한 냉온 정수기에 의하면, 엔코더로 원하는 온도의 물(냉수, 미냉수, 상온수, 미온수, 온수)을 선택한 후, 푸시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다양한 온도 범위의 물을 간편하게 취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물을 정수하는 정수부(110)와, 상기 정수부(110)에 파이프로 연결된 상온수 탱크(132)와, 상기 상온수 탱크(132)에 각각 연결된 냉수 탱크(131) 및 온수 탱크(133)로 이루어진 냉온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에는 회전 가능한 엔코더(150)가 더 설치되고, 상기 냉수 탱크(131)에는 상기 엔코더(150)로 제어되는 제1전자 밸브(141)가 결합되며, 상기 상온수 탱크(132)에는 상기 엔코더(150)로 제어되는 제2전자(142) 밸브가 결합되며, 상기 온수 탱크(133)에는 상기 엔코더(150)로 제어되는 제3전자 밸브(143)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150)에는 푸시 스위치(160)가 더 설치되고, 상기 푸시 스위치(160)는 상기 제1,2,3전자 밸브(141,142,143)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상기 푸시 스위치(16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엔코더(150)에 의해 설정된 특정 전자 밸브가 개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전자 밸브(141,142,143)에는 각각 상응하는 제1,2,3발광 다이오드(171,172,173)가 정수기 외측으로 노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각 전자 밸브(141,142,143)의 작동에 따라 상응하는 발광 다이오드(171,172,173)가 발광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
KR20-2003-0024466U 2003-07-29 2003-07-29 냉온 정수기 KR2003304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466U KR200330449Y1 (ko) 2003-07-29 2003-07-29 냉온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466U KR200330449Y1 (ko) 2003-07-29 2003-07-29 냉온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449Y1 true KR200330449Y1 (ko) 2003-10-17

Family

ID=49417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466U KR200330449Y1 (ko) 2003-07-29 2003-07-29 냉온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449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9299A (ko) * 2009-09-15 2011-03-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미온수 배출이 가능한 밸브장치
KR101050727B1 (ko) 2009-12-07 2011-07-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정수기용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조절 장치
KR101165550B1 (ko) 2010-01-06 2012-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코크
KR101232414B1 (ko) * 2007-08-21 2013-02-12 코웨이 주식회사 이중 냉수탱크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1409902B1 (ko) 2012-09-06 2014-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77499B1 (ko) * 2018-09-18 2020-04-07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KR20210017987A (ko) * 2019-08-05 2021-02-17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KR102517718B1 (ko) * 2022-01-18 2023-04-20 박상길 미온수 출수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414B1 (ko) * 2007-08-21 2013-02-12 코웨이 주식회사 이중 냉수탱크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10029299A (ko) * 2009-09-15 2011-03-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미온수 배출이 가능한 밸브장치
KR101586329B1 (ko) 2009-09-15 2016-01-19 코웨이 주식회사 미온수 배출이 가능한 밸브장치
KR101050727B1 (ko) 2009-12-07 2011-07-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정수기용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혼합 조절 장치
KR101165550B1 (ko) 2010-01-06 2012-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코크
KR101409902B1 (ko) 2012-09-06 2014-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77499B1 (ko) * 2018-09-18 2020-04-07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KR20210017987A (ko) * 2019-08-05 2021-02-17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KR102319453B1 (ko) * 2019-08-05 2021-10-29 홍종국 예열히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순간 온수장치
KR102517718B1 (ko) * 2022-01-18 2023-04-20 박상길 미온수 출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0449Y1 (ko) 냉온 정수기
CN101057750A (zh) 健康节能饮水机
CN104344047A (zh) 用于龙头的传感器组合件
CN106256766A (zh) 净水器
CN201569886U (zh) 多功能饮水机
KR200429787Y1 (ko) 정수기 파우셋 수전
CN2791564Y (zh) 自断电饮水机
CN101784143A (zh) 可调光发光二极管灯及其调光方法
CN105821928B (zh) 一种基于反馈控制技术的智能空气制水机
CN210951826U (zh) 一种新型智能大挂壁式纳米加热电锅炉
CN201954036U (zh) 公共建筑采暖自动节能阀
CN201754601U (zh) 一种多用途遥控器
CN208752474U (zh) 智能温度控制器
CN101846391A (zh) 具有错峰用电功能的热泵型智能电开水器
CN1309996C (zh) 电磁热水器
CN2204555Y (zh) 饮水机
CN202281545U (zh) 延时启停型闭式冷却塔工作电路
CN2820014Y (zh) 电子恒温水煲
CN210980326U (zh) 一种新型智能纳米加热电锅炉
CN204305409U (zh) 一种便携式外接电灯开关控制器
CN201054319Y (zh) 电热水器的水电联动开关
CN209823040U (zh) 一种智能插座
CN2881391Y (zh) 高效节能遥控多用电热炉
CN204830109U (zh) 一种节能油烟机换热系统
CN211204396U (zh) 一种新型智能小挂壁式纳米加热电锅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