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447B1 -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 - Google Patents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447B1
KR102628447B1 KR1020180100307A KR20180100307A KR102628447B1 KR 102628447 B1 KR102628447 B1 KR 102628447B1 KR 1020180100307 A KR1020180100307 A KR 1020180100307A KR 20180100307 A KR20180100307 A KR 20180100307A KR 102628447 B1 KR102628447 B1 KR 102628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outlet
cold
cock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758A (ko
Inventor
임성택
공종호
이동희
신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그램
Publication of KR20190024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필터로부터 배출되는 냉수 및 정수, 또는 냉수, 온수 및 정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는
바닥패널과, 상기 바닥패널 좌,우측에 형성되는 좌,우측 사이드패널과, 상기 바닥패널 및 상기 좌,우측 사이드패널 뒤쪽에 형성되는 후면패널과, 상기 바닥패널 과 상기 좌,우측 사이드패널 앞쪽에 형성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좌,우측 사이드패널,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의 상단에 형성되는 탑패널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사이드패널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와, 정수필터가 교체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임의각도내에서 회동되는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필터실;
상기 정수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를 냉동싸이클에 의해 냉각시키는 냉각모듈;
상기 정수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정수와 상기 냉각모듈을 통과하는 냉수를 출수시키기 위한 출수코크가 형성되는 출수코크 사출물;
상기 전면패널 상측에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한 터치시 상기 출수코크로 정수와 냉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식 조작부가 형성되는 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a water purifier having output member enable common using of cold and warmth water purifier}
본 명세서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필터로부터 배출되는 냉수 및 정수, 또는 냉수, 온수 및 정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지하수와 같은 원수에 포함되는 유해물질을 침전, 여과 그리고 살균 등의 정수방법을 통해 제거함에 따라 원수를 음용수로 정수처리하는 장치이다.
정수기 중 냉,온 정수기의 경우에는 냉수와 온수를 토출하는 두 개의 출수코크가 정수기 본체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출수코크에는 회동레버가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컵(머그컵 또는 종이컵을 말함)으로 회동레버를 누르거나, 또는 당김에 따라 정수처리된 냉, 온수를 토출시킴에 따라 컵에 받아 음용할 수 있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종래 기술에 의한 냉,온수 조절레버를 구비한 정수기의 배출코크에 의하면 정수기 배출코크의 전단부에 냉,온수 조절레버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냉,온수 조절레버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냉수유로, 또는 온수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킴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를 배출코크로 출수시켜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냉,온수 조절레버의 회전각도에 따라 미지근한 정수를 배출코크에 출수시켜 음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정수기의 코크에서는 냉,온수 조절레버의 회전을 통한 기계식으로 조작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냉,온수 조절레버의 돌기부분을 파지하여 일정한 크기의 힘으로 돌려야 되는 불편함을 감수하게 된다.
최근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정수기 중에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정수기 외부(일 예로서, 출수부가 설치되는 정수기의 헤드를 말함)에 냉수 및 온수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부품들이 장착되는 전자식으로 변환되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034846호(2017.03.29.공개)에 정수기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정수기 케이스를 이루는 복수의 패널들을 분할시켜 사출성형하되, 이들 패널들을 체결부재를 사용하지않고 상호 끼워맞추어 조립할 수 있도록 한,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정수필터를 쉽게 교체시킬 수 있도록 한,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터치방식의 조작부가 구비되는 정수기 헤드의 전면PCB에 온수 사용으로 인한 수증기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냉수 및 정수, 또는 냉수, 온수 및 정수를 출수코크에 출수시킬 수 있도록 한,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패널과, 상기 바닥패널 좌,우측에 형성되는 좌,우측 사이드패널과, 상기 바닥패널 및 상기 좌,우측 사이드패널 뒤쪽에 형성되는 후면패널과, 상기 바닥패널 과 상기 좌,우측 사이드패널 앞쪽에 형성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좌,우측 사이드패널,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의 상단에 형성되는 탑패널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사이드패널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와, 임의각도내에서 회동되는 커넥터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니쁠 및 호스에 의해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필터실;
상기 정수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를 냉동싸이클에 의해 냉각시키는 냉각모듈;
상기 정수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정수와, 상기 냉각모듈을 통과하는 냉수를 출수시키기 위한 출수코크가 형성되는 출수코크 사출물;
상기 전면패널 상측에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한 터치시 상기 출수코크로 정수와 냉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식 조작부가 형성되는 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패널과, 상기 바닥패널 좌,우측에 형성되는 좌,우측 사이드패널과, 상기 바닥패널 및 상기 좌,우측 사이드패널 뒤쪽에 형성되는 후면패널과, 상기 바닥패널 과 상기 좌,우측 사이드패널 앞쪽에 형성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좌,우측 사이드패널,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의 상단에 형성되는 탑패널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사이드패널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와, 임의각도내에서 회동되는 커넥터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니쁠 및 호스에 의해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필터실;
상기 정수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를 냉동싸이클에 의해 냉각시키는 냉각모듈;
상기 정수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를 히터에 의해 가열시키는 온수모듈;
상기 정수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정수와, 상기 냉각모듈을 통과하는 냉수와, 상기 온수모듈을 통과하는 온수를 출수시키기 위한 출수코크가 형성되는 출수코크 사출물;
상기 전면패널 상측에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한 터치시 상기 출수코크로 정수와 냉수, 또는 온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식 조작부가 형성되는 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명세서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정수기 케이스를 이루는 복수의 패널들을 분할시켜 사출성형하되, 이들 패널들을 체결부재를 사용하지않고 상호 끼워맞추어 조립시킴에 따라 스크류 등의 해당부품을 줄여 원가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정수필터를 쉽게 교체시킬 수 있어 전문가(소위, 정수기 코디네이터를 말함)의 방문이 불필요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터치방식의 조작부가 구비되는 헤드의 전면 PCB에 온수 사용으로 인한 수증기가 비산되어 오작동으로 인한 정수기 불량 발생이 방지되므로 동업종분야에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출수부 사출품을 사용하여 냉수 및 정수, 또는 냉수, 온수 및 정수를 출수코크에 출수시킬 수 있어 원가비용을 절감하고 실용성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에서, 정수필터 교체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에서, 터치방식의 조작부가 구비되는 헤드의 전면PCB에 온수로 인한 수증기 차폐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a,b)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에서,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에서, 전면패널에 출수코크 하우징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는
바닥패널(10)(bottom panel)과, 바닥패널(10) 좌,우측에 형성되는 좌,우측 사이드패널(11,12)과, 바닥패널(10) 및 좌,우측 사이드패널(11,12) 뒤쪽에 형성되는 후면패널(13)(rear panel)과, 바닥패널(10)과 좌,우측 사이드패널(11,12) 앞쪽에 형성되는 전면패널(45)(front panel)과, 좌,우측 사이드패널(11,12), 전면패널(45) 및 후면패널(13)의 상단에 형성되는 탑패널(14)(top panel)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5);
좌측 또는 우측 사이드패널(11,12)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16)(도면에서는 좌측 사이드패널(11)에 장착됨)와, 임의각도내에서 회동되는 커넥터(18)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니쁠 및 호스(미 도시됨)에 의해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정수필터(17)를 포함하는 필터실(19);
정수필터(17)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를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동싸이클(미 도시됨)에 의해 냉각시키는 냉각모듈(47);
정수필터(17)로부터 배출되는 정수와, 냉각모듈(47)을 통과하는 냉수를 출수시키기 위한 출수코크(20)가 형성되는 출수코크 사출물(21);
전면패널(13) 상측에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한 터치시 출수코크(20)로 정수와 냉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식 조작부(22)가 형성되는 헤드(23);를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는
바닥패널(10)과, 바닥패널(10) 좌,우측에 형성되는 좌,우측 사이드패널(11,12)과, 바닥패널(10) 및 좌,우측 사이드패널(11,12) 뒤쪽에 형성되는 후면패널(13)과, 바닥패널(10)과 좌,우측 사이드패널(11,12) 앞쪽에 형성되는 전면패널(45)과, 좌,우측 사이드패널(11,12), 전면패널(45) 및 후면패널(13)의 상단에 형성되는 탑패널(14)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5);
좌측 또는 우측 사이드패널(11,12)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16)와, 임의각도내에서 회동되는 커넥터(18)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니쁠 및 호스(미 도시됨)에 의해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정수필터(17)를 포함하는 필터실(19);
정수필터(17)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를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동싸이클에 의해 냉각시키는 냉각모듈(47);
정수필터(17)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를 히터에 의해 가열시키는 온수모듈(미 도시됨);
정수필터(17)로부터 배출되는 정수와, 냉각모듈(47)을 통과하는 냉수와, 온수모듈을 통과하는 온수를 출수시키기 위한 출수코크(20)가 형성되는 출수코크 사출물(21);
전면패널(45) 상측에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한 터치시 출수코크(20)로 정수와 냉수, 또는 온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식 조작부(22)가 형성되는 헤드(23);를 구비한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코크(20)로 온수 배출로 인한 수증기가 헤드(23)에 내설된 전면 PCB(24)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면패널(13)의 출수코크 안착부(25)에 형성되는 결합공(26)에 끼워맞춤되는 출수코크 하우징(27) 중앙에 형성되는 출수노즐(28) 내주연과 이와 대응되는 출수코크(20) 외주연사이의 틈새를 씰링처리하기 위한 제1오링(29);
출수코크 안착부(25) 바닥면에 장착되는 장식커버(30)에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31) 내주연과 이와 대응되는 출수코크 하우징(27) 외주연 사이의 틈새를 씰링처리하기 위한 제2오링(3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출수코크 안착부(25)에 장착되고, 정수 배출구(37)를 통해 정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1솔레노이드밸브(33), 냉수 배출구(38)를 통해 냉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2솔레노이드밸브(34)가 장착되는 밸브서포터(36);
정수 배출구(37) 및 냉수 배출구(38)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출수코크 사출물(21)의 출수코크(20)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니쁠(nipple) 형태의 정수용 포트(40) 및 냉수용 포트(41);를 더 구비한다.
출수코크 안착부(25)에 장착되고, 정수 배출구(37)를 통해 정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1솔레노이드밸브(33), 냉수 배출구(38)를 통해 냉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2솔레노이드밸브(34) 및 온수 배출구(39)를 통해 온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3솔레노이드밸브(35)가 장착되는 밸브서포터(36);
정수 배출구(37), 냉수 배출구(38) 및 온수 배출구(39)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출수코크 사출물(21)의 출수코크(20)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니쁠 형태의 정수용 포트(40), 냉수용 포트(41) 및 온수용 포트(42);를 더 구비한다.
출수코크 사출물(21)은
온수용 포트(42) 또는 정수용 포트(40)를 통해 유입되는 온수 또는 정수를 중앙의 출수코크(20)쪽으로 배출시키는 배수통로(50) 내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통로(50)가 중앙의 출수코크(20)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출수코크 사출물(21)은
배수통로(50) 양단을 폐쇄시키도록 결합되는 마개(21a);
마개(21a)의 결합부 외주연에 장착되고, 배수통로(50) 및 마개(21a) 사이의 결합틈새를 씰링처리하기 위한 씰링용 오링(21b);을 구비한다.
출수코크 사출물(21)은
배수통로(50)로부터 마개(21a)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개(21a)의 원통형태의 결합부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51); 및
걸림턱(51)에 대응되게 배수통로(50)에 반경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결합홈(52);을 구비한다.
출수코크 사출물(21)의 정수용 포트(40), 냉수용 포트(41) 및 온수용 포트(42)를 밸브서포터(36)의 제1솔레노이드밸브(33)의 정수 배출구(37), 제2솔레노이드밸브(34)의 냉수 배출구(38) 및 제3솔레노이드밸브(35)의 온수 배출구(39)에 결합시 결합틈새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정수용 포트(40), 냉수용 포트(41) 및 온수용 포트(42) 외주연을 감싸 씰링처리하도록 정수배출구(37), 냉수배출구(38) 및 온수배출구(39) 내주연에 장착되는 씰링용 오링(미 도시됨);을 더 구비한다.
출수코크 사물물(21)의 온수용 포트(42)를 제3솔레노이드밸브(35)의 온수 배출구(39)에 결합시킬 경우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온수용 포트(42)에 결합되는 제3솔레노이드밸브(35)의 온수 배출구(39)는 니쁠 형태로 돌출형성되어 제1솔레노이드밸브(33)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34)의 정수 배출구(37) 및 냉수 배출구(38)와 식별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출수코크 안착부(25)의 결합공(26) 내주연에 대향되게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43);
걸림턱(43)과 대응되게 출수코크 하우징(27)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로킹턱(44)을 구비하여, 결합공(26)에 출수코크 하우징(27)을 결합후 임의각도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로킹턱(44)이 걸림턱(43)에 로킹되도록 결합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46은 전면패널(4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물받이 이고, 48은 압축기 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정수기의 케이스(15)를 이루는 복수개의 패널들을 체결부재(소위, 스크류를 말함)를 사용하지 않고 로킹수단(일 예로서, 후크와 후크가 착탈가능하게 상호 끼워맞춤되는 로킹홈으로 이루어져 있음)에 의해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즉, 바닥패널(10)의 좌,우측에 좌,우측 사이드패널(11,12)이 로킹수단에 의해 원터치방식으로 끼워맞춤되고, 바닥패널(10) 및 좌,우측 사이드패널(11,12)의 뒤쪽에 후면패널(13)이 로킹수단에 의해 원터치방식으로 끼워맞춤되며, 바닥패널(10) 및 좌,우측 사이드패널(11,12)의 앞쪽에 전면패널(45)이 로킹수단에 의해 원터치방식으로 끼워맞춤되며, 좌,우측 사이드패널(11,12), 전면패널(45) 및 후면패널(13)의 상단에 탑패널(14)이 로킹수단에 의해 원터치방식으로 끼워맞춤된다.
이때, 전술한 바닥패널(10), 좌,우측 사이드패널(11,12), 후면패널(13), 전면패널(45) 및 탑패널(14)을 원터치방식에 의해 상호 끼워맞추는 로킹수단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정수필터(17)를 사용자가 직접 필터실(19)의 커넥터(18)에 원터치방식에 의해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즉, 도면상, 좌측 사이드패널(11)에 형성된 도어(16)를 손잡이(16a)를 이용하여 개방시킨 후, 해당 커넥터(18)를 도어(16)쪽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정수필터(17)를 커넥터(18)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정수필터(17)를 커넥터(18)에 끼워넣을 경우, 정수필터(17)의 하우징캡에 돌출형성되는 로킹턱이 이와 대응되게 커넥터(18)에 형성된 로커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로킹시키는 푸쉬타입(push type)에 의해 원터치로 교체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필터(17)를 푸쉬(push) 타입에 의해 커넥터(18)에 원터치로 교체가능하게 결합하거나, 미 도시된 호스 및 니쁠(nipple)을 이용하여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식 조작부(22)를 조작하여 출수코크(20)로 온수를 반복적으로 배출시킬 경우 발생되는 수증기가 헤드(23)의 전면 PCB(24)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출수코크 사출물(21)의 출수코크(20) 외주연에 장착된 제1오링(29)에 의해 출수코크 하우징(27) 중앙에 형성된 출수노즐(28) 내주연과 이와 대응되는 출수코크(20) 외주연사이의 틈새를 씰링처리할 수 있다.
또한, 출수코크 하우징(27) 외주연에 장착된 제2오링(32)에 의해 출수코크 안착부(25)에 결합되는 장식커버(30)에 관통형성된 결합공(31) 내주연과 이와 대응되는 출수코크 하우징(27) 외주연사이의 틈새를 씰링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출수코크(20)로 온수 출수로 인해 발생되는 수증기가 제1오링(29) 또는 제2오링(32)에 의해 전자식 조작부(22)가 형성된 헤드(23) 내부의 전면PCB(24)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식 조작부(22)의 오작동으로 인한 정수기 불량 발생을 방지함에 따라 동업종분야에서 신뢰성을 갖게 된다.
도 5(a)에서와 같이, 정수용 포트(40) 및 냉수용 포트(41)가 형성된 출수코크 사출물(21)를 냉수 및 정수를 배출하는 냉 정수기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냉수와 정수를 음용하기 위해 냉 정수기를 사용할 경우, 출수코크 안착부(25)의 밸브서포터(36)에 정수 배출구(37)를 통해 정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1솔레노이드밸브(33)와, 냉수 배출구(38)를 통해 냉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2솔레노이드밸브(34)가 장착된다.
이때, 전자식 조작부(22)의 조작에 의해 제1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33,34)를 제어하여 정수 배출구(37) 및 냉수 배출구(38)를 제어하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출수코크 사출물(21)에 형성된 정수용 포트(40)와 냉수용 포트(41)를 정수 배출구(37)와 냉수 배출구(38)에 연통되도록 이음연결시킴에 따라 전자식 조작부(22)를 조작하여 출수코크(20)를 통해 정수와 냉수를 출수시켜 음용할 수 있다(이때, 출수코크 사출물(21)에 형성된 온수용 포트(42)의 배출구는 막혀 있음).
도 5(b)에서와 같이, 정수, 냉수, 또는 온수를 음용하기 위해 냉,온 정수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출수코크 안착부(25)의 밸브서포터(36)에 정수 배출구(37)를 통해 정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1솔레노이드밸브(33)와, 냉수 배출구(38)를 통해 냉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2솔레노이드밸브(34)와, 온수 배출구(39)를 통해 온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3솔레노이드밸브(35)(온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내장됨)가 장착된다.
따라서, 출수코크 사출물(21)에 형성된 정수용 포트(40)를 밸브서포터(36)에 형성된 정수 배출구(37)에 연통되도록 연결하고, 냉수용 포트(41)를 밸브서포터(36)에 형성된 냉수 배출구(38)에 연통되도록 연결하며, 온수용 포트(42)를 밸브서포터(36)에 형성된 온수 배출구(39)에 연통되도록 이음연결시킴에 따라, 전자식 조작부(22)를 조작하여 출수코크(20)를 통해 정수와 냉수, 또는 정수와 온수를 출수시켜 음용할 수 있다.
이때, 전자식 조작부(22)의 조작에 의해 제1, 제2 및 제3솔레노이드밸브(33,34,35)를 제어하여 정수 배출구(37), 냉수 배출구(38) 및 온수 배출구(39)를 제어하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출수코크 사출물(21)를 냉 정수기와, 냉,온 정수기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출수노즐(28)이 형성된 출수코크 하우징(27)을 출수코크 안착부(25)에 원터치방식으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즉, 출수코크 하우징(27)을 파지하여 출수코크 안착부(25)에 형성된 결합공(26)에 도면상, 상방향으로 결합시키되 출수코크 하우징(27)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임의각도로 회전시킬 경우, 출수코크 하우징(27) 외주연에 형성된 로킹턱(44)이 이와 대응되게 출수코크 안착부(25)의 결합공(26) 내주연에 형성된 걸림턱(43)에 로킹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바닥패널
12; 우측 사이드패널
14; 탑패널
16; 도어
18; 커넥터
20; 출수코크
22; 전자식 조작부
24; 전면 PCB
26; 결합공
28; 출수노즐
30; 장식커버
32; 제2오링
34; 제2솔레노이드밸브
36; 밸브서포터
38; 냉수 배출구
40; 정수용 포트
42; 온수용 포트
44; 로킹턱

Claims (11)

  1. 바닥패널과, 상기 바닥패널 좌,우측에 형성되는 좌,우측 사이드패널과, 상기 바닥패널 및 상기 좌,우측 사이드패널 뒤쪽에 형성되는 후면패널과, 상기 바닥패널 과 상기 좌,우측 사이드패널 앞쪽에 형성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좌,우측 사이드패널,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의 상단에 형성되는 탑패널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사이드패널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와, 임의각도내에서 회동되는 커넥터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니쁠 및 호스에 의해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필터실;
    상기 정수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를 냉동싸이클에 의해 냉각시키는 냉각모듈;
    상기 정수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정수와 상기 냉각모듈을 통과하는 냉수를 출수시키기 위한 출수코크가 형성되는 출수코크 사출물;
    상기 전면패널 상측에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한 터치시 상기 출수코크로 정수와 냉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식 조작부가 형성되는 헤드;
    상기 출수코크로 온수 배출로 인한 수증기가 상기 헤드의 전면 PCB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패널의 출수코크 안착부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끼워맞춤되는 출수코크 하우징 중앙에 형성되는 출수노즐 내주연과 이와 대응되는 상기 출수코크 외주연사이의 틈새를 씰링처리하기 위한 제1오링;
    상기 출수코크 안착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장식커버에 관통형성되는 결합공 내주연과 이와 대응되는 상기 출수코크 하우징 외주연사이의 틈새를 씰링처리하기 위한 제2오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
  2. 바닥패널과, 상기 바닥패널 좌,우측에 형성되는 좌,우측 사이드패널과, 상기 바닥패널 및 상기 좌,우측 사이드패널 뒤쪽에 형성되는 후면패널과, 상기 바닥패널 과 상기 좌,우측 사이드패널 앞쪽에 형성되는 전면패널과, 상기 좌,우측 사이드패널,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의 상단에 형성되는 탑패널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상기 좌측 또는 우측 사이드패널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와, 임의각도내에서 회동되는 커넥터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니쁠 및 호스에 의해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는 필터실;
    상기 정수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를 냉동싸이클에 의해 냉각시키는 냉각모듈;
    상기 정수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를 히터에 의해 가열시키는 온수모듈;
    상기 정수필터로부터 배출되는 정수와, 상기 냉각모듈을 통과하는 냉수와, 상기 온수모듈을 통과하는 온수를 출수시키기 위한 출수코크가 형성되는 출수코크 사출물;
    상기 전면패널 상측에 형성되고, 사용자에 의한 터치시 상기 출수코크로 정수와 냉수, 또는 온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식 조작부가 형성되는 헤드;
    상기 출수코크로 온수 배출로 인한 수증기가 상기 헤드의 전면 PCB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패널의 출수코크 안착부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끼워맞춤되는 출수코크 하우징 중앙에 형성되는 출수노즐 내주연과 이와 대응되는 상기 출수코크 외주연사이의 틈새를 씰링처리하기 위한 제1오링;
    상기 출수코크 안착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장식커버에 관통형성되는 결합공 내주연과 이와 대응되는 상기 출수코크 하우징 외주연사이의 틈새를 씰링처리하기 위한 제2오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코크 안착부에 장착되고, 정수 배출구를 통해 정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1솔레노이드밸브, 냉수 배출구를 통해 냉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2솔레노이드밸브가 장착되는 밸브서포터;
    상기 정수 배출구 및 냉수 배출구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출수코크 사출물의 출수코크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정수용 포트 및 냉수용 포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코크 안착부에 장착되고, 정수 배출구를 통해 정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1솔레노이드밸브, 냉수 배출구를 통해 냉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2솔레노이드밸브 및 온수 배출구를 통해 온수 출수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3솔레노이드밸브가 장착되는 밸브서포터;
    상기 정수 배출구, 냉수 배출구 및 온수 배출구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출수코크 사출물의 출수코크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정수용 포트, 냉수용 포트 및 온수용 포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코크 안착부의 결합공 내주연에 대향되게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
    상기 걸림턱과 대응되게 상기 출수코크 하우징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한쌍의 로킹턱을 구비하여, 상기 결합공에 상기 출수코크 하우징을 결합후 임의각도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로킹턱이 상기 걸림턱에 로킹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코크 사출물은
    상기 온수용 포트 또는 정수용 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온수 또는 정수를 중앙의 출수코크쪽으로 배출시키는 배수통로 내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수통로가 중앙의 출수코크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코크 사출물은
    상기 배수통로 양단을 폐쇄시키도록 결합되는 마개;
    상기 마개의 결합부 외주연에 장착되고, 상기 배수통로 및 마개 사이의 결합틈새를 씰링처리하기 위한 씰링용 오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코크 사출물은
    상기 배수통로로부터 상기 마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마개의 결합부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게 상기 배수통로에 반경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결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코크 사출물의 정수용 포트, 냉수용 포트 및 온수용 포트를 상기 밸브서포터의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의 정수 배출구,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냉수 배출구 및 제3솔레노이드밸브의 온수 배출구에 결합시 결합틈새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정수용 포트, 냉수용 포트 및 온수용 포트 외주연을 감싸 씰링처리하도록 상기 정수배출구, 냉수배출구 및 온수배출구 내주연에 장착되는 씰링용 오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코크 사물물의 온수용 포트를 상기 제3솔레노이드밸브의 온수 배출구에 결합시킬 경우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온수용 포트와 결합되는 상기 제3솔레노이드밸브의 온수 배출구는 니쁠 형태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의 정수 배출구 및 냉수 배출구와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
KR1020180100307A 2017-08-29 2018-08-27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 KR102628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09052 2017-08-29
KR1020170109052 2017-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758A KR20190024758A (ko) 2019-03-08
KR102628447B1 true KR102628447B1 (ko) 2024-01-25

Family

ID=65801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307A KR102628447B1 (ko) 2017-08-29 2018-08-27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44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308B1 (ko) * 2009-02-09 2012-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285438B1 (ko) * 2011-07-08 201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323891B1 (ko) * 2011-07-08 201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409902B1 (ko) * 2012-09-06 2014-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648613B1 (ko) * 2013-11-19 2016-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50067547A (ko) * 2013-12-10 2015-06-18 코웨이 주식회사 취수코크
KR20160037712A (ko) * 2014-09-29 2016-04-06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필터 분리용 가압부가 구비되는 정수기
KR20160149857A (ko) * 2015-06-19 201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18383B1 (ko) * 2017-01-18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170063454A (ko) * 2017-02-17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758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77962B (zh) 具有外置型净水过滤器箱体的冰箱
US20120132573A1 (en) Point-of-use water treatment system
US20150157967A1 (en) Water Filter Cartridge and Assembly
JP2002054201A (ja) 外部浄水器付き混合水栓
CN202074100U (zh) 手电控水龙头
CN103574097A (zh) 单杆混合水龙头
CN108138474A (zh) 含有胶囊形式的过滤器的水龙头
US6941968B2 (en) Fluid spigot and filter unit
KR102628447B1 (ko) 냉,온 정수기에 공용 사용이 가능한 출수부를 구비한 정수기
CN207654811U (zh) 一种水龙头净水器
KR200443372Y1 (ko) 냉·온 정수기
KR101413758B1 (ko)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
KR101809188B1 (ko) 취사용 물공급, 스팀배출, 자동세척 및 외기유입기능을 갖는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
ITTO20040148U1 (it) Erogatore di vapor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calde e/o schiumate
JP4063611B2 (ja) 浄水機能付水道用コンセント
KR20210107290A (ko) 무전원방식의 정수기
KR101656624B1 (ko) 정수기용 수도꼭지
CN109665641A (zh) 一种净水饮水机
JP4059804B2 (ja) カートリッジ型浄水器
KR102299072B1 (ko) 온수 살균운전을 구비한 음용수 디스펜서 및 그 운전방법
KR20130109825A (ko)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
KR200233788Y1 (ko) 정수기 겸용 냉온수기
KR20110071913A (ko) 정수기
JP4410355B2 (ja) 温度調整用セラミック製弁体を備えた湯水混合水栓
KR200264179Y1 (ko) 필터 교환이 용이한 급수저장통을 갖는 냉온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