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825A -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825A
KR20130109825A KR1020120031876A KR20120031876A KR20130109825A KR 20130109825 A KR20130109825 A KR 20130109825A KR 1020120031876 A KR1020120031876 A KR 1020120031876A KR 20120031876 A KR20120031876 A KR 20120031876A KR 20130109825 A KR20130109825 A KR 20130109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le
opening
purified water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726B1 (ko
Inventor
임헌식
Original Assignee
임헌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헌식 filed Critical 임헌식
Priority to KR1020120031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726B1/ko
Publication of KR20130109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20Pillar fountains or like apparatus for dispensing drinking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11/07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with flat sealing 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에 장착되어 수도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기로 공급하고, 정수기의 정수된 물을 수도꼭지로 공급하도록 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고, 급격한 수압 변동을 억제하여 정수기 필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수의 필터가 싱크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싱크대의 상부에 음료토출밸브 핸들이 장착된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료토출밸브 핸들은, 그 하측에 필터와 연결되는 급수호스가 연결된 상태에서 정수의 토출을 개폐하는 음료토출개폐부와, 그 음료토출개폐부에 연결되며 정수가 토출되는 음료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음료토출개폐부는, 카트리지가 결합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카트리지 장착부와, 상기 음료토출관이 결합되며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와 통하는 결합부로 구성된 바디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결합되며 밸브 핸들의 개폐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원수를 정수기로 공급하고, 정수기의 정수된 물을 토출시키는 작동이 밸브 핸들 조작에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또 개폐조작시 급격한 수압 변동을 완화시킬 수 있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WATER PURIFIER FAUCET}
본 발명은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에 장착되어 수도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기로 공급하고, 정수기의 정수된 물을 수도꼭지로 공급하도록 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고, 급격한 수압 변동을 억제하여 정수기 필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대상의 원수(수돗물)를 다수의 필터링단계를 통과하여 얻는 정수를 온수나 냉수(및/또는 상온수)의 상태로 공급하는 정수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러한 정수기에는 가정이나 음식업소의 싱크대에 설치되는 언더싱크형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언더싱크형 정수기는 다수의 필터가 싱크대의 하부에 배치되고, 싱크대의 상부 개수대 근처에 음료토출밸브 핸들이 장착된다.
따라서 다수의 필터를 통과하면서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라든지 중금속과 냄새, 미생물이나 화학약품이 제거되고, 이렇게 필터링을 거친 정수는 음료토출밸브 핸들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음용수토출장치는 소위 '포셋(Faucet)'으로 칭해지면서 언더싱크형 정수기가 싱크대 내부에 수납되는 점을 고려하여 사용 상의 편의를 위해 싱크대 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음료토출밸브 핸들은 그 하측에 필터와 연결되는 급수호스가 연결된 상태에서 정수의 토출을 개폐하는 음료토출개폐부와, 그 음료토출개폐부에 연결되며 정수가 토출되는 음료토출관을 포함한다.
대개의 음료토출관은 일정한 곡률로 만곡된 형상이고, 음료토출밸브 핸들은 내부에 개폐수단이 선택적으로 작동되면서 정수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특2001-0078992호에는 「밸브 핸들기능을 가진 정수기용 수전」이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은 원수의 수압이 직접 정수기 필터가 전해짐으로써 정수기 필터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원수를 정수기로 공급하고, 정수기의 정수된 물을 토출시키는 작동이 밸브 핸들 조작에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제공될 수 있으며, 또 밸브 핸들의 개폐시 원수의 공급 및 차단을 지연시킴으로써 필터에 가해지는 수압을 완화시킬 수 있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필터가 싱크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싱크대의 상부에 음료토출밸브 핸들이 장착된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료토출밸브 핸들은, 그 하측에 필터와 연결되는 급수호스가 연결된 상태에서 정수의 토출을 개폐하는 음료토출개폐부와, 그 음료토출개폐부에 연결되며 정수가 토출되는 음료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음료토출개폐부는, 카트리지가 결합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카트리지 장착부와, 상기 음료토출관이 결합되며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와 통하는 결합부로 구성된 바디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결합되며 밸브 핸들의 개폐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밸브 핸들의 개방작동에 의해 원수유입공이 개방되어 필터로 공급되고, 동시에 원수토출공이 개방되어 정수된 물이 음료토출관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저면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원수유입공과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타측에는 원수를 필터로 이송하는 원수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에서 정수된 정수가 유입되는 정수유입공이 형성된다.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정수유입공과 통하며 정수가 음료토출관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토출공이 측면 일측에 형성되고 일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노브가 통과되는 통공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되며 선단이 상기 통공을 통해 돌출되어 밸브 핸들이 결합되는 노브와; 상기 노브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 내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원수 유입 및 정수 유출을 제어하는 디스크와;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를 막도록 결합되며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원수유입공, 원수배출공, 정수유입공에 각기 대응되는 제1통공, 제2통공, 제3통공이 형성된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는, 패드의 제3통공에 대응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절개홈과; 제1 및 제2통공과 대응되는 장공이 형성되고, 절개홈의 일측에는 제3통공에 대응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디스크가 회전하여 제2통공 및 제3통공을 막아 폐쇄시킬때 상기 슬릿을 통해 정수가 소량으로 유출되도록 하여 필터 내의 급격한 압력변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수를 정수기로 공급하고, 정수기의 정수된 물을 토출시키는 작동이 밸브 핸들 조작에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또 개방될때는 조금 빨리 열리고, 폐쇄될때는 조금 늦게 닫히도록 함으로써 필터에 가해지는 급격한 수압 변동을 완화시킬 수 있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에서 '음료토출개폐부'에 대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에서 '음료토출개폐부'에 대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에서 '카트리지'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에서 '음료토출개폐부'의 작동을 예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에서 '음료토출개폐부'에 대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에서 '음료토출개폐부'에 대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에서 '카트리지'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에서 '음료토출개폐부'의 작동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T)는, 싱크대(500)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싱크대(500)의 내측에 형성된 정수필터와 연결되는 호스가 연결된 상태에서 정수의 토출을 개폐하는 음료토출개폐부(A)와, 상기 음료토출개폐부(A)에 연결되며 정수가 토출되는 음료토출관(100)을 포함한다.
음료토출개폐부(A)는, 밸브 핸들(300)이 결합되는 바디(1)와, 상기 바디(1)에 결합되는 카트리지(2)로 구성되며, 밸브 핸들(300)의 개방작동에 의해 원수유입공(H1)이 개방되어 정수 필터(400)로 공급되고, 동시에 정수유입공(H3)이 개방되어 정수된 물이 음료토출관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바디(1)는 카트리지(2)가 결합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카트리지 장착부(10)와, 상기 음료토출관(100)이 결합되며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10)와 통하는 결합부(20)로 구성된다.
카트리지 장착부(10)는,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공(H1)과, 상기 원수유입공(H1)과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타측에는 원수를 정수 필터(400)로 이송하는 원수배출공(H2)과, 정수 필터에서 정수된 정수가 유입되는 정수유입공(H3)이 저면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20)와 통하며 정수가 음료토출관(100)쪽으로 이송되도록 정수공(H4)이 형성된다.
카트리지(2)는 카트리지 장착부(10)에 결합되며 밸브 핸들(300)의 개폐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물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닫힘작동시 일정한 지연시간을 갖도록 하여 정수 필터에 대한 급격한 압력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2)는, 케이싱(21)과, 이 케이싱(21)에 삽입되는 노브(22)와, 노브(22)에 연결된 디스크(23)와, 디스크(23)에 밀착되는 패드(24)를 포함한다.
케이싱(21)은 정수유입공(H3)과 통하며 정수가 음료토출관(100)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토출공(250)이 측면 일측에 형성되고 일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노브(22)가 통과되는 통공이 형성된다.
노브(22)는 케이싱(21)의 내부에 삽입되며 선단이 상기 통공을 통해 돌출되어 밸브 핸들(300)이 결합된다.
디스크(23)는 노브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21) 내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원수 유입 및 정수 유출을 제어한다.
패드(24)는 케이싱(21)의 개구부를 막도록 결합되며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10)의 원수유입공(H1), 원수배출공(H2), 정수유입공(H3)에 각기 대응되는 제1통공(241), 제2통공(242), 제3통공(243)이 형성된다.
제1통공(241), 제2통공(242), 제3통공(243)은 120도 간격으로 등각으로 배열된다.
디스크(23)는, 밸브 핸들(300) 및 노브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원수 및 정수의 이송을 제어하는 것으로, 패드(24)의 제3통공(243)에 대응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절개홈(232)과; 제1 및 제2통공(241,242)과 대응되는 장공(234)이 형성되고, 절개홈(232)의 일측에는 제3통공(243)에 대응되는 슬릿(236)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절개홈(232)은 제3통공(243)에만 대응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고, 장공(234)은 제1 및 제2통공(241,242)을 동시에 개방시킬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밸브 핸들(300)의 개방작동을 살펴보면, 밸브 핸들(300)을 개방쪽으로 돌리면 노브(22)가 동반 회전되고, 노브(22)에 결합된 디스크(23)가 회전되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공(241) 및 제2통공(242)은 장공(234)에 일치되어 개방되고, 제3통공(243)은 절개홈(232)에 일치되어 개방상태가 된다(도 5의 (a)).
따라서 원수유입공(H1)을 통해 제1통공(241)으로 유입된 원수가 카트리지(2)의 내부 유로를 경유하여 제2통공(242)을 통해 원수배출공(H2)으로 유출되어 정수 필터로 공급된다.
정수 필터(400)를 통과한 정수는 정수유입공(H3)을 통해 상기 제3통공(243)을 통과하여 토출공(250)으로 유입된 후 음료토출관(100)으로 배출된다.
한편 밸브 핸들(300)의 잠금작동을 살펴보면, 밸브 핸들(300)을 잠금쪽으로 돌리면 노브(22)가 동반 회전되고, 노브(22)에 결합된 디스크(23)가 회전되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23)가 제2통공(242)을 막아 정수 필터로 나가는 원수를 차단하고, 슬릿(236)이 제3통공(243)에 일치됨으로써 정수 필터에서 나오는 정수가 미량으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23)가 제2통공(242) 및 제3통공(243)을 막아 폐쇄시킬때 상기 슬릿(236)을 통해 정수가 소량으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정수 필터 내의 급격한 압력변동을 방지할 수 있어 파손을 예방하는 지연효과를 갖게 된다.
이후 연속하여 도 5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23)가 더 회전하여 제3통공(243)을 막아 차단함으로써 정수 필터로 나가는 원수의 차단과 정수필터에서 제3통공(243)으로 유입되는 정수의 공급이 완전히 차단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바디 2 : 카트리지
10 : 카트리지 장착부 20 : 결합부
21 : 케이싱 23 : 디스크
24 : 패드 H1 : 원수유입공
H2 : 원수배출공 H3 : 정수유입공

Claims (4)

  1. 다수의 필터가 싱크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싱크대의 상부에 음료토출밸브 핸들이 장착된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료토출밸브 핸들은,
    하측에 필터와 연결되는 급수호스가 연결된 상태에서 정수의 토출을 개폐하는 음료토출개폐부와, 그 음료토출개폐부에 연결되며 정수가 토출되는 음료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음료토출개폐부는,
    카트리지가 결합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카트리지 장착부와, 상기 음료토출관이 결합되며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와 통하는 결합부로 구성된 바디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결합되며 밸브 핸들의 개폐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밸브 핸들의 개방작동에 의해 원수유입공이 개방되어 필터로 공급되고, 동시에 원수토출공이 개방되어 정수된 물이 음료토출관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공과, 상기 원수유입공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원수를 정수 필터로 이송하는 원수배출공과, 상기 정수 필터에서 정수된 정수가 유입되는 정수유입공이 저면에 각기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와 통하여 정수가 음료토출관쪽으로 이송되도록 정수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정수유입공과 통하며 정수가 음료토출관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토출공이 측면 일측에 형성되고 일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노브가 통과되는 통공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되며 선단이 상기 통공을 통해 돌출되어 밸브 핸들이 결합되는 노브와;
    상기 노브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 내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원수 유입 및 정수 유출을 제어하는 디스크와;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를 막도록 결합되며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원수유입공, 원수배출공, 정수유입공에 각기 대응되는 제1통공, 제2통공, 제3통공이 형성된 패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상기 패드의 제3통공에 대응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절개홈과;
    상기 제1 및 제2통공과 대응되도록 타측에 형성된 장공과;
    상기 절개홈의 일측에 상기 제3통공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크가 회전하여 상기 제2통공 및 제3통공을 막아 폐쇄시킬때 상기 슬릿을 통해 정수가 소량으로 유출되도록 하여 필터 내의 급격한 압력변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
KR1020120031876A 2012-03-28 2012-03-28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 KR101325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876A KR101325726B1 (ko) 2012-03-28 2012-03-28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876A KR101325726B1 (ko) 2012-03-28 2012-03-28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825A true KR20130109825A (ko) 2013-10-08
KR101325726B1 KR101325726B1 (ko) 2013-11-08

Family

ID=49631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876A KR101325726B1 (ko) 2012-03-28 2012-03-28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7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3246A (zh) * 2017-09-30 2018-03-06 上海邦芯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可选择性净化水的智能水龙头
CN109537683A (zh) * 2018-12-29 2019-03-29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具有伸缩功能的洗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8068A (ja) * 1993-09-28 1995-04-11 Mitsubishi Rayon Co Ltd 多機能複合水栓
JPH0798069A (ja) * 1993-09-28 1995-04-11 Mitsubishi Rayon Co Ltd 多機能複合水栓
KR200365870Y1 (ko) 2004-07-21 2004-10-22 이중호 정수기 누수 방지 장치
KR101040707B1 (ko) * 2008-10-17 2011-06-13 이중호 정수기 안전토수꼭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3246A (zh) * 2017-09-30 2018-03-06 上海邦芯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可选择性净化水的智能水龙头
CN109537683A (zh) * 2018-12-29 2019-03-29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具有伸缩功能的洗手装置
CN109537683B (zh) * 2018-12-29 2023-02-24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具有伸缩功能的洗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726B1 (ko) 201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4160B2 (ja) 水処理システム用の一体型流量センサを備えたバイパス弁
JP5689234B2 (ja) キャンドルに一体型の混合バルブシステムを備え、ヘッドに調整装置を備えた浄水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システム
KR100804302B1 (ko)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결합구조
JP4648971B2 (ja) 浄水器
JPH0941444A (ja) 浄水器付混合水栓
US6219860B1 (en) Faucet assembly having overlapping spouts for releasing filtered and unfiltered water therefrom
JP2012506015A5 (ko)
KR101325726B1 (ko)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
WO2009025413A1 (en) Water purifier filter having a filter washing function
KR102177297B1 (ko) 필터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170050576A (ko) 유로전환밸브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US20220024781A1 (en) Filter device for filtering drinking water
WO2012140706A1 (ja) 浄水器用切換コック
KR101339338B1 (ko) 수전금구용 카트리지
JP3747165B2 (ja) シリンダ式弁装置
KR100589656B1 (ko) 정수장치
KR200420880Y1 (ko) 세척수관을 가지는 정수기
KR102391180B1 (ko) 정수 장치용 역류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JP3774379B2 (ja) ホース収納式水栓の水切構造
JP2007309418A (ja) 止水栓
KR102332063B1 (ko) 회전결합식 정수기 필터조립체
JP2002356891A (ja) 緊急遮断弁付きの水栓及び水栓用のカートリッジ
KR20220091693A (ko) 정수가 배출되는 냉·온수 수전
JP3266498B2 (ja) 浄水器付混合水栓
KR200353971Y1 (ko) 정수기용 제어밸브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