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707B1 - 정수기 안전토수꼭지 - Google Patents

정수기 안전토수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707B1
KR101040707B1 KR1020080102178A KR20080102178A KR101040707B1 KR 101040707 B1 KR101040707 B1 KR 101040707B1 KR 1020080102178 A KR1020080102178 A KR 1020080102178A KR 20080102178 A KR20080102178 A KR 20080102178A KR 101040707 B1 KR101040707 B1 KR 101040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aw water
valve body
raw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2950A (ko
Inventor
안수정
이중호
Original Assignee
이중호
안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호, 안수정 filed Critical 이중호
Priority to KR1020080102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707B1/ko
Publication of KR20100042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에 설치되어 있는 정수기에서 누수가 발생하여 물이 주방 바닥에 넘쳐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제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적게 소요되어 경제적이며, 싱크대 등에 설치가 용이한 정수기 안전토수꼭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수가 토수되는 토수파이프(53); 하부에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포트(51b), 상기 원수가 유출되는 원수유출포트(51c) 및 정수기(10)를 통하여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유입포트(51d)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수유입포트(51b)와 원수유출포트(51c)사이에 연통되는 원수우회통로(51a)와, 상기 정수유입포트(51d)와 연통되어 있고 상기 토수파이프(53)가 설치되는 정수통로(51e)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밸브본체(51); 상기 밸브본체(51)의 원수우회통로(51a)에 설치되어 원수공급을 개폐하는 원수개폐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조작 레바(52a)가 구성되어 있는 개폐밸브(52); 상기 밸브본체(51)의 원수유입포트(51b)와 수도파이프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원수유입호스(31); 상기 밸브본체(51)의 원수유출포트(51c)와 정수기(10)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원수유출호스(32), 그리고 정수기(10)와 밸브본체(51)의 정수유입포트(51d)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정수유입호스(33)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본체(51)가 합성수지 사출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외면에 수나사부(51f)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본체(51)의 외부에, 내면 상부에 밸브본체(51)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내면 하부에도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상기 개폐밸브(52)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 외부바디(56)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바디(56)의 하부에 나사 결합하여 하부를 폐쇄하며 중앙에 하향으로 설치봉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에 상하방향으로 호스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설치봉의 외면에는 설치너트(55)가 나사 결합하는 수사나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폐쇄부(54)가 구성되어 있다.
정수기, 밸브본체, 합성수지, 사출물, 플라스틱, 다이캐스팅

Description

정수기 안전토수꼭지{Safe faucet being used with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주방에서 사용하는 정수기의 안전토수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에 설치되어 있는 정수기에서 누수가 발생하여 물이 주방 바닥에 넘쳐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제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적게 소요되어 경제적이며, 싱크대 등에 설치가 용이한 정수기 안전토수꼭지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직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수돗물을 직접 식수로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정수기를 이용하여 정수된 물을 식수로 사용하고 있는데, 정수기는 원수를 공급받아 각종 필터를 통과시킨 후 배출시키거나, 또한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냉각 또는 가온하여 공급한다.
정수기에는 상온수 만을 공급하는 것과, 상온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것과,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것과, 상온수, 냉수, 온수를 공급하는 것 등 여러 종류의 정수기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정수기들은 주방에 설치될 때에 수돗물(원수)이 직접 정수기에 들어오도록 하고 사용자가 정수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정수기 자체의 토수꼭지나, 별도의 토수꼭지를 이용하여 정수를 받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수기 설치구조는 원수의 수압이 항상 직접 정수기내에 가해지고 있는 상태에 있고, 정수기의 내부에는 각종 필터, 온수통 등 많은 구성품들이 있고 이들은 각각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서 이음매 등이 많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정수기의 어느 한 이음매 또는 강도가 약한 부분에서 틈새 및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 틈새 또는 크랙을 통하여 물이 흘러나와 주방바닥에 흥건하게 고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집안에 아무도 없을 때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주방뿐만 아니라 온 집안의 바닥이 물바다가 되고 만다.
이와 같이 주방 또는 온 집안의 바닥에 물이 고이게 되는 경우, 바닥의 장판이나 마루가 못쓰게 되고 또한 벽지까지 물이 스며 올라가 벽지도 다시 도배를 하여야 하는 경우까지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입힌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정수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수기 안전토수꼭지를 개발하여 이를 실용신안등록 제365870호로 등록을 받은 바 있다.
상기 선 등록의 정수기 안전토수꼭지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포트(21), 상기 원수가 유출되는 원수유출포트(22) 및 정수기(10)를 통하여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유입포트(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수유입포트(21)와 원수유출포트(22)사이에 원수우회통로(26)와, 정수유입포트(23)와 토수파이프(29)에 각각 연통되어 있는 정수통로(28)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수우회통로(26)상에 정수공급을 개폐하는 정수개폐부(25)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정수개폐부(25)를 작동시키는 정수밸브(24)를 포함하는 개폐밸브(20); 상기 개폐밸브(20)의 원수유입포트(21)와 수도파이프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원수유 입호스(31); 상기 개폐밸브(20)의 원수유출포트(22)와 정수기(10)의 원수파이프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원수유출호스(32); 그리고 정수기(10)의 정수 유출 파이프와 개폐밸브(20)의 정수유입포트(23)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정수유입호스(33)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안전토수꼭지는 개폐밸브(20)의 정수밸브(24)를 닫아 정수개폐부(25)가 본체내의 원수우회통로(26)를 차단한 상태에서는 수돗물(원수)의 수압이 정수개폐부(25)에 의하여 차단된 상태에 있으므로 정수기(10)에는 수돗물(원수)의 수압이 작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정수기(10) 내부의 원수통로 및 정수통로는 정수유입호스(33), 그리고 개폐밸브(20)의 정수통로(28) 및 토수파이프(29)를 통하여 대기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정수기내의 압력은 대기압 정도이다.
이와 같이 정수기(10)내의 원수통로, 정수통로 등 각종 물통로에는 높은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그 내구성이 향상되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배관 및 이음새 부근에서 크랙이나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만약 정수기(10)내에서 크랙이나 틈새가 발생한다 하여도 정수기(1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수기내에 아무런 수압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기 내에는 소량의 물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그 크랙이나 틈새에서 누출되는 물의 양은 극소량에 불과하다.
또한 크랙이나 틈새가 발생한 상태에서 정수기를 사용한다 하여도 사용중에는 정수기에 높은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그 누수량은 소량에 불과하고 또한 사 용자가 그 누수 사실을 즉시 인지하게 되므로 즉시 비상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선 등록의 안전토수꼭지는 누수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하지만,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폐밸브(20)가 하나의 일체형으로 되어 있고 구리와 같은 값 비싼 금속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 본체에 원수유입포트(21), 원수유출포트(22) 및 정수유입포트(23), 그리고 정수통로(28) 등 원수 및 정수가 흐르는 통로를 가공하여야 하며 또한 상기 각 포트에 각각 호스 핏팅(hose fitting) 또는 토수파이프(29)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홈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견고한 금속이므로 나사홈을 형성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개폐밸브(20)를 싱크대 등에 설치할 때에 개폐밸브(20)의 원수유입포트(21), 원수유출포트(22) 및 정수유입포트(23)에 대응하는 싱크대의 정확한 위치에 3개의 설치공을 뚫어야 하고, 상기 3개의 포트에 연결되는 3개의 설치관을 상기 설치공에 집어넣고 싱크대의 하부에서 각각 너트로 고정하는 작업을 하여야 하며, 그 후 3개의 설치관에 호스를 연결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와 같이 상기 안전토수꼭지는 원재료 값이 비싸고 성형 및 가공하는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어 경제적이지 못하며, 설치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료 값이 저렴하고 제조가 간단하며 제조비용이 적게 소요되어 경제적이며, 싱크대 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정수기 안전토수꼭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수기 안전토수꼭지는 정수가 토수되는 토수파이프; 하부에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포트, 상기 원수가 유출되는 원수유출포트 및 정수기를 통하여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유입포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수유입포트와 원수유출포트사이에 연통되어 있는 원수우회통로와, 상기 정수유입포트와 연통되어 있고 상기 토수파이프가 설치되는 정수통로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밸브본체; 상기 밸브본체의 원수우회통로에 설치되며 원수공급을 개폐하는 원수개폐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조작 레바가 구성되어 있는 개폐밸브; 상기 밸브본체의 원수유입포트와 수도파이프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원수유입호스; 상기 밸브본체의 원수유출포트와 정수기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원수유출호스, 그리고 정수기와 밸브본체의 정수유입포트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정수유입호스를 포함하는 정수기 안전토출꼭지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가 합성수지 사출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본체의 외부에, 내면 상부에 상기 밸브본체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내면 하부에도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상기 개폐밸브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 외부바디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바디의 하부에 나사 결합하여 하부를 폐쇄하며 중앙에 하향으로 설치봉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에 상하방향으로 호스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 며 상기 설치봉의 외면에는 설치너트가 나사 결합하는 수사나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폐쇄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수기 안전토수꼭지는 또한 상기 중공형 외부바디가 알루미늄으로 다이캐스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수기 안전토수꼭지는 각각 원자재 값이 저렴하고 성형 및 가공이 용이한 플라스틱 사출물로 밸브본체를 형성하고 또한 플라스틱 다이캐스팅으로 형성된 외부바디를 사용하므로 제조가 간단하며 제조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경제적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부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으로 구성되어 외관적으로 미려하며, 또한 싱크대 등에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안전토수꼭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안전토수꼭지의 단면도이며,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토수꼭지의 구성요소인 개폐밸브의 정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토수꼭지의 구성요소인 개폐밸브의 저면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가 토수되는 토수파이프(53), 밸브본체(51), 개폐밸브(52), 원수유입호스(31), 원수유출호스(32), 정수유입호스(33)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본체(51)는 하부에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포트(51b), 상기 원수가 유출되는 원수유출포트(51c) 및 정수기(10)를 통하여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유입포트(51d)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수유입포트(51b)와 원수유출포트(51c)사이에 연통되어 있는 원수우회통로(51a)와, 상기 정수유입포트(51d)와 연통되어 있고 상기 토수파이프(53)가 설치되는 정수통로(51e)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개폐밸브(52)는 상기 밸브본체(51)의 원수우회통로(51a)에 설치되어 원수공급을 개폐하는 원수개폐부(미도시)가 구성되어 있으며 조작 레바(52a)가 구성되어 있다. 원수개폐부는 조작레바(52)의 조작에 의하여 원수가 흐르를 통로를 개폐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외부로 노출되는 개폐밸브(52)의 일부는 알루미늄으로 다이캐스팅하여 제조한 커버를 씌우고 또한 조작레바(52a)도 알루미늄으로 다이캐스팅하여 형성하는 것이 외관적으로 미려하여 바람직하다.
그리고 원수유입호스(31)는 상기 밸브본체(51)의 원수유입포트(51b)와 수도파이프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원수유출호스(32)는 상기 밸브본체(51)의 원수유출포트(51c)와 정수기(10)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정수유입호스(33)는 정수기(10)와 밸브본체(51)의 정수유입포트(51d)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각 호스사이에는 각각 플라스틱으로 된 원수유입핏팅(31a), 원수유출핏팅(32a), 정수유입핏팅(33)이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각각 원수유입포트(51b), 원수유출포트(51c), 정수유입포트(51d)에 형성된 나사홈에 나사결합된다.
밸브본체(51)의 정수통로(51e)에는 토수파이프(53)가 결합되는데, 정수통 로(51e)에 삽입되는 토수파이프(53)의 외부면에 O 링을 구성하여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토수파이프(53)의 결합력을 부여한다. 따라서 토수파이프(53)는 강한 힘으로 빼지 않는 밸브본체(51)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좌우로는 용이하게 회전한다.
밸브본체(51)는 값이 저렴한 합성수지 사출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외면에 수나사부(51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본체(51)의 외부에는 중공형 외부바디(56)가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외부바디(56)는 내면 상부에 밸브본체(51)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내면 하부에도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상기 개폐밸브(52)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바디(56)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알루미늄을 다이캐스팅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다른 금속이나 강화 합성수지로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을 하는 경우에 표면이 매끄러울 뿐만 아니라 각종 색상을 부여할 수 있어서 외관이 매우 미려하게 된다.
상기 외부바디(56)의 하부에는 하부폐쇄부(54)가 나사 결합되어 있는데, 하부폐쇄부(54)는 외부바디(56)의 하부를 폐쇄하며 중앙에 하향으로 설치봉(5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에 상하방향으로 전술한 3개의 호스가 통과할 수 있는 호스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봉(54a)의 외면에는 설치너트(55)가 나사 결합하는 수사나부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폐쇄부(54)도 알루미늄으로 다이캐스팅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정수기 안전토수꼭지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싱크대에 설치봉(54a)이 관통할 수 있는 정도의 하나의 설치공을 뚫고 싱크대 상부에서 각종 호스들과 설치봉(54)을 상기 설치공에 집어넣고 싱크대 하부에서 설치너트(55)를 설치봉(54)의 외면에 형성된 수나사를 체결하여 본 발명의 안전토수꼭지를 설치한다. 그리고 원수유입호스(31)는 수도와 연결하고, 원수유출호스(32)와 정수유입호스(33)는 각각 정수기(10)의 유입부와 유출부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토수꼭지는 싱크대에 하나의 설치공을 뚫고 싱크대 하부에서 하나의 설치너트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싱크대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호스들이 미리 밸브본체(5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싱크대 하부에서 수도관 및 정수기에 연결하는 작업만 하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된다.
또한 안전토수꼭지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싱크대 상부에서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으로 형성된 외부바디(56)와 개폐밸브(52) 일부, 그리고 토수파이프(53)만 보이므로 외관적으로 매우 보기가 좋다.
그리고 밸브본체(51)는 합성수지 사출물로 되어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원수우회통로(51a), 원수유입포트(51b), 원수유출포트(51c), 정수유입포트(51d), 정수통로(51e)의 가공 및 나사홈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 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정수기 안전토수꼭지의 사시도,
도 2는 도1의 정수기 안전토수꼭지의 저면도,
도 3은 도1의 정수기 안전토수꼭지의 일부절개 단면도,
도 4는 종래 정수기 안전토수꼭지를 이용한 정수기 토수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안전토수꼭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안전토수꼭지의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토수꼭지의 구성요소인 개폐밸브의 정면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토수꼭지의 구성요소인 개폐밸브의 저면도이다.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정수기
20: 개폐밸브 21: 원수유입포트
22: 원수유출포트 23: 정수유입포트
24: 정수밸브 25: 정수개폐부
26: 원수우회통로 28: 정수통로
29: 토수파이프
31: 원수유입호스 32: 원수유출호스
33: 정수유입호스
51: 밸브본체 51a: 원수우회통로
51b: 원수유입포트 51c: 원수유출포트
51d: 정수유입포트 51e: 정수통로
51f: 수나사 52: 개폐밸브
52a: 조작 레바 53: 토수파이프
54: 하부폐쇄부 54a: 설치봉
55: 설치너트 56: 외부바디

Claims (2)

  1. 정수가 토수되는 토수파이프(53); 하부에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포트(51b), 상기 원수가 유출되는 원수유출포트(51c) 및 정수기(10)를 통하여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유입포트(51d)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수유입포트(51b)와 원수유출포트(51c)사이에 연통되는 원수우회통로(51a)와, 상기 정수유입포트(51d)와 연통되어 있고 상기 토수파이프(53)가 설치되는 정수통로(51e)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밸브본체(51); 상기 밸브본체(51)의 원수우회통로(51a)에 설치되어 원수공급을 개폐하는 원수개폐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조작 레바(52a)가 구성되어 있는 개폐밸브(52); 상기 밸브본체(51)의 원수유입포트(51b)와 수도파이프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원수유입호스(31); 상기 밸브본체(51)의 원수유출포트(51c)와 정수기(10)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원수유출호스(32), 그리고 정수기(10)와 밸브본체(51)의 정수유입포트(51d)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정수유입호스(33)를 포함하는 정수기 안전토출꼭지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51)가 합성수지 사출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외면에 수나사부(51f)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본체(51)의 외부에, 내면 상부에 밸브본체(51)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내면 하부에도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상기 개폐밸브(52)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형 외부바디(56)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바디(56)의 하부에 나사 결합하여 하부를 폐쇄하며 중앙에 하향으로 설치봉(5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에 상하방향으로 호스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설치봉(54a)의 외면에는 설치너트(55)가 나사 결합하는 수사나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폐쇄부(54)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안전토수꼭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외부바디(56)는 알루미늄으로 다이캐스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안전토수꼭지.
KR1020080102178A 2008-10-17 2008-10-17 정수기 안전토수꼭지 KR101040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178A KR101040707B1 (ko) 2008-10-17 2008-10-17 정수기 안전토수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178A KR101040707B1 (ko) 2008-10-17 2008-10-17 정수기 안전토수꼭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950A KR20100042950A (ko) 2010-04-27
KR101040707B1 true KR101040707B1 (ko) 2011-06-13

Family

ID=4221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178A KR101040707B1 (ko) 2008-10-17 2008-10-17 정수기 안전토수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726B1 (ko) * 2012-03-28 2013-11-08 임헌식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
KR102205880B1 (ko) * 2019-02-08 2021-01-21 주식회사 교원 분리된 출수유닛을 가지는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10078147A (zh) * 2019-05-31 2019-08-02 东莞市倍益清环保科技有限公司 快速切换装置及净水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870A (ko) * 2002-02-01 2003-08-0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엑슬렛 수행방법
JP2004278761A (ja) 2003-03-18 2004-10-07 Yanmar Sangyo Kk 複合単水栓
KR200365870Y1 (ko) 2004-07-21 2004-10-22 이중호 정수기 누수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870A (ko) * 2002-02-01 2003-08-0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엑슬렛 수행방법
JP2004278761A (ja) 2003-03-18 2004-10-07 Yanmar Sangyo Kk 複合単水栓
KR200365870Y1 (ko) 2004-07-21 2004-10-22 이중호 정수기 누수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950A (ko) 201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3098B2 (en) Flush cartridg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1040707B1 (ko) 정수기 안전토수꼭지
US7828005B2 (en) Freezeless hydrant
CN102705541A (zh) 一种自动手动两用一体化节水龙头
CN202612804U (zh) 一种自动手动两用一体化节水龙头
US10982417B2 (en) Modular two-part sillcock
JP4916196B2 (ja) 水栓柱
KR200420699Y1 (ko) 밸브를 겸하는 배관 분기용 연결구
KR200365870Y1 (ko) 정수기 누수 방지 장치
GB2467768A (en) Heated towel rail mounting arrangement
KR20130001215U (ko) 호스 커넥터
MXPA03009524A (es) Unidad de tuberia de grifo con topes integrados en linea.
CN217153096U (zh) 一种双把手龙头的开关阀及双把手龙头
JPS6237029Y2 (ko)
CN209610970U (zh) 一种三挡带喷枪浴缸龙头
KR200457279Y1 (ko) 멀티 수도전
TWI395898B (zh) Integral molding of the faucet module
JPH0756374Y2 (ja) 吸気弁付屋内止水栓
CN208982736U (zh) 一种组装式水龙头
CN210716085U (zh) 塑料混水龙头连接件
KR101339338B1 (ko) 수전금구용 카트리지
CN108386555B (zh) 一种地埋式抗冻防虹吸快速取水阀
JPH0234257Y2 (ko)
KR101112616B1 (ko) 혼합수전의 구조
KR200247613Y1 (ko) 언더싱크형 정수기의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