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870Y1 - 정수기 누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 누수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870Y1
KR200365870Y1 KR20-2004-0020810U KR20040020810U KR200365870Y1 KR 200365870 Y1 KR200365870 Y1 KR 200365870Y1 KR 20040020810 U KR20040020810 U KR 20040020810U KR 200365870 Y1 KR200365870 Y1 KR 200365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aw water
raw
purified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8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호
Original Assignee
이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호 filed Critical 이중호
Priority to KR20-2004-0020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8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8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포트(21), 상기 원수가 유출되는 원수유출포트(22) 및 정수기(10)를 통하여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유입포트(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수유입포트(21)와 원수유출포트(22)사이에 원수우회통로(26)와, 정수유입포트(23)와 토출파이프(29)에 각각 연통되어 있는 정수통로(28)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수우회통로(26)상에 정수공급을 개폐하는 정수개폐부(25)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정수개폐부(25)를 작동시키는 정수밸브(24)를 포함하는 개폐밸브(20); 상기 개폐밸브(20)의 원수유입포트(21)와 수도파이프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원수유입호스(31); 상기 개폐밸브(20)의 원수유출포트(22)와 정수기(10)의 원수파이프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원수유출호스(32); 그리고 정수기(10)의 정수 유출 파이프와 개폐밸브(20)의 정수유입포트(23)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정수유입호스(33)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정수기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개폐밸브(20)에 의하여 정수기와 원수(수돗물)를 차단하고 있으므로 정수기에서 누수가 발생하여 주방 또는 온 집안의 바닥에 물이 흥건하게 괴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정수기 누수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the water leakage in water purifier}
본 고안은 주방에서 사용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에 설치되어 있는 정수기에서 누수가 발생하여 물이 주방 바닥에 넘쳐나는 것을 방지하는 정수기 누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이나 직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수돗물을 직접 식수로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정수기를 이용하여 정수된 물을 식수로 사용하고 있는데, 정수기는 원수를 공급받아 각종 필터를 통과시킨 후 배출시키거나, 또한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냉각 또는 가온하여 공급한다.
정수기에는 상온수 만을 공급하는 것과, 상온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것과,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것과, 상온수, 냉수, 온수를 공급하는 것 등 여러 종류의 정수기가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정수기들은 주방에 설치될 때에 수돗물(원수)이 직접 정수기에 들어오도록 하고 사용자가 정수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정수기 자체의 콕크나, 별도의 콕크를 이용하여 정수를 받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 설치구조는 원수의 수압이 항상 직접 정수기내에 가해지고 있는 상태에 있고, 정수기의 내부에는 각종 필터, 온수통 등 많은 구성품들이 있고 이들은 각각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서 이음매 등이 많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정수기의 어느 한 이음매 또는 강도가 약한 부분에서 틈새 및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 틈새 또는 크랙을 통하여 물이 흘러나와 주방바닥에 흥건하게 고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집안에 아무도 없을 때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주방뿐만 아니라 온 집안의 바닥이 물바다가 되고 만다.
이와 같이 주방 또는 온 집안의 바닥에 물이 고이게 되는 경우, 바닥의 장판이나 마루가 못쓰게 되고 또한 벽지까지 물이 스며 올라가 벽지도 다시 도배를 하여야 하는 경우까지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입힌다.
정수기 제조회사에서는 정수기에서 이러한 틈새 및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나 조금만 사용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누수사고가 종종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수기에서 누수가 발생하여 주방 또는 온집안의 바닥에 물이 흥건하게 괴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정수기 누수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누수방지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정수기 개폐밸브의 사시도,
도 2는 도1의 개폐밸브의 저면도,
도 3은 도1의 개폐밸브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누수방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정수기
20: 개폐밸브 21: 원수유입포트
22: 원수유출포트 23: 정수유입포트
24: 정수밸브 25: 정수개폐부
26: 원수우회통로 28: 정수통로
29: 토출파이프
31: 원수유입호스 32: 원수유출호스
33: 정수유입호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정수기 누수 방지장치는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포트, 상기 원수가 유출되는 원수유출포트 및 정수기를 통하여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유입포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수유입포트와 원수유출포트사이에 원수우회통로와, 정수유입포트와 토출파이프에 각각 연통되어 있는 정수통로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수우회통로상에 정수공급을 개폐하는 정수개폐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정수개폐부를 작동시키는 정수밸브를 포함하는 개폐밸브; 상기 개폐밸브의 원수유입포트와 수도파이프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원수유입호스; 상기 개폐밸브의 원수유출포트와 정수기의 원수파이프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원수유출호스, 그리고 정수기의 정수 유출 파이프와 개폐밸브의 정수유입포트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정수유입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누수방지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정수기 개폐밸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4의 개폐밸브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도 4의 개폐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누수방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정수기 누수방지 장치는 개폐밸브(20), 원수유입호스(31), 원수유출호스(32), 그리고 정수유입호스(33)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밸브(20)는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포트(21), 상기 원수가 유출되는 원수유출포트(22) 및 정수기(10)를 통하여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유입포트(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수유입포트(21)와 원수유출포트(22)사이에 원수우회통로(26)와, 정수유입포트(23)와 토출파이프(29)에 각각 연통되어 있는 정수통로(28)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수우회통로(26)상에 정수공급을 개폐하는 정수개폐부(25)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정수개폐부(25)를 작동시키는 정수밸브(24)를 포함한다.
상기 정수개폐부(25)와 상기 정수밸브(24)는 통상의 수도꼭지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개폐밸브(20)는 싱크대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며 정수기(10)는 싱크대 아래에 설치되어 각종 호스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정수기(10)는 싱크대 위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원수유입호스(31)는 상기 개폐밸브(20)의 원수유입포트(21)와 수도파이프(미도시)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원수유출호스(32)는 상기 개폐밸브(20)의 원수유출포트(22)와 정수기(10)의 원수파이프(미도시)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정수유입호스(33)는 정수기(10)의 정수 유출 파이프(미도시)와 개폐밸브(20)의 정수유입포트(23)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정수기 누수 방지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개폐밸브(20)의 정수밸브(24)를 닫아 정수개폐부(25)가 본체내의 원수우회통로(26)를 차단한 상태에서는 수돗물(원수)의 수압이 정수개폐부(25)에 의하여 차단된 상태에 있으므로 정수기(10)에는 수돗물(원수)의 수압이 작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정수기(10) 내부의 원수통로 및 정수통로는 정수유입호스(33), 그리고 개폐밸브(20)의 정수통로(28) 및 토출파이프(29)를 통하여 대기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정수기내의 압력은 대기압 정도이다.
이와 같이 정수기(10)내의 원수통로, 정수통로 등 각종 물통로에는 높은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그 내구성이 향상되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배관 및 이음새 부근에서 크랙이나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만약 정수기(10)내에서 크랙이나 틈새가 발생한다 하여도 정수기(1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수기내에 아무런 수압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 있고 정수기 내에는 소량의 물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그 크랙이나 틈새에서 누출되는 물의 양은 극소량에 불과하다.
또한 크랙이나 틈새가 발생한 상태에서 정수기를 사용한다 하여도 사용중에는 정수기에 높은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그 누수량은 소량에 불과하고 또한 사용자가 그 누수 사실을 즉시 인지하게 되므로 즉시 비상조치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주방 바닥 또는 집안 바닥 전체가 물바다가 되는 현상은 결코 일어나지 않는다.
전술한 정수밸브(24)를 열어 정수개폐부(25)가 원수우회통로(26)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수돗물(원수)이 원수우회통로(26)를 거쳐서 원수유출호스(32)로 유출되며, 정수기(10)로 들어가서 정수된다. 정수는 정수유입호스(33)를 통하여 개폐밸브(20)의 정수통로(28)로 들어오며 토출파이프(29)를 통하여 토수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정수기 누수 방지장치는 정수기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개폐밸브에 의하여 정수기와 원수(수돗물)를 차단하고 있으므로 정수기에서 누수가 발생하여 주방 또는 온집안의 바닥에 물이 흥건하게 괴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포트(21), 상기 원수가 유출되는 원수유출포트(22) 및 정수기(10)를 통하여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정수유입포트(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수유입포트(21)와 원수유출포트(22)사이에 원수우회통로(26)와, 정수유입포트(23)와 토출파이프(29)에 각각 연통되어 있는 정수통로(28)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수우회통로(26)상에 정수공급을 개폐하는 정수개폐부(25)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정수개폐부(25)를 작동시키는 정수밸브(24)를 포함하는 개폐밸브(20);
    상기 개폐밸브(20)의 원수유입포트(21)와 수도파이프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원수유입호스;
    상기 개폐밸브(20)의 원수유출포트(22)와 정수기(10)의 원수파이프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원수유출호스(32); 그리고
    정수기(10)의 정수 유출 파이프와 개폐밸브(20)의 정수유입포트(23)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정수유입호스(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누수 방지장치.
KR20-2004-0020810U 2004-07-21 2004-07-21 정수기 누수 방지 장치 KR200365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810U KR200365870Y1 (ko) 2004-07-21 2004-07-21 정수기 누수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810U KR200365870Y1 (ko) 2004-07-21 2004-07-21 정수기 누수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870Y1 true KR200365870Y1 (ko) 2004-10-22

Family

ID=49439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810U KR200365870Y1 (ko) 2004-07-21 2004-07-21 정수기 누수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8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707B1 (ko) 2008-10-17 2011-06-13 이중호 정수기 안전토수꼭지
KR101325726B1 (ko) 2012-03-28 2013-11-08 임헌식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707B1 (ko) 2008-10-17 2011-06-13 이중호 정수기 안전토수꼭지
KR101325726B1 (ko) 2012-03-28 2013-11-08 임헌식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3098B2 (en) Flush cartridg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200365870Y1 (ko) 정수기 누수 방지 장치
JP2013139888A (ja) 貯湯式給湯機
JPH04213634A (ja) 給水栓装置
US5606987A (en) Energy conserving hot water faucet dribble bypass method and apparatus
KR101040707B1 (ko) 정수기 안전토수꼭지
AU2019226301A1 (en) Breaker box assembly
JP2866874B2 (ja) 異常検知制御装置付き減圧式逆流防止装置
US20110248202A1 (en) Non-dripping sliding diverter valve
JP4916196B2 (ja) 水栓柱
JP2001207490A (ja) 給水装置
JP4825147B2 (ja) 給湯装置
JP3351267B2 (ja) 湯水排出弁
JPH0860712A (ja) 分岐管ヘッダー
JP3014633U (ja) ストレーナ内蔵ボール弁
KR100634996B1 (ko) 정수기 온수통 과압방지장치
KR100358732B1 (ko) 토출 수량조절이 가능한 수전금구
KR200142277Y1 (ko) 역삼투압 정수기
KR200353971Y1 (ko) 정수기용 제어밸브 개폐구조
JPH0526371A (ja) 水栓装置
JP2002054198A (ja) 湯水混合水栓器具
KR200210349Y1 (ko) 토출 수량 조절이 가능한 수전금구
JP2006194019A (ja) 水抜き装置
JP2002121784A (ja) 減圧弁装置
JPH012813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