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188B1 - 취사용 물공급, 스팀배출, 자동세척 및 외기유입기능을 갖는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 - Google Patents

취사용 물공급, 스팀배출, 자동세척 및 외기유입기능을 갖는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188B1
KR101809188B1 KR1020160170563A KR20160170563A KR101809188B1 KR 101809188 B1 KR101809188 B1 KR 101809188B1 KR 1020160170563 A KR1020160170563 A KR 1020160170563A KR 20160170563 A KR20160170563 A KR 20160170563A KR 101809188 B1 KR101809188 B1 KR 101809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valve
rice cooker
water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길
Original Assignee
(주)포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빅스 filed Critical (주)포빅스
Priority to KR1020160170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취사용 물공급, 스팀배출, 자동세척 및 외기유입기능을 갖는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뚜껑장치는 전자동 밥솥장치의 밥솥을 개폐시키는 뚜껑장치로서, 뚜껑본체; 및, 상기 뚜껑본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밥솥 내부에 취사용 물을 공급하며, 취사 중 밥솥 내부의 과압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며, 취사완료 후 밥솥 내부의 잔압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뚜껑본체의 개방시 외기를 밥솥내부에 공급하며,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형성된 스팀통로를 세척하는 멀티웨이 밸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취사용 물공급, 스팀배출, 자동세척 및 외기유입기능을 갖는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 {COVER APPARATUS FOR AUTOMATIC RICE COOKER HAVING WATER SUPPLY FUNCTION FOR RICE COOKING, STEAM DISCHARGE FUNCTION, AUTOMATIC CLEANING FUNCTION AND OUTSIDE AIR INFLOW FUNCTION}
본 발명은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본체에 하나의 멀티웨이 밸브모듈이 설치되어, 이 하나의 멀티웨이밸브모듈에 의해 취사용 물공급, 취사중 과압스팀배출, 취사완료후 잔압스팀배출, 스팀통로 자동세척, 뚜껑개방시 외기유입이 수행될 수 있는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에 관한 것이다.
쌀을 주식으로 하는 동양문화권의 사람들은 밥의 보존시간이 길지 못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밥 맛이 변하기 때문에 매일 하루에 한번은 꼭 밥을 지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고 있으며, 이러한 밥을 짓는 행위에는 반드시 필요로 하는 양의 쌀을 미리 수작업으로 세척하고 밥솥에 투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쌀의 세척과 취반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이 이미 제안된 바 있는데,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0085호가 개시된 바 있다.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자동 전기밥솥으로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를 구비하여 상기 모터 구동에 따른 상기 회전 날개와 쌀의 마찰을 통해 쌀을 세미한 후, 밥솥의 내통에 공급하는 세미부; 상기 세미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쌀을 보관하며 상기 세미부로 쌀을 공급하는 쌀 보관부; 상기 밥솥에 연결되어 상기 밥솥의 내통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조; 상기 밥솥 내부에 열을 공급하여 쌀을 취사하거나 보온하는 히터부; 및 사용자의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세미부 내부에 설치된 회전날개를 회전시켜 쌀을 세미한 후, 상기 밥솥의 내통에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급수조를 통해 상기 밥솥의 내통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히터부를 통해 쌀을 취사 또는 보온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동 전기밥솥은 쌀을 수작업으로 세척하는 육체적인 행위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취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구조의 복잡성 및 높은 제조원가에 대한 부담과 더불어 자동취반시스템의 성능에 해결되지 못한 몇가지 문제점들이 남아 있어 실제로 상품화되고 있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밥솥을 가열하고, 밥솥을 헹구는 일련의 취사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취사장치(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5776호)와, 밥솥을 안치하거나 들어내는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무인 자동 취사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7117호)와, 곡류의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자동 취사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1356호)와, 쌀통을 밥솥아래에 두고 밥솥이 싱크대높이에 위치하게 하며, 몸체에 냉온의 정수장치가 부착되고 또 싱크대에 빌트인이 가능한 규격을 가지는 자동 취사기(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0459호)와, 입력되는 값에 따라 취사되는 쌀 또는 콩의 양 및 세척수 양이 정해지고, 이에 따라 쌀의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취사를 위한 맞춤물이 자동으로 공급되어 취사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세미 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8726호) 등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들에 따르면, 밥솥 사용 후, 솥 등의 세정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위생적으로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세정을 위해서는 밥솥을 별도로 분리하여 세정이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밥솥과 주변구조들 간의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밥솥은 뚜껑에 밥의 제조나 완료시 발생하는 스팀을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밥솥 뚜껑은 스팀통로를 세척하는 것이 대단히 어려워 장기간 사용시 스팀통로에 이물질이 끼어 부패하고 이에 따라 세균이 번식하게 됨으로써, 밥솥뚜껑의 위생상태가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뚜껑에 형성된 스팀배출 구성들은 부품수가 많고 복잡한 형태로 이루어져 뚜껑장치의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쌀의 공급, 세미, 밥의 제조 및 밥솥의 세척까지 모두 자동으로 구동할 수 있는 전자동 밥솥에 대해 특허출원하여 등록받았다(등록특허 10-1679167호).
본 출원인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을 도출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008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57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711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135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04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872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도록 뚜껑본체에 설치된 하나의 멀티웨이 밸브모듈을 통해 취사용 물공급, 취사중/취사후 스팀배출, 스팀통로 세척, 뚜껑개방시 외기유입기능이 모두 수행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취사용 물공급, 스팀배출, 자동세척 및 외기유입기능을 갖는 뚜껑장치는 전자동 밥솥장치의 밥솥을 개폐시키는 뚜껑장치로서, 뚜껑본체; 및, 상기 뚜껑본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밥솥 내부에 취사용 물을 공급하며, 취사 중 밥솥 내부의 과압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며, 취사완료 후 밥솥 내부의 잔압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뚜껑본체의 개방시 외기를 밥솥내부에 공급하며,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형성된 스팀통로를 세척하는 멀티웨이 밸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멀티웨이 밸브모듈은, 상기 뚜껑본체에 설치된 밸브몸체; 수전과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수전으로부터 물의 공급시 개방되고 역류를 제한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한 제1유로;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되고, 일단은 외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제1유로와 연결되며, 외기가 유입되는 제2유로;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되고, 일단은 제1유로 및 제2유로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몸체의 하면에 노출되어 상기 밥솥의 내부와 연통되며, 물 또는 외기를 상기 밥솥으로 배출하거나, 상기 밥솥내의 잔압스팀이 유입되는 제3유로; 상기 밥솥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밥솥 내의 과압스팀이 유입되는 제4유로;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되어, 과압스팀 또는 잔압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5유로; 상기 제4유로 및 상기 제5유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된 밸브챔버; 상기 제1유로,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제3유로를 상기 밸브챔버와 연결시키도록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된 제6유로; 상기 밸브챔버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4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과압스팀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제4유로를 개폐시키는 압력반응식 밸브; 상기 제2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2유로의 유체흐름을 개폐시키는 제1 전동식 밸브; 상기 제6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6유로의 유체흐름을 개폐시키는 제2전동식 밸브;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동식 밸브 및 상기 제2전동식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취사용 물을 공급시, 상기 수전으로부터 공급된 물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1전동식 밸브 및 상기 제2전동식 밸브는 모두 차단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3유로가 연결되어 상기 수전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밥솥 내에 배출되어 상기 밥솥에 물이 공급되며, 취사 중 과압스팀배출시, 상기 밥솥 내의 과압스팀이 상기 제4유로에 유입되어, 상기 압력반응식 밸브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제4유로, 상기 밸브챔버 및 상기 제5유로가 연결되어, 상기 과압스팀이 외부에 배출되며, 취사 완료 후 잔압스팀배출시, 상기 제2전동식 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제3유로, 상기 제6유로, 상기 밸브챔버, 상기 제5유로가 연결되어, 상기 잔압스팀이 상기 제6유로를 통해 외부에 배출되며, 스팀통로 세척시, 상기 수전으로부터 공급된 세척용 물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2전동식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3유로가 연결되어 상기 세척용 물이 상기 제3유로를 통해 상기 밥솥 내에 배출되면서 세척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유로, 상기 제6유로, 상기 밸브챔버, 상기 제5유로가 연결되어, 상기 세척용 물이 상기 제5유로를 통해 외부에 배출되면서 세척이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챔버에 유입된 상기 세척용 물에 의해 상기 압력반응식 밸브가 부유하게 되어 개방됨으로써 상기 세척용 물이 상기 제4유로를 통해 상기 밥솥 내에 배출되면서 세척이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본체의 개방시, 상기 제1전동식밸브 및 상기 제2전동식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제3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제5유로, 상기 밸브챔버, 상기 제6유로, 상기 제3유로가 연결되어, 외기가 상기 밥솥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는 뚜껑본체에 설치된 하나의 멀티웨이 밸브모듈을 통해 취사용 물공급, 취사중 과압스팀배출, 취사완료 후 잔압스팀제거, 스팀통로 세척, 뚜껑개방시 외기유입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장치크기를 콤팩트화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뚜껑장치는 스팀통로의 세척이 가능하여, 장기간 사용에 따라 뚜껑에 세균이 번식되는 등 뚜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계속해서 위생적으로 뚜껑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본 발명의 뚜껑장치의 평면도이고, (b)는 전자동 밥솥의 밥솥과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웨이밸브모듈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멀티웨이밸브모듈의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를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를 따라 나타내 단면도이고,
도 6은 압력반응식 밸브의 일부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여기서, (a)는 단면도이고, (b)는 평면도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뚜껑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7은 본 발명의 뚜껑장치에서 취사용 물 공급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뚜껑장치에서 취사중 과압스팀배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뚜껑장치에서 취사완료 후, 잔압스팀배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뚜껑장치에서 스팀통로의 세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뚜껑장치에서 뚜껑개방시 외기유입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정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뚜껑장치(10)는 뚜껑본체(20)와 멀티웨어밸브모듈(100)을 포함한다.
뚜껑본체(20)는 전자동밥솥장치의 밥솥(1)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구성으로서, 뚜껑본체(20)의 중앙에는 멀티웨어 밸브모듈(100)이 설치된다.
뚜껑본체(20)는 통상의 압력밥솥장치와 같이 록킹조작노브 등 통상의 압력밥솥장치의 뚜껑에 설치된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밥솥(1)을 개방시키는 뚜껑본체(20)에 멀티웨어 밸브모듈(100)이 설치되며, 이 멀티웨어 밸브모듈(100)의 구성 및 동작에 있어 특징이 있으므로, 뚜껑본체(20)는 멀티웨어 밸브모듈(100) 뿐 아니라, 여타의 밥솥장치의 뚜껑에 설치된 구성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멀티웨어밸브모듈(100)은 밸브몸체(101), 이 밸브몸체(101) 내에 형성된 제1유로 내지 제6유로(102,104,106,108,110,114a,114b) 및 밸브챔버(112), 그리고, 상기 밸브챔버(112)에 설치되는 압력반응식밸브(140), 제1 및 제2전동식밸브(130,15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밸브몸체(101)는 사각박스형태로 형성되며, 뚜껑본체(20)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된다.
도 1 및 도 3과 같이, 밸브몸체(101)는 일측면에는 병렬로 나란히 3개의 포트가 돌출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밸브몸체(101)의 일측면에는 제1유로(102)와 연결되도록 물입력포트(102a)가 돌출형성된다. 이 물입력포트(102a)는 수전 등의 물공급수단과 호스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밸브몸체(101)의 일측면에는 물 입력포트(102a)의 양측에 외기유입포트(104a) 및 스팀배출포트(110a)가 돌출형성된다. 외기유입포트(104a)는 제2유로(104)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스팀배출포트(110a)는 제5유로(11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밸브몸체(101)의 하면 일부는 뚜껑본체(2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이 관통부분에는 제3유로(106)과 연결되며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유출입포트(106a)가 형성된다. 이 유출입포트(106a)는 밥솥(1)에 취사용물을 배출하고, 밥솥(1)으로부터 잔압스팀이 유입되며, 세정수가 배출되고, 외기가 유입되는 포트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뚜껑본체(20)를 관통한 밸브몸체(101)의 한면 일부에는 제4유로(108)의 하단공(108a)이 형성되어 취사 중 밥솥(1)으로부터 과압스팀이 유입된다.
제1유로 내지 제6유로(102,104,106,108,110,114a,114b) 및 밸브챔버(112)는 밸브몸체(101) 내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유로(102)는 밸브몸체(101) 내에 형성되며, 물입력포트(102a)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2유로(104)는 일단은 외기유입포트(104a)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1유로(102)의 내측단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2유로(104)는 직각되게 꺽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꺽여 있는 부분에는 제1밸브안착홈(107)이 형성된다.
제3유로(106)는 일단은 제1유로(102)의 내측단과 제2유로(104)의 내측단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유출입포트(106a)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밸브몸체(101)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제4유로(108)는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3유로(106)와 이격된 위치에 밸브몸체(101)의 하면으로부터 밸브몸체(101)의 내에서 상방향으로 소정길이 형성된다. 이때, 제4유로(108)의 하단공(108a)는 뚜껑본체(20)의 하부에 노출되어 밥솥(1)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밥솥(1) 내의 과압스팀이 유입된다.
제5유로(110) 밸브몸체(101) 내에 형성되되, 스팀배출포트(110a)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밥솥(1) 내부의 과압스팀 또는 잔압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이다.
제4유로(108)와 제5유로(110)로 사이에는 밸브챔버(112)가 형성된다. 밸브챔버(112)는 밸브몸체(101) 내에 형성되며, 제4유로(108)와 제5유로(110)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밸브몸체(101)의 상면 일측에는 개폐도어(113)가 구비되며, 이 개폐도어(113)의 개방시, 밸브챔버(112)가 외부에 노출되어 유지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밸브챔버(112) 내부에는 도 4와 같이, 하부로부터 제4유로(108)가 소정길이 상부로 관형상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6유로(114a,114b)는 꺽인 형태로 이루어져 제1유로(102), 제2유로(104), 제3유로(106)의 내측단과 밸브챔버(112)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제6유로(114a,114b)는 두 부분이 꺽인 형태로 구성되며, 꺽인 부분에는 제2밸브안착홈(115)이 형성된다. 제6유로의 일단부(114a)는 제1유로(102), 제2유로(104), 제3유로(106)의 내측단과 제2밸브안착홈(115)을 연결하고, 제6유로의 타단부(114b)는 제2밸브안착홈(115)과 밸브챔버(112)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제1유로(102) 상에 체크밸브(120)가 설치되어, 제1유로(102)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일방향으로만 유동하도록 제한한다. 체크밸브(120)는 스프링방식으로서, 스프링(122)에 의해 체크밸브(120)가 제1유로(102)의 일측으로 탄성가압되어, 제1유로(102)를 통해 물이 공급될 경우, 물의 유동흐름에 의해서 체크밸브(120)가 개방되고, 역류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유로(102) 내에는 슬라이딩관(124)이 설치되고, 이 슬라이딩관(124)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가동바(126)가 설치되며, 이 가동바(126)의 일단에 체크밸브(120)가 설치되며, 체크밸브(120)와 슬라이딩관(124)을 연결하도록 스프링(122)이 구성되어, 체크밸브(120)가 제1유로(102)에 물이 유입되는 방향과 반대로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1유로(102)에 물이 유입되면, 체크밸브(120)는 물의 유동흐름이 스프링(122)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후퇴하여 체크밸브(120)가 개방되고, 물의 유입이 정지되면, 스프링(122)의 탄성력에 의해 체크밸브(120)가 원위치로 복귀하여 체크밸브가 유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제1전동식밸브(130)는 제2유로(104) 상에 설치되어, 제2유로(104)의 유체흐름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전동식밸브(130)는 제1다이아프램(131)과 제1솔레노이드(132)를 포함한다.
제1다이아프램(131)은 제1밸브안착홈(107)에 설치되어, 제2유로(104)의 일측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제1솔레노이드(132)는 밸브몸체(101)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제1솔레노이드(132)의 신축로드(132a)에 제1다이아프램(131)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솔레노이드(132)의 신축동작에 따라, 제1다이아프램(131)이 전진 또는 후퇴하여, 제2유로(104)의 유체흐름을 개폐할 수 있다.
제2전동식밸브(150)는 제6유로(114a,114b) 상에 설치되어, 제6유로(114a,114b)의 유체흐름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전동식밸브(150)는 제2다이아프램(151)과 제2솔레노이드(152)를 포함한다.
제2다이아프램(151)은 제2밸브안착홈(115)에 설치되어, 제6유로의 일단부(114a) 타단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제2솔레노이드(152)는 밸브몸체(101) 타측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제2솔레노이드(152)의 신축로드(152a)에 제2다이아프램(151)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2솔레노이드(152)의 신축동작에 따라, 제2다이아프램(151)이 전진 또는 후퇴하여, 제6유로(114a,114b)의 유체흐름을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솔레노이드(132)와 제2솔레노이드(152)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압력반응식밸브(140)는 밸브챔버(112) 내에 설치되어, 제4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과압스팀의 압력이 소정압력이상이 된 경우, 제4유로(108)를 개방시키고, 과압스팀이 소정압력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제4유로(108)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압력반응식밸브(140)는 무게추(141)와, 이 무게추(141)에 설치되며, 제4유로(108)의 상단을 개폐하는 셔터(145)로 구성된다.
무게추(141)는 도 6과 같이, 소정중량을 갖도록 구성되며, 하부 중심에 하부통공(142)이 형성되고, 상단중앙에는 셔터부재(145)가 끼움결합되는 끼움공(143)이 형성되고, 이 끼움공(143)의 주변에는 원주상으로 다수의 상부통공(144)이 형성되고, 이 다수의 상부통공(144)은 하부통공(142)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셔터(145)는 하부는 역원추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원통형태로 구성되며, 셔터(145)의 상부는 무게추(141)의 끼움공(143)에 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압력반응식밸브(140)는 개폐도어(113)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밸브챔버(112)에 삽입하여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와 같이, 셔터(145)의 하부가 제4유로(108)의 상단부에 올려져, 제4유로(108)를 차단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도 4와 같이 셔터(145)가 밸브챔버(112)에 설치된 경우, 무게추(141)는 하부통공(142)은 제4유로(108)의 상측부 주변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밸브챔버(112)의 상단과 무게추(141)의 상단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가 되어, 무게추(141)가 소정간격 상부로 이동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제4유로(108)를 통해 과압스팀이 유입되면, 과압스팀의 압력값이 무게추(141)를 포함한 셔터(145)의 무게를 들어올릴 수 있는 압력이면 압력반응식밸브(140)가 상승하여 셔터(145)가 제4유로(108)를 개방시키고, 압력값이 그 이하인 경우, 압력반응식밸브(140)는 상승하지 않고 제자리에 위치하여 셔터(145)가 제4유로(108)를 차단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취사용 물공급, 스팀배출, 자동세척 및 외기유입기능을 갖는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10)의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10)는 취사용 물 공급, 취사 중 과압스팀배출, 취사완료 후 잔압스팀배출, 스팀통로의 자동세척, 뚜껑개방시 외기유입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모든 기능은 하나의 멀티웨어 밸브모듈(10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전자동 밥솥의 취사를 위해, 뚜껑장치(10)가 밥솥(1)에 취사용 물을 공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뚜껑장치(10)의 취사용 물공급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1전동식밸브(130) 및 제2전동식밸브(150)는 모두 차단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수전으로부터 취사용 물이 물유입포트(102a)를 통해 유입되면, 체크밸브(120)가 물의 유동흐름에 의해 개방되어, 제1유로(102)와 제3유로(106)가 연결됨으로써, 수전으로부터 공급된 취사용 물이 유출입포트(106a)를 통해 배출되어 밥솥(1)에 취사용 물이 공급되게 된다.
또한, 전자동 밥솥이 취사동작을 수행 중에 있을 경우, 뚜껑장치(10)가 밥솥(1) 내의 과압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동작한다.
도 8을 참조하여, 뚜껑장치(10)의 과압스팀배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1전동식밸브(130) 및 제2전동식밸브(150)는 모두 차단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밥솥(1) 내의 과압스팀이 제4유로(108)로 유입되고, 이 과압스팀의 압력에 의해 압력반응식밸브(140)가 상승하여 제4유로(108)가 개방되게 된다. 이렇게 제4유로(108)가 개방되면, 제4유로(108), 밸브챔버(112), 제5유로(110)가 연결됨으로써, 과압스팀이 제4유로(108)를 거쳐 밸브챔버(112)에 유입된 후, 무게추(141)의 통공들(141,144)들을 거치고, 제5유로(110) 및 스팀배출포트(11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전자동 밥솥이 취사동작을 완료한 후에, 뚜껑장치(10)는 밥솥(1) 내에 남아 있는 잔압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동작한다.
도 9를 참조하여, 뚜껑장치(10)의 잔압스팀배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1전동식밸브(130)는 차단되고, 제2전동식밸브(150)는 개방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제3유로(106), 제6유로(114a,114b), 밸브챔버(112) 및 제5유로(110)가 연결되어, 밥솥(1) 내의 잔압스팀이 유출입포트(106a)를 통해 유입된 후, 제3유로(106), 제6유로(114a,114b), 밸브챔버(112) 및 제5유로(110)를 순차적으로 거쳐 스팀배출포트(11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뚜껑장치(10)는 스팀이 이동하는 스팀통로 즉, 밸브몸체(101) 내에 형성된 각 유로 및 밸브챔버를 세척용 물로 자동세척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뚜껑장치(10)의 스팀통로 세척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1전동식밸브(130)는 차단되고, 제2전동식밸브(150)는 개방된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수전으로부터 세척용 물이 물유입포트(102a)를 통해 유입되면, 체크밸브(120)가 물의 유동흐름에 의해 개방되면서, 제2유로(104)를 제외한 모든 유로(102,106,108,110,114a,114b) 및 밸브챔버(112)가 연결되어, 세척용 물이 유출입포트(106a) 및 제4유로(108)를 통해 밥솥(1)으로 배출되고, 스팀배출포트(11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유로(102)와 제3유로(106)가 연결되어 세척용 물이 유출입포트(108a)를 통해 밥솥(1)으로 배출되면서 스팀통로의 세척이 이루어지고, 제1유로(102), 제6유로(114a,114b), 밸브챔버(112), 제5유로(110)가 연결되어 세척용물이 스팀배출포트(110a)를 통해 배출되면서 스팀통로의 세척이 이루어지며, 아울러, 세척용 물이 밸브챔버(112)에 유입되어 밸브챔버(112)에 세척용물이 채워지게 되면, 압력반응식밸브(140)가 위로 떠올라 부유하게 되면서, 압력반응식밸브(140)가 제4유로(108)를 개방하고, 이에 따라, 세척용 물이 제4유로(108)를 통해 밥솥(1) 내에 배출되면서 스팀통로의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뚜껑장치(10)는 뚜껑본체(20)가 밥솥(1)에 대해 개방될 때, 외기를 밥솥(1)으로 공급함으로써, 뚜껑본체(20)의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뚜껑장치(10)의 스팀통로 세척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1전동식밸브(130)는 개방되고, 제2전동식밸브(150)는 개방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제2유로(104)와, 제3유로(106)가 연결되고, 제5유로(110), 밸브챔버(112), 제6유로(114a,114b), 제3유로(106)가 연결되어, 스팀배출포트(110a) 및 외기유입포트(104a)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유출입포트(106a)를 통해 밥솥(1) 내에 공급되게 된다.
뚜껑본체(20)의 개방 전, 밥솥(1) 내부압력이 밥솥(1) 외부에 비해 고압상태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뚜껑본체(20)를 밥솥(1)에 대해 개방시키면 압력차에 의해 잘 열리지 않을 수 있으나, 스팀배출포트(110a) 및 외기유입포트(104a)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제3유로(106)의 유출입포트(106a)를 통해 밥솥(1) 내에 외기를 공급해 줌으로써, 힘이 덜들어가면서 용이하게 뚜껑본체(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발명의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10)는 뚜껑본체(20)에 멀티웨이 밸브모듈(100)이 설치되며, 이 멀티웨이 밸브모듈(100)을 통해 취사용 물공급, 취사중 과압스팀밸브, 취사완료 후 잔압스팀제거, 스팀통로의 자동세척, 뚜껑개방시 외기유입의 다기능을 수행 할 수 있으며, 하나의 멀티웨이 밸브모듈(100)을 통해 다기능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뚜껑장치(10)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콤팩트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뚜껑장치
20...뚜껑본체
100...멀티웨이 밸브모듈
101...밸브몸체
102...제1유로
104...제2유로
106...제3유로
108...제4유로
110...제5유로
112...밸브챔버
114a,114b...제유로
120....체크밸브
130...제1전동식밸브
131...제1다이아프램
132...제1솔레노이드
140...압력반응식밸브
141...무게추
145...셔터
150...제2전동식밸브
151...제2다이아프램
152...제2솔레노이드

Claims (4)

  1. 전자동 밥솥장치의 밥솥을 개폐시키는 뚜껑장치로서,
    뚜껑본체; 및,
    상기 뚜껑본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밥솥 내부에 취사용 물을 공급하며, 취사 중 밥솥 내부의 과압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며, 취사완료 후 밥솥 내부의 잔압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뚜껑본체의 개방시 외기를 밥솥내부에 공급하며,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형성된 스팀통로를 세척하는 멀티웨이 밸브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웨이 밸브모듈은,
    상기 뚜껑본체에 설치된 밸브몸체;
    수전과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수전으로부터 물의 공급시 개방되고 역류를 제한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한 제1유로;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되고, 일단은 외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제1유로와 연결되며, 외기가 유입되는 제2유로;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되고, 일단은 제1유로 및 제2유로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몸체의 하면에 노출되어 상기 밥솥의 내부와 연통되며, 물 또는 외기를 상기 밥솥으로 배출하거나, 상기 밥솥내의 잔압스팀이 유입되는 제3유로;
    상기 밥솥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밥솥 내의 과압스팀이 유입되는 제4유로;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되어, 과압스팀 또는 잔압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5유로;
    상기 제4유로 및 상기 제5유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된 밸브챔버;
    상기 제1유로,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제3유로를 상기 밸브챔버와 연결시키도록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된 제6유로;
    상기 밸브챔버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4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과압스팀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제4유로를 개폐시키는 압력반응식 밸브;
    상기 제2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2유로의 유체흐름을 개폐시키는 제1 전동식 밸브;
    상기 제6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6유로의 유체흐름을 개폐시키는 제2전동식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동식 밸브 및 상기 제2전동식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취사용 물을 공급시, 상기 수전으로부터 공급된 물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1전동식 밸브 및 상기 제2전동식 밸브는 모두 차단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3유로가 연결되어 상기 수전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밥솥 내에 배출되어 상기 밥솥에 물이 공급되며,
    취사 중 과압스팀배출시,
    상기 밥솥 내의 과압스팀이 상기 제4유로에 유입되어, 상기 압력반응식 밸브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제4유로, 상기 밸브챔버 및 상기 제5유로가 연결되어, 상기 과압스팀이 외부에 배출되며,
    취사 완료 후 잔압스팀배출시,
    상기 제2전동식 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제3유로, 상기 제6유로, 상기 밸브챔버, 상기 제5유로가 연결되어, 상기 잔압스팀이 상기 제6유로를 통해 외부에 배출되며,
    스팀통로 세척시,
    상기 수전으로부터 공급된 세척용 물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2전동식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3유로가 연결되어 상기 세척용 물이 상기 제3유로를 통해 상기 밥솥 내에 배출되면서 세척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유로, 상기 제6유로, 상기 밸브챔버, 상기 제5유로가 연결되어, 상기 세척용 물이 상기 제5유로를 통해 외부에 배출되면서 세척이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챔버에 유입된 상기 세척용 물에 의해 상기 압력반응식 밸브가 부유하게 되어 개방됨으로써 상기 세척용 물이 상기 제4유로를 통해 상기 밥솥 내에 배출되면서 세척이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본체의 개방시,
    상기 제1전동식밸브 및 상기 제2전동식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제2유로와 상기 제3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제5유로, 상기 밸브챔버, 상기 제6유로, 상기 제3유로가 연결되어, 외기가 상기 밥솥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








KR1020160170563A 2016-12-14 2016-12-14 취사용 물공급, 스팀배출, 자동세척 및 외기유입기능을 갖는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 KR101809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563A KR101809188B1 (ko) 2016-12-14 2016-12-14 취사용 물공급, 스팀배출, 자동세척 및 외기유입기능을 갖는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563A KR101809188B1 (ko) 2016-12-14 2016-12-14 취사용 물공급, 스팀배출, 자동세척 및 외기유입기능을 갖는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188B1 true KR101809188B1 (ko) 2018-01-18

Family

ID=6102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563A KR101809188B1 (ko) 2016-12-14 2016-12-14 취사용 물공급, 스팀배출, 자동세척 및 외기유입기능을 갖는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1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2362A (zh) * 2018-03-29 2018-07-13 兰兴欣 一种芡汁供给装置及使用该装置的烹饪设备
KR20230037886A (ko) 2021-09-10 2023-03-17 쿠쿠전자 주식회사 밥솥용 이중 체크 밸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120Y1 (ko) * 1997-08-29 1999-08-16 하용수 전기밥솥
KR200376335Y1 (ko) * 2004-11-17 2005-03-11 (주)씨엔에스 전기압력밥솥용 솔레노이드밸브
KR200435683Y1 (ko) 2006-09-22 2007-02-08 김용율 자동취사기의 압력밥솥
US20140373729A1 (en) 2012-02-07 2014-12-25 Cha Sik Kim Electric rice cook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120Y1 (ko) * 1997-08-29 1999-08-16 하용수 전기밥솥
KR200376335Y1 (ko) * 2004-11-17 2005-03-11 (주)씨엔에스 전기압력밥솥용 솔레노이드밸브
KR200435683Y1 (ko) 2006-09-22 2007-02-08 김용율 자동취사기의 압력밥솥
US20140373729A1 (en) 2012-02-07 2014-12-25 Cha Sik Kim Electric rice cook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2362A (zh) * 2018-03-29 2018-07-13 兰兴欣 一种芡汁供给装置及使用该装置的烹饪设备
CN108272362B (zh) * 2018-03-29 2024-01-12 兰兴欣 一种芡汁供给装置及使用该装置的烹饪设备
KR20230037886A (ko) 2021-09-10 2023-03-17 쿠쿠전자 주식회사 밥솥용 이중 체크 밸브
US11885422B2 (en) 2021-09-10 2024-01-30 Cuckoo Electronics Co., Ltd. Double sealing check valve for rice coo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188B1 (ko) 취사용 물공급, 스팀배출, 자동세척 및 외기유입기능을 갖는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
CN104622267A (zh) 粒米饭和米汤全自动分离电饭锅
US9963859B2 (en) Sanitary fitting with two valves
US8192558B2 (en) Drain system for a warewasher
CN103960992A (zh) 一种自动磨豆冲泡机
CN210871092U (zh) 一种胶囊咖啡机
US20090133766A1 (en) Dual inlet and dual outlet spa valve
CN204141026U (zh) 轻触式恒温水龙头
WO2009131251A1 (ja) 先止め式加熱殺菌型浄水器
CN209346696U (zh) 一种蒸汽式咖啡机的水路结构
KR101714554B1 (ko) 전자동 밥솥용 멀티웨이 밸브장치
CN110897507A (zh) 一种双向进排水的液体容器及电水壶
CN202154538U (zh) 触摸屏式开水机
CN212986092U (zh) 酒店灶台用弹簧顶销式摇摆水龙头
CN203868419U (zh) 一种手动与感应一体式水龙头
KR20090081554A (ko) 정수기를 위한 취수꼭지
CN102783905B (zh) 加热烹饪机
KR200246081Y1 (ko) 저수탱크의수위제어장치
DK202070851A1 (en) Apparatus for pressure cleaning and method for pressure cleaning
CN206935930U (zh) 一种金银花清洗装置
KR101755288B1 (ko)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CN208487777U (zh) 一种分区节约型供水加热装置
EP2732726B1 (en) Faucet-door for a sink or countertop
CN207093818U (zh) 带止回阀的可视排污阀
KR20060073831A (ko) 자동식 정수기용 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