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288B1 -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 Google Patents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288B1
KR101755288B1 KR1020160144652A KR20160144652A KR101755288B1 KR 101755288 B1 KR101755288 B1 KR 101755288B1 KR 1020160144652 A KR1020160144652 A KR 1020160144652A KR 20160144652 A KR20160144652 A KR 20160144652A KR 101755288 B1 KR101755288 B1 KR 101755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rice cooker
valve
wat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길
Original Assignee
(주)포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빅스 filed Critical (주)포빅스
Priority to KR1020160144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97Combination of dishwashers with other household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에 관한 것으로, 밥솥의 내부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하부노즐 및 상부노즐과, 밥의 제조시 발생하는 스팀을 제거하는 스팀 제거부 및 일정량의 쌀이 저장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밥솥;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구성되며, 쌀 공급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쌀을 쌀 공급장치로 공급하는 쌀통밸브; 상기 쌀통밸브와 연결되는 밸브 개폐장치와, 상기 쌀통밸브로부터 공급된 쌀을 상기 밥솥의 내부로 공급하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이송 스크류를 전후진 및 회전시키는 구동 전환부재가 형성된 공급 하우징과, 상기 공급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공급 하우징을 작동시키는 동력 전달축과, 상기 공급 하우징의 직진이동 및 회전이동을 가이드하는 스크류 구동부 및 상기 동력 전달축을 회전시키는 공급모터를 포함하는 쌀 공급장치; 및 상기 쌀 공급장치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밥솥과 연통되게 구성되어 쌀의 세미, 또는 밥솥의 설거지와 같은 세척이 이루어질 때 발생하는 오염된 물과 이물질들을 배출하는 물 배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Rice supplies and a water discharge device equipped with fully automatic rice cooker}
본 발명은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할 밥의 양에 따라 일정량의 쌀을 정량 공급하고, 최소한의 동력을 쌀의 공급 및 공급 차단, 밥솥의 개방 및 폐쇄 작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쌀의 공급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쌀을 정량 공급하기 위한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급된 쌀의 세미, 또는 밥솥의 세척시 발생하는 물과 이물질들을 자동으로 배출하거나, 물만을 별도로 재공급하여 최소한의 물로 쌀의 세미 및 밥솥의 세척이 가능한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에 관한 것이다.
쌀을 주식으로 하는 동양문화권의 사람들은 밥의 보존시간이 길지 못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밥 맛이 변하기 때문에 매일 하루에 한번은 꼭 밥을 지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고 있으며, 이러한 밥을 짓는 행위에는 반드시 필요로 하는 양의 쌀을 미리 수작업으로 세척하고 밥솥에 투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쌀의 세척과 취반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이 이미 제안된 바 있는데,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0085호가 개시된 바 있다.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자동 전기밥솥으로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를 구비하여 상기 모터 구동에 따른 상기 회전날개와 쌀의 마찰을 통해 쌀을 세미한 후, 밥솥의 내통에 공급하는 세미부; 상기 세미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쌀을 보관하며 상기 세미부로 쌀을 공급하는 쌀 보관부; 상기 밥솥에 연결되어 상기 밥솥의 내통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조; 상기 밥솥 내부에 열을 공급하여 쌀을 취사하거나 보온하는 히터부; 및 사용자의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세미부 내부에 설치된 회전날개를 회전시켜 쌀을 세미한 후, 상기 밥솥의 내통에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급수조를 통해 상기 밥솥의 내통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히터부를 통해 쌀을 취사 또는 보온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밥솥을 가열하고, 밥솥을 헹구는 일련의 취사작동이 작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취사장치(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5776호)와, 밥솥을 안치하거나 들어내는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무인 자동 취사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7117호)와, 곡류의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자동 취사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1356호)와, 쌀통을 밥솥아래에 두고 밥솥이 싱크대높이에 위치하게 하며, 몸체에 냉온의 정수장치가 부착되고 또 싱크대에 빌트인이 가능한 규격을 가지는 자동 취사기(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0459호)와, 입력되는 값에 따라 취사되는 쌀 또는 콩의 양 및 세척수 양이 정해지고, 이에 따라 쌀의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취사를 위한 맞춤물이 자동으로 공급되어 취사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세미 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8726호) 등이 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동 전기밥솥은 쌀을 수작업으로 세척하는 육체적인 행위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취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구조의 복잡성 및 높은 제조원가에 대한 부담과 더불어 자동취반시스템의 성능에 해결되지 못한 몇가지 문제점들이 남아 있어 실제로 상품화되고 있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쌀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공급장치들의 구조가 복잡하고, 쌀의 공급, 공급 차단, 쌀통의 개폐 작동 등을 위하여 다수개의 모터를 사용함에 따라 전자동 밥솥을 제조함에 있어 제조 비용이 상승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008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57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711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135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04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8726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제조할 밥의 양에 따라 일정량의 쌀을 정량 공급하고, 최소한의 동력을 쌀의 공급 및 공급 차단, 밥솥의 개방 및 폐쇄 작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쌀의 공급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쌀을 정량 공급하기 위한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된 쌀의 세미, 또는 밥솥의 세척시 발생하는 물과 이물질들을 자동으로 배출하거나, 물만을 별도로 재공급하여 최소한의 물로 쌀의 세미 및 밥솥의 세척이 가능한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밥솥의 내부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하부노즐 및 상부노즐과, 밥의 제조시 발생하는 스팀을 제거하는 스팀 제거부 및 일정량의 쌀이 저장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밥솥;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구성되며, 쌀 공급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쌀을 쌀 공급장치로 공급하는 쌀통밸브; 상기 쌀통밸브와 연결되는 밸브 개폐장치와, 상기 쌀통밸브로부터 공급된 쌀을 상기 밥솥의 내부로 공급하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이송 스크류를 전후진 및 회전시키는 구동 전환부재가 형성된 공급 하우징과, 상기 공급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공급 하우징을 작동시키는 동력 전달축과, 상기 공급 하우징의 직진이동 및 회전이동을 가이드하는 스크류 구동부 및 상기 동력 전달축을 회전시키는 공급모터를 포함하는 쌀 공급장치; 및 상기 쌀 공급장치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밥솥과 연통되게 구성되어 쌀의 세미, 또는 밥솥의 설거지와 같은 세척이 이루어질 때 발생하는 오염된 물과 이물질들을 배출하는 물 배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쌀통밸브는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쌀통밸브를 결합하고, 개폐밸브가 작동하는 작동홀이 형성된 밸브본체와, 상기 작동홀에 위치하며, 상기 밸브 개폐장치의 작동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저장탱크의 쌀 공급홀을 개폐시키는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의 작동을 가이드 하는 밸브 가이드와, 상기 개폐밸브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밸브 복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 개폐장치는 상기 공급 하우징에 결합되어 밸브 개폐장치를 전후진시키는 연결패널; 상기 연결패널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폐밸브와 접촉하여 소정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개폐밸브를 작동시키는 개폐수단; 상기 개폐수단을 상향 회전시키는 캠 부재; 상기 개폐수단의 선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밸브와 접하는 밸브 개폐롤러; 상기 밸브 개폐롤러와 동축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캠 부재와 접하도록 구성된 캠 구동롤러; 및 상기 개폐수단 및 캠 부재를 각각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체 및 캠 복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캠 부재에는 상기 캠 구동롤러가 접하는 접촉면으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이탈하는 상기 캠 구동롤러가 상기 곡률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개폐수단을 상향 회전시키거나, 하향 회전시키는 복원 가이드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 스크류의 단부에는 밥솥과 쌀 공급장치를 밀폐시키거나, 개방하는 막음부재가 더 구성되고, 상기 막음부재에는 상기 밥솥과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실링부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류 구동부는 상기 구동 전환부재와 접촉하며, 상기 공급 하우징의 회전 및 전진 작동을 가이드 하는 회전 유도 래치와, 상기 공급 하우징의 후진 작동을 가이드 하는 이송 지지래치로 구성된 래치부재; 상기 래치부재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래치 회전축; 상기 래치부재측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래치 복원부재; 상기 래치부재의 회전 범위를 제어하는 래치 고정턱; 및 상기 공급 하우징의 회전량 및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보드는 상기 공급 하우징의 회전량을 감지하기 위해 리드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체크센서; 및 상기 공급 하우징의 전진 및 후진 작동시 이에 대한 위치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위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전환부재에는 상기 체크센서와 자력에 의해 회전량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량 감지부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력 전달축에는 전진이동시 상기 공급 하우징과 스크류 구동부 간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 배출장치는 상기 쌀 공급장치와 물 배출장치를 결합하는 결합패널; 상기 결합패널에 결합되어 물 배출장치의 구동을 위한 소정의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선단부에 연결된 전후진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후진 스크류의 회전력을 직진운동을 변환하는 가이드 하우징;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 결합되어 밥솥의 외주 일면을 개방하거나 밀폐시키는 전후진 샤프트; 상기 전후진 샤프트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밥솥 내부에 있는 물과 이물질만 유입시키는 이물질 유입부재; 내부에 상기 전후진 샤프트가 수용되며, 상기 이물질 유입부재로부터 유입된 물과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 하우징; 상기 배출 하우징과 연결로부터 배출되는 물과 이물질을 분리하고, 분리된 물을 상기 밥솥으로 재공급하는 분리 트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 유입부재에는 밥솥 내부에 있는 쌀이 물과 함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용 슬릿, 또는 배수용 홀이 원주면을 따라 다수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리 트랩부에는 상기 배출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물과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패널과, 상기 스팀 제거부와 연결되어 밥의 제조시 발생하는 스팀을 분리 트랩부측으로 유입하는 스팀벤트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할 밥의 양에 따라 일정량의 쌀을 정량 공급하고, 최소한의 동력을 쌀의 공급 및 공급 차단, 밥솥의 개방 및 폐쇄 작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쌀의 공급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쌀을 정량 공급하기 위한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된 쌀의 세미, 또는 밥솥의 세척시 발생하는 물과 이물질들을 자동으로 배출하거나, 물만을 별도로 재공급하여 최소한의 물로 쌀의 세미 및 밥솥의 세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밥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밥솥의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를 나타낸 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밥솥의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를 나타낸 종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밥솥의 쌀 공급장치의 스크류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밥솥의 쌀 공급장치의 스크류 구동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밥솥의 쌀 공급장치의 쌀통 밸브 개폐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밥솥의 쌀 공급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배출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트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밥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밥솥의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를 나타낸 횡 단면도 및 종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밥솥의 쌀 공급장치의 스크류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밥솥의 쌀 공급장치의 쌀통 밸브 개폐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동 밥솥의 쌀 공급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 배출장치를 및 분리 트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동 밥솥(100)은 일정량의 쌀이 저장된 쌀 저장부(102), 쌀 저장부(102)의 하부에 구성되며, 일정량의 쌀을 정량 공급하는 쌀 공급장치(200), 쌀 공급장치(2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쌀의 세미 및 밥솥(100)의 세척시 발생하는 물과 이물질들을 배출하는 물 배출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전자동 밥솥(100)은 밥솥 내부로 쌀의 세미, 밥의 제조 및 설거지와 같은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하부노즐(130) 및 상부노즐(140)이 밥솥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구성되고, 밥솥의 상부에는 밥의 제조시 발생하는 스팀을 제거하는 스팀 제거부(170)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자동 밥솥(100)에는 그 하부에 구성되어 쌀의 세미 및 세척시 발생하는 물과 이물질들을 배출하는 배출부(160)가 형성되고, 이 배출부(160)에는 설거지시 발생하는 이물질들을 분쇄하여 보다 용이하게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분쇄기(150)가 구성된다.
이러한 전자동 밥솥(100)의 일측에는 일정량의 쌀이 저장되어 쌀 공급장치(200)에 의해 밥솥의 내부로 저장된 쌀을 공급하는 쌀 저장부(102)가 구성된다.
쌀 저장부(102)는 쌀이 저장되며, 저장된 쌀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표시창이 형성된 저장탱크(110)와 저장탱크(110)의 하부에 구성되며, 쌀 공급장치(200)의 작동에 따라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쌀을 쌀 공급장치(200)로 공급하는 쌀통밸브(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쌀통밸브(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본체(122), 개폐밸브(124), 밸브 가이드(126), 밸브 복원부재(1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밸브본체(122)는 저장탱크(110)의 하부에 쌀통밸브(120)를 결합하는 것으로, 저장탱크(110)의 하부에 형성된 쌀 공급홀(112)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124)가 작동할 수 있는 작동홀(12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작동홀(122a)은 개폐밸브(124)의 용이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전방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개폐밸브(124)는 밸브본체(122)의 작동홀(122a) 상에 위치하며, 쌀 공급장치(200)의 밸브 개폐장치(250)의 작동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쌀 공급홀(112)을 개폐하여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쌀을 쌀 공급장치(200)측으로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개폐밸브(124)는 밸브 개폐장치(250)의 개폐수단(254)에 구성된 밸브 개폐롤러(256)와 접촉되며, 이 밸브 개폐롤러(256)의 작동에 따라 개폐밸브(124)의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롤러 접촉홈(124a)이 형성된다.
밸브 가이드(126)는 작동홀(122a)의 개방된 전방부에 구성되며, 개폐밸브(124)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개폐밸브(124)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밸브 가이드(126)에는 개폐밸브(124)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밸브 복원부재(128)가 구성됨으로써, 쌀 공급홀(112)을 개방하기 위해 슬라이딩 이동한 개폐밸브(124)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원하여 자동으로 쌀 공급홀(112)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쌀 공급장치(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쌀 저장부(102)의 하부에 구성된 쌀통밸브(120)와 연결되어 이 쌀통밸브(120)를 작동시키고, 저장탱크(110)를 통해 공급된 일정량의 쌀을 밥솥의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쌀 공급장치(200)는 공급모터(202)와 연결된 동력 전달축(204)과, 동력 전달축(204)의 회전 작동에 의해 전,후방으로 직진운동하거나, 또는 회전운동이 이루어지면서 쌀을 밥솥의 내부로 공급하는 이송 스크류(206)가 구성된다.
이때, 쌀 공급장치(200)에는 밥솥과 쌀 공급장치(200)를 연결하고, 내부에 이송 스크류(206)가 직진 및 회전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용하는 스크류 하우징(280)이 구성된다.
여기서, 스크류 하우징(280)에는 쌀통밸브(1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이 쌀통밸브(120)의 작동에 따라 배출되는 일정량의 쌀을 이송 스크류(206)측으로 공급하는 쌀 투입홀(282)이 형성된다.
또한, 이송 스크류(206)의 단부에는 밥솥과 스크류 하우징(280) 사이를 밀폐시켜 밥솥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스크류 하우징(280)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막음부재(290)가 구성된다.
여기서, 막음부재(290)의 외주면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실링부재(292)를 더 구성함으로써, 스크류 하우징(280)과 밥솥 간의 기밀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쌀 공급장치(200)는 하나의 공급모터(202)를 통해 쌀통밸브(120)의 슬라이딩 이동, 공급된 쌀의 이송 및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단 및 타단부에 각각 동력 전달축(204)과 이송 스크류(206)가 나사 결합되는 공급 하우징(210), 공급 하우징(210)의 이동방식이 전환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스크류 구동부(220), 스크류 구동부(220)에 결합되며, 공급 하우징(210)의 이동방식을 전환시키는 래치부재(230), 공급 하우징(210)의 직진운동, 또는 회전운동을 센싱하는 센서보드(240), 공급 하우징(210)의 직진운동시 쌀통밸브(120)를 작동시키는 밸브 개폐장치(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급 하우징(210)은 내부에 동력 전달축(204)이 삽입되며, 이 동력 전달축(20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홀(212)이 형성되고, 이 구동홀(212)의 일측 단부에는 동력 전달축(204)과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는 스크류 너트(214)가 형성된다.
또한, 공급 하우징(210)의 외주면에는 스크류 구동부(220)의 래치부재(230)와 인접한 위치에 구성되고, 공급 하우징(210)의 직진이동을 가이드하는 한편, 이 공급 하우징(210)의 이동방식, 다시말해 직진이동을 회전이동으로 전환하는 구동 전환부재(216)가 구성된다.
구동 전환부재(216)는 스크류 구동부(220)에 장착되는 래치부재(230)에 형성되는 위치 이동홀(236)에 위치하며, 래치부재(230)의 회전 유도래치(232)의 내면에 접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공급 하우징(210)의 직진이동을 가이드 한다.
이때, 공급 하우징(210)의 단부에 결합된 이송 스크류(206) 역시 직진이동을 하면서 밥솥의 일면을 개방하여 쌀을 공급하거나, 개방된 밥솥의 일면을 폐쇄하도록 한다.
또한, 구동 전환부재(216)는 그 위치가 회전 유도래치(232)의 단부에 도달하게 되면, 공급 하우징(210)이 회전 유도래치(232)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송 스크류(206)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고, 이에 따라 스크류 하우징(280)측으로 공급된 쌀을 밥솥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구동 전환부재(216)는 공급 하우징(210)의 회전 작동시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매 회전시 마다 공급 하우징(210)의 회전량을 센서보드(240)의 체크센서(242)로 전송하는 회전량 감지부재(218)가 구성된다.
이때, 회전량 감지부재(218)는 자성체로 구성되어 구동 전환부재(216)가 체크센서(242)와 인접한 위치에 도달할 때 마다 소정의 자력을 발산하여 공급 하우징(210)의 회전 여부 및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스크류 구동부(220)는 공급 하우징(210)의 전방 및 후방부에 각각 구성되며, 그 상부면에 래치부재(230)가 일정 각도 만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공급 하우징(210)의 직진이동 및 회전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스크류 구동부(2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하우징(210)과 스크류 구동부(220)가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전후방에 각각 구성된 스크류 구동부(220)를 연결 및 고정하는 고정축(224)이 구성된다.
한편, 스크류 구동부(220)에는 전진이동시 공급 하우징(210)과 스크류 구동부(220) 간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208)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스토퍼(208)는 동력 전달축(204)의 선단부에 구성되어 이 동력 전달축(204)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공급 하우징(210)의 최대 이동 거리를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크류 구동부(220)의 일측에는 쌀통밸브(120)를 개폐시키는 밸브 개폐장치(250)가 설치되는 삽입홈(225)이 형성되고, 이에 대향하는 타측에는 공급 하우징(210)의 회전량 및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보드(240)가 구성된다.
여기서, 센서보드(240)는 공급 하우징(210)의 회전량을 감지하기 위해 리드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체크센서(242)와, 공급 하우징(210)의 전진 및 후진 작동시 이에 대한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포토센서로 이루어진 위치 감지센서(244)가 구성된다.
이때, 위치 감지센서(244)는 공급 하우징(210)의 구동전 상태(P1)와, 공급 하우징(210)이 최대 이동 거리까지 전진한 상태(P2) 및 쌀통밸브(120)의 닫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일부 후퇴한 상태(P3) 등을 감지하여 공급 하우징(210)의 위치에 따라 공급모터(202)의 회전 및 회전 방향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아울러, 스크류 구동부(220)의 상부면에는 래치부재(23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래치 고정턱(222)이 형성되어 구동 전환부재(216)와 접하는 래치부재(230)가 회전 작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구동 전환부재(216)의 직진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스크류 구동부(220)에는 래치부재(230)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래치 회전축(226)과, 래치부재(230)측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래치 복원부재(228)가 더 구성된다.
래치부재(230)는 공급 하우징(210)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한편, 전진한 공급 하우징(210)의 전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회전 유도래치(232)와, 공급 하우징(210)의 후진 작동을 가이드 하는 이송 지지래치(234)로 이루어지며, 회전 유도래치(232) 및 이송 지지래치(234) 사이에는 공급 하우징(210)에 구성된 구동 전환부재(216)가 삽입되어 전후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위치 이동홀(236)이 형성된다.
여기서, 래치부재(230)의 회전 유도래치(232)는 그 선단부가 이송 지지래치(234) 보다 짧게 형성되어 소정의 공간부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이 공간부는 구동 전환부재(216)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구성됨으로써, 회전 유도래치(232)를 따라 이동하는 구동 전환부재(216)가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게 되면, 공급모터(202)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스크류 구동부(22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스크류(206)의 후진 상태, 즉 쌀 공급장치(200)의 미구동 상태인 경우 래치부재(230) 사이에 구동 전환부재(216)가 위치하도록 하며, 이때에는 회전 유도래치(232) 및 이송 지지래치(234) 사이에서 자유단, 즉 미접촉 상태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스크류(206)를 전진시켜 쌀 공급장치(200)와 밥솥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공급모터(202)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공급 하우징(210)을 회전 유도래치(232)측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 전환부재(216)는 회전 유도래치(232)의 내면과 접촉을 이루게 된다.
이때, 공급 하우징(210)은 공급모터(202)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 전달축(204)과 나사 결합된 상태이므로, 이 동력 전달축(204)의 나사산을 따라 회전 작동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구동 전환부재(216)와 회전 유도래치(232)가 서로 접촉된 상태이므로, 회전 유도래치(232)의 내면을 따라 직진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이송 스크류(206)를 전진시키게 된다.
아울러, 회전 유도래치(232)의 선단부측에 형성된 공간부에 구동 전환부재(216)가 위치하게 되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하우징(210)의 회전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 사라지게 되면서 공급 하우징(210)은 공급모터(202)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공급 하우징(210)과 결한된 이송 스크류(206)의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일정량의 쌀을 밥솥의 내부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송 지지래치(234)는 공급 하우징(210)의 회전하면서 구동 전환부재(216)가 접촉하는 경우, 위치 이동홀(236)측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면서 공급 하우징(210)의 회전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스크류(206)를 후진시켜 막음부재(290)에 의해 밥솥이 밀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급모터(20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 전환부재(216)는 회전 유도래치(232)에 형성된 공간부를 통과하면서 이송 지지래치(234)의 내면과 접촉을 이루게 되고, 이후 구동 전환부재(216)는 이송 지지래치(234)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공급 하우징(210)의 후퇴를 가이드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밸브 개폐장치(250)는 스크류 구동부(220)의 일측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공급 하우징(210)의 전진시 쌀통밸브(120)의 개폐밸브(124)를 가압하여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공급 하우징(210)의 후진시에는 개폐밸브(124)측으로 가해지는 가압력을 해제하여 이 개폐밸브(124)가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밸브 개폐장치(250)는 공급 하우징(210)에 결합되는 연결패널(252)과, 연결패널(252)의 단부에 구성되어 개폐밸브(124)를 가압하는 개폐수단(254)과, 개폐수단(254)의 선단부에 구성되어 개폐밸브(124)의 롤러 접촉홈(124a)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밸브 개폐롤러(256)가 구성되며, 공급 하우징(210)의 후퇴시, 개폐수단(254)과 개폐밸브(124) 간의 접촉을 해제시켜 개폐밸브(124)의 위치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캠 부재(270)와, 개폐수단(254)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탄성체(260)가 더 구성된다.
연결패널(252)은 개폐수단(254)이 결합되며, 특히 캠 부재(270)의 작동 여부에 따라 개폐수단(254)이 회전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힌지(255)가 구성되고, 개폐수단(254)의 위치를 복원하는 탄성체(260)가 장착되는 탄성 지지부재(252a)가 절곡 형성된다.
개폐수단(254)은 연결패널(2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단부측으로 개폐밸브(124) 및 캠 부재(270)와 각각 독립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는 밸브 개폐롤러(256)와 캠 구동롤러(258)가 구성된다.
아울러, 캠 부재(270)는 내측으로 개폐수단(254)의 캠 구동롤러(258)와 접하는 접촉면이 형성되고, 개폐수단(254)의 전진 작동시 캠 부재(270)를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캠 구동힌지(272)가 형성된다.
또한, 캠 부재(270)에는 공급 하우징(210)이 후퇴할 때, 캠 부재(270)의 위치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캠 복원부재(276)가 구성되고, 이 캠 복원부재(276)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278)이 구성된다.
고정 브라켓(278)은 스크류 하우징(280)측에 위치한 스크류 구동부(220)에 결합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통해 캠 부재(270)의 위치를 복원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캠 부재(270)에는 공급 하우징(210)의 후퇴 과정시 개폐수단(254)을 상향 회전시키고, 후퇴 과정이 완료되면, 접촉면과 캠 구동롤러(258)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복원 가이드부(274)가 형성된다.
복원 가이드부(274)는 소정의 곡률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접촉면의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접촉면으로부터 이탈하는 캠 구동롤러(258)가 접촉면과 복원 가이드부(274)를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상향 회전하거나, 하향 회전하면서 탄성체(260)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쌀 공급장치(20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하우징(210)을 위치센서(P1)에서 위치센서(P2)까지 전진시키게 되면, 공급 하우징(210)에 결합된 연결패널(252) 및 개폐수단(254)이 공급 하우징(210)과 함께 전진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개폐수단(254)의 선단부에 형성된 밸브 개폐롤러(256) 및 캠 구동롤러(258)가 각각 개폐밸브(124) 및 캠 부재(270)를 가압하면서 개폐밸브(124)는 슬라이동 이동에 의해 쌀 공급홀(112)을 개방하여 쌀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캠 부재(270)는 하향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캠 구동롤러(258)와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스크류 구동부(220)에 의해 이송 스크류(206)가 회전하면서 쌀의 공급이 완료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센서(P2)에 위치하는 공급 하우징(210)을 위치센서(P3)까지 후퇴시게 되면, 개폐밸브(124)의 위치를 복원시켜 쌀 공급홀(112)을 차단함으로써, 쌀의 공급을 정지하여 쌀의 정량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개폐밸브(124)의 위치가 복원이 완료되면, 공급 하우징(210)을 위치센서(P2) 까지 전진시켜 구동 전환부재(216)의 위치가 회전 유로래치(23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 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이송 스크류(206)를 회전시켜 스크류 하우징(280) 상에 남아 있는 잔여 쌀들을 밥솥의 내부로 전부 공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쌀 공급장치(200)는 공급 하우징(210)이 위치센서(P1)에서 위치센서(P2)까지 전진하는 1차 전진과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후 쌀의 공급이 이루어지면 위치센서(P2)에 위치한 공급 하우징(210)을 위치센서(P3)까지 1차 후퇴과정이 이루어지며, 1차 후퇴 과정에 의해 쌀 공급홀(112)이 차단되면, 다시 위치센서(P3)에서 위치센서(P2)측으로 전진시키는 2차 전진과정에 의해 잔여 쌀들을 완전히 공급 한 후, 위치센서(P2)에서 위치센서(P1)측으로 2차 후퇴하여 쌀 공급장치(200)의 작동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쌀 공급장치(200)의 하부로 밥솥 내의 물을 배출하는 물 배출장치(300)가 더 구성된다.
물 배출장치(300)는 쌀의 세미, 또는 밥솥의 설거지와 같은 세척이 이루어질 때 발생하는 오염된 물과 이물질들을 배출하는 것으로, 쌀의 세미 및 밥솥의 세척시 공급되는 물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구동하여 밥솥 내의 물과 이물질들을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물 배출장치(300)는 쌀 공급장치(200)의 스크류 구동부(22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쌀의 공급과 함께 쌀의 세미가 이루어지도록 결합패널(310)이 구성된다.
여기서, 결합패널(310)는 본 발명에서 구동모터(302)가 스크류 구동부(22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쌀 공급장치(200)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전자동 밥솥(100)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물 배출장치(300)는 밥솥 내의 오염된 물과 이물질들을 배출하기 위해 밥솥의 외주 일면을 개방, 또는 밀폐시키며, 밥솥 내에 존재하는 쌀을 제외한 오염된 물 및 이물질들만 물 배출장치(3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유입부재(340)와, 이 이물질 유입부재(340)에 의해 유입된 물과 이물질들을 분리 트랩부(350)측으로 배출하는 배출 하우징(330)이 구성된다.
이물질 유입부재(340)는 쌀의 세미, 또는 밥솥의 세척시 발생하는 오염된 물과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배수용 슬릿, 또는 배수용 홀(344)이 구성되고, 그 단부에는 밥솥과 물 배출장치(300)를 연통시키거나, 또는 차단시켜 밥의 제조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재(346)가 구성된다.
여기서, 밀폐부재(346)에는 기밀성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하여 실리콘 재질의 실링부재(342)가 더 구성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이물질 유입부재(340)는 물 배출장치(300)에서 전진 및 후진 작동에 의해 밥솥의 내부를 개방, 또는 밀폐시키는 것으로, 이물질 유입부재(340)와 결합되는 전후진 샤프트(306)와, 이 전후진 샤프트(306)를 작동시키기 위해 가이드 하우징(320)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전후진 스크류(304) 및 전후진 스크류(304)측으로 소정의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02)가 연결 구성된다.
또한, 물 배출장치(300)에 구성된 분리 트랩부(350)는 배출 하우징(330)에 구성된 배출구(336)와 연결 구성되며, 이 배출구(336)를 통해 배출된 물과 이물질을 분리하여 분리된 물은 밥솥의 내부로 재공급되어 쌀의 세미, 또는 밥솥의 세척을 위해 재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분리된 이물질은 외부로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분리 트랩부(350)는 배출구(336)로부터 물과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유입부(352)와, 유입부(352)로 유입된 물과 이물질 중, 물만을 밥솥의 내부로 재공급하는 재공급부(354)와, 유입부(352)의 한계 수용량을 초과한 물과 이물질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출구(358) 및 방출구(358)측으로 물과 이물질을 유동시키는 유동홀(356)이 형성된다.
또한, 분리 트랩부(350)에는 유입부(352)의 한계 수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범위 내에서 물과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패널(36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분리 트랩부(150)에는 밥의 제조시 발생하는 스팀을 회수하여 방출구(358)를 통해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스팀 제거부(170)와 연결되는 스팀벤트 연결구(37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밥솥 102: 쌀 저장부
110: 저장탱크 120: 쌀통밸브
130: 하부노즐 140: 상부노즐
150: 분쇄기 160: 배출부
170: 스팀 배출부재 200: 쌀 공급장치
210: 공급 하우징 220: 스크류 구동부
230: 래치부재 240: 센서보드
250: 밸브 개폐장치 260: 탄성체
270: 캠 부재 280: 스크류 하우징
290: 막음부재 300: 물 배출장치
310: 결합패널 320: 가이드 하우징
330: 배출 하우징 340: 이물질 유입부재
350: 분리 트랩부 260: 분리패널
370: 스팀벤트 연결구

Claims (12)

  1. 밥솥의 내부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하부노즐 및 상부노즐과, 밥의 제조시 발생하는 스팀을 제거하는 스팀 제거부 및 일정량의 쌀이 저장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밥솥;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구성되며, 쌀 공급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쌀을 쌀 공급장치로 공급하는 쌀통밸브;
    상기 쌀통밸브와 연결되는 밸브 개폐장치와, 상기 쌀통밸브로부터 공급된 쌀을 상기 밥솥의 내부로 공급하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이송 스크류를 전후진 및 회전시키는 구동 전환부재가 형성된 공급 하우징과, 상기 공급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공급 하우징을 작동시키는 동력 전달축과, 상기 공급 하우징의 직진이동 및 회전이동을 가이드하는 스크류 구동부 및 상기 동력 전달축을 회전시키는 공급모터를 포함하는 쌀 공급장치; 및
    상기 쌀 공급장치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밥솥과 연통되게 구성되어 쌀의 세미, 또는 밥솥의 설거지와 같은 세척이 이루어질 때 발생하는 오염된 물과 이물질들을 배출하는 물 배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쌀통밸브는,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쌀통밸브를 결합하고, 개폐밸브가 작동하는 작동홀이 형성된 밸브본체와, 상기 작동홀에 위치하며, 상기 밸브 개폐장치의 작동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저장탱크의 쌀 공급홀을 개폐시키는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의 작동을 가이드 하는 밸브 가이드와, 상기 개폐밸브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밸브 복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개폐장치는
    상기 공급 하우징에 결합되어 밸브 개폐장치를 전후진시키는 연결패널;
    상기 연결패널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폐밸브와 접촉하여 소정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개폐밸브를 작동시키는 개폐수단;
    상기 개폐수단을 상향 회전시키는 캠 부재;
    상기 개폐수단의 선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밸브와 접하는 밸브 개폐롤러;
    상기 밸브 개폐롤러와 동축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캠 부재와 접하도록 구성된 캠 구동롤러; 및
    상기 개폐수단 및 캠 부재를 각각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체 및 캠 복원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에는
    상기 캠 구동롤러가 접하는 접촉면으로부터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이탈하는 상기 캠 구동롤러가 상기 곡률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개폐수단을 상향 회전시키거나, 하향 회전시키는 복원 가이드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스크류의 단부에는 밥솥과 쌀 공급장치를 밀폐시키거나, 개방하는 막음부재가 더 구성되고,
    상기 막음부재에는 상기 밥솥과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실링부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구동부는
    상기 구동 전환부재와 접촉하며, 상기 공급 하우징의 회전 및 전진 작동을 가이드 하는 회전 유도 래치와, 상기 공급 하우징의 후진 작동을 가이드 하는 이송 지지래치로 구성된 래치부재;
    상기 래치부재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래치 회전축;
    상기 래치부재측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래치 복원부재;
    상기 래치부재의 회전 범위를 제어하는 래치 고정턱; 및
    상기 공급 하우징의 회전량 및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보드는
    상기 공급 하우징의 회전량을 감지하기 위해 리드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체크센서; 및
    상기 공급 하우징의 전진 및 후진 작동시 이에 대한 위치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위치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환부재에는 상기 체크센서와 자력에 의해 회전량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량 감지부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축에는 전진이동시 상기 공급 하우징과 스크류 구동부 간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장치는
    상기 쌀 공급장치와 물 배출장치를 결합하는 결합패널;
    상기 결합패널에 결합되어 물 배출장치의 구동을 위한 소정의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선단부에 연결된 전후진 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후진 스크류의 회전력을 직진운동을 변환하는 가이드 하우징;
    상기 가이드 하우징에 결합되어 밥솥의 외주 일면을 개방하거나 밀폐시키는 전후진 샤프트;
    상기 전후진 샤프트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밥솥 내부에 있는 물과 이물질만 유입시키는 이물질 유입부재;
    내부에 상기 전후진 샤프트가 수용되며, 상기 이물질 유입부재로부터 유입된 물과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 하우징;
    상기 배출 하우징과 연결로부터 배출되는 물과 이물질을 분리하고, 분리된 물을 상기 밥솥으로 재공급하는 분리 트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부재에는 밥솥 내부에 있는 쌀이 물과 함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용 슬릿, 또는 배수용 홀이 원주면을 따라 다수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트랩부에는
    상기 배출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물과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패널과,
    상기 스팀 제거부와 연결되어 밥의 제조시 발생하는 스팀을 분리 트랩부측으로 유입하는 스팀벤트 연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KR1020160144652A 2016-11-01 2016-11-01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KR101755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652A KR101755288B1 (ko) 2016-11-01 2016-11-01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652A KR101755288B1 (ko) 2016-11-01 2016-11-01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288B1 true KR101755288B1 (ko) 2017-07-07

Family

ID=59353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652A KR101755288B1 (ko) 2016-11-01 2016-11-01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2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8367A (zh) * 2018-02-10 2018-05-29 辽宁工程技术大学 一种一体式全自动控制电饭煲及其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8367A (zh) * 2018-02-10 2018-05-29 辽宁工程技术大学 一种一体式全自动控制电饭煲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3081B2 (en) Dishwasher with image-based diagnostics
US11889966B2 (en) Dishwasher with image-based object sensing
US11864705B2 (en) Dishwasher thermal imaging system
US20210093155A1 (en) Dishwasher with image-based fluid condition sensing
JP2019500981A (ja) 食品を加工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05478396A (zh) 一种中药清洗装置
KR101755288B1 (ko)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US20180177377A1 (en) Hand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and method
CN104406205B (zh) 一种自洁集成灶
CN106108687A (zh) 一种冷凝水排放装置、具有该装置的电蒸箱及控制方法
KR101215470B1 (ko) 취수구 은폐형 기능성 정수기
KR101809188B1 (ko) 취사용 물공급, 스팀배출, 자동세척 및 외기유입기능을 갖는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
CN207899821U (zh) 一种nfc果汁机管路无菌清洁系统
US20230263363A1 (en) High speed reusable beverage container washing system with pop-up ultraviolet sanitizer
EP3995619A1 (en) Control method for washing machine
CN108209596A (zh) 一种自动清洗装置及使用该装置的烹饪设备
CN211324382U (zh) 一种饮水供应系统及自动清洗消毒机
JP2014000188A (ja) 食器洗い機
CN208679905U (zh) 一种ctp版免烤技术用碱洗装置
CN107752943B (zh) 水槽式洗碗机
CN105937257A (zh) 一种水槽
CN115697140A (zh) 压缩式拉面烹饪机用压缩腔室
KR101755287B1 (ko)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
KR101143309B1 (ko) 스팀분사장치
US20240093905A1 (en) Heating device for heating water, and water conducting appliance comprising a he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