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287B1 -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 - Google Patents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287B1
KR101755287B1 KR1020160144650A KR20160144650A KR101755287B1 KR 101755287 B1 KR101755287 B1 KR 101755287B1 KR 1020160144650 A KR1020160144650 A KR 1020160144650A KR 20160144650 A KR20160144650 A KR 20160144650A KR 101755287 B1 KR101755287 B1 KR 101755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oker
unit
valve plate
wat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길
Original Assignee
(주)포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빅스 filed Critical (주)포빅스
Priority to KR1020160144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97Combination of dishwashers with other household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전자동 밥솥장치는 하면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밥솥; 밥솥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밥솥으로부터 물이 배수되는 배수유로부재; 상기 중공부를 차단하거나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공부를 개방시키며, 상기 중공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밥솥 내부로 물을 공급하며 세미나 밥솥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노즐유로가 형성된 밸브판; 상기 밸브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판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 {FULLY AUTOMATIC RICE COOKER HAVING WASHING RICE AND DISH-WASHING UNIT}
본 발명은 밥솥에 공급된 쌀을 세미하고 사용된 밥솥의 세척할 수 있는 세미 및 설거지 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밥솥의 하면을 통해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밥솥에 공급된 물을 배출시키면서 세미또는 밥솥을 세척할 수 있는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에 관한 것이다.
쌀을 주식으로 하는 동양문화권의 사람들은 밥의 보존시간이 길지 못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밥 맛이 변하기 때문에 매일 하루에 한번은 꼭 밥을 지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고 있으며, 이러한 밥을 짓는 행위에는 반드시 필요로 하는 양의 쌀을 미리 수작업으로 세척하고 밥솥에 투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쌀의 세척과 취반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장치들이 이미 제안된 바 있는데,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0085호가 개시된 바 있다.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자동 전기밥솥으로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를 구비하여 상기 모터 구동에 따른 상기 회전날개와 쌀의 마찰을 통해 쌀을 세미한 후, 밥솥의 내통에 공급하는 세미부; 상기 세미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쌀을 보관하며 상기 세미부로 쌀을 공급하는 쌀 보관부; 상기 밥솥에 연결되어 상기 밥솥의 내통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조; 상기 밥솥 내부에 열을 공급하여 쌀을 취사하거나 보온하는 히터부; 및 사용자의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세미부 내부에 설치된 회전날개를 회전시켜 쌀을 세미한 후, 상기 밥솥의 내통에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급수조를 통해 상기 밥솥의 내통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히터부를 통해 쌀을 취사 또는 보온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동 전기밥솥은 쌀을 수작업으로 세척하는 육체적인 행위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취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구조의 복잡성 및 높은 제조원가에 대한 부담과 더불어 자동취반시스템의 성능에 해결되지 못한 몇가지 문제점들이 남아 있어 실제로 상품화되고 있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밥솥을 가열하고, 밥솥을 헹구는 일련의 취사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취사장치(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5776호)와, 밥솥을 안치하거나 들어내는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무인 자동 취사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7117호)와, 곡류의 수납과 인출이 용이한 자동 취사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1356호)와, 쌀통을 밥솥아래에 두고 밥솥이 싱크대높이에 위치하게 하며, 몸체에 냉온의 정수장치가 부착되고 또 싱크대에 빌트인이 가능한 규격을 가지는 자동 취사기(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0459호)와, 입력되는 값에 따라 취사되는 쌀 또는 콩의 양 및 세척수 양이 정해지고, 이에 따라 쌀의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취사를 위한 맞춤물이 자동으로 공급되어 취사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세미 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8726호) 등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들에 따르면, 세미나 밥솥의 세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위생적으로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세척을 위해서는 밥솥을 별도로 분리하여 세정이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밥솥과 주변구조들 간의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008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57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711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135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04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872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밥솥의 하부를 통해 물이 공급되어 밥솥 내의 쌀을 세미하거나 밥솥을 세척하고 밥솥에 공급된 물이 동시에 배출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설거지과정시 밥솥의 하부로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밥알등의 이물질을 분쇄하여 배출할 수 있는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세미 및 설거지 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는 하면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밥솥; 밥솥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밥솥으로부터 물이 배수되는 배수유로부재; 상기 중공부를 차단하거나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공부를 개방시키며, 상기 중공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밥솥 내부로 물을 공급하며 세미나 밥솥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노즐유로가 형성된 밸브판; 상기 밸브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판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관체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가 상기 노즐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판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 제1샤프트 체결부가 형성된 승강축; 승강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내주면에 제2샤프트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샤프트 체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모터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축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승강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축을 통해 상기 노즐유로로 물을 공급하는 물입력포트; 및, 상기 물입력포트의 일측에 상하로 형성된 가이드레일공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물입력포트가 상기 승강축과 연동하여 상승시 상기 승강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일체로 형성된 제1기어와, 상기 승강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1기어와 기어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2기어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유로부재와 연결되는 물배출포트 및, 상기 물배출포트 내에 설치되어 상기 물배출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쇄하는 분쇄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판은, 상기 중공부를 차단한 상태에서 상승하여 세미가 이루어지는 제1상승위치와, 상기 제1상승위치 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하여 밥솥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제2상승위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판은 외주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세미시 쌀이 상기 중공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망이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밸브판의 하면 일측과 상기 배수유로부재의 내부 저면을 연결하며, 상기 승강축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물이나 이물질이 상기 승강축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벨로우즈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밥솥의 하부를 통해 물을 공급하면서 물을 배출하여 세미 또는 밥솥세척을 할 수 있는 세미 및 설거지유닛이 밥솥의 하부에 설치된 구조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물의 공급과 배출이 용이하여 세미나 밥솥세척이 수월하게 진행되며, 세미나 밥솥의 세척효율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승강축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된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승강축이 회전되는 구조이므로, 승강축이 편심되지 않고 수직으로만 승강가능하여, 밸브판의 차단과 개방이 정밀하게 이루어져, 장치의 수명이 연장되고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밥솥세척시 물배출포트에 분쇄부재가 구비되어 세척에 사용된 물에 포함된 밥알 등의 이물질을 분쇄하여 배출할 수 있어 하수구 등의 배수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다른 각도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세미 및 설거지유닛의 분쇄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물 공급노즐의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메쉬망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와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세미 및 설거지유닛이 세미하는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2의 세미 및 설거지유닛이 밥솥을 세척하는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정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각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정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는 밥솥(10)과 세미 및 설거지유닛(1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는 세미, 밥의 제조 미 밥솥의 세척까지 모두 자동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하여 편리한 취반이 가능함은 물론 밥솥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세미 및 설거지유닛의 구성에 특징이 있으므로, 밥의 제조 및 밥의 보온을 위해 밥솥의 하부 및 상부에는 밥솥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히팅부가 구성될 수 있으며, 쌀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밭솥(10)의 하면 중앙에는 원형으로 관통형성된 중공부(13)가 형성된다. 이 중공부(13)에는 세미 및 설거지유닛(100)이 설치되어 밥솥(10) 하부를 통해 밥솥(10) 내부로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물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세미 또는 설거지과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세미 및 설거지유닛(100)은 배수유로부재(101), 밸브판(110), 승강유닛(12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배수유로부재(101)는 밥솥(10)의 하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배수챔버(101a)가 형성되어, 배수챔버(101a)는 중공부(13)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배수유로부재(101)는 배수챔버(101a)의 상단은 중공부(13)와 결되도록 형성되고, 배수챔버(101a)의 하단은 물배출포트(103)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물배출포트(103)는 하수구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물배출포트(103)는 하수구 등의 배수로와 연결될 뿐 아니라, 물입력포트(127)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세미과정시, 세미에 사용된 물이 물입력포트(127)를 통해 순환하여 밸브판(110)을 통해 밥솥(10) 내부로 재공급되도록 하여 세미시 사용되는 물을 양을 절약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밸브판(110)은 원형디스크형태로 이루어지며, 중공부(13)에 삽입되어 중공부(13)를 차단하거나 위로 상승하여 중공부(13)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된다. 밸브판(110)에는 노즐유로(112)가 구비되어, 이 노즐유로(112)를 통해 외부의 물이 밥솥(10) 내부로 공급되어 세미나 밥솥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노즐유로(112)의 말단에는 밸브판(110)의 외주상에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노즐공(114)들이 구비된다.
또한, 밸브판(110)에는 외주상에 링형태의 패킹(116)이 구비되어, 밸브판(110)이 중공부(13)를 차단한 경우, 이 패킹(116)에 의해 실링이 향상되어 물을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패킹(116)은 노즐공(114)들보다 소정간격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승강유닛(120)은 밸브판(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밸브판(110)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켜, 밸브판(110)이 중공부(13)를 차단시키는 상태에 있게 하거나, 밸브판(110)을 중공부(13)에서 제1높이로 상승시켜 세미과정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밸브판(110)을 중공부(13)에서 상기 제1높이보다 소정높이 더 상승시켜 설거지과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구성이다.
승강유닛(120)은 승강축(121), 회전부재(122), 승강모터(123)를 포함한다.
승강축(121)은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것이 가능한 원형관체 즉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밸브판(110)의 하면 중심으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승강축(121)의 외주상에는 수나사산으로 이루어지는 제1샤프트 체결부(s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승강축(121)의 상단은 밸브판(110)의 노즐유로(112)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승강축(121)의 하단에는 물입력포트(127)가 구비되도록 설치된다. 물입력포트(127)는 수전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입력포트(127)를 통해 물이 공급되면, 물이 승강축(121)의 내부 및 노즐유로(112)을 통해 이동되어 노즐공(114)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회전부재(122)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제1샤프트 체결부(s1)와 체결되도록 암나사산으로 이루어지는 제2샤프트 체결부(s2)가 형성되어 승강축(121)이 삽입된 상태로 승강축(121)에 나사체결되며, 회전부재(122)의 상부외주면에는 제1기어(122a)가 일체로 형성된다.
회전부재(122)는 회전지지부재(105)에 삽입된 상태로 베어링(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회전지지부재(105)는 승강모터(123)의 일측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단, 회전지지부재(105)는 회전부재(122)가 위치고정된 상태에서, 베어링(B)에 의해 회전부재(12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승강모터(123)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부재(122)는 배수유로부재(101)의 하측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전자동 밥솥장치의 본체하우징 내의 일측 어디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승강모터(123)는 동력전달수단(122a,125)을 통해 회전부재(122)와 연결되어, 승강모터(123)의 구동에 따라 회전부재(122)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승강모터(123)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승강모터(123)는 회전비를 조절하기 위한 감속기의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승강모터(123)의 일측에는 회전부재(12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비지지부재(105)가 고정설치될 수 있다.
동력전달수단(122a,125)은 제1기어(122a)와 제2기어(125)로 이루어지며, 제1기어(122)는 회전부재(122)의 외주상에 형성되고, 제2기어(125)는 승강모터(123)의 모터구동축(124)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승강모터(123)의 모터구동축(124)이 회전되면, 이 회전력이 동력전달수단(122a,125)에 의해 회전부재(122)가 회전되게 되고, 이 회전부재(122)의 회전에 따라, 승강축(121)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상승되게 된다.
본 발명의 승강유닛(120)은 회전부재(122)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 승강축(121)이 회전되지 않으면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가이드부재(128)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28)는 원형바 형태로 이루어지며, 회전지지부재(105)의 일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설치되며, 이 가이드부재(128)의 하부는 물입력포트(127)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공(127a) 상에 삽입되어 상하슬라이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회전부재(122)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 가이드레일공(127a)이 가이드부재(128)에 안내됨으로써, 물입력포트(127)가 가이드부재(128)에 의해 상하이동되게 되게 된다. 즉, 승강축(121)의 하부에 고정설치된 물입력포트(127)가 가이드부재(128)에 의해 상하로만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회전부재(122)의 회전에 따라 물입력포트(127)가 가이드부재(128)에 의해 상하로 안내됨으로써 승강축(121)이 회전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승강되게 된다.
본 발명은 회전부재(122)가 승강축(121)을 감싸도록 나사체결된 구조로, 회전부재(122)의 회전에 따라 승강축(121)이 상하로 승강되는 방식이므로, 승강축(121)의 승강시 편심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만 상하 이동할 수 있어, 승강축(121)이 오동작 하지 않고 정확한 상하이동 동작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밸브판(110)도 수직방향으로만 상하 이동이 가능하여, 밸브판(110)이 편심되게 상하 이동하여 중공부(13)를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세미과정시 밥솥(10)에서 중공부(13)를 통해 배출되는 물(세미용 물)에서 쌀이 중공부(13)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메쉬망(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쉬망(118)은 쌀은 통과하지 못하고 물망 통과하는 복수의 메쉬공(118a)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메쉬부재로 이루어지며, 밸브판(110)의 외주면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세미과정시 메쉬망(118)은 도 7과 같이 밸브판(110)과 중공부(13)의 사이공간을 막도록 배치되어, 밸브판(110)과 중공부(13) 사이를 통해 배출되는 물에서 쌀이 물과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배출되는 물이나 이물질이 승강축(121)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벨로우즈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벨로우즈부재(130)는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승강축(121) 외주를 감싸고, 상단은 밸브판(110)의 하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은 배수유로부재(101)의 내부 저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도 3과 같이 밸브판(110)이 밥솥(10)의 중공부(13)에 삽입되어 중공부(13)를 차단한 상태에서는 벨로우즈부재(130)가 수축된 상태가 되며, 도 7 또는 도 8과 같이 밸브판(110)이 상승하여, 밥솥(10)의 중공부(13)을 개방한 상태에서는 벨로우즈부재(130)가 신장된 상태가 된다.
벨로우즈부재(130)는 밸브판(110)이 승강하여도 승강축(121)을 감싸, 중공부(13)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승강축(121)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강축(121)에 물이 침투하여 승강유닛(120)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 2와, 밥솥세척시, 물배출포트(103)를 통해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밥알 등의 이물질을 분쇄하는 분쇄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쇄부재(140)는 그라인드 분쇄날로 이루어져, 물배출포트(103)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분쇄부재(140)는 분쇄모터(142)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밥솥세척과정시, 중공부(13)를 통해 밥솥(10)을 세척한 물(세척용 물)이 배출되게 되고, 이 배출된 물은 배수유로부재(101) 및 물배출포트(103)를 통해 배출되게 되는데, 이 배출되는 물에는 밥알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고, 이 물이 물배출포트(103)를 통과할 시, 분쇄부재(140)에 의해 분쇄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도 2,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자동 밥솥장치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밸브판(110)이 중공부(13)를 차단한 상태를 원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강모터(123)가 구동되어, 승강축(121)이 상승함으로써, 밸브판(110)이 도 7과 같이 제1상승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메쉬망(118)은 밸브판(110)과 중공부(13)의 사이공간을 막는다.
이렇게 밸브판(110)이 제1상승위치로 상승한 상태에서, 물입력포트(127)를 통해 물이 공급되면, 승강축(121)의 내부와 노즐유로(112) 및 노즐유로(112)의 노즐공(114)을 통해 물이 밥솥(10)의 내부에 분사되게 된다.
이렇게 노즐공(114)을 통해 밥솥(10)의 내부로 분사되는 물이 분사됨으로써, 밥솥(10)의 내부에 채워진 쌀이 세미되고, 세미된 물은 중공부(13), 배수유로부재(101)의 배수챔버(101a) 및 물배출포트(103)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때, 중공부(13)를 통해 배출되는 물에서 쌀은 메쉬망(118)에 걸려 빠져 나가지 않게 된다.
이렇게 밸브판(110)에서 물이 밥솥(10) 내부로 분사되고, 동시에 밥솥(10)에서 세미에 사용된 물이 중공부(13)를 통해 배출되는 순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신속하고 양호한 세미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세미과정이 끝난 후에는 승강모터(123)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밸브판(110)이 중공부(13)를 차단하는 원상태로 위치시키고, 이러한 원상태에서, 전자동 밥솥장치에 구비된 히팅수단을 통해 밥솥(10)에 열을 가하여 밥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제조된 밥을 취식 후, 밥솥(10)의 세척과정시에는, 승강모터(123)가 정회전하여, 도 8과 같이, 세미과정시 보다 밸브판(110)의 위치가 더 높은 제2상승위치로 상승되도록 구동된다. 이 경우, 메쉬망(118)은 밸브판(110)과 중공부(110) 사이 공간을 완전히 막지 못하고, 메쉬망(118)의 하단 테두리와 중공부(13)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밸브판(110)이 제2상승위치로 상승한 상태에서, 물입력포트(127)를 통해 물이 공급되면, 승강축(121)의 내부와 노즐유로(112) 및 노즐유로(112)의 노즐공(114)을 통해 물이 밥솥(10)의 내부에 분사되게 된다.
이렇게 노즐공(114)을 통해 밥솥(10)의 내부로 분사되는 물이 분사됨으로써, 밥솥(10)의 내부를 세척하고, 세척에 사용된 물은 밥알 등의 이물질과 함께 중공부(13), 배수유로부재(101)의 배수챔버(101a) 및 물배출포트(103)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때, 물에 포함된 밥알 등의 이물질은 중공부(13)와 밸프판(110)의 이격공간을 통해 배출되게 되며, 밥알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물이 물배출포트(103)를 통과할 때, 회전되는 분쇄부재(140)에 의해 밥알 등의 이물질이 분쇄되어 배출되게 됨으로써, 하수구 등의 배수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밥솥(10)의 하부에 세미 및 설거지유닛(100)이 구비되어, 밥솥(10)의 하부를 통해 물이 공급되면서 동시에 물이 배출됨으로써, 세미 또는 밥솥세척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서, 용이하게 세미나 밥솥세척이 이루어지며, 세미이나 밥솥세척성능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밥솥세척에 사용된 물의 이물질들이 분쇄부재(140)에 의해 분쇄되어 배출될 수 있어, 하수구 등의 배수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밸브판(110)이 중공부(13)를 닫고 있는 원위치(도 2참조), 세미를 위한 제1상승위치(도 7참조), 밥솥세척을 위한 제2상승위치(도 8참조) 중 어느 높이에 위치되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는 밸브위치검출센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밸브위치검출센서부(150)는 센서블럭(151)과 3개의 감지센서(152a,152b,152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블럭(151)은 물입력포트(127)의 일측에 설치되어, 승강축(121)의 승강에 따라 연동하여 상하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감지센서(152a,152b,152c)는 회전지지부재(105)의 일측으로부터 하부로 설치된 수직바(153) 상에 설치되되, 제1감지센서(152a)는 밸브판(110)이 밥솥(10)의 중공부(12)를 차단하고 있는 원상태일 경우, 센서블럭(151)과 마주하도록 구성되고, 제2감지센서(152b)는 세미를 위해 밸브판(110)이 도 7과 같이 제1상승위치로 상승된 상태에서 센서블럭(151)과 마주하도록 구성되며, 제3감지센서(152c)는 밥솥세척을 위해 밸브판(110)이 도 8과 같이 제2상승위치로 상승된 상태에서 센서블럭(151)과 마주하도록 구성되며, 제1감지센서(152a), 제2감지센서(152b), 제3감지센서(152c) 각각은 승강축(212) 및 밸브판(110)의 승강에 따라 센서블록(151)과 마주한 경우, 검출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감지센서(152a,152b,152c)가 설치된 수직바(153)는 회전지지부재(105)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게 설치될 수도 있으나, 감지센서(152a,152b,152c)를 고정설치할 수 있는 부재이면 전자동 밥솥장치의 본체하우징의 일측 어디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제1감지센서(152a), 제2감지센서(152b), 제3감지센서(152c)은 포토센서, 홀센서 등 센서블록(151)에 의해 검출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밸브위치검출센서부(150)와 검출신호에 따라 승강모터(123)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1감지센서(152a), 제2감지센서(152b) 또는, 제3감지센서(152c)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밸브판(110)의 위치높이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 감지센서(152a,152b,152c)의 감지신호에 따라, 승강모터(123)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를 제어하여, 승강축(121)를 승강 또는 하강하여 밸브판(110)의 위치를 원상태(도2, 도3), 제1상승위치(도7), 제2상승위치(도8)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밥솥 13...중공부
100...세미 및 설거지유닛 101...배수유로부재
101a...배수챔버 103...물배출포트
105...회전지지부재 110...밸브판
112...노즐유로 114...노즐공
116...패킹부재 118...메쉬망
120...승강유닛 121...승강축
122...회전부재 122a...제1기어
123...승강모터 124...모터구동축
125...제2기어 127...물입력포트
130...벨로우즈부재 140...분쇄부재
142...분쇄모터 150...밸브위치검출센서부
151...센서블럭
152a,152b,152c..제1감지센서,제2감지센서,제3감지센서

Claims (8)

  1. 중공부가 형성된 밥솥;
    밥솥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밥솥으로부터 물이 배수되는 배수유로부재;
    상기 중공부를 차단하거나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공부를 개방시키며, 상기 중공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밥솥 내부로 물을 공급하며 세미나 밥솥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노즐유로가 형성된 밸브판;
    상기 밸브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판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판은,
    상기 중공부를 차단한 상태에서 상승하여 세미가 이루어지는 제1상승위치와,
    상기 제1상승위치 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하여 밥솥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제2상승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관체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가 상기 노즐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밸브판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 제1샤프트 체결부가 형성된 승강축;
    승강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내주면에 제2샤프트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샤프트 체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모터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축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승강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축을 통해 상기 노즐유로로 물을 공급하는 물입력포트; 및,
    상기 물입력포트의 일측에 상하로 형성된 가이드레일공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물입력포트가 상기 승강축과 연동하여 상승시 상기 승강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일체로 형성된 제1기어와, 상기 승강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1기어와 기어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2기어로 이루어진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부재와 연결되는 물배출포트 및,
    상기 물배출포트 내에 설치되어 상기 물배출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쇄하는 분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판은 외주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세미시 쌀이 상기 중공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판의 하면 일측과 상기 배수유로부재의 내부 저면을 연결하며, 상기 승강축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물이나 이물질이 상기 승강축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벨로우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

KR1020160144650A 2016-11-01 2016-11-01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 KR101755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650A KR101755287B1 (ko) 2016-11-01 2016-11-01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650A KR101755287B1 (ko) 2016-11-01 2016-11-01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287B1 true KR101755287B1 (ko) 2017-07-07

Family

ID=59353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650A KR101755287B1 (ko) 2016-11-01 2016-11-01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28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98395B (zh) 一种食品加工机的排液方法
US6605157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ishwasher fluid circulation assembly
CN109998394B (zh) 一种食品加工机的排液方法
KR100994458B1 (ko) 자동 취사장치
US6698438B2 (en) Dishwasher fine filter assembly with helical flow path
US6641058B2 (en) Dishwasher spray arm hub and conduit assembly
CA2364848C (en) Dishwasher fine filter assembly with full drain slope
US6615853B2 (en) Dishwasher fine filter pressure relief
CN105662156A (zh) 全自动进水磨豆咖啡机
KR101755287B1 (ko) 세미 및 설거지유닛을 구비한 전자동 밥솥장치
KR101863666B1 (ko) 세미 및 설거지용 밸브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JPH10234565A (ja) 水流による洗米装置付き炊飯器
KR101714554B1 (ko) 전자동 밥솥용 멀티웨이 밸브장치
KR101809188B1 (ko) 취사용 물공급, 스팀배출, 자동세척 및 외기유입기능을 갖는 전자동 밥솥용 뚜껑장치
CN215502605U (zh) 一种集成式食物处理机
CN206238362U (zh) 蔬果自动清洗机
KR100444194B1 (ko) 무인 자동 취사기의 구동 장치
CN112353271B (zh) 一种智能果蔬清洗方法
CN209932650U (zh) 一种清洗机
KR100474140B1 (ko) 무인 자동 취사기의 교반익 구동 장치
CN103431823A (zh) 一种餐具洗涤机
CN109077690B (zh) 集成垃圾处理装置及洗碗机
KR101755288B1 (ko) 쌀 공급 및 물 배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밥솥
CN206761585U (zh) 物料清洗组件及烹饪器具
CN208301615U (zh) 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