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301A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301A
KR20170105301A KR1020160028355A KR20160028355A KR20170105301A KR 20170105301 A KR20170105301 A KR 20170105301A KR 1020160028355 A KR1020160028355 A KR 1020160028355A KR 20160028355 A KR20160028355 A KR 20160028355A KR 20170105301 A KR20170105301 A KR 20170105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refrigerant
water
inner cylinder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620B1 (ko
Inventor
이현우
박명진
이정훈
박찬정
허성환
이경민
이권재
예병효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8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620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5/00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제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내통; 상기 내통과의 사이에서 냉매가 유동하도록 상기 내통을 감싸는 외통; 상기 내통에 구비되며 상기 냉매에 의해서 상기 내통에 생성된 얼음을 외부로 배출하는 얼음배출부; 및 상기 외통에 구비되며 물이 유동하면서 상기 냉매에 의해서 냉각되어 냉수가 되도록 하는 냉수생성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빙기{ICE MAKER}
본 발명은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얼음뿐만 아니라 냉수도 만들 수 있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는 얼음을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제빙기는 일반적으로 공급된 물을 빙점 이하의 차가운 냉매로 빙점 이하로 냉각하여 얼음을 만든다.
이러한 제빙기로,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에 침지부재가 연결되고 침지부재가 물이 담긴 트레이부재에 잠기어 침지부재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침지식 제빙기가 있다.
또한,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가 제빙틀에 구비되고, 제빙틀에 물을 분사하여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분사식 제빙기가 있다.
그리고, 냉매가 유동하는 증발기가 제빙틀에 구비되고, 제빙틀에 물이 유동하도록 하여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유수식 제빙기가 있다.
이외, 물이 담긴 통 외부에 증발기가 감기도록 하여 통 내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고 통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이송부재를 통해 얼음을 통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오거식 제빙기가 있다.
한편, 전술한 침지식, 분사식, 유수식 제빙기에서는 얼음과 함께 냉수를 만들어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었으나, 오거식 제빙기에서는 얼음과 함께 냉수를 만들어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얼음뿐만 아니라 냉수도 만들어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다양한 형태의 얼음을 만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빙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빙기는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내통; 내통과의 사이에서 냉매가 유동하도록 내통을 감싸는 외통; 내통에 구비되며 냉매에 의해서 내통에 생성된 얼음을 외부로 배출하는 얼음배출부; 및 외통에 구비되며 물이 유동하면서 냉매에 의해서 냉각되어 냉수가 되도록 하는 냉수생성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통에는 내통에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물유입구와, 내통에서 생성된 얼음이 배출되는 얼음배출구,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유입구 및, 냉매가 배출되는 냉매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유입구는 외통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얼음배출구와 냉매유입구 및 냉매배출구는 외통의 외주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유입구와 얼음배출구는 외통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냉매유입구와 냉매배출구는 외통의 외주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배출구에는 모양형성구멍이 형성된 모양형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배출부는 냉매에 의해서 내통의 내면에 생성된 얼음을 분리하여 외통에 구비되는 얼음배출구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배출부는 내통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축부재; 및 축부재에 나선형상으로 구비되는 이송블레이드;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생성부는 외통의 외주를 나선형상으로 감싸며 물이 유동하는 유동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생성부에 생성된 얼음을 녹이도록 냉수생성부에 구비되는 히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뿐만 아니라 냉수도 만들 어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의 얼음을 만들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1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3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2실시예에 포함되는 모양형성부재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제빙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제빙기의 제1실시예
이하,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4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1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3과 같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의 제1실시예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200), 외통(300), 얼음배출부(400) 및, 냉수생성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내통(200)에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내통(200)에는 저장공간(SS)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통(200)의 저장공간(SS)에는 후술할 물유입구(310)가 연결될 수 있다.
물유입구(310)는 수도 등의 원수공급원 등과 같은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는 물공급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연결관의 물공급밸브가 열리면, 물공급원의 물이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유입구(310)를 통해 내통(200)의 저장공간(SS)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내통(2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내통(2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외통(300)은 내통(200)과의 사이에서 냉매가 유동하도록 내통(200)을 감쌀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외통(300)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통(300)의 수용공간에 내통(200)이 구비되어, 외통(300)과 내통(200) 사이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공간(SR)이 형성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면(SC)이 내통(200)과 외통(300)의 일측을 동시에 덮으면서 내통(200)과 외통(300)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덮개부재(CV)에 의해서 내통(200)과 외통(300)의 개방된 타측이 동시에 덮일 수 있다.
그러나, 내통(200)과 외통(300)이 연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냉매유동공간(SR)이 형성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외통(300)도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외통(3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내통(200)과의 사이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내통(200)을 감쌀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외통(300)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유입구(310)와, 얼음배출구(320), 냉매유입구(330) 및, 냉매배출구(340)가 구비될 수 있다.
물유입구(310)의 일측은 물공급밸브가 구비된 연결관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물유입구(310)의 타측은 내통(200)의 저장공간(SS)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밸브가 열리면 전술하고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이 연결관과 물유입구(310)를 통해 내통(200)의 저장공간(SS)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물유입구(310)는 외통(300)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물유입구(3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덮개면(SC)에 구비되어 내통(200)의 저장공간(SS)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물유입구(310)의 외통(300)에서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내통(200)의 저장공간(SS)에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위치라면 외통(300)의 어떠한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
얼음배출구(320)를 통해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200)에서 생성된 얼음(I)이 배출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배출구(320)는 외통(300)을 관통하여 내통(200)의 저장공간(SS)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통(200)에서 생성된 얼음(I)이 얼음배출구(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얼음배출구(320)는 외통(300)의 외주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얼음배출구(320)의 외통(300)에서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내통(200)에서 생성된 얼음(I)이 배출될 수 있는 위치라면 외통(300)의 어떠한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
냉매유입구(330)에는 냉매가 유입될 수 있다. 냉매유입구(330)의 일측은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팽창밸브 또는 모세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관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냉매유입구(330)의 타측은 내통(200)과 외통(300) 사이에 형성된 냉매유동공간(SR)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압축기(도시되지 않음)가 구동되면,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빙점 이하의 저온의 냉매가 냉매유입구(330)를 통해 내통(200)과 외통(300) 사이의 냉매유동공간(SR)에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다.
냉매유입구(330)는 외통(300)의 외주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냉매유입구(330)의 외통(300)에서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내통(200)과 외통(300) 사이에 냉매가 유입될 수 있는 위치라면 외통(300)의 어떠한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
냉매배출구(340)로부터는 냉매가 배출될 수 있다. 냉매배출구(340)의 일측은 내통(200)과 외통(300) 사이의 냉매유동공간(SR)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냉매배출구(340)의 타측은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전술한 압축기에 연결관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압축기가 구동되면 냉매유동공간(SR)을 유동한 빙점 이하의 저온의 냉매가 냉매배출구(340)를 통해 배출되어 압축기에 유입될 수 있다.
냉매배출구(340)는 외통(300)의 외주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냉매배출구(340)의 외통(300)에서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냉매가 배출될 수 있는 위치라면 외통(300)의 어떠한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내통(200)을 감싸도록 외통(300)을 구비하여, 외통(300)과 내통(200) 사이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냉매가 유동하는 관 형태의 증발기(도시되지 않음)가 내통(200)을 감쌀 수도 있다.
얼음배출부(400)는 내통(200)에 구비될 수 있다. 얼음배출부(400)는, 예컨대 내통(200)의 저장공간(SS)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배출부(400)는 외통(200)과 내통(300) 사이를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서 내통(200)에 생성된 얼음(I)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외통(200)과 내통(300) 사이의 냉매유동공간(SR)에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빙점 이하의 저온의 냉매가 유동하면, 내통(200)의 저장공간(SS)에 저장된 물이 냉각되어 내통(200)의 내면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배출부(4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200)의 내면에 생성된 얼음(I)을 분리하여 얼음배출구(32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얼음배출부(400)는 축부재(410)와 이송블레이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축부재(410)는 내통(200)의 내부, 예컨대 내통(200)의 저장공간(SS)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축부재(410)는 구동모터나 기어 등을 포함하는 회전구동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축부재(410)는 회전구동유닛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이송블레이드(420)는 축부재(410)에 나선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구동유닛에 의해서 축부재(410)가 회전하면 이송블레이드(420)도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내통(200)의 내면에 형성된 얼음(I)이 이송블레이드(420)에 의해서 긁혀서 내통(200)의 내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얼음배출구(32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얼음배출구(320) 측으로 이송된 얼음(I)은 얼음배출구(3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축부재(410)의 회전속도를 비교적 느리게 하면, 얼음(I)이 비교적 단단한 상태로 얼음배출구(320)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축부재(310)의 회전속도를 비교적 빠르게 하면, 얼음(I)이 슬러시 상태로 얼음배출구(320)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축부재(4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의 얼음(I)을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냉수생성부(500)는 외통(300)에 구비될 수 있다. 냉수생성부(500)는 물이 유동하면서 내통(200)과 외통(300) 사이를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서 냉각되어 냉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냉수생성부(500)는 유동관(510)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동관(510)은 외통(300)의 외주를 나선형상으로 감싸며 물이 유동할 수 있다.
유동관(510)의 일측은 냉수생성용 물공급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 연결관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동관(510)의 타측은 연결관에 의해서 콕크나 파우셋 등의 배출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200)과 외통(300) 사이의 냉매유동공간(SR)에 빙점 이하의 저온의 냉매가 유동하는 상태에서 냉수생성용 공급밸브가 열리면, 물공급원의 물이 유동관(510)을 유동하면서 빙점 이하의 저온의 냉매에 의해서 냉각되어 냉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냉수는 유동관(510)을 유동한 후 연결관과 배출부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유동관(510)이 연결되는 물공급원은 전술한 외통(300)의 물유입구(310)가 연결되는 물공급원과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물유입구(310)가 연결되는 물공급원과 유동관(510)이 연결되는 물공급원은 다를 수도 있다.
예컨대, 물유입구(310)가 연결되는 물공급원은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원이고, 유동관(510)이 연결되는 물공급원은 정수필터를 포함하여 물을 여과하여 정수로 만드는 정수공급원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1실시예는 히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600)는 냉수생성부(500)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히터(600)는 냉수생성부(500)의 유동관(510)에 구비될 수 있다.
히터(600)에 의해서 냉수생성부(500), 예컨대 냉수생성부(500)의 유동관(510)에 생성된 얼음(I)이 녹을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200)에 얼음(I)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냉수생성부(500), 예컨대 냉수생성부(500)의 유동관(510)에는 물이 유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내통(200)과 외통(300) 사이의 냉매유동공간(SR)을 유동하는 빙점 이하의 저온의 냉매에 의해서 냉수생성부(500)의 유동관(510)에 있는 물이 냉각되어 유동관(510)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냉수생성용 물공급밸브를 열어도 냉수생성부(500)의 유동관(510)에 생성된 얼음(I) 때문에 유동관(510)에 물이 유동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히터(600)에 의해서 냉수생성부(500)의 유동관(510)에 생성된 얼음(I)을 녹이면, 냉수생성부(500)의 유동관(510)에 물이 유동하게 되어 냉수가 생성될 수 있다.
냉수생성부(500)에 구비되는 히터(600)는,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히터일 수 있다. 그러나, 히터(60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냉수생성부(500)에 생성된 얼음(I)을 녹일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빙기의 제2실시예
이하, 도6과 도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2실시예에 포함되는 모양형성부재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2실시예는 상기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1실시예와 얼음배출구(320)의 구비 위치와 얼음배출구(320)에 모양형성구멍(321a)이 형성된 모양형성부재(321)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2실시예에서 얼음배출구(32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300)의 타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얼음배출구(320)는 내통(200)의 개방된 타측과 외통(300)의 개방된 타측을 동시에 덮는 덮개부재(CV)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얼음배출구(320)가 용이하게 외통(300)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제2실시예에서 얼음배출구(320)에는 모양형성구멍(321a)이 형성된 모양형성부재(3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내통(200)의 내면에 생성된 얼음(I)이 얼음배출부(400)에 의해서 이송되어 얼음배출구(320)를 통해 배출될 때, 모양형성구멍(321a)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얼음(I)이 배출될 수 있다.
모양형성부재(321)의 모양형성구멍(321a)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모양이나 육각형 또는 타원형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를 사용하면, 얼음뿐만 아니라 냉수도 만들어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얼음을 만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제빙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제빙기 200 : 내통
300 : 외통 310 : 물유입구
320 : 얼음배출구 321 : 모양형성부재
321a : 모양형성구멍 330 : 냉매유입구
340 : 냉매배출구 400 : 얼음배출부
410 : 축부재 420 : 이송블레이드
500 : 냉수생성부 510 : 유동관
600 : 히터 SS : 저장공간
SR : 냉매유동공간 SC : 덮개면
CV : 덮개부재

Claims (9)

  1.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내통;
    상기 내통과의 사이에서 냉매가 유동하도록 상기 내통을 감싸는 외통;
    상기 내통에 구비되며 상기 냉매에 의해서 상기 내통에 생성된 얼음을 외부로 배출하는 얼음배출부; 및
    상기 외통에 구비되며 물이 유동하면서 상기 냉매에 의해서 냉각되어 냉수가 되도록 하는 냉수생성부;
    를 포함하는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에는 상기 내통에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물유입구와, 상기 내통에서 생성된 얼음이 배출되는 얼음배출구,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유입구 및, 냉매가 배출되는 냉매배출구가 구비되는 제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유입구는 상기 외통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얼음배출구와 냉매유입구 및 냉매배출구는 상기 외통의 외주에 구비되는 제빙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유입구와 얼음배출구는 상기 외통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냉매유입구와 냉매배출구는 상기 외통의 외주에 구비되는 제빙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배출구에는 모양형성구멍이 형성된 모양형성부재가 구비되는 제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배출부는 상기 냉매에 의해서 상기 내통의 내면에 생성된 얼음을 분리하여 상기 외통에 구비되는 얼음배출구로 이송시키는 제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배출부는
    상기 내통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축부재; 및
    상기 축부재에 나선형상으로 구비되는 이송블레이드;
    를 포함하는 제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생성부는 상기 외통의 외주를 나선형상으로 감싸며 물이 유동하는 유동관을 포함하는 제빙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생성부에 생성된 얼음을 녹이도록 상기 냉수생성부에 구비되는 히터; 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KR1020160028355A 2016-03-09 2016-03-09 제빙기 KR102482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355A KR102482620B1 (ko) 2016-03-09 2016-03-09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355A KR102482620B1 (ko) 2016-03-09 2016-03-09 제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301A true KR20170105301A (ko) 2017-09-19
KR102482620B1 KR102482620B1 (ko) 2022-12-29

Family

ID=6003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355A KR102482620B1 (ko) 2016-03-09 2016-03-09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62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4945A (zh) * 2018-06-21 2018-10-19 山东省同泰维润食品科技有限公司 氢氧化钙粉末上料装置
KR20190045834A (ko) * 2017-10-24 2019-05-03 윤석규 오거식 제빙기
KR20190045835A (ko) * 2017-10-24 2019-05-03 윤석규 오거식 제빙기
KR101976509B1 (ko) * 2018-11-19 2019-05-10 윤석규 오거식 제빙기의 원기둥형 얼음의 배출구조
KR20190079056A (ko) * 2017-12-27 2019-07-05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CN111285033A (zh) * 2018-12-06 2020-06-16 北方奥钛纳米技术有限公司 物料输送装置
KR102354689B1 (ko) * 2020-07-27 2022-02-07 주식회사 동패인터내셔널 오거식 제빙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2745U (ko) * 1977-12-29 1979-07-19
JPH06117740A (ja) * 1992-10-01 1994-04-28 Sanyo Electric Co Ltd 製氷装置
JPH11351715A (ja) * 1998-06-15 1999-12-24 Hoshizaki Electric Co Ltd オーガ式製氷機
JP2006023068A (ja) * 2004-06-08 2006-01-26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2745U (ko) * 1977-12-29 1979-07-19
JPH06117740A (ja) * 1992-10-01 1994-04-28 Sanyo Electric Co Ltd 製氷装置
JPH11351715A (ja) * 1998-06-15 1999-12-24 Hoshizaki Electric Co Ltd オーガ式製氷機
JP2006023068A (ja) * 2004-06-08 2006-01-26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834A (ko) * 2017-10-24 2019-05-03 윤석규 오거식 제빙기
KR20190045835A (ko) * 2017-10-24 2019-05-03 윤석규 오거식 제빙기
KR20190079056A (ko) * 2017-12-27 2019-07-05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CN108674945A (zh) * 2018-06-21 2018-10-19 山东省同泰维润食品科技有限公司 氢氧化钙粉末上料装置
KR101976509B1 (ko) * 2018-11-19 2019-05-10 윤석규 오거식 제빙기의 원기둥형 얼음의 배출구조
CN111285033A (zh) * 2018-12-06 2020-06-16 北方奥钛纳米技术有限公司 物料输送装置
KR102354689B1 (ko) * 2020-07-27 2022-02-07 주식회사 동패인터내셔널 오거식 제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620B1 (ko)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5301A (ko) 제빙기
US8443621B2 (en) Ice maker and method for making ice
EP2419192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RU2011104044A (ru) Холодильник
US20160370065A1 (en) Ice tray apparatus and method
US20180216862A1 (en) Ice maker for an appliance
EP2320175B1 (en) Refrigerator with ice maker
KR102544432B1 (ko) 제빙기
KR20120054912A (ko) 얼음저장고
KR20100110663A (ko) 정수 장치
KR102186818B1 (ko) 제빙기
KR20140001531A (ko) 기능수 제조장치
KR100991799B1 (ko) 슬러시 제조장치
US10139145B2 (en) Filters for stand-alone ice making appliances
KR101443984B1 (ko) 얼음 정수기
KR101675746B1 (ko) 제빙기
US20180010837A1 (en) Stand-Alone Ice Making Appliance
KR20170023277A (ko) 제빙기
KR20090074984A (ko) 냉장고의 얼음분쇄기
KR101732166B1 (ko)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CN100498166C (zh) 电冰箱分配器的供水管
JP7007573B2 (ja) 製氷システム
US10571179B2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a clear icemaker
KR20160012253A (ko) 냉수공급장치
KR102316928B1 (ko) 제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