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546A - 냉수탱크 - Google Patents

냉수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546A
KR20210130546A KR1020200048913A KR20200048913A KR20210130546A KR 20210130546 A KR20210130546 A KR 20210130546A KR 1020200048913 A KR1020200048913 A KR 1020200048913A KR 20200048913 A KR20200048913 A KR 20200048913A KR 20210130546 A KR20210130546 A KR 20210130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fixed frame
tank body
cover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4221B1 (ko
Inventor
마상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물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물산
Priority to KR1020200048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221B1/ko
Publication of KR20210130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69Cooling arrangements using solid state elements, e.g. Peltier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4Shape o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44Ins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냉수탱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부고정프레임과 하부고정프레임의 한 쌍으로 제공되어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을 'ㄷ'자 형상으로 감싸도록 수조의 상, 하부로부터 상호 일체형 고정수단을 통해 조립고정되는 고정프레임이 적용됨으로써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둘레부분에 대하여 밀폐구조로 감싸도록 조립고정되어 별도의 분리된 고정수단이 요구됨이 없이 일체형 고정수단을 통해 간편하게 조립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을 'ㄷ'자 형상으로 감싸는 고정프레임을 통하여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대향되어 밀착되는 부분에 삽입되는 실링패킹과 함께 'ㄷ'자 형상으로 감싸는 별도의 추가적인 실링 구조가 적용된 이중의 실링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조본체 내부에 대한 외부와의 더욱 긴밀한 밀폐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냉수탱크{Cold water tank}
본 발명은 냉수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고정프레임과 하부고정프레임의 한 쌍으로 제공되어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을 'ㄷ'자 형상으로 감싸도록 수조의 상, 하부로부터 상호 일체형 고정수단을 통해 조립고정되는 고정프레임이 적용됨으로써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둘레부분에 대하여 밀폐구조로 감싸도록 조립고정되어 별도의 분리된 고정수단이 요구됨이 없이 일체형 고정수단을 통해 간편하게 조립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을 'ㄷ'자 형상으로 감싸는 고정프레임을 통하여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대향되어 밀착되는 부분에 삽입되는 실링패킹과 함께 'ㄷ'자 형상으로 감싸는 별도의 추가적인 실링 구조가 적용된 이중의 실링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조본체 내부에 대한 외부와의 더욱 긴밀한 밀폐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냉수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정수기는 수도수 또는 자연수 등의 원수(原水)를 복수 개의 필터를 이용해 여과한 다음, 바로 마실 수 있는 음용수를 제공하거나, 또는 정수된 음용수를 저수탱크에 저장한 다음, 별도의 냉각장치 및 가열장치를 구비하여 냉수나 온수를 제공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갖는다.
종래의 정수기로서,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5933호 2012.08.16.등록.)에서 보는 바와 같은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언더싱크용 냉정수기'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종래의 언더싱크용 냉정수기는 주방의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는 언더싱크용 냉정수기에 있어서, 원수공급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받아 복수개의 필터를 이용하여 음용 가능한 음용수로 정수되게 하는 정수 키트(kit); 및 정수 키트를 통해 음용수로 정수된 물을 저장한 후 냉각시킬 수 있도록 열전반도체 유닛(unit)을 구비하는 냉정수 키트;를 포함한다.
또한, 냉정수 키트는, 정수 키트로부터 음용수로 정수된 물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는 저수탱크와, 저수탱크에 밀착되어 정수된 물을 냉각시킬 수 있는 열전반도체와, 열전반도체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와, 열전반도체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MPS)를 포함한다.
그러나 수처리 기기인 냉정수기에서의 종래의 냉수탱크는 분리된 저수탱크 베이스 플레이트(411a)와 저수탱크 본체 플레이트(411b)를 조립하기 위하여 홀더(420)가 구비되어 있는데, 홀더(420)의 형상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며, 홀더(410) 만으로는 밀착과 누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통본체에 열전달판을 직접 조립할 수 있도록, 수통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입수부, 출수부, 온도센서, 수위센서와 출수보조파이프, UV LED 등의 부재들의 간섭을 회피하면서도 수통본체에 보다 쉽고 용이하게 열전달판을 조립할 수 있는 수통본체 구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98639호 2018.09.07.등록.)에서 보는 바와 같은 냉수 공급장치의 수통구조가 개발되었다.
특허문헌 2에서 보는 바와 같은 냉수 공급장치의 수통구조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공간의 일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 내로 물이 유입되는 입수부 및 상기 내부공간 내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출수부가 각각 마련되어 있는 수통본체; 상기 수통본체의 개방된 면을 폐쇄할 수 있는 열전달판; 상기 수통본체의 개방된 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되, 다수의 부분으로 분리 가능하며, 상기 열전달판이 체결되는 체결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프레임은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어, 횡단면이 '디귿자' 형상이며, 상기 수통본체의 개방된 면의 상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상부 체결프레임과, 상기 수통본체의 개방된 면의 하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하부 체결프레임으로 분리 가능하고, 상기 상부 체결프레임의 양끝단 중 어느 일단에는 조립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 체결프레임의 조립부는 상기 하부 체결프레임의 어느 일단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고, 상기 하부 체결프레임의 양끝단 중 나머지 일단에는 조립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 체결프레임의 조립부는 상기 상부 체결프레임의 나머지 일단의 개방된 부분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수통본체의 개방된 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면서, 상기 상부 체결프레임과 상기 하부 체결프레임이 조립되며, 상기 각 체결프레임에는 전면에 실링부재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열전달판과 체결수단으로 체결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통본체의 개방된 면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링부재 안착부에 안착되며, 일측으로 개방되어 있어 상기 절곡부에 끼워지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절곡부에 상기 실링부재의 개방된 부분이 끼워진 상태로 상기 실링부재 안착부 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개선된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에 적용되는 냉수탱크로서의, 냉수 공급장치의 수통구조는 체결프레임이 상부 체결프레임과 하부 체결프레임으로 분리되어 조립부가 개방된 부분에 삽입되도록 하여 조립할 수 있으나, 별도의 고정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체결프레임의 고정설치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부 체결프레임과 하부 체결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체결프레임은 수통본체의 열전달판과 밀착되는 플랜지 부분 외면에만 밀착된 상태로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실링부재와 함께 추가적인 실링처리를 구현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이중의 실링구조를 구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수통본체와 수통본체의 개방부분을 덮는 커버로 적용되는 열전달판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둘레부분에 대하여 밀폐구조로 감싸도록 조립고정되되 별도의 분리된 고정수단이 요구됨이 없이 일체형 고정수단을 통해 간편하게 조립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통본체와 열전달판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둘레부분에 대하여 'ㄷ'자 형상으로 감싸도록 밀착설치되도록 하여 실링부재와 함께 별도의 추가적인 실링 구조가 적용된 이중의 실링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수통본체 내부에 대한 외부와의 더욱 긴밀한 밀폐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냉수탱크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5933호 2012.08.16.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98639호 2018.09.07.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01354호 2017.01.24.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49394호 2017.06.14.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66541호 2017.08.02.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23619호 2019.09.16.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고정프레임과 하부고정프레임의 한 쌍으로 제공되어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을 'ㄷ'자 형상으로 감싸도록 수조의 상, 하부로부터 상호 일체형 고정수단을 통해 조립고정되는 고정프레임이 적용됨으로써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둘레부분에 대하여 밀폐구조로 감싸도록 조립고정되어 별도의 분리된 고정수단이 요구됨이 없이 일체형 고정수단을 통해 간편하게 조립고정될 수 있도록 한 냉수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상부고정프레임과 하부고정프레임의 한 쌍으로 제공되어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을 'ㄷ'자 형상으로 감싸도록 수조의 상, 하부로부터 상호 일체형 고정수단을 통해 조립고정되는 고정프레임이 적용됨으로써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을 'ㄷ'자 형상으로 감싸는 고정프레임을 통하여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대향되어 밀착되는 부분에 삽입되는 실링패킹과 함께 'ㄷ'자 형상으로 감싸는 별도의 추가적인 실링 구조가 적용된 이중의 실링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조본체 내부에 대한 외부와의 더욱 긴밀한 밀폐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는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에 적용되어 내부로 유입된 물을 임시로 저장하면서 냉각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물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을 갖는 수조본체와 수조본체의 개방 측을 덮는 수조커버로 구성되되, 수조본체와 수조커버가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어 수조본체의 플랜지 부분 일 면에 패킹설치홈이 절곡을 통해 형성되는 수조; 상기 수조본체의 패킹설치홈에 안착설치되어,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부분에 대하여 실링처리하는 실링패킹; 상기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에 대하여 'ㄷ'자 형상으로 감싸도록 수조의 상, 하부로부터 일체형 고정수단을 통해 조립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수조의 수조본체 외면 부분을 감싸면서 수조본체에 대하여 외부와 열교환하는 것을 차단되도록 하는 단열재본체; 상기 수조의 수조커버 부분에 밀착되어 단열재본체의 개방부분을 덮으면서 수조커버에 대하여 외부와 열교환하는 것을 차단되도록 하는 단열재커버; 단열재커버의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일 측이 수조커버와 밀착되도록 수조커버에 고정설치되어, 수조 측으로 열전모듈에 의해 발생하는 냉기를 전달하기 위한 열전모듈유닛; 일 측이 열전모듈유닛의 타 측에 접촉되게 연결설치되며, 열전모듈유닛으로부터의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 및 상기 방열판의 타 측에 연결설치되며, 공기가 상기 방열판에 유입되도록 하여 방열판을 냉각하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에 대하여 'ㄷ'자 형상으로 감싸도록 각각 'ㄷ'자형의 횡단면을 가지면서 수조의 상, 하부로부터 일체형 고정수단을 통해 조립고정되는 역 'U'자형과 'U'자 형의 상부고정프레임과 하부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일체형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고정프레임의 하단 어느 일 측에 대한 외면과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의 상단 어느 일 측에 대한 외면에 후크 타입으로 구비되는 고정후크 및 상기 상부고정프레임의 하단 어느 타 측에 대한 외면과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의 상단 어느 타 측에 대한 외면에 고리 타입으로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후크가 걸림고정되는 고정고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일체형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고정프레임의 하단 어느 일 측에 대한 외면과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의 상단 어느 타 측에 대한 외면에 상호 걸림고정을 통해 조립되도록 구비되되, 상부고정프레임과 하부고정프레임의 마주하여 밀착되는 측에 대한 둘레방향 외측인 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일체형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고정프레임의 하단 어느 일 측에 대한 외면과 상기 하부고정프레임의 상단 어느 타 측에 대한 외면에 상호 걸림고정을 통해 조립되도록 구비되되, 상부고정프레임과 하부고정프레임의 마주하여 밀착되는 측에 대한 전면 측 또는 후면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은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에 대하여 'ㄷ'자 형상으로 감싸도록 각각 'ㄷ'자형의 횡단면을 가지면서 수조의 상, 하부로부터 일체형 고정수단을 통해 조립고정되되, 'ㄷ'자 형의 횡단면 내부에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 끝단 일정길이만큼 삽입고정되는 삽입고정홈이 형성되며, 삽입고정홈으로부터 외향 일정거리 떨어져 삽입고정홈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확장되어 실링패킹이 안착설치되는 수조본체의 패킹설치홈 외측 면이 삽입 밀착되는 확장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에 대하여 'ㄷ'자 형상으로 감싸도록 일체형 고정수단을 통해 조립고정된 상태에서,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을 관통하여 상호 체결되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열전모듈유닛은 일 측인 후면이 수조커버와 밀착되는 냉 전도판과, 냉 전도판의 전방에 배치되는 열전모듈하우징과, 열전모듈하우징 내부에 삽입설치되며, 흡열 측인 후면이 냉 전도판의 전면과 밀착되어 수조커버 측으로 냉기가 전달되도록 하는 열전모듈 및 후면이 열전모듈의 발열 측인 전면에 밀착되며, 전면에 접촉되게 연결설치된 방열판을 통해 열전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전도시키는 열 전도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부고정프레임과 하부고정프레임의 한 쌍으로 제공되어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을 'ㄷ'자 형상으로 감싸도록 수조의 상, 하부로부터 상호 일체형 고정수단을 통해 조립고정되는 고정프레임이 적용됨으로써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둘레부분에 대하여 밀폐구조로 감싸도록 조립고정되어 별도의 분리된 고정수단이 요구됨이 없이 일체형 고정수단을 통해 간편하게 조립고정될 수 있다.
둘째, 상부고정프레임과 하부고정프레임의 한 쌍으로 제공되어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을 'ㄷ'자 형상으로 감싸도록 수조의 상, 하부로부터 상호 일체형 고정수단을 통해 조립고정되는 고정프레임이 적용됨으로써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을 'ㄷ'자 형상으로 감싸는 고정프레임을 통하여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대향되어 밀착되는 부분에 삽입되는 실링패킹과 함께 'ㄷ'자 형상으로 감싸는 별도의 추가적인 실링 구조가 적용된 이중의 실링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조본체 내부에 대한 외부와의 더욱 긴밀한 밀폐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를 나타낸 것으로, 요부인 물탱크 본체와 물탱크 커버가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둘레부분에 대하여 상부고정프레임 및 하부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 고정프레임을 통해 고정되는 구조를 나타낸 요부 결합 단면예시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를 나타낸 것으로, 요부인 물탱크 본체와 물탱크 커버가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둘레부분에 대하여 상부고정프레임 및 하부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 고정프레임을 통해 고정되는 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 및 요부 결합 사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요부인 고정프레임을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를 나타낸 것으로, 요부인 물탱크 본체와 물탱크 커버가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둘레부분에 대하여 상부고정프레임 및 하부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 고정프레임을 통해 고정되는 구조를 나타낸 요부 결합 단면예시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를 나타낸 것으로, 요부인 물탱크 본체와 물탱크 커버가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둘레부분에 대하여 상부고정프레임 및 하부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 고정프레임을 통해 고정되는 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 및 요부 결합 사시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요부인 고정프레임을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이다.
도 1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수탱크는 크게 분류하면, 수조(100), 실링패킹(200), 고정프레임(300), 단열재본체(410), 단열재커버(420), 열전모듈유닛(500), 방열판(600) 및 냉각팬(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조(100)는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에 적용되어 내부로 유입된 물을 임시로 저장하면서 냉각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물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을 갖는 수조본체(110)와 수조본체의(110) 개방 측을 덮는 수조커버(1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수조(100)는 특히,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가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어 수조본체(110)의 플랜지 부분 일 면에 패킹설치홈(111)이 절곡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수조(100)를 구성하는 수조본체(110)는 내부에 분리벽체(110a)가 구비되어 물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분리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링패킹(200)은 상기 수조본체(110)의 패킹설치홈(111)에 안착설치되어,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부분에 대하여 실링처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300)은 상기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에 대하여 'ㄷ'자 형상으로 감싸도록 수조의 상, 하부로부터 일체형 고정수단(330)을 통해 조립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열재본체(410)는 상기 수조(100)의 수조본체(110) 외면 부분을 감싸면서 수조본체(110)에 대하여 외부와 열교환하는 것을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열재본체(4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로 분할된 한 쌍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단열재커버(420)는 상기 수조(100)의 수조커버(120) 부분에 밀착되어 단열재본체(410)의 개방부분을 덮으면서 수조커버(120)에 대하여 외부와 열교환하는 것을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열전모듈유닛(500)은 단열재커버(420)의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일 측이 수조커버(120)와 밀착되도록 수조커버(120)에 고정설치되어, 수조(100) 측으로 열전모듈(530)에 의해 발생하는 냉기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방열판(600)은 일 측이 열전모듈유닛(500)의 타 측에 접촉되게 연결설치되며, 열전모듈유닛(500)으로부터의 열을 방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냉각팬(700)은 상기 방열판(600)의 타 측에 연결설치되며, 공기가 상기 방열판(600)에 유입되도록 하여 방열판(600)을 냉각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에서 특히, 요부인 고정프레임(300)은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에 대하여 'ㄷ'자 형상으로 감싸도록 각각 'ㄷ'자형의 횡단면을 가지면서 수조(100)의 상, 하부로부터 일체형 고정수단(330)을 통해 조립고정되는 역 'U'자형과 'U'자 형의 상부고정프레임(310)과 하부고정프레임(32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일체형 고정수단(330)은 상기 상부고정프레임(310)의 하단 어느 일 측에 대한 외면과 상기 하부고정프레임(320)의 상단 어느 일 측에 대한 외면에 후크 타입으로 구비되는 고정후크(331) 및 상기 상부고정프레임(310)의 하단 어느 타 측에 대한 외면과 상기 하부고정프레임(320)의 상단 어느 타 측에 대한 외면에 고리 타입으로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후크(331)가 걸림고정되는 고정고리(33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일체형 고정수단(330)은 상기 상부고정프레임(310)의 하단 어느 일 측에 대한 외면과 상기 하부고정프레임(320)의 상단 어느 타 측에 대한 외면에 상호 걸림고정을 통해 조립되도록 구비되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고정프레임(310)과 하부고정프레임(320)의 마주하여 밀착되는 측에 대한 둘레방향 외측인 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물론, 상기 일체형 고정수단(330)은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상부고정프레임(310)의 하단 어느 일 측에 대한 외면과 상기 하부고정프레임(320)의 상단 어느 타 측에 대한 외면에 상호 걸림고정을 통해 조립되도록 구비되되, 상부고정프레임(310)과 하부고정프레임(320)의 마주하여 밀착되는 측에 대한 전면 측 또는 후면 측에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더욱이, 일체형 고정수단(330)은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부고정프레임(310)과 하부고정프레임(320)의 마주하여 밀착되는 측에 대한 둘레방향 외측인 측면과, 전면 측 및 후면 측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의 요부인 상기 고정프레임(300)은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에 대하여 'ㄷ'자 형상으로 감싸도록 각각 'ㄷ'자형의 횡단면을 가지면서 수조(100)의 상, 하부로부터 일체형 고정수단(330)을 통해 조립고정되되, 'ㄷ'자 형의 횡단면 내부에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 끝단 일정길이만큼 삽입고정되는 삽입고정홈(311, 321)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프레임(300)은 삽입고정홈(311, 321)으로부터 외향 일정거리 떨어져 삽입고정홈(311, 321)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확장되어 실링패킹(200)이 안착설치되는 수조본체(110)의 패킹설치홈(111) 외측 면이 삽입 밀착되는 확장고정홈(312, 3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정프레임(300)은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에 대하여 'ㄷ'자 형상으로 감싸도록 일체형 고정수단(330)을 통해 조립고정된 상태에서,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을 관통하여 상호 체결되는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은 통상의 냉수탱크에서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둘레부분을 고정시키는 것으로서의 볼트 또는 볼트와 너트로 제공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둘레부분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통공(미부호)이 관통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고정프레임(300)의 둘레방향에 대하여서도 수조본체(110) 및 수조커버(120)의 통공(미부호)과 대응되어 일정간격을 가지고 통공(미부호)이 관통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부분에 고정프레임(300)이 조립고정된 상태로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에서의 요부인 상기 열전모듈유닛(500)은 크게 분류하면 냉 전도판(510)과, 열전모듈하우징(520)과, 열전모듈(530) 및 열 전도판(540)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냉 전도판(510)은 일 측인 후면이 수조커버(120)와 밀착되는 것이며, 상기 열전모듈하우징(520)은 냉 전도판(510)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열전모듈(530)은 열전모듈하우징(520) 내부에 삽입설치되며, 흡열 측인 후면이 냉 전도판(510)의 전면과 밀착되어 수조커버(120) 측으로 냉기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 전도판(540)은 후면이 열전모듈(530)의 발열 측인 전면에 밀착되며, 전면에 접촉되게 연결설치된 방열판(600)을 통해 열전모듈(53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전도시키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열전모듈유닛(500)은 볼트(미도시)와 너트(도 2에 도시된 육각너트)로 구성된 고정수단을 통해 수조커버(120) 상에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수탱크에 의하면, 상부고정프레임과 하부고정프레임의 한 쌍으로 제공되어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을 'ㄷ'자 형상으로 감싸도록 수조의 상, 하부로부터 상호 일체형 고정수단을 통해 조립고정되는 고정프레임이 적용됨으로써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둘레부분에 대하여 밀폐구조로 감싸도록 조립고정되어 별도의 분리된 고정수단이 요구됨이 없이 일체형 고정수단을 통해 간편하게 조립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부고정프레임과 하부고정프레임의 한 쌍으로 제공되어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을 'ㄷ'자 형상으로 감싸도록 수조의 상, 하부로부터 상호 일체형 고정수단을 통해 조립고정되는 고정프레임이 적용됨으로써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을 'ㄷ'자 형상으로 감싸는 고정프레임을 통하여 수조본체와 수조커버의 대향되어 밀착되는 부분에 삽입되는 실링패킹과 함께 'ㄷ'자 형상으로 감싸는 별도의 추가적인 실링 구조가 적용된 이중의 실링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조본체 내부에 대한 외부와의 더욱 긴밀한 밀폐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수조
110: 수조본체 111: 패킹설치홈
110a: 분리벽체 120: 수조커버
200: 실링패킹
300: 고정프레임
310: 상부고정프레임 311: 삽입고정홈
312: 확장고정홈 320: 하부고정프레임
321: 삽입고정홈 322: 확장고정홈
330: 일체형 고정수단 331: 고정후크
332: 고정고리
410: 단열재본체
420: 단열재커버
500: 열전모듈유닛
510: 냉 전도판 520: 열전모듈 하우징
530: 열전모듈 540: 열 전도판
600: 방열판
700: 냉각팬

Claims (7)

  1. 수처리 기기의 유체 냉각장치에 적용되어 내부로 유입된 물을 임시로 저장하면서 냉각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물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을 갖는 수조본체(110)와 수조본체의(110) 개방 측을 덮는 수조커버(120)로 구성되되,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가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어 수조본체(110)의 플랜지 부분 일 면에 패킹설치홈(111)이 절곡을 통해 형성되는 수조(100);
    상기 수조본체(110)의 패킹설치홈(111)에 안착설치되어,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되는 부분에 대하여 실링처리하는 실링패킹(200);
    상기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에 대하여 'ㄷ'자 형상으로 감싸도록 수조의 상, 하부로부터 일체형 고정수단(330)을 통해 조립고정되는 고정프레임(300);
    상기 수조(100)의 수조본체(110) 외면 부분을 감싸면서 수조본체(110)에 대하여 외부와 열교환하는 것을 차단되도록 하는 단열재본체(410);
    상기 수조(100)의 수조커버(120) 부분에 밀착되어 단열재본체(410)의 개방부분을 덮으면서 수조커버(120)에 대하여 외부와 열교환하는 것을 차단되도록 하는 단열재커버(420);
    단열재커버(420)의 중앙부분을 관통하여 일 측이 수조커버(120)와 밀착되도록 수조커버(120)에 고정설치되어, 수조(100) 측으로 열전모듈(530)에 의해 발생하는 냉기를 전달하기 위한 열전모듈유닛(500);
    일 측이 열전모듈유닛(500)의 타 측에 접촉되게 연결설치되며, 열전모듈유닛(500)으로부터의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600); 및
    상기 방열판(600)의 타 측에 연결설치되며, 공기가 상기 방열판(600)에 유입되도록 하여 방열판(600)을 냉각하는 냉각팬(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수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300)은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에 대하여 'ㄷ'자 형상으로 감싸도록 각각 'ㄷ'자형의 횡단면을 가지면서 수조(100)의 상, 하부로부터 일체형 고정수단(330)을 통해 조립고정되는 역 'U'자형과 'U'자 형의 상부고정프레임(310)과 하부고정프레임(320)으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일체형 고정수단(330)은 상기 상부고정프레임(310)의 하단 어느 일 측에 대한 외면과 상기 하부고정프레임(320)의 상단 어느 일 측에 대한 외면에 후크 타입으로 구비되는 고정후크(331) 및
    상기 상부고정프레임(310)의 하단 어느 타 측에 대한 외면과 상기 하부고정프레임(320)의 상단 어느 타 측에 대한 외면에 고리 타입으로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후크(331)가 걸림고정되는 고정고리(3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고정수단(330)은 상기 상부고정프레임(310)의 하단 어느 일 측에 대한 외면과 상기 하부고정프레임(320)의 상단 어느 타 측에 대한 외면에 상호 걸림고정을 통해 조립되도록 구비되되,
    상부고정프레임(310)과 하부고정프레임(320)의 마주하여 밀착되는 측에 대한 둘레방향 외측인 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고정수단(330)은 상기 상부고정프레임(310)의 하단 어느 일 측에 대한 외면과 상기 하부고정프레임(320)의 상단 어느 타 측에 대한 외면에 상호 걸림고정을 통해 조립되도록 구비되되,
    상부고정프레임(310)과 하부고정프레임(320)의 마주하여 밀착되는 측에 대한 전면 측 또는 후면 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300)은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에 대하여 'ㄷ'자 형상으로 감싸도록 각각 'ㄷ'자형의 횡단면을 가지면서 수조(100)의 상, 하부로부터 일체형 고정수단(330)을 통해 조립고정되되,
    'ㄷ'자 형의 횡단면 내부에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 끝단 일정길이만큼 삽입고정되는 삽입고정홈(311, 321)이 형성되며,
    삽입고정홈(311, 321)으로부터 외향 일정거리 떨어져 삽입고정홈(311, 321)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확장되어 실링패킹(200)이 안착설치되는 수조본체(110)의 패킹설치홈(111) 외측 면이 삽입 밀착되는 확장고정홈(312, 3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300)은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에 대하여 'ㄷ'자 형상으로 감싸도록 일체형 고정수단(330)을 통해 조립고정된 상태에서, 수조본체(110)와 수조커버(120)의 플랜지 타입으로 밀착된 둘레부분을 관통하여 상호 체결되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유닛(500)은 일 측인 후면이 수조커버(120)와 밀착되는 냉 전도판(510)과,
    냉 전도판(5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열전모듈하우징(520)과,
    열전모듈하우징(520) 내부에 삽입설치되며, 흡열 측인 후면이 냉 전도판(510)의 전면과 밀착되어 수조커버(120) 측으로 냉기가 전달되도록 하는 열전모듈(530) 및
    후면이 열전모듈(530)의 발열 측인 전면에 밀착되며, 전면에 접촉되게 연결설치된 방열판(600)을 통해 열전모듈(53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전도시키는 열 전도판(5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수탱크.
KR1020200048913A 2020-04-22 2020-04-22 냉수탱크 KR102354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913A KR102354221B1 (ko) 2020-04-22 2020-04-22 냉수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913A KR102354221B1 (ko) 2020-04-22 2020-04-22 냉수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546A true KR20210130546A (ko) 2021-11-01
KR102354221B1 KR102354221B1 (ko) 2022-01-21

Family

ID=7851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913A KR102354221B1 (ko) 2020-04-22 2020-04-22 냉수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221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3367A (ja) * 1996-11-21 1998-06-09 Toyoda Gosei Co Ltd 冷却ボックス
KR101175933B1 (ko) 2010-01-15 2012-08-22 주식회사 리빙케어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언더싱크용 냉정수기
KR20140053669A (ko) * 2012-10-26 2014-05-08 코웨이 주식회사 물탱크
KR20150062009A (ko) * 2013-11-28 2015-06-05 주식회사 바이온텍 열전소자를 가지는 정수기용 유체 냉각장치
KR101673243B1 (ko) * 2015-08-07 2016-11-16 최원보 힌지를 이용한 스테인리스 파이프를 체결하는 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스테인리스 파이프 체결 어셈블리
KR101701354B1 (ko) 2015-01-05 2017-02-01 주식회사 바이온텍 냉수탱크
KR101749394B1 (ko) 2015-05-29 2017-06-20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냉수탱크
KR101766541B1 (ko) 2015-11-26 2017-08-23 (주)신우엠테크 콜드싱크 일체형 냉수탱크
KR20180040954A (ko) * 2016-10-13 201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수 생성 장치
KR101898639B1 (ko) 2017-04-19 2018-09-14 주식회사 리빙케어 냉수 공급장치의 수통구조
KR101974317B1 (ko) * 2018-10-31 2019-05-02 케이에프엔지에스(주) 가스관의 간편 조작 가스필터커버
KR102023619B1 (ko) 2010-12-29 2019-09-23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3367A (ja) * 1996-11-21 1998-06-09 Toyoda Gosei Co Ltd 冷却ボックス
KR101175933B1 (ko) 2010-01-15 2012-08-22 주식회사 리빙케어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언더싱크용 냉정수기
KR102023619B1 (ko) 2010-12-29 2019-09-23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KR20140053669A (ko) * 2012-10-26 2014-05-08 코웨이 주식회사 물탱크
KR20150062009A (ko) * 2013-11-28 2015-06-05 주식회사 바이온텍 열전소자를 가지는 정수기용 유체 냉각장치
KR101701354B1 (ko) 2015-01-05 2017-02-01 주식회사 바이온텍 냉수탱크
KR101749394B1 (ko) 2015-05-29 2017-06-20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냉수탱크
KR101673243B1 (ko) * 2015-08-07 2016-11-16 최원보 힌지를 이용한 스테인리스 파이프를 체결하는 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스테인리스 파이프 체결 어셈블리
KR101766541B1 (ko) 2015-11-26 2017-08-23 (주)신우엠테크 콜드싱크 일체형 냉수탱크
KR20180040954A (ko) * 2016-10-13 201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수 생성 장치
KR101898639B1 (ko) 2017-04-19 2018-09-14 주식회사 리빙케어 냉수 공급장치의 수통구조
KR101974317B1 (ko) * 2018-10-31 2019-05-02 케이에프엔지에스(주) 가스관의 간편 조작 가스필터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221B1 (ko) 202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619B1 (ko)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WO2016015388A1 (zh) 用于水冷式cpu散热器的水冷头
KR101898639B1 (ko) 냉수 공급장치의 수통구조
KR101495871B1 (ko) 면상 냉각식 구조를 갖는 냉온수매트용 냉각 시스템
KR101325569B1 (ko) 공냉식과 수냉식으로 열을 방열시켜 주는 방열싱크 어셈블리
KR102354221B1 (ko) 냉수탱크
KR20160097758A (ko) 정수기의 순간 냉온수 장치
KR100926901B1 (ko) 산소캡슐용 냉각장치
US20160161101A1 (en) Luminaire
US11800679B2 (en) Integrated water cooling heat sink
KR100830684B1 (ko) 냉수조용 구획부재 및 이를 사용한 정수기
KR101458106B1 (ko) 정수기의 냉수조
KR200288720Y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수기
KR102289233B1 (ko)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수탱크
KR20090005244U (ko) 냉온정수기용 온수탱크
KR101291269B1 (ko) 열교환 히트싱크를 이용한 냉온시스템
JP2004154722A (ja) 紫外線照射装置
KR101291268B1 (ko) 히트싱크 조립체
KR101733182B1 (ko) 냉온겸용 정수장치
KR101701354B1 (ko) 냉수탱크
CN218763754U (zh) 一种辅热制冷灯
CN217838434U (zh) 一种水冷散热的动态水杀菌装置
KR101846293B1 (ko) 무소음 응축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냉온수기
KR200225965Y1 (ko) 가전제품의 전원코드 고정장치
KR20180029467A (ko) 냉온 정수 이온수기의 냉수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