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3669A - 물탱크 - Google Patents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3669A
KR20140053669A KR1020120119890A KR20120119890A KR20140053669A KR 20140053669 A KR20140053669 A KR 20140053669A KR 1020120119890 A KR1020120119890 A KR 1020120119890A KR 20120119890 A KR20120119890 A KR 20120119890A KR 20140053669 A KR20140053669 A KR 20140053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engaging member
water tank
coupl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웅
노진환
문현석
이수윤
정희도
최환석
가진성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9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3669A/ko
Publication of KR20140053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3Mounting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 F25B2321/0251Removal of heat by a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몸체와 제2몸체가 합형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탱크본체 및,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복수개의 체결부를 갖는 제1결합부재와, 복수개의 상기 체결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제2결합부재를 구비하는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는 제조시 합형되는 부재를 간편하게 체결하여 체결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물탱크 {WATER TANK}
본 발명은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부재를 합형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물탱크를 제작시, 상기 복수개의 부재를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물탱크(40)는 제1몸체(21)와 제2몸체(22) 등 복수개 부재가 합형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1 몸체(21)과 상기 제2몸체(22)는 복수개의 볼트(32)와 복수개의 너트(31)를 이용하여 합형되었다.
도 1에서의 제1몸체(21)와 제2몸체(22)가 합형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물탱크(40)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물탱크(40)는 제1몸체(21)와 제2몸체(22)를 합형시 제1몸체(21)와 상기 제2몸체(22)의 바깥쪽에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 복수개의 볼트(32)와 복수개의 너트(31)를 체결하여 제1몸체(21)와 제2몸체(22)를 합형하였다.
이때, 상기 제1몸체(21)와 상기 제2 몸체(22)를 합형 시 복수개의 너트(31)를 각각의 볼트(32)에 결합하여야 하므로 대형 탱크와 같이 체결되는 볼트(32)와 너트(31)의 개수가 많을 경우 체결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독립적으로 각각의 볼트(32)에 너트(31)가 체결되어, 상기 물탱크(40)에 강한 진동이 전달되거나 체결 후 장시간이 경과 후에는 각각의 상기 볼트(32)와 너트(31)의 체결에 대해 동일한 체결력을 보장할 수 없어 일부 볼트(32)와 너트(31)의 결합이 약화될 때 물탱크(40)에 수용되는 물이 누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합형되는 부재가 간편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체결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물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측면으로서, 합형되는 부재를 체결하는 복수개의 결합부재에 동일한 체결력을 보장하는 물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1몸체와 제2몸체가 합형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탱크본체 및,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복수개의 체결부를 갖는 제1결합부재와, 복수개의 상기 체결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제2결합부재를 구비하는 물탱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결합부재는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는 볼트 결합 또는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결합부재는 복수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결합부재는 U자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1몸체 또는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결합부재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결합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결합부재가 설정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결합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결합부재는 복수개로 분할형성되며,상기 가이드부는 복수개의 상기 제1결합부재가 수용되도록 양측이 개구되고, 중앙에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제조시 합형되는 부재가 간편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체결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합형되는 부재를 체결하는 복수개의 결합부재에 동일한 체결력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물탱크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물탱크의 기술적 특징을 이해시키는데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탱크(100)는 제1몸체(111)와 제2몸체(112)가 합형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탱크본체(110) 및 상기 제1몸체(111)와 상기 제2몸체(112)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탱크본체(110)는 제조상 편의를 위해 상기 제1몸체(111)와 제2몸체(112)가 합형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11)와 상기 제2몸체(112)는 내부에 물 등과 같은 액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몸체(111)와 상기 제2몸체(112)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0)에 의해 합형된다.
그런데, 상기 결합부재(130)는 복수개의 체결부(131a)를 갖는 제1결합부재(131)와, 복수개의 상기 체결부(131a)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몸체(111)와 상기 제2몸체(112)를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제2결합부재(132)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결합부재(131)는 상기 탱크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제1결합부재(131)가 상기 제1몸체(111)에 설치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제1몸체(111) 또는 제2몸체(112)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재(131)가 상기 제2몸체(112)에 설치될 경우에는 제2결합부재(132)는 상기 제1몸체(111)의 일측에서 상기 제1결합부재(131)와 체결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131)는 상기 제1결합부재(131)가 복수개의 제2결합부재(132)와 체결되기 위해 복수개의 체결부(131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재(131)와 상기 제2결합부재(132)는 볼트 결합 또는 스크류 결합하여 체결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체결부(131a)에는 상기 제2결합부재(132)가 볼트일 때 이에 대응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11)와 제2몸체(112)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131)가 상기 제2결합부재(132)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131a)와 대응되며 상기 제1몸체(111)와 상기 제2몸체(112)를 관통하는 개구(132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결합부재(131)는 복수개의 제2결합부재(132)와 결합되어 상기 탱크본체(110)를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복수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서는 상기 제1몸체(111)와 제2몸체(112)를 합형하기 위해 2개의 제1결합부재(131)가 U자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몸체(111)의 상부와 하부의 각각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형상과 분할되는 개수는 상기 탱크본체(110)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3의 경우에는 단면이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된 사각형 형상의 탱크본체(110)의 경우인 경우가 도시되었으나, 상기 탱크본체(110)는 단면이 원형이거나, 라운딩 처리되지 않은 사각형 형상, 또는 그 이외의 다각형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본체(110)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체결의 편의성과 체결력을 고려하여 상기 제1결합부재(131)가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상기 탱크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형상과 분할되는 개수는 상기 탱크본체(110)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재(132)는 상기 제1결합부재(131)와 체결되어 상기 제1몸체(111)와 상기 제2몸체(112)를 합형시킬 수 있는 부재인 경우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재(131)와 상기 제2결합부재(132)가 볼트 또는 스크류 결합되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상기 제1결합부재(131)와 체결될 수 있는 한 공지의 다른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결합부재(130)를 구비하는 물탱크(100)의 작용 효과를 살펴본다.
상기 제1결합부재(131)는 상기 탱크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결합부재(132)는 상기 제1몸체(111) 및 상기 제2몸체(112)를 관통하여 상기 제1결합부재(131)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체결부(131a)에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1개의 상기 제1결합부재(131)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체결부(131a)에 복수개의 제2결합부재(132)가 체결될 수 있어, 도 1의 경우와 같이 탱크 본체의 일측에서 복수개의 볼트를 삽입하고 각각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제1몸체(111)와 상기 제2몸체(112)를 합형하는 것과 비교할 때, 체결시간을 감소시키고 더욱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체결과정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결합부재(130)는 제1결합부재(131)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체결부(131a) 중 먼저 일부 상기 체결부(131a)에 상기 제2결합부재(132)를 체결하여 상기 제1몸체(111)와 상기 제2몸체(112)를 부분적으로 합형한다.
그리고, 체결되지 않는 나머지 체결부(131a)와 상기 개구(132a)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결합부재(132)를 나머지 체결부(131a)에 신속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볼트와 너트가 각각 체결되는 경우, 각각의 볼트 너트는 독립적으로 체결된다.
그래서 종래의 물탱크(100)에서의 볼트와 너트 결합은 상기 탱크 본체에 진동이 지속적으로 전달되거나 장시간 경과후에 각각의 볼트 너트 결합의 체결력이 약화되어, 결합력이 약해진 부분에 누수가 발생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탱크(100)는 너트에 해당하는 1개의 상기 제1결합부재(131)에 복수개의 볼트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상기 제2결합부재(132)가 체결되는 경우는 복수개의 제2결합부재(132)에 일정한 체결력을 제공한다.
그 결과 체결된 일부분의 체결력이 약화되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물탱크(100)의 일부분에 누수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물탱크(100)는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가이드부(113)는 상기 제1몸체(111) 또는 상기 제2몸체(112)의 일측에서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부(113a)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113a)는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일측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몸체(111)의 일측에서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두께만큼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부(113a)의 단면이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단면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131)가 수용되지 못하고, 반대로 지나치게 클 경우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131)가 상기 제1몸체(111) 또는 상기 제2몸체(112)의 일측과 이격된 상태로 수용되기 때문에 가이드부재로서의 기능을 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113a)는 상기 제1결합부재(131)가 수용될 수 있되, 상기 제1몸체(111)와 상기 제2몸체(112)의 일측과 이격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재(131)를 상기 수용부(113a)에 수용할 때 설정된 지점에 상기 제1결합부재(131)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1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13b)는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제1결합부재(131)가 상기 수용부(113a)에 삽입시, 상기 체결부(131a)와 상기 개구(132a)의 위치가 일치될 때 정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113)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할 때, 상기 제1결합부재(131)가 복수개로 분할형성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113)는 복수개의 상기 제1결합부재(131)가 상기 수용부(113a) 내로 수용되도록 수용되도록 양측이 개구(132a)되고, 중앙에 스토퍼(113b)가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가이드부(113)를 구비하는 물탱크(100)의 작용 효과를 살펴본다.
상기 수용부(113a)를 구비하는 상기 가이드부(113)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제1결합부재(131)에 상기 제2결합부재(132)를 체결하는 경우에는 첫번째 상기 제2결합부재(132)가 체결된 뒤 상기 제1결합부재(131)를 상기 탱크본체(110)의 일측에 지지하면서 두번째 제2결합부재(132)를 체결하여야 한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탱크(100)가 상기 수용부(113a)를 구비하는 경우는 상기 탱크본체(110) 일측으로 상기 제1결합부재(131)를 삽입시키면 별도로 상기 제1결합부재(131)를 지지할 필요없이 복수개의 상기 제2결합부재(132)들을 상기 제1결합부재(131)에 체결할 수 있어 체결이 보다 용이하고 빠른 시간내에 상기 제1결합부재(131)에 상기 제2 결합부재(132)를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13)에 스토퍼(113b)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결합부재(131)가 상기 수용부(113a)에 삽입시 상기 결합부와 상기 개구(132a)가 일치될 때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러므로, 별도로 상기 결합부와 상기 개구(132a)를 일치 여부를 확인할 필요없이 상기 스토퍼(113b)에 상기 제1결합부재(131)의 일측이 접촉할 때가지 상기 제1결합부재(131)를 상기 수용부(113a)에 삽입시킨 뒤, 상기 제1결합부재(131)와 복수개의 상기 제2결합부재(132)들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몸체(111)와 상기 제2몸체(112)를 합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탱크(100)는 냉수탱크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내지 도 5에는 냉각부(120)를 구비하여, 열전모듈(121)을 작동시켜 상기 탱크본체(110) 내부에 구비되는 물을 콜드싱크(122)에 의해 냉각시키고, 상기 발생되는 열을 히트싱크(123)의 방열부재(123a)를 통해 방열하는 냉수탱크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상기 냉수탱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탱크(100)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복수개의 부재가 합형되어 탱크본체(110)를 구비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물탱크 110: 탱크본체
111: 제1몸체 112: 제2몸체
113: 가이드부 113a: 수용부
113b: 스토퍼 120: 냉각부
121: 열전모듈 122: 콜트싱크
123: 히트싱크 123a: 방열부재
130: 결합부재 131: 제1결합부재
131a: 체결부 132: 제2결합부재
132a: 개구

Claims (9)

  1. 제1몸체와 제2몸체가 합형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탱크본체; 및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복수개의 체결부를 갖는 제1결합부재와, 복수개의 상기 체결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제2결합부재를 구비하는 물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는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는 볼트 결합 또는 스크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는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는 U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또는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1결합부재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결합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결합부재가 설정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결합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재는 복수개로 분할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개의 상기 제1결합부재가 수용되도록 양측이 개구되고, 중앙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KR1020120119890A 2012-10-26 2012-10-26 물탱크 KR20140053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890A KR20140053669A (ko) 2012-10-26 2012-10-26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890A KR20140053669A (ko) 2012-10-26 2012-10-26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669A true KR20140053669A (ko) 2014-05-08

Family

ID=50886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890A KR20140053669A (ko) 2012-10-26 2012-10-26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36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639B1 (ko) * 2017-04-19 2018-09-14 주식회사 리빙케어 냉수 공급장치의 수통구조
WO2018194339A1 (ko) * 2017-04-19 2018-10-25 주식회사 리빙케어 냉수 공급장치의 수통구조
KR102289233B1 (ko) * 2020-03-18 2021-08-17 박성호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수탱크
KR20210130546A (ko) * 2020-04-22 2021-11-01 주식회사 다원물산 냉수탱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639B1 (ko) * 2017-04-19 2018-09-14 주식회사 리빙케어 냉수 공급장치의 수통구조
WO2018194339A1 (ko) * 2017-04-19 2018-10-25 주식회사 리빙케어 냉수 공급장치의 수통구조
KR102289233B1 (ko) * 2020-03-18 2021-08-17 박성호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수탱크
KR20210130546A (ko) * 2020-04-22 2021-11-01 주식회사 다원물산 냉수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3669A (ko) 물탱크
US9982589B2 (en) Intake manifold with an intercooler
US10012135B2 (en) Air-guiding component with an intercooler
JP2005133594A (ja) 防振遮熱板
CN105804894A (zh) 内燃机
KR20140120917A (ko) 가스용, 특히 엔진의 배기 가스용 열교환기
JP6651778B2 (ja) 内燃機関のカバー構造
RU201112701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компонентов
JP2016220391A (ja) 機電一体型回転電機
JP2012041900A (ja) 吸気系部品の締結構造
KR20070081239A (ko) 냉매파이프 고정용 클립구조
JP2013253493A (ja) 吸気装置
KR101407447B1 (ko) 정수기용 냉각장치
KR20140055285A (ko) 방열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탱크
JP2010156528A (ja) 接続構造
US20160169083A1 (en) Method for initial filling of cooling circuits and vehicle
JP2019510928A (ja) 冷却液ポンプアセンブリ
KR101318639B1 (ko) 라디에이터 탱크와 오일쿨러 조립체
CN111448089B (zh) 用于电动马达的包括集成导管的安装件以及包括这种安装件的动力传动系
JP2012251497A (ja) ブローバイガス処理装置の換気バルブ支持構造
CN211082072U (zh) 摩托车低温式发动机曲轴箱及应用其的发动机
KR101826870B1 (ko) 열전모듈 연결구조
WO2012176673A1 (ja) 管継手の固定構造
KR1016922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104846A (ko) 라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