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555B1 - 냉각수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 Google Patents

냉각수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555B1
KR101878555B1 KR1020160106890A KR20160106890A KR101878555B1 KR 101878555 B1 KR101878555 B1 KR 101878555B1 KR 1020160106890 A KR1020160106890 A KR 1020160106890A KR 20160106890 A KR20160106890 A KR 20160106890A KR 101878555 B1 KR101878555 B1 KR 101878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cooling water
space
cold 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2062A (ko
Inventor
박종우
이상준
황선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6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555B1/ko
Priority to US15/679,728 priority patent/US11511218B2/en
Publication of KR20180022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01F7/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7Stirrers provided with conical-shaped elements, e.g. funnel-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F15/005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4Surface aerating
    • B01F23/2342Surface aerating with stirrers near to the liquid surface, e.g. partially immersed, for spraying the liquid in the gas or for sucking gas into the liquid, e.g. using stirrers rota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or using centrifugal force
    • B01F23/23421Surface aerating with stirrers near to the liquid surface, e.g. partially immersed, for spraying the liquid in the gas or for sucking gas into the liquid, e.g. using stirrers rota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or using centrifugal force the stirr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B01F23/234211Stirrer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01F27/0726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having stirring elements connected to the stirrer shaft each by a single radial rod, other than open frameworks
    • B01F27/0726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having stirring elements connected to the stirrer shaft each by a single radial rod, other than open frameworks of the anchor type, i.e. the stirring elements being connected to the rods by one end and extending parallel to the shaft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7Stirrers provided with conical-shaped elements, e.g. funnel-shaped
    • B01F27/1171Stirrers provided with conical-shaped elements, e.g. funnel-shaped having holes in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the stirrers having central axial inflow and substantially radial out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3Heating or cooling systems arranged inside the recepta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25D11/025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using primary and secondary refriger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8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59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being in direct heat contact with the beverage, e.g. placed inside a beverag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61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 B67D1/0862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in the form of a cold plate or a cooling b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5Safety means, e.g. over-pressure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6Devices for collecting spilled beve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B67D2210/00102Heating only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의 하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교반축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믹싱부와, 상기 다수의 믹싱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원추 형상의 허브를 포함하는 교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교반기를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각수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Cooling water agitator and Water purif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각수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방법으로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이나 중금속과 같은 유해 요소를 여과하는 장치이다.
선행공개특허 제10-2011-0065979호(2011년 6월 16일)에는 정수기 구조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개시된 종래의 정수기, 즉 직수형 정수기의 경우, 탱크내에 냉각수가 저수되고, 상기 탱크내에 냉수 배관 및 냉각수 냉각을 위한 증발기가 상기 냉각수에 잠겨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냉수 생성을 위하여 상기 증발기 내부로 냉매가 흐르면, 상기 증발기 주변의 냉각수의 온도가 낮아진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와 상기 냉수 배관을 따라 흐르는 냉수 간의 열교환을 촉진하기 위하여 교반기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교반기가 작동하면 상기 냉각수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어, 상기 냉각수와 상기 냉수 배관을 따라 흐르는 냉수 간의 열교환이 촉진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종래의 정수기의 교반기는, 교반 모터에 연결되는 교반축과, 교반축의 단부에 형성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의 종류로는, 형상에 따라 축류 블레이드(axial-flow blade), 레이디얼 블레이드(radial-flow blade), 혼합형 블레이드(axial radial-flow blade 또는 mixed blade)로 대별될 수 있으며, 교반기의 회전시 공진으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혼합형 블레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혼합형 블레이드가 적용되는 교반기의 경우, 상기 교반기의 교반 운동에 따라 발생하는 수류는, 냉각수 탱크의 바닥을 향하여 하강한 후, 유동 속도가 급격히 감소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냉각수의 교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혼합형 블레이드의 경우에도, 교반기의 회전시 흔들림으로 인한 공진음이 발생하므로, 이에 따라 정수기에서 발생하는 주요 소음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는,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의 하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교반축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믹싱부와, 상기 다수의 믹싱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원추 형상의 허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믹싱부는, 상기 교반축의 하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허브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서 상기 허브의 반경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바디와 동일 수직면 상에 놓이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허브의 원주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탱크와, 상기 냉각수 탱크를 상측 공간과 하측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와, 상기 상측 공간에 놓이는 증발기와, 상기 하측 공간에 놓이는 냉수 배관과, 상기 하측 공간에 놓이는 상기 교반기, 및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교반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교반기의 회전시 진동에 의한 블레이드의 흔들림이 최소화되므로, 이에 따라 블레이드의 흔들림으로 인한 공진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교반기의 회전시 발생하는 수류가 반경 방향으로 넓게 퍼지게 되므로, 이에 따라 냉각수의 순환이 더욱 유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교반기의 회전시, 교반기 내부에서 기포(air bubble)가 발생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이에 따라 기포에 의한 소음이 없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냉수 생성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냉수 생성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냉각수 탱크가 제거된 상태의 냉수 생성 유닛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연결되는 물 유로를 보여주는 시스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냉수 생성 유닛에 장착되는 구획 부재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상기 구획 부재를 아래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4의 X-X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9는 냉각수 탱크의 내부에 장착되는 냉수 배관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1은 상기 교반기를 아래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
도 12는 상기 교반기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물을 정수한 후 냉각 또는 가열시켜 취출되도록 하는 직수형 냉온 정수기이다. 상기 정수기(10)는 다수의 패널의 결합에 의해 외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직수형 정수기란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가 없이 사용자의 정수 추출 동작시에 정수된 물이 추출되는 형태의 정수기를 말한다.
상세히, 상기 정수기(1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1)과, 양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패널(12)과,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 패널(13)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 패널, 및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 패널의 결합에 의해 전체적으로 대략 육면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들이 결합하여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정수를 위한 다수의 부품들이 장착된다.
상기 전면 패널(11)에는, 사용자가 상기 정수기(10)의 동작 명령을 입력함과 동시에, 상기 정수기(1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조작표시부(14)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표시부(14)는, 다수의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제공되면서 각 버튼으로 빛의 조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조작표시부(14)의 버튼을 가압하거나 터치하게 되면, 선택된 버튼에는 빛이 조사됨으로써 버튼의 선택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도 있으며, 표시부의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 조작표시부(14)에는 취수하고자 하는 물의 종류 다시 말해, 냉수, 온수 또는 정수(상온수)를 선택하는 버튼과, 연속 출수를 위한 버튼 등이 제공되며, 온수의 전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버튼과 온수와 냉수의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제공된다.
물론, 상기 조작표시부(14)에는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일부 버튼이 생략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조작표시부(14)의 하측에는 사용자가 정수된 물을 출수하기 위하여 조작 가능한 워터 슈트(15)가 구비된다. 상기 워터 슈트(15)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정화된 물을 출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워터 슈트(15)는 사용자가 정수된 물을 출수하기 위하여 물의 취출구를 개폐하는 기능을 하므로, 개폐장치 또는 개폐노즐 등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워터 슈트(15)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정수기(10)의 기능에 따라 정수, 냉수 또는 온수 등을 출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워터 슈트(15)의 하측, 상세하게는 상기 전면 패널(11)의 전면 하단부에는 상기 워터 슈트(15)에서 낙하하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면에는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그릴 형태의 커버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전면 패널(11)의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러한 이동에 의해 사용자는 높이를 가지는 물병 또는 하면이 넓은 용기에도 정수된 물을 담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에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부표가 더 구비되고, 이러한 부표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트레이에 수용되는 물을 비우는 시기를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미 도시되나, 상기 정수기(10)의 외형을 이루는 상기 패널들의 내부에는, 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매 사이클과, 냉수 생성을 위한 냉수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다수의 구성 요소들이 수용된다.
상세히, 상기 정수기(10)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로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열교환하도록 하는 응축팬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0)는,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프리 카본 필터(pre carbon filter)와 중공사막 필터(Ultra Filtration filter)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0)는, 상기 응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저온 저압의 2상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변과, 상기 팽창변을 통과한 저온 저압의 2상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후술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0)는, 상기 증발기 및 냉수가 흐르는 냉수 배관(후술함)을 포함하는 냉수 생성 유닛(후술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0)는 급수되는 물을 설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온수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냉수 생성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냉수 생성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냉각수 탱크가 제거된 상태의 냉수 생성 유닛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수 생성 유닛(20)은, 냉각수가 채워지는 냉각수 탱크(21)와, 상기 냉각수 탱크(21)를 수용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21)가 실내 공기로부터 단열되도록 하는 단열 케이스(미도시)와, 상기 단열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드레인 밸브(미도시)와, 상기 냉각수 탱크(21) 내부에 수용되는 냉수 배관(22)과, 상기 냉수 배관(22)의 상측에 놓이는 상태로 상기 냉각수 탱크(21) 내부에 수용되는 구획 부재(23)와, 상기 구획 부재(23)에 안착되는 증발기(24)와,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냉각수 탱크(21)와 결합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21)를 밀폐하는 덮개의 기능을 갖는 교반 모터 지지부(26)와, 상기 교반 모터 지지부(26)의 내측에 고정되고, 회전축이 하측으로 연장되는 교반 모터(27)와, 상기 냉각수 탱크(21)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교반 모터(27)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교반기(25), 및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상면 개구부를 덮는 탱크 커버(미도시)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드레인 밸브는, 상기 단열 케이스 및 상기 냉각수 탱크(21)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바닥부에 인접하는 지점에 해당하는 상기 단열 케이스의 측면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냉각수 탱크(21)에 저장된 냉각수가 상기 정수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 배관(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수평방향으로 다중으로 감겨진 형태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의 냉수 배관(22)은 2중 형태로 감겨진다.
상세히, 상기 냉수 배관(22)은 스파이럴 형태로 2중으로 감겨서 원통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냉수 배관(22)의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배관은, 서로 접촉되거나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고,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배관은 서로 접촉되거나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배관(22)은 2중으로 감기는 형태를 취하므로, 상기 냉수 배관(22) 내부에 흐르는 냉수와 냉각수가 열교환하기 위한 열교환 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 배관(22)은 2중으로 감겨지기 때문에, 상기 냉수 배관(22)의 전체적인 높이는 절반으로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냉수 배관(22) 내부를 흐르는 냉수와, 상기 냉각수 탱크(21)에 저장된 냉각수가 열교환하기 위한 열교환 면적이 충족됨과 동시에,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높이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냉수 배관(22)은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냉수 배관(22)을 2중으로 감을 경우, 강성이 높은 재질 특성 상,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오려는 스프링 백(spring back)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프링 백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바닥면에서 상기 냉수 배관(22)을 잡아주기 위한 홀더부(도 8 참조)가 제공된다. 상기 홀더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냉수 배관(22)의 입구단(221)과 출구단(222)은 상기 교반 모터 지지부(26)를 향하여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배관(22)을 2중으로 감기 때문에 상기 입구단(221)과 출구단(222)은 상기 냉수 배관(22) 상측의 위치에서 상방향(교반 모터 지지부의 방향)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만약 상기 냉수 배관(22)을 홀수(3중 혹은 5중)로 중첩되게 감는 경우 상기 입구단(221)과 출구단(222)은 각각 상측의 위치와 하측에 위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냉수 배관(22)의 지지구조가 복잡하게 형성되거나 지지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냉수 배관(22)은 짝수로 중첩(2중 혹은 4중)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냉수 배관(22)의 입구단(221)은 급수원에 연결되는 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출구단(222)은 상기 워터 슈트(15)의 취출구에 연결되는 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 부재(23)는, 상기 냉수 배관(22)의 상측에 놓여서,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부 공간을 상기 증발기(24)가 수용되는 제 1 공간과, 상기 냉수 배관(22)이 수용되는 제 2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공간에서 형성되는 얼음은 상기 제 2 공간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구획 부재(23)의 내측에는 상기 증발기(24)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24)는 상기 응축기의 출구단에 연결된 팽창변의 출구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24)를 형성하는 냉매 배관을 따라 흐르는 냉매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에 저장된 냉각수와 열교환하여 상기 냉각수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는 상기 냉수 배관(22)을 따라 흐르는 정수와 열교환하여 상기 정수를 설정 온도로 냉각시킨다.
또한, 상기 교반 모터 지지부(26)는, 상기 구획 부재(23)의 상측에 놓일 수 있다. 상기 교반 모터 지지부(26)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상단에서 상기 냉각수 탱크(21)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공간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공간은 상기 교반 모터 지지부(26)와 상기 구획 부재(23) 사이에서 정의되고, 상기 제 2 공간은 상기 구획 부재(23)와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바닥부 사이에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 모터 지지부(26)의 일측에는 냉각수 유입 포트(2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유입 포트(261)는 급수원에 연결되는 유로에 연결되거나 필터 어셈블리를 통과한 정수 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 탱크(21)로 냉각수가 공급되어 채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교반 모터 지지부(26)의 타측에는 증발기 커넥터(2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커넥터(241)는 상기 증발기(24)의 입구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교반 모터(27)는, 상기 교반 모터 지지부(26)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 교반 모터 장착부에 장착된다. 상기 교반 모터(27)는 회전축이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교반 모터(27)의 하측에 상기 교반기(25)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교반 모터(27)는 연질의 교반 모터 고정 부재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교반 모터 장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기(25)는, 상기 교반 모터(27)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연장되어 냉각수에 의해 잠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교반기(25)는 대략 상기 제 2 공간의 중간 지점에 위치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교반기(25)가 회전하면, 상기 냉각수가 상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 사이를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혼합된다. 그 결과, 상기 증발기(24)에 의하여 냉각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상기 냉각수 탱크(21) 내부의 모든 지점에서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교반기(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 또는 임펠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제안 가능하다.
상기 교반기(25)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연결되는 물 유로를 보여주는 시스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급수원(S)으로부터 상기 정수기(10)의 워터 슈트(15)에 이르기까지 급수 라인(L)이 형성되며, 상기 급수 라인(L)에는 각종 밸브와 정수 부품이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급수 라인(L)은, 상기 급수원(S), 예컨대 가정의 수도꼭지에 연결되고, 상기 급수 라인(L)의 어느 지점에는 필터 어셈블리(17)가 배치되어, 상기 급수원(S)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링된다.
또한, 상기 필터 어셈블리(17)의 출구단에 연결되는 급수 라인(L)에는 급수 밸브(61)와 유량 센서(7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량 센서(70)에 의하여 감지되는 공급량이 설정 유량에 도달하면 상기 급수 밸브(61)가 폐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 센서(70)의 출구단에서 연장되는 급수 라인(L)의 어느 지점에서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1)과, 냉각수 공급용 급수 라인(L2), 및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L3)이 분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 센서(70)의 출구단에서 연장되는 급수 라인(L)의 단부에는 정수 출수 밸브(66)가 장착되고, 상기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1)의 단부에는 온수 출수 밸브(64)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L3)의 단부에는 냉수 출수 밸브(65)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냉각수 공급용 급수 라인(L2)의 어느 지점에는 냉각수 밸브(63)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수 밸브(63)는 상기 냉각수 유입 포트(261)와 상기 냉각수 공급용 급수 라인(L2)이 분지되는 지점을 연결하는 급수 라인(L2)의 어느 지점에 장착되어, 상기 냉각수 탱크(21)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 출수 밸브(64)와, 상기 냉수 출수 밸브(65) 및 상기 정수 출수 밸브(66)의 출구단에서 연장되는 급수 라인은 모두 상기 워터 슈트(15)에 연결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수, 냉수 및 온수가 단일의 취출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독립된 취출구들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드레인 밸브(18)는 도면에서 상기 냉수 생성 유닛(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급수 라인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상기 드레인 밸브(18)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수 탱크(21)에 관통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1)의 어느 지점에는 유량 조절 밸브(62)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유량 조절 밸브(62)의 출구단에서 연장되는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1)에는 상기 온수 히터(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 히터의 출구단에서 연장되는 급수 라인(L1)의 어느 지점에 상기 온수 출수 밸브(64)가 장착될 수 있다.
일례로, 급수되는 물이 상기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1)을 따라 흘러서 상기 온수 히터를 통과하면 설정 온도로 가열되고, 상기 조작표시부의 온수 선택 버튼을 눌러 상기 온수 출수 밸브(64)가 개방되면 상기 워터 슈트(15)를 통하여 온수가 취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획 부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냉수 생성 유닛에 장착되는 구획 부재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구획 부재를 아래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구획 부재(23)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구획 부재(23)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획 부재(23)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부 공간을 상측의 제 1 공간과 하측의 제 2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획 부재(23)는, 상기 냉각수 탱크(21) 내부에서 수평하게 놓이는 바닥부(231)와, 상기 바닥부(231)의 내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234), 및 상기 바닥부(23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공간을 다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한 다수의 격벽(23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 부재(23)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주면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단순히 상기 냉수 배관(22)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231)는, 다수의 격자 리브들(231a)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격자 리브들(231a) 사이에는 냉각수가 통과하는 홀들이 형성된다. 즉, 상기 홀들을 통하여 냉각수는 상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231)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부 공간의 횡단면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231)의 대략 중심에는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장부(234)는 상기 관통홀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연장부(234)는, 상기 관통홀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1 버티컬 리브(232)와, 상기 다수의 제 1 버티컬 리브(232)의 단부를 연결하는 원형의 띠 형상의 제 1 어퍼 리브(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 1 버티컬 리브(232)는, 상기 관통홀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1 버티컬 리브(232)는, 수평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리브 뿐만 아니라, 수평면으로부터 경사져서 직선 형태로 연장되는 리브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 1 버티컬 리브(232)와 상기 제 1 어퍼 리브(233)에 의하여 원통형 또는 원뿔형(truncated cone)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은 교반기 통과홀(233a)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교반기(25)는, 상기 교반기 통과홀(233a)을 통과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제 2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연장부(234)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 즉 상기 교반기 통과홀(233a)은 제 3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격벽(238)은, 상기 제 1 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격벽(238)은, 상기 관통홀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격벽(238)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24)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홈(238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증발기(24)를 구성하는 냉매 배관은, 상기 다수의 격벽(238) 각각에 형성된 안착홈(238a)을 따라 다수 회 스파이럴 형태로 감겨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홈(238a)의 폭은, 상기 증발기(24)를 구성하는 냉매 배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공간은, 상기 제 1 버티컬 리브(232)와, 격벽(238) 및 냉각수 탱크(21)의 내부 벽면에 의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증발기(24)가 수용된 제 1 공간에서 형성되는 얼음은, 상기 제 1 공간 내의 구획된 일 공간 내에서만 이동하고, 상기 제 1 공간 내의 구획된 타 공간으로는 이동하지 못한다.
상기 격벽(238)은 상기 바닥부(231)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나, 이와는 다르게, 상기 격벽(238)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격벽(238)은 상기 바닥부(23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끼워질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 1 버티컬 리브(232)에 끼워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격벽(238)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착탈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구획 부재(23)는, 상기 바닥부(231)의 외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2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연장부(237)는, 상기 바닥부(23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2 버티컬 리브(235)와, 상기 다수의 제 2 버티컬 리브(235)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 2 어퍼 리브(2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어퍼 리브(236)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어퍼 리브(236)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어퍼 리브(236)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주면에 형성된 장착돌기(미도시)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지기 위한 장착홈(23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236a)은 상기 장착돌기의 형상 또는 개수에 따라 다양한 형상 또는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 2 버티컬 리브(235)는, 상기 바닥부(231)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상기 바닥부(23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제 2 버티컬 리브(235)는 상기 다수의 격벽(238)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제 2 버티컬 리브(235) 중 일부는, 상기 격벽(238)의 끝단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238)은, 상기 제 1 버티컬 리브(232)와, 상기 제 2 버티컬 리브(235) 사이에 놓인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1 공간은, 상기 제 1 버티컬 리브(232), 격벽(238) 및 제 2 버티컬 리브(235)에 의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24)가 수용된 제 1 공간에서 형성되는 얼음은, 상기 제 1 공간 내의 구획된 일 공간 내에서만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 1 공간 내의 구획된 타 공간으로는 이동하지 못한다. 특히, 상기 증발기(24)에서 떨어져 나온 얼음이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벽면에 부딪히는 일이 없어지므로, 이에 따라 충돌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냉각수 탱크(21)가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바닥부(231)의 바닥면에는, 냉수 배관 안착부(23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배관 안착부(239)는 상기 바닥부(231)의 바닥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일부가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단차면이 상기 냉수 배관(22)의 외경에 대응하는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냉수 배관(22)의 최상단을 형성하는 배관이 상기 냉수 배관 안착부(239)에 안착될 수 있다(도 8 참조).
도 8은 도 4의 X-X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냉각수 탱크의 내부에 장착되는 냉수 배관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냉각수 탱크(21) 내부 공간은, 상기 구획 부재(23)에 의하여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 1 공간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연장부(234)에 의하여 제 3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공간을 제외한 제 1 공간은, 상기 다수의 격벽(238)에 의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공간은 상기 구획 부재(23)의 바닥부(231)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공간은 상기 바닥부(23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공간은 상기 제 1 연장부(234)와, 격벽(238) 및 제 2 연장부(237)에 의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최하측에는 상기 냉수 배관(22)이 놓이고, 상기 구획 부재(23)는 상기 냉수 배관(22)의 상단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구획 부재(23)는, 상기 제 2 어퍼 리브(236)의 외주면이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 부재(23)의 바닥부(231)의 바닥면에는, 상기 냉수 배관(22)이 안착되는 냉수 배관 안착부(239)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 부재(23)의 내측, 즉 상기 구획 부재(23)의 바닥부(231)에 형성된 상기 격벽(238)의 안착홈(238a)에는, 상기 증발기(24)의 냉매 배관이 다수회 감기는 형태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기(25)가 회전하면, 상기 냉각수 탱크(21)에 저장된 냉각수가 혼합되면서 상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으로 불규칙하게 이동하면서, 상기 냉각수 탱크(33) 내부 온도를 균일하게 한다. 상기 교반기(25)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냉각수 탱크(33)에 저장되는 냉각수가 순환되는 과정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공간에 형성되는 얼음이 상기 교반기(25)의 교반 운동에 의하여 녹으면서 상기 제 1 공간에 있는 냉각수를 냉각시킨다. 상기 제 1 공간에 형성된 얼음은 상기 구획 부재(23)에 의하여 제 1 공간 내부에 격리되어, 상기 제 2 공간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상기 구획 부재(23)의 격벽(238)에 의하여 제 1 공간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기 때문에,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서 형성된 얼음은, 해당 구획 공간 내부에 격리된다. 즉, 상기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형성된 얼음은, 상기 제 1 공간 내부에서도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격벽(238)에 의해 유동이 제한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격벽(238)은 상기 교반기(25)의 교반 운동에 따라 발생하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의 수류에 의한 얼음의 이동(회전)을 차단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얼음이 상기 교반기(25) 또는 상기 냉수 배관(22)에 충돌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얼음이 상기 제 1 공간에 설치되는 증발기(24) 또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부 벽면에 부딪혀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현상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부에는, 상기 냉수 배관(22)을 잡아주기 위한 홀더부(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부(28)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바닥면(211)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홀더부(28)는, 상기 냉수 배관(22)이 감겨서 안착되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바닥면(211)에서 리브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홀더부(28)의 상면에는 상기 냉수 배관(22)이 수용되기 위한 안착홈(281)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28)는 대략 "U"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안착홈(281)에는 2중으로 감기는 상기 냉수 배관(22)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냉수 배관(22)의 내측에 감기는 배관과, 외측에 감기는 배관이 서로 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스프링 백 현상에 의해서 냉수 배관(22)이 휘어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냉수 배관의 고정 불량에 따른 소음 및 냉수 배관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홀더부(28)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바닥면(211)에 다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홀더부(28)가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바닥면에 3개가 형성되고, 3개의 홀더부(28) 각각은 상기 냉수 배관(22)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다. 일례로, 상기 3개의 홀더부(28) 중 이웃하는 2개의 홀더부가 이루는 각도는 약 120°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3개의 홀더부(28)는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 개의 홀더부(28)가 상기 냉수 배관(22)을 동시에 잡아주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냉수 배관(22)이 흔들림 없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홀더부(28)의 개수는 3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3개보다 더 많거나 적을 수 있고, 또한 각각의 홀더부 이격 간격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냉수 생성 유닛을 이루는 부재들에 의해서 상기 냉수 배관이 고정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냉수 배관(22)은, 상기 냉수 생성 유닛(20)을 이루는 냉각수 탱크(21), 구획 부재(23) 및 교반 모터 지지부(26)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수 배관(22)의 하측에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저면(211)에 형성된 홀더부(28)가 밀착된다. 즉, 상기 냉수 배관(22)의 하부는, 상기 홀더부(28)의 안착홈(281)의 내측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수 배관(22)의 내측에 감기는 배관과, 외측에 감기는 배관이 서로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냉수 배관(22)의 상측에는, 상기 증발기(24)가 안착되는 상기 구획 부재(23)의 저면에 형성된 냉수 배관 안착부(239)가 밀착된다. 즉, 상기 냉수 배관(22)의 상부는, 상기 냉수 배관 안착부(239)의 내측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 배관 안착부(239)는 상기 냉수 배관(22)의 중심방향에 위치하는 냉수 배관의 최내측 배관에 접촉한다. 이때 상기 냉수 배관 안착부(239)와 상기 최내측 배관은 억지 끼움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냉수 배관 안착부(239)가 상기 냉수 배관(22)을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상기 냉수 배관(21)은 단단히 지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냉수 배관(22)은 상기 홀더부(28)와 상기 냉수 배관 안착부(239) 사이에 끼워지는 구조이므로, 상기 냉수 배관(22)의 2중 롤링(rolling) 구조에 따른 스프링 백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 부재(23)의 상측에는, 상기 교반 모터(27)가 설치되는 상기 교반 모터 지지부(26)의 저면이 밀착된다. 즉, 상기 교반 모터 지지부(26), 구획 부재(23) 및 홀더부(28)가 상기 냉수 배관(22)을 유기적으로 눌러주어, 상기 냉수 배관(22)은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의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교반기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교반기를 아래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교반기의 정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25)는, 상기 교반 모터(27)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교반축(251)과, 상기 교반축(25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믹싱부(250)와, 상기 다수의 믹싱부(250)를 연결하는 원추 형상의 허브(256)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교반축(251)은,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교반 모터(27)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교반축(251)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축이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251a)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51a)은 상기 교반축(251)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일정깊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믹싱부(250)는, 상기 교반기(25)가 작동시 실질적으로 수류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며, 기존의 블레이드 형상과 다른 형태를 이룬다. 구체적으로, 상기 믹싱부(250)는, 상기 교반축(251)의 하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바디(252)와, 상기 바디(252)의 하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허브(256)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255)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252)는, 상기 교반축(251)의 하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255)가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하측 지점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즉, 상기 바디(252)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상기 냉수 배관(22)의 중심 영역에 상기 블레이드(255)를 위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교반기(25)의 회전시, 상기 블레이드(255)의 교반 운동에 따라 발생하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의 수류에 의해서 냉각수와, 상기 냉수 배관(22)를 따라 흐르는 냉수 간의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레이드(255)는, 상기 바디(252)의 하단부에서 상기 허브(256)의 반경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바디(252)와 동일 수직면 상에 놓이는 연장부(253)와, 상기 연장부(253)의 하단부에서 상기 허브(256)의 원주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25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절곡부(254)의 하단부는, 상기 허브(256)의 상면 중심에서 가장자리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55)의 연장부(253)는, 상기 교반기(25)의 회전시 발생하는 수류를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측면으로 향하도록 강제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부(253)는 상기 바디(252)의 하단부 외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253)의 상면을 지나는 선(253a)과, 상기 교반축(251)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252a)이 이루는 각도(A)는 90°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연장부(253)를 지나는 선(253a)과, 상기 교반축(251)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252a)이 이루는 각도(A)는 70°~110° 사이의 각도가 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53)의 하단부에는, 하측으로 더 연장되면서 소정각도 절곡되는 절곡부(254)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254)는, 상기 교반기(25)의 회전시 발생하는 수류를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측면 및 측하단으로 향하도록 강제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곡부(254)는, 상기 연장부(253)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교반 모터(27)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다. 다시 말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 모터(27)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절곡부(254)는 상기 교반 모터(27)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인 반시계 방향(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곡부(254)를 지나는 수직면과 상기 절곡부(254)가 이루는 각도(B)는 30°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절곡부(254)를 지나는 수직면과 상기 절곡부(254)가 이루는 각도(B)는 20°~40° 사이의 각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교반기(25)가 회전될 때, 상기 블레이드(255)의 주변에 있는 냉각수의 일부는, 상기 블레이드(255)의 연장부(253)를 따라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측면으로 유동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블레이드(255)의 절곡부(254)를 따라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측면 또는 측하단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측면 및 측하단으로 유동된 냉각수는 압력차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저압의 상측 공간으로 상승한 후, 상기 블레이드(255) 측으로 다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가 효율적인 수류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 사이를 자유로이 이동하여 혼합되므로 그 결과, 상기 증발기(24)에 의하여 냉각되는 냉각수의 온도는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내부의 모든 지점에서 균일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255)의 하단부에는, 상기 교반기(25)의 회전시 발생하는 수류를 상기 냉수 배관(22) 측으로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허브(256)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허브(256)는, 상기 블레이드(255)를 구성하는 연장부(253) 및 절곡부(254)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도록 원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허브(256)는 상기 교반기(25)의 회전시, 상기 블레이드(255)의 하단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블레이드(255)의 하단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허브(256)의 하단부 외경은, 상기 블레이드(255)의 하단부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기(25)의 회전시, 상기 블레이드(255)의 흔들림으로 인한 공진음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허브(256)는 중심부에서 가장자리 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형성한다. 즉, 상기 블레이드(255)의 연장부(253) 또는 절곡부(254)를 타고 흐르는 냉각수는, 상기 허브(256)의 경사면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넓게 퍼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255)의 교반 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류가 상기 냉각수 탱크(21)의 바닥면을 향해 형성되지 않으므로, 이에 따라 냉각수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허브(256)에는 다수의 에어홀(25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에어홀(256a)은 인접하는 상기 다수의 믹싱부들(2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홀(256a)은 상기 허브(256)의 가장자리보다 중심부에 더 가까운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 상기 허브(256)는 라운드진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라운드진 상면은, 상기 연장부(253) 및 절곡부(254)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다수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서는 상기 허브(256)의 라운드진 상면이 4개의 영역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4개의 영역에는 에어홀(256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홀(256a)은, 상기 허브(256)의 내부공간에 잔존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수 탱크(21) 내부에 냉각수를 채우는 과정에서, 상기 허브(256)의 내부 공간에 미량의 공기가 잔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허브(256)의 내부에는 기포(air bubble)가 형성되고, 이러한 기포에 의해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홀(256a)에 의해 상기 허브(256)의 내부공간에서의 기포 생성을 막음으로써, 기포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도면에서는 상기 허브(256)의 구획된 4개의 영역에 각각 에어홀(256a)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4개의 영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에 에어홀(256a)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블레이드의 절곡부가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이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25)는, 교반 모터(27)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교반축(251)과, 상기 교반축(251)의 하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교반축(25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믹싱부(250)와, 상기 다수의 믹싱부(250)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원추 형상의 허브(256)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믹싱부(250)는, 상기 교반축(251)의 하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바디(252)와, 상기 바디(252)의 하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허브(256)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255)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255)는, 상기 바디(252)의 하단부에서 상기 허브(256)의 반경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바디(252)의 동일 수직면 상에 놓이는 연장부(25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253)의 하단부에는, 상기 교반기(25)의 회전시 발생하는 수류를 상기 냉수 배관(22) 측으로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허브(256)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허브(256)는, 상기 연장부(253)의 하단 부분을 연결하는 원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허브(256)는 상기 교반기(25)의 회전시, 상기 블레이드(255)의 하단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블레이드(255)의 하단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허브(256)의 바닥부 외경은, 상기 블레이드(255)의 하단부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반기(25)의 회전시, 상기 블레이드(255)의 흔들림으로 인한 공진음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허브의 직경이 블레이드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이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25)는, 교반 모터(27)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교반축(251)과, 상기 교반축(251)의 하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교반축(25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믹싱부(250)와, 상기 다수의 믹싱부(250)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원추 형상의 허브(256)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믹싱부(250)는, 상기 교반축(251)의 하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바디(252)와, 상기 바디(252)의 하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허브(256)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255)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255)는, 상기 바디(252)의 하단부에서 상기 허브(256)의 반경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바디(252)의 동일 수직면 상에 놓이는 연장부(253)와, 상기 연장부(253)의 하단부에서 상기 허브(256)의 원주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25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254)의 하단부에는, 상기 교반기(25)의 회전시 발생하는 수류를 상기 냉수 배관(22) 측으로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허브(256)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허브(256)는, 상기 연장부(253)의 하단 부분을 연결하는 원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허브(256)는 상기 교반기(25)의 회전시, 상기 블레이드(255)의 하단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블레이드(255)의 하단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허브(256)의 바닥부 외경은, 상기 블레이드(255)의 하단부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교반기(25)의 회전시, 상기 블레이드(255)의 흔들림으로 인한 공진음의 발생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냉각수와 허브 간의 접촉면적이 감소되므로, 이에 따라 냉각수의 유동 저항 감소에 의하여 냉각수 순환이 더욱 유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허브의 직경이 블레이드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이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25)는, 교반 모터(27)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교반축(251)과, 상기 교반축(251)의 하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교반축(25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믹싱부(250)와, 상기 다수의 믹싱부(250)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원추 형상의 허브(256)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믹싱부(250)는, 상기 교반축(251)의 하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바디(252)와, 상기 바디(252)의 하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허브(256)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255)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255)는, 상기 바디(252)의 하단부에서 상기 허브(256)의 반경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바디(252)의 동일 수직면 상에 놓이는 연장부(253)와, 상기 연장부(253)의 하단부에서 상기 허브(256)의 원주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25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254)의 하단부에는, 상기 교반기(25)의 회전시 발생하는 수류를 상기 냉수 배관(22) 측으로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허브(256)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허브(256)는, 상기 연장부(253)의 하단 부분을 연결하는 원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허브(256)는 상기 교반기(25)의 회전시, 상기 블레이드(255)의 하단이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블레이드(255)의 하단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허브(256)의 바닥부 외경은, 상기 블레이드(255)의 하단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교반기(25)의 회전시, 상기 블레이드(255)의 흔들림으로 인한 공진음의 발생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냉각수를 반경 방향으로 더 넓게 퍼지도록 함으로써, 냉각수 순환이 더욱 유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탱크;
    상기 냉각수 탱크에서 원주상으로 감겨서 내부에 원통 형상의 공간을 정의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놓이는 냉수 배관; 및
    교반축의 하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교반축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믹싱부와, 상기 다수의 믹싱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원추 형상의 허브를 포함하는 교반기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기는, 상기 증발기의 내부공간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허브와 믹싱부는, 상기 증발기와 상기 냉수 배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부는,
    상기 교반축의 하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허브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정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서 상기 허브의 반경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상기 바디와 동일 수직면 상에 놓이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허브의 원주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의 하단부는, 상기 허브의 상면 중심에서 가장자리 쪽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싱기 연장부의 상면을 지나는 선과, 상기 교반축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는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축이 결합되는 교반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연장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교반 모터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를 지나는 수직면과 상기 절곡부가 이루는 각도는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에 형성되는 다수의 에어홀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에어홀은, 인접하는 상기 다수의 믹싱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홀은,
    상기 허브의 가장자리보다 중심부에 더 가까운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바닥부의 외경은,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부 외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바닥부 외경은,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부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바닥부 외경은,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부 외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탱크;
    상기 냉각수 탱크를 상측 공간과 하측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
    상기 상측 공간에 놓이는 증발기;
    상기 하측 공간에 놓이는 냉수 배관;
    상기 하측 공간에 놓이는 교반기; 및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교반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기는,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의 하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교반축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믹싱부와,
    상기 다수의 믹싱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원추 형상의 허브를 포함하는 정수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배관은, 스파이럴 형상으로 감겨서 내부에 원통 형상의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교반기는, 상기 원통 형상의 공간 내부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60106890A 2016-08-23 2016-08-23 냉각수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1878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890A KR101878555B1 (ko) 2016-08-23 2016-08-23 냉각수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US15/679,728 US11511218B2 (en) 2016-08-23 2017-08-17 Cooling water stirr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890A KR101878555B1 (ko) 2016-08-23 2016-08-23 냉각수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062A KR20180022062A (ko) 2018-03-06
KR101878555B1 true KR101878555B1 (ko) 2018-07-13

Family

ID=61240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890A KR101878555B1 (ko) 2016-08-23 2016-08-23 냉각수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511218B2 (ko)
KR (1) KR101878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25243S1 (en) * 2016-03-29 2018-08-14 Winix, Inc. Hot and cold water purifier
KR101878555B1 (ko) * 2016-08-23 2018-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각수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2548275B1 (ko) * 2018-02-23 202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88172B1 (ko) * 2018-05-14 2020-03-13 본아이에프 주식회사 교반기에 결합되는 날개부
KR102042579B1 (ko) * 2018-11-19 2019-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USD973835S1 (en) * 2019-08-30 2022-12-27 Coway Co., Ltd. Water purifier
USD960288S1 (en) * 2020-08-12 2022-08-09 Clover Co., Ltd. Water purification device
CN114011328B (zh) * 2021-11-08 2023-08-22 唐山浩昌杰环保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加热功能的润滑油生产用调和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7737A (en) * 1977-10-06 1979-02-06 Whirlpool Corporation One-piece agitator with clothes directing cam
KR200447286Y1 (ko) * 2008-11-24 2010-01-14 주식회사 수환경알앤디 교반기
KR20110068250A (ko) * 2009-12-15 2011-06-2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이온 정수기의 냉각유닛
KR101200034B1 (ko) * 2011-08-17 2012-11-12 박주섭 다기능 교반기
KR20150019118A (ko) * 2013-08-12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수모듈을 구비한 정수기 및 그의 작동방법
KR20160096679A (ko) * 2013-12-11 2016-08-16 인벤트 움벨트­- 운트 베르파렌스테크닉 아게 컨테이너 내에 수용된 액체의 순환을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48967A1 (de) 1980-12-24 1982-07-15 Electrolux-Sigmund GmbH, 6950 Mosbach Kuehlvorrichtung
US5797519A (en) 1997-03-14 1998-08-25 The Coca-Cola Company Postmix beverage dispenser
JP3662782B2 (ja) * 1999-09-06 2005-06-22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飲料ディスペンサ
JP4540046B2 (ja) 2004-08-09 2010-09-08 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スタティック型水冷媒ヒートポンプ製氷システム
KR101191420B1 (ko) 2009-12-10 2012-10-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이온 정수기의 냉각유닛
CN201680748U (zh) * 2010-04-28 2010-12-22 张公喜 冷却管整体装置
KR102376013B1 (ko) * 2015-08-27 2022-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770481B1 (ko) * 2015-11-30 2017-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811536B1 (ko) * 2016-07-18 201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803654B1 (ko) * 2016-07-18 201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530082B1 (ko) * 2016-07-26 202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878555B1 (ko) * 2016-08-23 2018-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각수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2571263B1 (ko) * 2016-11-10 2023-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548275B1 (ko) * 2018-02-23 202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548269B1 (ko) * 2018-02-23 2023-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7737A (en) * 1977-10-06 1979-02-06 Whirlpool Corporation One-piece agitator with clothes directing cam
KR200447286Y1 (ko) * 2008-11-24 2010-01-14 주식회사 수환경알앤디 교반기
KR20110068250A (ko) * 2009-12-15 2011-06-2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이온 정수기의 냉각유닛
KR101200034B1 (ko) * 2011-08-17 2012-11-12 박주섭 다기능 교반기
KR20150019118A (ko) * 2013-08-12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수모듈을 구비한 정수기 및 그의 작동방법
KR20160096679A (ko) * 2013-12-11 2016-08-16 인벤트 움벨트­- 운트 베르파렌스테크닉 아게 컨테이너 내에 수용된 액체의 순환을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062A (ko) 2018-03-06
US11511218B2 (en) 2022-11-29
US20180056217A1 (en)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555B1 (ko) 냉각수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1803654B1 (ko) 정수기
KR102530082B1 (ko) 정수기
KR101811536B1 (ko) 정수기
US10882727B2 (en) Water purifier
US10654699B2 (en) Water dispenser
KR102515589B1 (ko) 정수기
KR102500810B1 (ko) 정수기
KR102609457B1 (ko) 정수기의 제어방법
US20200399872A1 (en) Water purifier
CN104776684B (zh) 饮水设备
KR102413202B1 (ko) 정수기
KR20140055286A (ko) 냉수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